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358A - 너트 인서트장치 - Google Patents

너트 인서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358A
KR20170039358A KR1020150138379A KR20150138379A KR20170039358A KR 20170039358 A KR20170039358 A KR 20170039358A KR 1020150138379 A KR1020150138379 A KR 1020150138379A KR 20150138379 A KR20150138379 A KR 20150138379A KR 20170039358 A KR20170039358 A KR 20170039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nut
pair
cylinder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983B1 (ko
Inventor
강종원
Original Assignee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9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5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5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 B25J15/02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actuated by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29C2045/14049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feeding inserts by a swing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의 취출 로봇용 너트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출 로봇의 암 단부에 마련된 지그에 설치되어, 사출성형기와 이웃하게 위치한 너트공급장치로부터 너트를 취출한 후, 그 너트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임의 설정된 위치에 장입시키는 사출성형의 취출 로봇용 너트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을 위한 취출 로봇의 암 단부에 마련된 지그에 설치되되, 압축공기의 선택적 주입 작용으로 전방의 로드(120)가 전,후 이동하면서 너트(N)를 취부한 후, 그 너트(N)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장입시키는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의 전방 일단에 힌지 회동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로드(120)의 전,후 이동 시, 로드(120)의 전면(前面) 일단이 집게 내측면과 면 접촉되면서 로드(120) 이송작용과 연동작동을 통해 임의 구간에서 외향으로 밀리는 작용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을 벗어나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여 상기 너트(N)를 로드(120)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는 한 쌍의 집게(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너트 인서트장치 {Nut insert apparatus}
본 발명은 너트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출 로봇의 암 단부에 마련된 지그에 설치되어, 사출성형기와 이웃하게 위치한 너트공급장치로부터 너트를 취출한 후, 그 너트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임의 설정된 위치에 장입시키는 너트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금형에 수지를 사출하여 각종 사출성형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수지 이외에 금속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너트, 볼트, 나사와 같은 인서트 대상물을 사출금형의 캐비티에 성형 전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출을 위한 수지와 인서트 대상물이 서로 일체화되게 성형하는 것을 인서트 사출성형이라 한다.
이에 따른 사출성형은 인서트 대상물 중, 바람직하게는 너트를 취출함과 더불어 그 취출된 너트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자동으로 삽입하기 위한 너트 인서트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종래 너트 인서트장치 중, 등록실용신안 20-0407135호를 살펴보면, 가이드속핀이 삽입되는 푸싱핀이 삽입될 수 있는 푸싱핀홀과 인서트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인서트부재홀이 동일축선상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 및, 상기 슬릿에 삽입고정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 인서트 장치 중, 등록실용신안 20-0435094호를 살펴보면, 내부에 설치홀이 형성된 관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설치홀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인서트부재 홀더팁과, 상기 몸체의 설치홀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속핀조절부와, 상기 인서트부재 홀더팁과 상기 가이드속핀조절부 사이에 설치되는 푸싱핀작동부와, 상기 인서트부재 홀더팁에서 상기 가이드속핀조절부까지 연장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속핀조절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미세조정이 가능한 가이드속핀 및, 상기 가이드속핀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인서트부재 홀더팁에서 상기 푸싱핀작동부까지 연장설치되어 상기 푸싱핀작동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이 가능한 푸싱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다양한 사출성형의 취출 로봇용 인서트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아래 제시된 종래 선행기술문헌들의 경우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너트공급정렬장치로부터 너트를 취출하는 과정에서, 취출되는 너트의 고정을 위한 클램프 부재의 내주 면에 너트의 외주 면이 억지 끼워지면서 마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마찰하면 클램프 부재의 너트 가압 면이 미세하게 마모됨에 따라 너트에 대한 고정력이 상실되는 등의 장치적 파손이 발생하거나, 그 마찰에 의한 미세 마모에 의해 쇳가루가 발생함에 따라 사출성형과정에서 미세 쇳가루가 유입되어 사출대상물의 표면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35호(등록일:2006.01.19) '인서트부재 홀더 및 이를 사용한 인서트부재 공급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5094호(등록일:2007.01.02) '일체형 인서트부재 홀더'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실린더의 전방에서 로드가 전,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집게가 로드를 사이에 두고 벌어지거나, 또는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여 로드에 끼워진 너트를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하는 구조를 마련함에 따라 너트의 취출 및 장입 작업과정에서 너트의 표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인서트장치의 너트 고정 부위가 마모되지 않아 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마찰에 의한 쇳가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사출대상물의 표면 불량을 현저히 줄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 반발력이 로드에 작용하게 구성함에 따라 로드가 후퇴하면 한 쌍의 집게가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에 정지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집게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최초 너트가 로드의 선단에 끼워지는 상태에서 집게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선택적 주입 작용으로 전방의 로드가 전,후 이동하면서 너트를 취부한 후, 그 너트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장입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전방 일단에 힌지 회동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로드의 전,후 이동 시, 로드의 전면(前面) 일단이 집게 내측면과 면 접촉되면서 로드 이송작용과 연동작동을 통해 임의 구간에서 외향으로 밀리는 작용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을 벗어나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여 상기 너트를 로드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는 한 쌍의 집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의 취출 로봇용 너트 인서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선택적 주입 작용으로 로드가 전,후 이동하면서 너트를 취부한 후, 그 너트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장입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전방 일단에 힌지 회동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로드의 전,후 이동 시, 로드의 전면(前面) 일단이 집게 내측면과 면 접촉되면서 로드 이송작용과 연동작동을 통해 임의 구간에서 외향으로 밀리는 작용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을 벗어나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여 상기 너트를 로드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는 한 쌍의 집게와;
상기 로드에 압축공기가 작용하는 측으로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2개의 전,후방스프링이 서로 대향된 방향에서 로드를 각각 지지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방스프링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드가 후방스프링까지 후퇴하면 한 쌍의 집게가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에 1차 정지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집게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로드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의 취출 로봇용 너트 인서트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너트의 취출 및 장입 작업과정에서 너트의 표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인서트장치의 너트 고정 부위가 마모가 되지 않아 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찰에 의한 쇳가루 역시 발생하지 않아 사출제품의 표면 불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도.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너트 인서트장치(1)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너트공급장치 또는 미리 준비된 너트(N)를 취부한 후, 그 너트(N)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장입시키는 실린더(100)와, 너트(N)를 로드(120)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는 한 쌍의 집게(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으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의 측면도이다.
먼저, 상기 실린더(100)는; 압축공기의 선택적 주입 작용으로 전방의 로드(120)가 전,후 이동하면서 너트공급장치 또는 미리 준비된 너트(N)를 취부한 후, 그 너트(N)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장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린더(100)는 금속 재질로 원통 실린더 형태로 제작되며, 너트공급장치로부터 너트(N)를 자동으로 취부 및 장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100)는, 내부로 형성된 작동공간의 전,후측에 제1,2니플(111,112)이 각각 연결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2니플(111,112)을 이용해 상기 작동공간의 전,후측에 선택적 공기를 주입하는 실린더바디(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바디(110)는 양단이 막힌 원통으로 내부에 후술하는 로드(120)의 일부분이 직선왕복 작동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바디(110)의 전방 측면 및 후단에 제1,2니플(111,112)이 각각 상기 작동공간에 연결되게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2니플(111,112)은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외부 에어 호스가 연결되어, 외부 압축공기를 상기 제1,2니플(111,112)을 통해 작동공간의 전,후방에 선택적 주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00)는, 상기 작동공간에 일부분이 삽입되되, 전방으로 너트(N)가 끼워지는 너트가이드(121)가 마련되며, 상기 제1,2니플(111,112)에 의한 선택적 공기 주입 작용으로 상기 실린더바디(110)에서 전,후로 이동작동하는 로드(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드(120)는 핀 형태로 제작되되, 상기 실린더바디(110)의 작동공간 측으로 삽입되는 후방 부분에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작동공간의 단면적 전체를 막아서 압축공기가 작용하게 하며, 그 전방 끝단에는 실린더바디(1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로드(120)의 전,후 작동에 따라 너트(N)가 끼워지는 너트가이드(121)가 마련된 구조이다.
더욱이, 상기 너트가이드(121)는, 로드(120)의 전방에 일부분이 노출되게 로드(12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는 핀이며, 상기 로드(120)의 내측에 마련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너트(N)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전,후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120)는 제1니플(111)에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그 공기압력에 의해 후퇴하는 작동을 하고, 상기 제2니플(112)에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그 공기압력에 의해 전진하는 작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집게(200)는; 상기 실린더(100)의 전방 일단에 힌지 회동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로드(120)의 전,후 이동 시, 로드(120)의 전면(前面) 일단이 집게 내측면과 면 접촉되면서 로드(120) 이송작용과 연동작동을 통해 임의 구간에서 외향으로 밀리는 작용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을 벗어나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여 상기 너트(N)를 로드(120)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집게(20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실린더(100)의 전방에서 로드(120) 측으로 가압 작용이 발휘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로드(120)에 끼워지는 너트(N)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집게(200)는 한쪽은 실린더(100)의 전방 측면에, 그 반대쪽은 실린더(100)의 로드(120) 측으로 꺾여서 제작되는 두 개의 프레임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100) 측으로 결합된 부분으로 힌지 체결되며, 그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구조이다.
더욱이, 상기 집게(200)의 전방 안쪽에는 너트(N)의 외주를 보다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너트(N)의 외주 모양에 대응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집게(200)는, 상기 로드(120)가 완전히 후퇴하면, 상기 집게(200)의 후방에서 상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집게(200)가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게 하는 집게스프링(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집게스프링(210)은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실린더(100)의 전방 측면 내부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집게(200)의 안쪽 면을 외향으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는 구조이며, 상기 집게스프링(210)의 탄성 지지작용에 집게(200)가 힌지를 지점으로 로드(120) 측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회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집게스프링(210)에 의해 탄성지지된 한 쌍의 집게(200)는 별도 동작이 없으면, 항상 로드(120) 측으로 오므라지는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00) 및 한 쌍의 집게(200)는; 상기 집게(200)의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종동캠(320)과, 상기 로드(120)의 둘레에 경사져 형성된 원동캠(310)으로 구성되되, 상기 로드(120)의 전,후 이동과정에서 상기 종동캠(320)과 원동캠(310)이 상호 대응 접촉되는 캠 작용시에 상기 한 쌍의 집게(200)가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이 되고, 반대로 상기 종동캠(320)과 원동캠(310) 간의 캠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한 쌍의 집게(200)가 오므라지는 구간을 제공하는 캠부(30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캠부(300)는 집게(200)의 안쪽에 종동캠(320)이 돌출되면서 그 끝 부분 일측에 경사면을 갖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로드(120)의 중앙 부분 외주에 원동캠(31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면서 전방에 경사면을 갖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로드(120)가 전,후 이동작동하면, 상기 로드(120)의 원동캠(310)에 마련된 경사면이 상기 집게(200)의 종동캠(320)에 마련된 경사면에 면 접촉되는 캠 작용을 하여, 상기 한 쌍의 집게(200) 작동에 대한 동력이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린더(100)의 전방에서 로드(120)가 전,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캠부(300)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집게(200)가 로드(120)를 사이에 두고 벌어지거나, 또는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여 로드에 끼워진 너트를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너트의 취부 및 장입 작업과정에서 너트의 표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너트 인서트장치(1)의 너트 고정부위가 마모되지 않아 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마찰에 의한 쇳가루가 발생하지 않아 사출대상물의 표면 불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의하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너트 인서트장치(1)는, 최초 너트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거나 또는 미리 준비된 너트(N)를 실린더(100)의 로드(120) 전방에 마련된 너트가이드(121)에 끼우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니플(112)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로드(120)가 압축공기의 작용에 의해 전진하면서 캠부(300)에 의해 캠 작용이 유발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200)가 로드(120)로부터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너트 인서트장치(1)가 설치된 취출 로봇의 이동작용을 통해 너트공급장치나 준비된 너트(N) 측으로 상기 너트 인서트장치(1)가 이동하여 너트(N)를 취부하기 위한 범위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100)의 로드(120) 전단에 마련된 너트가이드(121)에 너트(N)가 끼워져 취부되면, 상기 제2니플(112)에 대한 공기주입이 중지되면서, 상기 로드(120)가 후진하여 캠 작용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집게(200)가 너트(N) 외주를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즉, 이의 과정을 도 4와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에 의해 상기 너트 인서트장치(1)가 너트(N)를 취부하면, 상기 제2니플(112)의 공기주입 차단과 동시에 상기 제1니플(111)에 압축공기가 주입됨으로써 이를 통해 실린더(100)의 로드(120)가 완전히 후퇴하게 되고, 그 후퇴작용에 따라 캠부(300)의 캠 작용이 해제되어 한 쌍의 집게(200)가 집게스프링(210)의 탄성작용을 통해 취부된 너트(N)의 외주로 오므리면서, 그 너트(N)를 로드(120)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로드(120)를 후퇴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제1니플(111)에 압축공기를 작용시키지 않고, 경우에 따라 스프링(미도시)을 로드(120) 둘레에 결착 실린더(100)에 내장시켜 상기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드(120)를 후퇴시키게 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도 5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에 의해 너트(N)가 취부된 상태에서 너트 인서트장치(1)에 고정되면, 상기 제2니플(112)에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실린더(100)의 로드(120)를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실린더(100)의 로드(120)가 전진하면, 상기 캠부(300)에 의해 캠 작용이 유발되어 한 쌍의 집게(200)가 벌어지면서 너트(N)에 대한 고정작용이 해제되고, 이와 함께 로드(120)가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전진하여, 너트가이드(121)에 끼워진 너트(N)가 최종적으로 사출금형의 캐비티에 장입됨에 따라 너트 인서트장치(1)의 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 6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의 측면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너트 인서트장치(1)는, 너트공급장치또는 미리 준비된 너트(N)를 취부한 후, 그 너트(N)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장입시키는 실린더(100)와, 너트(N)를 로드(120)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는 한 쌍의 집게(200) 및, 한 쌍의 집게(200)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로드탄성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100)와, 한 쌍의 집게(200)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에 따른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로드탄성부재(400)는; 상기 로드(120)에 압축공기가 작용하는 측으로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2개의 전,후방스프링(410,420)이 서로 대향된 방향에서 로드(120)를 각각 지지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방스프링(410)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드(120)가 후방스프링(420)까지 후퇴함과 동시에 한 쌍의 집게(200)가 외향으로 밀려 벌어지는 초기 구간에 1차 정지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집게(200)가 초기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로드탄성부재(400)는 실린더(100)의 로드(120)가 압축공기의 작용에 의해 후퇴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후퇴되지 않고 캠부(300)의 캠 작용이 시작되는 지점에 로드(120)를 정지하게 하여 최초 너트공급장치의 너트(N)를 취부하는 과정에서 너트(N)의 외표면에 집게(200)가 닿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로드탄성부재(400)는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2개의 전후방스프링(410,420)으로 이루어지며, 그 2개의 전후방스프링(410,420)을 실린더(100) 로드(120)의 후방으로, 판 형태로 형성된 부분의 안쪽 및 바깥쪽에 대향되게 각각 결합하는 구조이다.
한편, 제2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1)에 대한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에 의하면, 상기 로드(120)가 전방스프링(410)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후방스프링(420) 측으로 후퇴함과 동시에 상기 후방스프링(420)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한 쌍의 집게(200)가 외향으로 밀려 벌어지는 초기 구간에 1차 정지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집게(200)가 초기 어느 정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그 상태에서 로드(120)에 너트(N)를 취부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b)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너트(N)를 취부하면, 상기 로드(120)를 후퇴시키기 위해 제1니플(111)을 통해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그 공기압력은 상기 로드탄성부재(400)의 탄성계수보다 압력이 크기 때문에 로드(120)가 완전히 후퇴되어 한 쌍의 집게(200)가 로드(120) 측으로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게 되어, 상기 로드(120)에 취부된 너트(N)의 외주를 한 쌍의 집게(200)가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c)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너트(N)를 한 쌍의 집게(200)로 고정하면, 상기 제2니플(112)에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실린더(100)의 로드(120)를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실린더(100)의 로드(120)가 전진하면, 상기 캠부(300)에 의해 캠 작용이 유도되어 한 쌍의 집게(200)가 벌어지면서 너트(N)에 대한 고정작용이 해제되고, 이와 함께 로드(120)가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전진하여, 너트가이드(121)에 끼워진 너트(N)를 최종적으로 사출금형의 캐비티에 장입시켜 너트 인서트장치(1)의 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7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너트 인서트장치의 측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너트 인서트장치(1) 중 상기 한 쌍의 집게(200)는, 상기 로드(120)가 완전히 후퇴하면, 상기 집게(200)의 전방 측 둘레에 감겨서 탄성지지되어, 상기 집게(200)가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게 하는 집게링(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집게링(220)은 고무 링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집게링(220)이 한 쌍의 집게(200)에 적용되면 상기 집게(200)의 전방 측 외주에 상기 집게링(220)을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링고정홈(221)이 마련되는 구조이며, 상기 집게링(220)의 탄성 지지작용에 의해 집게(200)가 로드(120) 측으로 시소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집게링(220)에 의해 탄성지지된 한 쌍의 집게(200)는 별도 동작이 없으면, 항상 로드(120) 측으로 오므라지는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인서트장치 100;실린더
110;실린더바디 120;로드
200;한 쌍의 집게 210;집게스프링
220;집게링 300;캠부
310;원동캠 320;종동캠
400;로드탄성부재 N;너트

Claims (6)

  1. 압축공기의 선택적 주입 작용으로 전방의 로드(120)가 전,후 이동하면서 너트(N)를 취부한 후, 그 너트(N)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장입시키는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의 전방 일단에 힌지 회동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로드(120)의 전,후 이동 시, 로드(120)의 전면(前面) 일단이 집게 내측면과 면 접촉되면서 로드(120) 이송작용과 연동작동을 통해 임의 구간에서 외향으로 밀리는 작용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을 벗어나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여 상기 너트(N)를 로드(120)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는 한 쌍의 집게(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인서트장치.
  2. 압축공기의 선택적 주입 작용으로 로드(120)가 전,후 이동하면서 너트(N)를 취부한 후, 그 너트(N)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장입시키는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의 전방 일단에 힌지 회동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로드(120)의 전,후 이동 시, 로드(120)의 전면(前面) 일단이 집게 내측면과 면 접촉되면서 로드(120) 이송작용과 연동작동을 통해 임의 구간에서 외향으로 밀리는 작용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을 벗어나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여 상기 너트(N)를 로드(120)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는 한 쌍의 집게(200)와;
    상기 로드(120)에 압축공기가 작용하는 측으로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2개의 전,후방스프링(410,420)이 서로 대향된 방향에서 로드(120)를 각각 지지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방스프링(410)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드(120)가 후방스프링(420)까지 후퇴함과 동시에 한 쌍의 집게(200)가 외향으로 밀려 벌어지는 초기 구간에 1차 정지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집게(200)가 초기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로드탄성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인서트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200)는, 상기 로드(120)가 완전히 후퇴하면, 상기 집게(200)의 후방에서 상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집게스프링(210)에 의해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너트 인서트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200)는, 상기 한 쌍의 집게(200) 전방 측 둘레에 감겨서 내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집게링(220)에 의해 오므라지는 작동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집게링(220)이 위치되는 한 쌍의 집게(200) 전방 측 둘레에는 상기 집게링(220)이 안착 고정될 수 있는 링고정홈(221)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인서트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0) 및 한 쌍의 집게(200)는;
    상기 집게(200)의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종동캠(320)과, 상기 로드(120)의 둘레에 경사져 형성된 원동캠(310)으로 구성되되, 상기 로드(120)의 전,후 이동과정에서 상기 종동캠(320)과 원동캠(310)이 상호 대응 접촉되는 캠 작용시에 상기 한 쌍의 집게(200)가 외향으로 밀리는 구간이 되고, 반대로 상기 종동캠(320)과 원동캠(310) 간의 캠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한 쌍의 집게(200)가 오므라지는 구간을 제공하는 캠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인서트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0)는;
    내부로 형성된 작동공간의 전,후측에 제1,2니플(111,112)이 각각 연결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2니플(111,112)을 이용해 상기 작동공간의 전,후측에 선택적 공기를 주입하는 실린더바디(110)와;
    상기 작동공간에 일부분이 삽입되되, 전방으로 너트(N)가 끼워지는 너트가이드(121)가 마련되며, 상기 제1,2니플(111,112)에 의한 선택적 공기 주입 작용으로 상기 실린더바디(110)에서 전,후로 이동작동하는 로드(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인서트장치.
KR1020150138379A 2015-10-01 2015-10-01 너트 인서트장치 KR101757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79A KR101757983B1 (ko) 2015-10-01 2015-10-01 너트 인서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79A KR101757983B1 (ko) 2015-10-01 2015-10-01 너트 인서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58A true KR20170039358A (ko) 2017-04-11
KR101757983B1 KR101757983B1 (ko) 2017-07-13

Family

ID=5858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379A KR101757983B1 (ko) 2015-10-01 2015-10-01 너트 인서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9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9247A (zh) * 2018-09-30 2019-01-04 中船重工海为郑州高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薄壁管件的专用夹具
CN109262649A (zh) * 2017-10-18 2019-01-25 中日龙(襄阳)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无需供气的自动爪手
WO2019090675A1 (zh) * 2017-11-10 2019-05-16 贺碧先 一种气爪部件
KR20210019753A (ko) * 2019-08-13 2021-02-23 노치현 자동차 엔진 부품용 플라스틱 성형제품의 금속너트 인써트 장치
CN115431466A (zh) * 2022-09-29 2022-12-06 广东格林精密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异形盲孔螺母模内注塑自动植入装置
KR102536288B1 (ko) * 2022-11-18 2023-05-30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전기차 배터리의 전극케이스용 너트 인서트 장치
CN109262649B (zh) * 2017-10-18 2024-06-07 中日龙(襄阳)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无需供气的自动爪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135A (ko) 2002-07-16 2004-01-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과속 경고 장치
KR100435094B1 (ko) 2000-06-20 2004-06-09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자기 저항성 메모리 효과를 갖는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집적 메모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94Y1 (ko) * 2006-09-04 2007-01-09 (주)신영프레시젼 일체형 인서트부재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094B1 (ko) 2000-06-20 2004-06-09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자기 저항성 메모리 효과를 갖는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집적 메모리
KR20040007135A (ko) 2002-07-16 2004-01-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과속 경고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2649A (zh) * 2017-10-18 2019-01-25 中日龙(襄阳)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无需供气的自动爪手
CN109262649B (zh) * 2017-10-18 2024-06-07 中日龙(襄阳)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无需供气的自动爪手
WO2019090675A1 (zh) * 2017-11-10 2019-05-16 贺碧先 一种气爪部件
CN109129247A (zh) * 2018-09-30 2019-01-04 中船重工海为郑州高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薄壁管件的专用夹具
CN109129247B (zh) * 2018-09-30 2024-01-16 中船海为高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薄壁管件的专用夹具
KR20210019753A (ko) * 2019-08-13 2021-02-23 노치현 자동차 엔진 부품용 플라스틱 성형제품의 금속너트 인써트 장치
CN115431466A (zh) * 2022-09-29 2022-12-06 广东格林精密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异形盲孔螺母模内注塑自动植入装置
KR102536288B1 (ko) * 2022-11-18 2023-05-30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전기차 배터리의 전극케이스용 너트 인서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983B1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983B1 (ko) 너트 인서트장치
JP4829914B2 (ja) 曲げ装置にて加工される長尺状ワークピースを把持及び保持する把持装置
KR101866179B1 (ko) 부품 삽입 조립 장치
US9132985B2 (en) Conveying device for leads
KR101669846B1 (ko) 취출로봇
CN108544522A (zh) 大开闭角度机械手
JP2018519172A (ja) 結合部材を位置決めする装置及び方法
KR200410892Y1 (ko) 사출품 인출기의 인서트 유닛
KR20090054516A (ko) 공작기계의 자동 공구 교환장치
KR101954738B1 (ko) 클립이송삽입장치
JP2013066978A (ja) 小物部品の供給装置
AU2010360812A1 (en) Clamping tool and method of dismounting or mounting a jaw or a jaw support
CN210452483U (zh) 一种磁环夹具
WO2019104792A1 (zh) 取件装置
JP5645004B2 (ja) 軸部挿入式の部品供給装置
US6548006B1 (en) Plastic material injection molding machine, a handling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ferring an article
CN208263358U (zh) 一种注塑产品夹具
KR101979147B1 (ko) 취출로보트를 위한 성형물 취출 지그 및 취출로보트
KR102190705B1 (ko) 작업용 돌리
JPH0248238Y2 (ko)
CN219906035U (zh) 吊板抱紧装置
JPH0144212Y2 (ko)
CN216807223U (zh) 一种眉笔转送装置
JP7150948B2 (ja) 成形品の成形方法
CN213891108U (zh) 用于注塑件的自动化出模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