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196A - 체중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및 의약 생성물, 및 상기 생성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체중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및 의약 생성물, 및 상기 생성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196A
KR20170044196A KR1020177008266A KR20177008266A KR20170044196A KR 20170044196 A KR20170044196 A KR 20170044196A KR 1020177008266 A KR1020177008266 A KR 1020177008266A KR 20177008266 A KR20177008266 A KR 20177008266A KR 20170044196 A KR20170044196 A KR 20170044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at
weight
obes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840B1 (ko
Inventor
유-팡 링
Original Assignee
칼리웨이 바이오파마슈티칼스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리웨이 바이오파마슈티칼스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칼리웨이 바이오파마슈티칼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4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10S514/9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체중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및 의약 생성물 및 상기 생성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며,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의 중량 퍼센트는 각각 조성물의 총 중량의 30% 내지 75% 및 20% 내지 55%이다. 시험 전에 또는 시험 동안 비만이 유도되는 동물 시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은, 단지 식물 추출물 또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비만-감소 약물 올리스타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현저한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중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및 의약 생성물, 및 상기 생성물의 용도 {COMPOSITION AND MEDICINAL PRODUCT FOR REDUCING BODY WEIGHT AND BODY FAT, AND USE OF SAID PRODUCT}
본 발명은 조성물, 또한 보다 특히 강황 추출물에 대한 녹차 추출물의 특정 중량비를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성물의 적용, 또한 보다 특히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한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서의 조성물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또한 보다 특히 체중 감소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약 조성물의 적용, 또한 보다 특히 유효 투여량의 제약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감소에서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세계 보건 기구 (WHO)의 비만 정의에 따르면, 25 초과의 체질량 지수 (BMI)는 과체중으로서 정의되고, 30 초과의 BMI는 비만으로서 정의된다. 통계적 데이터는 세계적으로 과체중 및 비만의 인구가 2014년에 27억을 넘는다고 나타내었고, 여기서 대략 13% 인구가 비만이었다. 이들 비만인 사람이 심혈관 질환, 고지질혈증, 당뇨병, 및 암과 같은 관련 질환을 앓을 수 있는 가능성은 평균인에 비해 극적으로 증가된다. WHO의 연구 보고서는 또한, 세계적으로 사망 위험을 일으키는 질환 중, 과체중 및 비만은 6위를 차지한다고 나타내었다. 연구 데이터에 따르면, 2013년 과체중 또는 비만에 의해 유발된 만성 질환을 갖는 적어도 340만명 초과의 성인이 사망하였고, 여기서 당뇨병의 의료적 부담의 44% 및 허혈성 심장 질환의 의료적 부담의 23%가 비만에 기인한다. 많은 데이터는 또한, 비만인 사람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나타내었다. WHO 데이터에 따르면, 2011년에 세계적으로 대략 4천만명의 5세 미만의 과체중인 아동이 존재하였다. 존스 홉킨스 대학 블룸버그 공중 보건 대학에 의해 공개된 2007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대략 75%의 성인이 과체중이며, 여기서 이들 인구의 41%가 2015년에 비만인 것으로 분류될 것이라고 나타나 있다. 개발도상국의 증가에 따라, 세계적 비만 인구는 급속히 증가할 것이고, 이는 주요 유행 질환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미국의 질병 통제 예방 센터 (CDC)에서는, 미국에서 비만 성인의 인구가 7200만을 초과하며, 세계적 비만 인구의 40%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있다고 나타내었다. 중국의 과체중 및 비만 성인의 백분율은 2002년 25%로부터 2010년 38.5%로 극적으로 증가하였고; 2015년에는 중국에서 50% 내지 57%의 인구가 과체중일 것이라고 예상된다.
비만은 세계적으로 매우 염려되는 건강 문제이며, 연구에서는 비만의 원인은 다수의 요인이 관련되어 매우 복합적이라고 나타났다. 또한, 비만이 자가-제어에 의해 개선될 수 있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내부적 식욕 조절 및 에너지 대사와 관련되는 복합적 증상인 내부 대사 장애 질환임을 보여주는 증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비만은 치사율을 증가시키고 매우 큰 의료적 부담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류의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준다. 비만의 원인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유전학, 대사, 생화학, 문화, 및 정신적-사회적 요인과 관련된다고 여겨진다. 연구에서는, 암,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당뇨병, 만성 하기도 질환, 만성 간 질환 및 간 경화증, 고혈압 질환, 신장 질환 등을 포함한 많은 사망 원인이 비만과 상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만의 문제가 세계적으로 매우 염려되는 문제가 되었음을 나타낸다. 최근, 비만의 유행이 점점 더 상승되고 있고, 고혈압, 고혈당, 인슐린 저항, 및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대사 이상에 의해 유발되는 대사 증후군이 점차 나타나며, 비만에 동반되며, 이는 쉽게 당뇨병, 심혈관 질환, 아테롬성경화증, 뇌혈관 질환, 및 암과 같은 질환을 일으킬 것이며, 이는 뇌졸중, 심근 경색, 및 심지어 사망을 일으킨다.
체중 감소를 위한 현재의 약물 메커니즘은 두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식욕 억제 및 식이 지방의 장내 흡수 부분의 차단이고; 여기서 식욕 억제는 과거 및 현재의 시장에서의 상업적인 체중 감소 약물의 주요 메커니즘이며; 이러한 유형의 약물은 시부트라민 (레덕틸(Reductil)?), 로르카세린, 큐시미아(Qsymia)?, 및 콘트라브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보다 심각한 부작용 및 어느 정도의 심혈관 질환 위험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중단된 체중 감소 약물 시부트라민 (레덕틸?)의 경우, 그의 시장 점유율은 한때 70 퍼센트만큼 높았다. 시부트라민 (레덕틸?)은,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포만감을 증가시키고 신체 말초에서 대사율 증가를 촉진시키는 이중 효과를 통해 체중 감소를 달성한다. 시부트라민은 체중 감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식욕을 억제하도록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노르아드레날린 및 세로토닌의 재흡수 억제제이며, 여기서 포만감의 증가는 흡수가 억제되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이 α1-아드레날린 수용체, β1-아드레날린 수용체 및 5-HT2 수용체 서브타입과 상호작용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된다. 중추 신경계에 대한 시부트라민의 효과는 혈압 증가 및 심박동수 증가를 일으킬 수 있고, 시부트라민은 최근 심혈관 질환을 일으킬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입증되었으며; 따라서, 시부트라민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감소 약물은 EU,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및 타이완에서 2010년에 시장으로부터 회수되었다.
식이 지방의 장내 흡수 부분을 차단하는 체중 감소 약물은 올리스타트(Orlistat)이고; 이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장기간 사용을 위한 유일한 적당한 체중 감소 약물 성분이다. 이는 위 및 소장에서 기능하는 특정 가역적 위장 리파제 억제제이다. 올리스타트는 위 및 췌장으로부터 분비되는 리파제 중 활성 자리에서 세린과 공유 결합을 형성하여 리파제를 불활성화시키고, 따라서 리파제는 식이에서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지방을 흡수가능한 유리 지방산 및 모노글리세리드로 가수분해할 수 없다. 소화되지 않은 트리글리세리드가 흡수가능하지 않음으로 인해, 이는 직접 신체로부터 제거될 것이다. 췌장 및 장으로부터 분비된 리파제의 억제에 의해, 식이 지방의 장내 흡수가 25% 내지 30%까지 감소될 수 있다. 올리스타트의 주요 메커니즘이 지방 흡수를 차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방변, 장 운동 횟수 증가, 고창 등과 같은 위장 부작용이 약물 섭취 동안 일어날 수 있고, 이는 지용성 비타민 흡수를 방해할 것이며; 또한 외국에서는 일부 간 손상, 및 담석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의 경우가 있다.
체중 감소 약물에서의 현저한 수요 및 높은 이윤은 제약 회사들이 그의 연구에 투자하도록 유도하였다. 그러나, 체중 감소 약물의 안전성은 도전적 과제이며; 심각한 부작용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은 FDA가 체중 감소 약물이 2012년 전에 수년간 체중 감소 약물의 승인을 중단하게 하였고, 많은 회사들이 주가에 타격을 입었고; 그 결과 제약 시장의 불활성을 일으켰다. 2012년, FDA는 최종적으로 또 다른 4종의 새로운 체중 감소 약물 벨비크, 큐시미아?, 콘트라브? 및 삭센다(Saxenda)?를 각각 차례로 승인하였고, 다시 체중 감소 약물 시장의 활성화가 기대되었다.
큐시미아 및 벨비크의 주요 성분은 각각 펜터민-토피라메이트 및 로르카세린이며; 체중 감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큐시미아 및 벨비그의 메커니즘은 주로 포만감 증가 및 식욕 억제이다. 큐시미아는 2종의 과거 약물 성분, 펜터민 및 토피라메이트를 함유하며, 여기서 펜터민은 중추 신경계 자극제로서 분류되고, 그의 주요 식욕 억제 메커니즘은 시상하부가 부신을 자극하여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을 분비하도록 하는 것이며; 토피라메이트의 메커니즘은 신경 전달 물질 GABA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나트륨 이온 채널 활성을 차단하고, 글루타민 수용체에 대하여 글루타민과 경쟁하고, 탄산 안히드라제를 억제하여 식욕 억제 및 포만감 증가에 대한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찍이 1997년에, 24명의 대상체는 펜터민을 함유하는 체중 감소 약물 펜-펜(Fen-Phen) (펜플루라민 / 덱스펜플루라민-펜터민) 복용 후 심장 판막 문제를 가졌고; 따라서 미국 FDA에 의해 요청되어 시장으로부터 펜플루라민 및 덱스펜플루라민의 회수를 초래하였다. 과거에 펜터민이 심각한 심혈관 위험성을 일으킨 것으로 인해, 이는 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금지되고 있다. 또 다른 성분인 토피라메이트는, 간질 치료를 위해 승인된 약물이다. 사람들이 이미 인지하고 있는 펜터민-토피라메이트 약물의 부작용은 손발의 저림 및 마비, 현기증, 미각이상, 불면증, 변비, 및 구갈을 포함한다.
로르카세린은 5-HT2C 수용체 활성화제이며, 이는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 뉴런 (POMC 뉴런)을 활성화시켜 α-MSH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를 생성하고, 추가로 포만감을 유도하고, 식욕을 억제하고, 식이 에너지 섭취를 감소시킨다. 로르카세린은 그의 높은 선택도로 5-HT2C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며, 로르카세린과 5-HT2A 또는 5-HT2B 수용체의 상호작용은 작고; 따라서, 그의 메커니즘으로부터, 이것이 상기 언급된 심각한 심혈관 질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고려된다. 로르카세린의 관련 부작용은 심장 판막 손상, 두통, 오심, 피로, 및 요로 감염을 포함하며; 따라서, FDA는 여전히 산업에서 후속적 임상적 모니터링을 수행할 것을 요구하며; 한편, 로르카세린을 연속하여 3개월 동안 복용한 후에도 체중이 감소하지 않는 경우, 약물은 즉시 중단되어야 한다.
콘트라브?는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이며, 이는 중추 신경계에서 작용하고, 식욕을 억제할 수 있다. 콘트라브?의 부작용은 자살 성향, 오심, 변비, 두통, 구토, 및 현기증이다. 삭센다?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체중 감소 약물이고, 삭센다?의 주요 메커니즘은 포만감을 증가시키도록 위 배출 속도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체중 감소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며; 부작용은 오심, 저혈당, 설사, 변비, 구토, 두통, 식욕 상실 등이다. 전체적으로, 현재 시장에서의, 새로운 체중 감소 약물의 심혈관 질환 위험성 및 장기간 사용 안정성은 보다 긴 기간 동안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것으로 남아있고; 따라서, 이들은 심혈관 질환을 앓은 환자가 복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많은 부작용 및 안전성 문제가 남아있으며; 특히 큐시미아? 중에 함유된 펜터민은 과거에 심각한 심혈관 질환을 일으켰고, 이는 큐시미아?가 타이완 및 많은 국가에서 금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남아있게 하였다.
체중 감소 약물 적용의 개발의 주요 관심은 안전성 문제, 예컨대 심혈관 위험성 또는 정신적 위험성 문제이고; 현기증, 불면증, 심계 항진, 변비 등과 같은 부작용 및 심혈관 위험성은 사용자가 현재의 체중 감소 약물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해 휴식에 전념할 수 없게 한다. 현재 승인된 체중 감소 약물은 심각한 부작용, 부족한 내성, 및 심혈관 위험성을 갖기 때문에, 체중 감소 약물의 전체적 시장은 전세계적 비만 인구 및 체중 감소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 모두 식욕 억제와 관련된 메커니즘을 통해 체중을 감소시키는 1957년부터 2014년까지 승인된 10종의 체중 감소 약물 중 5종이 이들의 심혈관 위험성 또는 정신적 안전성 문제로 인해 시장으로부터 회수되었으며, 이는 2002년에 출시되고 그의 출시 후 즉시 70%의 시장 점유율을 가졌던 시부트라민 (상표명 레덕틸?)을 포함한다.
따라서, 현재의 체중 감소 약물은 상이한 정도의 심혈관 위험성 및 안전성 문제를 갖는 것으로 남아있고; 시장은 적은 부작용을 가지며 심혈관 위험성의 문제를 갖지 않으면서 보다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체중 및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심혈관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체중 감소 약물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한 식물 추출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식물 추출물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의 중량 백분율은 식물 추출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30% 내지 75% 및 20% 내지 55%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은 레스베라트롤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레스베라트롤의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초과이고 3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은 효과적으로 체중 및 체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만한 것은, 동물 실험에서 레스베라트롤 단독의 투여 치료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에 대하여 유의한 효과를 갖지 않으며, 또한 동물 실험에서 강황 추출물 단독의 투여 치료도 유의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고; 이는 이전의 연구 결과와 일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이 "비만 유도 동안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이 투여된" 조건 하에 체중 및 체지방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비만 유도 후에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이 투여된" 조건 하에서도 마우스에서 체중 및 체지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체중 감소 약물 올리스타트의 효과와 비교할 때, 체중 및 체지방 감소에 대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의 효과는 올리스타트에 비해 현저히 더 우수하다 (p<0.001). 투여 전에 비만 유도가 있는 이러한 모델은, 비만 유도 동안 투여가 수행된 종래에 통상적으로 나타난 동물 모델에 비해 체중 및 체지방 감소가 보다 어렵지만, 이 모델은 과체중 및 비만인 사람을 임상적으로 치료하는 상황과 훨씬 더 유사하며; 이러한 상황 하에, 체중 및 체지방 감소에 대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의 현저한 효과는 여전히 달성될 수 있고, 그 효과는 상업적인 체중 감소 약물 또는 단일 식물 추출물의 효과에 비해 더 우수하며,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용이하게 달성가능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원에 사용된 용어 "강황 추출물"은 커큐민을 포함하는 추출물이며, 여기서 강황 추출물 중 커큐민의 농도는 80% 내지 100%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녹차 추출물"은 카테킨을 포함하는 추출물이며, 녹차 추출물 중 카테킨의 농도는 75% 내지 100%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염 조성물, 제약상 허용되는 안정화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하여 캡슐, 정제, 코팅된 정제 또는 주사액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레스베라트롤을 첨가하여 녹차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제는, 크실리톨, 소르비톨, 폴리덱스트로스, 이소말트, 및 D-글루코스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추가로,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한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서의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의 적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의 유효량 및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한 유효량의 레스베라트롤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붕해제, 결합제, 충전제, 윤활제, 현탁화제, 가용화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요구되는 부형제의 양은 활성 성분의 양에 따라 달라질 것이고, 하나의 부형제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붕해제는 한천, 알긴산, 탄산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셀룰로스, 점토, 콜로이드 실리카,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가교된 포비돈, 검,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메틸 셀룰로스, 폴라크릴린 칼륨, 알긴산나트륨,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전분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제는 미세결정 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충전제는 탄산칼슘, 인산칼슘, 이염기성 인산칼슘, 삼염기성 황산칼슘, 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셀룰로스, 덱스트린, 염, 덱스트린, 덱스트로스, 프룩토스, 락티톨, 락토스, 카르보네이트, 산화마그네슘, 말티톨, 말토덱스트린, 말토스, 소르비톨, 전분, 수크로스, 당, 또는 크실리톨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윤활제는 한천, 스테아르산칼슘, 에틸 올레에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글리세린,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산화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만니톨, 폴록사머, 에틸렌 글리콜, 벤조산나트륨,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나트륨 스테아로일 산, 소르비톨, 스테아르산, 활석 또는 스테아르산아연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현탁화제는 만니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CMC), 또는 CMC-Na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용화제는 히드록시프로필-베타-시클로덱스트린, 트윈 80, 피마자유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활택제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이산화규소, 삼규산마그네슘, 분말화된 셀룰로스, 전분, 활석, 삼염기성 인산칼슘,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콜로이드 실리카 또는 규소 히드로겔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액체, 반-고체 및 고체 제약 형태, 예컨대 액체 용액 (예를 들어 주사 용액 및 주입 용액), 분산액, 현탁액, 정제, 환제, 분말, 리포솜 또는 좌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는 기대되는 투여 방식 및 치료 적용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경구 투여가능 형태 또는 주입 용액 형태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의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제약 조성물은 경구 투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 조성물의 적합하고 바람직한 투여 형태는 환제, 과립, 코팅된 정제, 캡슐, 정제 및 다른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이며, 이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괄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인간 또는 동물인 대상체에게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함으로써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달성하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에서의 제약 조성물의 적용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방법은 경구 투여 또는 주사이다.
바람직하게는, 매일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은 1.8 mg/kg 내지 145 mg/kg이고; 대상체는 인간 또는 동물이고; 인간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매일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은 5.4 mg/kg 내지 70 mg/kg이고; 대상체는 인간 또는 동물이고; 인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대상체에 대한 "유효량 (효과적 용량)"은, 미국 식품의약국 (FDA)에 의해 공개된 "건강한 성인 지원자에서의 치료법에 대한 초기 임상 실험에서 최대 안전 개시 용량 추정"에서 표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원에 사용된 용어 "체중 및 체지방 감소"는,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레스베라트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의 투여 후에 체중 및 체지방이 둘 다 비만 대조군에 비해 더 낮음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체지방 감소량은,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레스베라트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특정 투여량 범위로 투여하고, 특정 기간 내에 부고환 지방, 신장주위 지방, 장간막 지방, 서혜부 지방 및 복막강 외부 지방의 질량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의 모든 구성성분은 식물로부터 추출되며,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이 식욕 또는 식품 섭취량에 영향을 주거나 다른 혈청 생화학적 안전성 지수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나타내었고; 따라서, 이는 시장에서의 다른 체중 감소 약물에 비해 더 안전하며, 이는 현저한 부작용 없이 훨씬 더 안전하다. 또한, 식욕 억제 또는 칼로리 흡수 감소를 위한 장내 식이 지방 흡수 차단 방법을 통해 체중 감소 효과를 달성하는 체중 감소 약물의 현재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내에서 지방세포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생체내에서 지방 대사 및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은, 체중 감소 후에 체중 재증가의 통상적 문제를 감소시키고 혈중 지질 및 혈당을 포함한 심혈관 위험 지표를 개선시켜 심혈관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만의 근본적 원인을 목표로 하여 비만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킨다.
따라서, 비만 및 과체중의 현재의 전세계적 문제를 목표로 하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은 보다 안전한 해결책을 제공하고, 체중 및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관련 제약 조성물 또는 건강 식품의 사용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MTT 분석에 의해 시험된 각 그룹에서의 지방전구세포 성장 억제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MTT 분석에 의해 시험된 각 그룹에서의 분화 지방세포 성장 억제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서 비만 유도 동안 투여가 수행된 모델 하에 얻어진 각 그룹에서의 마우스의 체중 증가 변화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서 비만 유도 동안 투여가 수행된 모델 하에 얻어진 각 그룹에서의 마우스의 내장 지방, 피하 지방, 및 총 지방 질량에 대한 지방 질량 변화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4a는 비만 유도가 투여 전에 수행된 모델 하에 얻어진 각 그룹에서의 마우스의 체중 증가 변화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4b는 비만 유도가 투여 전에 수행된 모델 하에 얻어진 각 그룹에서의 마우스의 내장 지방, 피하 지방, 및 총 지방 질량에 대한 지방 질량 변화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서 비만 유도 동안 투여가 수행된 모델 하에 얻어진 각 그룹에서의 래트의 체중 증가 변화를 나타내는 진행 차트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서 비만 유도 동안 투여가 수행된 모델 하에 얻어진 각 그룹에서의 래트의 내장 지방에 대한 지방 질량 변화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의도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된 기술적 수단이, 본 발명의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동반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될 수 있다.
실시예 1 지방전구세포 성장 억제 시험
본 실시양태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96-웰 플레이트 내에서 1x104 세포/웰의 밀도로 인큐베이션시켰다. 대조군 (DMSO 용매 대조군)을 제외하고, 50 ppm의 레스베라트롤, 50 ppm의 강황 추출물, 80 ppm의 녹차 추출물 및 100 ppm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8A, ME008D, ME001, ME00C1, 및 ME00D1을 각각 상이한 웰에 첨가하였고; 실험에는 9개 그룹이 존재하였으며, 각 그룹에서 3회 반복을 수행하였다. 투여 과정 및 48시간 인큐베이션 후, 사진을 찍어 세포 성장 상태를 기록하였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각각의 실험 물질의 성장 억제 효과를 MTT 분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여기서 대조군은 DMSO 용매 대조군이고,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8A는 50 wt% 녹차 추출물, 25 wt% 생 커피 콩 추출물, 및 25 wt%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ME008D는 40 wt% 녹차 추출물, 45 wt% 생 커피 콩 추출물, 및 15 wt%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ME001은 60 wt% 녹차 추출물, 10 wt% 강황 추출물, 및 30 wt%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ME00C1은 40 wt% 녹차 추출물, 50 wt% 강황 추출물, 및 10 wt%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ME00D1은 75 wt% 녹차 추출물 및 25 wt%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였다. 각 그룹의 데이터를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문자 a, b, c, d, e, f, 및 g는 통계적 결과를 나타내며; 상이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고 (p<0.05), 동일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p>0.05).
결과를 도 1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 ME001, 및 ME008D는 모두 지방전구세포의 세포 성장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고 (p<0.05); ME00C1은 본 발명의 모든 식물 추출물 조성물 중 지방전구세포 성장에 대해 최선의 억제 효과를 가졌다 (p<0.05). 지방전구세포 성장에 대한 조성물 ME00C1의 억제 효과는 단독 투여된 레스베라트롤, 강황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의 효과에 비해 현저히 더 컸다 (p<0.05).
실시예 2 분화 지방세포 성장 억제 시험
본 실시양태에서는, 3T3-L1 세포를 12-웰 플레이트 내에서 1x105 세포/웰의 밀도로 인큐베이션시켰다. 배지를 인큐베이션 4일째에 5 μg/ml 인슐린 분화제, 1 μM 덱사메타손, 및 0.5 mM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을 함유하는 배지로 교체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였다. 대조군 (DMSO 용매 대조군)을 제외하고, 50 ppm의 레스베라트롤, 50 ppm의 강황 추출물, 80 ppm의 녹차 추출물, 및 100 ppm의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8A, ME008D, ME001, ME00C1, 및 ME00D1을 각각 상이한 웰에 첨가하였고; 실험에는 9개 그룹이 존재하였으며, 각 그룹에서 3회 반복을 수행하였다. 투여 과정 및 48시간 인큐베이션 후, 사진을 찍어 세포 성장 상태를 기록하였고; 분화 지방세포에 대한 각각의 실험 물질의 억제 효과를 MTT 분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각 그룹의 데이터를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문자 a, b, c, d, e, 및 f는 통계적 결과를 나타내며; 상이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고 (p<0.05), 동일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p>0.05).
결과를 도 2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모든 식물 추출물 조성물은 분화 지방세포의 세포 성장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고; ME00C1은 본 발명의 모든 식물 추출물 조성물 중 분화 지방세포 성장에 대해 최선의 억제 효과를 가졌다. 분화 지방세포 성장에 대한 조성물 ME00C1의 억제 효과는 단독 투여된 레스베라트롤, 강황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의 효과에 비해 현저히 더 컸다 (p<0.05).
실시예 3 동물 분석 (I) (비만 유도 동안 투여)
본 실시양태에서는, 8주령의 암컷 B6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는, 각각 정상 대조군, 비만 대조군, 레스베라트롤 그룹 (61.5 mg/kg B.W.), 녹차 추출물 그룹 (123 mg/kg B.W.), 및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1 그룹 (676.5 mg/kg B.W.)인 5개 그룹이 존재하였다. 각 그룹에서는 5마리의 암컷 마우스를 사용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정상-지방 식이를 공급한 정상 대조군의 마우스를 제외하고, 다른 그룹의 마우스에는 연속하여 8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동시에, 실험 물질을 8주 동안 매일 경구 인공영양(gavage)에 의해 투여하면서, 동일 부피의 멸균수를 경구 인공영양에 의해 비만 대조군의 마우스에게 투여하여 그룹 내 마우스간의 체중 및 체지방 차이를 평가하였고; 한편, 각각의 동물의 체중 및 평균 식품 섭취를 실험 기간 동안 매주 기록하였다. 분석 완료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난소 주위의 지방, 신장주위 지방, 및 장간막 지방을 절개하고 칭량하여 내장 지방의 양을 계산하고, 서혜부 주위 및 복막강 주위의 지방을 절개하고 칭량하여 피하 지방의 양을 계산하였다. 각 그룹의 데이터를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문자 a, b, c, d, e, 및 f는 통계적 결과를 나타내며; 상이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고 (p<0.05), 동일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p>0.05).
결과를 도 3a 및 3b에 비만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1 그룹에서 마우스의 총 체중 증가가 현저히 더 낮았으며, 여기서 그의 감소는 47.2%였다 (p<0.05).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1은 체중 감소 효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p<0.05). 반면, 레스베라트롤 그룹 및 비만 대조군에서 마우스 사이에는 총 체중 증가, 내장 지방, 피하 지방의 양, 체지방의 총 중량 (내장 지방 및 피하 지방 포함) 각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비만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1은 내장 지방, 피하 지방, 또는 체지방의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p<0.05). 또한, 다른 그룹의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1은 체중 및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 효과는 단일 식물 추출물 그룹의 경우에 비해 우수하였고 (p<0.05); 이는 보다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가졌다.
실험 기간 동안, 고지방 식이를 공급한 모든 그룹에서 마우스 중에서의 주간 평균 식품 섭취에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실시예 4 동물 분석 (II) (비만 유도 후 투여)
본 실시양태에서는, 8주령의 암컷 B6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정상-지방 식이를 공급한 정상 대조군의 마우스를 제외하고, 다른 마우스에는 연속하여 6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공급하여 비만 마우스를 얻었다 (초기 체중에 비해, 비만 마우스의 체중은 20% 초과로 증가함). 비만 마우스를, 비만 대조군, 올리스타트 (크세니칼(Xenical)?) 약물 그룹 (34.8 mg/kg B.W.), 강황 추출물 그룹 (41 mg/kg B.W.), 및 ME008A (676.5 mg/kg B.W.), ME008D (676.5 mg/kg B.W.), ME001 (676.5 mg/kg B.W.), 및 ME00C1 (651.9 mg/kg B.W.)을 포함한 본 발명의 4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실험 그룹을 포함하는 7개 그룹으로 랜덤 분할하였다. 각 그룹에서는 5마리의 암컷 마우스를 사용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상 대조군의 마우스를 제외하고, 다른 7개 그룹의 비만 마우스에는 고지방 식이를 공급하였고, 동시에 이들 마우스에게 실험 물질을 수주 동안 매일 경구 인공영양에 의해 투여하면서, 동일 부피의 멸균수를 경구 인공영양에 의해 비만 대조군의 마우스에게 투여하였고; 고지방 식이 공급 14주 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그룹 내 마우스 중에서의 체중 증가 및 체지방 차이를 평가하였고; 한편, 각각의 동물의 체중 및 평균 식품 섭취를 실험 기간 동안 매주 기록하였다. 분석 완료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난소 주위의 지방, 신장주위 지방, 및 장간막 지방을 절개하고 칭량하여 내장 지방의 양을 계산하고, 서혜부 주위 및 복막강 주위의 지방을 절개하고 칭량하여 피하 지방의 양을 계산하였다. 각 그룹의 데이터를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문자 a, b, c, d, 및 e는 통계적 결과를 나타내며; 상이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고 (p<0.05), 동일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p>0.05).
결과를 도 4a 및 4b에 나타내었고, 비만 대조군의 마우스의 체중 증가 및 체지방은 정상 대조군의 경우에 비해 현저히 더 높았으며, 체중 증가는 87.7%만큼 높게 극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는 본 실험에서 마우스의 체중 증가가 성공적으로 유도되어 비만을 일으켰음을 나타낸다. 비만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8D, ME001, 및 ME00C1은 체중 증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p<0.05), 여기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은 최선의 감소 효과를 가졌고, 그 효과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체중 감소 약물 올리스타트에 비해 (p<0.05), 또한 강황 추출물에 비해 (p<0.05) 현저히 더 우수하였다.
비만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8D, ME001, 및 ME00C1의 그룹에서 마우스의 체지방 (내장 지방 및 피하 지방 포함)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p<0.05), 여기서 체지방은 각각 10.3%, 36.9%, 및 64.1%만큼 감소하였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은 최선의 효과를 가졌고, 그 효과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체중 감소 약물 올리스타트의 효과에 비해 (p<0.05), 또한 강황 추출물에 비해 (p<0.05) 현저히 더 우수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이 비만 마우스에 대해 보다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실험 기간 동안, 고지방 식이를 공급한 모든 그룹에서 마우스 중에서의 주간 평균 식품 섭취에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실시예 5 동물 분석 (Ⅲ) (비만 유도 동안 투여)
본 실시양태에서는, 8주령의 수컷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SD) 래트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는, 정상 대조군, 비만 대조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 그룹 (199.6 mg/kg B.W.) 및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A 그룹 (186 mg/kg B.W.)인 4개 그룹이 존재하였고, 여기서 조성물 ME00C1A는 55.5 wt% 녹차 추출물 및 44.5 wt%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였다. 각 그룹에서는 6마리의 래트를 사용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정상 식이를 공급한 정상 대조군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 그룹의 래트에는 연속하여 8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동시에, 실험 물질을 매일 경구 인공영양에 의해 투여하면서, 동일 부피의 멸균수를 비만 대조군의 래트에게 투여하여 그룹 내 마우스 중에서의 체중 증가 및 내장 지방 차이를 평가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각각의 동물의 체중 및 평균 식품 섭취를 매주 기록하였다. 분석 완료 후, 래트를 희생시키고, 부고환 지방, 신장주위 지방, 장간막 지방을 절개하고 칭량하여 내장 지방의 양을 계산하였다. 각 그룹의 데이터를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문자 a, b, c, 및 d는 통계적 결과를 나타내며; 상이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고 (p<0.05), 동일한 문자는 그룹 중에서의 통계적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p>0.05).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 또는 ME00C1A를 투여한 래트의 체중 증가는 비만 대조군의 래트의 경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 그룹의 래트의 체중 증가는 23.0%만큼 현저히 감소하였고 (p<0.01 t-시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A 그룹의 래트의 체중 증가는 심지어 29.8%만큼 현저히 감소하였다 (t-시험에 의한 값 p<0.01). 도 5b에 나타낸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A 그룹에서 래트의 부고환 지방, 신장주위 지방, 및 장간막 지방과 같은 내장 지방이 비만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p<0.05), 여기서 내장 지방의 총 중량은 35.7%만큼 감소할 수 있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 ME00C1A가 체중 증가 및 체지방에 대한 최선의 감소 효과를 가졌음을 나타낸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며, 어떤 형태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가 상기에 개시되어 있지만, 어떤 수단에 의해서도 본 발명을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계획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 범위 내에 포함되는 한, 임의의 기술자라면 상기에 개시된 기술적 정보를 사용하여 약간의 조정 또는 수정으로 등가의 효과를 나타내는 실시양태를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실시양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단순 수정, 동일한 변화, 및 본 발명의 기술로부터의 수정인, 본 발명의 기술적 계획에서 벗어나지 않는 임의의 정보도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계획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8)

  1.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며, 녹차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의 중량 백분율이 식물 추출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30% 내지 75% 및 20% 내지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 조성물이 레스베라트롤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레스베라트롤의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
  3.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서의 제1항 또는 제2항에 청구된 조성물의 적용.
  4. 유효량의 제1항 또는 제2항에 청구된 식물 추출물 조성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제약 조성물.
  5. 인간 또는 동물인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에서의 제4항에 청구된 제약 조성물의 적용.
  6. 제5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경구 투여 또는 주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용.
  7. 제6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 또는 주사에 의해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이 1.8 mg/kg 내지 145 mg/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용.
  8. 제7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 또는 주사에 의해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이 5.4 mg/kg 내지 70 mg/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용.
KR1020177008266A 2014-08-28 2015-08-28 체중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및 의약 생성물, 및 상기 생성물의 용도 KR101923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2955P 2014-08-28 2014-08-28
US62/042,955 2014-08-28
PCT/CN2015/088338 WO2016029868A1 (zh) 2014-08-28 2015-08-28 用于减少体重及减少体脂肪的组合物及其医药品与应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196A true KR20170044196A (ko) 2017-04-24
KR101923840B1 KR101923840B1 (ko) 2019-02-27

Family

ID=5539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266A KR101923840B1 (ko) 2014-08-28 2015-08-28 체중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및 의약 생성물, 및 상기 생성물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537605B2 (ko)
EP (1) EP3187189B1 (ko)
JP (1) JP6446552B2 (ko)
KR (1) KR101923840B1 (ko)
CN (1) CN106794215A (ko)
AU (2) AU2015309351B2 (ko)
CA (1) CA2960075C (ko)
ES (1) ES2851680T3 (ko)
MX (1) MX2017002584A (ko)
TW (1) TWI580427B (ko)
WO (1) WO2016029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345B1 (ko) 2014-08-28 2018-05-18 칼리웨이 바이오파마슈티칼스 코., 엘티디. 국소 지방 및 체중 감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약 및 용도
US10226503B2 (en) 2014-08-28 2019-03-12 Caliway Biopharmaceuticals Co., Ltd.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reducing topical fat and promoting weight loss as well as applications thereof
US10537548B2 (en) 2014-08-28 2020-01-21 Caliway Biopharmaceuticals Co., Ltd. Composition and medical product for reducing body weight and body fat, and use of said product
TWI630922B (zh) 2015-08-28 2018-08-01 康霈生技股份有限公司 用於減少局部脂肪的醫藥組成物及其用途
US11318110B2 (en) 2015-08-28 2022-05-03 Caliway Biopharmaceuticals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ducing local fat and uses thereof
AU2018241639B2 (en) * 2017-03-28 2020-10-15 Caliway Biopharmaceuticals Co., Ltd. Composition for reducing weight and reducing body fat and pharmaceutical product and application thereof
WO2020202193A1 (en) * 2019-03-31 2020-10-08 Jeyakodi Shankaranarayanan Synergistic combination of phytoactives
KR102137136B1 (ko) * 2019-11-29 2020-08-13 주식회사 어바웃굿즈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147743A (ko) 2021-04-27 2022-11-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감마폴리글루탐산 및 레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114107A (ko) * 2022-01-24 2023-08-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0092B1 (en) * 2001-08-24 2006-04-18 Small Giant L.L.C. Ultra-high fiber supplement and method of reducing weight cardiovascular risks and ingested toxins.
CN101632655A (zh) * 2009-08-04 2010-01-27 南京大渊美容保健有限公司 延缓衰老的白藜芦醇和生物类黄酮营养组合物
US7977319B1 (en) * 2006-04-03 2011-07-12 Scott David Levine Ultra-high fiber supplement and method of reducing weight, cardiovascular risks and ingested toxin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5530B1 (en) * 2000-05-31 2002-11-05 Eric H. Kuhrt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ducing weight loss
US7166435B2 (en) * 2001-08-06 2007-01-23 The Quigley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transmissivity of illnesses
US7396546B2 (en) 2001-08-06 2008-07-08 The Quigley Corporation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60172012A1 (en) * 2005-01-28 2006-08-03 Finley John W Anti-inflammatory supplement compositions and regimens to reduce cardiovascular disease risks
US7744931B2 (en) * 2005-06-14 2010-06-29 New Chapter Inc. Methods for treating oral cancers with herbal compositions
WO2007041276A2 (en) * 2005-09-29 2007-04-12 New Chapter, Inc. Methods for modulating apoptosis, cellgrowth, and protein expression with herbal compositions
CN101095665A (zh) * 2006-06-27 2008-01-02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Sirt1在预防、控制或治疗肥胖中的用途
CN101686725A (zh) 2007-04-03 2010-03-31 刚迦·拉贾·高卡拉贾 消炎和抗氧化协同作用的膳食补充组合物
CN102357226B (zh) * 2007-08-07 2013-07-10 北京北大维信生物科技有限公司 中草药姜黄的醇提取物在制备具有脂肪酶活性抑制作用的药物中的应用
US20090239943A1 (en) * 2008-03-19 2009-09-24 Sarkar Fazlul H Nutr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s for its use
AU2009307753A1 (en) * 2008-10-22 2010-04-29 Metaproteomics, Llc Novel mitochondrial uncoupling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adipocyte thermogenesis
CN101695324B (zh) * 2009-09-21 2012-07-25 杭州六易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血脂的降脂茶的制作方法
JP2012044982A (ja) * 2010-08-26 2012-03-08 Miyazaki Mokuzaiten:Kk 健康茶
US8815310B2 (en) 2011-01-10 2014-08-26 Morteza Naghavi Compositions for boosting metabolism, assisting weight loss, and promoting cardiovascular health
AU2012287067B2 (en) 2011-07-25 2016-12-08 Dermaforce Holdings, LLC Botanical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WO2014028607A1 (en) 2012-08-14 2014-02-20 Abbott Laboratories Low glycemic index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preserving muscle mass and improving body composition in diabetics
US9211298B2 (en) * 2012-11-16 2015-12-15 Song Gao Compositions containing enriched natural crocin and/or crocetin, and their therapeutic or nutraceutical uses
US20140287071A1 (en) * 2013-01-17 2014-09-25 Lifevantage Corporation Veterinary supplements
CN103479972B (zh) * 2013-09-29 2015-08-26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用于抗氧化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0092B1 (en) * 2001-08-24 2006-04-18 Small Giant L.L.C. Ultra-high fiber supplement and method of reducing weight cardiovascular risks and ingested toxins.
US7977319B1 (en) * 2006-04-03 2011-07-12 Scott David Levine Ultra-high fiber supplement and method of reducing weight, cardiovascular risks and ingested toxins
CN101632655A (zh) * 2009-08-04 2010-01-27 南京大渊美容保健有限公司 延缓衰老的白藜芦醇和生物类黄酮营养组合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u Wang 외 8명. Novel insights of dietary polyphenols and obesity.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Vol. 25, 2014년 1월, pp. 1-18* *
Thérèse Sergent 외 4명. Phenolic compounds and plant extracts as potential natural anti-obesity substances. Food Chemistry. Vol. 135, 2012, pp. 68-7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7189A4 (en) 2018-04-11
MX2017002584A (es) 2017-05-25
TW201707722A (zh) 2017-03-01
TWI580427B (zh) 2017-05-01
AU2015309351B2 (en) 2019-01-03
JP6446552B2 (ja) 2018-12-26
US10537605B2 (en) 2020-01-21
WO2016029868A1 (zh) 2016-03-03
EP3187189A1 (en) 2017-07-05
ES2851680T3 (es) 2021-09-08
AU2015309351A1 (en) 2017-03-30
JP2017525771A (ja) 2017-09-07
AU2018278907B2 (en) 2020-08-13
EP3187189B1 (en) 2020-11-18
CA2960075A1 (en) 2016-03-03
CA2960075C (en) 2021-02-09
US20170157194A1 (en) 2017-06-08
AU2018278907A1 (en) 2019-01-03
KR101923840B1 (ko) 2019-02-27
CN106794215A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840B1 (ko) 체중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및 의약 생성물, 및 상기 생성물의 용도
ES2635763T3 (es) Composición de complemento nutricional
EP3081097B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CN103479635A (zh) 一种用于预防和治疗非酒精性脂肪肝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NO20001717L (no) Serotonin-inneholdende formulering for oral administrering og anvendelse av samme
CN102872062A (zh) 一种治疗或预防肥胖症以及代谢综合症的药物组合物
US20200230102A1 (en) Composition and medical product for reducing body weight and body fat, and use of said product
JP2011063557A (ja) Ppar活性化剤
JP4355967B2 (ja) 医薬組成物
CN106349318A (zh) 一种五环三萜化合物在制备治疗肥胖症药物中的应用
CA3104916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diabetes and use thereof
JP2009062348A (ja) ケナフ類(ケナフ、ローゼル)の種子成分による血糖値低下作用及び血糖値上昇抑制作用
WO2018177340A1 (zh) 用于减少体重及减少体脂肪的组合物及其医药品与应用
CN112691102A (zh) 黄芩素在防治帕金森病/帕金森综合征抑郁症状中的应用
KR101572311B1 (ko) 2-아미노-2-노보네인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920017B (zh) 一种治疗单纯性肥胖症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JP2014507475A (ja) シクロベンザプリンを使用してうつ病を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5452042B2 (ja) 医薬組成物
TWI593420B (zh) 用於減緩關節炎的組合物及其醫藥品、製造方法與應用
WO202318700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nicotinamide, nicotinamide precursors, nicotinamide metabolites or combinations thereof for preventing or reducing one or more post-acute symptoms of infectious diseases
CN113332283A (zh) 黄柏碱和其盐在制备治疗高尿酸血症药物中的应用
CN113440517A (zh) 利卡灵b在制备预防或/和治疗非酒精性脂肪肝病药物中的应用
JP2017218410A (ja) 糖尿病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およびインスリン抵抗性の改善用組成物
CN105343072A (zh) 一种用于减肥或治疗代谢综合征的药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