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593Y1 -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 Google Patents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593Y1
KR200350593Y1 KR20-2004-0004975U KR20040004975U KR200350593Y1 KR 200350593 Y1 KR200350593 Y1 KR 200350593Y1 KR 20040004975 U KR20040004975 U KR 20040004975U KR 200350593 Y1 KR200350593 Y1 KR 200350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gas boiler
gas
righ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운
Original Assignee
유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운 filed Critical 유상운
Priority to KR20-2004-0004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 보일러를 설치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본체에 연결되는 각종 배관들을 보호하고 외부로 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덮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몸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에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한번에 모든 시공을 끝낼 수 있고 작업의 용이함을 가져올 수 있으며, 하부본체가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에 불필요한 볼트 등이 보이지 않아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 보일러 배관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A cover of using a pipe laying for gas- boiler}
본 고안은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스 보일러를 설치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본체에 연결되는 각종 배관들을 보호하고 외부로 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위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중앙난방식으로 온수 및 난방을 공급하고 있으나, 이는 각 가정마다 획일적으로 가스가 공급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각 가정마다 별도의 가스 보일러를 설치하여 각자가 공급되는 가스를 조절할 수 있는 개별난방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별난방을 하기 위하여 가스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 그 위치는 대게 아파트 베란다나 다용도실 벽면의 설치되며, 주로 공기보다 무거운 비중을 갖는 가스가 바닥으로 가라앉는 점을 감안하여 바닥에서 일정높이 위치한 곳에서 벽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한 가스보일러를 설치함에 있어 본체에 연결되는 각종 배관인 급수관, 온수용 공급관, 온수용 배수관, 난방수 공급관, 난방수 배수관, 드레인관 등등이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배관이 너무 많다 보니 외관상 보기가 아주 흉하며 외부충격으로 인한 가스노출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배관들 중 뜨거운 물이 순환되는 온수관은 잘못된 조작으로 화상을 당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의 접근을 방지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는 가스보일러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배관들을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고 보호하기 위한 덮개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덮개는 주로 한 장의 금속판재들을 프레스에서 절단 및 벤딩하여 'ㄷ'자형으로 성형하고 양측면에 가스관을 인출하기 위한 삽치홈을 형성하고, 정면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점검창을 설치한 것을 사용하여 왔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998-6614호에서는 가스 보일러의 배관 덮개를 구체적으로 소개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배관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을 'ㄷ'자로 형상으로 절곡하여 몸체(1)를 구성하며, 몸체(1)의 좌우측면을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대(2)에 볼트(11)로 체결토록 하며, 상기 몸체(1) 정면에 점검창(4)을 가지며, 좌우측면(3)에 삽치홈(7)을 가지며, 하부에는 다수개의 장홈(6)을 가진 길이조절판(5)을 볼트(8)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덮개는 가스보일러 하부에 연결된 각종 배관을 덮어주어 외관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며, 외부충격으로 인한 가스노출이나 어린이들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는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덮개는 지지대를 먼저 몸체의 크기에 맞춰 벽면에 고정시킨 다음 몸체를 결합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럽고 지지대의 고정위치를 잘못 맞추었을 경우 다시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몸체와 길이조절판을 결합하는 수단이 볼트로 체결됨에 따라 작업이 용이치 않고 작업 후 볼트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며 긁히거나 하는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몸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에 바로 설치가 가능하고, 하부본체가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배관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관용 덮개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관용 덮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배관용 덮개
10 : 주몸체 11 : 지지부
12 : 통공 13 : 삽치홈
14 : 길이조절홈 15 : 개방부
16 : 절곡편 16a : 절단부
17 : 걸림턱 17a : 걸림홈
18 : 스프링 19 : 고정볼
20 : 하부몸체 21 : 삽입편
30 : 점검창 31 : 고정부재
32 : 손잡이부 33 : 고정홈
200 : 가스 보일러 201 : 가스관
300 : 결합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판재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절곡되어 있고, 좌.우 양측면 상단에는 삽치홈이 구비되며, 정면에는 외부와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걸림턱이 설치되되 하단의 걸림턱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금속판재의 상단에는 내부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갖는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의 개방부에 탈착가능한 형태로 빈틈없이 장착되며, 하단에는 바닥면과 연장된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정면에는 소정의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검창;을 포함하는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의 좌.우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일렬로 배열된 지지부가 외부면을 따라 구비되고, 주몸체의 좌.우 양측면 하단에는 각각 소정의 높이만큼 길이조절홈이 형성되며, 주몸체의 하단에는 수용공간 내부로 빈공간없이 삽입되도록 주몸체와 동일한 모양을 갖고 크기만 작은 하부몸체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몸체 좌.우 양측면에는 주몸체의 길이조절홈에 삽입되는 삽입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가스 보일러 배관용 덮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덮개(100)는 크게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11) 및 외부와 개방된 개방부(15)를 갖는 주몸체(10)와; 상기 주몸체(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하부몸체(20); 주몸체(10)의 개방부(1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점검창(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주몸체(10)의 경우 소정의 크기를 갖는 금속판재를 프레스에서 절단 및 벤딩하여 'ㄷ'자형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주몸체(10)의 좌.우 양측면에는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11)가 말단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1)에는 볼트나 스크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통공(12)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몸체(10)의 좌.우 양측면 상단에는 가스 보일러로 부터 횡방향으로 설치된 가스관을 인출하기 위한 삽치홈(13)이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하부몸체(20)와 결합하기 위한 길이조절홈(14)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며, 정면에는 외부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5)가 구비되고, 주몸체(10)의 상단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절곡편(16)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주몸체(10)의 개방부(15)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림턱(17)이 설치되되 하단의 걸림턱(17)에는 중간 부위에 걸림홈(17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주몸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서는 주몸체 상단에 형성된 절곡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주몸체(10)의 상단에는 금속판재를 내부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편(16)이 있는데, 이 때 상기 주몸체(10)의 상단 코너부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편(16)이 겹치지 않도록 겹침부위를 절단하여 절단부(16a)를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절곡편들을 몸체로 부터 절곡시 겹치는 부분에 용접 등을 통해 접착하여 사용할 경우 장시간이 지나면 그 부분이 녹이 발생되거나 부식될 수 있어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절곡편들이 서로 겹치는 부위를 절단하여 상기한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이다.
하부몸체(20)의 경우에는 주몸체(10)의 절곡된 내부로 빈공간없이 삽입되도록 'ㄷ'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좌.우 양측면에는 삽입편(21)이 형성되어 있어 주몸체(10)의 길이조절홈(1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하부몸체(20)가 주몸체(10)로 부터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몸체(20)는 주몸체(10)의 하단에 이중으로 겹치도록 장착되어 있어, 가스보일러 하단 벽면에 주몸체(10)를 부착하여 고정시킬 때 가스 보일러의 설치된 위치에 따라 주몸체(10)가 배관 전체를 덮지 못하고 바닥면으로 부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하부몸체(20)를 주몸체(10)로 부터 바닥면에 닿을 때 까지 하강시켜 배관 전체를 가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점검창(30)의 경우 주몸체(10)에 형성된 개방부(15)와 대응되는 모양을 갖도록 하여 개방부(15)에 빈틈없이 장착되며, 그 하단에는 바닥면과 연장된 고정부재(31)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는 소정의 손잡이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점검창(30)은 주몸체(10)의 개방부(15)에 장착시, 개방부(15)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절곡되게 형성된 걸림턱(17)에 의해 점검창(30)이 더 이상 내부로 진입되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점검창(30)의 고정부재(31)가 하단 걸림턱(17)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걸림홈(17a)에 끼워지도록 하여 주몸체(10)에 점검창(30)을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검창(30)은 주몸체(10)의 개방부(15)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본 고안의 덮개(100)를 가스 보일러의 하단에 설치한 후 배관의 점검이나 교체 및 수리시 주몸체(10)를 떼어내지 않고 점검창(30)을 분리하여 이같은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배관용 덮개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4에서는 주몸체와 개방부 사이의 고정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주몸체(10)의 개방부(15) 상단에 스프링(18)과 연결된 구형의 고정볼(19)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19)과 접촉되는 점검창(33)에는 반원형의 고정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볼(19)은 개방부(15)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볼(19)의 반 이상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방부(15) 상단에 스프링(18)으로 지지되는 고정볼(19)을 고정수단으로 선택함으로서, 점검창(30)을 개방부(15)로 부터 소정의 힘을 가하여 착탈시키게 되면 개방부(15)로 부터 돌출된 고정볼(19)이 스프링(18)에 의해 탄력적으로 삽입 및 돌출되게 되어 점검창(30)의 고정홈(33)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며, 이는 점검창과 개방부 사이에 좀 더 안정적인 고정수단을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덮개는 몸체를 바로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에 바로 설치가 가능하고, 하부본체가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배관용 덮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배관용 덮개를 가스 보일러에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가스 보일러(200)의 하단에 주몸체(10)를 완전히 밀착시키고, 종방향으로 설치된 가스관(201)은 삽치홈(13)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한 다음, 지지부(11)의 통공(12)에 콘크리트 못이나 볼트,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구(300)를 통하여 벽면에 부착시키게 되면 그 설치과정이 완료된다. 다만, 주몸체(10)가 가스보일러(100)의 배관 전체를 덮지 못하고 하단에 공간이 형성되면 하부몸체(20)가 주몸체(10)로 부터 바닥면에 닿을 때 까지 하강되어 배관 전체를 가리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는 외부충격에 의한 각종 배관의 보호나 부주의로 인한 사고 위험의 방지와 같은 목적 이외에도 작업자의 시공시 용이함을 가져올 수 있으며, 외부로 불필요한 볼트 등이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는 몸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에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한번에 모든 시공을 끝낼 수 있고 작업의 용이함을 가져올 수 있으며, 하부본체가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에 불필요한 볼트 등이 보이지 않아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2)

  1. 금속판재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절곡되어 있고, 좌.우 양측면 상단에는 삽치홈이 구비되며, 정면에는 외부와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걸림턱이 설치되되 하단의 걸림턱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금속판재의 상단에는 내부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갖는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의 개방부에 탈착가능한 형태로 빈틈없이 장착되며, 하단에는 바닥면과 연장된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정면에는 소정의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검창;을 포함하는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의 좌.우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일렬로 배열된 지지부가 외부면을 따라 구비되고, 주몸체의 좌.우 양측면 하단에는 각각 소정의 높이만큼 길이조절홈이 형성되며, 주몸체의 하단에는 수용공간 내부로 빈공간없이 삽입되도록 주몸체와 동일한 모양을 갖고 크기만 작은 하부몸체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몸체 좌.우 양측면에는 주몸체의 길이조절홈에 삽입되는 삽입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의 상단 코너부가 절곡편이 겹치지 않도록 절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KR20-2004-0004975U 2004-02-25 2004-02-25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KR200350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75U KR200350593Y1 (ko) 2004-02-25 2004-02-25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75U KR200350593Y1 (ko) 2004-02-25 2004-02-25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593Y1 true KR200350593Y1 (ko) 2004-05-13

Family

ID=4943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975U KR200350593Y1 (ko) 2004-02-25 2004-02-25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5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718B1 (ko) * 2020-12-28 2022-06-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배관커버
KR102436146B1 (ko) * 2021-04-21 2022-08-25 (주)건우테크 보일러 배관커버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718B1 (ko) * 2020-12-28 2022-06-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배관커버
KR102436146B1 (ko) * 2021-04-21 2022-08-25 (주)건우테크 보일러 배관커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5837B1 (en) Screen device
KR20040043630A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US20090229672A1 (en) Method of constructing cold and hot water piping system
KR200350593Y1 (ko) 가스 보일러의 배관용 덮개
KR200405423Y1 (ko) 유체 분배기함
KR100704659B1 (ko) 비수전함형 수전결합 시스템
KR200426264Y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용 수전
KR200419505Y1 (ko) 에어컨용 분배함
KR100563634B1 (ko) 건축물 창문틀 측부 보강구조
KR200428293Y1 (ko) 보일러 이중관 배관용 박스
KR200435704Y1 (ko)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KR100788022B1 (ko) 배수관 고정구
KR100855304B1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KR200304846Y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482918B1 (ko) 엑셀 파이프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엑셀 파이프 시공 방법
KR20050111536A (ko) 벽체 부착형 보일러의 설치구조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2450249B1 (ko)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2664612B1 (ko) 이너 플레이트의 각도 조정이 용이한 실내 배전용 콘센트 박스
KR102093952B1 (ko)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468970Y1 (ko) 누수 확인용 검수관
JP6936055B2 (ja) 洗面ユニットにおける袖壁用ライニングパーツ、および洗面ユニット
JP5382402B2 (ja) 配管接続用パネル
KR200194820Y1 (ko) 가스보일러 배관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