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741A -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741A
KR20170033741A KR1020150131911A KR20150131911A KR20170033741A KR 20170033741 A KR20170033741 A KR 20170033741A KR 1020150131911 A KR1020150131911 A KR 1020150131911A KR 20150131911 A KR20150131911 A KR 20150131911A KR 20170033741 A KR20170033741 A KR 2017003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haracter
special function
cont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디오
Priority to KR102015013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3741A/ko
Publication of KR2017003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 조작할 수도 있고 한 손만으로도 조작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도록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를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방향 이동 및 특수기능이 병합된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컨트롤러의 작동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센싱부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의 방향 이동 및 특수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버튼은 캐릭터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버튼을 포함하되 버튼에는 특수기능이 설정된다. 특수기능은 버튼이 드래그되어 해당 버튼 주변의 설정 영역에 진입됨에 따라 수행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Controller apparatus for mobile game}
본 발명은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조작가능한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게임을 위해 모바일 기기에 채용된 컨트롤러는 방향키(모바일 게임상에서 캐릭터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만든 버튼) 및 특수키(캐릭터 고유의 기술(예컨대, 점프, 필살기, 무적 등)을 쓰는 특수 기능을 하는 버튼)로 나뉘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향키 및 특수키는 버튼이 매우 많고, 터치되는 범위가 협소하고 불분명하여 터치의 불편함이 있다.
특히, 출퇴근길에 대중교통을 이용 중일 경우, 한 손은 손잡이를 잡아 몸을 지탱해야 할 때 다른 한 손만으로는 게임을 제대로 즐길 수가 없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9623호(유저 캐릭터 조작 방법)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0236호(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 조작할 수도 있고 한 손만으로도 조작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도록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는, 방향 이동 및 특수기능이 병합된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작동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의 방향 이동 및 특수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캐릭터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에는 특수기능이 설정되고, 상기 특수기능은 상기 버튼이 드래그되어 해당 버튼 주변의 설정 영역에 진입됨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특수기능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으로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중에 드래그로 특수기능을 실행하였을 경우 상기 캐릭터의 이동을 멈추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수기능을 사용한 뒤 터치 종료시 상기 캐릭터를 멈추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종료후에 다시 설정 영역으로 드래그되어 돌아갈 경우 상기 캐릭터의 이동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의 크기 및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는, 방향 이동부의 버튼 및 특수 기능부의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작동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의 방향 이동 및 특수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이동부의 위치는 가변된다.
상기 방향 이동부의 버튼은 상기 캐릭터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에는 특수기능이 추가로 설정되고, 상기 특수기능은 상기 버튼이 드래그되어 해당 버튼 주변의 설정 영역에 진입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스처를 통한 많은 버튼이 필요없는 단일 버튼으로 인터페이스를 간소화시키고, 조작감이 향상된다.
나아가서 게임 뿐만 아니라 여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응용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에 채용되는 컨트롤러의 일 예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에서의 환경설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에 채용되는 컨트롤러의 일 예이다.
도 1에서, 컨트롤러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서 좌측에 위치한 방향 이동부(20) 및 우측에 위치한 4개의 버튼(32, 34, 36, 38)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향 이동부(20)는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0), 해당 캐릭터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2), 해당 캐릭터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4), 및 해당 캐릭터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6)을 포함한다.
버튼(32, 34, 36, 38)은 저마다 고유의 특수기능을 명령할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여기서, 버튼(32, 34, 36, 38)을 특수 기능부로 통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방향 이동부(20)와 특수 기능부를 합쳐서 컨트롤러라고 총칭할 수 있다.
방향 이동부(20)의 각각의 버튼(10, 12, 14, 16)을 터치하면 캐릭터가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특수 기능부의 각각의 버튼(32, 34, 36, 38)을 터치하게 되면 각각의 특수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각각의 버튼(10, 12, 14, 16)이 드래그되어 해당하는 설정 영역(22, 24, 26, 28)으로 진입하게 되면 해당 버튼에 설정된 특수기능(예컨대, 점프, 필살기, 무적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버튼에 설정된 특수기능은 모바일 게임 제작자가 미리 설정해 둘 수도 있고, 게이머의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8은 경계선으로서, 각각의 버튼(10, 12, 14, 16)을 드래그할 때 경계선(18)을 넘어 해당하는 설정 영역으로 진입해야 정상적인 드래그로 인정한다.
상술한 도 1의 컨트롤러 구성은 방향 이동부(20)를 좌측에 둠으로써, 예를 들어 왼손잡이를 위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에 채용되는 컨트롤러의 다른 예이다.
도 2에서, 컨트롤러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서 중앙에 위치한 방향 이동부(20) 및 방향 이동부(20)를 기점으로 좌측 및 우측에 분리되어 위치한 4개의 버튼(32, 34, 36, 38)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향 이동부(20)는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0), 해당 캐릭터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2), 해당 캐릭터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4), 및 해당 캐릭터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6)을 포함한다.
버튼(32, 34, 36, 38)은 저마다 고유의 특수기능을 명령할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여기서, 버튼(32, 34, 36, 38)을 특수 기능부로 통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방향 이동부(20)와 특수 기능부를 합쳐서 컨트롤러라고 총칭할 수 있다.
방향 이동부(20)의 각각의 버튼(10, 12, 14, 16)을 터치하면 캐릭터가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특수 기능부의 각각의 버튼(32, 34, 36, 38)을 터치하게 되면 각각의 특수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각각의 버튼(10, 12, 14, 16)이 드래그되어 해당하는 설정 영역(22, 24, 26, 28)으로 진입하게 되면 해당 버튼에 설정된 특수기능(예컨대, 점프, 필살기, 무적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버튼에 설정된 특수기능은 모바일 게임 제작자가 미리 설정해 둘 수도 있고, 게이머의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8은 경계선으로서, 각각의 버튼(10, 12, 14, 16)을 드래그할 때 경계선(18)을 넘어 해당하는 설정 영역으로 진입해야 정상적인 드래그로 인정한다.
상술한 도 2의 컨트롤러 구성은 방향 이동부(20)를 중앙에 둠으로써,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를 위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에 채용되는 컨트롤러의 또 다른 예이다.
도 3에서, 컨트롤러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서 우측에 위치한 방향 이동부(20) 및 좌측에 위치한 4개의 버튼(32, 34, 36, 38)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향 이동부(20)는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0), 해당 캐릭터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2), 해당 캐릭터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4), 및 해당 캐릭터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6)을 포함한다.
버튼(32, 34, 36, 38)은 저마다 고유의 특수기능을 명령할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여기서, 버튼(32, 34, 36, 38)을 특수 기능부로 통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방향 이동부(20)와 특수 기능부를 합쳐서 컨트롤러라고 총칭할 수 있다.
방향 이동부(20)의 각각의 버튼(10, 12, 14, 16)을 터치하면 캐릭터가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특수 기능부의 각각의 버튼(32, 34, 36, 38)을 터치하게 되면 각각의 특수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각각의 버튼(10, 12, 14, 16)이 드래그되어 해당하는 설정 영역(22, 24, 26, 28)으로 진입하게 되면 해당 버튼에 설정된 특수기능(예컨대, 점프, 필살기, 무적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버튼에 설정된 특수기능은 모바일 게임 제작자가 미리 설정해 둘 수도 있고, 게이머의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18은 경계선으로서, 각각의 버튼(10, 12, 14, 16)을 드래그할 때 경계선(18)을 넘어 해당하는 설정 영역으로 진입해야 정상적인 드래그로 인정한다.
상술한 도 3의 컨트롤러 구성은 방향 이동부(20)를 우측에 둠으로써,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를 위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에 채용되는 컨트롤러의 또 다른 예이다.
도 4에는 방향 이동부만 도시된 것으로 보여지지만, 방향 이동부와 특수 기능부가 병합되었다. 도 4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에 비해 컨트롤러의 사이즈 및 버튼의 수를 절감시켰다고 볼 수 있다.
즉, 도 4의 컨트롤러(40)는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0), 해당 캐릭터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2), 해당 캐릭터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4), 및 해당 캐릭터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16)을 포함한다.
한편, 버튼(10)을 터치한 후 경계선(18)을 넘어가는 드래그 실행하여 해당 설정 영역(22) 내에 진입시키면 해당 버튼(10)에 설정된 특수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버튼(10)을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설정 영역(22)에 진입시키면 버튼(38)을 누른 것과 동일한 작동(즉, 특수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버튼(12)을 터치한 후 경계선(18)을 넘어가는 드래그 실행하여 해당 설정 영역(24) 내에 진입시키면 해당 버튼(12)에 설정된 특수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버튼(12)을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설정 영역(24)에 진입시키면 버튼(36)을 누른 것과 동일한 작동(즉, 특수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버튼(14)을 터치한 후 경계선(18)을 넘어가는 드래그 실행하여 해당 설정 영역(26) 내에 진입시키면 해당 버튼(14)에 설정된 특수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버튼(14)을 상단으로 드래그하여 설정 영역(26)에 진입시키면 버튼(32)을 누른 것과 동일한 작동(즉, 특수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버튼(16)을 터치한 후 경계선(18)을 넘어가는 드래그 실행하여 해당 설정 영역(28) 내에 진입시키면 해당 버튼(16)에 설정된 특수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버튼(16)을 하단으로 드래그하여 설정 영역(28)에 진입시키면 버튼(34)을 누른 것과 동일한 작동(즉, 특수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버튼에 설정된 특수기능은 모바일 게임 제작자가 미리 설정해 둘 수도 있고, 게이머의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 ~ 도 3에서는 버튼(10, 12, 14, 16)에 추가된 특수기능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였는데, 도 4에서 설명한 버튼(10, 12, 14, 16)에 대한 특수기능이 도 1 ~ 도 3의 버튼(10, 12, 14, 16)에 그대로 적용된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서, 방향키(즉, 버튼(10, 12, 14, 16) 중의 어느 하나)로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중에 드래그로 특수기능을 실행하였을 경우 캐릭터의 이동은 멈추지 않는다. 이후, 그 특수기능을 사용한 뒤 터치 종료 시(예컨대, 손가락을 떼면) 캐릭터의 이동은 멈춘다. 그리고 나서, 다시 설정 영역(22, 24, 26, 28 중의 어느 하나)내로 드래그하여 돌아갈 경우 어느 한 방향키를 계속 터치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캐릭터의 이동은 멈추지 않고 계속된다. 이러한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는, 컨트롤러(40), 터치 센서부(50), 제어부(60), 캐릭터 움직임 조정부(70), 및 특수기능 수행부(8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40)는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에 대하여 방향 이동 및 특수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방향 이동부(20) 및 특수 기능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향 이동부(20)는 도 1 ~ 도 3에 도시된 방향 이동 기능을 갖는 방향 이동부(20)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한편, 특수 기능부(30)는 도 1 ~ 도 3에 도시된 버튼(32, 34, 36, 38)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컨트롤러(40)는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40)인 것으로 이해하여도 된다.
터치 센서부(5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내에서의 게이머의 터치 및 드래그를 센싱한다. 즉, 터치 센서부(50)는 컨트롤러(40)의 방향 이동부(20) 및 특수 기능부(30)가 작동되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부(50)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센싱부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터치 센서부(50)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고, 해당 캐릭터의 특수기능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캐릭터 움직임 조정부(7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캐릭터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캐릭터 움직임 조정부(70)는 터치 센서부(50)에서 센싱된 신호(예컨대,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움직임 신호)에 따라 캐릭터를 해당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특수기능 수행부(8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캐릭터가 특수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수기능 수행부(80)는 터치 센서부(50)에서 센싱된 신호(예컨대, 버튼(32, 34, 36, 38) 중의 어느 한 버튼이 터치되거나 버튼(10, 12, 14, 16) 중의 어느 한 버튼이 드래그된 신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특수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에서의 환경설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컨트롤러(40)는 사용자(게이머)의 취향대로 조절이 가능하다.
사용자(게이머)에 따라 편한 조작법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컨트롤러(40)의 크기, 컨트롤러(40)의 위치, 컨트롤러의 특수 버튼 위치 설정 등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여기서, 컨트롤러(40)는 3단계로 크기 조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1"이 제일 작은 크기이고, "2"는 중간 크기이고, "3"은 제일 큰 크기 일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40)는 왼손잡이, 오른손잡이들을 위해 좌측, 중앙, 우측 등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컨트롤러(40)의 방향 이동부(20)의 위치를 좌측, 중앙, 우측으로 한 것을 도시하였고, 도 4에서는 컨트롤러(40)의 위치를 중앙으로 한 것을 도시하였다. 기존에는 컨트롤러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컨트롤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의 방향 버튼(즉, △, ▽, ◁, ▷)에 특수 버튼(즉, 특수버튼1, 특수버튼2, 특수버튼3, 특수버튼4)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방향 버튼(예컨대, △)을 누른 뒤 원하는 특수 버튼(예컨대, 특수버튼1)을 누르면 해당 방향버튼이 해당 특수버튼의 모양으로 바뀌면서 활성화된다. 즉, 어느 한 방향 버튼에 어느 한 특수 버튼을 설정하게 되면 해당 방향 버튼은 설정된 특수 버튼의 기능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환경설정을 하기 위한 구성(예컨대, 키입력부)을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키입력부를 도시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환경설정 방식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게이머)가 어느 한 방향키(즉, 버튼(10, 12, 14, 16)중의 어느 하나)를 터치하게 되면 터치 센서부(50)는 이를 센싱하게 된다(S10).
그에 따라, 터치 센서부(40)에서 센싱된 신호는 제어부(60)에게로 인가되고, 제어부(60)는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캐릭터 움직임 조정부(70)를 제어하여 캐릭터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0).
이후, 제어부(60)는 계속적으로 터치 센서부(50)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터치를 체크하여 방향 전환, 터치 종료, 드래그 중에서 어느 것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
예를 들어, 방향 전환(즉, 이전의 방향키와는 다른 방향키를 터치)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60)는 캐릭터 움직임 조정부(70)를 제어하여 캐릭터의 움직임 방향을 해당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킨다(S40).
한편, 터치 종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60)는 캐릭터 움직임 조정부(70)를 제어하여 캐릭터가 현재 위치에서 멈추도록 한다(S50).
한편, 방향키(즉, 버튼(10, 12, 14, 16)중의 어느 하나)가 드래그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60)는 특수기능 수행부(80)를 제어하여 해당 버튼의 드래그 방향에 맞는 특수기능을 수행시킨다(S60).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2, 14, 16, 32, 34, 36, 38 : 버튼
18 : 경계선
20 : 방향 이동부
22, 24, 26, 28 : 설정 영역
30 : 특수 기능부
40 : 컨트롤러
50 : 터치 센서부
60 : 제어부
70 : 캐릭터 움직임 조정부
80 : 특수기능 수행부

Claims (12)

  1. 방향 이동 및 특수기능이 병합된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작동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의 방향 이동 및 특수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캐릭터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에는 특수기능이 설정되고,
    상기 특수기능은 상기 버튼이 드래그되어 해당 버튼 주변의 설정 영역에 진입됨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수기능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으로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중에 드래그로 특수기능을 실행하였을 경우 상기 캐릭터의 이동을 멈추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수기능을 사용한 뒤 터치 종료시 상기 캐릭터를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종료후에 다시 설정 영역으로 드래그되어 돌아갈 경우 상기 캐릭터의 이동이 수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크기 및 위치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7. 방향 이동부의 버튼 및 특수 기능부의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작동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모바일 게임 화면내의 캐릭터의 방향 이동 및 특수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이동부의 위치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향 이동부의 버튼은 상기 캐릭터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에는 특수기능이 추가로 설정되고,
    상기 특수기능은 상기 버튼이 드래그되어 해당 버튼 주변의 설정 영역에 진입됨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특수기능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으로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중에 드래그로 특수기능을 실행하였을 경우 상기 캐릭터의 이동을 멈추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수기능을 사용한 뒤 터치 종료시 상기 캐릭터를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종료후에 다시 설정 영역으로 드래그되어 돌아갈 경우 상기 캐릭터의 이동이 수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KR1020150131911A 2015-09-17 2015-09-17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KR20170033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911A KR20170033741A (ko) 2015-09-17 2015-09-17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911A KR20170033741A (ko) 2015-09-17 2015-09-17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41A true KR20170033741A (ko) 2017-03-27

Family

ID=5849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911A KR20170033741A (ko) 2015-09-17 2015-09-17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37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696B1 (ko) * 2018-03-29 2019-06-0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게임 인터페이스 장치
KR20190070143A (ko) * 2017-12-12 2019-06-20 최형국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102405746B1 (ko) * 2021-11-26 2022-06-08 (유)에이스톰 격투 게임 상에서 방향키, 스킬키 및 캐릭터 모션 중 적어도 일부의 조합을 통해 캐릭터 스킬을 조정하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623A (ko) 2013-06-19 2015-01-27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유저 캐릭터 조작 방법
KR20150100236A (ko) 2014-02-25 2015-09-02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623A (ko) 2013-06-19 2015-01-27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유저 캐릭터 조작 방법
KR20150100236A (ko) 2014-02-25 2015-09-02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143A (ko) * 2017-12-12 2019-06-20 최형국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101983696B1 (ko) * 2018-03-29 2019-06-0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게임 인터페이스 장치
KR102405746B1 (ko) * 2021-11-26 2022-06-08 (유)에이스톰 격투 게임 상에서 방향키, 스킬키 및 캐릭터 모션 중 적어도 일부의 조합을 통해 캐릭터 스킬을 조정하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144B1 (ko) 슬라이드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슬라이드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85084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1414229B (zh) 手持电子装置触控荧幕执行切换功能的控制方法及其装置
JP200912320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デバイス用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5994019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US9281859B1 (en) Smartphone cover module with embedded game controller
KR20170033741A (ko)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US20160011720A1 (en) Multi-Touch Interface for Blind Real-Time Interaction
JP2011034494A (ja) 表示装置、情報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25470B1 (ko) 입력키가 손가락의 이동반경 내에 위치되어 있는입력장치와 이를 사용한 명령 입력방법
KR20150080741A (ko) 연속 값 입력을 위한 제스처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27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4101264B2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US20160154488A1 (en) Integrated controller system for vehicle
TWI430146B (zh) The input method and device of the operation instruction of the double touch panel
KR101340015B1 (ko)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 제어명령어 인식 방법
KR1019074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KR20080049696A (ko)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게임 방법
TWI567593B (zh) 能夠自動切換操作模式的多功能滑鼠裝置及其方法
KR100690328B1 (ko)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JP2014045387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8094083A (ja) 項目選択装置及び項目選択方法
KR20150106282A (ko) 터치 스크린 키패드 기술
JP2002244809A (ja) ポインタの移動速度を自在に切替える方法と装置、及びタッチパッドの極小化。
KR20230000864A (ko)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