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144A - 태양광 발전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144A
KR20170045144A KR1020167002809A KR20167002809A KR20170045144A KR 20170045144 A KR20170045144 A KR 20170045144A KR 1020167002809 A KR1020167002809 A KR 1020167002809A KR 20167002809 A KR20167002809 A KR 20167002809A KR 20170045144 A KR20170045144 A KR 20170045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ower generation
modifying material
surface modifying
transpa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요시다
야스카즈 기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모레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모레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모레스코
Publication of KR2017004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2441Electrod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ack-contact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6Particular post-treatment for the devices, e.g. annealing, impurity gettering, short-circuit elimination, recrystal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태양광 발전 모듈은, 장기간의 옥외 사용에서도 성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해결 수단] 구조 부재로서 적어도 외주 프레임, 투명 기판, 봉지재(封止材) 및 백시트와, 기능 부재로서 적어도 이하의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A) 셀 및 인터커넥터,
(B) 투명 전극, 발전층, 및 이면(裏面) 전극,
발수(撥水)성의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으로 적어도 상기 어느 하나의 부재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덮혀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로 하였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모듈{PHOTOVOLTAICS MODULE}
본 발명은, 옥외 등에 설치할 때 현저한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PID 현상을 억제하고, 안정적으로 고출력을 얻는 것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서 자연 에너지의 이용이 주목되고 있다. 그 선택지의 하나인 태양 전지에는, 고변환 효율, 고내후성(耐候性), 저비용이 요구되고 있고, 특히 발전(發電) 기능의 중핵인 태양 전지 모듈(또는 태양광 발전 모듈)에는, 높은 변환 효율을 유지하면서 장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산업 용도 등에 있어서, 다수의 모듈을 직렬 접속하여 운전하는 등, 태양광 발전 모듈을 고전압으로 운전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전압으로 운전하면, 가동 프레임과 모듈 사이에 높은 전위차가 생기고,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라는 발전 능력이 현저하게 감쇠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얻어진 전기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향후에도 태양 전지의 운전 전압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보다 높은 전압으로 운전해도 PID를 일으키지 않는 태양광 발전 모듈의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PID의 생성 원인으로서, 예를 들면 "아사히 가라스(旭硝子) 가부시키가이샤, PV JAPAN 2013 부재 관련 전문 세미나 자료, 2013년"(비특허 문헌 1)에서는, 발전 모듈 내로의 물의 침입이나 투명 기판 부재로서 사용되는 커버유리 내의 나트륨 이온의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이 PID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 제2014-11270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절연성이 높은 셀 봉지재(封止材)의 사용이나, 일본공개특허 제2011-254116호 공보(특허 문헌 2)나 일본공개특허 제2013-254993호 공보(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유리 내의 나트륨 이온의 셀로의 이동 억제 등, 각종 대책이 제안되어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않았다.
또한, "P. Peng 외, RSC Advances, 2권, 113599-11365페이지, 2012년"(비특허 문헌 2) 등에서는, 스네일 트레일(Snail Trail)(스네일 트랙(Snail Track)이라고도 표기됨)로 불리우는 문제점도 보고되고 있다. 스네일 트레일이란, 주로 발전 셀과 봉지재의 계면에 발생하고, "달팽이가 기어 간 듯한 흔적"이 생기는 현상이다. 스네일 트레일은, 셀의 실리콘 웨이퍼에 미소한 크랙이 생김으로써 형성되고, 물, 산소, 이산화탄소가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또, "S. Richter 외, Proceedings of 27 th European Photovoltaic Solar Energy Conference and Exhibition, 2012"(비특허 문헌 3)에서는, 스네일 트레일이 생긴 부분은 흑색이나 회색으로 변색하고 있고, 이들 변색역에는, 나노 입자화한 Ag 등의 전극 성분 외에 유황, 인 또는 염소가 관측되고 있다. 또한, 스네일 트레일과 이에 부수되어 일어나는 문제점으로는, 전극이나 납땜의 부식, 박리 등의 열화에 의한 것도 한 요인으로서 들고 있다. 이들 문제점은, 모듈 내로의 수분의 침입이나, EVA 등의 봉지재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긴 아세트산이 원인이라고 고려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문제점도 PID와 마찬가지로 태양 전지의 신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지만, 근본적인 해결이 곤란하여, 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공개특허 제2014-11270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공개특허 제2011-254116호 공보 [특허 문헌 3]일본공개특허 제2013-254993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V JAPAN 2013 부재 관련 전문 세미나 자료(2013년) [비특허 문헌 2] P. Peng 외, RSC Advances, 2권, 113599-11365페이지, 2012년 [비특허 문헌 3] S. Richter 외, Proceedings of 27 th European Photovoltaic Solar Energy Conference and Exhibition, 2012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간편하면서 저가의 방법으로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성능 열화의 주 원인이 되는 PID나 스네일 트레일과, 이에 수반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 모듈 내의 각 부재를 분자 레벨에서 검증하고, 비용 저감의 중요성도 의식하면서, 구체적인 검토를 거듭하고, 각종 조건을 검토했다. 그 결과, 태양광 발전 모듈 내외의 각 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물성을 부여하면 PID 현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구조 부재로서 적어도 외주 프레임, 투명 기판, 봉지재 및 백시트와, 기능 부재로서 적어도 이하의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A) 셀 및 인터커넥터,
(B) 투명 전극, 발전층, 및 이면(裏面) 전극,
발수(撥水)성의 표면 개질(改質) 물질의 피막으로 적어도 상기 어느 하나의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가 덮여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
(2)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의 시트 저항이, 습도가 85%RH의 조건 하에서 100Ω/sq 이상인 상기 (1)의 태양광 발전 모듈.
(3) 상기 피막의 물의 접촉각이 50도보다 큰 상기 (1) 또는 (2)의 태양광 발전 모듈.
(4)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면의 물의 전락각(轉落角)이 0.5도 이상 60도 이하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 모듈.
(5)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의 굴절률이 투명 기판 부재 및 셀 부재의 굴절률과 동일하거나 작은 상기 (1)∼(4) 중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 모듈.
(6)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의 광선 투과율이 투명 기판 부재 및 셀 부재와 동일하거나 큰 상기 (1)∼(5) 중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 모듈.
(7)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이, 용제 희석형, 열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 중 어느 하나의 수지인 상기 (1)∼(6) 중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 모듈.
(8)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외주 프레임 부재, 투명 기판 부재 및 백시트 부재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7) 중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 모듈.
(9)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부재가 공기와 접촉되고 있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8) 중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 모듈.
(10)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셀 부재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7) 중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 모듈.
(11)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기판의 내측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8) 중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 모듈.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이면서 간편하게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태양광 발전 모듈의 출력 저하의 주 원인이 되는 PID나 스네일 트레일, 또는 이들에 수반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 모듈의 신뢰성, 수명이 향상되어, 장기간 안정된 출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양산 공정에 있어서의 제조에서 극히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모듈의 일 태양(態樣)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모듈의 다른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발명 샘플 1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방치한 발명 샘플 1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1에 있어서,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방치한 비교 샘플 1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있어서,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방치한 발명 샘플 2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 있어서,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방치하고 발명 샘플 3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4에 있어서,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방치한 발명 샘플 4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모듈은, 구조 부재로서 적어도 외주 프레임, 투명 기판, 봉지재 및 백시트와, 기능 부재로서 적어도 이하의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A) 셀 및 인터커넥터,
(B) 투명 전극, 발전층, 및 이면 전극,
또한, 발수성의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으로 적어도 상기 어느 하나의 부재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덮여 있다. 이와 같이, 발수성의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으로 구조 부재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에 의해, 수분의 진입을 방지하여 PID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대표적인 태양광 발전 모듈 구조의 단면도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예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A) 결정계의 태양광 발전 모듈의 단면도이며,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상기 특허 문헌 2를 참조하고자 한다. 이 예의 태양광 발전 모듈은, 기본 구성으로서 적어도 외주 프레임(11)과, 투명 기판(12)과, 봉지재(13)와, 셀(14)과, 인터커넥터(15)와, 백시트(16)를 가진다.
도 2는, (B) 아모퍼스 실리콘계 또는 화합물계의 태양광 발전 모듈의 단면도이며,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13-165232호 공보 또는 일본공개특허 평05-175529호 공보를 참조하고자 한다. 이 예의 태양광 발전 모듈은, 기본 구성으로서 적어도 외주 프레임(101)과, 투명 기판(102)과, 봉지재(103)와, 발전층(104)과, 투명 전극(105)과, 이면 전극(106)과, 백시트(107)를 가진다.
도 1에 예시되는 태양광 발전 모듈의 경우, 태양광이나 발전에 필요한 광은, 모듈의 투명 기판(12)을 투과하여 셀(14)에 도달하고, 셀(14)에서 광전 변환되어, 생성된 전력이 인터커넥터(15)를 통하여 꺼내진다. 또한, 도 2에 예시되는 태양광 발전 모듈의 경우, 태양광이나 발전에 필요한 광은, 모듈의 투명 전극을 통과하여 발전층(104)에 도달하고, 발전층(104)에서 광전 변환되어, 생성된 전력이 투명 기판(102)과 이면 전극(106)을 통하여 꺼내진다.
여기서, 도 1, 도 2에서의 구성 요소 중, 외주 프레임, 투명 기판, 봉지재 및 백시트는 구조 부재이며, 모든 종류의 태양광 발전 모듈에도 공통되고 있다. 한편, 발전 기능에 직접 관여하는 기능성 부재는, (A) 결정계의 태양광 발전 모듈에서는 셀 및 인터커넥터이며, (B) 아모퍼스 실리콘계 또는 화합물계의 태양광 발전 모듈에서는 투명 전극, 발전층, 및 이면 전극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각 구성 부재는 필수적인 기본 구성이며, 필요에 따라 추가로 부가적 구성 요소가 가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구성 요소 중 어느 것에 있어서, 그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발수성의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으로 덮여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기능성 부재는 중요하며, 이들 중 어느 것, 특히 셀 또는 투명 전극, 발전층, 및 이면 전극의 적층체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이 덮여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셀에 피막을 형성할 때에는 인터커넥터까지 형성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이들의 일부의 영역에 형성할 때에는, 셀의 편면의 전체면, 또는 이면 전극측의 전체면에 형성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성 부재에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비용면 등의 이유에 의해, 기능성 부재에 피막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구조 부재의 어느 표면에 형성해도 어느 정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주 프레임, 투명 기판, 봉지재 및 백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투명 기판의 내면, 즉 봉지(封止) 공간측에 피막을 형성하면 투명 기판에 존재하는 나트륨 이온 등에 의한 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것도 효과적이다. 또한, 적어도 셀과의 접촉면에는 피막이 존재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외주 프레임에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표면에 알루마이트(alumite)(산화알루미늄) 처리를 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부재의 결합 내지 접합부에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을 형성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특히 효과적인 것은, 적어도 이들 부재가 공기(외기)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만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물론, 피막 형성 부위가 많고, 피막 형성면적의 점유율이 클수록 효과가 높아, 이들 전부에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낸 경우, 각 구성 요소의 표면의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으로 덮이게 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구성 부재의 표면을 일부라도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으로 덮음으로써 일정한 효과가 얻어진다는 것이다.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0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60㎚ 이하이다. 피막이 지나치게 얇으면 효과를 얻기 어려워지고, 일정 이상의 두께로 해도 효과에 변화가 생기지 않게 되므로, 재료가 쓸모없게 된다.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구멍(홀)이나 크랙 등이 적으면 적을수록 이온이나 분자 등의 초미세한 물질 이동을 방해할 수 있어, PID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모듈 내에서의 나트륨 등의 이온의 이동 현상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막은 발수성이므로, 빗물이나 공기 중의 수분이 침입하기 어려운 태양광 발전 모듈을 얻을 수 있다.
[시트 저항]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각 부재에 형성했을 때, 습도가 85%RH의 조건 하에서, 시트 저항이 100Ω/sq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Ω/sq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Ω/sq 이상이면 된다. 시트 저항이 상기 값 이상이면 PID에 의한 발전 모듈의 성능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습도 조건 하에서 유효한 부재의 시트 저항은, 100Ω/sq 이상이지만, 그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15Ω/sq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Ω/sq 이하이다.
그리고, 도장막(塗裝膜)이나 박막 등의 저항을 평가할 때는, 표면 저항률(단위: Ω/□ 또는 Ω/sq)이 통상 이용된다. 이 저항값은, 시트 저항 또는 표면 저항이라 불리고, 단위 정사각형(1cm2)의 영역을 전류가 한쪽으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를 때의 저항값이며, 발수성이 높은 피막은 시트 저항값이 커진다. 본 발명에서의 부재 표면의 전기 저항을 측정할 때의 온도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40℃∼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8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물의 접촉각]
본 발명에서의 피막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클수록 발수성이 향상되고, 태양광 발전 모듈로의 물의 침입을 저해할 수 있어, 옥외에서 장기간 초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듈에 부착된 오염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접촉각은 접촉각계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피막의 물의 접촉각의 바람직한 범위는, 측정 온도가 20℃∼50℃ 및 측정 습도가 20%RH ∼50%RH의 조건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50도보다 크고 180도 미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도보다 크고 150도 미만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도보다 크고 140도 미만이다.
[물의 전락각]
본 발명에서의 피막의 물에 대한 전락각은 작을수록 발수성이 향상되어 태양광 발전 모듈로의 물의 침입을 저해할 수 있고, 옥외에서 장기간 초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전락각은 전락각계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양광 발전 모듈의 각 부재의 피막면을 수평으로 유지해 물방울을 부착시켜 놓고, 이 피막면을 조금씩 기울여 물방울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각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한 전락각은, 0.55도 이상 60도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55도 이상 50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도 이상 45도 이하이다.
[굴절률]
본 발명에서의 광 발전 모듈에 행해지는 피막 자체의 굴절률이 구조 부재인 투명 기판 부재 또는 기능성 부재인 셀 부재의 굴절률과 같은 경우, 피막을 행했을 때의 발전 효율은 피막을 행하기 전과 같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막의 굴절률이 투명 기판 부재 또는 셀 부재의 굴절률보다 작은 경우, 반사 방지 효과에 의해 발전 성능이 바람직하게는 0.5∼3% 정도 향상된다.
[광 투과율]
본 발명에서의 광 발전 모듈에 행해지는 피막 자체의 광선 투과율이 투명 기판 부재 또는 셀 부재의 광선 투과율과 같은 경우, 상기 피막을 행했을 때의 발전 효율은 피막을 행하기 전과 같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막의 광선 투과율이 투명 기판 부재 또는 셀 부재의 광선 투과율보다 큰 경우, 발전 성능이 0.5%∼3% 정도 향상된다. 그리고, 투명 기판 부재에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공질 반사 방지재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피막은, 이들 다공질 반사 방지재 상에 추가로 발수성의 피막을 형성하므로, 이와 같은 반사 방지재에 의해 유발되는 PID도 방지할 수 있다.
[표면 개질 물질]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상기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유기, 무기 재료를 불문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피막의 형성의 용이함, 비용면 등을 고려하면,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다. 수지 재료로서는 용제 희석형, 열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 중 어느 하나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용제 희석형 수지란, 도막을 형성할 때의 피막의 전구체가 피막 형성 후에도 화학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수지를 의미하고, 열경화형 수지란 피막의 전구체가 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를 의미하고, 자외선(또는 광을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란 피막의 전구체가 자외선(또는 광을 포함하는 방사선)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를 의미한다. 이들의 수지를 이하에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제 희석형 수지: 미리 피막을 형성하는 주체인 고형분을 용해하여 놓고, 태양광 발전 모듈의 각 부재에 도포하여 용제를 증발시킴으로써 피막을 형성시켜 원하는 피막 형성 모듈을 얻을 수 있다. 용제 희석형으로 사용되는 고형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VA(폴리비닐알코올), PVB(폴리비닐부티랄), PEI(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PCV(폴리염화비닐), PI(폴리이미드), PA(폴리아미드), PU(폴리우레탄),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S(폴리스티렌), PAN(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티랄 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 ETFE(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코폴리머), PVF(폴리불화비닐) 등의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불소계 수지는 발수성이 우수하고, 상기에서 나타낸 특성도 우수하다. 한편, 다른 수지를 사용한 경우라도 어느 정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 조건 등에 의해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에 열경화성 또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부여한 수지 조성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 미리 피막을 형성하는 주체인 고형분을 용해하여 놓고, 태양광 발전 모듈의 각 부재에 도포하여 용제를 증발시킨 후에, 도포면을 실온 이상에서 가열하고 피막을 형성시켜 원하는 모듈을 얻을 수 있다. 열경화형으로 사용되는 고형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우레탄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나, 불소 수지, 실라잔 수지 및 실리콘 수지 등의 중합체를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또는 광을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 미리 피막을 형성하는 주체인 고형분을 용해하여 놓고, 태양광 발전 모듈의 각 부재에 도포하여 용제를 증발시킨 후에, 도포면에 자외선(또는 광을 포함하는 방사선)을 조사(照射)하여 경화시킨 피막을 형성시켜 원하는 모듈을 얻는다. 이 경우, 효과에 사용되는 방사선 내지 전자파는 자외선이 일반적이지만, 가시광 등의 광을 포함하는 방사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외선(또는 광을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형으로 사용되는 고형분으로서는,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 수지, 불소 수지, 옥세탄 수지 및 폴리비닐에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광(또는 가시광) 경화에서는, 고압 수은등, 정압(定壓) 수은등, 탈륨 램프, 인듐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자외선 LED, 청색 LED, 백색 LED, 해리슨 도시바 라이팅사(HARISON TOSHIBA LIGHTING Corporation)제의 엑시머 램프, 퓨전(FUSION)사제의 H 밸브, H 플러스 밸브, D 밸브, V 밸브, Q 밸브, M 밸브 등의 발광광을 광원으로서 들 수 있는 외에, 태양광의 사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산소 비존재 하에서 경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질소 가스, 탄산 가스, 헬륨 가스 등의 분위기에서 행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에서는, 200∼400㎚의 자외선을 바람직하게는 0.1∼1000 J/cm2의 범위에서 조사하면 된다. 또한, 경화에 활성인 에너지선을 복수회로 분할하여 조사하는 편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1회째에 전체 조사량의 1/20∼1/3 정도를 조사하고, 2회째 이후에 필요 잔량을 조사하면, 복굴절이 보다 작은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조사 시간은 수지량이나 경화의 정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통상 1초∼10분 정도의 사이에서 조정된다.
용제 희석형, 열경화형 또는 자외선(또는 광을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형으로서 사용되는 고형분을 미리 용해시켜 놓는 용제는, 상기 고형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한 용제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CF3 CH2OH, F(CF2)2CH2OH, (CF3)2CHOH, F(CF2)3CH2OH, F(CF2)4C2H5OH, H(CF2)2CH2OH, H(CF2)3 CH2OH, H(CF2)4CH2OH 등의 불소 알코올계 용제, 퍼플루오로벤젠, 메타크실렌헥사플루오라이드 등의 불소 함유 방향족계 용제, CF4(HFC-14), CHClF2(HCFC-22), CHF3 (HFC-23), CH2CF2(HFC-32), CF3CF3(PFC-116), CF2ClCFCl2(CFC-113), C3HClF5(HCFC-225), CH2FCF3(HFC-134a), CH3CF3(HFC-143a), CH3CHF2(HFC-152a), CH3CCl2F(HCFC-141b), CH3CClF2(HCFC-142b), C4F8(PFC-C318) 등의 플루오로카본계 용제 등이 예시된다. 희석율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수지나 용제, 형성하는 피막의 두께, 건조 조건 등에 의해 최적인 희석율로 조정하면 된다. 통상, 피막 형성에는 고형 성분이 조정 후의 용제 중 30∼0.05 질량%가 되도록 조제된다.
또한, 예를 들면, 크실렌, 톨루엔, 솔벳소(Solvesso) 100, 솔벳소 150, 헥산 등의 탄화수소계 용제,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렌글리콜,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제, N, 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아세트아미드, N, N-디메틸포름아미드, N, N-디에틸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제,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폰산 에스테르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3∼100) 등이 예시되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 용해능(溶解能), 도막 외관, 저장 안정성의 면에서 상기 각종 알코올계 용제, 불소계 용제, 케톤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셀로솔브아세테이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에틸, 퍼플루오로벤젠, 메타크실렌헥사플루오라이드, HCFC-225, CFC-113, HFC-134a, HFC-143a, HFC-142b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막을 구조 부재에 형성하는 경우, 외주 프레임의 내측에 부틸고무나 실리콘고무 등을 코킹(caulking)제로서 사용해도, 외주 프레임 부재와 투명 기판 부재 및 백시트 부재 사이에서 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구조 부재간의 간극에도 피막 또는 피막재에 의한 충전 부위를 형성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피막 성분의 용액을 스며들게 하는 방법이 유효하며, 그 때의 피막에 제공되는 고형분은 용제 희석형 또는 열경화형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 물질로서 사용 가능한 시판 제품은, 예를 들면, 테플론(등록상표) AF시리즈(듀퐁(Du Pont)사제), 테드라시리즈(듀퐁사제), 플루온(Fluon) 시리즈(아사히가라스(旭硝子)사제), 사이톱(CYTOP)(아사히가라스사제), 하이플론 시리즈(솔베이솔렉시스(Solvaysolexis)사제), THV 시리즈(스미토모 쓰리엠(住友 3M)사제), 네오프론 시리즈(다이킨고교사(DAIKIN INDUSTRIES, Ltd.)제), 오프토에이스(Optoace)(다이킨고교사제), 카이나(Kynar) 시리즈(아르케마(ARKEMA)사제), 다이니온 시리즈(다이니온(Dyneon)사제), 마벨 코트(marvel coat)(미쯔비시 가스 카가쿠사(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 에프탑 시리즈(미쯔비시 마테리아르 덴시 가세이(Mitsubishi Materials Electronic Chemicals Co.,Ltd.)제), SF 코트(AGC 세이미 케미칼사(AGC Seimi Chemical Co., Ltd.)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제 희석형 또는 열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의 고형분을 도포할 때는, 예를 들면, 천이나 종이 등에 상기한 용액을 스며들게 한 태양 전지 모듈의 각 부재 표면 위를 손으로 닦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기존의 도포법으로부터 바람직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법, 그라비아 코팅법, 리버스(Reverse) 코팅법, 바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롤 코팅법, 다이(die) 코팅법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조건에 따라서는 커튼 코팅(플로우 코팅), 스핀 코팅법, CVD 법, mist-CVD법 등을 이용해도 된다. 이들의 방법 중에서 최적인 것을 선택하여 원하는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임의의 물성의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모듈을 얻을 수 있다.
형성되는 피막의 막 두께로서는, 특별히 규제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도막과 같은 정도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1∼500㎛ 정도면 된다. 또한, 코팅층의 막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물성으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포용의 조성(組成) 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사용되는 특정한 기구(器具)·장치, 용액의 점도, 스피너의 속도나 도포에 허용되는 시간 등에 의해 바람직한 필름 두께가 되도록 조정하면 된다.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상기 구조 부재에 형성해도, 기능성 부재에 형성해도 효과적이다. 피막을 구조 부재인 외주 프레임 부재, 투명 기판 부재 및 백시트 부재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PID나 스네일 트레일 또는 이들에 수반하는 문제점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립 전에, 미리 외주 프레임 부재, 투명 기판 부재 및 백시트 부재의 전체면을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으로 피복하고, 태양광 발전 모듈을 조립함으로써, 상기 발전 모듈로의 빗물이나 외기(外氣)의 침입을 막아 PID나 스네일 트레일 또는 이들에 수반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적어도 외주 프레임 부재, 투명 기판 부재 및 백시트 부재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에 있어서, 부재가 공기와 접촉하고 있는 면만을 덮는 것으로도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피막은 기능성 부재에 형성해도 된다. 기능성 부재에 형성할 때는, 셀에 형성하면 효과적이며, 셀 부재 표면의 일부 또는 앞부분에 형성하면 된다. 또는, 투명 전극, 발전층, 및 이면 전극의 적층체에 형성해도 되지만, 이들은 투명 기판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덮도록 피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발전 모듈의 각 부재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예를 들면, 외주 프레임에는, 가공 용이성이나 경량성(輕量性)의 관점에서 알루미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투명 기판에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PI) 등의 재료가 사용된다. 봉지재(封止材)에는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비닐부티랄(PVB)이나 실리콘 수지 등이 사용되고, 셀이나 인터커넥터, 또는 발전층, 투명 전극 및 이면 전극을 보호한다. 백시트에는 예를 들면, 폴리불화비닐(PVF),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알루미늄, 유리 등이나 이들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봉지재나 내부의 발전 부위를 보호한다. 그리고, 외주 프레임의 내측에는, 부틸고무나 실리콘고무 등을 코킹제로서 사용하여, 발전 모듈 내부를 보호하고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모듈 태양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결정계, 아모퍼스 실리콘계, 또는 CIGS 등의 화합물계, 또한 색상 증감형이나 유기 박막형 등의 유기계 등의 발전 기판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모듈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예시된 기본 구성에 더하여, 예를 들면, 반사 방지층 등, 필요한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 각종 부가적 구성 요소를 가해도 된다.
다음에, 실시예를 제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천에 테플론 AF1601S를 스며들게 하여. 피막의 두께가 0.02∼0.2㎛ 정도가 되도록, 결정계 태양광 발전 모듈(1650㎜ × 990㎜)의 외측의 알루미늄 외주 프레임, 유리 투명 기판, 프레임과 유리 기판 및 백시트와의 틈에 골고루 바르고, 헤어드라이어로 열풍을 보내 건조하였다. 피막을 형성한 발전 모듈(발명 샘플 1)의 유리 투명 기판의 물의 접촉각(25℃, 40%RH)과 전락각(25℃, 40%RH) 및 시트 저항(25℃, 85%RH)을 측정한 바, 각각 104.3도, 14.8도, 5.51 × 104Ω/sq였다. 이 발전 모듈에 -1000V의 전압을 인가하고 발광시킨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의 셀이 모두 발광하고, 이 발광량을 100%(기준치)로 하였다.
상기 발전 모듈을, 항온항습조 등의 온도 습도 관리 장치에 의해 고온 고습 조건(85℃, 85%RH) 하에 노출시키면서 150시간 방치한 후, 상기 장치로부터 꺼내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1000V의 전압을 인가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하고, 이 때의 발광량은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하기 전의 98%의 발광량이었다.
[비교예 1]
상기와 동일한 로트(lot)로 피막을 형성하지 않는 태양광 발전 모듈(비교 샘플 1)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10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100%(기준치)의 발광량을 얻었다. 이 모듈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온 고습(85℃, 85%RH) 조건 하에 노출시키면서 96시간 방치한 후 꺼내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1000V의 전압을 인가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치와 비교하여 발광량 2%로 발광하였다.
[실시예 2]
천에 테플론 AF1601S를 스며들게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로트의 결정계 태양광 발전 모듈(1650㎜ × 990㎜)의 외측의 알루미늄 외주 프레임과 유리 투명 기판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골고루 바르고, 헤어드라이어로 열풍을 보내 건조하였다. 피막을 형성한 발전 모듈(발명 샘플 2)의 유리 투명 기판의 물의 접촉각(25℃, 40%RH)과 전락각(25℃, 40%RH) 및 시트 저항(25℃, 85%RH)을 측정한 바, 각각 104.5도, 14.1도, 4.91 × 104Ω/sq였다. 이 발전 모듈에 -1000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내부의 셀이 모두 발광하고, 이 발광량을 100%(기준치)로 하였다.
상기 발전 모듈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온 고습 조건(85℃, 85%RH) 하에 노출시키면서 130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1000V의 전압을 인가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하고, 발광량은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하기 전의 97%의 발광량이었다.
[실시예 3]
천에 테플론 AF1601S를 스며들게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로트의 결정계 태양광 발전 모듈(1650㎜ × 990㎜)의 외측의 알루미늄 외주 프레임과 유리 투명 기판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골고루 바르고, 헤어드라이어로 열풍을 보내 건조하였다. 피막을 형성한 발전 모듈(발명 샘플 3)의 유리 투명 기판의 물의 접촉각(25℃, 40%RH)과 전락각(25℃, 40%RH) 및 시트 저항(25℃, 85%RH)을 측정한 바, 각각 108.1도, 9.7도, 7.15 × 104Ω/sq였다. 이 발전 모듈에 -1000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내부의 셀이 모두 발광하고, 이 발광량을 100%(기준치)로 하였다.
상기 발전 모듈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온 고습 조건(85℃, 95%RH) 하에 노출시키면서 100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1000V의 전압을 인가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하고, 발광량은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하기 전의 98%의 발광량이었다.
[실시예 4]
천에 마벨 코트 RFH-05X를 스며들게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로트의 결정계 태양광 발전 모듈(1650㎜ × 990㎜)의 외측의 알루미늄 외주 프레임과 유리 투명 기판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골고루 바르고, 헤어드라이어로 열풍을 보내 건조하였다. 피막을 형성한 발전 모듈(발명 샘플 4)의 유리 투명 기판의 물의 접촉각(25℃, 40%RH)과 전락각(25℃, 40%RH) 및 시트 저항(25℃, 85%RH)을 측정한 바, 각각 109.5도, 10.9도, 1.15 × 104Ω/sq 였다. 이 발전 모듈에 -1000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내부의 셀이 모두 발광하고, 이 발광량을 100%(기준치)로 하였다.
상기 발전 모듈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온 고습 조건(85℃, 85%RH) 하에 노출시키면서 120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1000V의 전압을 인가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하고, 발광량은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하기 전의 99%의 발광량이었다.
[실시예 5]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4 질량% 용해시킨 아세트산부틸 용액을 천에 스며들게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로트의 결정계 태양광 발전 모듈(1659㎜ × 990㎜)의 외측의 알루미늄 외주 프레임과 유리 투명 기판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골고루 바르고, 헤어드라이어로 열풍을 보내 건조하였다. 피막을 형성한 발전 모듈(발명 샘플 5)의 유리 투명 기판의 물의 접촉각(25℃, 40%RH)과 전락각(25℃, 40%RH) 및 시트 저항(25℃, 85%RH)을 측정한 바, 각각 67.5도, 49.7도, 1.15 × 102Ω/sq였다. 이 발전 모듈에 -1000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내부의 셀이 모두 발광하고, 이 발광량을 100%(기준치)로 하였다.
상기 발전 모듈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온 고습 조건(85℃, 95%RH) 하에 노출시키면서 15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1000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량은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하기 전의 95%의 발광량이었다.
[실시예 6]
천에 마벨 코트 RFH-05X를 스며들게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결정계 태양광 발전 모듈(1650㎜ × 990㎜)의 외측의 유리 투명 기판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골고루 바르고, 헤어드라이어로 열풍을 보내 건조하였다. 피막을 형성한 발전 모듈(발명 샘플 6)의 유리 투명 기판의 물의 접촉각(25℃, 40%RH)과 전락각(25℃, 40%RH) 및 시트 저항(25℃, 85%RH)을 측정한 바, 각각 109.3도, 10.5도, 0.97 × 103Ω/sq였다. 이 발전 모듈에 -1000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내부의 셀이 모두 발광하고, 이 발광량을 100%(기준치)로 하였다.
상기 발전 모듈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온 고습 조건(85℃, 85%RH) 하에 노출시키면서 30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1000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량은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하기 전의 96%의 발광량이었다.
[실시예 7]
천에 마벨 코트 RFH-05X를 스며들게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로트의 결정계 태양광 발전 모듈(1650㎜ × 990㎜)의 외측의 알루미늄 외주 프레임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골고루 바르고, 헤어드라이어로 열풍을 보내 건조하였다. 피막을 형성한 발전 모듈(발명 샘플 7)의 알루미늄 외주 프레임의 물의 접촉각(25℃, 40%RH)과 전락각(25℃, 40%RH) 및 시트 저항(25℃, 85%RH)을 측정한 바, 각각 108.3도, 11.2도, 4.15 × 103Ω/sq였다. 이 발전 모듈에 -1000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내부의 셀이 모두 발광하고, 이 발광량을 100%(기준치)로 하였다.
상기 발전 모듈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온 고습 조건(85℃, 85%RH) 하에 노출시키면서 30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1000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량은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하기 전의 95%의 발광량이었다.
[실시예 8]
천에 마벨 코트 RFH-05X를 스며들게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로트의 결정계 태양광 발전 모듈(1650㎜ × 990㎜)의 외측의 알루미늄 외주 프레임과 유리 투명 기판의 틈에 골고루 바르고, 헤어드라이어로 열풍을 보내 건조하였다. 피막을 형성한 발전 모듈(발명 샘플 8)에 -1000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내부의 셀이 모두 발광하고, 이 발광량을 100%(기준치)로 하였다.
상기 발전 모듈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온 고습 조건(85℃, 85%RH) 하에 노출시키면서 30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1000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량은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하기 전의 94%의 발광량이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단결정, 다결정, 아모퍼스 실리콘 반도체형 등의 실리콘계나 CIGS 등의 화합물계 외에 색상 증감형이나 유기 박막형 등의 유기계 등 발전 기판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타입의 태양광 발전 모듈의 장기간에 걸친 성능 유지 및 발전 효율의 향상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옥외에서 사용되는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옥내에서 인공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발전 모듈에 응용할 수도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외주 프레임
12: 투명 기판
13: 봉지재(封止材)
14: 셀
15: 인터커넥터
16: 백시트
101: 외주 프레임
102: 투명 기판
103: 봉지재
104: 발전층
105: 투명 전극
106: 이면(裏面) 전극
107: 백시트

Claims (11)

  1. 구조 부재로서 적어도 외주 프레임, 투명 기판, 봉지재(封止材) 및 백시트와, 기능 부재로서 적어도 이하의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A) 셀 및 인터커넥터,
    (B) 투명 전극, 발전층, 및 이면(裏面) 전극,
    발수(撥水)성의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으로 적어도 상기 어느 하나의 부재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덮혀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의 시트 저항이, 습도가 85%RH의 조건 하에서 100Ω/sq 이상인, 태양광 발전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의 물의 접촉각이 50도보다 큰, 태양광 발전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면의 물의 전락각이 0.5도 이상 60도 이하인, 태양광 발전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의 굴절률이 투명 기판 부재 및 셀 부재의 굴절률과 동일하거나 작은, 태양광 발전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의 광선 투과율이 투명 기판 부재 및 셀 부재와 동일하거나 큰, 태양광 발전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이, 용제 희석형 수지,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수지인, 태양광 발전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외주 프레임 부재, 투명 기판 부재 및 백시트 부재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부재가 공기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셀 부재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의 피막은 기판의 내측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
KR1020167002809A 2014-08-27 2015-05-19 태양광 발전 모듈 KR201700451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2873 2014-08-27
JPJP-P-2014-172873 2014-08-27
PCT/JP2015/064329 WO2016031315A1 (ja) 2014-08-27 2015-05-19 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144A true KR20170045144A (ko) 2017-04-26

Family

ID=5539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809A KR20170045144A (ko) 2014-08-27 2015-05-19 태양광 발전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260856A1 (ko)
EP (1) EP3073533A4 (ko)
JP (1) JPWO2016031315A1 (ko)
KR (1) KR20170045144A (ko)
CN (1) CN105659387A (ko)
TW (1) TW201613118A (ko)
WO (1) WO2016031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9786A (zh) * 2016-11-22 2017-02-22 浙江昱辉阳光能源江苏有限公司 一种抗冰冻高效太阳能光伏组件
CN106601850A (zh) * 2016-12-31 2017-04-26 江苏鹿山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抗蜗牛纹的封装膜及其制造方法
JP7449342B2 (ja) 2022-03-24 2024-03-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光発電シートの設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5529A (ja) 1991-12-26 1993-07-13 Showa Shell Sekiyu Kk アモルファスシリコン太陽電池
JP3880703B2 (ja) * 1997-08-29 2007-02-14 ダイニオン エル エル シー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フッ素ポリマー封止材料
JP2001060701A (ja) * 1999-08-20 2001-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防食法
JP2005132919A (ja) * 2003-10-29 2005-05-26 Daikin Ind Ltd 撥水性および滑水性に優れる表面処理用組成物
EP2234172A4 (en) 2008-01-15 2017-01-04 Affinity Co., Ltd.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247325B2 (en) * 2008-10-10 2012-08-21 Uchicago Argonne, Llc Direct growth of metal nanoplates on semiconductor substrates
DE102009000450A1 (de) * 2009-01-28 2010-07-29 Evonik Degussa Gmbh Transparente, witterungsbeständige Barrierefolie, Herstellung durch Lamination, Extrusionslamination oder Extrusionbeschichtung
WO2011129012A1 (ja) * 2010-04-16 2011-10-20 東ソー・エフテック株式会社 太陽電池用コート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38817A (ja) * 2010-05-12 2011-11-24 Toyo Aluminium Kk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とそれを備え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568799B2 (ja) * 2010-06-25 2014-08-13 名古屋市 撥水剤組成物、及び撥水層付基材の製造方法
DE102010038292A1 (de) * 2010-07-22 2012-01-26 Evonik Röhm Gmbh Witterungsbeständige Rückseitenfolien
NL2005261C2 (en) * 2010-08-24 2012-02-27 Solland Solar Cells B V Back contacted photovoltaic cell with an improved shunt resistance.
JP6231254B2 (ja) * 2010-11-30 2017-11-15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
WO2012121276A1 (ja) * 2011-03-07 2012-09-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易接着シート及び太陽電池用保護シート
JP2012256640A (ja) * 2011-06-07 2012-12-27 Asahi Kasei E-Materials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コーティング方法
JP5891375B2 (ja) * 2011-07-29 2016-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起電力モジュール
JP5952838B2 (ja) * 2012-01-17 2016-07-13 デンカ株式会社 多層シート、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165232A (ja) 2012-02-13 2013-08-22 Sharp Corp 薄膜太陽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薄膜太陽電池
JP2013216777A (ja) * 2012-04-09 2013-10-24 Dic Corp 硬化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積層ポリエステル樹脂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
JP2013243178A (ja) * 2012-05-18 2013-12-05 Panasonic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2013251427A (ja) * 2012-06-01 2013-12-12 Toray Ind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裏面封止シート用フィルム
JP2014011270A (ja) 2012-06-28 2014-01-20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4032264A (ja) * 2012-08-02 2014-02-2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20140150850A1 (en) * 2012-11-30 2014-06-05 Amtech Systems, Inc. Solar cell coating
CN203242651U (zh) * 2013-05-07 2013-10-16 苏州阿特斯阳光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组件
JP2013254993A (ja) 2013-09-09 2013-12-19 Affinity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1315A1 (ja) 2016-03-03
EP3073533A1 (en) 2016-09-28
TW201613118A (en) 2016-04-01
EP3073533A4 (en) 2017-07-26
US20160260856A1 (en) 2016-09-08
CN105659387A (zh) 2016-06-08
JPWO2016031315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8504B1 (en) Anti-glare film for solar cell module, solar cell module provided with anti-glar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Yan et al. Semitransparent OPV modules pass environmental chamber test requirements
Heo et al.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radiative cooler‐integrated solar cells
Dong et al. Efficient organic-inorganic hybrid cathode interfacial layer enabled by polymeric dopant and its application in large-area polymer solar cells
Li et al. Progress and challenges toward effective flexible perovskite solar cells
JP326773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70045144A (ko) 태양광 발전 모듈
JP2017126699A (ja) 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
Yurrita et al. Composite material incorporating protective coatings for photovoltaic cell encapsulation
CN112582543A (zh) 一种钙钛矿太阳能电池
Kylberg et al. Spatially resolved photocurrent mapping of efficient organic solar cells fabricated on a woven mesh electrode
Ali et al. Outdoor stability testing of perovskite solar cells: Necessary step toward real-life applications
JP201315307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アレイ
Kassaei et al. Inflexible silicon solar cell encapsulation process on curved surfaces: Experimental investigation
Chiang et al. Effect of sealing with ultraviolet‐curable adhesives on the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Lemire et al. Degradation of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mechanistic insights across configurations and exposures
KR20140109532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유지보수 장치
JP6482187B2 (ja) 光発電糸
US11177078B2 (en) Light-absorbing layer precursor,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and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US9112065B2 (en) Method of curing solar cells to reduce lamination induced efficiency loss
JP2014022428A (ja) 太陽電池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388832B1 (en) Concentrator photovoltaic device
Lemire et al. Degradation of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and the beneficial role of interfacial layers
TWI495129B (zh) 太陽能面板
Antonini et al. Development of a mirror‐based LCPV module and test res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