KR20170055214A -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 - Google Patents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214A
KR20170055214A KR1020150158115A KR20150158115A KR20170055214A KR 20170055214 A KR20170055214 A KR 20170055214A KR 1020150158115 A KR1020150158115 A KR 1020150158115A KR 20150158115 A KR20150158115 A KR 20150158115A KR 20170055214 A KR20170055214 A KR 20170055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dumplings
dumpling
chopped
o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용희
Original Assignee
변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용희 filed Critical 변용희
Priority to KR102015015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214A/ko
Publication of KR20170055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2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한 새로운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가루와 쌀가루를 사용하여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 세척한 문어를 찜솥에서 찌는 과정, 찐 문어를 다지는 과정, 무우와 부추와 표고버섯과 양파와 대파와 당근과 당면을 다지는 과정, 두부를 물기를 짜서 으깨는 과정, 상기 쪄서 다진 문어 및 상기 무우, 부추, 표고버섯, 양파, 대파, 당근, 당면 다진 것과, 두부 으깬 것과, 계란을 혼합하고 양념을 하여 버무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만두속을 만드는 단계; 상기 만두피 반죽으로 만두피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에 상기 만두속을 넣고 만두를 빚는 단계; 및 상기 만두를 찌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Manufacturing method of octopus dumpling and octopus dumpling thereby the same that}
본 발명은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하고 소화도 잘되는 새로운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에 관한 것이다.
만두는 밀가루반죽을 얇게 밀어서 만든 만두피에 만두속을 넣고 만두피로 감싸서 만든 음식으로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예부터 즐겨 먹는 음식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만두는 만두소의 종류에 따라 고기만두, 야채만두, 김치만두 등으로 제공되는데, 만두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고 그 맛도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종래의 만두로는 점차 까다로워지는 소비자들의 입맛을 만족시키기에는 다소 역부족인 면이 있다.
따라서 맛도 좋고 영양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만두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5178호(2015. 03. 1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하고, 소화도 잘되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새로운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밀가루와 쌀가루를 사용하여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 세척한 문어를 찜솥에서 찌는 과정, 찐 문어를 다지는 과정, 무우와 부추와 표고버섯과 양파와 대파와 당근과 당면을 다지는 과정, 두부를 물기를 짜서 으깨는 과정, 상기 쪄서 다진 문어 및 상기 무우, 부추, 표고버섯, 양파, 대파, 당근, 당면 다진 것과, 두부 으깬 것과, 계란을 혼합하고 양념을 하여 버무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만두속을 만드는 단계; 상기 만두피 반죽으로 만두피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에 상기 만두속을 넣고 만두를 빚는 단계; 및 상기 만두를 찌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문어를 찜솥에서 찌는 과정에서는 문어 위에 무우 간 것을 올려놓고 문어를 찐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에서는 밀가루와 쌀가루를 혼합하고, 상기 문어를 찜솥에서 찌는 과정에서 사용된 문어찐 물을 상기 밀가루와 쌀가루에 혼합하여 반죽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만두속 만드는 단계에서는 연근을 다져서 상기 쪄서 다진 문어 및 상기 무우, 부추, 표고버섯, 양파, 대파, 당근, 당면 다진 것과 혼합하는 과정이 추가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문어가 만두속의 주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의 만두와 맛과 영양면에서 차별화되는 새로운 만두가 제공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먹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줄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호기심과 구매욕을 자극하여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만두속 재료로 사용된 문어에 의해 만두의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만두속 재료로 무우가 사용되기 때문에, 무우에 의해 문어의 소화흡수에 도움이 되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
또한, 자칫 만두피에서 밀가루 맛이 날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문어를 찐 물을 사용하여 만두피를 반죽하면 만두피에서 밀가루 맛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만두피에서 문어향이 나므로 만두의 전체적인 풍미가 좋아진다. 또한, 만두피의 색상도 붉은 색을 띠게 되어 보기에도 좋다.
뿐만 아니라, 만두속 재료로 연근을 더 추가 사용하면 연근에 의해 만두의 영양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연근에 의해 문어의 소화흡수가 더 촉진되고, 연근에 의해 만두의 씹는 식감도 좋아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1) 만두피 반죽을 한다.
밀가루 90부피%에 쌀가루 10부피%를 혼합하고 약간의 소금을 넣어서 간을 한 다음, 계란과 물을 이용하여 만두피 반죽을 만든다.
밀가루는 글루텐이 함유된 중력분을 사용하며, 쌀가루는 쌀가루 고유의 높은 점착성으로 인해 만두피의 탄력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2) 만두속을 만든다.
먼저, 만두속 재료로 문어, 무우, 부추, 표고버섯, 양파, 대파, 당근, 당면, 두부, 계란을 준비한다.
문어는 타우린이 풍부하기 때문에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지질과 당질의 양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해 다이어트에도 좋다. 또한, 문어에 들어 있는 풍부한 아미노산은 피부를 깨끗하고 탄력있게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눈의 망막기능을 정상화시켜주는 효능을 가지므로 눈건강에도 좋다. 또, 나이신산 및 비타민 E가 풍부하여 세포활성화에 도움을 주어 노화방지효과를 가지며,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서 당뇨병에도 좋은 효능을 보인다.
바람직하게는 동해안 최북단 항구인 대진항 부근에서 잡은 참문어를 사용하는데, 문어를 깨끗이 세척하여 찜솥에서 찐 다음, 다져서 준비한다. 문어를 삶아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문어를 찌는 것이 문어를 삶는 것보다 문어 영양성분의 유실을 막을 수 있으므로 문어를 삶아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무우는 각종 소화효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문어의 소화흡수를 도와 주며, 무우의 감칠맛으로 인해 만두의 맛도 좋아진다. 이러한 무우는 껍질을 벗기고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문어를 찔 때 무우를 갈아서 문어 위에 올려놓고 문어를 찌면 무우의 즙이 문어가 흡수되면서 문어가 한층 더 부드러워져서 소화가 잘되며, 문어의 잡냄새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추는 부추의 알리신 성분이 살균작용과 소화효소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부추 역시 문어의 소화에 도움을 준다. 부추도 다듬어서 깨끗이 씻어서 준비한다.
표고버섯은 흐르는 물에 살짝 씻어서 버섯 표면에 묻은 이물질만 제거하여 준비한다. 양파와 대파, 당근도 다듬어서 세척하여 준비하고, 당면도 삶아서 준비한다.
그리고 두부는 물기를 짜고 으깨어서 준비하고, 계란은 신선한 것으로 준비한다.
상기 무우, 부추, 표고버섯, 양파, 대파, 당근, 당면을 다진 다음, 상기 문어 다진 것 및 두부 으깬 것과 혼합하고, 여기에 계란을 넣어서 버무린다. 이때 양념으로 소금, 후추, 마늘, 참깨가루, 참기름을 넣고 버무려서 만두소를 완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만두소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문어 20~30중량부, 무우 8~12중량부, 부추 10~15중량부, 표고버섯 6~10중량부, 양파 8~12중량부, 대파 3~5중량부, 당근 2~5중량부, 당면 8~10중량부, 두부 8~10중량부, 계란 1~3중량부로 혼합한다.
문어가 상기 수준 미만으로 혼합되면 문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른 재료들의 양이 많아지므로 문어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다. 또한, 문어가 많이 혼합될수록 문어의 맛을 강하게 느낄 수 있으나, 다른 재료와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오히려 만두의 전체적인 풍미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문어는 30중량부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무우가 많이 혼합될수록 문어의 소화흡수는 좋아지나, 무우는 익으면 물컹한 식감을 가지기 때문에, 무우가 상기 수준 보다 많이 혼합되면 만두의 씹는 식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무우는 상기 수준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재료들도 만두의 전체적인 식감과 맛을 고려할 때 상기 수준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만두피를 성형한다.
준비해둔 만두피 반죽으로 만두피를 성형한다.
4) 만두를 빚는다.
만두피에 상기 만두속을 넣고 만두를 빚는다.
5) 만두를 찐다.
만두를 찜솥에 넣고 쪄서 만두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만두는 만두속의 주재료로 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만두와는 색다른 맛을 가진다. 특히, 만두속에 문어와 더불어 무우가 포함되기 때문에, 무우에 의해 문어의 소화흡수가 좋아지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없이 먹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만두피 반죽을 하는 과정에서는 물 대신 문어를 찐 물을 사용한다. 문어를 찐 물이란 문어를 찔 때 찜솥에 담은 물로서, 이 물에는 문어를 찌는 과정에서 문어에서 유출되는 성분들이 포함되며, 문어에서 유출되는 성분들에 의해 문어를 찐 물은 붉은 색을 띤다.
따라서 이러한 문어를 찐 물을 이용하여 만두피를 반죽하면, 만두피가 붉은 색을 띠게 되어 만두기 보기에 좋으며, 만두피에서 문어향이 나게 되므로 만두의 풍미가 향상된다.
특히, 만두피가 밀가루를 주성분으로 하여 반죽 된 것이기 때문에 자칫 만두피에서 밀가루 맛이 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만두피 반죽을 할 때 문어 찐 물을 사용하면 만두피에서 밀가루 맛이 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만두속에는 연근이 더 포함된다.
연근은 껍질을 벗기고 세척한 다음, 다져서 준비하여, 만두속을 만들기 위한 다른 재료들과 섞어서 만두속을 만든다.
연근은 무기질과 식이섬유 등이 풍부해 피부를 건강하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다른 뿌리식물에 비해 항산화 작용과 항암 작용을 하는 비타민 C가 많으며,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폴리페놀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연근의 뮤신성분은 단백질의 소화를 촉진시켜주고 위벽을 보호해주는 기능을 하는데, 연근이 만두속 재료로 더 추가됨에 따라, 연근에 의해 만두속이 아삭아삭한 식감을 가지게 되고, 문어의 소화흡수에도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연근이 더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무우와 부추 및 표고버섯의 양을 다소 줄이는데, 바람직하게는 만두소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문어 20~30중량부, 무우 8~9중량부, 부추 10~12중량부, 표고버섯 6~8중량부, 연근 8~10중량부, 양파 8~12중량부, 대파 3~5중량부, 당근 2~5중량부, 당면 8~10중량부, 두부 8~10중량부, 계란 1~3중량부로 혼합한다.

Claims (5)

  1. 밀가루와 쌀가루를 사용하여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
    세척한 문어를 찜솥에서 찌는 과정, 찐 문어를 다지는 과정, 무우와 부추와 표고버섯과 양파와 대파와 당근과 당면을 다지는 과정, 두부를 물기를 짜서 으깨는 과정, 상기 쪄서 다진 문어 및 상기 무우, 부추, 표고버섯, 양파, 대파, 당근, 당면 다진 것과, 두부 으깬 것과, 계란을 혼합하고 양념을 하여 버무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만두속을 만드는 단계;
    상기 만두피 반죽으로 만두피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에 상기 만두속을 넣고 만두를 빚는 단계; 및
    상기 만두를 찌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만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어를 찜솥에서 찌는 과정에서는,
    문어 위에 무우 간 것을 올려놓고 문어를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만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에서는,
    밀가루와 쌀가루를 혼합하고, 상기 문어를 찜솥에서 찌는 과정에서 사용된 문어찐 물을 상기 밀가루와 쌀가루에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만두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속을 만드는 단계에서는,
    연근을 다져서 상기 쪄서 다진 문어 및 상기 무우, 부추, 표고버섯, 양파, 대파, 당근, 당면 다진 것과 혼합하는 과정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만두 제조방법.
  5. 만두피로 만두속을 감싸서 이루어지는 만두에 있어서,
    상기 만두속은 쪄서 다진 문어, 다진 무우, 다진 부추, 다진 표고버섯, 다진 양파, 다진 대파, 다진 당근, 다진 당면, 두부, 계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쪄서 다진 문어는 만두속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20~30중량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만두.
KR1020150158115A 2015-11-11 2015-11-11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 KR20170055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115A KR20170055214A (ko) 2015-11-11 2015-11-11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115A KR20170055214A (ko) 2015-11-11 2015-11-11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214A true KR20170055214A (ko) 2017-05-19

Family

ID=5904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115A KR20170055214A (ko) 2015-11-11 2015-11-11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2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615A (ko) * 2018-12-04 2020-06-12 정성동 표고버섯 만두의 제조 방법
KR20210051493A (ko) 2019-10-30 2021-05-10 이인철 4색 만두 전골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615A (ko) * 2018-12-04 2020-06-12 정성동 표고버섯 만두의 제조 방법
KR20210051493A (ko) 2019-10-30 2021-05-10 이인철 4색 만두 전골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212B1 (ko) 영양 만두의 제조방법
KR101634364B1 (ko) 해초 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712778B1 (ko) 돈까스 요리의 제조방법
CN103829178A (zh) 一种莲藕圆子及其制备方法
KR101591646B1 (ko) 연근 쿠키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689426A (zh) 一种米香小麦胚芽脆片及其制备方法
KR20170055214A (ko) 문어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문어만두
KR101695654B1 (ko) 고추장 굴비의 제조 방법 및 고추장 굴비
KR101191505B1 (ko) 찐 감자 쌀 옹심이 꼬치의 제조방법
KR20200053094A (ko) 풍미가 뛰어난 짬뽕 및 짜장면의 제조방법
KR101756531B1 (ko) 피자의 제조방법
KR101607441B1 (ko) 흑마늘 및 김가루를 이용한 고구마 머핀의 제조방법
KR101903716B1 (ko) 감자 탕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자 탕수
KR102333529B1 (ko) 2단 숙성 밤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밤빵
KR101439065B1 (ko) 토마토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102314155B1 (ko) 달인 마늘 소스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달인 마늘 소스
KR20180117001A (ko)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20120084167A (ko) 배동치미국수 제조방법
KR101966145B1 (ko) 토마토크로켓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토마토크로켓
KR100951536B1 (ko) 야끼우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야끼우동
KR100751879B1 (ko) 밥전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6067A (ko) 양파와 계란을 이용한 식품
KR100527835B1 (ko) 돼지갈비 튀김 제조 방법
CN104026616A (zh) 一种保健烤兔肉及其制备方法
KR101754320B1 (ko) 감자를 이용한 김말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자 김말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1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13

Effective date: 2018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