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909A -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천공 드릴 - Google Patents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천공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909A
KR20170038909A KR1020177006028A KR20177006028A KR20170038909A KR 20170038909 A KR20170038909 A KR 20170038909A KR 1020177006028 A KR1020177006028 A KR 1020177006028A KR 20177006028 A KR20177006028 A KR 20177006028A KR 20170038909 A KR20170038909 A KR 20170038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orkpiece
outer shell
container
inn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782B1 (ko
Inventor
코우스케 아이하라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5/00Methods for boring or drilling, or for working essentially requiring the use of boring or drilling machine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65D25/16Loose, or loosely-attach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6/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not comprising a metal
    • B23B2226/61Pla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yl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0Number of cutting edges
    • B23B2251/201Single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10T408/4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including Tool with 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896Having product-receiving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과제) 용기의 외각의 임의의 위치에 외기도입공을 형성가능한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선단부를 가지고 평탄면 및 노치부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노치부의 측면에 칼날부를 가지는 천공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평탄면을 피가공물에 가압하여 상기 칼날부를 상기 피가공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피가공물에 둥근 구멍을 형성하는 가공 공정을 갖추는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천공 드릴{Method for processing article to be processed, and boring drill}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및 천공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적층박리용기의 외각에 외기도입공을 형성하는 공정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종래,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이 외층으로부터 박리되면서 수축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적층박리용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런 적층박리용기는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주머니와 외층에 의해 구성되는 외각을 구비한다.
적층박리용기의 외각에는, 내측주머니의 수축을 가능하게 위해 외기도입공이 설치된다. 외기도입공은 통상,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커터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지만, 내측주머니에 손상주지 않고 외각에 외기도입공을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일본특허 3455606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받침대를 입구부 내면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천공 커터의 선단의 커터 날을 받침대에 근접시키는 것에 의해, 입구부 외면측으로부터 입구부에 외기도입공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받침대와 커터날의 간극이 소정 거리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는 설정을 함으로써, 커터날이 적층박리용기의 내측주머니에 손상주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은 용기의 입구부 이외의 부위에 외기도입공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진행한 것이며, 용기의 외각의 임의의 위치에 외기도입공을 형성가능한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선단부를 가지고 평탄면 및 노치부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노치부의 측면에 칼날부를 가지는 천공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평탄면을 피가공물에 가압하여 상기 칼날부를 상기 피가공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피가공물에 둥근 구멍을 형성하는 가공 공정을 갖추는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원통 형상의 선단부를 가지고 평탄면 및 노치부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노치부의 측면에 칼날부를 가지는 천공 드릴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가공을 실시한다. 천공 드릴이 이러한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동시에 변형하기 쉬운 것인 경우에는, 천공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평탄면을 피가공물에 가압하면 천공 드릴의 선단이 조금 피가공물에 박힌다. 그 결과, 피가공물이 노치부에 들어감으로써 칼날부가 피가공물에 접촉하여 피가공물에 둥근 구멍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적층박리용기의 외각은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동시에 탄성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둥근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천공 드릴의 평탄면이 적층박리용기의 내측주머니에 가압되면 내측주머니는 외각으로부터 분리되어 적층박리용기의 내부를 향해 변형하기 때문에 평탄면이 내측주머니에 박히지 않는다. 때문에, 칼날부가 내측주머니에는 접촉하지 않고 내측주머니가 상처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박리용기의 외각에만 둥근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둥근 구멍은 외각과 내측주머니의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도입 공으로서 이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가공물은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고,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상기 외각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이며, 상기 가공 공정은 상기 평탄면을 상기 외각에 가압하여 상기 칼날부를 상기 외각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외각에 외기도입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공 드릴의 상기 선단부 단면C자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탄면은 반경방향의 폭이 0.1~0.2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부의 내면에는 선단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선단부를 가지고, 평탄면 및 노치부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노치부의 측면에 칼날부를 가지는 천공 드릴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전체도, (b)는 바닥부, (c)는 밸브부재 설치 요부(7a) 근처의 확대도이다. (c)는 밸브부재(5)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도2는 도1의 적층박리용기(1)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3는 도2(d) 중의 A-A단면도이다. 다만, 도1 내지 도2는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절곡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는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절곡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4는 도3의 입구부(9)를 포함하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5는 도4의 상태로부터 내층(13)의 박리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6은 도3의 바닥면(29)을 포함하는 영역의 확대도이며, (a)은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절곡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절곡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7은 외층(11) 및 내층(13)의 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밸브부재(5)의 여러가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1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도10은 도1의 적층박리용기(1)의, 도9에 이어지는 제조 공정을 나타내고, 특히, 외기도입공 형성 및 내층 예비박리공정을 나타낸다.
도11은 도10에서 외기도입공(15)의 형성에 이용되는 천공 드릴(30)의 구성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A-A단면도, (d)는 영역B의 확대도, (e)는 영역C의 확대도이다.
도12은 도10에서 외기도입공(15)의 형성에 이용되는 천공 드릴(3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13은 도1의 적층박리용기(1)의, 도10에 이어지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14는 도1의 적층박리용기(1)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각종 특징 사항은 서로 조합시킬수도 있다. 또한, 각 특징에 관하여 독립적으로 발명이 성립된다.
도1~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는 용기본체(3)와 밸브부재(5)를 구비한다. 용기본체(3)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7)와 수용부(7)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9)를 구비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3)는 수용부(7) 및 입구부(9)에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하며, 외층(11)에 의해 외각(12)이 구성되며, 내층(13)에 의해 내측주머니(14)가 구성된다.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박리되면서 수축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9)는 수나사부(9d)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9d)에는 암나사를 구비하는 캡이나 펌프 등을 달수 있다. 도4는, 이너링(25)을 가지는 캡(23)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너링(inner ring)(25)의 외경은 입구부(9)의 내경과 거의 같으며, 이너링(25)의 외면이 입구부(9)의 당접면(9a)에 당접함으로써 내용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의 선단에 확경부(擴徑部)(9b)가 설치되어 있으며, 확경부(9b)의 내경은 당접부(9e)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이너링(25)의 외면은 확경부(9b)에는 접촉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입구부(9)에 확경부(9b)가 없을 경우, 입구부(9)의 내경이 제조 시의 불균일에 의해 조금이라도 작아졌을 경우, 이너링(25)이 외층(11)과 내층(13)에 들어가 버리는 결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지만, 입구부(9)에 확경부(9b)가 있을 경우, 입구부(9)의 내경이 약간 불균일해도 그러한 결함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입구부(9)는 당접부(9e)보다 수용부(7)에 가까운 위치에 내층(13)이 엇갈리면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내층 지지부(9c)를 구비한다. 내층 지지부(9c)는 입구부(9)에 잘록부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입구부(9)에 확경부(9b)를 설치했을 경우에도 이너링(25)과 내층(13)의 마찰에 의해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해버릴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내층 지지부(9c)에 의해 내층(13)이 엇갈리면서 떨어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 내로 탈락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3~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7)는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단면 형상이 거의 일정한 몸통부(19)와 몸통부(19)와 입구부(9) 사이를 연결하는 어깨부(17)를 구비한다. 어깨부(17)에는 절곡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절곡부(22)는 도3에 나타내는 절곡각도 α가 140도 이하인 동시에 용기 내면측의 곡률반경이 4mm이하인 부분이다. 절곡부(22)가 없을 경우, 내층(13)과 외층(11) 사이의 박리가 몸통부(19)로부터 입구부(9)에까지 미치며 입구부(9)에서도 내층(13)과 외층(11)이 박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입구부(9)에서 내층(13)과 외층(11) 사이가 박리되면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 내로 탈락해버기 때문에 입구부(9)에서의 내층(13)과 외층(11) 사이의 박리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곡부(2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층(13)과 외층(11) 사이의 박리가 몸통부(19)로부터 절곡부(22)까지 확장되면, 도5에 나타내는 내층(13)이 절곡부(22)에서 절곡되어 버려, 내층(13)을 외층(11)으로부터 박리하는 힘이 절곡부(22)의 위측 부분에 전달되지 못하며, 그 결과, 절곡부(22)보다 위측 부분에서의 내층(13)과 외층(11) 사이의 박리가 억제된다. 한편, 도3~도5에서는 어깨부(17)에 절곡부(22)를 설치하고 있지만, 절곡부(22)는 어깨부(17)와 몸통부(19)의 경계에 설치하여도 된다.
절곡각도 α의 하한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제조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9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곡률반경의 하한도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제조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0.2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구부(9)에서의 내층(13)과 외층(11)의 박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절곡각도 α는 12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곡률반경은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각도 α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90, 95, 100, 105, 110, 115, 120, 125, 130, 135, 140도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여도 된다. 곡률반경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2, 0.4, 0.6, 0.8, 1, 1.2, 1.4, 1.6, 1.8, 2mm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여도 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부(22)는 용기 중심축 C로부터 절곡부(22)에서의 용기내면까지의 거리 L2가 용기 중심축 C로부터 입구부(9)에서의 용기 내면까지의 거리 L1의 1.3배 이상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L2/L1이 클수록 절곡부(22)에서의 블로우 비가 커져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L2/L1≥1.3으로 함으로써 절곡부(22)에서의 내층(13)의 두께가 충분히 얇아지며, 절곡부(22)에서 내층(13)이 보다 절곡되기 쉬워지며, 입구부(9)에서의 내층(13)과 외층(11)의 박리가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L2/L1은 예를 들면, 1.3 내지 3이며, 1.4 내지 2가 바람직하다. L2/L1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3, 1.4, 1.5, 1.6, 1.7, 1.8, 1.9, 2, 2.5, 3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여도 된다.
한가지 예에서는 입구부(9)의 두께는 0.45~0.50mm이며, 절곡부(22)의 두께는 0.25~0.30mm이며, 몸통부(19)의 두께는 0.15~0.20mm이다. 이와 같이, 절곡부(22)의 두께가 입구부(9)의 두께보다 충분히 작음으로써, 절곡부(22)가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한다.
하지만,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7)에는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 사이의 중간 공간(21)과, 용기본체(3)의 외부공간 S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외각(12)에는 수용부(7)에 중간 공간(21)과 외부공간 S를 연통하는 외기 도입공(15)이 설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공(15)은 외각(12)에만 설치된 관통공(貫通孔)이며, 내측주머니(14)까지는 도달되지 못한다. 밸브부재(5)는 외기 도입공(15)에 삽입되는 축부(5a)와 축부(5a)의 중간 공간(21) 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축부(5a)보다 단면적이 큰 뚜껑부(5c)와, 축부(5a)의 외부공간 S측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밸브부재(5)가 중간 공간(21)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係止部)(5b)를 구비한다.
뚜껑부(5c)는 외각(12)을 압축했을 때에 외기 도입공(15)을 실질적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축부(5a)에 근접함에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5b)는 외각(12)이 압축된 후에 복원할 때, 중간 공간(21)에 공기가 도입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각(12)을 압축하면 중간 공간(21) 내의 압력이 외압보다 높아져 중간 공간(21) 내의 공기가 외기 도입공(15)으로부터 외부로 새어 나간다. 이런 압력 차이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뚜껑부(5c)는 외기 도입공(15)을 향해서 이동하면서 뚜껑부(5c)가 외기 도입공(15)을 폐쇄한다. 뚜껑부(5c)가 축부(5a)에 근접함에 따라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뚜껑부(5c)가 용이하게 외기 도입공(15)에 끼워져 외기 도입공(15)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외각(12)을 진일보 압축하면 중간 공간(21)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그 결과, 내측주머니(14)가 압축되면서 내측주머니(14) 내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또한, 외각(12)으로의 압축력을 해제하면 외각(12)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 복원하고자 한다. 이 때, 뚜껑부(5c)가 외기 도입공(15)에서 떨어지면서 외기 도입공(15)의 폐쇄가 해제되며 중간 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또한, 계지부(5b)가 외기 도입공(15)을 막아버리지 않도록 계지부(5b)에는 외각(12)에 당접하는 부위에 돌기(5d)가 설치되어 있으며, 돌기(5d)가 외각(12)에 당접함으로써, 외각(12)과 계지부(5b) 사이에 틈이 생긴다. 한편, 돌기(5d)를 설치하는 대신 계지부(5b)에 홈을 설치함으로써, 계지부(5b)가 외기 도입공(15)을 폐쇄시키는 것을 방지해도 된다. 밸브부재(5)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8에 나타낸다.
밸브부재(5)는 뚜껑부(5c)가 외기 도입공(15)을 눌러 넓히면서 뚜껑부(5c)에 중간 공간(21) 내에 삽입함으로써 용기본체(3)에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뚜껑부(5c)의 선단은 가느다란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브부재(5)는 용기본체(3)의 외측에서 뚜껑부(5c)를 중간 공간(21) 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다.
수용부(7)는 밸브부재(5)를 설치한 뒤 수축 필름으로 씌워져 있다. 그 때, 밸브부재(5)가 수축 필름에 영향주지 않도록 밸브부재(5)는 수용부(7)에 설치된 밸브부재 설치요부(7a)에 장착된다. 또한, 밸브부재 설치요부(7a)가 수축 필름으로 밀폐되어 버리지 않도록 밸브부재 설치요부(7a)로부터 입구부(9)로 연장되는 공기 유통홈(7b)이 설치되어 있다.
밸브부재 설치요부(7a)는 외각(12)의 어깨부(17)에 설치되어 있다. 어깨부(17)는 경사면이며, 밸브부재 설치요부(7a) 내에는 평탄영역 FR이 설치되어 있다. 평탄영역 FR은 어깨부(17)의 경사면과 거의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탄영역 FR도 경사면이 되어 있다. 외기 도입공(15)은 밸브부재 설치요부(7a) 내의 평탄영역 FR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공(15)은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공(15)은 예를 들면, 몸통부(19)의 수직면에 설치되면, 일단 박리된 내측주머니(14)가 밸브부재(5)에 접촉하여 밸브부재(5)의 이동을 방해하는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 도입공(15)이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우려가 없으며, 밸브부재(5)의 거침없는 이동이 확보된다. 한편,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45~89도가 바람직하고, 55~85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60~80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부재 설치요부(7a) 내의 평탄영역 FR은 외기 도입공(15)의 주위 3mm이상 (바람직하게는 3.5mm 또는 4mm 이상)의 폭(W)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외기 도입공(15)이 φ4mm이고 외기 도입공(15)을 평탄영역 FR의 중심에 형성할 경우, 밸브부재 설치요부(7a)는 φ10mm 이상으로 한다. 평탄영역 FR의 폭(W)의 상한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평탄영역 FR의 폭(W)가 커짐에 따라서 밸브부재 설치요부(7a)의 면적이 커지고, 그 결과, 외각(12)과 수축 필름의 사이의 틈의 면적도 넓어지기 때문에 폭(W)는 지나치게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예를 들면, 10mm이다. 따라서, 폭(W)는 예를 들면, 3~10mm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3, 3.5, 4, 4.5, 5, 6, 7, 8, 9, 10mm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실험(실험예 2)에 의하면, 외각(12)의 외표면 측에서의 평탄영역 FR이 넓으면 넓을수록 외각(12)의 내표면의 곡률반경이 커지고 외각의 외표면 측에 외기 도입공(15)의 주위 3mm이상의 범위에 걸쳐 평탄영역 FR이 설치될 경우, 외각(12)의 내표면의 곡률반경이 충분히 커지며, 그 결과, 외각(12)과 밸브부재(5) 사이의 밀착성이 향상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외각(12)의 내표면의 곡률반경은 외기 도입공(15)의 주위 2mm의 범위내에서 2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mm 이상 또는 30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곡률반경이 이러한 값일 경우, 외각(12)의 내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외각(12)과 밸브부재(5) 사이의 밀착성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7)의 바닥면(29)에는 중앙오목영역(29a)과 그 주위에 설치된 주변영역(29b)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오목영역(29a)에는 바닥면(29)으로부터 돌출하는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설치되어 있다. 도6(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밀봉 돌출부(27)는 외층(11)과 내층(13)을 갖추는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의 적층 파리손의 밀봉부이다. 바닥 밀봉 돌출부(27)는 바닥면(29)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베이스부(27d), 박육(薄肉)부(27a), 박육부(27a)보다 두터운 후육(厚肉)부(27b)를 구비한다.
블로우 성형 직후, 바닥 밀봉 돌출부(27)는 도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변 영역(29b)에 의해 규정되는 면 P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이지만, 이 상태에서는 용기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용착부(27c)의 내층(13)끼리 분리되기 쉽고 내충격성이 불충분하다.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로우 성형 후에 바닥 밀봉 돌출부(27)에 열풍을 부는 것에 의해 박육부(27a)를 연화시켜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육부(27a)에서 바닥 밀봉 돌출부(27)를 절곡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순히 바닥 밀봉 돌출부(27)를 절곡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해 바닥 밀봉 돌출부(27)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밀봉 돌출부(27)는 절곡된 상태에서 주변영역(29b)에 의해 규정되는 면 P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적층박리용기(1)를 세웠을 경우,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면 P로부터 밀려 나오면서 적층박리용기(1)가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베이스부(27d)는 박육부(27a)보다 바닥면(29)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박육부(27a)보다 두꺼운 부분이며, 베이스부(27d)는 없어도 되지만 베이스부(27d) 위에 박육부(27a)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밀봉 돌출부(27)의 내충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29)의 오목영역은 바닥 밀봉 돌출부(27)의 길이 방향에서 바닥면(29) 전체를 가로 지르게 설치되어 있다. 즉, 중앙오목영역(29a)과 주변오목영역(29c)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닥 밀봉 돌출부(27)를 절곡하기 쉽게 되어 있다.
다음, 용기본체(3)의 층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본체(3)는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한다. 외층(11)은 복원성이 높게 되도록 내층(13)보다 두텁게 형성된다.
외층(11)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외층(11)은, 단층 또는 복수층 구성이며, 그 최내층과 최외층의 적어도 한 쪽에 윤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11)이 단층 구성의 경우, 그 단층이 최내층인 동시에 최외층기 때문에 그 층에 윤활제를 함유시키면 된다. 외층(11)이 2층 구성의 경우, 용기 내면측의 층이 최내층이 되고 용기 외면측의 층이 최외층이 되기 때문에 그 적어도 한 쪽에 윤활제를 함유시키면 된다. 외층(11)이 3층 이상으로 구성될 경우, 가장 용기 내면측의 층이 최내층이며, 가장 용기 외면측의 층이 최외층이 된다. 외층(11)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내층(11b)과 최외층(11a)의 사이에 리프로층(11c)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로층이란, 용기의 형성 시에 나오는 버(burr)를 재활용하여 사용한 층을 말한다. 외층(11)이 복수층 구성의 경우, 그 최내층과 최외층의 양쪽에 윤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윤활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탄화수소계, 지방산계, 지방족 아마이드계, 금속비누계의 임의의 것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탄화수소계 윤활제로서는, 유동 파라핀, 파라핀 왁스, 합성 폴리에틸렌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계 윤활제로서는,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이나 스테아릴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아마이드계윤활제로서는, 스테아린산 아미드, 올레인산 아미드, 에루크산 아미드의 지방산 아미드나, 메틸렌비스 스테아린산 아미드, 에틸렌 비스 스테아린산 아미드의 알킬렌 지방산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금속비누계 윤활제로서는, 스테아린산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외층(11)의 최내층은 내층(13)에 접촉하는 층이며, 외층(11)의 최내층에 윤활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외층(11)과 내층(13)의 사이의 박리성을 향상시켜 적층박리용기의 내용물의 토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층(11)의 최외층은, 블로우 성형 시에 금형에 접촉하는 층이며, 외층(11)의 최외층에 윤활제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층(11)의 최내층과 최외층의 한쪽 또는 양쪽은 프로필렌과 다른 모노머 사이의 랜덤 공중합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각(12)의 형상복원성·투명성·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이외의 모노머의 함유량이 50mol%보다 작으며, 5~35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여도 된다.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모노머로서, 폴리프로필렌의 호모 폴리머에 비하여 랜덤 공중합체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면 되고,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일 경우, 에틸렌의 함유량은 5~30mol%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여도 된다. 랜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50만이 바람직하고, 10~30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중량평균분자량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0, 15, 20, 25, 30, 35, 40, 45, 50만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여도 된다.
또한, 랜덤 공중합체의 인장탄성율은 400~1600MPa이 바람직하고, 1000~ 1600MPa가 바람직하다. 인장탄성율이 이러한 범위의 경우에, 형상복원성이 특히 양호하기 때문이다. 인장탄성율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여도 된다.
한편, 용기가 과도하게 단단하면 용기의 사용감이 나빠지기 때문에 랜덤 공중합체에 예를 들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유연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다만,랜덤 공중합체에 혼합하는 재료는 랜덤 공중합체의 유효한 특성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랜덤 공중합체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85: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층(13)은 용기 외면측에 설치된 EVOH층(13a)과, EVOH층(13a)의 용기 내면측에 설치된 내면층(13b)과, EVOH층(13a)과 내면층(13b)의 사이에 설치된 접착층(13c)을 구비한다. EVOH층(13a)을 설치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 및 외층(11)으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EVOH층(13a)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에틸렌과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물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EVOH수지의 에틸렌 함유량은 예를 들면, 25 내지 50mol%이며, 산소 배리어성의 관점으로부터 32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유량의 하한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 함유량이 적을수록 EVOH층(13a)의 유연성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25mol%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EVOH층(13a)은 산소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흡수제를 EVOH층(13a)에 함유시킴으로써, EVOH층(13a)의 산소 배리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EVOH수지의 융점은 외층(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식의 천공 장치를 사용하여 외층(11)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할 경우에, EVOH수지의 융점을 외층(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외층(11)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할 때에, 구멍이 내층(13)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관점으로부터, (EVOH의 융점)-(외층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큰 편이 좋으며,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융점의 차이는 예를 들면, 5~50℃이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 35, 40, 45, 5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여도 된다.
내면층(13b)은 적층박리용기(1)의 내용물에 접촉하는 층이며,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면층(13b)을 구성하는 수지의 인장탄성율은 50~300MPa가 바람직하고, 70~200MPa가 바람직하다. 인장탄성율이 이러한 범위일 경우, 내면층(13b)이 특히 유연하기 때문이다. 인장탄성율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0, 100, 150, 200, 250, 30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접착층(13c)은 EVOH층(13a)과 내면층(13b)을 접착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이며, 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올레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산변성 폴리올레핀(예: 무수 말레산변성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것이나,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이다. 접착층(13c)의 일예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산변성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다.
다음,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9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할 용기본체(3)에 대응하는 적층구조(일예는, 용기 내면측에서 순서대로, PE층/접착층/EVOH층/PP층/리플로우층/PP층의 적층구조)를 갖춘 용융 상태의 적층 파리손을 압출하고, 이 용융 상태의 적층 파리손을 블로우 성형용의 분할 금형에 설치하고 분할 금형을 닫는다.
다음, 도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3)의 입구부(9) 측의 개구부에 블로우 노즐을 삽입하고, 몰드 클램핑을 실시한 상태에서 분할 금형의 캐비티 내에 에어를 불어 넣는다.
다음, 도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금형을 열고 블로우 성형품을 꺼낸다. 분할 금형은 밸브부재 설치요부(7a), 공기유통홈(7b), 바닥 밀봉 돌출부(27) 등의 용기본체(3)의 각종 형상이 블로우 성형품에 형성되도록 하는 캐비티 형상을 가진다. 또한, 분할 금형에는 바닥 밀봉 돌출부(27)의 하측에 핀치 오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 밀봉 돌출부(27)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는 버를 제거한다.
다음, 도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한 블로우 성형품을 정렬시킨다.
다음, 도10(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 장치(2)를 이용하여 적층박리용기(1)의 외각(12)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한다. 이하, 이 공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박리용기(1)를 천공 장치(2)에 근접한 위치에 세트한다. 천공 장치(2)는 본체부(31)와 선단부(32)을 가지는 천공 드릴(30)과 전달 벨트(2b)를 통하여 천공 드릴(3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2c)를 갖춘다. 천공 장치(2)는 서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천공 장치(2)를 단축 이동시키는 서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도10(a)의 화살표 X1 방향 및 도10(c)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천공 드릴(30)을 회전시키면서 그 선단부(32)를 적층박리용기(1)의 외각(12)에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천공 장치(2)의 위치와 이동 속도를 서보 모터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택트 타임(tact time)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천공 드릴(30)에는 본체부(31)로부터 선단부(32)에 걸쳐 연장되는 공동(空洞)(33)이 설치되어 있고 (도11~도12를 참조), 공동(33)에 연통하는 통기 파이프(2e)가 연결되어 있다. 통기 파이프(2e)는, 도시하지 않는 흡배기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천공 드릴(30) 내부로부터의 에어 흡인 및 천공 드릴(30) 내부로의 에어의 불어넣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천공 드릴(30)의 선단부(32)는 도11~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C자 형상의 원통 형상이다. 선단부(32)에는 평탄면(34)과 노치부(37)가 설치되어 있고, 노치부(37)의 측면이 칼날부(38)로 되어 있다. 선단부(32)의 측면(32a)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34)에 대하여 수직되어 있어도 되고,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34)에 근접함에 따라 중심을 향해 경사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형성되는 외기도입공(15)의 끝변이 외측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되기 때문에 밸브부재(5)를 삽입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평탄면(34)의 반경방향의 폭(W)은 0.1~0.2mm이 바람직하고, 0.12~0.18mm이 더욱 바람직하다. 폭(W)이 지나치게 작으면 천공 시에 내측주머니(14)가 손상되기 쉽고, 폭(W)이 지나치게 크면 칼날부(38)가 외각(12)에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천공을 순조롭게 실시하기 어렵다. 노치부(37)를 설치하는 범위는 60~120도가 바람직하고 75~105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가 지나치게 크면 천공 시에 내측주머니(14)가 손상되기 쉽고 이 범위가 지나치게 작으면 천공을 순조롭게 실시하기 어렵다. 칼날부(38)에 있어서의 외접면(P1)에 대한 경사면(P2)의 각도α는 30~65도가 바람직하고 40~55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각도 α가 지나치게 작으면 천공 시에 내측주머니(14)가 손상되기 쉽고 각도 α가 지나치게 크면 천공을 순조롭게 실시하기 어렵다.
또한, 선단부(32)의 내면(35)에는, 선단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36)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천공 시에 발생하는 절제편(15a) (도10(c)을 참조)이 적층박리용기(1) 측에 남지 않아 내면(35) 측으로 이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평탄면(34)에 대한 테이퍼면(36)의 각도는 95~110도가 바람직하고 95~105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 드릴(30)의 회전축에 평행하는 X에 대한 테이퍼면(36)의 각도β는 5~20도가 바람직하고 5~15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내면(35)에는 깊이 0.05~0.1mm으로 폭 0.1~0.2mm의 요형(凹形) 또는 V형의 약 환상(環狀)의 홈(39)을 평탄면(34)에 수직한 방향(천공 드릴(30)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X)에 0.2~1mm 피치(Pitch)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절제편(15a)이 내면(35)에 이행하기 더 쉬워진다. 홈(39)의 피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7mm이다. 또한, 내면(35)에는 블라스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제편(15a)이 내면(35)으로 이행하기 더 쉬워진다.
다음,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 드릴(30)을 회전시키면서 평탄면(34)을 외각(12)에 가압한다. 이 때, 평탄면(34)이 외각(12)에 조금 박힌다. 그 결과, 외각(12)이 부분적으로 노치부(37)에 들어가고 칼날부(38)가 외각(12)에 접촉하여 외각(12)이 깊이 베인다. 평탄면(34)이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의 경계에 도달하면 외각(12)이 원형으로 도려내여져 둥근 구멍 형상의 외기도입공(15)이 형성된다. 이 때, 천공 드릴(30)의 내부의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외각(12)이 도려내여져 형성되는 절제편(15a)이 천공 드릴(30)의 공동(33) 내로 흡인된다.
평탄면(34)이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의 경계에 도달한 후에, 평탄면(34)을 내측주머니(14)에 대하여 가압하면, 내측주머니(14)는 외각(12)으로부터 박리되어 적층박리용기(1)의 내측을 향해 용이하게 변형하기 때문에, 평탄면(34)이 내측주머니(14)에 박히지 않고, 내측주머니(14)에는 칼날부(38)가 접촉하지 않고, 내측주머니(14)에 손상주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공 드릴(30)은 가열하지 않고 이용하고, 이로 인해 외기도입공(15)의 끝변이 용융되지 않아 끝변이 날카롭게 형성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천공 드릴(30)과 외각(12)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천공 드릴(30)은 열전도율이 높은 (예: 20℃에서 35W/ (m·℃) 이상)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공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천공 드릴(30)을 가열해도 된다.
이 경우, 천공 드릴(30)의 열에 의해 내측주머니(14)가 용융되지 않도록 내측주머니(14)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은 외각(12)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 장치(2)를 화살표 X2 방향으로 후퇴시키고 천공 드릴(30)의 공동(33) 내에 에어를 불어넣음으로써, 절제편(15a)을 천공 드릴(30)의 선단으로부터 방출시킨다.
이상의 공정으로 외각(12)으로의 외기도입공(15)의 형성이 완료한다.
다음, 도10(d)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어(43)를 이용하여 외기도입공(15)을 통하여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의 사이에 에어를 불어넣음으로써 내측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예비박리시킨다. 또한, 외기도입공(15)을 통한 에어 누설이 없도록 하면서 규정량의 에어를 불어넣음으로써 내측주머니(14)의 예비박리의 제어가 용이해진다. 예비박리는 수용부(7)의 전체에 대해 실시해도 되고 수용부(7)의 일부에 대해 실시해도 되지만, 예비박리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내측주머니(14)의 핀홀의 유무의 체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수용부(7)의 거의 전체에 내측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예비박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1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밀봉 돌출부(27)에 열풍을 불어 박육부(27a)를 연화시키고 바닥 밀봉 돌출부(27)를 절곡한다.
다음,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에 밸브부재(5)를 삽입한다.
다음, 도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원통 형상부(41)를 커트한다.
다음, 도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주머니(14) 내에 에어를 불어넣음으로써 내측주머니(14)를 부풀린다.
다음, 도1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주머니(14) 내에 내용물을 충전한다.
다음, 도1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부(9)에 캡(23)을 장착한다.
다음, 도13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7)를 수축 필름(shrink film)으로 덮어 제품이 완성된다.
여기에서 나타낸 각종 공정의 순서는 적당히 교체가능하다. 예를 들면, 열풍으로 절곡하는 공정은 외기도입공 개통공정 전이나, 내층예비박리공정 전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부 원통 형상부(41)를 커트하는 공정은 외기도입공(15)에 밸브부재(5)를 삽입하기 전에 실시해도 된다.
다음, 제조한 제품의 사용 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14(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충전된 제품을 기울인 상태에서 외각(12)의 측면을 잡고 압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킨다. 사용 시작 시는, 내측주머니(14)와 외각(12)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간극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각(12)에 가한 압축력은 그대로 내측주머니(14)의 압축력이 되고 내측주머니(14)가 압축되어 내용물이 토출된다.
캡(23)은, 도시하지 않은 체크밸브를 내장하고 있고, 내측주머니(14) 내의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는 있지만, 내측주머니(14) 내에 외기를 받아들일 수는 없다. 때문에, 내용물의 토출 후에 외각(12)에 가해진 압축력을 빼면 외각(12)이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지만, 내측주머니(14)는 변형된 대로 외각(12) 만이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도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주머니(14)와 외각(12)의 사이의 중간공간(21) 내가 감압상태로 되고 외각(12)에 형성된 외기도입공(15)을 통하여 중간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중간공간(21)이 감압상태로 되었을 경우, 뚜껑부 (5c)는 외기도입공(15)에 가압할수 없기 때문에 외기의 도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계지부(係止部)(5b)가 외각(12)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계지부(5b)가 외기의 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계지부(5b)에는 돌기(突起)(5d)나 홈 등의 기도 확보수단이 설치된다.
다음, 도1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차 외각(12)의 측면을 잡고 압축했을 경우, 뚜껑부(5c)가 외기도입공(15)을 폐쇄함으로써, 중간공간(21)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외각(12)에 가한 압축력은 중간공간(21)을 통하여 내측주머니(14)에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내측주머니(14)가 압축되어 내용물이 토출된다.
다음, 도1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토출 후에 외각(12)에 가해진 압축력을 빼면, 외각(12)은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중간공간(21)에 외기를 도입하면서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1: 적층박리용기, 3: 용기본체, 5: 밸브부재, 7: 수용부, 9: 입구부, 11: 외층, 12: 외각, 13: 내층, 14: 내측주머니, 15: 외기도입공, 23: 캡, 27: 바닥 밀봉 돌출부

Claims (6)

  1. 원통 형상의 선단부를 가지고 평탄면 및 노치부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노치부의 측면에 칼날부를 가지는 천공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평탄면을 피가공물에 가압하여 상기 칼날부를 상기 피가공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피가공물에 둥근 구멍을 형성하는 가공 공정을 갖추는,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고,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상기 외각으로부터 박리하고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이며,
    상기 가공 공정은 상기 평탄면을 상기 외각에 가압하여 상기 칼날부를 상기 외각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외각에 외기도입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추는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드릴의 상기 선단부는 단면C자 형상인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반경방향의 폭이 0.1~0.2mm인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내면에는 선단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는 피가공물의 가공방법.
  6. 원통 형상의 선단부를 가지고 평탄면 및 노치부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노치부의 측면에 칼날부를 가지는 천공 드릴.
KR1020177006028A 2014-09-10 2015-08-25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천공 드릴 KR101893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84552A JP6561442B2 (ja) 2014-09-10 2014-09-10 被加工物の加工方法、穴あけドリル
JPJP-P-2014-184552 2014-09-10
PCT/JP2015/073894 WO2016039134A1 (ja) 2014-09-10 2015-08-25 被加工物の加工方法、穴あけドリ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909A true KR20170038909A (ko) 2017-04-07
KR101893782B1 KR101893782B1 (ko) 2018-08-31

Family

ID=5545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028A KR101893782B1 (ko) 2014-09-10 2015-08-25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천공 드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13846B2 (ko)
EP (1) EP3192602B1 (ko)
JP (1) JP6561442B2 (ko)
KR (1) KR101893782B1 (ko)
CN (1) CN106660142B (ko)
AU (1) AU2015313353B2 (ko)
TW (1) TWI642532B (ko)
WO (1) WO2016039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2371A (zh) * 2017-03-15 2019-10-25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
JP6982238B2 (ja) * 2017-10-30 2021-12-1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の容器本体の外気導入孔の形成方法、構造体
JP7025633B2 (ja) * 2017-10-30 2022-02-25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の容器本体の外気導入孔の形成方法
JP7224732B2 (ja) * 2019-05-31 2023-02-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568A (ja) * 1994-08-15 1996-07-09 Toyo Seikan Kaisha Ltd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該ボトルを製造するための大気導入孔穿孔用ドリル、ピンチオフ開口部のヒートシール装置、並びに積層剥離ボトルに用いる注出ポンプ
JPH09267207A (ja) * 1996-04-03 1997-10-14 Cosmo Koki Co Ltd 管体穿孔用ホールソー
JP3455606B2 (ja) 1995-03-10 2003-10-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ブロー容器における大気導入孔の形成方法および形成装置
US20070040306A1 (en) * 2003-04-02 2007-02-22 Sabrina Morel Method for carrying out ventilation in a multi-walled container
JP2008168398A (ja) * 2007-01-12 2008-07-24 Asahi Diamond Industrial Co Ltd コアドリル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692A (en) * 1879-11-18 Improvement in hollow augers
US280026A (en) * 1883-06-26 Spoon boring-bit
US1781863A (en) * 1928-03-22 1930-11-18 Shoemaker William Walter Cutting tool
US1807126A (en) * 1930-03-25 1931-05-26 Byron F Morrill Bit
US1907880A (en) * 1930-06-19 1933-05-09 Royle Vernon Routing tool
JPS55156860U (ko) * 1979-04-24 1980-11-11
US4595321A (en) * 1980-03-28 1986-06-17 Leonard Van Dalen Plug cutter
JPS5976749A (ja) * 1982-10-23 1984-05-01 Okuma Mach Works Ltd 加工面の洗浄方法
SE441807B (sv) * 1984-04-09 1985-11-11 Santrade Ltd Borr for borrning av arbetsstycken, foretredesvis av kompositmaterial
JPS63166404U (ko) * 1987-04-21 1988-10-28
SU1495128A1 (ru) * 1987-02-05 1989-07-23 Костромское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Линий И Агрегатных Станк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от стружки глухих отверстий
US4762444A (en) * 1987-03-16 1988-08-09 Mena Carl M Screw tap with lubrication and extraction bores
US5049010A (en) * 1988-08-04 1991-09-17 Unibit Corporation Metal cutting tool
DE4016927A1 (de) 1990-05-25 1991-11-28 Hawera Probst Kg Hartmetall Fraeskrone
JPH04217498A (ja) * 1990-12-19 1992-08-07 Chugoku Rubber Kogyo Kk 孔明け工具
JPH06320498A (ja) * 1993-05-13 1994-11-22 Yoshio Ikeda 穴明け工具とその工具を用いた穴明け方法及び穴明け装置
JPH079396A (ja) * 1993-06-29 1995-01-13 Hideo Ikeda 回転穴あけ工具
US5681134A (en) * 1994-11-19 1997-10-28 Wolfcraft Gmbh Device for cutting frustoconical plugs from a board
US5823720A (en) * 1996-02-16 1998-10-20 Bitmoore High precision cutting tools
US6786684B1 (en) * 2001-08-15 2004-09-07 Robert J. Ecker Tubular hole cutter
EP1449779B1 (en) * 2001-10-31 2010-08-11 Yoshino Kogyosho Co., Ltd. Blow-moulded container
JP3585171B2 (ja) * 2002-05-24 2004-11-04 株式会社タブチ 樹脂管の穿孔カッター
JP2004034255A (ja) * 2002-07-05 2004-02-05 Kobayashi Gimune Seisakusho:Kk 木栓錐
JP4950093B2 (ja) 2008-02-04 2012-06-13 栗本商事株式会社 管体穿孔用カッター
WO2011036739A1 (ja) * 2009-09-23 2011-03-31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切削工具
US8622665B2 (en) * 2010-02-12 2014-01-07 Robert Bosch Gmbh Fast chip removal hole saw
JP5979467B2 (ja) 2011-08-31 2016-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ブロー成形容器及び吸気孔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568A (ja) * 1994-08-15 1996-07-09 Toyo Seikan Kaisha Ltd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該ボトルを製造するための大気導入孔穿孔用ドリル、ピンチオフ開口部のヒートシール装置、並びに積層剥離ボトルに用いる注出ポンプ
JP3455606B2 (ja) 1995-03-10 2003-10-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ブロー容器における大気導入孔の形成方法および形成装置
JPH09267207A (ja) * 1996-04-03 1997-10-14 Cosmo Koki Co Ltd 管体穿孔用ホールソー
US20070040306A1 (en) * 2003-04-02 2007-02-22 Sabrina Morel Method for carrying out ventilation in a multi-walled container
JP2008168398A (ja) * 2007-01-12 2008-07-24 Asahi Diamond Industrial Co Ltd コアド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13846B2 (en) 2019-02-26
EP3192602A4 (en) 2017-08-23
JP2016055390A (ja) 2016-04-21
EP3192602A1 (en) 2017-07-19
AU2015313353A1 (en) 2017-04-20
WO2016039134A1 (ja) 2016-03-17
EP3192602B1 (en) 2019-11-27
US20170259352A1 (en) 2017-09-14
CN106660142A (zh) 2017-05-10
CN106660142B (zh) 2019-05-14
JP6561442B2 (ja) 2019-08-21
KR101893782B1 (ko) 2018-08-31
TW201628829A (zh) 2016-08-16
AU2015313353B2 (en) 2019-11-21
TWI642532B (zh) 201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8206B2 (ja) 積層剥離容器
KR101884721B1 (ko) 적층박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893782B1 (ko)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천공 드릴
JP6780911B2 (ja) 積層剥離容器
JP6974753B2 (ja) 積層剥離容器
JP2015160651A (ja) 積層剥離容器の加工方法
JP6405865B2 (ja) 積層剥離容器
JP6375865B2 (ja)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JP6882661B2 (ja) 積層剥離容器
WO2016080313A1 (ja) 積層剥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