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926B1 -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926B1
KR102059926B1 KR1020190063738A KR20190063738A KR102059926B1 KR 102059926 B1 KR102059926 B1 KR 102059926B1 KR 1020190063738 A KR1020190063738 A KR 1020190063738A KR 20190063738 A KR20190063738 A KR 20190063738A KR 102059926 B1 KR102059926 B1 KR 10205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lower front
bathroom
shel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원
Original Assignee
(주)에스비씨산업
서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비씨산업, 서종원 filed Critical (주)에스비씨산업
Priority to KR102019006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47B47/022Racks or shelf units with 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with panels separate from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실에 설치된 배관을 용이하게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는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은,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하부가 욕실의 바닥에 접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벽체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전면패널과; 일단이 벽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전면패널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 및 하부전면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상부를 덮는 선반패널과;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패널 및 하부전면패널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 SHELF TYPE WALL STRUCTURE FOR BATHROOM }
본 발명은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실에 설치된 배관을 용이하게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는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화장실(욕실)에는 세면기와 욕조 및 트렌치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해서 배수장치와 양변기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콘크리트 슬래브를 통과하여 아래층의 천정을 통해 파이프 덕트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과 오수 입상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수와 오수의 배수에 따른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장치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배관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됨으로써, 배관의 노후화에 따른 균열이 발생하면 콘크리트 슬래브에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손상된 배관의 위치 파악이 곤란하고 나아가 배관의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개보수가 필요할 시에는 아래층 세대의 천정을 통하여 공사해야하므로 아래층세대에서 수리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는 배관이 선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패널 등에 결합되어 있어, 배관의 점검 및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 패널을 배관과 독립적으로 분리하기가 어려움 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50798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욕실에 설치된 배관의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 배관을 용이하게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는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은,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하부가 욕실의 바닥에 접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벽체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전면패널과; 일단이 벽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전면패널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 및 하부전면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상부를 덮는 선반패널과;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패널 및 하부전면패널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패널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일단이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대와; 일단이 상기 고정대의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전면패널에 결합되는 이동대와; 상기 고정대의 타단과 상기 이동대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의 타단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대의 일단은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며, 상기 이동대의 타단에는 상기 하부전면패널과 면접촉하여 결합되는 제1절곡판이 양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욕실의 바닥에는 설치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전면패널의 하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하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접하여 지지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전면패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패널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면서, 일단이 상기 상부전면패널의 전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하부전면패널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부전면패널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전면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절곡판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배관이 결합되어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관브라켓에 의해 상기 배관은 욕실 바닥 및 상기 하부전면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부전면패널을 상기 배관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배관브라켓은 그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배관브라켓은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조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전면패널을 지지브라켓에서 분리하여, 하부전면패널과 벽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외부로 노출된 설치공간을 통해 상기 배관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1에서 선반패널 및 하부전면패널을 분리하였을 때의 단면구조도.
본 발명의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면패널(10)과, 지지브라켓(20)과, 상부전면패널(30)과, 선반패널(40)과, 배관(50)과, 배관브라켓(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은 하부가 욕실의 바닥에 접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욕실의 바닥에는 설치홈(70)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의 하부는 상기 설치홈(7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욕실의 바닥에는 별도의 바닥판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설치홈(70)은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형성된다.
위와 같은 상기 설치홈(70)에 의해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의 하부를 상기 설치홈(70)에 삽입할 수 있어,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의 초기 설치가 용이하다.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은 시멘트 벽체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설치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은 상기 지지브라켓(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은 일단이 벽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전면패널(30)은 하부가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상부에 접하여 지지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전면패널(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절곡판(2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절곡판(25)에 의해 상기 상부전면패널(30)을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상부에 안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선반패널(40)은 상기 지지브라켓(20) 및 하부전면패널(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설치공간(S)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선반패널(40)은 상기 하부전면패널(10)과 함께 상기 지지브라켓(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선반패널(40)은 상기 지지브라켓(20)에 지지되면서, 일단이 상기 상부전면패널(30)의 전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부전면패널(10)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선반패널(40)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브라켓(20)은, 상기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각 환경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S)의 크기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1)와, 이동대(22)와, 고정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21)는 일단이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이동대(22)는 일단이 상기 고정대(21)의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전면패널(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대(21)의 타단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대(22)의 일단은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대(22)의 일단이 상기 고정대(21)의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22)의 타단에는 상기 하부전면패널(10)과 면접촉하여 결합되는 제1절곡판(24)이 양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절곡판(24)을 통해 상기 이동대(22)의 타단을 상기 하부전면패널(10)에 보다 안정적이고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3)는 상기 고정대(21)의 타단과 상기 이동대(22)의 일단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23)는 볼트, 나사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겹쳐진 상기 고정대(21)의 타단 및 이동대(22)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고정대(21)의 타단과 이동대(22)의 일단이 임의로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배관(50)은 상기 설치공간(S)에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배관(50)은 욕실에 배치되는 변기, 세면대 등에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브라켓(60)은 상기 설치공간(S)에 배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배관(50)이 결합되어 상기 배관(50)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배관브라켓(60)은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브라켓(60)은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배관브라켓(60)의 높이가 조절되거나 수평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설치공간(S)에 배치된 상기 배관(50)의 위치에 맞게 상기 배관브라켓(60)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브라켓(60)에는 상기 배관(50)의 둘레를 감싸는 밴드가 장착되는데, 상기 밴드는 상기 배관브라켓(60)에 대하여 수직축을 중심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관브라켓(60)에 의해 상기 배관(50)은 욕실 바닥 및 상기 하부전면패널(1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을 상기 배관(5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관(50)이 상기 하부전면패널(10)에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추후에 배관(50) 점검, 교체 등을 위해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을 상기 지지브라켓(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하여 작업을 할 수가 있다.
상기 배관(50) 등에 문제가 있어 점검 및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선반패널(40)을 상기 지지브라켓(20)에서 분리한다.
그 후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이동대(22)에 결합된 상기 하부전면패널(10)을 상기 지지브라켓(20)에서 분리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전면패널(10)과 벽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설치공간(S)이 외부로 노출되고, 작업자가 외부로 노출된 설치공간(S)을 통해 상기 배관(50)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부전면패널,
20 : 지지브라켓, 21 : 고정대, 22 : 이동대, 23 : 고정부재, 24 : 제1절곡판, 25 : 제2절곡판,
30 : 상부전면패널, 40 : 선반패널, 50 : 배관, 60 : 배관브라켓, 70 : 설치홈. S : 설치공간

Claims (10)

  1.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하부가 욕실의 바닥에 접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벽체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전면패널과;
    일단이 벽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전면패널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 및 하부전면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상부를 덮는 선반패널과;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관과;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배관이 결합되어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패널 및 하부전면패널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반패널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브라켓은,
    일단이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타단에 구멍이 형성된 고정대와;
    일단이 상기 고정대의 타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전면패널에 결합되는 이동대와;
    상기 고정대의 타단과 상기 이동대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슬라이딩하는 상기 이동대의 타단에서 양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전면패널과 면접촉하여 결합되는 제1절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브라켓에 의해 상기 배관은 욕실 바닥 및 상기 하부전면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부전면패널을 상기 배관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배관브라켓은 그 높이가 조절되거나, 벽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배관브라켓에는 상기 배관의 둘레를 감싸는 밴드가 장착되고, 상기 밴드는 상기 배관브라켓에 대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욕실의 바닥에는 설치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전면패널의 하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6. 청구항1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접하여 지지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전면패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패널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면서, 일단이 상기 상부전면패널의 전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하부전면패널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부전면패널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전면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절곡판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63738A 2019-05-30 2019-05-30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KR102059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38A KR102059926B1 (ko) 2019-05-30 2019-05-30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38A KR102059926B1 (ko) 2019-05-30 2019-05-30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926B1 true KR102059926B1 (ko) 2019-12-30

Family

ID=6910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38A KR102059926B1 (ko) 2019-05-30 2019-05-30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9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063A (ja) * 2000-07-11 2002-01-23 Akagi:Kk 配管立ち上がり部保持具
KR200352620Y1 (ko) * 2004-03-10 2004-06-05 박기웅 조립 및 탈 부착이 용이한 다기능 선반받침구
KR200430527Y1 (ko) * 2006-08-22 2006-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선반을 갖는 욕실용 조립식 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063A (ja) * 2000-07-11 2002-01-23 Akagi:Kk 配管立ち上がり部保持具
KR200352620Y1 (ko) * 2004-03-10 2004-06-05 박기웅 조립 및 탈 부착이 용이한 다기능 선반받침구
KR200430527Y1 (ko) * 2006-08-22 2006-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선반을 갖는 욕실용 조립식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4573B2 (en) Connection system for a sanitary article
JP6780999B2 (ja) 衛生設備ユニット
KR102059926B1 (ko) 욕실용 선반식 벽체 구조물
CA2960827C (en) Pipe mount
GB2552206A (en) Modular prefabricated bathroom
KR20090108348A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EP3243967A1 (en) Structure with cistern
KR100703626B1 (ko) 욕실 냉온수 배관 결합장치
WO2019093517A1 (ja) 衛生機器装置、ルームユニット、衛生機器装置の施工方法及びルームユニットの施工方法
KR910700017A (ko) 위생기를 벽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
EP3431674A1 (en) Installation device for a sanitary appliance mounting structure and use thereof in a method of installation of a sanitary appliance mounting structure
JP4849239B2 (ja) 浴室ユニット
JP2006283520A (ja) 壁掛け式衛生器具取付装置および壁掛け式衛生器具の取付方法
FI129070B (fi) Vesiputkikanava
EP3399113A1 (en) Plumbing unit
JP4845678B2 (ja) 防水パンの支持金物
KR200372314Y1 (ko) 양변기 조립체
KR102036008B1 (ko) 벽걸이형 소변기 조립체
US20230240479A1 (en) Prefabricated shower pan
KR20230008345A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KR101921482B1 (ko) 수납장을 구비하는 조립형 세면대
JP2008156816A (ja) 浴室ユニット
KR101730093B1 (ko)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JP2008095308A (ja) 洗濯機載置用床材
DK172434B1 (da) Installationssystem til baderum og andre våd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