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300B1 -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300B1
KR102293300B1 KR1020190070983A KR20190070983A KR102293300B1 KR 102293300 B1 KR102293300 B1 KR 102293300B1 KR 1020190070983 A KR1020190070983 A KR 1020190070983A KR 20190070983 A KR20190070983 A KR 20190070983A KR 102293300 B1 KR102293300 B1 KR 102293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odule
processor
input device
recognized
traje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104A (ko
Inventor
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07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0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궤적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궤적 생성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상기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한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아래의 실시예들은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게임 컨트롤러란 게임에서 게이머가 게임상에서 게임 속에 존재하는 개념들과의 상호작용을 하기 위하여 게임상의 캐릭터에게 동작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온라인게임은 게임이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게임으로서, 온라인 게임 플레이어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타인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하여 가상공간에 구현된 게임 맵에서 여러 가지 임무(퀘스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사용자들과 소통을 해야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사용자들과 소통하기 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채팅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음과 모음을 따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방법으로 궤적을 생성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궤적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궤적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궤적 생성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상기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적어도 2개의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모든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궤적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인식한 상기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인식하는 언어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인식하는 레터 케이스(Letter case)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인식하는 문자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상기 적어도 2 개의 궤적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적어도 3 개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상기 적어도 2 개의 궤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음 형태의 궤적이며, 다른 하나는 모음 형태의 궤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음과 모음을 따로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궤적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궤적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앞면을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가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자음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가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모음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프로세서가 인식한 모음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통신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 문자는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표시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0)가 입력한 문자는 디스플레이 화면(210)의 문자 표시창(220)에서 표시될 수 있으나 문자 입력 장치(100)가 입력한 문자가 표시되는 문자 표시창(220)의 위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문자 입력 장치(100)가 입력한 문자는 어플리케이션(예컨대, 게임)이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오버레이 되어 문자 표시창(220)에 표시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2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예컨대, 게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앞면을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양손 엄지 손가락들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장치(100)에 형성된 조이스틱, 버튼 등을 조작 수 있도록 문자 입력 장치(100)를 양손으로 잡았을 때, 문자 입력 장치(100)에 조이스틱, 버튼 등이 형성된 면을 앞면이라고 하고,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양손 엄지손가락들 이외의 손가락들이 위치하는 쪽을 뒷면이라고 하며, 문자 입력 장치(100)의 앞면과 뒷면을 연결하는 면을 측면이라고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쪽을 문자 입력 장치(100)의 후면이라고 하고, 사용자로부터 먼 쪽을 문자 입력 장치(100)의 전면이라고 한다.
문자 입력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저장 모듈(`)을 포함한다.
문자 입력 장치(100)를 구성하는 프로세서(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저장 모듈(130)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문자 입력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문자 입력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적어도 2 개의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적어도 2 개의 궤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음 형태의 궤적이며, 다른 하나는 모음 형태의 궤적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불특정한 일방향으로 궤적을 생성하다가 더 이상 동일한 방향으로의 궤적 생성이 불가능한 위치에 도달한 후, 기존의 궤적 생성 방향인 불특정한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궤적을 생성하면, 기존의 궤적 생성 방향인 불특정한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생성되는 궤적만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적어도 2 개의 궤적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동일한 자음 형태의 궤적 2개를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쌍자음 형태의 문자)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서로 다른 2개의 자음 형태의 궤적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겹받침 형태의 문자)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자음 형태의 궤적과 모음 형태의 궤적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새로운 문자를 인식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적어도 3 개의 궤적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동일한 자음 형태의 궤적 2개와 모음 형태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순서(예컨대, 자음, 자음, 모음의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쌍자음이 포함된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자음 형태의 궤적 2개와 모음 형태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순서(예컨대, 자음, 모음, 자음의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받침이 존재하는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자음 형태의 궤적 3개와 모음 형태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순서(예컨대, 자음, 모음, 자음, 자음의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겹받침이 존재하는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자음 형태의 궤적 4개와 모음 형태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순서(예컨대, 자음, 자음, 모음, 자음, 자음의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쌍자음 및 겹받침이 존재하는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음 형태의 궤적과 모음 형태의 궤적 2개를 미리 설정된 순서(예컨대, 자음, 모음, 모음의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동일한 자음 형태의 궤적 2개와 모음 형태의 궤적 2개를 미리 설정된 순서(예컨대, 자음, 자음, 모음, 모음의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쌍자음이 포함된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자음 형태의 궤적 2개와 모음 형태의 궤적 2개를 미리 설정된 순서(예컨대, 자음, 모음, 모음, 자음의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받침이 존재하는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자음 형태의 궤적 3개와 모음 형태의 궤적 2개를 미리 설정된 순서(예컨대, 자음, 모음, 모음 자음, 자음의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겹받침이 존재하는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자음 형태의 궤적 4개와 모음 형태의 궤적 2개를 미리 설정된 순서(예컨대, 자음, 자음, 모음, 모음, 자음, 자음의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예컨대, 쌍자음 및 겹받침이 존재하는 음절 형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새로운 문자를 인식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딥러닝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의 문자인식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필기인식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언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레터 케이스(Letter case) 중 어디에 해당하는 가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문자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몸체(101)의 앞면 및 몸체의 전면쪽 측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121, 122, 123, 124, 125, 126, 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121, 122, 123, 124, 125, 126, 127)는 조이스틱, 버튼, 트리거(trigger), 터치패드 또는 방향패드(directional pad) 일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121, 122, 123, 124, 125, 126, 127)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적어도 2개의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자음 형태의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몸체(101)의 전면쪽 앞면 좌측에 위치하는 입력 장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1)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궤적을 생성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0.5초) 간격 이후에 입력 장치(121)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새로운 궤적을 생성(예컨대, “ㄱ”궤적 생성 후 0.5초 이후에 “ㄹ” 궤적 생성)하여 복수의 자음 형태의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1)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1초) 동안 궤적을 생성(예컨대, 1초 이내에 “ㄱ”궤적 생성 후 “ㄹ” 궤적 생성)하여 복수의 자음 형태의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모음 형태의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몸체(101)의 전면쪽 앞면 우측에 위치하는 입력 장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2)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궤적을 생성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0.5초) 간격 이후에 입력 장치(122)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새로운 궤적을 생성(예컨대, “ㅡ”궤적 생성 후 0.5초 이후에 “ㅣ” 궤적 생성)하여 모음이 결합한 형태(예컨대, “ㅢ”)의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2)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1초) 동안 궤적을 생성(예컨대, 1초 이내에 “ㅡ”궤적 생성 후 “ㅣ” 궤적 생성)하여 모음이 결합한 형태의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자음 형태의 궤적을 생성하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모음 궤적을 생성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모음 형태의 궤적을 생성하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자음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 (121, 122)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자음 형태의 궤적 또는 모음 형태의 궤적을 생성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몸체(101)의 전면쪽 측면 좌측에 위치하는 입력 장치(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을 변경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3)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자음을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초) 동안 입력 장치(123)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횟수(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3)를 누른 횟수)를 기초로 자음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3)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시간(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3)를 누른 시간)을 기초로 자음을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자음을 변경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몸체(101)의 전면쪽 측면 우측에 위치하는 입력 장치(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을 변경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4)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모음을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초) 동안 입력 장치(124)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횟수(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4)를 누른 횟수)를 기초로 모음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4)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시간(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4)를 누른 시간)을 기초로 모음을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모음을 변경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언어의 종류(예컨대, 한국어 또는 영어)를 변경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언어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몸체(101)의 후면쪽 앞면 우측에 위치하는 입력 장치(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5)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언어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초) 동안 입력 장치(125)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횟수(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5)를 누른 횟수)를 기초로 언어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5)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시간(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5)를 누른 시간)을 기초로 언어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언어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인식하는 언어의 종류를 변경하여 프로세서(110)의 문자 인식력을 높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언어의 레터 케이스(Letter case)(예컨대, 대소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언어의 레터 케이스(Letter case)(예컨대, 대소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몸체(101)의 후면쪽 앞면 좌측에 위치하는 입력 장치(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6)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언어의 레터 케이스(Letter case)(예컨대, 대소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초) 동안 입력 장치(126)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횟수(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6)를 누른 횟수)를 기초로 언어의 레터 케이스(Letter case)(예컨대, 대소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6)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시간(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6)를 누른 시간)을 기초로 언어의 레터 케이스(Letter case)(예컨대, 대소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언어의 레터 케이스(Letter case)(예컨대, 대소문자)를 변경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인식하는 언어의 레터 케이스(Letter case)(예컨대, 대소문자)를 변경하여 프로세서(110)의 문자 인식력을 높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언어의 문자체(예컨대, 정자체 또는 필기체)를 변경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언어의 문자체(예컨대, 정자체 또는 필기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몸체(101)의 전면쪽 앞면 중앙에 위치하는 입력 장치(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7)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언어의 문자체(예컨대, 정자체 또는 필기체)를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초) 동안 입력 장치(127)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횟수(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7)를 터치한 횟수)를 기초로 언어의 레터 케이스(Letter case)(예컨대, 대소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입력 장치(126)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시간(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27)를 터치한 시간)을 기초로 언어의 문자체(예컨대, 정자체 또는 필기체)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언어의 문자체(예컨대, 정자체 또는 필기체)를 변경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인식하는 언어의 문자체(예컨대, 정자체 또는 필기체)를 변경하여 프로세서(110)의 문자 인식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장치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획득한 신호를 문자 입력 장치(100)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신호의 획득을 진동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문자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의 동작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변경한 문자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변경한 언어의 종류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변경한 레터 케이스(Letter case)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변경한 문자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복수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레터 케이스(Letter case)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문자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는 획득한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가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자음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 (a)는 프로세서(110)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을 기초로 자음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 (b)는 프로세서(110)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자음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전에는 중앙(300)에 위치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획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자음 형태의 궤적(예컨대, “ㄱ”)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는 획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는 한붓그리기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부터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의 이동 범위의 끝(302)에 도달할 때까지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의 이동 범위의 끝(302)에 도달한 후 다시 중앙(300)에 위치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을 기초로 자음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최초 위치하고 있던 중앙(300)에서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의 이동 범위의 끝(302)까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이동한 경로(301)에 의해 생성된 궤적을 기초로 자음(예컨대, “ㄱ”)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 (b)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전에는 중앙(310)에 위치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획득하는 사용자의 입력 중 일부만을 기초로 자음 형태의 궤적(예컨대, “ㄱ”)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는 획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는 한붓그리기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부터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의 이동 범위의 끝(314)에 도달할 때까지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의 이동 범위의 끝(314)에 도달한 후 다시 중앙(310)에 위치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의 이동 경로 중 일부 이동 경로(313)에 의해 생성된 궤적만을 기초로 자음(예컨대, “ㄱ”)을 인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 중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이동을 시작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가 처음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의 이동 범위의 끝(312)에 도달할 때까지의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1)의 이동 경로(311)에 의해 생성된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자음(예컨대, “ㄱ”)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가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궤적을 기초로 모음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 (a)는 프로세서(110)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을 기초로 모음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b)는 프로세서(110)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모음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a)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전에는 중앙(400)에 위치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획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모음 형태의 궤적(예컨대, “ㅏ”)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는 획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는 한붓그리기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부터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의 이동 범위의 끝(402)에 도달할 때까지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의 이동 범위의 끝(402)에 도달한 후 다시 중앙(400)에 위치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을 기초로 모음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최초 위치하고 있던 중앙(400)에서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의 이동 범위의 끝(402)까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이동한 경로(401)에 의해 생성된 궤적을 기초로 모음(예컨대, “ㅏ”)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 (b)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전에는 중앙(410)에 위치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획득하는 사용자의 입력 중 일부만을 기초로 모음 형태의 궤적(예컨대, “ㅏ”)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는 획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는 한붓그리기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부터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의 이동 범위의 끝(414)에 도달할 때까지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의 이동 범위의 끝(414)에 도달한 후 다시 중앙(410)에 위치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의 이동 경로 중 일부 이동 경로(413)에 의해 생성된 궤적만을 기초로 모음(예컨대, “ㅏ”)을 인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 중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이동을 시작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가 처음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의 이동 범위의 끝(412)에 도달할 때까지의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된 입력 장치(122)의 이동 경로(411)에 의해 생성된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모음(예컨대, “ㅏ”)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 (a)는 “ㄱ”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ㄱ”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 (b)는 “ㄴ”에 해당하는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a)를 참조하면, 도 6 (a)의 테이블(500)에는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5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5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524, 525),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동작과의 조합(523) 및 “ㄱ”의 변경 결과(527, 528)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은 “ㄱ”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521)을 기초로 “ㄱ”을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5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ㄱ”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524, 525)을 기초로 “ㅋ”(527) 또는 “ㄲ”(528)으로 변경(526)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ㄱ”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ㅋ” (527)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ㄱ”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2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ㄲ” (528)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ㄱ”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2로 나눈 나머지 값이 1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ㅋ” (527)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2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ㄲ” (528)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ㄱ”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ㄱ”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ㅋ” (527)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ㄱ”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이상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ㄲ” (528)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ㄱ”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0.5초)으로 "ㅋ"과 "ㄲ"으로 교대로 변경되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눌림이 해소되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눌림이 해소될 때 변경되어 있는 문자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ㄱ”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510) “ㄱ”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b)를 참조하면, 도 6 (b)의 테이블(530)에는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540) 및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550)이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540)은 “ㄴ”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551)을 기초로 “ㄴ”을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55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ㄴ”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 (a)는 “ㄷ”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ㄷ”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b)는 “ㄹ”에 해당하는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a)를 참조하면, 도 7 (a)의 테이블(600)에는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6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6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624, 625),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동작과의 조합(623) 및 “ㄷ”의 변경 결과(627, 628)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은 “ㄷ”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621)을 기초로 “ㄷ”을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6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ㄷ”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624, 625)을 기초로 “ㅌ”(627) 또는 “ㄸ”(628)으로 변경(626)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ㄷ”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ㅌ” (627)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ㄷ”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2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ㄸ” (628)으로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가 “ㄷ”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2로 나눈 나머지 값이 1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ㅌ” (627)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2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ㄸ (628)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ㄷ”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ㄷ”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ㅌ” (627)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ㄷ”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이상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ㄸ” (628)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ㄷ”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0.5초)으로 "ㅌ"과 "ㄸ"으로 교대로 변경되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눌림이 해소되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눌림이 해소될 때 변경되어 있는 문자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ㄷ”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610) “ㄷ”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b)를 참조하면, 도 7 (b)의 테이블(630)에는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640) 및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650)이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640)은 “ㄹ”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651)을 기초로 “ㄹ”을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65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ㄹ”을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ㅁ”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ㅁ”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테이블(700)에는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7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6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724, 725, 726),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동작과의 조합(723) 및 “ㅁ”의 변경 결과(728, 729, 730)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은 “ㅁ”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721)을 기초로 “ㅁ”을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7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ㅁ”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724, 725, 726)을 기초로 “ㅂ”(728), “ㅍ”(729) 또는 “ㅃ”(730)으로 변경(727)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ㅂ”(728)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2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ㅍ” (729)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3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ㅃ” (73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4회 이상인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1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ㅂ”(728)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2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ㅍ” (729)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ㅃ”(73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ㅂ”(728)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이상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ㅍ” (729)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초과 제3 설정 시간(예컨대, 1.5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ㅃ”(73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예컨대, 1.5초)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0.5초)으로 "ㅂ", “ㅍ” 및 "ㅃ”으로 교대로 변경되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눌림이 해소되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눌림이 해소될 때 변경되어 있는 문자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ㅁ”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710) “ㅁ”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ㅅ”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ㅅ”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테이블(800)에는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8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8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824, 825, 826, 827),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동작과의 조합(823) 및 “ㅅ”의 변경 결과(829, 830, 831, 832)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은 “ㅅ”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821)을 기초로 “ㅅ”을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8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ㅅ”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824, 825, 826, 827)을 기초로 “ㅈ”(829), “ㅊ”(830), “ㅆ”(831) 또는 “ㅉ”(832)으로 변경(828)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ㅈ” (829)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2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ㅊ” (83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3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ㅆ” (831)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4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ㅉ” (832)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5회 이상인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4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1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ㅈ” (829)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4로 나눈 나머지 값이 2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ㅊ” (830)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4로 나눈 나머지 값이 3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ㅆ” (831)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4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ㅉ” (832)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ㅈ” (829)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이상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ㅊ” (83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초과 제3 설정 시간(예컨대, 1.5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ㅆ” (831)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예컨대, 1.5초) 초과 제4 설정 시간(예컨대, 2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ㅉ” (832)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4 설정 시간(예컨대, 2초)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0.5초)으로 "ㅈ", “ㅊ”, “ㅆ” 및 "ㅉ”으로 교대로 변경되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눌림이 해소되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눌림이 해소될 때 변경되어 있는 문자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ㅅ”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810) “ㅅ”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ㅇ”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ㅇ”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테이블(900)에는 프로세서가 인식한 자음(9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9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924),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동작과의 조합(923) 및 “ㅇ”의 변경 결과(926)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910)은 “ㅇ”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921)을 기초로 “ㅇ”을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9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ㅇ”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910) “ㅇ”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의 동작(924)을 기초로 “ㅎ”(926)으로 변경(925)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910) “ㅇ”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ㅇ”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입력되는 문자(910) “ㅇ”은 “ㅎ” (926)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ㅇ”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910) “ㅇ”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910) “ㅇ”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00)가 “ㅇ”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910) “ㅇ”은 “ㅎ” (926)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가 “ㅇ”을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3)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자음(910) “ㅇ”이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내지 도 16은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프로세서가 인식한 모음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 (a)는 “ㅏ”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ㅏ”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 (b)는 “ㅑ”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ㅑ”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a)를 참조하면, 도 11 (a)의 테이블(100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0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024),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동작과의 조합(1023) 및 “ㅏ”의 변경 결과(1026)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10)은 “ㅏ”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021)을 기초로 “ㅏ”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0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ㅏ”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10) “ㅏ”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024)을 기초로 “ㅐ”(1026)로 변경(1025)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10) “ㅏ”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ㅏ”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10) “ㅏ”는 “ㅐ” (102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ㅏ”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10) “ㅏ”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10) “ㅏ”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ㅏ”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10) “ㅏ”는 “ㅐ” (102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ㅏ”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10) “ㅏ”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b)를 참조하면, 도 11 (b)의 테이블(103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4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05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054),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동작과의 조합(1053) 및 “ㅑ”의 변경 결과(1056)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40)은 “ㅑ”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051)을 기초로 “ㅑ”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05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ㅑ”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40) “ㅑ”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054)을 기초로 “ㅒ”(1056)로 변경(1055)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40) “ㅑ”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ㅑ”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40) “ㅑ”는 “ㅒ” (105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ㅑ”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40) “ㅑ”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40) “ㅑ”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ㅑ”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40) “ㅑ”는 “ㅒ”(105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ㅑ”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040) “ㅑ”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 (a)는 “ㅓ”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ㅓ”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 (b)는 “ㅕ”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ㅕ”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a)를 참조하면, 도 12 (a)의 테이블(110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1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124),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동작과의 조합(1123) 및 “ㅓ”의 변경 결과(1126)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10)은 “ㅓ”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121)을 기초로 “ㅓ”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1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ㅓ”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10) “ㅓ”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124)을 기초로 “ㅔ”(1126)로 변경(1125)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10) “ㅓ”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ㅓ”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10) “ㅓ”는 “ㅔ” (112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ㅓ”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10) “ㅓ”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10) “ㅓ”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ㅓ”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10) “ㅓ”는 “ㅔ” (112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ㅓ”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10) “ㅓ”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 (b)를 참조하면, 도 12 (b)의 테이블(113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4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15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154),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동작과의 조합(1153) 및 “ㅕ”의 변경 결과(1156)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40)은 “ㅕ”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151)을 기초로 “ㅕ”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15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ㅕ”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40) “ㅕ”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154)을 기초로 “ㅖ”(1156)로 변경(1155)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40) “ㅕ”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ㅕ”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40) “ㅕ”는 “ㅖ” (115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ㅕ”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40) “ㅕ”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40) “ㅕ”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ㅕ”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40) “ㅕ”는 “ㅖ”(115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ㅕ”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140) “ㅕ”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ㅗ”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ㅗ”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테이블(120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2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224, 1225, 1226),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동작과의 조합(1223) 및 “ㅗ”의 변경 결과(1228, 1229, 1230)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은 “ㅗ”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221)을 기초로 “ㅗ”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2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ㅗ”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224, 1225, 1226)을 기초로 “ㅘ”(1228), “ㅙ”(1229) 또는 “ㅚ”(1230)으로 변경(1227)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ㅘ” (1228)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2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ㅙ” (1229)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3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ㅚ” (1230)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4회 이상인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1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ㅘ”(1228)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2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ㅙ” (1229)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ㅚ” (1230)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ㅘ” (1228)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이상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ㅙ” (1229)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초과 제3 설정 시간(예컨대, 1.5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ㅚ”(1230)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예컨대, 1.5초)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0.5초)으로 "ㅘ", “ㅙ” 및 "ㅚ”로 교대로 변경되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눌림이 해소되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눌림이 해소될 때 변경되어 있는 문자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ㅗ”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210) “ㅗ”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는 “ㅜ”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ㅜ”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테이블(130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3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324, 1325, 1326),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동작과의 조합(1323) 및 “ㅜ”의 변경 결과(1328, 1329, 1330)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은 “ㅜ”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321)을 기초로 “ㅜ”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3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ㅜ”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324, 1325, 1326)을 기초로 “ㅝ”(1328), “ㅞ”(1329) 또는 “ㅟ”(1330)으로 변경(1327)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ㅝ” (1328)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2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ㅞ” (1329)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3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ㅟ” (1330)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4회 이상인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1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ㅝ”(1328)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2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ㅞ” (1329)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ㅟ” (133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ㅝ” (1328)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이상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ㅞ” (1329)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초) 초과 제3 설정 시간(예컨대, 1.5초)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ㅟ”(1330)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예컨대, 1.5초)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0.5초)으로 "ㅝ", “ㅞ” 및 "ㅟ”로 교대로 변경되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눌림이 해소되면,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눌림이 해소될 때 변경되어 있는 문자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ㅜ”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310) “ㅜ”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 (a)는 “ㅛ”에 해당하는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 (b)는 “ㅠ”에 해당하는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a)를 참조하면, 도 15 (a)의 테이블(140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410) 및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020)이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410)은 “ㅛ”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421)을 기초로 “ㅛ”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4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ㅛ”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5 (b)를 참조하면, 도 15 (b)의 테이블(143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440) 및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450)이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440)은 “ㅠ”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451)을 기초로 “ㅠ”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45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ㅠ”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 (a)는 “ㅡ”에 해당하는 궤적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에 의해 “ㅡ”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 (b)는 “ㅣ”에 해당하는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a)를 참조하면, 도 16 (a)의 테이블(150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10),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520),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524), 입력되는 문자와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동작과의 조합(1523) 및 “ㅡ”의 변경 결과(1526)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10)은 “ㅡ”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521)을 기초로 “ㅡ”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52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ㅡ”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10)은 “ㅡ”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의 동작(1524)을 기초로 “ㅢ”(1526)로 변경(1525)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10)은 “ㅡ”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ㅡ”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0.5초)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가 1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10) “ㅡ”는 “ㅢ” (152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ㅡ”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10) “ㅡ”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10) “ㅡ”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ㅡ”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예컨대, 0.5초)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10) “ㅡ”는 “ㅢ” (1526)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ㅡ”를 인식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입력 장치(124)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10) “ㅡ”가 변경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 (b)를 참조하면, 도 16 (b)의 테이블(1530)에는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40) 및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550)이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10)가 인식한 모음(1540)은 “ㅣ” 이며,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모든 궤적(1551)을 기초로 “ㅣ”를 인식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생성한 궤적(1552)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ㅣ”를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문자 입력 장치

Claims (12)

  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궤적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상기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하되,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문자 인식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인식하는 언어의 종류를 변경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상기 궤적 중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불특정한 일방향으로 궤적을 생성하다가 더 이상 상기 불특정한 일방향으로의 궤적 생성이 불가능한 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불특정한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생성한 궤적만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적어도 2개의 궤적을 생성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모든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궤적 중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의 궤적을 제외한 궤적을 기초로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인식한 상기 문자를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문자를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인식하는 레터 케이스(Letter case)를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인식하는 문자체를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상기 적어도 2 개의 궤적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입력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적어도 3 개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순서를 기초로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입력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생성한 상기 적어도 2 개의 궤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음 형태의 궤적이며, 다른 하나는 모음 형태의 궤적인 문자 입력 장치.
KR1020190070983A 2019-06-14 2019-06-14 문자 입력 장치 KR102293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83A KR102293300B1 (ko) 2019-06-14 2019-06-14 문자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83A KR102293300B1 (ko) 2019-06-14 2019-06-14 문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104A KR20200143104A (ko) 2020-12-23
KR102293300B1 true KR102293300B1 (ko) 2021-08-24

Family

ID=7408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83A KR102293300B1 (ko) 2019-06-14 2019-06-14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918B1 (ko) 2020-09-16 2022-12-29 문창수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977A (ja) * 2001-08-03 2003-04-15 Zen:Kk ゲーム機、当該ゲーム機の識別記号認識方法及び当該識別記号認識方法を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並びに当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1030177B1 (ko)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데이터 입력장치 및 데이터 입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80B1 (ko) * 2007-07-20 2010-07-20 미디어코러스 주식회사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081359B1 (ko) * 2009-11-30 2011-11-08 (주)블루홀스튜디오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조이스틱
KR101889039B1 (ko) * 2016-12-15 2018-09-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977A (ja) * 2001-08-03 2003-04-15 Zen:Kk ゲーム機、当該ゲーム機の識別記号認識方法及び当該識別記号認識方法を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並びに当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1030177B1 (ko)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데이터 입력장치 및 데이터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104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99228A1 (en) Gesture Keyboarding
US812544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 inputting data
US9757645B2 (en) Game type unlocking method for touch screen information device
US20070205983A1 (en) Character input using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201102090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putting data
CN1282937B (zh) 为视频游戏操作台提供键盘输入的装置和方法
Markussen et al. Selection-based mid-air text entry on large displays
US10238960B2 (en) Dual input multilayer keyboard
Sreedharan et al. 3D input for 3D worlds
WO2017077353A1 (en) Data entry device for entering characters by a finger with haptic feedback
CN100416467C (zh) 具有手指运动范围之内的键的输入装置
KR102293300B1 (ko) 문자 입력 장치
Költringer et al. TwoStick: Writing with a game controller
CN103941993B (zh) 一种环形菜单式滑行输入法
Poláček et al. Predictive scanning keyboard operated by hissing
KR102365201B1 (ko)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서버 및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CN103064506A (zh) 用于遥控的设备和方法
KR20200139048A (ko) 문자 입력 장치
KR102251867B1 (ko)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코딩 교육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0882541A (zh) 游戏角色控制系统、服务器以及游戏角色控制方法
KR102319298B1 (ko) 게임 캐릭터 제어 시스템, 서버 및 게임 캐릭터 제어 방법
KR102587933B1 (ko)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랙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N107592923A (zh) 电子形式数据的输入方法和数据输入设备
KR20200029852A (ko)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서버 및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KR20190099822A (ko) 아이용 코딩학습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