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766A -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766A
KR20170033766A KR1020160074527A KR20160074527A KR20170033766A KR 20170033766 A KR20170033766 A KR 20170033766A KR 1020160074527 A KR1020160074527 A KR 1020160074527A KR 20160074527 A KR20160074527 A KR 20160074527A KR 20170033766 A KR20170033766 A KR 20170033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tate
driven
fan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378B1 (ko
Inventor
마코토 미야자키
다츠야 기타노
유우키 후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03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4Pump-driv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4Pump-driving arrangements
    • F01P5/043Pump rever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01P7/0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varying pump speed, e.g. by changing pump-drive gear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회전 상태 전환 기구에 대한 수리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라디에이터에 냉각풍을 통풍하는 팬(20)을 냉각용의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정전 상태와 제진용의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역전 상태로 전환 가능한 액추에이터(4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통상 운전 모드와 메인터넌스 모드로 제어 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부는, 통상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정전 상태와 역전 상태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액추에이터(40)의 작동을 제어하고,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는, 내측 종동륜체(24) 및 외측 종동륜체(25) 모두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23)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로 전환되도록 액추에이터(40)의 작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ENGINE COOL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본 발명은,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라디에이터에 냉각풍을 통풍하는 팬과, 팬을 냉각용의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정전 상태와 제진용의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역전 상태로 전환 가능한 회전 상태 전환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는, 팬을 정전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라디에이터를 냉각하고, 팬을 역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라디에이터의 제진부에 부착된 진애를 날리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종래에는, 회전 상태 전환 기구는,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전동 벨트(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와, 그 전동 벨트의 내주면에 접하는 정전용 풀리(한쪽의 종동륜체), 외주면에 접하는 역전용 풀리(다른 쪽의 종동륜체), 및 팬의 입력 풀리에 걸쳐 권회되는 종동 측 벨트(종동 측의 무단 회동체)를 구비하고, 전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정전용 풀리가 전동 벨트에 압접하는 정전 상태와, 역전용 풀리가 전동 벨트에 압접하는 역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3063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 상태 전환 기구는, 정전 상태와 역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는 구성이므로, 다음과 같은 불리함이 있었다.
작업이 종료된 후, 회전 상태 전환 기구에 대해, 수리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회전 상태 전환 기구를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여 수리 점검 등의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즉, 회전 상태 전환 기구는, 종동륜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종동륜체를 이동 조작하는 전동 모터 및 그것에 부수되는 연계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들 각 부재를 기체 측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라도, 회전 상태 전환 기구는, 정전 상태와 역전 상태 중, 엔진이 작동 정지하였을 때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종동륜체(풀리)가 전동 벨트에 압접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동륜체가 전동 벨트에 압접하는 상태이면, 종동륜체는 전동 벨트의 장력에 의한 반력을 받고 있다. 그 결과, 회전 상태 전환 기구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기체 측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제거할 때, 종동륜체가 받는 반력에 기인하여 제거 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회전 상태 전환 기구에 대한 수리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의 특징 구성은,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라디에이터에 냉각풍을 통풍하는 팬과, 상기 팬을 냉각용의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정전 상태와 제진용의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역전 상태로 전환 가능한 회전 상태 전환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상태 전환 기구는,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와,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의 내주면에 접하는 내측 종동륜체와,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외측 종동륜체와, 상기 외측 종동륜체, 상기 내측 종동륜체 및 팬 구동용 륜체의 각각에 걸쳐 권회되는 종동 측의 무단 회동체와, 상기 외측 종동륜체 및 상기 내측 종동륜체를 일체적으로 위치 변경 조작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통상 운전 모드와 메인터넌스 모드로 제어 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상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종동륜체를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외측 종동륜체를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부터 이격시키는 상기 정전 상태와, 상기 외측 종동륜체를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내측 종동륜체를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부터 이격시키는 상기 역전 상태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종동륜체 및 상기 외측 종동륜체의 양방이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주행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통상 제어 모드로 전환되고, 팬을 냉각용의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정전 상태와 제진용의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역전 상태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작업 종료 후에, 수리 점검 등을 행하는 메인터넌스 작업에 있어서는, 제어부가 메인터넌스 모드로 전환된다.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는, 제어부가 액추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내측 종동륜체 및 외측 종동륜체의 양방이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로 전환된다.
그 결과, 메인터넌스 작업을 위해, 회전 상태 전환 기구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기체 측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제거할 때, 종동륜체에 대해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부터 반력을 받는 일이 없어, 제거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따라서, 회전 상태 전환 기구에 대한 수리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립 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중립 상태 검출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작동 정지한 후에 재시동이 지령되었을 때, 상기 중립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중립 상태인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엔진의 시동 처리를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 엔진을 작동 정지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어 회전 상태 전환 기구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제거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해진다. 메인터넌스 작업 후에는, 회전 상태 전환 기구에 있어서의 각 부재가 다시 조립 장착된다.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해질 때에는, 내측 종동륜체 및 외측 종동륜체의 양방이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로 전환되어 있지만, 메인터넌스 작업 종료 후에, 내측 종동륜체 및 외측 종동륜체의 장착 위치가 적정 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에서 조립 장착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적정하지 않은 조립 장착 상태이면, 중립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중립 상태인 것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엔진의 재시동이 지령되어도 엔진의 시동 처리가 금지된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작업 종료 후에, 내측 종동륜체 및 외측 종동륜체의 장착 위치가 적정 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 그대로 엔진을 작동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의 재시동이 지령되었을 때, 상기 중립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중립 상태인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그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 메인터넌스 작업이 종료된 후에, 엔진의 재시동이 지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엔진이 시동되지 않을 때, 통지 수단이 통지 작용하므로, 작업자는, 내측 종동륜체 및 외측 종동륜체의 장착 위치가 적정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어, 조립 장착이 적정하게 행해져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통지 수단이 작동하고 나서 바로, 조립 작업을 다시 실행함으로써, 내측 종동륜체 및 외측 종동륜체의 장착 위치를 적정 위치로 수정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상태 전환 기구는, 상기 내측 종동륜체와 상기 외측 종동륜체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 조작하여 상기 외측 종동륜체 및 상기 내측 종동륜체를 일체적으로 위치 변경 조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립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지지 부재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중립 상태인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액추에이터가 지지 부재를 이동 조작함으로써, 외측 종동륜체와 내측 종동륜체를 일거에 위치 변경시킬 수 있어, 외측 종동륜체와 내측 종동륜체를 각각 별도로 이동 조작하는 구성에 비해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중립 상태 검출 수단은, 지지 부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면 되고, 간소한 구성이면서, 적절하게 중립 상태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의 상방을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엔진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자세 전환 가능한 엔진 보닛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상태 전환 기구가 착탈 가능하게 상기 엔진 보닛에 장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엔진을 작동시켜 통상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엔진의 상방은 폐쇄 상태의 엔진 보닛에 의해 덮여 있다. 한편, 엔진의 수리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엔진 보닛은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 엔진의 상방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회전 상태 전환 기구가 착탈 가능하게 엔진 보닛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엔진 보닛을 개방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회전 상태 전환 기구를 엔진 보닛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즉, 엔진 보닛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 엔진 보닛이 기체 측의 프레임 부재로서 기능하여, 회전 상태 전환 기구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 주위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에는, 회전 상태 전환 기구를 엔진 보닛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회전 상태 전환 기구가 방해로 되는 일 없이, 엔진 보닛을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원동부의 정면도.
도 4는 전환 조작부의 종단 측면도.
도 5는 회전 상태 전환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정전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상태 전환 기구의 측면도.
도 7은 역전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상태 전환 기구의 측면도.
도 8은 중립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상태 전환 기구의 측면도.
도 9는 제어 블록도.
도 10은 제어 동작의 흐름도.
도 11은 액정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통지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의 실시 형태를,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에 의해 자주하는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2)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의 전방부 우측에 캐빈(3)에 의해 주위가 덮인 운전부(4)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는, 예취부(2)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5)와,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6)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의 운전부(4)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7)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원동부(8)가 구비되고, 곡립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을 기계 외부로 배출하는 언로더(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의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기체 진행 방향을 따라 정의하고, 기체의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기체 진행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부호 (F)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전방 측, 도 1 및 도 2에 부호 (B)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후방 측이다. 도 2에 부호 (L)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좌측, 도 2에 부호 (R)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우측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4)는, 운전 좌석(7), 운전 좌석(7)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론트 패널(10), 이 프론트 패널(10)과 운전 좌석(7)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부(11), 운전 좌석(7)의 예취부(2) 측의 횡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1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보닛(14)은, 엔진(13)의 기체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전방 판부(14a), 엔진(13)의 기체 상방 측에 위치하는 상면부(14b), 상면부(14b)의 후방에 연속되는 상태로 운전 좌석(7)의 후방에 형성된 급기실 구성부(14c) 등을 구비하고 있고, 기체 가로 방향에서의 내측 방향과 기체 하부 방향으로 개구된 엔진 룸을 형성하고 있다. 운전 좌석(7)은, 상면부(14b)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급기실 구성부(14c)의 내부에는, 외기를 정화하여 엔진(13)에 대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클리너(15)가 구비되고, 캐빈(3)의 우측 후방부의 상부 개소에 외기를 예비적으로 정화하여 에어 클리너(15)에 공급하기 위한 프리 클리너(16)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보닛(14), 프론트 패널(10), 사이드 패널(12), 바닥부(11), 운전 좌석(7), 캐빈(3) 등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운전부 구조체(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운전부 구조체(17)는, 운전 좌석(7)의 좌측 후방부 측의 상하 축심 Y1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8)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부 구조체(17)는, 기체 내측으로 퇴피하는 통상 사용 자세(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외측으로 돌출된 메인터넌스 자세(도 2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곡립 탱크(6)도 운전부 구조체(17)와 마찬가지로, 후방부 종축심 Y2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8)에 지지되어 있고, 기체 내측으로 퇴피하는 통상 사용 자세(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외측으로 돌출된 메인터넌스 자세(도 2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곡립 탱크(6)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전환한 상태에서, 운전부 구조체(17)를 외측으로 돌출된 메인터넌스 자세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동부(8)에는, 엔진 보닛(14) 내에, 엔진(13)과, 그 엔진(13)의 냉각용 라디에이터(19)와, 엔진(13)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라디에이터(19)에 냉각풍을 통풍하는 팬(20)이 구비되고, 엔진 보닛(14)의 횡측면에 설치한 외기와의 연통구에는, 그 전체면을 덮는 상태로 방진망(2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원동부(8) 내에는, 팬(20)을 냉각용의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정전 상태와 제진용의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역전 상태로 전환 가능한 회전 상태 전환 기구(22)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회전 상태 전환 기구(22)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상태 전환 기구(22)는, 엔진(13)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서의 제1 전동 벨트(23)와, 제1 전동 벨트(23)의 내주면에 접하는 내측 종동륜체로서의 정전용 풀리(24)와, 제1 전동 벨트(23)의 외주면에 접하는 외측 종동륜체로서의 역전용 풀리(25)와, 정전용 풀리(24), 역전용 풀리(25) 및 팬 구동용 륜체로서의 팬 구동용 풀리(26) 각각에 걸쳐 권회되는 종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서의 제2 전동 벨트(27)와, 정전용 풀리(24)와 역전용 풀리(25)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전환 부재(28)와, 전환 부재(28)를 이동 조작하여 정전용 풀리(24) 및 역전용 풀리(25)를 일체적으로 위치 변경 조작 가능한 전환 조작부(29)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조작부(29)는, 전환 부재(28)의 상방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액추에이터로서의 전동 모터(40)와, 이 전동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소직경의 출력 기어(41)가 맞물려 구동되는 대직경의 종동 기어(42)와, 종동 기어(4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회동 조작 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환 조작부(29)는, 엔진 보닛(14)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전동 벨트(23)는, 엔진(13)의 측면에 지지된 회전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이들링 풀리(31)와, 엔진(13)의 출력 풀리(32)와, 알터네이터(33)의 입력 풀리(34)에 걸쳐 권회되어 있다. 알터네이터(33)의 케이스 상부의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텐션 아암(35)의 선단부에, 텐션 풀리(36)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텐션 아암(35)을 제1 전동 벨트(23)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7)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 텐션 풀리(36)가 항상 제1 전동 벨트(23)의 외면에 압박되어, 제1 전동 벨트(23)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전동 벨트(27)가 권회되는 팬 구동용 풀리(26)는, 회전축(3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지지되어 있다. 이 팬 구동용 풀리(26)의 보스부에 팬(20)의 기부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팬(20)은 팬 구동용 풀리(26)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전환 부재(28)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전환 부재(28)의 1개의 코너부 개소가 보스부를 통해 회전축(3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부재(28)의 다른 2개의 코너부 개소 각각에 위치하는 지지 축(38, 39)에, 정전용 풀리(24)와 역전용 풀리(2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전용 풀리(24) 및 역전용 풀리(25)는 각각, 제1 전동 벨트(23)에 접촉하는 제1 접촉부(24a, 25a)와, 제2 전동 벨트(27)에 접촉하는 제2 접촉부(24b, 25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3)의 출력 풀리(32)가 엔진(13)의 작동에 수반하여 회전하여, 제1 전동 벨트(23)가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시 회동하는 상태로 구동되고 있다. 그리고, 전환 부재(28)를 도 6에 나타내는 정전 위치 A1로 요동 조작하면, 팬(20)을 냉각용의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정전 상태로 된다. 즉, 정전용 풀리(24)의 제1 접촉부(24a)가 제1 전동 벨트(23)의 내주면에 압박되어, 제1 전동 벨트(23)의 동력이 정전용 풀리(24)의 제2 접촉부(24b) 및 제2 전동 벨트(27)를 통해, 입력 풀리(34)에 정전용 동력으로서 전달되어, 팬(20)이 도 6에 나타내는 시계 방향으로 정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팬(20)이 정전 구동되면, 팬(20)의 흡인 작용에 의해 외기가 냉각풍으로서, 방진망(21)으로부터 라디에이터(19)를 통해 엔진(13) 측으로 흐르는 통상의 통풍 상태로 된다.
전환 부재(28)를 도 7에 나타내는 역전 위치 A2로 요동 조작하면, 팬(20)을 제진용의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역전 상태로 된다. 즉, 역전용 풀리(25)의 제1 접촉부(25a)가 제1 전동 벨트(23)의 외주면에 압박되어, 제1 전동 벨트(23)의 동력이 역전용 풀리(25)의 제2 접촉부(25b) 및 제2 전동 벨트(27)를 통해, 입력 풀리(34)에 역전용 동력으로서 전달되어, 팬(20)이 도 7에 나타내는 반시계 방향으로 역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팬(20)이 역전 구동되면, 팬(20)의 분출 작용에 의해 공기가 통상의 통풍 상태와는 반대로 흘러, 라디에이터(19)의 표면 및 방진망(21)에 부착된 먼지 등이 날린다.
전환 부재(28)를 도 8에 나타내는 중립 위치 A3으로 요동 조작하면, 정전용 풀리(24) 및 역전용 풀리(25) 모두 제1 전동 벨트(23)에 대해 압접하지 않고 동력 전달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로 된다. 이 중립 상태는, 회전 상태 전환 기구(22)에 있어서의 점검 수리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전동 상태이다.
다음으로, 전환 조작부(29)의 장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전환 조작부(29)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40), 종동 기어(42) 및 그것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회동 조작 부재(43)는 각각, 지지 부재(44)에 지지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44)는, 상부 측에 위치하는 수평 자세의 상부 장착판(44A)과, 상부 장착판(44A)의 좌우 중간부의 하측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종판부(44B)와, 그들에 걸쳐 설치된 경사 자세의 보강판(44C)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 모터(40)의 케이스부(40a)가 종판부(44B)에 볼트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됨과 함께, 전동 모터(40)의 회전축(40b)이 종판부(44B)를 삽입 관통하여 반대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회전축(40b)의 돌출부에 출력 기어(41)가 구비되어 있다. 출력 기어(41)가 맞물리는 대직경의 종동 기어(42)가, 지지 부재(44)의 종판부(44B)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40) 배치 측과는 반대 측에 고정된 좌우 방향의 고정축(45)에 그 축심 P2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동 기어(42)의 횡측 일면에는 그 종동 기어(4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회동 조작 부재(4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44)가 엔진 보닛(1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엔진 보닛(14)에 있어서의 급기실 구성부(35c)의 저부의 하면 측에,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단면 대략 L자형의 좌우 한 쌍의 장착 브래킷(46)이 고정되고, 좌우의 장착 브래킷(46)에 걸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상태로 보닛 측 장착판(4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닛 측 장착판(47)에 4개의 볼트(48)가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44)의 상부 장착판(44A)에는, 4개의 볼트(48)가 삽입 관통하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볼트(48)가 각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49)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부 장착판(44A)을 보닛 측 장착판(47)의 하면 측에 압박 접촉시켜, 볼트(48)와 너트(50)를 체결함으로써, 지지 부재(44)가 엔진 보닛(14)에 장착된다. 4개의 너트(50)를 풂으로써, 지지 부재(44)를 엔진 보닛(14)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지지 부재(44)의 상부 장착판(44A)을 보닛 측 장착판(47)에 연결하는 4개의 볼트(48) 중, 전방부 우측에 위치하는 볼트(48a) 이외의 3개의 볼트(48)는, 보닛 측 장착판(47)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전방부 우측에 위치하는 볼트(48a)는, 지지 부재(44)의 상부 장착판(44A)을 너트(50)에 의해 체결 고정 가능함과 함께, 보닛 측 장착판(47)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나사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 구조체(17)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전환할 때, 보닛 측 장착판(47)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48) 중 전방부 우측에 위치하는 볼트(48a)가, 라디에이터(19)의 외측에 배치된 인터쿨러(62)의 배관(h) 등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28)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대략 부채 형상의 권취 부재(51)가 설치되어 있고, 일단부 측이 회동 조작 부재(43)에 설치한 핀(43a)에 접속된 와이어(52)의 타단부 측이 권취 부재(51)에 설치된 핀(51a)에 접속되어 있다. 권취 부재(51)에는, 전환 부재(28)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와이어(52)가 회전축(30)의 외주부를 원호 형상으로 우회하기 위해 권취 상태로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조작 부재(43)의 와이어 접속용의 핀(43a)과는 주위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핀(43b)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43b)과 전환 부재(28)의 요동 단부 측에 설치한 핀(28a)에 걸쳐 스트로크 흡수 기능을 구비한 조작 부재인 코일 스프링(53)이 장설되어 있다.
전동 모터(40)를 구동하여, 회동 조작 부재(43)를 정전 위치 측, 즉,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코일 스프링(53)을 통해 전환 부재(28)가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28)가 정전 위치 A1에 대응하는 각도에 위치하여, 제1 전동 벨트(23)에 대한 장력이 적정한 정전 상태로 되면, 핀(43b)이 데드 포인트를 타고 넘어, 제1 전동 벨트(23)의 장력에 의한 코일 스프링(53)을 통해 가해지는 인장력이 그때까지와는 역방향, 즉, 전동 모터(40)에 의한 회동 조작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태로 전환되어, 전동 모터(40)가 작동 정지하여, 그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전동 모터(40)는, 내부에 웜기어 감속 기구를 내장하고 있어, 전동 모터(40)의 회전 작동을 정지시킨 후에, 제1 전동 벨트(23)의 장력에 의해 종동 기어(42) 측으로부터 회전력이 작용해도, 그 회전이 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동 모터(40)에 의해 회동 조작 부재(43)를 반시계 방향으로 약 180°회전 구동하면, 와이어(52)가 당김 조작되어, 전환 부재(28)도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전환 부재(28)가 역전 위치 A2로 요동 조작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28)가 역전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에 위치하여, 제1 전동 벨트(23)에 대한 장력이 적정한 역전 상태로 되면, 핀(43a)이 데드 포인트를 타고 넘어, 제1 전동 벨트(23)의 장력에 의한 와이어(52)를 통해 가해지는 인장력이 그때까지와는 역방향, 즉, 전동 모터(40)에 의한 회동 조작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태로 전환되어, 전동 모터(40)가 작동 정지하여 그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 경우에, 전환 부재(28)를 정전 위치 A1로부터 역전 위치 A2로 요동 조작하면, 전환 부재(28)의 요동에 수반하여 코일 스프링(53)이 전환 부재(28) 측으로 당김 조작되게 되지만, 이것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53)이 접속되는 회동 조작 부재(43)의 핀(43a)도 전환 부재(28) 측으로 이동하므로, 전환 부재(28)의 정전 위치 A1로부터 역전 위치 A2로의 요동 조작에 대해 코일 스프링(53)이 큰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전동 모터(40)를 정역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정전 상태와 역전 상태를 교대로 전환할 수 있다.
알터네이터(33)의 하방 측에 위치시켜, 전환 부재(28)의 요동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중립 위치 검출 수단의 일례로서의 포텐시오미터형 조작 위치 센서(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위치 센서(54)는, 센서 본체(54a)에 횡축심 P3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아암(54b)의 요동 단부 측과 상기 전환 부재(28)의 요동 단부 측 개소의 사이를 링크(55)에 의해 연동 연계시켜 전환 부재(28)의 요동 조작 위치에 따른 검출값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40)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 이용의 제어부(56)가 설치되고, 이 제어부(56)에는, 조작 위치 센서(54)의 검출 정보가 입력된다. 각 전기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온 오프하는 메인 스위치(57)와, 운전부(4)의 프론트 패널(10)에 구비되어, 다양한 정보를 표시 가능하고, 또한 지령 조작이 가능한 터치 패널식 액정 표시부(58)가 구비되고, 그들 정보도 제어부(56)에 입력되어 있다. 제어부(56)는, 조작 위치 센서(54)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40)의 작동을 제어함과 함께, 셀 모터(59)나 연료 차단 밸브(6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엔진(13)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액정 표시부(58)의 작동을 제어한다.
메인 스위치(57)는, 각 전기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오프 위치, 각 전기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행하는 온 위치, 엔진(13)의 시동을 지령하는 시동 위치로 전환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엔진(13)이 작동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메인 스위치(57)가 시동 위치로 조작되면, 제어부(56)는 셀 모터(59)를 작동시켜 엔진(13)을 시동한다. 엔진(13)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스위치(57)가 오프 위치로 조작되면, 각 전기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이 정지됨과 함께, 제어부(56)가 연료 차단 밸브(60)를 작동시켜 엔진(13)을 작동 정지한다.
제어부(56)는, 통상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전환 부재(28)를 정전 위치 A1에 위치시켜 정전용 풀리(24)의 제1 접촉부(24a)를 제1 전동 벨트(23)에 압접시키고, 또한 역전용 풀리(25)를 제1 전동 벨트(23)로부터 이격시키는 정전 상태와, 전환 부재(28)를 역전 위치 A2에 위치시켜 역전용 풀리(25)의 제1 접촉부(25a)를 제1 전동 벨트(23)에 압접시키고, 또한 정전용 풀리(24)를 제1 전동 벨트(23)로부터 이격시키는 역전 상태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전동 모터(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6)는,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는, 정전용 풀리(24) 및 역전용 풀리(25) 모두 제1 전동 벨트(23)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로 전환되도록 전동 모터(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6)는,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 엔진(13)이 작동 정지한 후에 재시동이 지령되었을 때, 조작 위치 센서(54)에 의해 중립 상태인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엔진(13)의 시동 처리를 금지함과 함께, 그것을 통지 수단으로서의 액정 표시부(58)에 표시하여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어부(56)에 의한 전동 모터(40)의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56)는, 메인 스위치(57)가 온 위치로 조작되어 전원이 투입되면, 제어 처리를 개시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가 개시되면, 통상 운전 모드에서 운전을 실행한다(스텝 1). 즉, 제어 모드로서 통상 운전 모드가 초기 설정되어 있다.
통상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전환 부재(28)를 정전 위치 A1로 조작하여 팬(20)을 정전 구동하는 정전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정전용 설정 시간(예를 들어, 수 분간 정도)이 경과하면, 전환 부재(28)를 역전 위치 A2로 조작하여 팬(20)을 역전 구동하는 역전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역전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역전용 설정 시간(예를 들어, 수 초간 정도)이 경과하면, 다시 정전 상태로 전환한다. 이러한 정전 상태와 역전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설정 시간 간격으로 팬(20)을 역전 구동시켜, 방진망(21)에 부착된 진애를 날린다. 메인 스위치(57)가 오프 위치로 조작되어 엔진 정지가 지령되면, 연료 차단 밸브(60)를 조작하여 엔진(13)의 작동을 정지한다(스텝 3).
회전 상태 전환 기구(22)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액정 표시부(58)를 조작하여 메인터넌스 모드가 지령되면, 플래그를 세트하고(스텝 2, 4), 전환 부재(28)가 중립 위치로 조작되도록 전동 모터(40)의 작동을 제어한다(스텝 5). 그 후, 엔진 정지가 지령되면 엔진(13)의 작동을 정지한다(스텝 6, 7).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행한다.
제어부(56)는, 전환 부재(28)가 중립 위치로 이동한 것을, 조작 위치 센서(54)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전환 부재(28)가 중립 위치 A3에 있는 중립 상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전용 풀리(24) 및 역전용 풀리(25) 모두 제1 전동 벨트(23)에 대해 압접하지 않고 동력 전달을 받지 않는 상태이다. 이 중립 상태에서는, 전환 부재(28)에 대해 제1 전동 벨트(23)의 장력에 대한 조작 반력을 받는 일이 없으므로, 메인터넌스 작업을 위해, 전환 부재(28)나 전동 모터(40)를 지지 부재(44)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 모드의 설정은 액정 표시부(58)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액정 표시부(58)는, 초기 설정 상태에서는,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58A)에서 작업용의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탈곡 장치의 부하 상태나 곡립 저류 상태 등을 표시한다. 메인 표시 영역(58A)의 하방 측에 모드 표시 영역(58B)과,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전환을 지령하는 모드 전환 지령부(58C)가 구비된다.
모드 전환 지령부(58C)를 조작하면,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전환 확인 화면이 표시되고, 지령부(58D)를 조작하면,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모드로 전환된다. 모드 전환 지령부(58C)를 다시 조작하면,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설정에는 복수 회의 조작이 필요하고, 오조작에 의해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전환이 행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 후, 메인 스위치(57)가 시동 위치로 조작되어 엔진 시동이 지령되면(스텝 8), 그때, 메인터넌스 작업이 종료된 후이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메인터넌스 모드일) 때에는, 조작 위치 센서(54)에 의해 중립 상태인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엔진(13)의 시동 처리를 금지하여 정지 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그것을 통지 수단으로서의 액정 표시부(58)에 표시하여 통지한다(스텝 9, 10, 11, 12). 액정 표시부(58)의 표시로서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에, 「팬 역전 기구가 정상적으로 세트되어 있지 않습니다」라고 하는 것과 같은 통지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다음의 엔진 시동 지령을 대기한다.
조작 위치 센서(54)에 의해 중립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플래그를 리셋하여, 셀 모터(59)를 작동시켜 엔진(13)을 시동한다(스텝 13, 14). 스텝 9에서 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 경우에도, 엔진(13)을 시동한다(스텝 15).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터넌스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1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메인터넌스 모드가 설정되면, 전환 부재(28)가 중립 위치로 되도록 전동 모터(40)를 제어한 후, 제어부에의 전원 공급이 자동적으로 정지됨과 함께, 엔진(13)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13)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라도, 메인터넌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제어부(56)에의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엔진(13)의 작동이 정지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전환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립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 포텐시오미터형의 조작 위치 센서(54)를 사용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 등의 검출 스위치를 사용해도 된다.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전동 모터로서, 1개의 펄스 전류로 소정의 이송만큼 회동하는 펄스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 개시로부터의 펄스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중립 위치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13)이 작동 정지한 후에 재시동이 지령되었을 때, 중립 상태인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엔진(13)의 시동 처리를 금지함과 함께, 그 취지를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하도록 하였지만, 통지만을 행하고, 엔진(13)의 시동은 허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엔진(13)의 시동 처리를 금지하고, 통지 수단에 의한 통지를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지 수단이 액정 표시부(58)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통지 수단으로서는, 액정 표시부(58) 대신에, 표시 램프를 점등시키거나, 버저를 작동시키는 등, 다른 통지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전동 모터)에 의해 전환 부재(28)를 이동 조작하여 정전용 풀리(24) 및 역전용 풀리(25)를 일체적으로 위치 변경 조작하도록 하였지만, 2개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정전용 풀리(24) 및 역전용 풀리(25)를 각각 별도로 이동 조작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로서 전동 모터(40)를 사용하였지만, 전동 모터 대신에, 전동 실린더, 유압 모터, 유압 실린더 등의 다른 장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콤바인에 한정되지 않고, 트랙터, 건설 기계 등, 다른 종류의 작업차에도 적용할 수 있다.
13 : 엔진
14 : 엔진 보닛
19 : 라디에이터
20 : 팬
22 : 회전 상태 전환 기구
23 :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
24 : 내측 종동륜체
25 : 외측 종동륜체
26 : 팬 구동용 륜체
27 : 종동 측의 무단 회동체
40 : 액추에이터
44 : 지지 부재
54 : 중립 상태 검출 수단
56 : 제어부
58 : 통지 수단

Claims (6)

  1.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라디에이터에 냉각풍을 통풍하는 팬과, 상기 팬을 냉각용의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정전 상태와 제진용의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역전 상태로 전환 가능한 회전 상태 전환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상태 전환 기구는,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와,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의 내주면에 접하는 내측 종동륜체와,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외측 종동륜체와, 상기 외측 종동륜체, 상기 내측 종동륜체, 및 팬 구동용 륜체의 각각에 걸쳐 권회되는 종동 측의 무단 회동체와, 상기 외측 종동륜체 및 상기 내측 종동륜체를 일체적으로 위치 변경 조작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통상 운전 모드와 메인터넌스 모드로 제어 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상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종동륜체를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외측 종동륜체를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부터 이격시키는 상기 정전 상태와, 상기 외측 종동륜체를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내측 종동륜체를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부터 이격시키는 상기 역전 상태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종동륜체 및 상기 외측 종동륜체의 양방이 상기 구동 측의 무단 회동체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중립 상태 검출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작동 정지한 후에 재시동이 지령되었을 때, 상기 중립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중립 상태인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엔진의 시동 처리를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재시동이 지령되었을 때, 상기 중립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중립 상태인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그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상태 전환 기구는, 상기 내측 종동륜체와 상기 외측 종동륜체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 조작하여 상기 외측 종동륜체 및 상기 내측 종동륜체를 일체적으로 위치 변경 조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립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지지 부재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중립 상태인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을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엔진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자세 전환 가능한 엔진 보닛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상태 전환 기구가 착탈 가능하게 상기 엔진 보닛에 장착되어 있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을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엔진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자세 전환 가능한 엔진 보닛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상태 전환 기구가 착탈 가능하게 상기 엔진 보닛에 장착되어 있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KR1020160074527A 2015-09-17 2016-06-15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KR102576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84189A JP6529403B2 (ja) 2015-09-17 2015-09-17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JP-P-2015-184189 2015-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66A true KR20170033766A (ko) 2017-03-27
KR102576378B1 KR102576378B1 (ko) 2023-09-08

Family

ID=5836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527A KR102576378B1 (ko) 2015-09-17 2016-06-15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29403B2 (ko)
KR (1) KR102576378B1 (ko)
CN (1) CN106545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751B1 (ko) * 2018-02-09 2024-04-0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JP7034754B2 (ja) * 2018-02-19 2022-03-1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614518B1 (ja) * 2018-06-28 2019-12-0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7485631B2 (ja) * 2021-03-31 2024-05-16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2243A (ko) * 1973-09-14 1975-05-09
JP2001263063A (ja) 2000-03-15 2001-09-26 Kubota Corp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KR20030003170A (ko) * 2002-11-27 2003-01-09 대동공업주식회사 수확기 엔진의 냉각팬 정역전 장치
JP2015065872A (ja) *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8469B2 (ja) * 1991-06-21 1998-04-08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冷却装置
JP2005253406A (ja) * 2004-03-12 2005-09-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前処理駆動システム
JP4866055B2 (ja) * 2005-10-25 2012-02-01 小橋工業株式会社 収穫機
CN2895753Y (zh) * 2006-01-11 2007-05-02 重庆大江动力设备制造有限公司 静音通用内燃发电机组冷却系统
JP5475576B2 (ja) * 2010-07-07 2014-04-1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カバー及びこのベルトカバーを用いたベルト取付方法
JP2012167649A (ja) * 2011-02-16 2012-09-06 Kubota Corp エンジン冷却ファン装置
JP5678922B2 (ja) * 2012-05-31 2015-03-0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5822013B2 (ja) * 2014-08-29 2015-11-2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2243A (ko) * 1973-09-14 1975-05-09
JP2001263063A (ja) 2000-03-15 2001-09-26 Kubota Corp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KR20030003170A (ko) * 2002-11-27 2003-01-09 대동공업주식회사 수확기 엔진의 냉각팬 정역전 장치
JP2015065872A (ja) *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378B1 (ko) 2023-09-08
JP6529403B2 (ja) 2019-06-12
CN106545400A (zh) 2017-03-29
JP2017057809A (ja) 2017-03-23
CN106545400B (zh)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3766A (ko)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JP3647350B2 (ja)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5418792B2 (ja) コンバイン
JP2008088823A (ja) コンバイン
EP2826658B1 (en) Work machine
JP2018202939A (ja) 作業車両の原動部
KR101931116B1 (ko) 작업 차량
JP2006340631A (ja) コンバインの操縦部
JP2838828B2 (ja) 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JP5904142B2 (ja) コンバイン
JP4471595B2 (ja) 移動農機
JP4226042B2 (ja) エンジン冷却装置付き収穫機
JPH07224655A (ja) 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JP7034754B2 (ja) コンバイン
JPH07238834A (ja) 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JP3782344B2 (ja) コンバイン
JP4312681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4382630B2 (ja) 収穫機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2008189219A (ja) クローラ式作業車両
JPH07224654A (ja) 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JP4484913B2 (ja) 収穫機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4187699B2 (ja) 起風構造
JP4278596B2 (ja) エンジン冷却用の制御装置
JP4187700B2 (ja) 起風構造
JP4263157B2 (ja) 起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