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641A -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를 위한 연장된 길이방향 구조물을 갖춘 운송 차량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를 위한 연장된 길이방향 구조물을 갖춘 운송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641A
KR20170053641A KR1020177008087A KR20177008087A KR20170053641A KR 20170053641 A KR20170053641 A KR 20170053641A KR 1020177008087 A KR1020177008087 A KR 1020177008087A KR 20177008087 A KR20177008087 A KR 20177008087A KR 20170053641 A KR20170053641 A KR 2017005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guide rail
vehicle
handling device
gu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쉐어
Original Assignee
로르 일레뜨로메카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르 일레뜨로메카니크 filed Critical 로르 일레뜨로메카니크
Publication of KR2017005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 B60P1/5409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moveable base
    • B60P1/54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moveable base attach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를 위한 연장된 길이방향 구조물을 갖춘 운송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적재물(2)은 차량(3)에 의해 지지되는 길이방향 가이드 레일(7)을 따라 이동하는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5)에 의해 로딩 공간으로 로딩/언로딩된다. 운송 차량은 2개의 힌지식 도어(10)에 의해 후방에서 폐쇄되고, 각각의 도어는 가이드 레일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가이드 레일 섹션(11)을 포함한다. 힌지식 도어가 90도로 개방될 때, 각각의 가이드 레일 섹션은 가이드 레일 중 하나를 연장시키고, 이는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가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 섹션 양쪽으로 동시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를 위한 연장된 길이방향 구조물을 갖춘 운송 차량 {TRANSPORT VEHICLE WITH EXTENDED LONGITUDINAL STRUCTURE FOR A MOTOR-DRIVEN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화물의 운송의 일반적인 분야, 특히 운반대(pallet)에 놓인 적재물의 운송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적재물은 예컨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외관을 나타내는 자동차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적재 화물 차량에 관한 것이고, 차량의 적재물은 차량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에 의해 이동되고, 배향되고 쌓인다. 상기 차량은 핸들링 장치의 길이방향 이동의 경로가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차량이 2개의 커플링된 로딩 구조물을 포함할 때 하나의 구조물로부터 다른 구조물로의 핸들링 장치의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세미 트레일러(semi-trailer)를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기구가, 예컨대 문서 US 4,597,712로부터 공지된다. 상기 기구는 로딩 공간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휠 지지부를 기반으로 하여 차량을 가로로 파지하고 로딩 위치로 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관절형 아암(articulated arm)을 포함한다. 다양한 작업 및 이동이 제어 콘솔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기구는 작업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어되는 단점을 갖는다. 게다가, 작업자는 최적의 로딩, 언로딩, 최적의 운송 또는 특별한 제한이 부과되는 분배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항상 갖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예의 차량에서, 적재물은 최적이 아닌 또는 심지어 위험한 로딩 위치에 놓이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로딩 에러는 단지 적어도 일부 적재물을 다시 이동시킴으로써 교정될 수 있다. 이는 상당한 시간의 손실을 초래할 것이다. 파지 아암의 위치지정에 의해 자동차가 흔들리지 않는 것을 보장해야만 하는, 자동차의 파지는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수행된다. 따라서 파지는 오래 걸리는 작업으로, 뿐만 아니라 비교적 위험한 작업으로 판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행이 간단하고,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로딩/언로딩 장치를 포함하는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적재 화물 차량을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을 완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부여된 목적은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적재 화물 차량에 의해 달성되며, 운반대 상에 운반되는 적재물은 차량의 길이방향 구조물을 따라 이동하는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에 의해 로딩 공간으로 이동되고, 배향되고, 쌓이며,
- 길이방향 구조물은 로딩 공간을 따라 차량에 의해 지지되는 길이방향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 2개의 힌지식 도어가 차량의 후방의 로딩 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제공되고,
- 각각의 힌지식 도어는 가이드 레일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길이방향 가이드 레일 섹션을 포함하고,
- 힌지식 도어가 90도로 개방될 때, 각각의 가이드 레일 섹션은 가이드 레일 중 하나를 연장시키고, 이는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가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 섹션 양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은 차량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고 가이드 레일 섹션은 힌지식 도어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며, 힌지식 도어가 90도로 개방될 때, 각각의 가이드 레일은 바로 근처에 그리고 연관된 가이드 레일 섹션과 동일한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식 도어는 로딩 공간의 내부 면에 위치되는 힌지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은 함께 커플링된 2개의 로딩 구조물을 포함하고, 그의 각각은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의 이동을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이는 로딩 구조물의 각각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의 통합(convergence) 요소를 더 포함하여서 하나의 로딩 구조물의 각각의 쌍의 가이드 레일은 다른 로딩 구조물의 쌍의 가이드 레일의 바로 근처로 가게 되거나 그 역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요소는 접철식 토우 바(telescopic towbar), 접철식 가이드 레일, 스크류-너트 타입(screw-nut type)의 헬리컬 시스템(helical system) 또는 통합의 임의의 다른 공지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요소는 하나의 로딩 구조물을 다른 로딩 구조물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은 트랙터 및 세미 트레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세미 트레일러는 로딩 구조물을 지지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은 로딩 구조물을 지지하는 트랙터 및 다른 로딩 구조물을 지지하는 커플링된 트레일러를 포함한다.
이전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은 2개의 로딩 구조물의 통합 동안 전방 가이드 레일과 후방 가이드 레일 사이의 미세한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해 중심맞춤 시스템(centering system)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심맞춤 시스템은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각각의 단부에 제공되는 한 쌍의 맞물림 콘 및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를 포함한다.
차량은 로딩 구조물의 상호 통합 동안 그의 베이스 사이의 미세한 롤, 피치 및 기울어짐(yaw)을 보상할 수 있는 보상 시스템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상 시스템은 베이스 상의 상보적인 형상의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이 부분은 전방 로딩 구조물의 베이스의 후방에 제공되는 리세스된(recessed) 암형 맞물림 부분 그리고 후방 로딩 구조물의 베이스의 전방에 제공되는 돌출 수형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맞물림 부분은 암형 맞물림 부분 내에 수형 맞물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경사 및 멈춤부(ramp and stop)로서 역할을 하는 경사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나의 이점은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의 높은 등급의 자동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른 이점은 로딩 및 언로딩 작업 동안 상당한 시간 절약이다. 실제로, 이러한 작업의 자동화는, 예컨대 자동차를 로딩할 때, 자동화된 장치가 로딩 위치로 자동차의 자동화된 배치를 진행하는 동안, 작업자가 다른 자동차를 찾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사한 시간 절약이 언로딩 작업 동안 관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른 이점은 높은 자동화에도 불구하고, 이 차량이 달성하는 높은 신뢰성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딩/언로딩 장치의 다른 이점은 상이한 종류의 적재물에 적응된다는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른 이점은, 예컨대 모터 구동식 차량에 커플링되는 트레일러로 구성되는, 관절형 유닛의 상이한 로딩 공간의 매우 쉬운 로딩 및 언로딩을, 완전하게 안전하게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른 이점은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를 이동시키는 카트를 위한 증가된 이동 경로의 달성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하게 보여질 것이다.
도 1은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에 의해 다뤄지는 운반대를 사용하여 로딩 및 언로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차량은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에 의한 자동차를 지지하는 운반대의 파지 및 로딩의 작업 동안에 도시되는 세미 트레일러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시예의 프로파일(profile)이고, 차량은 구동 구성에서 비어있는 것으로 도시된 2개의 커플링된 로딩 구조물이고,
도 3은 로딩/언로딩 구성에서 비어있는 것으로 도시된 도 2의 차량을 예시하고,
도 4는 구동 구성에서 완전히 로딩된 것으로 도시된 도 2의 차량을 예시하고,
도 5는 차량의 2개의 로딩 구조물의 정렬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토우 바의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2개의 로딩 구조물 사이의 통합의 예를 예시한다.
몇몇의 상이한 도면에 도시된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숫자 또는 알파벳 부호가 부여된다.
도 1은 차량(3), 예컨대 세미 트레일러(3a) 상으로 로딩하는 동안, 운반대(1)가 적재물(2),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차를 지지하는 로딩 페이스(phase)를 예시한다.
로딩된 운반대(1)는 그리퍼(gripper; 5)에 의해 운반대(1)를 파지하는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5)에 의해 이동된다. 운반대(1)는 각각의 그의 측에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그의 측면 길이방향 빔에 그리퍼(6)에 의해 파지 또는 후크된다.
핸들링 장치(5)를 지지하는 카트(4)가 길이방향 가이드 레일(7) 상에서 이동되고, 즉 세미 트레일러(3a) 내의 규정된 로딩 공간을 따라 그의 측에서 이동된다. 가이드 레일(7)은 바람직하게는 로딩 공간의 정상부에 위치된다.
카트(4)는 조작부(manipulator; 5) 및 결과적으로 운반대(1)가 로딩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측면 아암(5a)은 유리하게는 접철식이고 카트(4) 상에 힌지 연결되고, 그리퍼(6)는 결국 상기 측면 아암(5a)의 하부 원위부에 힌지 연결된다.
한편, 조작부(5)는 운반대(1)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운반대(1)의 배향이 그리퍼(6)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운반대(1)의 이동 및 배향은 특히 액츄에이터, 이를테면 유압식 실린더에 의해 달성되며, 유압식 실린더는 본원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전기 또는 공압식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 측면에, 차량(3)은 운반대(1)를 위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가로 벽을 가질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유리하게는 가이드 레일(7)에 차량(3)의 베이스(9)를 연결하는 직립부(upright; 8) 사이에서 연장한다.
후방에, 차량(3)은 로딩 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제공되는 2개의 힌지식 도어(10)를 포함한다. 각각의 힌지식 도어(10)는, 바람직하게는 도어(10)의 상부 부분에, 그리고 가이드 레일(7)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가이드 레일 섹션(11)을 포함한다.
따라서, 힌지식 도어(10)가 90도로 개방될 때, 각각의 가이드 레일 섹션(11)은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7) 중 하나를 연장시키고, 이는 핸들링 장치(5)가 가이드 레일(7) 상에 그리고 가이드 레일 섹션(11) 상으로 양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그의 경로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힌지식 도어(10)가 90도로 개방될 때, 각각의 가이드 레일 섹션(11)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레일(7) 중 하나의 바로 근처에, 그의 연장부에, 그리고 동일한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위치된다. 따라서, 핸들링 장치가 연장된 가이드 레일(7)을 따라 이동할 때, 핸들링 장치(5)는 그의 작업을 방해할 수 있는 레일의 임의의 중단과 마주하지 않는다. 도어(10)의 힌지는 바람직하게는 로딩 공간의 내부 면의 측에 제공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전방 로딩 구조물(3b) 및 다른 후방 로딩 구조물(3c)을 포함하는 차량(3)을 예시한다. 상기 로딩 구조물(3b 및 3c)은 전방 로딩 구조물(3b)을 지지하는 트랙터를 후방 로딩 구조물(3c)을 지지하는 트레일러에 연결하는 토우 바(12)에 의해 함께 커플링된다. 로딩 구조물(3b 및 3c)은 카트(4)를 통하는 핸들링 장치(5)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7a, 7b)을 각각 포함한다.
차량(3)이 이동될 때, 곡선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피봇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로딩 구조물(3b 및 3c) 사이에 공간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구동 위치에서, 로딩 구조물(3b 및 3c)은 분리되고 결과적으로 그의 전방 가이드 레일(7a) 및 후방 가이드 레일(7b)은 서로 바로 근처에 있지 않는다.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7a, 7b)을 따른 핸들링 장치(5)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레일(7a, 7b)은 서로 바로 근처에 놓여야만 한다.
예컨대, 제1 해결책은 접철식 토우 바(12)를 포함하는 통합 요소의 사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3)이 로딩되거나 언로딩되는 것이 필요할 때, 접철식 토우 바(12)는 수축되어서 로딩 구조물의 가이드 레일(7a, 7b)이 서로의 바로 근처에 있거나 또는 접촉할 때까지 로딩 구조물(3b 및 3c)은 통합된다. 차량(3)이 이동되는 것이 필요할 때, 접철식 토우 바(12)는 다시 구동 위치로 전개된다.
예컨대, 제2 해결책은 접철식 가이드 레일(7a 및/또는 7b)을 포함하는 통합 요소의 사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3)이 반드시 로딩되거나 언로딩되어야 할 때, 가이드 레일(7a 및 7b) 중 적어도 하나는 접철되고 이것이 서로 바로 근처에 있거나 접촉할 때까지 다른 가이드 레일(7b 및 7a)과 상호적으로 통합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차량(3)이 이동되는 것이 필요할 때, 접철식 가이드 레일(7a 및/또는 7b)은 구동 위치로 다시 수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3)은 로딩 구조물(3b 및 3c) 사이의 정렬을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검출 수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예시된, 이러한 검출 수단은 예컨대 상대 정렬을 판정하는 위치 검출기(12a)를 포함한다. 차량(3)에는 그 목적을 위해 트랙(12b), 이를테면 예컨대 로딩 구조물(3b)의 베이스(9)에 그의 자체(bodywork)가 관절 결합되는 금속 링이 제공된다. 상기 트랙(12b)은 상기 토우 바(12)에 부착되는 조(jaw; 12c)에 의해 잡히면서, 토우 바(12)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위치 검출기(12a)는 조(12c)에 배치되고, 트랙(12b)은 트랙(12b)의 내주면(12e)으로부터 돌출하는 탭(12d)을 갖는다. 탭(12d)의 치수 및 위치는 조의 부재시에, 즉 로딩 구조물(3b 및 3c)이 정렬될 때, 상기 탭(12d)이 위치 검출기(12a)를 마주한다. 상기 위치 검출기는, 예컨대 조명식 또는 가청 표시기에 의해 작업자에게 상기 정렬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작업자는 그 후 그가 로딩 구조물(3b 및 3c)을 상호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를 안다.
실제로, 상기 통합 동안, 로딩 구조물(3b 및 3c)이 실질적으로 정렬되어서, 그의 전방 가이드 레일(7a) 및 후방 가이드 레일(7b)이 동일한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서로 바로 근처에 그리고 로딩 구조물(3b 및 3c)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검출 수단은 있을 수 있는 결함적인 기울어진 정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2개의 구조물(3b 및 3c)의 통합을 방지한다. 작업자는 그 후, 로딩 구조물(3b 및 3c)의 통합 이전에, 관절형 유닛의 기울어짐을 교정하기 위해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구조물(3b 및 3c) 사이의 기울어짐의 각도가 요구되는 범위 내일 때, 관절형 유닛의 정렬은 용인 가능하고, 이는 시각적 또는 가청 신호에 의해 표시된다. 2개의 구조물(3b 및 3c)의 통합은 그 후 달성될 수 있다.
임의의 기울어짐의 교정 이후에, 상황에 따라서, 특히 도로의 굴곡의 경우에, 롤 및/또는 피치를 교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3)은 로딩 구조물(3b 및 3c)을 위한 교정 시스템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 6b 및 6c에 예시된, 상기 교정 시스템은 예컨대 가이드 레일(7a, 7b) 및 슈(shoe; 14)를 위한 중심맞춤 요소를 포함한다. 도 6a, 6b 및 6c는 통합 페이스 동안 2개의 로딩 구조물(3b 및 3c) 사이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다.
베이스(9)의 길이방향 빔의 전방 원위부에 위치되는 수형 맞물림 부분(16b)을 포함하는 슈(14)는 유리하게는 다른 베이스(9)의 길이방향 빔의 후방 원위부에 제공되는 상보적인 형상(16)의 암형 맞물림 부분(16a) 내의 가이딩 및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진 부분(17b)을 갖는다.
암형 맞물림 부분(16a)은 유리하게는 경사진 면(17)을 갖고, 로딩 구조물(3b 및 3c)의 통합이 완료될 때 대응하는 슈(14)의 수형 맞물림 부분(16b)이 이에 맞닿아서 접하게 된다.
중심맞춤 요소는 예컨대 가이드 레일(7b)의 연장부 내의 맞물림 콘(13) 그리고 상기 맞물림 콘(13)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13a)를 포함한다. 중심맞춤 요소는 따라서 가이드 레일(7a, 7b)의 2개의 원위부를 적절하게 정렬하고 로딩 및 언로딩 페이스 동안 전체로서 로딩 구조물에 강성을 부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으로, 상보적인 형상(16) 내의 슈(14)의 맞물림과 리세스(13a) 내의 콘(13)의 맞물림은, 구조물(3b 및 3c)의 서스펜션에 의해 흡수되는 응력 덕분에, 그의 통합 동안 서로 접촉하게 되는 2개의 구조물(3b 및 3c) 사이의 롤, 피치 및 기울어짐에 대한 정렬의 미세한 결함을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개방 위치에서 도어(10)의 가이드 레일 섹션(11)의 연장부에 위치되는, 가이드 레일(7a, 7b)은 상기 가이드 레일 섹션(11)과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이는 핸들링 장치(5)를 지지하는 카트(4)가 도 1 또는 도 3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구성으로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하나의 가이드 레일로부터 다른 가이드 레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자동차가 완전히 로딩된 2개의 로딩 구조물(3b 및 3c)을 포함하는 차량(3)을 예시한다. 차량은 구동 위치로, 즉 로딩 구조물(3b 및 3c)이 서로 분리되어 표현된다.
따라서 운송되는 자동차의 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로딩 구조물(3c)의 후방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는 마지막 자동차는 로딩을 위해 지면에 도달하는 연장 가능한 플랫폼 상으로 로딩되고, 그 후 구동 위치로 상승된다. 로딩 구조물(3c)의 후방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는 자동차는, 이에 대하여 말하면, 개방 위치에서 도어(10)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운반대(1) 상으로 로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또한, 결정된 로딩 위치 중 각각의 하나에 도달하기 위해, 길이방향 가이드 레일(7) 상의 이동으로 안내되는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5)를 활용하여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적재 화물 차량(3)의 로딩/언로딩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로딩/언로딩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탑재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제어기(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딩/언로딩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이하의 단계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제1 단계 a) 동안, 적재물(2)에 관한 주된 데이터(data)가 PLC로 입력 또는 임포팅된다(imported). 상기 주된 데이터는 예컨대 각각의 적재물(2)의 치수, 중량 및/또는 바람직한 배향에 관한 것이다.
단계 b) 동안, PLC에 의해, 각각의 적재물(2)에 대한 로딩의 최적의 위치가 주된 데이터 그리고 적재물 로딩/언로딩, 운송 및 분산의 제한에 관한 보조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판정된다. 상기 보조 데이터는 예컨대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다.
단계 c) 동안,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5)의 자동화된 이동이 PLC에 의해 판정된다.
단계 d) 동안, 운반대(1)는 로딩 공간의 저장 위치에서 핸들링 장치(5)에 의해 자동으로 파지되고 상기 운반대(1)는 차량(3)의 후방에 위치되는 로딩 위치에 위치된다. 운반대(1)는 예컨대 지면에서 편평하게 설정된다.
단계 e)에서, 적재물(2)은 그 후 운반대(1)에 놓인다.
단계 f) 동안, 적재물(2)을 지지하는 운반대(1)는 그의 최적의 로딩 위치로 핸들링 장치(5)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고, 차량(3)의 지지 구조물 상으로 로딩되는 상기 운반대(1)는 자동으로 잠금된다.
언로딩 목적을 위해, 로딩에 관한 모든 기록된 데이터는, 단계 g)에 따라, 로딩 공간에 배치된 로딩된 운반대(1)를 언로딩하는 순서를 판정하는데 사용된다.
그 후, 단계 h)에 따르면, 로딩된 운반대(1)는 핸들링 장치(5)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해제되고 차량의 후방의 외부 언로딩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단계 i)에 따르면, 적재물(2)은 운반대(1)로부터 릴리즈된다(released).
최종적으로, 단계 j)에 따르면, 빈 운반대(1)는 핸들링 장치(5)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되고 로딩 공간의 저장 위치에 놓여진다.
로딩 위치 및 언로딩 위치는 일반적으로 지면에 직접적으로, 또는 로딩 플랫폼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차량(3)에 완전히 로딩, 각각 언로딩하는 방식으로 로딩 작업 d) 내지 f) 및 언로딩 작업 g) 내지 j)를 반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유리하게는 단계 d)에 앞서 힌지식 도어를 10 내지 90도로 개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0)는 적재물(2)이 상기 수동 또는 보조된 폐쇄를 차단하지 않는 경우 로딩의 완료시에 다시 폐쇄된다.
서로 커플링되는 2개의 로딩 구조물(3b 및 3c)을 포함하는 차량(3)의 경우, 방법은 유리하게는 단계 d)에 앞서 가이드 레일(7a, 7b)을 서로 바로 근처로 통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d)에 앞서, 로딩 구조물(3b 및 3c)은 접철식 토우 바(12)를 수축시킴으로써 통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로딩/언로딩 작업의 완료시에, 지지 구조물의 규정된 운송 위치로 핸들링 장치(5)를 수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이한 도면에서, 적재물(2)은 예로서 자동차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본 발명은 임의의 종류의 적재물의 로딩/언로딩에 완벽하게 적합한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하다.
유사하게, 도면에 나타낸 차량은 단지 예로서 주어지고 본 발명은 차량(3)에 의해 지지되는 길이방향 가이드 레일(7)을 따라 이동되는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5)에 의해, 로딩 공간으로 적재물을 로딩/언로딩하기 위한 임의의 종류의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명시적으로 설명된 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다른 실시예 및/또는 실행을 포함하는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하나의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등가의 기술적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고 하나의 설명된 작업 단계는 등가의 단계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Claims (12)

  1.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적재 화물 차량(3)으로서, 운반대(1) 상에 운반되는 적재물(2)은 상기 차량(3)의 길이방향 구조물을 따라 이동하는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5)에 의해 로딩 공간 내로 이동되고, 배향되고, 쌓이며,
    - 상기 길이방향 구조물은 로딩 공간을 따라 차량(3)에 의해 지지되는 길이방향 가이드 레일(7)을 포함하고,
    - 2개의 힌지식 도어(10)가 차량(3)의 후방의 로딩 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제공되고,
    - 각각의 힌지식 도어(10)는 가이드 레일(7)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길이방향 가이드 레일 섹션(11)을 포함하고,
    - 상기 힌지식 도어(10)가 90도로 개방될 때, 각각의 가이드 레일 섹션(11)은 가이드 레일(7) 중 하나를 연장시키고, 이는 상기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5)가 가이드 레일(7) 및 가이드 레일 섹션(11) 양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7)은 차량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섹션(11)은 힌지식 도어(10)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식 도어(10)가 90도로 개방될 때, 각각의 가이드 레일(7)은 바로 근처에 그리고 연관된 가이드 레일 섹션(11)과 동일한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식 도어(10)는 로딩 공간의 내부 면에 위치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함께 커플링되는 2개의 로딩 구조물(3b, 3c)을 포함하고, 로딩 구조물의 각각은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5)의 이동을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7a, 7b)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로딩 구조물(3b, 3c)의 각각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7a, 7b)의 통합(convergence) 요소를 더 포함하여서, 하나의 로딩 구조물(3c)의 각각의 쌍의 가이드 레일(7b)은 다른 로딩 구조물(3b)의 쌍의 가이드 레일(7a)의 바로 근처로 가게 되거나 그 역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요소는 접철식 토우 바(telescopic towbar; 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요소는 접철식 가이드 레일(7a 또는 7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요소는 하나의 로딩 구조물(3b 또는 3c)을 다른 로딩 구조물(3c 또는 3b)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트랙터 및 로딩 구조물(3a)을 지지하는 세미 트레일러(semi-trai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하나의 로딩 구조물(3a)을 지지하는 트랙터 및 다른 로딩 구조물(3b)을 지지하는 커플링된 트레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2개의 로딩 구조물(3b, 3c)의 통합 동안 전방 가이드 레일(7a)과 후방 가이드 레일(7b) 사이의 미세한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해 중심맞춤 시스템(centering system)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맞춤 시스템은, 각각의 가이드 레일(7b, 7a)의 각각의 단부에 제공되는, 한 쌍의 맞물림 콘(13) 및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1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로딩 구조물(3b, 3c)의 상호 통합 동안 로딩 구조물(3b, 3c)의 베이스(9) 사이의 미세한 롤, 피치 및 기울어짐(yaw)을 보상할 수 있는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보상 시스템은 베이스(9) 상의 상보적인 형상의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분은 전방 로딩 구조물(3b)의 베이스(9)의 후방에 제공되는 리세스된 암형 맞물림 부분(16a), 및 후방 로딩 구조물(3c)의 베이스(9)의 전방에 제공되는 돌출 수형 맞물림 부분(1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맞물림 부분(16a, 16b)은 암형 맞물림 부분(16a) 내에 수형 맞물림 부분(16b)의 수용을 위한 경사 및 멈춤부(ramp and stop)로서 역할을 하는 경사진 부분(17a, 17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77008087A 2014-09-11 2015-09-03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를 위한 연장된 길이방향 구조물을 갖춘 운송 차량 KR20170053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8523 2014-09-11
FR1458523A FR3025762B1 (fr) 2014-09-11 2014-09-11 Vehicule de transport a structure longitudinale rallongee pour un manipulateur motorise
PCT/FR2015/052336 WO2016038283A1 (fr) 2014-09-11 2015-09-03 Vehicule de transport a structure longitudinale rallongee pour un manipulateur motor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641A true KR20170053641A (ko) 2017-05-16

Family

ID=5172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087A KR20170053641A (ko) 2014-09-11 2015-09-03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를 위한 연장된 길이방향 구조물을 갖춘 운송 차량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9908451B2 (ko)
EP (1) EP3191342B1 (ko)
JP (1) JP6599443B2 (ko)
KR (1) KR20170053641A (ko)
CN (1) CN107074143B (ko)
AU (1) AU2015314093B2 (ko)
CA (1) CA2960365A1 (ko)
DK (1) DK3191342T3 (ko)
ES (1) ES2699094T3 (ko)
FR (1) FR3025762B1 (ko)
HR (1) HRP20181886T1 (ko)
HU (1) HUE039885T2 (ko)
LT (1) LT3191342T (ko)
MX (1) MX2017003300A (ko)
PL (1) PL3191342T3 (ko)
PT (1) PT3191342T (ko)
RS (1) RS57985B1 (ko)
RU (1) RU2688084C2 (ko)
SI (1) SI3191342T1 (ko)
TR (1) TR201818553T4 (ko)
WO (1) WO2016038283A1 (ko)
ZA (1) ZA2017013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1604B1 (fr) * 2014-05-27 2017-11-03 Lohr Electromecanique Ensemble de verrouillage pour le verrouillage et le deverrouillage d'une palette sur une structure support
RU2737759C2 (ru) * 2018-10-03 2020-12-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Грузовой кузов
US20200247624A1 (en) * 2019-02-05 2020-08-06 Duane Adels Trailer conveyor system and method
RU2752043C2 (ru) * 2020-11-30 2021-07-22 Исенбаев Александр Кузьмич Мобильный полноповоротный комплекс
CN116373712B (zh) * 2022-12-29 2024-05-24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重型载运车及用于重型载运车的装卸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2715A (en) * 1967-06-22 1969-12-09 Wayne Eng Corp Power line arrangement for a crane truck
US4383711A (en) * 1981-01-21 1983-05-17 Dunbar Glenn G Trailer support frame apparatus
US4597712A (en) 1983-08-01 1986-07-01 Dallas Smith Engineering Corporation Trailer apparatus for transporting vehicles and other cargo
WO1992013736A1 (en) * 1991-02-08 1992-08-20 Dunbar Glenn G Freight loading device
CA2116515C (en) * 1993-03-05 1999-03-30 Walter P. Demonte Palletizer trailer and storage container
DE10018325A1 (de) * 2000-04-13 2001-10-18 Robert Niehaus Ladevorrichtung für ein Transportfahrzeug
US20030082037A1 (en) * 2001-10-27 2003-05-01 Khodkov Sergey Vladimirovich Combination roll-off bed and grapple arm for mounting to a chassis of a truck
EP1745981A1 (en) 2005-07-20 2007-01-24 Permar Oy A transport unit, a transport system and a method
JP4832231B2 (ja) * 2006-09-19 2011-12-07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伸縮可能なコンテナシャシ
GB2502901B (en) * 2009-02-23 2014-01-29 Orca Group Ltd Logistics panel and containers
CN201520242U (zh) * 2009-10-16 2010-07-07 内蒙古第一机械制造(集团)有限公司 带有移动平台的运输车
CN201729104U (zh) * 2010-06-28 2011-02-02 广东粤海汽车有限公司 一种清障车双层承载式平板机构
CN201951571U (zh) * 2011-01-30 2011-08-31 李民 遥控龙门液压吊半挂车
US20150078869A1 (en) * 2013-09-13 2015-03-19 Edwin PLEWES Mobile service trailer with crane
FR3012090B1 (fr) * 2013-10-17 2017-05-05 Lohr Electromecanique Procede de chargement et de dechargement d'un espace localise sur un vehicule
FR3021604B1 (fr) * 2014-05-27 2017-11-03 Lohr Electromecanique Ensemble de verrouillage pour le verrouillage et le deverrouillage d'une palette sur une structur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32241A (ja) 2017-11-02
RU2017111246A3 (ko) 2019-03-14
RS57985B1 (sr) 2019-01-31
RU2017111246A (ru) 2018-10-11
DK3191342T3 (en) 2018-12-03
AU2015314093B2 (en) 2018-10-04
TR201818553T4 (tr) 2019-02-21
HUE039885T2 (hu) 2019-02-28
US20170253165A1 (en) 2017-09-07
CA2960365A1 (fr) 2016-03-17
CN107074143A (zh) 2017-08-18
RU2688084C2 (ru) 2019-05-17
EP3191342B1 (fr) 2018-11-07
PL3191342T3 (pl) 2019-02-28
ZA201701376B (en) 2019-06-26
EP3191342A1 (fr) 2017-07-19
PT3191342T (pt) 2018-11-22
FR3025762B1 (fr) 2016-09-09
FR3025762A1 (fr) 2016-03-18
WO2016038283A1 (fr) 2016-03-17
ES2699094T3 (es) 2019-02-07
CN107074143B (zh) 2018-12-21
HRP20181886T1 (hr) 2019-01-11
LT3191342T (lt) 2019-01-10
US9908451B2 (en) 2018-03-06
MX2017003300A (es) 2017-06-23
JP6599443B2 (ja) 2019-10-30
SI3191342T1 (sl) 2018-12-31
AU2015314093A1 (en)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3641A (ko) 모터 구동식 핸들링 장치를 위한 연장된 길이방향 구조물을 갖춘 운송 차량
RU2676181C2 (ru)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грузов, способ разгрузки груз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рузки/разгрузки грузов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или в контейнере
CN100376428C (zh) 用于相对于运输车辆装卸存储容器的装置以及相关的系统和方法
JP6554489B2 (ja) パレットを把持、移動および配置するためのグリッパ
KR20170039698A (ko) 차-수송 차량을 위한 개별적이고 보편적인 제거 가능한 화물-지지 팔레트
US10183606B2 (en) Roll-off transport device, particularly a roll-off tipper, and transport unit having a swap body vehicle and a roll-off transport device
US11660996B2 (en) Bridge apparatus and system for vehicle transport
WO2020174265A1 (en) A container handling device for a wheeled means of transport and wheeled means of transport provided with such handling device
FI96404C (fi) Järjestelmä kuormalavan käsittelemiseksi sekä järjestelmässä käytettävä liitosväline
US10759323B1 (en) Dovetail actuating mechanism
CA2662989C (en) Rollover wash unit and method for mounting a rollover wash unit
JP5674045B2 (ja) セミトレーラの車体構造
RU2760775C1 (ru) Заниженная двунаправленная тележка
EP3626675A1 (en) Lifting truck provided with extended wheel arms, and method for loading and / or unloading a cargo space
EP1486390A2 (en) Automated conveyor line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S6033686B2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荷役装置
JPH04138041U (ja) コンテナ移送装置におけるコンテナ積卸し案内装置
JPS63305047A (ja) パレット搭載用車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