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42B1 -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742B1
KR101947742B1 KR1020180129093A KR20180129093A KR101947742B1 KR 101947742 B1 KR101947742 B1 KR 101947742B1 KR 1020180129093 A KR1020180129093 A KR 1020180129093A KR 20180129093 A KR20180129093 A KR 20180129093A KR 101947742 B1 KR101947742 B1 KR 10194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part
slab
fixing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희원
Original Assignee
류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희원 filed Critical 류희원
Priority to KR1020180129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7Sealing by means of a joint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22Pip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은 서로 다른 두 천장의 간격에 유동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천장의 높이에 따라 파이프의 길이를 새로이 규격화하는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줄이는 것은 물론이고, 건물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며 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배관은 제1 내지 제3 고정부가 형성된 연결구와 제1 삽입부, 굴절 주름부 및 제2 삽입부가 형성된 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PREFABRICATED PIP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본 발명은 조립식 배관 및 그 조립식 배관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급수, 배수, 급탕, 냉방, 난방 및 가스 공사용으로 배치된 관을 의미한다. 또한, 그 배관의 재료는 주로 주철관, 강관, 아연도금 강관, 비닐관 및 구리관 등이 사용된다.
종래의 배관은 설치 장소에 있는 서로 다른 두 천장의 간격에 따라 각기 다른 길이로 형성되었다. 즉, 종래의 배관은 공사 현장에 있는 수많은 천장 저마다의 높이가 서로 다르면, 서로 다른 규격의 파이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종래의 배관은 서로 다른 두 천장의 간격을 고려하여 파이프가 형성되더라도 막상 현장에 시공하는 경우, 규격화된 파이프가 미세한 오차 때문에 결속 장치로 고정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곤 했다. 더욱이, 서로 다른 두 천장의 간격에 대한 오차를 극복하고 결속 장치로 연결된 복수의 파이프는 건물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면, 그 연결 부위의 균형이 깨질 우려가 있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537035호(2015.07.16.)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57851호(2016.09.20.) (3) KR 등록특허공보 제10-1878601호(2018.07.16.) (4)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400호(2016.02.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두 천장의 간격에 유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물론이고, 건물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관은 2 개의 연결구 및 파이프를 포함한다. 2 개의 상기 연결구는 제1 및 제2 슬라브 저마다의 삽입 공간에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로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제2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로 타측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일측을 축으로 타측이 휘어진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슬라브 저마다의 삽입 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연결구는 제1 및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방향을 안내하며, 삽입된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가압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의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밀림 방지판 및 밀림 방지벽을 포함한다. 상기 밀림 방지판은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삽입 공간에 밀착되며,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밀림 방지벽은 상기 제1 고정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외측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기가 상기 제1 돌기에 맞물린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삼각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삼각 베어링은 외측의 제1 빗면이 상기 밀림 방지벽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내측의 제2 빗면을 따라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상방에서 지지한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1 오링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하방에서 지지한다.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제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오링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격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가압한다.
상기 연결구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일측을 가압한다. 또한, 상기 제3 고정부는 제3 격벽, 제4 격벽 및 제2 오링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격벽은 상기 제3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4 격벽은 상기 제3 격벽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오링은 상기 제3 및 상기 제4 격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의 일측을 가압한다.
상기 파이프는 제1 삽입부, 굴절 주름부 및 제2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의 하부로 삽입된다. 상기 굴절 주름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길이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원통형 마디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의 상부로 삽입되며, 외주면에 원통형의 밀림 방지턱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관의 시공 방법은 연결구 설치 단계, 제1 삽입 단계, 제2 삽입 단계 및 제3 삽입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 설치 단계는 제1 및 제2 슬라브 저마다의 삽입 공간에 2 개의 연결구가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삽입 단계는 파이프의 일측을 축으로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제1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의 하부로 상기 파이프의 일측이 삽입된다. 상기 제2 삽입 단계는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상기 파이프의 일측을 축으로 제2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제2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의 상부로 향한다. 상기 제3 삽입 단계는 상기 파이프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굴절 주름부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펼쳐지며 상기 제2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의 상부로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은 서로 다른 두 천장의 간격에 유동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천장의 높이에 따라 파이프의 길이를 새로이 규격화하는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은 건물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고, 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은 파이프의 연결구가 천장의 삽입 공간마다 설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파이프가 깨끗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이 서로 다른 두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의 시공 방법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시공 방법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후술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되거나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이 서로 다른 두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은 서로 다른 두 천장의 간격에 유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물론이고, 건축물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2 개의 연결구 및 파이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두 천장은 제1 및 제2 슬라브(S1, S2)로 명명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을 설명한다.
먼저 2 개의 연결구(1)는 제1 및 제2 슬라브(S1, S2) 저마다의 삽입 공간에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즉, 하나의 연결구(1)는 다층 건축물의 천장 중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천장 혹은 바닥을 둔 상부 슬라브에 설치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연결구는 상술한 상부 천장의 하부에 있는 하부 슬라브에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슬라브(S1, S2) 저마다의 삽입 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됨으로써, 하나의 삽입 공간에 2 개의 파이프(2)가 설치되게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연결구(1)는 제1 고정부(11) 내지 제3 고정부(11~13)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11)는 연결구(1)의 상부에 형성되어 파이프(2)의 타측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제1 고정부(11)는 삽입된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뿐만 아니라 제1 고정부(11)는 제2 고정부(12)와의 사이에 파이프(2)의 타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로를 형성한다. 특히 이동로는 건축물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면, 파이프(2)의 타측이 이동로를 따라 움직이도록 완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파이프(2)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11)는 밀림 방지판(111), 밀림 방지벽(112) 및 삼각 베어링(113)을 포함한다.
밀림 방지판(111)은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측이 제1 및 제2 슬라브(S1, S2)의 삽입 공간에 밀착된다. 또한, 밀림 방지판(111)은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 돌기(111a)가 형성된다.
밀림 방지벽(112)은 제1 고정부(11)의 타측에 형성되고, 외측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기(112a)가 제1 돌기(111a)에 맞물린다. 또한, 밀림 방지벽(112)은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삼각 베어링(113)이 제1 고정부(11)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즉, 밀림 방지벽(112)은 제1 및 제2 돌기(111a, 112a)에 의해 밀림 방지판(111)과 견고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삼각 베어링(113)을 지지할 수 있다.
삼각 베어링(113)은 외측의 제1 빗면(113a)이 밀림 방지벽(112)의 경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내측의 제2 빗면(113b)을 따라 파이프(2)의 타측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방향을 안내한다. 즉, 삼각 베어링(113)은 외측에 형성된 제1 빗면(113a)이 밀림 방지벽(112)의 경사면에 배치되어 제1 고정부(11)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되, 내측에 형성된 제2 빗면(113b)을 따라 파이프(2)의 타측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삼각 베어링(113)은 제2 빗면(113b)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 파이프(2)의 타측을 상방에서 지지한다.
제2 고정부(12)는 제1 고정부(11)의 하부에 형성되어 파이프(2)의 타측을 가압한다. 이러한 제2 고정부(12)는 제1 격벽(121), 제2 격벽(122) 및 제1 오링(123)을 포함한다.
제1 격벽(121)은 제2 고정부(12)의 상부에 형성되어 파이프(2)의 타측을 하방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제1 격벽(121)의 상부면과 삼각 베어링(113)의 하부면 사이에 상술한 이동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격벽은 제1 격벽(121)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 오링(123)이 결합될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오링(123)은 제1 및 제2 격벽(121, 122)의 사이에 위치하여 파이프(2)의 타측을 탄성력 있게 가압한다.
제3 고정부(13)는 연결구(1)의 상부에 형성되어 파이프(2)의 일측을 가압한다. 이러한 제3 고정부(13)는 제3 격벽(131), 제4 격벽(132) 및 제2 오링(133)을 포함한다.
제3 격벽(131)은 제3 고정부(13)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2 오링(133)이 결합될 공간을 형성한다.
제4 격벽(132)은 제3 격벽(131)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3 격벽(131)과 더불어 제2 오링(133)이 결합될 공간을 형성한다.
제2 오링(133)은 제3 및 제4 격벽(131, 132)의 사이에 위치하여 파이프(2)의 일측을 탄성력 있게 가압한다.
한편, 파이프(2)는 제1 슬라브(S1)에 설치된 연결구(1)로 일측이 삽입되고, 제2 슬라브(S2)에 설치된 연결구(1)로 타측이 삽입된다. 또한, 파이프(2)는 일측을 축으로 타측이 휘어짐으로써, 서로 다른 두 슬라브(S1, S2)의 간격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2)는 제1 삽입부(21), 굴절 주름부(22) 및 제2 삽입부(23)를 포함한다.
제1 삽입부(21)는 파이프(2)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슬라브(S1)에 설치된 연결구(1)의 하부로 삽입된다. 또한, 제1 삽입부(21)는 제1 슬라브(S1)에 설치된 연결구(1)의 하부로 삽입되면, 제3 고정부(13)의 제2 오링(133)의 가압에 의해 그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굴절 주름부(22)는 제1 삽입부(21)의 하부에 형성되고, 파이프(2) 길이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원통형 마디가 형성된다. 즉, 굴절 주름부(22)는 제1 삽입부(21)가 제1 슬라브(S1)에 설치된 연결구(1)에 삽입될 때에 제2 삽입부(23)가 휘어지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 슬라브(S1, S2) 간의 간격보다 긴 길이의 파이프(2)가 각각의 연결구(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굴절 주름부(22)는 건축물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면, 후술할 도 3의 설명과 같이, 탄성력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일정 각도 휘어질 수 있다.
제2 삽입부(23)는 파이프(2)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2 슬라브(S2)에 설치된 연결구(1)의 상부로 삽입된다. 또한, 제2 삽입부(23)는 외주면에 형성된 원통형의 밀림 방지턱(231)이 제1 고정부(11)의 삼각 베어링(113) 내측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이동로에 위치한다. 즉, 이동로에 위치한 밀림 방지턱(231)은 삼각 베어링(113)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그 이동로의 거리만큼만 이동할 수 있다.
도 3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의 다른 특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은 건축물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및 제2 삽입부(21, 23) 사이에 위치한 굴절 주름부(22)가 탄성력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일정 각도 휘어짐으로써, 파이프(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파이프(2)는 굴절 주름부(22)가 일정 각도 휘어지면, 타측에 위치한 제2 삽입부(23)가 제1 및 제2 고정부(11, 12) 사이의 이동로에 의해 형성된 완충 공간만큼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굴절 주름부(22)의 휘어짐에 대응할 수 있다.
끝으로, 도 4, 도 5a 내지 도 5d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의 시공 방법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시공 방법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의 시공 방법은 연결구 설치 단계(S5), 제1 내지 제3 삽입 단계(S6~S8)를 포함한다.
연결구 설치 단계(S5)에서는 제1 및 제2 슬라브(S1, S2) 저마다의 삽입 공간에 2 개의 연결구(1)가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즉, 연결구 설치 단계(S5)에서는 도 5a와 같이, 서로 다른 층 또는 바닥에 대응되는 2 개의 슬라브(S1, S2) 저마다에 각각의 연결구(1)가 설치된다.
제1 삽입 단계(S6)에서는 파이프(2)의 일측을 축으로 파이프(2)의 타측이 제1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제1 슬라브(S1)에 설치된 연결구(1)의 하부로 파이프(2)의 일측이 삽입된다. 즉, 제1 삽입 단계에서(S6)는 도 5b와 같이, 파이프(2)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삽입부(21)가 제1 슬라브(S1)에 대응되는 연결구(1)에 삽입되고, 굴절 주름부(22)가 휘어져 파이프(2)의 타측에 위치한 제2 삽입부(23) 또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삽입 단계에서(S7)는 파이프(2)의 타측이 파이프(2)의 일측을 축으로 제2 방향으로 휘어지며 제2 슬라브(S2)에 설치된 연결구(1)의 상부로 향한다. 즉, 제2 삽입 단계(S7)에서는 도 5c와 같이, 제1 슬라브(S1)에 고정된 제1 삽입부(21)를 축으로 굴절 주름부(22)의 휘어짐에 의해 제1 삽입부(21)와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제3 삽입 단계(S8)에서는 파이프(2)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굴절 주름부(22)가 파이프(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펼쳐지며 제2 슬라브(S2)에 설치된 연결구(1)의 상부로 파이프(2)의 타측이 삽입된다. 즉, 제3 삽입 단계(S8)는 도 5d와 같이, 제1 삽입부(21)가 제1 슬라브(S1)에 고정되고, 제2 삽입부(23)가 제2 슬라브(S2)에 고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관의 시공 방법은 연결구(1)의 상하부에 또 다른 파이프(2)를 삽입하여 제1 및 제2 슬라브(S1, S2) 외에 다른 슬라브에도 복수의 파이프(2)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연결구
11 : 제1 고정부
111 : 밀림 방지판
111a : 제1 돌기
112 : 밀림 방지벽
112a : 제2 돌기
113 : 삼각 베어링
113a : 제1 빗면
113b : 제2 빗면
12 : 제2 고정부
121 : 제1 격벽
122 : 제2 격벽
123 : 제1 오링
13 : 제3 고정부
131 : 제3 격벽
132 : 제4 격벽
133 : 제2 오링
2 : 파이프
21 : 제1 삽입부
22 : 굴절 주름부
23 : 제2 삽입부
231 : 밀림 방지턱
S1 : 제1 슬라브
S2 : 제2 슬라브

Claims (10)

  1. 제1 및 제2 슬라브 저마다의 삽입 공간에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된 2 개의 연결구; 및
    상기 제1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로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제2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로 타측이 삽입되는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는, 일측을 축으로 타측이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방향을 안내하며, 삽입된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삽입 공간에 밀착되며,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된 밀림 방지판;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외측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기가 상기 제1 돌기에 맞물리는 밀림 방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관.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슬라브 저마다의 삽입 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관.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의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관.
  5. 삭제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외측의 제1 빗면이 상기 밀림 방지벽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내측의 제2 빗면을 따라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상방에서 지지하는 삼각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관.
  7.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격벽;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격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1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3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3 격벽;
    상기 제3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4 격벽; 및
    상기 제3 및 상기 제4 격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2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관.
  9. 청구항 1에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의 하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1 삽입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길이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원통형 마디가 형성되는 굴절 주름부; 및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브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의 상부로 삽입되며, 외주면에 원통형의 밀림 방지턱이 형성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관.
  10. 삭제
KR1020180129093A 2018-10-26 2018-10-26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194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93A KR101947742B1 (ko) 2018-10-26 2018-10-26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93A KR101947742B1 (ko) 2018-10-26 2018-10-26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742B1 true KR101947742B1 (ko) 2019-02-13

Family

ID=6536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093A KR101947742B1 (ko) 2018-10-26 2018-10-26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391B1 (ko) * 2019-09-18 2020-05-26 김완수 배관슬리브를 이용한 내진용 가스외벽브라켓
KR102475782B1 (ko) * 2021-11-24 2022-12-08 (주)이림기술단 건축물의 배수파이프를 통한 소방용 화재확산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5269A (ja) * 2004-10-05 2006-04-20 Benex Corp 管継手
KR101807987B1 (ko) * 2017-01-20 2018-01-18 유현상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5269A (ja) * 2004-10-05 2006-04-20 Benex Corp 管継手
KR101807987B1 (ko) * 2017-01-20 2018-01-18 유현상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391B1 (ko) * 2019-09-18 2020-05-26 김완수 배관슬리브를 이용한 내진용 가스외벽브라켓
KR102475782B1 (ko) * 2021-11-24 2022-12-08 (주)이림기술단 건축물의 배수파이프를 통한 소방용 화재확산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742B1 (ko)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KR102190167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2061277B1 (ko)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US10627018B2 (en) Pipe mount
KR101876385B1 (ko) 장수명 주택의 내벽체 구조
EP3220032A1 (en) Lead-through element
KR102017659B1 (ko) 기초 바닥용 패널구조체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EP3361132A1 (en) Penetration piece to bring house drainage pipe through the floor vault
KR100592466B1 (ko)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20160100773A (ko) 조립식 벽체유닛의 결합구조
KR20210032645A (ko) 난방 배관 판넬
KR102172061B1 (ko) 배관 설치용 바닥 패널
JP7074534B2 (ja) 仮設建物の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0874134B1 (ko) 이중관연결슬리브의 연결구조를 갖는 슬래브 하부 설치용분배기함 및 조적벽체 매립 배관구조
CN220318868U (zh) 一种集成管线的装配式隔墙结构
US20230407636A1 (en) Concrete form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2059926B1 (ko)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JP4813969B2 (ja) 建物ユニットの配管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90006257U (ko) 바닥난방수단을 갖고 시공성과 안정성을 갖춘 뜬바닥형바닥구조
JP6936055B2 (ja) 洗面ユニットにおける袖壁用ライニングパーツ、および洗面ユニット
JP2008050929A (ja) 壁パネル
JP6963997B2 (ja) 仮設建物の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