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864A -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864A
KR20230000864A KR1020210083513A KR20210083513A KR20230000864A KR 20230000864 A KR20230000864 A KR 20230000864A KR 1020210083513 A KR1020210083513 A KR 1020210083513A KR 20210083513 A KR20210083513 A KR 20210083513A KR 20230000864 A KR20230000864 A KR 20230000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foldable
display
gam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21008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864A/ko
Publication of KR20230000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접이식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에 대응되어 정보가 입력되는 접이식 입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위치의 배면에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되어 입력되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되고,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비된 각각의 구성 부품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된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상기 접이식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나타나고, 상기 접이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실행이 입력되는 1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off 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on 하는 2 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입력된 게임 명령을 실시하는 3 단계를 포함하므로서, 보조 입력장치가 부가되지 않고도 스마트폰 게임에서 배면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본발명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장치로 배면터치 기능이 제공될 때에는 외부 디스플레이는 off 되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The method of the operation the game on a foldable smartphone}
본 발명은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접이식 디스플레이(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는 게임 영상이 표시되고,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서는 입력장치로 사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20년 5월 한국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한 게임 앱은 ‘K000’로서 5월 한 달 495만 명이 이용했다. 그리고 그 뒤를 이여, 2위가 371만 명, 3위가 333만 명, 4위가 202만 명, 5위가 200만 명이 이용한 게임 앱이다.
2020 년 5월 한 달 간 모바일 게임을 1번 이상 이용한 사람은 2,089만 명으로 사용자 1인당 1달 평균 353회를 실행하여 23시간 40분을 이용했으며 1회 게임 시 4분 1초를 이용했다는 통계가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스마트폰 게임 시장이 이미 폭팔적으로 증가된 상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게임 이용자가 폭팔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다양한 게임의 종류가 존재할 수 밖에 없으며, 게임에 따라서는 배면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게임이 더 효과적일 수가 있게 된다. 즉 폭팔적으로 증가되는 게임 시장에 맞게 배면 터치가 더 효과적인 게임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물론,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0-0133259 호에서는 "배면에 터치패드를 부착하여, 전면과 배면을 통한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단말기를 구현하하고, 상기 배면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근접센싱, LCD 가로보기 실행, 터치압 센싱, UI기능 등을 수행하며, 터치입력과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단말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입력부와, 단말의 배면에 구비되어 사용자 그립을 감지하는 제2입력부와,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과 사용자 그립에 따라 제1입력부에 표시되는 객체들이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배면터치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332708 호에서는 "보조 입력 장치는: 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물체로 점접촉하여 누르게 되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이 눌려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판의 하부, 측면, 또는 하부와 측면에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판이 상기 물체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압력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압력 감지 소자와; 상기 압력 감지 소자의 각각에서 출력하는 각각의 상기 압력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물체가 상기 접촉판에 접촉하여 누르는 위치 및 누르는 세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위치 및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보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력 장치를 갖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 기술은 스마트폰 배면부에 별도의 보조 입력장치가 부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더구나 최근의 스마트폰 배면부에는 무선충전 코일과 NFC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 배면부에 부착되면, 무선충전 코일과 NFC의 기능이 정지되는 문제점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 입력장치가 부가되지 않고도 스마트폰 게임에서 배면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방법이 개발될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서행 기술 문헌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10-0133259호 (2010년12월21일)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332708호(2013년11월19일)
본 발명의 목적은 , 접이식 디스플레이(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는 게임 영상이 표시되고,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서는 입력장치로 사용되게 하므로서, 보조 입력장치가 부가되지 않고도 스마트폰 게임에서 배면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접이식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에 대응되어 정보가 입력되는 접이식 입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위치의 배면에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되어 입력되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되고,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비된 각각의 구성 부품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된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상기 접이식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나타나고, 상기 접이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실행이 입력되는 1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off 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on 하는 2 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입력된 게임 명령을 실시하는 3 단계를 포함하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방법으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실시되고, 상기 입력장치에 영역이 나누어져서 게임 명령이 실시된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점이 원 모양으로 이동하거나 상하 혹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게임 명령이 실시되고,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에 게임이 실시되고 게임 캐릭터가 표시되고, 상기 게임 캐릭터가 접이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되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게임 명령이 상기 선택된 게임 캐릭터를 통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입력장치가 부가되지 않고도 스마트폰 게임에서 배면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장치로 배면터치 기능이 제공될 때에는 외부 디스플레이는 off 되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 과 도 2는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채용된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와 도 5는 게임이 수행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와 배면 터치가 실시되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입력장치(36)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별로 입력 방법이 다르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입력장치에 영역이 더 추가되어 구분된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 8은 접이식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는 동일 영역에서 회전 이동과 상하 혹은 좌우 직선 이동이 실시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상의 기술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접이식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에 대응되어 정보가 입력되는 접이식 입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위치의 배면에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되어 입력되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되고,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비된 각각의 구성 부품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된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상기 접이식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나타나고,
상기 접이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실행이 입력되는 1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off 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on 하는 2 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입력된 게임 명령을 실시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과 도 2는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채용된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은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50)가 접혀진 상태의 도면으로, 상기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50)이 접혀진 상태의 외부에 디스플레이(3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도 2는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50)가 펼쳐진 상태의 도면으로, 상기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50)이 펼쳐지면 내부에 존재하였던 접이식 디스플레이(30)가 나타나게 된다.
도 3은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접이식 스마트폰(5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그리고, 메모리부(21)에 존재하는 롬은 표시장치의 수행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물론 반드시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보 혹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R/F부(15)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필요한 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출력부(10)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며, 입력부는 각종 정보 입력 기기, 숫자 키, 메뉴키 및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며, 출력부에는 스피커 나 진동장치 등도 포함된다.
중앙처리장치(20)의 신호 출력을 받아 접이식 디스플레이(30)를 구동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구동부(30a)가 있으며,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 구동부(30a)는 접이식 디스플레이(30)가 구동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20)의 신호 출력을 받아 디스플레이(35)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35a)가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35a)는 디스플레이(35)가 구동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35)는 접이식 스마트폰(50)이 접혀진 상태에서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도 1의 실시예 참조)
아울러,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30)에 구비되고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30)에 대응되어 정보가 입력되는 접이식 입력장치(31)가 존재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접이식 입력장치 구동부(31a)를 통해서 접이식 입력장치(31)를 제어한다. 즉, 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접이식 입력창치 구동부(31a)는 중앙처리장치(20)에 입력 정보를 출력하게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35)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35)에 대응되어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장치(36)가 존재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입력장치 구동부(36a)를 통해서 입력장치(36)를 제어한다. 즉,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창치 구동부(36a)는 중앙처리장치(20)에 입력 정보를 출력하게 전송하게 된다.
한편, 접이식 디스플레이 구동부(31a)는 중앙처리장치(20)에서 수신된 신호를 접이식 디스플레이(31)가 구동되도록 하는 신호로 바꾸어 디스플레이에 전달하는 통상의 부품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동부(35a)는 중앙처리장치(20)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스플레이(35)가 구동되도록 하는 신호로 바꾸어 디스플레이에 전달하는 통상의 부품이다.
아울러, 접이식 입력장치 구동부(31a)는 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 신호를 변경하여 중앙처리장치(20)에 전달하여, 중앙처리장치(20)가 입력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부품이다. 그리고, 입력장치 구동부(36a)는 접이식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 신호를 변경하여 중앙처리장치(20)에 전달하여, 중앙처리장치(20)가 입력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부품이다.
도 4와 도 5는 게임이 수행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와 배면 터치가 실시되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에서처럼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50)이 펼쳐지면 접이식 디스플레이(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나타나고,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에서 게임이 진행되게 된다.
한편, 접이식 스마트폰(단말기)(50)이 펼쳐진 상태에서 게임을 실시하게 되면, 그 배면에 디스플레이(35)가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도 5는 도4의 배면 모양이 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35)가 접이식 디스플레이(30)에서 게임이 실시될 때 입력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 게임 수행 단계 -
1) 접이식 스마트폰이 펼쳐지고, 게임 프로그램(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실시된다.
메모리부(21)에 저장된 게임의 실시 명령(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한 명령 입력으로 통상의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됨을 의미한다.)이 입력되거나 서버에 연결되어 게임 실시 명령이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게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접이식 디스플레이(30)를 통하여 게임을 실행한다.
2)중앙처리장치(20)는 접이식 디스플레이(30)의 배면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35)에 대응되어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장치(36)를 on 하고, 디스플레이(35)는 off 한다.
배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35)는 사용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35)에 대응되어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장치(36) 만 사용되기 때문이다. 중앙처리장치(20)가 상기 입력장치(36)를 on하므로서, 상기 입력장치(36)에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장치 구동부(36a)를 통하여 입력 신호가 중앙처리장치(20)에 전달되게 된다.
3)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게임이 실시되는 동안 게임 명령이 실시된다.
- 입력장치(36)를 통한 게임 명령의 방법 제 1 실시예 -
도 6은 입력장치(36)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별로 입력 방법이 다르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동일 면적으로 나누어지며, 프로그램적으로 나누는 방법은 통상의 방벙이 사용된다.
제 1 영역에서는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손가락 혹은 바(bar))로 입력된 점이 원운동 혹은 회전운동을 할 경우,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원운동 혹은 회전 이동을 게임 명령으로 인식하여, 게임 내에 캐릭터(사람, 동물, 곤충, 비행기, 자동차, 우주선, 괴물, 무기 등 형상을 가진 사물)에 명령 내용을 실행한다.
제 2 영역에서는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손가락 혹은 바(bar))로 입력된 점이 상하 혹은 좌우의 직선 이동을 할 경우,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원운동 혹은 회전 운동을 게임 명령으로 인식하여, 게임 내에 캐릭터(사람, 동물, 곤충, 비행기, 자동차, 우주선, 괴물, 무기 등 형상을 가진 사물)에 명령 내용을 실행한다.
즉, 입력장치(36) 내에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입력된 점의 이동이 구분된 영역의 이동에 맞을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20)는 이를 판단하여 게임 내에 캐릭터에 명령 내용을 실행한다.
즉,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입력된 점이 미리 정해진 이동에 맞지 않은 다른 이동을 보이면,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이동을 게임 명령으로 인식하지 않는다.예를들어 선택된 점이 이동(좌우 혹은 상하, 원 모양)될 때 게임 명령으로 인식이 되면 점으로 입력되면 게임 명령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영역을 구분한 다음, 영역별로 입력 방법을 정할 때 반드시 상기의 입력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들어 제 1 영역에서는 가상의 버튼을 반복 누르듯이 점으로 터치되는 것을 게임 명령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장치(36)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점이 입력되면 반복되는 점이 게임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아울러, A 영역과 B 영역의 입력 방법이 서로 바뀔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영역 구분은 메모리부(21)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중앙처리장치(20)가 판단하고 실시하게 되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된다.
- 입력장치(36)를 통한 게임 명령의 방법 제 2 실시예 -
도 7은 입력장치에 영역이 더 추가되어 구분된 실시예의 방법이다.
입력장치(36) 하단부에 A 영역과 B 영역이 추가로 더 만들어 지고, 제 A영역에서는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입력된 점이 반복적으로 점으로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는 게임 명령으로 인식한다. 제 B영역에서는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입력된 점이 좌우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는 게임 명령으로 인식한다.
한편, 상기 A 영역과 B 영역이 도 7에서처럼 입력장치(36)의 아래쪽에 만들어 질 수 있지만, 반대로 입력장치(36)의 위쪽에 만들어 질 수도 있고, 또한 입력장치(36)의 좌우 양 끝쪽에 만들어 질 수있다.
- 입력장치(36)를 통한 게임 명령의 방법 제 3 실시예 -
두개의 입력장치가 함께 사용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접이식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에서는 도시 편의상 동그라미 형태로 각각의 캐릭터를 나타내었다. 게임 내에 캐릭터는 사람, 동물, 곤충, 비행기, 자동차, 우주선, 괴물, 무기 등 형상을 가진 사물이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의 선택은 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하여 선택이 되고, 상기 선택된 캐릭터의 게임 실행 명령은 배면에 위치한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제어된다.
예를들어,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캐릭터가 a,b,c,d,e 로 5개 존재하고, 그중에 하나의 캐릭터인 b가 선택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선택은 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하여 점(손가락 혹은 바(bar))로 선택되고, 그 다음으로 배면에 구비된 입력장치(36)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실시되면, 상기 선택된 캐틱터 b 를 통하여 상기 게임 명령이 실시된다.
- 접이식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캐릭터 터(사람, 동물, 곤충, 비행기, 자동차, 우주선, 괴물, 무기 등 형상을 가진 사물)이 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하여 점(손가락 혹은 바(bar)으로 선택이 된다.
- 상기 입력장치(31)를 통하여 캐릭터가 점으로 선택이 되면, 입력장치 구동부(31a)의 신호에 의하여 중앙처리장치(20)는 접이식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캐릭터 중에서 어떠한 캐릭터가 선택되었는가를 인식하게 된다.
- 배면에 구비된 입력장치(36)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입력된 게임 명령을 상기 선택된 캐릭터에 적용하게 된다.
이때, 게임 명령은 상기에 예시된 원 이동, 직선 이동, 점에 의한 반복 터치중에서 적어도 1 개 이상 혹은 모두 포함된다.
- 입력장치(36)를 통한 게임 명령의 방법 제 4 실시예 -
입력장치(36) 중앙의 영역에,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점이 회전 혹은 직선(상하 혹은 좌우) 이동이 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게임 명령으로 인식되게 된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점의 회전 이동하는 영역과 상하 혹은 좌우 이동하는 영역이 구별되었지만, 제 4의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점이 회전 이동 하는 영역과 상하 혹은 좌우 직선 이동 하는 영역을 구별하지 않는다. 즉, 동일 영역에서 입력된 점의 회전 이동과 상하 혹은 좌우 이동이 발생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이동을 게임 명령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게임 명령을 실행하게 된다.
도 9는 동일 영역에서 회전 이동과 상하 혹은 좌우 직선 이동이 실시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입력장치(36)에 입력된 점이 회전 이동하는 경우와 상하 혹은 좌우 직선 이동하는 경우 서로 게임 명령의 종류가 다르다. 그리고 회전 이동의 경우에도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과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을 구별하여 중앙처리장치(20)가 인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좌방향, 우방향, 상 방향 및 하방향의 이동을 중앙처리장치(20)는 구별하여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장치(36)의 4 모서리 부분(도 8의 실시에에서, 각각 A, B, C, D로 표시된 영역)에서는 선택된 점이 반복적으로 점으로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게임 명령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4 모서리 영역이 모두 사용될 수 있고 1개의 모서리 영역 혹은 2개의 모서리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하여 회전 이동 혹은 상하 좌우 이동이 선택될 수 있다. 즉 접이식 디스플레이(30)에 메뉴 선택 방법으로 회전 이동과 상하 좌우 이동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회전 혹은 상하 좌우에서 선택)이 이루어지면, 중앙처리장치(20)는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선택된 이동이 발생되면, 게임 명령으로 인식하게 된다.
- 추가 실시예의 방법 -
1)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접이식 디스플레이(30)의 배면에 구비된 입력장치(36)에 존재하는 영역이 표시되고, 각각의 영역에 따른 입력 방법이 표시된다. 즉, 상기 표시에 의하여 게임 사용자는 배면에 존재하는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어떠한 방법의 입력을 실시하여야 할지 알 수 있게 된다.
2)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입려된 점이 회전 혹은 직선 운동을 할 때, 상기 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 되어야만, 중앙처리장치(20)는 게임 명령으로 인힉하고, 게임 명령을 실행하게 된다.
예를들어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입력된 점이 2cm 이동할 때, 시간이 1.5초 이내는 되어야 중앙처리장치(20)가 게임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렇게 속도를 규정하는 경우는 "자연스러운 터치"와 "게임 명령을 위한 선택된 점의 이동"을 구별하기 위하여서이다.
3) 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하여 옵션(사양)이 선택이 되면, 배면에 구비된 입력장치(36)를 통한 게임 명령은 상기 선택된 옵션에 의하여 실시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캐릭터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태가 되었지만, 접이식 디스플레이(31)에 메뉴 선택 방법으로 옵션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옵션으로는, 공격 무기의 화력, 이동 물체의 이동 속도, 공격 무기 선택, 공격의 방법 등이 선택되수 있다.
- 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하여 옵션 선택이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접이식 디스플레이(30)에 옵션이 표시된다.
- 표시된 옵션 중에서 접이식 입력장치(31)를 통하여 하나가 선택이 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배면에 구비된 입력장치(36)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실시되면, 상기 선택된 옵션이 실시되도록 한다.
4)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입력된 게임 명령이 접이식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 배면에 구비된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선이 선택되고, 선택된 점이 이동될 때, 상기 이동되는 점의 궤적이 접이식 디스플레이이 표시된다.
- 배면에 구비된 입력장치(36)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실시되면, 실시된 게임 명령의 모양(선택된 점이 이동되는 모양)이, 접이식 디스플레이이 표시된다.
예를들어,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실시된 게임 명령의 모양이 원 모양이라면, 접이식 디스플레이(30)의 아래 모서리 부분에 원 모양과 회전 방향이 작게 표시될 수 있다.(도 9의 실시예에서 A, B, C, D의 위치중에서 선택됨.)
입력장치(36)를 통하여 실시된 게임 명령의 모양이 상하 혹은 좌우 이동 모양이라면, 접이식 디스플레이(30)의 아래 모서리 부분에 상하 혹은 좌우 이동 방향이 직선의 모습으로 작게 표시될 수 있다.(도 9의 실시예에서 A, B, C, D의 위치중에서 선택됨.)
10 : 입출력부 15 : R/F 부
20 : 중앙처리장치 21 : 메모리부
30 : 접이식 디스플레이 30a : 접이식 디스플레이 구동부
31 : 접이식 입력장치 31a : 접이식 입력장치 구동부
35 : 디스플레이 35a : 디스플레이 구동부
36 : 입력장치 36a : 입력장치 구동부
50 : 접이식 스마트폰

Claims (5)

  1. 접이식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에 대응되어 정보가 입력되는 접이식 입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위치의 배면에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되어 입력되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되고,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비된 각각의 구성 부품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된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상기 접이식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나타나고,
    상기 접이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실행이 입력되는 1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off 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on 하는 2 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입력된 게임 명령을 실시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방법으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게임 명령이 실시되는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에 영역이 나누어져서 게임 명령이 실시되는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점이 원 모양으로 이동하거나 상하 혹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게임 명령이 실시되는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에 게임이 실시되고 게임 캐릭터가 표시되고, 상기 게임 캐릭터가 접이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되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게임 명령이 상기 선택된 게임 캐릭터를 통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KR1020210083513A 2021-06-26 2021-06-26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KR20230000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13A KR20230000864A (ko) 2021-06-26 2021-06-26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13A KR20230000864A (ko) 2021-06-26 2021-06-26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64A true KR20230000864A (ko) 2023-01-03

Family

ID=8492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513A KR20230000864A (ko) 2021-06-26 2021-06-26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8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44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 function switching
WO2018103634A1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及移动终端
JP6444927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6921193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WO2014147668A1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658163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100713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70113129A1 (en) Interactive videogame using a physical object with touchpoints
US20120005615A1 (en) Method for executing an input by means of a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a screen
WO2018103515A1 (zh) 一种应用中虚拟资源对象的插入方法以及终端
JP4244236B2 (ja) 指の動く範囲でキーを有する入力機器および入力方法
US20180117461A1 (en) Interactive videogame using game-related physical objects
KR101759537B1 (ko) 화면터치식 버튼의 키매핑방법
JP6684260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CN112691367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相关装置
JP4137043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KR20230000864A (ko)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KR20220164878A (ko) 접이식 스마트폰에서 게임 조작 방법
JP2023514103A (ja) 選択可能なアイコンを含む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コントローラ
JP6586278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KR102293300B1 (ko) 문자 입력 장치
JP202011060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364805B2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KR102369256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JP6830473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