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952B1 -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952B1
KR102093952B1 KR1020190165689A KR20190165689A KR102093952B1 KR 102093952 B1 KR102093952 B1 KR 102093952B1 KR 1020190165689 A KR1020190165689 A KR 1020190165689A KR 20190165689 A KR20190165689 A KR 20190165689A KR 102093952 B1 KR102093952 B1 KR 10209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ud
finishing
wall
ru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안
Original Assignee
(주)해원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원에이앤씨 filed Critical (주)해원에이앤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even parallel pins and four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even parallel pins and four arms
    • E05D2003/166Vertical pivot-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실내 복도에 설치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방향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되는 상부 런너, 상기 상부 런너와 대향하도록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되는 하부 런너 및 상기 상부 런너와 상기 하부 런너 사이에 배치되되, 일 단은 상기 상부 런너와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하부 런너와 결합되어 고정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터드들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서로 인접하도록 고정되는 마감패널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감벽체,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들 중, 인접하는 제1스터드 및 제2스터드 사이에 설치되는 점검구용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는, 일측이 상기 제1스터드에 직접 결합되는 문 힌지 및 일측이 상기 문 힌지의 타측에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일측이 상기 마감패널들 중 상기 제1스터드에 결합되는 제1마감패널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스터드에 결합되는 제2마감패널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스터드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문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패널들은, 암면(Rockwool) 소재를 가압하여 패널 형태로 형성한 락패널(rock panel)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마감벽체를 구성하는 마감패널들은 암면 소재를 가압하여 패널 형태로 형성한 락패널로써, 내습성,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Drywall for pipe duct structure and how to install the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면 소재의 마감패널을 이용하여 내습성, 내화성 및 내부식성 등을 향상시킨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건비 상승 등 사회적 여건으로 인하여 기존의 습식벽체를 대신하여 건식벽체의 사용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공동주택의 파이프 덕트 벽체는 아연도금강판으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러한 강판소재를 이용하는 경우 퉁퉁거림 및 부식등의 하자 우려가 있고, 공장 가공이 필요하여 관리비용이 증가하고 상품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하지만 적절한 대안 부재로 인하여 이러한 강판 소재를 이용한 파이프 덕트 벽체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55890호
본 발명은 암면 소재의 마감패널을 이용하여 내습성, 내화성 및 내부식성 등을 향상시킨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실내 복도에 설치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방향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되는 상부 런너, 상기 상부 런너와 대향하도록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되는 하부 런너 및 상기 상부 런너와 상기 하부 런너 사이에 배치되되, 일 단은 상기 상부 런너와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하부 런너와 결합되어 고정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터드들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서로 인접하도록 고정되는 마감패널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감벽체,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들 중, 인접하는 제1스터드 및 제2스터드 사이에 설치되는 점검구용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는, 일측이 상기 제1스터드에 직접 결합되는 문 힌지 및 일측이 상기 문 힌지의 타측에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일측이 상기 마감패널들 중 상기 제1스터드에 결합되는 제1마감패널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스터드에 결합되는 제2마감패널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스터드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문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패널들은, 암면(Rockwool) 소재를 가압하여 패널 형태로 형성한 락패널(rock panel)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실내 복도에 설치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방향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되는 상부 런너, 상기 상부 런너와 대향하도록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되는 하부 런너 및 상기 상부 런너와 상기 하부 런너 사이에 배치되되, 일 단은 상기 상부 런너와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하부 런너와 결합되어 고정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터드들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들 중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스터드들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문틀 및 상기 문틀에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문을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점검구용 도어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서로 인접하도록 고정되는 마감패널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감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벽체에는 상기 마감벽체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점검구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패널들은, 암면(Rockwool) 소재를 가압하여 패널 형태로 형성한 락패널(rock panel)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실내 복도에 설치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설치방법에 있어서, 수평 방향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되도록 상부 런너를 배치하고,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되고, 상기 상부 런너와 대향하도록 하측에 이격되어 하부 런너를 배치하며, 일측은 상기 상부 런너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 런너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 런너와 상기 하부 런너 사이에 복수 개의 스터드를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지지프레임 설치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들 중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스터드들 사이에 개폐 가능한 점검구용 도어부를 설치하는 도어부 설치 단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서로 인접하도록 고정되는 마감패널들을 부착하되, 상기 마감패널들은 암면(Rockwool) 소재를 가압하여 패널 형태로 형성한 락패널(rock panel)인, 마감벽체 설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벽체 설치 단계에서는, 상기 마감벽체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 중에서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가 설치되는 위치 이외의 부분에 상기 마감패널을 부착함으로써 직사각형의 점검구용 개구부를 형성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마감벽체를 구성하는 마감패널들은 암면 소재를 가압하여 패널 형태로 형성한 락패널로써, 내습성,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다.
둘째, 암면 소재의 마감패널들이 내습성 및 내 부식성을 가지므로 청소 등을 함에 있어서 제약이 적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암면 소재의 마감패널들은 기존의 강판패널에 비해 가볍고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넷째, 점검구용 도어부의 문과 마감벽체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서 이질감이 없고 외관이 미려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점검구용 도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평 문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점검구용 도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문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점검구용 도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문 힌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점검구용 도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문 손잡이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스터드의 확대도이다.
도 9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코너몰딩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수직 문틀과 스터드 및 수평 문틀의 결합구조, 스터드들과 코너 몰딩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점검구용 도어부, 스터더, 마감패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의 점검구용 도어부, 스터드, 마감패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는 지지프레임(100), 점검구용 도어부(200), 마감벽체(300) 및 코너 몰딩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부 런너(110), 하부 런너(120) 및 스터드들(130)을 포함한다.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는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실내 복도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는 설치 장소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는 강성이 강하여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벽이나 기둥과 같은 건물 내벽과 직접 결합되어 상기 내벽처럼 단단한 벽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기 마감벽체(300)를 지지하고, 상기 마감벽체(300)의 이음매 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마감벽체(3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 런너(110)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런너(110)의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 런너(110)는 천장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런너(110)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상부 런너(110)의 소재는 스틸(steel) 소재나 그 외의 견고한 소재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런너(120)는 상기 상부 런너(110)와 대향하도록 상기 상부 런너(1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런너(120)의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 런너(120)는 상기 상부 런너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런너(110) 및 상기 하부 런너(120)는 상기 스터드들(13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터드들(130)은 상기 상부 런너(110)와 상기 하부 런너(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스터드들(130)의 일측은 상기 상부 런너((110)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터드들(130)의 타측은 상기 하부 런너(12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터들은 상기 상부 런너(110) 또는 상기 하부 런너(12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스터드들(130)은 상기 상부 런너(110)와 상기 하부 런너(120) 사이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들(130) 중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스터드들(130)이 배치되는 간격은 서로 다르다. 물론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들(130) 중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스터드들(130)이 배치되는 간격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터드들(130) 중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상부 런너(110) 및 상기 하부 런너(12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스터드(130)는 상기 코너 몰딩부(40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타측 단부만 공동주택의 내측벽이 맞닿아 있다. 따라서 상기 코너 몰딩부(400)는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일측 단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가 모두 공동주택의 내측벽과 맞닿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각각이 상기 코너 몰딩부(4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스터드들(130)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200)는 문틀(210), 문(220) 및 문 힌지(230)를 포함한다. 상기 문틀(210)은 제1수평 문틀(211), 제2수평 문틀(212), 제1수직 문틀(213) 및 제2수직 문틀(2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은 상기 문틀(210) 중에서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을 의미하고,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은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은 상기 문틀(210)의 우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을 의미하고, 상기 제2수직 문틀(214)은 상기 문틀(210)의 좌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상기 제1수평 문틀(211) 및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은 상기 문틀(210)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마감벽체(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직 문틀(213) 및 상기 제2수직 문틀(214)은 상기 문틀(210)이 설치될 때, 인접하는 상기 스터드들(13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은 상기 상부 런너(1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은 외측 전면이 상기 상부 런너(110)의 외측 전면과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후 방향은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외측 전면은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이 상부 런너(110)보다 더 돌출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4미리미터(mm) 내지 10미리미터(mm) 더 돌출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이 상기 상부 런너(110)보다 더 돌출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은 상기 제1수평 문틀(211)과 같이 상기 상부 런너(110)의 외측 전면과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의 구체적인 구조가 나타나 있다.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은 견고한 소재라면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은 바닥면부(211a), 제1측면부(211b), 제2측면부(211c), 제1측면 절곡부(211b1) 및 제2측면 절곡부(211c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은 바닥면부(211a), 제1측면부(211b), 제2측면부(211c), 제1측면 절곡부(211b1) 및 제2측면 절곡부(211c1)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면부(211a)는 상기 상부 런너(110) 및 상기 하부 런너(120)와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부(211a)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바닥면부(211a)와 교차하는 상방향으로 상기 제1측면부(211b) 및 상기 제2측면부(211c)가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레일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 절곡부(211b1)는 상기 제1측면부(211b)와 교차하는 방향, 즉, 상기 바닥면부(211a)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측면 절곡부(211c1)는 상기 제2측면부(211c)와 교차하는 방향, 즉, 상기 바닥면부(211a)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측면부(211b)의 길이는 상기 제2측면부(211c)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측면 절곡부(211b1)의 길이는 상기 제2측면 절곡부(212c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마감벽체(3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의 왼쪽 단부 및 오른쪽 단부는 각각 상기 제1수직 문틀(213) 및 상기 제2수직 문틀(214)이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은 상기 제1수평 문틀(211)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은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은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은 상기 제1수평 문틀(211)과 비교할 때,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의 제1측면부(211b) 및 및 제2측면부(211c)가 상기 바닥면부(211a)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은 상기 제1수평 문틀(211)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의 구체적인 구조가 나타나 있다.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은 견고한 소재라면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은 외측 전면이 상기 상부 런너(110)의 외측 전면과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후 방향은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외측 전면은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이 상부 런너(110)보다 더 돌출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4미리미터(mm) 내지 10미리미터(mm) 더 돌출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이 상기 상부 런너(110)보다 더 돌출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직 문틀(214)은 상기 제1수직 문틀(213)과 같이 상기 상부 런너(110)의 외측 전면과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은 정면부(213a), 제1측면부(213b), 제2측면부(213c), 제1측면 절곡부(213b1) 및 스터드 체결부(213d)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은 정면부(213a), 제1측면부(213b), 제2측면부(213c), 제1측면 절곡부(213b1), 제2측면 절곡부(213c1) 및 스터드 체결부(213d)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정면부(213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정면부(213a)는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이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에 시각적으로 보이는 부분이다. 상기 제1측면부(213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부(213b)는 상기 정면부(213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정면부(213a)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측면부(213b)는 상기 정면부(213a)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200)가 설치되는 건물의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부(213b)의 상단부는 상기 제1수평 도어부 프레임(211)의 바닥면부(212a)의 우측 단부와 밀착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측면 절곡부(213b1)는 상기 제1측면부(213b)와 교차하는 방향, 즉, 상기 정면부(213a)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의 제1측면부(211b)의 우측 단부와 밀착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2측면부(213c)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2측면부(213c)는 상기 정면부(213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정면부(213a)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2측면부(213c)가 상기 정면부(213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1측면부(213b)가 상기 정면부(213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다. 상기 제2측면부(213c)는 상기 마감벽체(300)의 측면과 밀착하여 고정된다.
상기 스터드 체결부(213d)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구조의 판 두 개가 'L'자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터드 체결부(213d)의 제1판(213d1)은 상기 제1측면부(213b) 및 상기 제2측면부(213c)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2판(213d2)은 상기 정면부(213a) 및 상기 제1측면 절곡부(213b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 체결부(213d)의 제2판(213d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측면부(213c)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 체결부(213d)는 상기 'L'자 형태의 내측면에 상기 스터드(130)가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제1판(213d1)은 상기 스터드(130)와 타카(tacker)로 고정된다. 물론 상기 제1판(213d1)과 상기 스터드(130)의 고정방식은 나사결합 또는 그 외 다른 방법으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2수직 문틀(214)은 상기 제1수직 문틀(214)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수직 문틀(214)은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을 상부에서 볼 때,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의 제1측면 절곡부(213b1)의 단부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것과 같은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2수직 문틀(214)의 구체적인 구조와 결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은 상기 제1수평 문틀(211)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문(220)은 상기 제1수직 문틀(213)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문(220)과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의 결합은 상기 문 힌지(23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문(220)에는 문 손잡이(2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문(220)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문(220)을 상기 제1수직 문틀(213)에 결합시키는 상기 문 힌지(230) 및 상기 문(2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문 손잡이(221)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문 힌지(230)는 벽체고정부(231), 상부이동부(232), 하부이동부(233) 및 문고정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고정부(231)는 제1플레이트판(231a) 및 제1이동축(231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문고정부(234)는 제2플레이트판(234a) 및 제2이동축(234b)을 포함하다. 상기 문 힌지(230)는 경첩타입으로 열림 각도가 90도 내지 150도로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판(231a)은 상기 제1수직 문틀(213)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수직 문틀(213)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문 힌지(230) 체결부위의 집중 하중에 따른 상기 마감벽체(3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판(231a)은 길이 50 내지 150mm, 폭 40 내지 50mm로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축(231b)은 상기 제1플레이트판(231a) 상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이동축(231b)의 일측은 상기 상부이동부(232)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이동부(233)와 연결된다. 상기 제1동축(231b)은 상기 제1플레이트판(231a) 상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이동부(232) 및 상기 하부이동부(233)가 펴지거나 접힘으로써 상기 문(220)을 열고 닫을 때, 상기 상부이동부(232) 및 상기 하부이동부(233)가 일정한 각도가 움직일 수 있도록 축이 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이동부(232)는 일측이 상기 제1이동축(231b)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이동축(234b)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이동부(232)는 상기 문(220)이 닫힌 상태에서는 접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문(220)이 열릴 때는 접힌 부분이 펼쳐지면서 상기 문(220)이 열릴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이동부(232)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하부이동부(233)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상기 하부이동부(233)는 일측이 상기 제1이동축(231a)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이동축(234b)의 타측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이동부(233)도 상기 문(220)이 닫힌 상태에서는 접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문(220)이 열릴 때는 접힌 부분이 펼쳐지면서 상기 문(220)이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하부이동부(233)는 상기 문(220)이 열릴 때 상기 문(220)이 열리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문(220)과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이동부(233)는 두 개의 부재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된 부분에서 하나의 부재가 다른 하나의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문(220)이 닫힌 상태에서 90도 이상 열리더라도 상기 제1수직 문틀(213)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상기 문(220)의 개폐가 자유롭기 때문에 상기 문(220) 내부를 점검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판(234a)은 상기 문(220)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문(220)에 고정된다. 상기 제2이동축(234b)은 상기 제2플레이트판(234a)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이동축(234b)의 일측은 상기 상부이동부(232)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이동축(234b)의 타측은 상기 하부이동부(233)의 타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2이동축(234b)은 상기 제1이동축(231b)과 함께 상기 상부이동부(232) 및 상기 하부이동부(233)가 일정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축이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문 손잡이(221)이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플라스틱을 이용한 손잡이에 비해 외관상 고급스러움을 느끼게 한다. 또한 상기 문 손잡이(221)는 양측에 개구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221a) 일측에 상기 몸체부(221a)의 개구된 면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원형의 그립부(221b)를 부착한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문(220)을 열 때, 상기 몸체부(221a) 또는 상기 그립부(221b)를 잡고 쉽게 상기 문(22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마감벽체(300)는 암면(Rockwool) 소재로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벽체(300)는 현무암 또는 화강암을 포함하는 암석을 용융하여 제작되는 락패널(rockpanel)로 형성된다. 상기 락패널은 암면(Rockwool) 소재를 가압항 패널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락패널은 소재 그 자체를 이용할 수도 있고, 다양한 안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미감 향상이 가능하다. 상기 문(200)은 락패널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문(200)을 강판 또는 스테인리스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마감벽체(300)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구조를 갖는다. 상기 마감벽체(3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부착된다. 상기 마감벽체(300)는 상기 스터드들(130)에 의해 구획되는 각각의 면들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마감벽체(300) 하나가 상기 스터드들(130)에 의해 구획되는 두 개 이상의 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마감벽체(300) 상기 스터드들(130)에 의해 구획되는 직사각형의 면들에 각각 매칭되도록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벽체(300)는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200)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마감벽체(300)를 부착하더라도 상기 마감벽체(300) 사이에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200)에 매칭되는 점검구용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마감벽체(300)는 강판에 비해 내습성 및 내 부식성이 우수하므로 강판 소재로 형성되는 건식 파이프 벽체구조보다 물 청소 등을 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부식 등이 되지 않으므로 장기간 깨끗한 외관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장 마감공사 시에 콘크리트용 프라이머와 철판용 프라이머를 달리 시공했던 것과 비교하여 콘크리트용 프라이머로 일원하하여 시공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11을 참조하면, 도 7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또한 상기 도 11은 도 1에 다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스터드(130) 및 상기 코너 몰딩부(400)의 구조 및 이들의 결합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스터드(130)는 정면부(131), 배면부(132) 및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정면부(131), 상기 배면부(132) 및 상기 연결부(133)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터드(1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사각기둥의 중간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33)가 상기 스터드(130)의 내부 수용공간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구조인 것이다.
상기 정면부(131)의 정면판(131a)에는 상기 스터드(130)의 내부 수용공간 방향으로 반원형태의 그루브(131a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면부(132)의 제1배면판(132a) 및 제2배면판(132b)의 단부에는 낚시 고리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배면판(132a)과 상기 제2배면판(132b)의 단부는 서로서로를 감싸는 구조로 걸림구조의 결합부(132c)를 형성한다.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200)가 설치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스터드(130)의 정면부(131)는 상기 제1수직 문틀(213) 및 마감벽체(300) 밀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130)의 정면부(131)의 일측 및 상기 배면부(132)의 일측은 상기 제1수직 문틀의 스터드 체결부(214d)와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제1수직 문틀의 스터드 체결부(214d)와 상기 스터드(130)의 고정은 타카를 이용하여 한다. 물론 상기 제1수직 문틀의 스터드 체결부(214d)와 상기 스터드(130)의 고정방법은 나사핀을 이용하거나 그 외 다른 방법으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코너 몰딩부(400)는 정면판(410), 제1측면판(420), 제1스터드 체결부(421), 제2측면판(430) 및 제2스터드 체결부(431)를 포함한다. 상기 코너 몰딩부(400)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가 평평한 면이 아닌 꺾이는 면이 있을 때, 그러한 부분에 생길 수 있는 모서리에 의해 통행을 하는 사람이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코너 몰딩부(400)는 상기 마감벽체(3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코너 몰딩부(400)의 소재를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정면판(4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정면은 둥근 호 형태로 돌출되고, 배면에 상기 호 형태에 상응하는 구조의 홈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판(420) 및 상기 제2측면판(430)은 상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측면판(420) 및 상기 제2측면판(430)도 상하방향으로 상기 정면판(41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측면판(420) 및 상기 제2측면판(430)은 마감벽체(300)와 각각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측면판(420) 및 상기 제2측면판(430)이 각각 상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는 상기 마감벽체(300)의 두께보다 짧다. 이는 상기 마감벽체(300)와 상기 코너 몰딩부(400)가 서로 설치된 상태에서 평평한 마감면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스터드 체결부(421)는 "┛"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스터드 체결부(421)는 일 단이 상기 제1측면판(42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터드 체결부(421)의 일 면은 상기 스터드(130)의 정면부(131) 일측과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스터드의 정면부(131) 일측과 상기 제1스터드 체결부(421)는 타카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스터드의 정면부(131) 일측과 상기 제1스터드 체결부(421)의 결합방법은 나사핀에 의한 고정이나 그 외 다른 방법으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2스터드 체결부(431)는 "┗"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제2스터드 체결부(431)는 상기 제1스터드 체결부(421)를 180도 회전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 외의 다른 구조는 제1스터드 체결부와 유사한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건축 시에 파이프 덕트를 벽체구조를 유니트 별로 조립하여 설치하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설치공정을 단순화시켜 현장에서의 기능인력의 절감과 시공잔재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시공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부 런너(110)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런너(110)와 대향하여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 런너(120)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런너(110)와 상기 하부 런너(120) 사이에 상기 스터드들(130)을 연결한다. 상기 스터드들(130)은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배치하다. 상기 상부 런너(110)와 상기 스터드들(130)의 결합 및 상기 하부 런너(110)와 상기 스터드들(130)의 결합은 타카를 이용하여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방법을 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스터드들(130) 중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스터드들(130) 사이에 개폐 가능한 점검구용 도어부(200)를 설치한다. 먼저 인접하는 두 개의 스터드들(130) 중 어느 하나에 밀착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제1수직 문틀(213)을 결합한다. 이 때 결합은 타카를 이용하여 하지만, 상기 결합방법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 측 단부가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도록 제1수평 문틀(211)을 설치한다. 상기 제1수직 문틀(213)과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의 결합은 상기 문 힌지(230)를 통해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수평 문틀(211)과 대향하여 이격되도록 하측에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을 배치한다.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수직 문틀(213)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수직 문틀(213)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수직 문틀(214)을 배치한다. 상기 제2수직 문틀(214)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제1수평 문틀(211)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수평 문틀(212)의 타측 단부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문틀(210)에 상기 문(220)을 연결한다. 상기 문틀(210)과 상기 문(220)의 연결은 상기 문 힌지(230)를 통해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문(220)은 상기 제1수직 문틀(213)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문(220)에 문 손잡이(221)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벽체(300)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부착한다. 이 때 상기 마감벽체(300)은 퍼즐을 맞추는 것과 같이 유닛 단위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터드들(13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면들을 하나의 마감벽체(300) 유닛으로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벽체(300)는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200)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 외의 면들에 상기 마감벽체(300) 유닛들로 각각 부착해 간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200)의 크기나 개수에 관계없이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상기 마감벽체(300)를 편리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감벽체(300)는 후속 공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 천장판과 하부 걸레받이를 먼저 설치하고, 본판은 후속공사가 완료되는 시점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마감벽체(300) 유닛들 사이는 10mm 내의 간격을 두어 외관상 미려함을 더하고, 도장 깨짐의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물론 상기 마감벽체(300) 유닛들 사이의 간격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에 꺾이는 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코너 몰딩부(400)를 추가로 설치하여 안전을 도모한다. 이 때 상기 코너 몰딩부(400)의 원형 모서리부가 돌출되는 두께는 상기 마감벽체(300)의 돌출되는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마감벽체(300)와 상기 코너 몰딩부(400)의 외측면이 굴곡없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1000)의 외장을 페인트로 도장한다. 이 때 무늬코트도장을 실시하는데, 상기 무늬코트도장은 수성페인트로 칠을 한 후에 무늬코트뿜칠을 하고 마무리 코팅을 함으로써 한다. 본원발명은 기존의 철판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가 부식이나 찌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데 반해 내구성, 내습성, 내부식성 및 항균성이 우수하여 하자가 발생할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시공현장에서 직접 구성들을 절단하고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기존의 강판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는 결로방지를 위해 단열재를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본원발명은 소재의 특성상 그러한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2000)는 지지프레임(100'), 점검구용 도어부(400), 마감벽체(300') 및 코너 몰딩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부 런너(110'), 하부 런너(120') 및 스터드들(1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런너(110'), 상기 하부 런너(120') 및 상기 스터드들(130')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 구조(1000)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는 부분은 아래의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200')는 문(220') 및 문 힌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용 도어부(200')는 도 1에 따른 점검구용 도어부(200)와 비교할 때, 도어부 프레임(210)이 없는 점에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문(220')이 과도하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미도시)는 상기 문(220')이 닫힐 때, 상기 문(220')이 닫혀야 하는 각도 이상으로 닫히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미도시)는 인접하는 스터드들(130') 사이에서 상기 상부 런너(110') 및 상기 하부 런너(12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스토퍼(미도시)의 일측은 상기 인접하는 스터드들(1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인접하는 스터드들(130')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런너(110')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스토퍼(미도시)와, 상기 하부 런너(120')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2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문(220')은 도 1에서와 같은 상기 문틀(210)이 아닌 상기 스터드(130')(이하, 제1스터드(130a')라 한다.)에 직접 결합한다. 이 때 상기 문(220')과 상기 제1스터드(130a')의 결합은 상기 문 힌지(230')에 의해서 한다. 상기 문 힌지(230')의 일측은 상기 제1스터드(130a')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문(220')의 일측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 힌지(230')의 일측은 상기 제1스터드(130a')의 정면부의 일측 및 배면부의 일측에 걸처서 결합된다. 상기 문 힌지(230')에 의해 상기 문(220')이 열고 닫히는 원리는 도 1의 문 힌지(230)에 의한 것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문(220')의 일측은 상기 문(220')이 닫혀 있을 때, 상기 제1스터드(130a')의 정면판의 일측과 밀착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스터드(130a')의 정면판의 타측은 상기 문(220')의 일측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마감벽체(300')(이하 제1마감패널(300a')이라 한다.)의 일측과 결합한다. 이 때 상기 문(220')은 휨 방지 등을 위해서 상기 제1마감패널(300a')보다 두꺼운 두께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문(220')과, 상기 문(220')의 일측에 인접하는 상기 제1마감패널(300a')은 상기 제1스터드(130a')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2000)의 외측면은 평평하지 않고 굴곡이 생기게 되어 외관상으로 좋지 못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220')의 두께와 상기 문(220')의 일측에 인접하는 상기 제1마감패널(300a')의 두께 차이에 해당하는 제1삽입 부재(310')가 상기 제1스터드(130a')와 상기 제1마감패널(300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문(220')과 상기 제1마감패널(300a')이 상기 제1스터드(130a')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1스터드(130a')는 상기 제1삽입 부재(310')의 일측과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 부재(310')의 타측은 상기 제1마감패널(300a')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삽입 부재(310')는 상기 제1마감패널(300a')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삽입 부재(310')의 소재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문(220')의 타측은 상기 문(22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스터드(130a')에 인접하는 제2스터드(130b')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문(220')의 타측은 인접하는 제2마감패널(300b')과, 상기 문(220')의 일측이 상기 제1마감패널(300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과 유사한 구조로 배치된다. 즉, 상기 문(220')의 타측은 상기 제2스터드(130b')의 정면판의 일측과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제2스터드(130b')는 상기 문(220')의 타측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스터드(130b')의 정면판의 타측은 상기 문(220')의 타측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마감패널(300b')의 일측과 결합한다. 이 때도 상기 문(220')은 상기 제2마감패널(300b')보다 두꺼운 두께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문(220')과, 상기 문(220')의 일측에 인접하는 상기 제2마감패널(300b')은 상기 제2스터드(130b')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220')의 두께와 상기 문(220')의 일측에 인접하는 상기 제2마감패널(300b')의 두께 차이에 해당하는 제2삽입 부재(320')가 상기 제2스터드(130b')와 상기 제2마감패널(300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문(220')과 상기 제2마감패널(300b')이 상기 제2스터드(130b')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2스터드(130b')는 상기 제2삽입 부재(320')의 일측과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삽입 부재(320')의 타측은 상기 제2마감패널(300b')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벽체(300') 및 상기 코너 몰딩부(400')는 도 1에 따른 마감벽체(300) 및 코너 몰딩부(400)와 각각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 구조(2000)는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 구조(1000)와 비교할 때 상기 문틀(210)이 겉으로 드러나서 생기는 이질감을 없앰으로써 외관상 미려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상기 문틀(210)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며 시공 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 구조(3000)는 지지프레임(100"), 점검구용 도어부(200"), 마감벽체(300") 및 코너 몰딩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부 런너(110"), 하부 런너(120") 및 스터드들(1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런너(110"), 상기 하부 런너(120") 및 상기 스터드들(130")은 도 1에 따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 구조(1000)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는 부분은 아래의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200")는 문(220"), 문 힌지(230") 및 스토퍼(240")를 포함한다. 상기 문(220")는 제1문(221") 및 제2문(2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용 도어부(200")는 도 12에 따른 점검구용 도어부(200')와 비교할 때 상기 문(220")이 하나의 문이 아닌 두 개의 문으로 구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물론 상기 스토퍼(240") 또한 도 12에 따른 스토퍼(210')와 비교할 때, 상기 문(220")이 닫힐 때, 상기 제1문(221") 및 상기 제2문(222")이 맞닿는 부분의 상부에 자석을 이용하여 밀착될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되어 있는 차이는 있다. 물론 상기 스토퍼(240")의 구조나 설치 위치 등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용 도어부(200")는 상기 제1문(221")과 상기 제2문(222")을 양쪽에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이므로 도 12에 따른 점검구용 도어부(220')에 비하여 폭이 넓기 때문에 관찰자가 점검구를 관찰하기 용이하고 크기가 큰 설비가 내장되어 있는 위치에 설치할 경우 공간 효율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2000, 3000: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100, 100', 100": 지지프레임
110, 110', 110": 상부 런너
120, 120', 130": 하부 런너
130, 130', 130": 스터드
131: 정면부
132: 배면부
133: 연결부
200, 200', 200": 점검구용 도어부
210: 도어부 프레임
211: 제1수평 문틀
211a: 바닥면부
211b: 제1측면부
211b1: 제1측면 절곡부
211c: 제2측부
211c1: 제2측면 절곡부
212: 제2수평 문틀
213: 제1수직 문틀
213a: 정면부
213b: 제1측면부
213b1: 제1측면 절곡부
213c: 제2측면부
213d: 스터드 체결부
213d1: 제1판
213d2: 제2판
214: 제2수직 문틀
220, 220', 220": 문
221": 제1문
222": 제2문
230, 230', 230": 문 힌지
231: 벽체고정부
231a: 제1플레이트판
231b: 제1이동축
232: 상부이동부
233: 하부이동부
234: 문 고정부
234a: 제2플레이트판
234b: 제2이동축
240": 스토퍼
300, 300', 300": 마감벽체
300a: 점검구용 개구부
310', 310": 제1삽입 부재
320', 320": 제2삽입 부재
400, 400', 400": 코너몰딩부

Claims (15)

  1.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실내 복도에 설치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방향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되는 상부 런너, 상기 상부 런너와 대향하도록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 일측과 밀착 고정되는 하부 런너 및 상기 상부 런너와 상기 하부 런너 사이에 배치되되, 일 단은 상기 상부 런너와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하부 런너와 결합되어 고정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터드들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서로 인접하도록 고정되는 마감패널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감벽체;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들 중, 인접하는 제1스터드 및 제2스터드 사이에 설치되는 점검구용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는,
    일측이 상기 제1스터드에 직접 결합되는 문 힌지; 및
    일측이 상기 문 힌지의 타측에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일측이 상기 마감패널들 중 상기 제1스터드에 결합되는 제1마감패널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스터드에 결합되는 제2마감패널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스터드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문을 포함하며,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의 문과 상기 마감벽체는,
    상기 스터드로부터 돌출되는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문은,
    상기 제1마감패널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제1스터드와 상기 제1마감패널 사이에는, 상기 제1스터드로부터 상기 문과 상기 제1마감패널이 동일하게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문과 상기 제1마감패널의 두께 차이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 삽입 부재가 더 배치되며,
    상기 마감패널들은,
    암면(Rockwool) 소재를 가압하여 패널 형태로 형성한 락패널(rock panel)인,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는,
    상기 상부 런너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 런너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스터드와 상기 제2스터드 사이에 상기 상부 런너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스터드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스터드와 결합되며, 상기 문을 닫을 때, 상기 점검구용 도어부의 상부와 맞닿도록 설치되는 제1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 힌지는,
    벽체고정부, 상부이동부, 하부이동부 및 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고정부는, 상기 제1스터드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상부이동부는, 일측은 상기 벽체고정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벽체고정부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측은 상기 문 고정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문 고정부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부 이동부는, 일측은 상기 벽체고정부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벽체 고정부의 타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측은 상기 문 고정부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문 고정부의 타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문 고정부는, 상기 문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문이 열리거나 닫힐 때, 상기 상부이동부와 상기 하부이동부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문의 열리는 각도가 조절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은,
    상기 마감패널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가 양 측 단부보다 폭이 좁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홈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 구조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단에서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는 꺾이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꺾이는 부분에는 두 개의 상기 스터드가 설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설정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스터드와 각각 밀착 고정되는 코너몰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 몰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곡면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곡면의 내측 방향으로 일 측 단부 및 타 측 단부에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돌출부들은 상기 두 개의 스터드들 중 하나와 각각 밀착하여 결합하는,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165689A 2019-07-25 2019-12-12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KR102093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90372 2019-07-25
KR1020190090372 2019-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952B1 true KR102093952B1 (ko) 2020-05-15

Family

ID=7067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89A KR102093952B1 (ko) 2019-07-25 2019-12-12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9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285U (ko) * 1997-11-18 1999-06-15 박노욱 파티션용 지주
KR19990035488U (ko) * 1999-06-30 1999-09-06 박요섭 가구용경첩
KR100472734B1 (ko) * 2002-02-04 2005-03-08 주식회사 휴먼텍코퍼레이션 암면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655890B1 (ko) 2004-10-19 2006-12-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패널형 스터드를 이용한 건식벽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665634B1 (ko) * 2005-11-11 2007-01-09 청우산업 주식회사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693194B1 (ko) * 2004-11-12 2007-03-14 주식회사 태한기업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285U (ko) * 1997-11-18 1999-06-15 박노욱 파티션용 지주
KR19990035488U (ko) * 1999-06-30 1999-09-06 박요섭 가구용경첩
KR100472734B1 (ko) * 2002-02-04 2005-03-08 주식회사 휴먼텍코퍼레이션 암면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655890B1 (ko) 2004-10-19 2006-12-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패널형 스터드를 이용한 건식벽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693194B1 (ko) * 2004-11-12 2007-03-14 주식회사 태한기업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100665634B1 (ko) * 2005-11-11 2007-01-09 청우산업 주식회사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JP5048261B2 (ja) 窓構造
WO2015071821A1 (en) Modular prefabricated panel for buildings, in particular for houses
AU2017406243A1 (en) Assembly for construction house and cabinet system
KR102120050B1 (ko) 방음 내진보강용 실내 복합내장마감재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93952B1 (ko)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JP2008196144A (ja) 住宅
JP6758106B2 (ja) 骨格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屋
JP6803773B2 (ja) 空調用ダクトの設置構造
JPH0813827A (ja) 建築物
KR200421529Y1 (ko) 육상건축물 및 해양구조물의 건축용 조립식 객실의 일체형구조
JP6513338B2 (ja) 壁構造及び木造建物
JP5926840B2 (ja) 壁の改修方法
JP7412057B1 (ja) 木軸トレーラー、木軸部材用固定金具、及び木軸トレーラーの製造方法
JP2015001053A (ja) 屋外設置物の留付方法
KR102662662B1 (ko) 티바용 윈드락
JP2019116785A (ja) 天井パネル
JP5266147B2 (ja) 集合住宅の玄関の袖壁
US20230058566A1 (en) Apparatus utilized to construct modular homes
KR20190025293A (ko) 이동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22164B1 (ko) 육상건축물 및 해양구조물의 건축용 조립식 객실의 일체형구조
KR101209945B1 (ko) 조립식 한옥
JP5733611B2 (ja) 再利用可能扉枠
NO20160700A1 (en) System for constructing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