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918B1 -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918B1
KR102482918B1 KR1020200119102A KR20200119102A KR102482918B1 KR 102482918 B1 KR102482918 B1 KR 102482918B1 KR 1020200119102 A KR1020200119102 A KR 1020200119102A KR 20200119102 A KR20200119102 A KR 20200119102A KR 102482918 B1 KR102482918 B1 KR 10248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frame
excel pipe
arrangeme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641A (ko
Inventor
문창수
Original Assignee
문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창수 filed Critical 문창수
Priority to KR102020011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9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바닥부에 시공되는 엑셀 파이프를 보호함과 아울러, 누수와 노후로 인한 엑셀 파이프의 교체나 보수를 매우 용이하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고, 공사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으로 경제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유지보수 작업 시 누수 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형으로 배치되는 구간의 엑셀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 방향 전환하여 배치되는 구간의 엑셀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 엑셀파이프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구간에서 엑셀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 및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연결된 상태의 시작단부와 끝단부에서 엑셀파이프를 통과시키면서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와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 및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 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FRAME ASSEMBLY FOR XL-PIPE AND XL-PIP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바닥부에 시공되는 엑셀 파이프를 보호함과 아울러, 누수와 노후로 인한 엑셀 파이프의 교체나 보수를 매우 용이하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고, 공사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으로 경제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유지보수 작업 시 누수 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돌과 같은 실내의 바닥에는 난방을 위해 내부에 온수가 순환되도록 보일러 등의 난방장치와 연결된 온수관을 매설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온수관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기름 또는 가스를 연소하여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와 가열된 물을 강제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 및 가열된 물이 저장되는 배관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주택 등 바닥난방 배관은 설치 하기가 쉽고 하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엑셀파이프를 많이 사용하며, 이러한 엑셀 파이프는 통상 격자형 또는 방사형으로 매설된다.
구체적으로, 아파트나 한옥, 상가, 오피스텔, 빌라 등 다양한 건축현장의 난방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각층마다 슬래브 콘크리트 면 위에 주방이나 욕실, 베드룸, 거실 등과 같이 난방이 필요한 곳으로 가장 기초적인 급수 파이프를 배관하고 그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시공한 뒤, 다시 그 위에 난방용 배관인 엑셀 파이프를 시설하고 시멘 몰탈을 시공하여 아파트의 바닥 면을 완성하는데, 이러한 시공과정에서 기초 급수관을 먼저 시공하고 난 뒤, 다른 후속 공사의 작업들을 실시하게 되므로 기(旣) 시공된 급수파이프 또는 난방용 배관 등이 후속공사의 작업과정에서 작업인부들의 다양한 활동과 자재운반 또는 손수레 이동에 의한 충격 및 억누름 현상 등으로 인해 바닥에 기(旣) 시공된 난방용 배관이 손상되거나 파손, 뒤틀림, 정위치 이탈 등의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난방 시공 이후, 엑셀 파이프에서 누수 발생이나 부식으로 인해 엑셀 파이프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바닥 전체를 훼손하여 보수해야 하므로 많은 경비와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덮개를 파이프 위에 덮는 방법이 여러 가지로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0923호 "파이프 보호 덮개"에 의하면, '파이프를 보호할 목적으로 하는 파이프 보호 덮개로 덮개의 양쪽측면에 반원형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 고정 못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호 덮개'라고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따르면, 파이프를 보호할 목적으로 파이프 보호덮개를 시공할 때 시공이 간편하고 동절기에 못을 박는 시공으로 파이프 보호덮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단부위를 원주형으로 성형하여 작업 및 자재 운반 수레의 이동시 걸림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경우에는 파이프의 외면을 완전하게 감싸면서 보호하는 것이 어렵고, 못 구멍을 통해 시공바닥에 고정하지 않는 이상 보호덮개가 이동하거나 움직이기 때문에 파이프의 보호지점을 완전하게 이탈하여 되어 제대로 된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에 파손 및 파이프 내 수용물의 누수현상에 따라 철거 및 재시공을 하는 시간적 및 경제적 문제가 뒤따르는 폐단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은 엑셀 파이프가 라운드지게 배치되거나 분기되는 지점을 갖는 경우는 전혀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10923(2001.01.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43104(1999.06.0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8029(2000.10.0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98780(2018.09.05.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바닥부에 시공되는 엑셀 파이프를 보호함과 아울러, 누수와 노후로 인한 엑셀 파이프의 교체나 보수를 매우 용이하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고, 공사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으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보수 작업 시 누수 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바닥에 시공되는 엑셀 파이프를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로서, 선형으로 배치되는 구간의 엑셀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 방향 전환하여 배치되는 구간의 엑셀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 엑셀파이프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구간에서 엑셀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 및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연결된 상태의 시작단부와 끝단부에서 엑셀파이프를 통과시키면서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와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 및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 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는, 단면 U자형의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부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바닥고정홀이 형성된 바닥고정용 플랜지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벽에 형성되어 그 프레임 바디의 내측에 수용되는 엑셀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는,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측에서 바라볼 때 절곡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는,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측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센터라인과 다른 하나의 센터라인이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는, 블록 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엑셀파이프가 통과하는 파이프 가이드관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는 각각 프레임 바디의 하단부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바닥고정홀이 형성된 바닥고정용 플랜지, 및 프레임 바디의 내벽에 형성되어 그 프레임 바디에 수용되는 엑셀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단면 직각 삼각형의 돌출 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이웃하는 프레임 바디 간 및 프레임 바디와 상기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의 바디부 간이 요철 결합되도록 하는 요홈과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와 커버 간의 틈새를 커버하는 보호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의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에 수용된 엑셀 파이프로부터 물의 누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누수 확인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수 확인 수단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며, 물과 반응하여 변색하는 반응물질이 수용된 수용체, 및 일단부는 상기 수용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부 측으로 연장되며, 모세관 현상으로 물을 빨아들여 상기 반응물질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흡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건물 바닥부에 시공되는 엑셀 파이프를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건물 바닥부의 훼손없이 엑셀 파이프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누수와 노후로 인한 엑셀 파이프의 교체나 보수를 매우 용이하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고, 공사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으로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선형 배치나 라운드형 배치 및 분기형 배치 모두에 적용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유지보수 작업 시 누수 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 부재들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방사상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시공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가 누수 확인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서,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 부재들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방사상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시공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에 시공되는 엑셀 파이프(EX)를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로서, 크게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200);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300);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400); 및 착탈 결합 수단(500);을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누수 확인 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는, 바닥에 시공되는 엑셀 파이프(EX)를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로서,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으로 배치되는 구간의 엑셀파이프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 방향 전환하여 배치되는 구간의 엑셀파이프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200); 엑셀파이프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구간에서 엑셀파이프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300);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200) 및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300)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연결된 상태의 시작단부와 끝단부에 구비되며, 엑셀파이프를 통과시키면서 그 시작단부와 끝단부를 마감하는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400); 및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200)와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300) 및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400) 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결합 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는, 엑셀파이프가 선형으로 또는 선형에 가까운 형태로 배치되는 구간에서 엑셀파이프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가이드하고 상부를 커버하여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U자형의 프레임 바디(110)와, 상기 프레임 바디(110)의 하단부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바닥고정홀(121)이 형성된 바닥고정용 플랜지(120)와, 상기 프레임 바디(110)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130), 및 상기 프레임 바디(110)의 내벽에 형성되어 그 프레임 바디(110) 내측에 수용되는 엑셀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바디(110)의 일단(전단)과 타단(후단)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50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고정용 플랜지(120)에는 하나 이상의 바닥고정홀(121)이 형성되어 그 바닥고정홀(121)을 통해 콘크리트 못을 이용하여 시공면에 고정시키거나, 힐티 총을 이용한 고정재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프레임 바디(110)의 양 측벽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111)에 양 가장자리의 하면이 안착되면서 그 프레임 바디(110)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130)가 단턱부(111)에 안착 구비될 때, 그 커버(130)의 상면이 프레임 바디(110)의 양 측벽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30)가 상기 프레임 바디(110)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30)와 프레임 바디(130)의 상단 간의 틈새는 보호재 또는 보호시트(150)(예를 들면, 접착식 테이프)로 마감되어, 시공 시 몰탈이나 황토 등의 유입재가 유입되거나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 수단(140)은 상기 프레임 바디(110)의 양 측벽 내측의 소정 높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돌기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 돌기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각 삼각형의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돌기는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 바디(130)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고정 수단(140)는 프레임 바디(110)의 내측에 엑셀 파이프가 수용될 때, 그 엑셀 파이프가 그 돌출 돌기 사이로 억지 끼움되어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200)는 엑셀파이프가 절곡 또는 라운드진 형태로 배치되는 구간에서 엑셀파이프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가이드하고 상부를 커버하여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측에서 바라볼 때 절곡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210), 및 상기 프레임 바디(210)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2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바디(210)의 각 끝단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50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바디(210)는 L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L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프레임 바디(210)의 양 측벽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211)에 양 가장자리의 하면이 안착되면서 그 프레임 바디(210)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220)가 단턱부(211)에 안착 구비될 때, 그 커버(220)의 상면이 프레임 바디(210)의 양 측벽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220)가 상기 프레임 바디(210)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220)와 프레임 바디(210)의 상단 간의 틈새는 보호재 또는 보호시트(예를 들면, 접착식 테이프)로 마감되어, 시공 시 몰탈이나 황토 등의 유입재가 유입되거나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200)는, 앞서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에서 설명한 바닥고정용 플랜지 및 고정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300)는, 엑셀파이프가 분기되는 구간에서 엑셀파이프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가이드하고 상부를 커버하여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3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측에서 바라볼 때 두 가상라인이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310), 및 상기 프레임 바디(310)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3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바디(310)의 각 끝단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50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바디(3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바디(310)는 십자형 또는 "ㅅ"자형과 같이 가상의 두 라인이 교차하는 다양한 형태 또는 시공되는 엑셀파이프의 분기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20)는 상기 프레임 바디(310)의 양 측벽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311)에 양 가장자리의 하면이 안착되면서 그 프레임 바디(310)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320)가 단턱부(311)에 안착 구비될 때, 그 커버(320)의 상면이 프레임 바디(310)의 양 측벽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320)가 상기 프레임 바디(310)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320)와 프레임 바디(310)의 상단 간의 틈새는 보호재 또는 보호시트(예를 들면, 접착식 테이프)로 마감되어, 시공 시 몰탈이나 황토 등의 유입재가 유입되거나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300)는, 앞서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에서 설명한 바닥고정용 플랜지 및 고정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400)는,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200) 및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300)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연결된 상태의 시작단부와 끝단부에 구비되며, 엑셀파이프를 통과시키면서 그 시작단부와 끝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마감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4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형상의 바디부(410), 및 상기 바디부(41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엑셀파이프가 통과하면서 가이드되는 파이프 가이드관부(420)로 형성된다. 도면부호 411은 바디부(410)에 형성되는 개방부 또는 개구홈이다.
상기 바디부(410)는 각 프레임 부재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4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착탈 결합 수단(500)의 일 구성요소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착탈 결합 수단(500)은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100)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200)와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300) 및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400) 간이 서로 요철 결합 또는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홈부(요홈)(510)와 돌부(돌기)(520)로 형성된다.
즉, 상기 착탈 결합 수단(500)은 프레임 부재 각각의 끝단 면에 홈부(510)가 형성되고, 다른 끝단 면에 돌부(520)가 형성되어, 각 프레임 부재 간의 조립 시 홈부(510)와 돌부(520)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연결되게 된다.
도면에서,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400)에는 홈부(510)가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는, 엑셀파이프로부터 누수가 발생할 때 누수 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누수 확인 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가 누수 확인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서,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수 확인 수단(600)은, 일 실시 예로 각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며, 물과 반응하여 변색하는 반응물질이 수용된 수용체(610), 및 일단부는 상기 수용체(610)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하부 측으로 연장되며, 모세관 현상으로 물을 빨아들여 상기 반응물질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흡수 부재(6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체(610)에 수용되는 반응물질은 실리카겔, 탄산나트륨, 무수황산구리 및 염화코발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리카겔은 물과 반응하여 파란색에서 분홍색으로 변색하고, 상기 탄산나트륨은 무색에서 회색으로 변색하고, 무수황산구리는 백색에서 청색으로 변색하며, 염화 코발트는 푸른색에서 붉은색으로 변색한다.
이와 같이 누수 확인 수단(600)이 발생하는 경우, 유지보수를 위하여 장판을 걷어낸 상태에서 어느 위치에서 변색이 있을 경우, 해당 위치에서 누수가 발생하였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누수 확인 수단(600)은 일단부는 커버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엑셀파이프가 위치되는 프레임 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염화코발트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콘크리트의 상면에 엑셀파이프 배치를 위한 배치도를 표시하고, 고유번호를 부여한 엑셀파이프의 배치도에 따라 각 프레임 부재들 간을 요홈과 돌기를 통해 조립 연결하여 배치한다. 이때 프레임 부재의 고정을 위하여 바닥고정용 플랜지(120)의 바닥고정홀(121)을 통해 콘크리트 못 또는 힐티 총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배치도에 따라 프레임 부재들이 조립 고정된 상태에서, 엑셀파이프를 프레임 부재에 장착한다. 이때 엑셀파이프는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고정수단(140)인 돌출 돌기에 억지끼움되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엑셀파이트가 외측으로 인출되는 각 끝단에서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를 조립하여 마감한다. 이러한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의 마감 작업은 프레임 부재에 커버를 조립한 이후에 행해질 수도 있다.
엑셀파이프를 프레임 부재의 내측에 고정한 상태에서, 각 프레임 부재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로 커버한다. 이때, 커버와 프레임 부재 간의 틈새는 접착 테이프와 같은 보호 시트로 마감하여 후속 공정인 유입재(몰탈이나 황토 등)의 시공 시 유입재가 그 틈새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 다음, 몰탈이나 황토 등의 유입재를 프레임 부재의 높이만큼 콘크리트 상면에 시공하고, 유입재의 양생이나 다짐 후 장판을 깔아 마무리한다.
그리고 추후 엑셀파이프의 유지보수를 해야 하는 경우, 커버를 분리하여 엑셀파이프를 교체하고, 경우에 따라 프레임 부재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그 주변의 유입재를 제거한 다음, 해당 부분의 프레임 부재만을 교체하여 유지보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에 의하면, 건물 바닥부에 시공되는 엑셀 파이프를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건물 바닥부의 훼손없이 엑셀 파이프를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누수와 노후로 인한 엑셀 파이프의 교체나 보수를 매우 용이하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고, 공사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으로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형 배치나 라운드형 배치 및 분기형 배치 모두에 적용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작업 시 누수 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EX: 엑셀 파이프
100: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
110, 210, 310: 프레임 바디
111, 211, 311: 단턱부
120: 바닥고정용 플랜지
121: 바닥고정홀
130, 220, 230: 커버
140: 고정 수단
150: 보호재
200: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
300: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
400: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
410: 바디부
411: 개방부
420: 가이드관부
500: 착탈 결합 수단
510: 홈부(요홈)
520: 돌부(돌기)
600: 누수 확인 수단
610: 수용체
620: 흡수 부재

Claims (5)

  1. 바닥에 시공되는 엑셀 파이프를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로서,
    선형으로 배치되는 구간의 엑셀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
    방향 전환하여 배치되는 구간의 엑셀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
    엑셀파이프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구간에서 엑셀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 및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연결된 상태의 시작단부와 끝단부에서 엑셀파이프를 통과시키면서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와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와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 및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 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형배치용 프레임 부재는, 단면 U자형의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부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바닥고정홀이 형성된 바닥고정용 플랜지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벽에 형성되어 그 프레임 바디의 내측에 수용되는 엑셀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는,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측에서 바라볼 때 절곡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는,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측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센터라인과 다른 하나의 센터라인이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는, 블록 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엑셀파이프가 통과하는 파이프 가이드관부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바디와 커버 간의 틈새를 커버하는 보호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배치용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분기배치용 프레임 부재는 각각 프레임 바디의 하단부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바닥고정홀이 형성된 바닥고정용 플랜지, 및 프레임 바디의 내벽에 형성되어 그 프레임 바디에 수용되는 엑셀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단면 직각 삼각형의 돌출 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이웃하는 프레임 바디 간 및 프레임 바디와 상기 마감용 소켓 프레임 부재의 바디부 간이 요철 결합되도록 하는 요홈과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의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에 수용된 엑셀 파이프로부터 물의 누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누수 확인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수 확인 수단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며, 물과 반응하여 변색하는 반응물질이 수용된 수용체, 및 일단부는 상기 수용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부 측으로 연장되며, 모세관 현상으로 물을 빨아들여 상기 반응물질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KR1020200119102A 2020-09-16 2020-09-16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 KR10248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02A KR102482918B1 (ko) 2020-09-16 2020-09-16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02A KR102482918B1 (ko) 2020-09-16 2020-09-16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41A KR20220036641A (ko) 2022-03-23
KR102482918B1 true KR102482918B1 (ko) 2022-12-29

Family

ID=8096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102A KR102482918B1 (ko) 2020-09-16 2020-09-16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9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716273U (zh) * 2019-08-07 2020-06-09 安徽品冠管业有限公司 一种地暖管及其支撑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037Y2 (ja) * 1992-08-07 1995-12-06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配管材の保護カバー
KR0129304Y1 (ko) * 1995-07-11 1999-02-01 김재형 이소프로필 알콜 증기건조기
KR200198029Y1 (ko) 2000-04-03 2000-10-02 장명수 급수 파이프 보호 덮개
KR200210923Y1 (ko) 2000-08-07 2001-01-15 김종문 파이프 보호 덮개
KR20180098780A (ko) 2017-02-27 2018-09-05 류재현 난방용 배관의 주름관 보호덮개
KR102293300B1 (ko) 2019-06-14 2021-08-2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문자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716273U (zh) * 2019-08-07 2020-06-09 安徽品冠管业有限公司 一种地暖管及其支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41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9672A1 (en) Method of constructing cold and hot water piping system
KR200417638Y1 (ko)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2482918B1 (ko)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
JP2007232420A (ja) 原子炉格納容器
KR20120121628A (ko) 컬럼 구조용 거푸집
US10563394B2 (en) Building unit and building
KR101947742B1 (ko)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0761927B1 (ko) 슬라브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박스
KR101046222B1 (ko) 법랑코팅 판넬을 이용한 사각물탱크 또는 저수조 리모델링 방법
JP2009007898A (ja) 合成中空床構造体
KR20180101902A (ko) 벽체 마감 판넬
JP639944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KR200350593Y1 (ko)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KR200434389Y1 (ko) 위생배관 매설박스
JP2010048313A (ja) 設備収納ユニット
KR20190116784A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102400313B1 (ko)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 패널
EP0857919A1 (en) A built-in box containing at least one elbow tube for connection to a conduit
KR20180098780A (ko) 난방용 배관의 주름관 보호덮개
KR20240049719A (ko)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
KR100447620B1 (ko) 통신기기 설치를 위한 소형 무인국사
JP6632705B1 (ja) 浴室設備の施工方法
JPWO2016006207A1 (ja) 建物及び建物ユニット
JP2010223970A (ja) 原子炉格納容器
KR200435541Y1 (ko) 스래브 매설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