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885A -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 - Google Patents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885A
KR20170038885A KR1020177005737A KR20177005737A KR20170038885A KR 20170038885 A KR20170038885 A KR 20170038885A KR 1020177005737 A KR1020177005737 A KR 1020177005737A KR 20177005737 A KR20177005737 A KR 20177005737A KR 20170038885 A KR20170038885 A KR 20170038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od
frame
corner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크하드 쉬르머
Original Assignee
에크하드 쉬르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크하드 쉬르머 filed Critical 에크하드 쉬르머
Publication of KR2017003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50Metal corner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3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wo-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6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hree-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10)에 관한 것으로, 이 코너 커넥터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적어도 2개의 커넥터 섹션(20, 21)을 포함하고, 이들 커넥터 섹션이 각각 하나의 커넥터 섹션(20, 21)과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 39)의 한쪽 전방 단부가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에 맞물리는 식으로 구성되는 커넥팅 요소(11); 적어도 하나의 가로 스트럿(12)으로서, 그 단부(26, 27)들은, 각각 가로 스트럿(12)의 한쪽 단부(26, 27)와,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 39)의 둘레면에 마련된 하나의 커넥팅 섹션(30, 31, 48, 49)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 스트럿(12); 코너 커넥터에 대해 가로 스트럿(12)을 해제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클램핑 요소(1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코너 커넥터로 이루어진 조립 시스템 및 그러한 코너 커넥터 및 프로파일 요소로 이루어진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CORNER CONNECTOR FOR ROD-SHAPED PROFILE ELEMENTS}
본 발명은, 로드형 프로파일 시스템(rod-shaped profile system)을 위한 코너 커넥터, 이러한 형태의 상이한 코너 커넥터 복수 개를 포함하는 조립 시스템, 및 프로파일 요소로 조립되고,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요소가 코너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형태의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은 예를 들면 본 출원인 명의의 독일 특허 출원 DE 197 34 350 C1로부터 개시되어 있다. 공지의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은 그 유지 프레임 주위에 유지되는 내부 프레임 또는 대상물을 구비하고, 장력 이음(tensile connection)을 통해 그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안정시켜, 그 결과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요소와 코너 커넥터는 단순한 플러그-인 이음으로서 구성되어 추가적인 체결 수단 없이 조립될 수 있다. 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는 텐셔닝 시스템의 이용 가능성이 제한된다는 점이 공지의 프레임의 단점이다. 특히,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 기하학적 형상이 이용되는 경우, 적어도 개별적으로 맞춰진 된 코너 커넥터가 이용되지 않는다면, 대각선으로 연장하는 텐셔닝 케이블을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장력을 흡수하기 위한 내부 프레임이 요구된다.
목공예에서, 특히 소목장(joinery) 및 목공(carpenter) 분야에서 코너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패널은 흔히 가로 스트럿(transverse strut) 또는 가로 방향 패널에 의해 추가적으로 안정시키고 있다. 이 경우, 가로 스트럿의 단부는 통상 패널에 나사못에 의해 연결된다. 영국 특허 출원 GB 2391802 A 에서는 분해될 수 있고 4개의 코너 포스트를 통해 서로 연결된 4개의 측면판(side cheek)으로 이루어진 침대 프레임을 개시하고 있다. 코너 이음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측면판은 그 단부면들이 코너 포스트의 대응하는 멈춤면(stop face)에 기대진 상태에서 압박된다. 이는 2개의 코너 스트럿의 도움으로 이루어지는 데, 그 코너 스트럿은 측면판의 개구 내에 맞물리는 돌출부를 단부에 갖고 있다. 가로 스트럿은 코너 커넥터에 스크루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측면판들을 코너 커넥터의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GB 2391802 A에 개시된 연결 기법은 안정적인 이음을 위해 각 코너마다 적어도 2개의 코너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포함한 프레임 또는 프레임워크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그렇다하더라도, 그 종래 기술에 개시된 구조는 코너 포스트와 측면판 사이에 작용하는 어떠한 인지 가능한 힘도 흡수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슬랫 프레임(slatted frame), 매트리스 및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코너 포스트와 측면판에 대해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으로 작용하고 있는 그 문헌에 개시된 침대 프레임의 용도로만 적합하다. 게다가, 보다 복잡한 프레임 또는 프레임워크는 GB 2391802 A로부터 공지된 코너 커넥터가 최대 2개의 측면판에 대하서만 적합하다는 점에서 공지의 코너 커넥터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보다 간단하고 보다 안정적인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고, 또한 그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로 보다 복잡한 프레임 또는 프레임워크, 특히 사방으로 연장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를 제공한다는 기술적 과제에 기초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는 청구항 1에 청구한 바와 같은 코너 커넥터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코너 커넥터의 유리한 개선점들은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로서,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적어도 2개의 커넥터 섹션을 포함하고, 이들 커넥터 섹션이 각각 하나의 커넥터 섹션과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한쪽 전방 단부가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에 맞물리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커넥팅 요소; 적어도 하나의 가로 스트럿으로서, 그 단부들은, 각각 가로 스트럿의 한쪽 단부와,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둘레면에 마련된 하나의 커넥팅 섹션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 스트럿; 및 코너 커넥터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가로 스트럿을 텐셔닝시키는 텐셔닝 요소를 구비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는 이 커넥터와 함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로 제작되는 프레임 구조에 특히 높은 안정성을 부여하고 그 안정성도 대부분의 경우에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종래의 연결 시스템의 안정성을 훨씬 능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에 의해 제작되는 프레임 구조는 특히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립되고 또한 다시 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를 이용하기에 적합한 프로파일 요소는 매우 다양한 전체적 단면 형상, 다시 말해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 특히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로파일 요소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 등의 각종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파일 요소는 로드 형태의 중실 형태로서 또는 관형의 중공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전체적 형상은 홈, 돌출부 또는 덕트 등의 종방향 구조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로드형"이란 표현은 그 길이가 최대 가로 치수보다 수배 큰, 다시 말해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 요소의 경우에 그 직경보다 수배 크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 요소의 경우에 그 단면에서의 최장변보다 수배 큰 프로파일 요소를 가리킨다. 그 길이는 통상 최대 가로 치수의 적어도 10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이다. 게다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는 가로 치수들이 크게 상이하지 않는 프로파일 요소이다. 가로 치수들은 원형, 정사각형 또는 정다각형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 요소의 경우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규칙한 다각형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 요소의 경우와 같이 상이한 가로 치수들의 경우에, 가로 치수, 다시 말해 단면의 변들의 길이가 최단변의 5배미만, 바람직하게는 최대 2배만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요소는 해당 용례에 적합한 임의의 원하는 재료로, 예를 들면, 특히 주철,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실 재료 또는 중공 바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2개의 커넥터 섹션은, 커넥터 섹션들이 프로파일 요소의 전방 단부 위에 맞물리거나 그 반대로 프로파일 요소의 전방 단부가 연결 요소의 커넥터 섹션 위에 맞물리는 식으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전방 단부와 상호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로파일 요소와 연결 요소의 커넥터 섹션은 프로파일 영역에서 서로 겹쳐져, 상기한 종래 기술과 달리 큰 가로 방향 힘을 흡수할 수 있는 연결을 보장한다. 이와 동시에, 그러한 식으로 프로파일 요소의 정확한 배향도 보장되어, 복잡한 프레임 구조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GB 2391802 A로부터 공지된 코너 커넥터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는 해당 프로파일 요소에 대한 커넥터 섹션의 겹쳐짐 및 안내로 인해 2개의 프로파일 요소의 연결에 단 하나의 가로 스트럿을 필요로 한다.
커넥터 섹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배향"은 커넥터 섹션들이 대략 직각,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범위의 각도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직각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지만, 직각으로부터 편차를 갖는 경우에, 신축자재식으로 변경 가능한 가로 스트럿 및/또는 가로 스트럿의 가동 단부 등의 추가적인 수단이 가로 스트럿에 의해 프로파일 요소의 고정된 텐셔닝을 보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법은 보다 복잡하고 또한 비용이 많이 들며, 그 결과 직각이 바람직하다.
프로파일 요소들은, 각각 가로 스트럿의 한쪽 단부와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둘레면에 마련된 하나의 커넥팅 섹션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린다는 점에 의해 커넥팅 요소에 체결된다. 처음에는 여전히 느슨한 상태에 있는 텐셔닝 요소는 2개의 프로파일 요소와 가로 스트럿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모든 부품들이 서로에 맞물리자마자, 가로 스트럿은 코너 커넥터에 대해 텐셔닝되며, 그 결과 그러한 식으로 형성된 조립체는 확고하게 고정된다. 텐셔닝 요소가 다시 느슨한 상태로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식으로 형성된 구조는 사용자에 의해 다시 용이하게 해제될 수도 있다.
가로 스트럿 자체는 로드형, 플레이트형, 또는 날개형으로 구성되거나, 길이가 긴 박스형 구성 요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가로 스트럿의 단부가 연결 대상의 프로파일 요소와의 상대적으로 큰 접촉 면적을 갖는 경우에, 가로 스트럿의 단부는 프로파일 요소의 외형에 맞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원형 프로파일 요소의 경우에 가로 스트럿의 단부에 상응하는 오목 단부면이 마련될 수 있다.
가로 스트럿과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에 마련된 커넥팅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코너 커넥터와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가 서로에 포지티브 로킹(positive locking: 형상 맞물림)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식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에 맞물린다. 포지티브 로킹 연결의 결과로, 연결 대상의 구성 요소들은 텐셔닝 요소가 아직 고정적으로 조여지지 않은 경우에도 분리될 수 없다. 복수의 코너 커넥터를 포함하는 구조의 경우에, 개별 텐셔닝 요소들을 번갈아 가면서 더욱더 고정되게 텐셔닝시킬 수 있게 하며, 그 결과 조립 중에 프로파일 요소의 기울어짐을 보다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티브 로킹 이음은 가로 스트럿의 단부에 돌출부가 배치되고, 그 돌출부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둘레면의 커넥팅 섹션에 형성한 보어 내에 맞물림으로써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가 가로 스트럿의 단부에 형성되고 그 리세스 내에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둘레면의 커넥팅 섹션에 배치된 핀이 맞물릴 수 있다. 돌출부 및 핀은 가로 스트럿 또는 프로파일 요소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가로 스트럿 또는 프로파일 요소에 별개의 구성 요소로서 체결될 수 도 있다. 보어와 핀은 상응하게 제조된 프로파일 요소에 이미 존재할 수도 있다. 하지만, 프로파일 요소와 관련하여, 통상의 구매 가능한 프로파일 요소에 보어 또는 핀을 형성하도록, 예를 들면 해당 코너 커넥터에 맞는 드릴링 형판(drilling stencil) 형태의 상응하는 지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너 커넥터의 커넥터 섹션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로드형 단면에 맞는 단면을 갖는 커넥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으로, 그 구조의 텐셔닝 중에 프로파일 요소의 특히 효과적이면서 유격 없는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비원형의 대칭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 요소의 경우에, 프로파일 요소의 회전의 방지가 그러한 식으로 보장된다.
커넥터 요소는 커넥팅 요소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 요소는 코너 커넥터의 커넥터 섹션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 결과, 상이한 프로파일 요소들이 적절한 커넥터 요소의 선택을 통해 하나의 동일한 커넥팅 요소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텐셔닝 요소는 매우 다양한 각종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 텐셔닝 요소는 텐셔닝 요소의 조작 중에 가로 스트럿이 연결 대상의 프로파일 요소를 커넥팅 요소의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압박하고, 그 결과로 그 구조체를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식으로 가로 스트럿에 작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텐셔닝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코너 커넥터 내로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스크루를 포함한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스크루 헤드가 가로 스트럿에 직접 또는 와셔를 통해 지지되어, 그 스크루를 돌려 죌 시에 가로 스트럿을 커넥팅 요소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와 동시에, 가로 스트럿의 단부가 두 프로파일 요소를 커넥팅 요소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텐셔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스크루와 유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는 신속 조작 텐셔너를 포함한다. 신속 조작 텐셔너를 갖는 변형예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를 갖는 프레임 및 프레임워크가 빈번히 세워졌다 다시 분해되는 전시장 부스 구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하나의 특별한 이점은, 2개 이상의 프로파일 요소에 대해 매우 다양한 각종 실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그 결과 이차원 프레임 구조뿐만 아니라, 특히 삼차원 프레임 및 프레임워크도 본 발명에 따른 코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섹션들이 각각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는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커넥팅 요소가 2개, 3개, 4개, 5개, 심지어는 6개의 커넥터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결과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가 하나의 커넥팅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인접하는 커넥터 요소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며, 그에 장착되는 프로파일 요소들은 가로 스트럿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보다 많은 커넥터 섹션을 갖는 변형예에서, 각 프로파일 요소는 가로 스트럿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프로파일 요소에 연결된다. 소정 프로파일 요소가 직각으로 배치된 인접하는 프로파일 요소를 하나 보다 많이 갖는 경우, 그 프로파일 요소도 구조적 조건에 따라 가로 스트럿을 통해 2개 이상의 추가적인 프로파일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조립 시스템으로서, 그 조립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복수의 형태, 특히 2개 이상의 타입을 포함하며, 그 중 적어도 2개의 코너 커넥터가 상이한 개수의 커넥터 요소를 구비한다. 이러한 형태의 조립 시스템은 복잡한 이차원 및 삼차원 프레임 구조를 제작하는 데에 적합하다. 프로파일 요소들은 그 조립체 시스템의 요소들에 특별하게 맞춰질 수 있거나, 종래의 구매 가능한 프로파일 요소일 수 있는데, 그 구매 가능한 프로파일 요소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여전히 상응하게 처리되어,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시스템의 가로 스트럿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로 조립되고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요소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차원 또는 삼차원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외부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에 맞춰지며, 그 결과 가능한 한 균일한 표면을 갖는 프레임의 시각적으로는 물론 기능적으로 만족스런 전체적 형상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프로파일 요소, 특히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로 조립되고,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요소가 코너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은, 코너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프로파일 스트럿들의 단부들이 코너 커넥터에 대해 텐셔닝되는 해제 가능 가로 스트럿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수많은 이점들이 본 발명에 따른 해법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단순한 커넥팅 요소가 상응하는 용접 프레임 구조보다 더 안정적인 프레임 구조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은 간단히 분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만족스럽게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은 프로파일 튜브 등의 간단한 표준 요소로 제조될 수 있다. 다각형 구조도 상응하게 제작된 코너 부품에 의해 안정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용접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접될 수 없거나 용접하기 어려운 재료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출원인이 DE 197 34 350 C1에서 제시한 해법과 달리, 텐셔닝 케이블 구조를 통해 클램핑되는 프레임 또는 기타 대상물에서 클램핑되는 내부 프레임이 그 프레임의 안정성을 위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에 의해 프레임 구조에서의 큰 다양성이 보장된다.
해제 가능 가로 스트럿은 바람직하게는 그 가로 스트럿이 프로파일 요소에 형성한 개구 내에 맞물리는 식으로 프로파일 요소에 연결된다. 그 결과, 가로 스트럿을 프로파일 요소에 연결하는 데에 어떠한 추가적인 체결 요소도 필요하지 않다. 가로 스트럿은 그 단부에서 프로파일 요소의 개구 내에의 최적화된 맞물림에 대해 적절한 성형을 통해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 스트럿은 프로파일 요소의 개구 내에 맞물리는 레이저 가공 L자형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프로파일 스트럿에는 일측에서는 프로파일 스트럿의 단부 내에 맞물리고 타측에서는 드릴 가공된 구멍에 맞물리는 스토퍼 형태의 별개의 구성 요소가 마련될 수도 있다.
가로 스트럿은 바람직하게는 스크루 또는 신속 조작 텐셔너에 의해 코너 커넥터에 대해 텐셔닝된다. 이를 위해, 스크루 헤드가 예를 들면 와셔 또는 잠금 와셔를 통해 가로 스트럿 상에 놓이며, 스크루의 다른쪽 단부는 코너 커넥터의 보어에 마련된 외나사에 그 외나사가 맞물린다. 스크루가 돌려 조여지는 경우, 가로 스트럿이 코너 커넥터에 대해 댕겨지며, 이와 동시에 프로파일 요소를 코너 커넥터에 대해 당기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코너 커넥터에 대한 2개의 프로파일 요소의 안정적인 연결 및 나아가서는 서로 간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코너 커넥터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프로파일 요소들이 정렬되게 한다.
특히 만족스런 안내를 위해, 코너 커넥터는 각각 해당 프로파일 요소 내에 맞물리는 핀을 갖고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은 설치 요소를 위한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매우 다양한 각종 설치 요소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 또는 삼차원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지 예를 들자면, 특히 전시장 부스 구조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벽 요소, 패널, 커버, 스크린 또는 시트뿐만 아니라 선반 등도 있다. 플랩(flap), 도어 또는 윈도우나 다른 조명 및 음향 시스템도 용례에 따라 설치 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수단은 예를 들면 텐셔닝 수단, 커넥팅 요소 및/또는 프로파일 요소 상에 또는 그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자성 홀더를 포함한다. 지석 홀더는 특히 패널, 커버 등을 장착하는 데에 적합하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체결 수단은 유지 레일(holding rail)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레일에 홈이 마련되며, 이 홈 내에, 예를 들면 스크린 또는 직물(woven fabric)의 단부 에지가 삽입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체결 수단은 탄성 장착 홀딩 핀을 포함한다. 그 홀딩 핀은 예를 들면 패널형 설치 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클램핑 핀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에 대한 홀딩 핀의 탄성적 체결로 인해, 설치 요소에 작용하는 열 또는 기계적 부하를 사실상 상쇄시킬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체결 수단은 플레임에 형성된 제1 및 제2 슬롯을 포함하며, 설치 요소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각 측부에,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개구 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와, 프레임에 형성된 제2 개구 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제1 개구의 길이 방향 크기는 제1 돌출부의 길이 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며, 제2 개구의 길이 방향 크기는 제2 돌출부의 길이 방향 크기보다 크다.
다시 말해,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 요소가 마련되며, 그 설치 요소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각 측부에,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개구 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와, 프레임에 형성된 제2 개구 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제1 개구의 길이 방향 크기는 제1 돌출부의 길이 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며, 제2 개구의 길이 방향 크기는 제2 돌출부의 길이 방향 크기보다 크다.
또한, 폐쇄 프레임뿐만 아니라, 개방 프레임 시스템, 특히 브래킷도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전시장 부스 구조, 예를 들면 레일링 구조(railing construction), 원예 분야에서의 강제 구조 등의 매우 폭 넓은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지만, 다양한 사이즈의 주택, 선반 시스템, 창고, 차량, 정원 손질 장비 등을 위한 차고 또는 저장 공간과 같은 고정 구조물에 대한 운반 가능 프레임 또는 컨테이너의 제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후속한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 도면에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제1 실시예를 종단면으로 나타낸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홀딩 핀의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의 홀딩 핀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5의 홀딩 핀의 제2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의 홀딩 핀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들과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들로 조립되고 설치 부품을 갖는 유지 프레임의 배면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도 10의 유지 프레임의 단면에서 부품 영역을 갖는 개략적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12는 설치 부품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3은 에지 레일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프레임의 하나의 변형예의 상세 사시도이며,
도 14는 체결 홈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프레임의 하나의 변형예의 상세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프레임에 설치 부품을 체결하는 다른 변형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코너 커넥터들과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들로 조립된 삼차원 유지 프레임의 개략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은 그 구성 요소의 특정 구성이 개별 실시예에서 달라질 수 있다 하더라도 동일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도 1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들을 연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코너 커넥터(10)는 커넥팅 요소(11), 가로 스트럿(12) 및 텐셔닝 요소(13)를 포함한다. 도시한 예에서, 텐셔닝 요소(13)는 가로 스트럿(12) 내에 형성된 보어(15)에 끼워지고 스크루 헤드(16)가 가로 스트럿(12) 상에 놓이는 육각 소켓 스크루(14)로 이루어진다. 육각 소켓 스크루(14)는 커넥팅 요소(11) 내에 형성된 나사부(17) 내로 돌려 조여진다. 도시한 예에서, 2개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도 1에서 파선으로 도시함)가 커넥팅 요소(11)에 의해 90°의 각도로 서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커넥팅 요소(11)는 서로에 대해 90°의 각도로 배치된 2개의 아암(20, 21)을 구비하며, 이들 아암은 각각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 내에 맞물리는 돌출부(22, 23)를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의 외벽(24, 25)은 돌출부(22, 23) 주위에 맞물리며, 그 결과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19)는 종래의 플러그-인 이음의 경우와 같이 돌출부(22, 23) 상에서 안내된다.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종래의 이음을 훨씬 능가하는 2개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의 특히 안정적인 코너 이음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가로 스트럿에 의해 달성된다. 가로 스트럿(12)의 두 단부(26, 27)는, 텐셔닝 요소(13)(도시한 예에서, 커넥팅 요소(11)의 나사부(17) 내로 돌려 조여지는 육각 소켓 스크루(14))의 텐셔닝 중에, 2개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가 화살표(P1, P2)의 방향으로 커넥팅 요소(11)를 향해 잡아 당겨지는 식으로 연결 대상의 2개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와 상호 작용한다.
이를 위해, 도시한 예에서는 각각 하나의 보어(30, 31)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에 형성되고, 그 보어(30, 31) 내에 각각 가로 스트럿(12)의 단부(26, 27)에 배치된 하나의 돌출부(28, 29)가 맞물린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어(30, 31)는 해당 돌출부(28, 29)보다 그 변위 방향(P1, P2)으로 더 크며, 그 결과 가로 스트럿(12)이 텐셔닝 요소(13)가 해제될 때에 용이하게 다시 제거될 수 있다.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는 예를 들면, 해당 코너 커넥터에 맞춰진 대응 보어가 이미 형성된 특수한 시스템의 일부분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코너 커넥터가 통상의 시판 중의 프로파일 요소, 예를 들면 원통형 또는 직사각형 튜브 또는 상응하는 중실 요소용으로 제조되고, 사용자가 그에 상응하게 맞춰진 드릴링 형판을 코너 커넥터와 함께 받아, 그 드릴링 형판의 도움으로 사용자 자신이 보어(30, 31)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상응하는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의 길이를 사용자 자신이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융통성이 있다.
코너 커넥터(11)는 중실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중공 부품(선택적으로는 안정화 리브 또는 스트럿을 가짐)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코너 커넥터의 외부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에 맞춰지며, 그 결과 시각적으로 동일 면으로 맞춰진 인상이 생성될 수도 있다. 화살표(P1, P2)에 의해 획정되는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에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와 선택적으로는 이에 맞춰질 수 있는 코너 커넥터(11)는 상당히 임의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 요소가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코너 커넥터의 한 가지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연결 대상의 프로파일 튜브(18, 19)와 코너 커넥터(10) 모두가 각각 중공 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 프로파일 요소(11)에 각각 고정되게 연결되는 돌출부(도 1의 도면 부호 22, 23 참조) 대신에, 도 2의 변형예는 2개의 커넥터 피스(22, 23)를 구비하며, 이들 커넥터 피스가 각각 커넥팅 요소(11)의 아암(20, 21)의 중공 프로파일 내로, 그리고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의 단부측 개구 내로 맞물린다. 두 커넥터 피스(22, 23)는 래칭 립(122, 123)을 통해 코너 커넥터(11)에 고정된다.
이러한 형태의 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 3의 변형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이한 커넥터 요소를 이용함으로써 한 가지의 동일한 커넥팅 요소(11)를 상이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융통성이 있다. 따라서, 도 3의 예에서, 거기에 도시한 프로파일 요소(18, 19)는 각각 중앙 채널(32, 33)을 구비하며, 이들 채널 내로 커넥터 요소(22, 23)의 핀형 돌출부(34, 35)가 맞물린다.
게다가, 도 3의 변형예는, 도 3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되는 코너 커넥터(11)의 두께가 나사부(17)의 영역(67)에서, 예를 들면 나사부(17)의 도입을 위해 여전히 요구되는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로 감소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식으로, 특히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부품이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 및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로 제작된 프레임 및 프레임워크 내에 코너 커넥터의 상면 및 하면 너머로 둘출하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커넥팅 요소(11)에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 내로 맞물릴 돌출부(22, 23)가 마련되는 도 1에 도시한 옵션 대신에,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가 그 단부측 단부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돌출부가 커넥팅 요소(11)의 아암(20, 21)에서의 상응하는 절결부 내에 맞물리도록 할 수도 있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변형예는 특히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가 예를 들면 중실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에 바람직하다.
프로파일 요소의 재료가 연질 또는 취성의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상응하는 돌출부가 보다 저항성을 갖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변형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거기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는 목재를 포함한 중실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편, 금속으로 이루어진 돌출부(22, 23)가 단부측에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에 스크루로 고정되고, 커넥팅 요소(11)의 아암(20, 21) 내에 형성된 함몰부(36, 37) 내에 맞물린다. 연질 재료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요소의 경우, 프로파일 요소(18, 19) 내의 보어(30, 31)는 예를 들면 보강을 위해 금속 링으로 라이닝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경우, 보어 대신에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변형예에서와 같이 스크루 가이드 핀(screwed-in guide pin)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변형예에서, 가로 스트럿(12)은 각각 그 단부(26, 27)에 돌출부(28, 29)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돌출부(28, 29)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의 쉘(shell) 내의 함몰부/보어(30, 31) 내에 맞물린다. 반면, 프로파일 요소와 가로 스트럿 간의 넌포지티브 연결(non-positive connection)이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외부 쉘에 돌출 핀을 마련하고, 이 핀을 가로 스트럿(12)의 단부(26, 27)에서 적절히 잘라 형성된 적절한 수납부에 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핀은 예를 들면 적절한 방식으로 성형되어 해당 프로파일 요소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프로파일 요소의 외부 쉘에 대해 별개의 구성 요소로서 접착식 접합, 용접, 나사 이음, 또는 넌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 방식의 로킹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후자의 변형예는 도 5 내지 도 9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코너 커넥터(10)는 3개의 아암(20, 21, 28)을 구비하는데, 다시 말해 총 3개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 39)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도시한 예에서, 코너 커넥터(10)는 T형 커넥터로서 구성되는데, 다시 말해 연결될 프로파일 요소(18, 19, 39)들이 하나의 평면 내에 놓이게 된다. 다른 변형예에서, 3개의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는 또한 도 5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하나의 아암을 구비할 수 있고, 그 결과 삼차원 프레임/프레임워크가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너 커넥터는 직육면체의 코너를 형성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3개보다 많은 수의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보다 복잡한 코너 커넥터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코너 커넥터로부터 비롯된 코너 커넥터의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면의 평면에서 위쪽으로 배향, 다시 말해 아암(20)과는 반대로 놓이는 추가적 아암이나, 및/또는 도면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앞쪽으로 및/또는 뒤쪽으로 배향된 추가적인 아암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식으로, 코너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구성될 수 있는데, 그 코너 커넥터에는 6개에 이르는 가로 스트럿이 연결될 수 있고, 각각 2개씩이 해당 가로 스트럿에 의해 직각으로 떠받쳐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를 포함하는 보다 복잡한 삼차원 프레임의 일례를 도 16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텐셔닝 요소의 2가지 변형예와, 그리고 가로 스트럿의 단부와 프로파일 요소 간의 연결의 2가지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를 연결하는 텐셔닝 요소(13)는 도 1에 도시한 텐셔닝 요소에 상응한다. 이와 달리, 프로파일 요소(18, 39)를 연결하는 텐셔닝 요소(13)는 신속 조작 텐셔너(41)를 통해 커넥팅 요소(11)의 아암(20, 38)의 코너에 대해 텐셔닝되는 가로 스트럿(40)으로 이루어진다. 신속 조작 텐셔너(41)는 아암(20, 38)에 의해 형성되는 커넥팅 요소(11)의 코너에 고정되는 한편, 가로 스트럿(40)을 통과하여 편심 장착 텐셔닝 레버(43)에 연결되는 가이드 핀(42)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가로 스트럿(40)은 가이드 핀(42) 둘레에 감긴 복원 스프링(45)의 힘에 대항하여 커넥팅 요소(11)의 방향으로 플레이트(44)를 통해 텐셔닝된다.
가로 스트럿(12)과 달리, 가로 스트럿(40)은 그 단부(26, 27)에 돌출부를 갖는 것이 아니라, 오목부(46, 47)를 구비하며, 그 오목부 내에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39)에 체결된 핀(48, 49)이 맞물린다. 리세스(46, 47)는 핀(48, 49)의 머리보다 다소 넓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가로 스트럿(40)은 텐셔닝 레버(43)의 개방 중에 약간 해방될 수 있다. 텐셔닝 레버의 폐쇄 중에, 오목부의 뒤쪽(이동 방향에 있어서 뒤쪽) 부분은 핀(48, 49)을 위한 멈춤쇠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프로파일 요소(18, 39)를 커넥팅 요소(11)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신속 조작 텐셔너(41)와 함께 여기에 도시한 핀의 변형예는 또한 예를 들면 육각 소켓 스크루(14)와 조합하여 통상의 나사 이음식 가로 스트럿과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신속 조작 텐셔너를 갖는 변형예는 그러한 식으로 제작되는 이차원 프레임 또는 삼차원 프레임워크가 예를 들면 전시장 부스 구조에서와 같이 신속하게 세웠다가 다시 분해해야 하는 용례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용례를 위해, 유지 요소가 예를 들면 가로 스트럿 상에 마련되며, 이 유지 요소에 패널 또는 기타 벽 트림(wall trim)이 체결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자성 홀더(50)가 가로 스트럿(40)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 자성 홀더(50)에 자성 패널 또는 자성 유지 지점이 마련된 비자성 패널이 체결될 수 있다(도 12 및 도 13 참조). 대응하는 자성 홀더가 가로 스트럿(40)의 반대측에도 마련되어, 프레임이 양측에서 덮이도록 할 수도 있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하나의 특별한 이점으로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가 다각형 단면을 갖고 그에 맞춰진 커넥터 섹션(돌출부(22, 23) 또는 함몰부(36, 37))이 커넥팅 요소(11)의 단부(20, 21, 38)에 있는 경우에, 프로파일 요소의 회전 방지도 동시에 보장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원형 단면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경우에, 그 회전 방지는 예를 들면 프로파일 요소의 단부에 가이드 레일 또는 홈을 마련하고, 이 레일 또는 홈이 조립 중에 커넥팅 요소의 돌출부/함몰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홈 또는 레일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가 원형 단면을 갖는 시판 중인 튜브 또는 중실 재료와 함께 이용되는 경우, 그 튜브 또는 로드의 회전 방지는 코너 커넥터의 돌출부(예를 들면, 도 5의 코너 커넥터(11)의 아암(38) 상의 돌출부(23) 참조)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 내에 도입된 보어(도 5의 도면 부호 47)와 겹쳐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그러면, 보어가 돌출부(23) 내에 도달할 만큼 깊게 구성될 수 있거나, 돌출부(23)가 이미 상응하게 미리 제작된 보어 또는 길이 방향 슬롯을 구비할 수 있고, 그 결과 핀(49)의 페그(peg)가 보어 또는 돌출부의 길이 방향 슬롯의 내에 만큼 멀리 도달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한 유지 핀(48, 49)의 2가지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단면도 및 평면도로 각각 도시한 실시예에서, 핀(48, 49)은 헤드(51) 및 페그(52)를 구비한다. 페그(52)의 외경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 38)에 형성된 보어/함몰부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상응하여, 헤드(51)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외면 상에 놓이도록 그 보어/함몰부 내에 압입된다. 유지 장치로서, 도 6 및 도 7의 변형예는 압박될 때에 압축되고 프로파일 요소의 내부에서 팽창할 수 있으며 핀(48, 49)이 보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O링(53)을 구비한다. 회전 방지책으로서, 핀(48, 49)은 헤드(51)에 바로 인접한 페그(52)의 영역에 홈(5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홈은 설치 상태에서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도 6에서 파선으로 도시함)의 벽 또는 쉘(25)의 높이에 바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변형에는 중공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에 이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변형예는 중실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에 이용하기에 바람직하다. 거기에 도시한 핀(48, 49)의 변형예는, O링(53) 대신에 연속한 보어(55)가 마련되고 이 연속한 보어(55)를 통해 핀(58, 49)이 프로파일 요소에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6 및 도 7의 핀의 변형예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도시한 변형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단지 헤드부(51)와 페그(52)로 이루어진 핀(48, 49)이 프로파일 요소의 보어/개구 내에 접착식 접합, 용접, 리벳팅, 또는 기타 몇몇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도 10은 4개의 코너 커넥터를 통해 각각 서로에 연결된 4개의 프로파일 요소(18, 19)로 조립된 직사각형 유지 프레임(60)을 도시하며, 그 코너 커넥터들은 각각 하나의 커넥팅 요소(11), 하나의 가로 스트럿(12) 및 하나의 텐셔닝 요소(13)(텐셔닝 스크루(14)로 나타냄)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한 에에서, 패널(61)로서 구성된 설치 요소가 유지 프레임(60) 내에 삽입된다. 특히 도 11의 배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슬롯(62)이 프레임의 각 측부에 형성되고, 이 슬롯(62) 내로 패널(61)의 제1 돌출부(63)가 정밀 끼워맞춤(accurate fit)으로 맞물린다. 중앙의 제1 슬롯(62)과 돌출부(63)는 패널(61)을 유지 프레임(60) 내에 정밀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시킨다. 제2 슬롯(64)이 각 프로파일 요소(18, 19)의 단부에 형성되고, 그 제2 슬롯(64)은 제2 슬롯(64) 내에 맞물리는 패널(61)의 대응하는 제2 돌출부(65)보다 약간 길다. 그 결과, 패널(61)과 프레임(60) 사이에, 열 및/또는 기계적 부하가 가해질 경우에 프로파일 요소(18, 19)로부터 생성되는 소정 유격이 가능하다. 응력에 의해 유발되는 패널(61)의 굽힘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패널(61)은 슬롯 및 돌출부의 치수를 대응하게 설정함으로써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된다.
도시한 예에서, 패널(61)은 모따기된 코너(66)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해법은 예를 들면 커넥팅 요소(11)가 프로파일 요소(18, 19)와 동일한 두께(도면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를 갖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면 도면 부호 67로 나타낸 영역에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커넥팅 요소를 마련하고, 그 결과 패널(61)이 모따기된 코너 없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얇은 영역(67)이 텐셔닝 요소(13)의 텐셔닝 스크루(14)의 단부를 수용하거나 신속 조작 텐셔너(41)에 대해 안정적인 장착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여전히 갖는다는 점만은 필수적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프레임(60)의 하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용되는 패널(61)은 프레임과 동일 평면으로 되게 종결된다. 이를 위해, 커넥팅 요소(11) 및 선택적으로는 프로파일 요소(18, 19)도 패널이 동일 평면 맞춰지는 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은 두께를 갖는 적절한 지지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 돌출부 및 슬롯을 포함하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시스템은 패널(61)의 체결에 이용될 수 없고, 다른 적절한 유지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영구적 설치의 경우, 패널(61)은 예를 들면 커넥팅 요소(11) 및/또는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에 접착식 접합 또는 스크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클립, 양면 접착 테이프, 후크-루프 파스너에 의한 체결도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 스트럿(12)에 부착된 자성 홀더(도 5의 도면 부호 50 참조)에 의한 자기적 체결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 상응하는 유지 자석(도 12에서 도면 부호 68)이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고 그 유지 자석이 자성 홀더(5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예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커넥팅 요소(11)와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9)는 그들의 가장자리에서 단지 얇은 둘레 웹(69)이 패널(61)을 둘러싸도록 하는 식으로 잘라 내어지며, 그 웹의 깊이는 패널(61)의 두께에 대략 상응한다. 그러면, 조립된 상태에, 프레임 또는 프레임워크는 단지 패널(61)만이 외부에서 여전히 보일 수 있고 패널 사이에 얇은 웹(69)만이 눈에 보이게 남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구 조건에 따라, 커넥팅 요소(11) 및 프로파일 요소(18, 19)에는 패널을 단지 한쪽에만 또는 양쪽 모두에 삽입하도록 그러한 형태의 웹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설치 요소(11)의 단부측과 프로파일 요소(18, 19)에도 상응하는 웹이 마련되며, 그 결과 이러한 식으로 형성된 프레임이 사방에서 덮일 수 있다. 이 경우, 자성 홀더가 중공 프로파일 요소(18, 19) 내로 밀어 넣어지고, 이어서 자석 홀드가 외측에서 대응하게 부착되는 패널을 유지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프레임(6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클램핑 레일(70)이 커넥팅 요소(11)의 전면 및/또는 배면측에,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프로파일 요소(18, 19)의 전면 및/또는 배면측에도 부착되며, 이 클램핑 레일(70) 내에 예를 들면 설치 요소(61)의 에지 레일이 삽입된다. 설치 요소의 이러한 형태의 장착은 설치 요소(61)가 스트레치 패브릭(stretched fabric) 등의 에지 레일이 마련된 직물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프레임으로부터 설치 요소(61)의 간격은 또한 예를 들면, 조명 장치, 스피커 등이 설치 요소(61)와 유지 프레임(60) 사이에 배치될 경우에 특히 관심 대상의 에지 레일의 치수를 대응하게 설정함으로써 조정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15는 패널형 설치 요소의 체결을 위한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패널(61)은 패널(61)이 압입될 슬롯 형성 유지 핀(71)에 의해 유지된다. 유지 핀(71)은 또한 탄성 링(72)을 통해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에 연결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코너 커넥터에 의해, 패널이 프레임의 조립 중에 이미 삽입되기 때문에 단일 피스 핀(71)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탄성 링(72)은 열 또는 기계적으로 응력이 유발되는 경우에 시스템의 소정의 이동성을 허용하고, 그 결과 패널 및/또는 프레임이 열 팽창하는 경우에도 패널(61)의 편평하고 주름 없는 배치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팅 시스템의 하나의 특별한 이점은, 일차원, 이차원 및 삼차원 등의 각종 다양한 구성의 프레임 및 프레임워크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매우 다양한 변형예에 의해 제작된, 프로파일 요소로 조립된 삼차원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도시한 2개의 프로파일 요소(18, 19)를 위한 코너 커넥터(11) 외에도, 3개의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111)도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5의 T자형 코너 커넥터와 달리 3개의 아암 전부가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놓여 있고, 그 결과 삼차원 프레임의 제작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1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요소(18, 19)를 위한 코너 커넥터(211)도 이용되고 있다. 도 16의 예에서, 텐셔닝 요소(13)는 명료성의 개선을 위해 단지 매우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Claims (16)

  1.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10)로서: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적어도 2개의 커넥터 섹션(20, 21)을 포함하고, 이들 커넥터 섹션이 각각 하나의 커넥터 섹션(20, 21)과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 39)의 한쪽 전방 단부가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에 맞물리는 식으로 구성되는 커넥팅 요소(11);
    적어도 하나의 가로 스트럿(transverse strut)(12)으로서, 그 단부(26, 27)들은, 각각 가로 스트럿(12)의 한쪽 단부(26, 27)와, 연결 대상의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 39)의 둘레면에 마련된 하나의 커넥팅 섹션(30, 31, 48, 49)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 스트럿(12); 및
    상기 코너 커넥터에 대해 상기 가로 스트럿(12)을 해제 가능하게 텐셔닝(tensioning)하는 텐셔닝 요소(13)
    를 포함하는 코너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커넥터(10)와 연결 대상의 상기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 39)는 서로에 포지티브 로킹(positive locking)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인 코너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돌출부(28, 29)가 상기 가로 스트럿(12)의 단부(26, 27)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28, 29)는 상기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둘레면의 커넥팅 섹션에 형성된 보어(30, 31) 내에 맞물릴 수 있는 것인 코너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리세스(46, 37)가 상기 가로 스트럿의 단부(26, 27)에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46, 47) 내에, 상기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둘레면의 커넥팅 섹션에 배치된 핀(48, 49)이 맞물릴 수 있는 것인 코너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커넥터(11)의 커넥터 섹션(20, 21)은 상기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의 로드 단면에 맞춰진 단면을 갖는 커넥터 요소(22, 23)를 포함하는 것인 코너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요소(20, 21)는 상기 코너 커넥터(11)의 커넥터 섹션(20, 21)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인 코너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요소(1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코너 커넥터(11)에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스크루(14)를 포함하는 것인 코너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요소(13) 중 적어도 하나는 신속 조작 텐셔너(41)를 포함하는 것인 코너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요소(11)는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커넥터 섹션(20, 21)을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커넥터 요소들은 각각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인 코너 커넥터.
  10.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조립 시스템으로서:
    제9항에 따른 코너 커넥터 복수 개를 포함하며, 그 중 적어도 2개의 코너 커넥터가 상이한 개수의 커넥터 요소(20, 21)를 구비하는 것인 조립 시스템.
  11.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18, 19)로 조립된 하중 지지 또는 유지 프레임(60)으로서: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요소(18, 19)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너 커넥터(1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인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0)은 설치 요소(61)를 위한 체결 수단(50, 62, 64, 70, 71)을 포함하는 것인 프레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자성 홀더(50)를 포함하는 것인 프레임.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유지 레일(70)을 포함하는 것인 프레임.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탄성적으로 장착된 유지 핀(71)을 포함하는 것인 프레임.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한 제1 및 제2 슬롯(52, 64)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 요소(61)는, 상기 프레임(60)에 연결되는 각 측부에, 상기 프레임에 형성한 제1 개구(62) 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63)와, 상기 프레임(60)에 형성한 제2 개구(64) 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65)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개구(62)의 길이 방향 크기는 상기 제1 돌출부(63)의 길이 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며, 상기 제2 개구(64)의 길이 방향 크기는 상기 제2 돌출부(65)의 길이 방향 크기보다 큰 것인 프레임.
KR1020177005737A 2014-08-01 2015-07-31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 KR20170038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5254.2A DE102014215254A1 (de) 2014-08-01 2014-08-01 Trage- oder Halterahmen
DE102014215254.2 2014-08-01
PCT/EP2015/067753 WO2016016462A1 (de) 2014-08-01 2015-07-31 Eckverbinder für stabförmige profilelemen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885A true KR20170038885A (ko) 2017-04-07

Family

ID=5378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737A KR20170038885A (ko) 2014-08-01 2015-07-31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70261022A1 (ko)
EP (2) EP3175127B1 (ko)
JP (1) JP2017529504A (ko)
KR (1) KR20170038885A (ko)
CN (1) CN107076191A (ko)
CA (1) CA2956873A1 (ko)
DE (2) DE102014215254A1 (ko)
ES (1) ES2793973T3 (ko)
RU (1) RU2017106605A (ko)
WO (1) WO2016016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0227B2 (en) * 2015-06-09 2019-04-16 Rock West Composites, Inc. Tubular framing system and method
JP6887426B2 (ja) * 2015-10-07 2021-06-16 ブランキング システムズ インクBlanking Systems, Inc. 三方コーナー・アセンブリ
US11118617B1 (en) * 2018-04-30 2021-09-14 Valley Design Enterprises Inc Table leg attachment
US20200149288A1 (en) 2018-11-13 2020-05-14 Katerra Inc. Floor panel
CN110031550B (zh) * 2019-05-17 2021-08-03 中国石油天然气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手动型斜接管角焊缝相控阵扫查装置
RU202314U1 (ru) * 2020-10-19 2021-02-11 Петр Сергеевич Москвитин Пластина для стыковоч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офилей и профильных труб
CN112320120A (zh) * 2020-11-20 2021-02-05 广州市宝田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货物运输笼顶框的组合构件
US11649640B2 (en) * 2021-04-06 2023-05-16 Jahnke & Sons Construction, Inc. Interlocking tiles
CN113556902B (zh) * 2021-07-14 2022-11-18 滁州市朝友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机柜框架角连接件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0150A (fr) * 1971-02-12 1972-10-31 Gardy Particip App Coffret comprenant deux parois adjacentes réunies par un dispositif d'assemblage
JPS5221212Y2 (ko) * 1973-01-10 1977-05-16
DK196176A (da) * 1975-05-06 1976-11-07 Caimi Export Snc Metalramme til mobler
FR2542046B1 (fr) * 1983-01-13 1985-11-29 Atal Dispositif d'angle destine a l'assemblage d'un triedre de trois tubes
DE9201517U1 (ko) * 1992-02-07 1992-04-02 Heitz, Walter, 7550 Rastatt, De
GB9401665D0 (en) * 1994-01-28 1994-03-23 Wandsworth Electrical Limited An electrical switch or socket assembly
DE19734350C1 (de) 1997-08-08 1998-11-19 Eckhard Schirmer Geschlossener Trag- und Halterahmen
US6647652B1 (en) * 1998-10-30 2003-11-18 Steelcase Development Inc. Display board system
EP1081393A1 (de) * 1999-09-06 2001-03-07 Inventio Ag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von Platten
JP3073028U (ja) * 2000-05-08 2000-11-14 學宏 金 パイプの接合構造
GB2391802B (en) * 2002-08-14 2005-10-05 Peter Cook Internat Plc Knock down furniture
JP2007303572A (ja) * 2006-05-12 2007-11-22 Imao Corporation:Kk フレームの連結具
DE202008015827U1 (de) * 2008-12-01 2009-04-16 MATTHEW COMFORT CO., LTD., Pei-Dou Verbindung eines Möbels aus Metallrohren
KR20110057290A (ko) * 2009-11-24 2011-06-01 홍덕인 테이블
DE102010062751A1 (de) * 2010-12-09 2012-06-14 Greiner Tool.Tec Gmbh Eckverbindungsvorrichtung für Profile
CN202810343U (zh) * 2012-09-24 2013-03-20 张家港固耐特围栏系统有限公司 围栏转角连接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15254A1 (de) 2016-02-04
WO2016016462A1 (de) 2016-02-04
DE202015009438U1 (de) 2017-08-16
CA2956873A1 (en) 2016-02-04
EP3653891A1 (de) 2020-05-20
JP2017529504A (ja) 2017-10-05
RU2017106605A3 (ko) 2019-01-30
CN107076191A (zh) 2017-08-18
RU2017106605A (ru) 2018-09-04
ES2793973T3 (es) 2020-11-17
EP3175127A1 (de) 2017-06-07
US20170261022A1 (en) 2017-09-14
EP3175127B1 (de)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8885A (ko)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
KR200440676Y1 (ko) 조립식 선반
US20170020282A1 (en) Device and system for joining objects
GB2453012A (en) Construction profile and support system
US9974203B1 (en) Rack system for supporting a computing device
KR20200008865A (ko) 무타공 프로파일 연결 장치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JP4051653B2 (ja) 部材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方法並びに傘立て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JP5296321B2 (ja) 格子固定素子
JP2008057623A (ja) フレームの結合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コン置台
EP2978979B1 (en) Frame connector assembly for large portable frameworks
JP2005299954A (ja) エアコン用置き台
IT201900005034A1 (it) Dispositivo di aggancio e relativo metodo di aggancio
EP3534017B1 (en) Depth adjustment bracket
JP3940576B2 (ja) 書架における棚板の取付け装置
JP6882887B2 (ja) 板材の取付構造及び板材の取付方法
EP3138975A1 (en) Telescopic prop that can be fitted between two parallel planes and kit for erecting walls
JP4859615B2 (ja) ガラスパネル材の支持部材
JP2016083097A (ja) 棚の補強機構
JP6545142B2 (ja) 嵌め込みジョイナー
KR200284843Y1 (ko) 조립식 구조물용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JP6914060B2 (ja) 間仕切り壁の接続具及び接続構造
JP6836916B2 (ja) 簡易建物
JP2017119992A (ja) 水平ブレース構造、水平ブレースの支持装置、及び空間構造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