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285U - 파티션용 지주 - Google Patents

파티션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285U
KR19990019285U KR2019970032578U KR19970032578U KR19990019285U KR 19990019285 U KR19990019285 U KR 19990019285U KR 2019970032578 U KR2019970032578 U KR 2019970032578U KR 19970032578 U KR19970032578 U KR 19970032578U KR 19990019285 U KR19990019285 U KR 199900192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directions
support member
suppor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일택
Original Assignee
박노욱
주식회사 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욱, 주식회사 진영 filed Critical 박노욱
Priority to KR2019970032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285U/ko
Publication of KR19990019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285U/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티션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사무실이나 오피스텔등에서 일정한 공간을 여러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파티션을 연결할 때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지주에 파티션이 밀착하여 설치되므로 사무용 책상의 측면과 파티션사이의 공간부가 생기지 않을 뿐만아니라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구성은 파티션을 연결하여 설치시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지주에 있어서, 상기 지주(20)는 파티션(50)의 양측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60)의 홈부(64)와 동일한 형상의 홈부(21)를 각 방향별로 형성하고, 이 홈부(21)에는 선단에 체결구멍(11)이 뚫어진 상.하부연결구(10)를 고정수단(70)으로 고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티션용 지주(A support of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무실이나 오피스텔등에서 일정한 공간을 여러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파티션을 연결할 때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연결부분에 설치하여 파티션과 밀착하여 설치되는 책상의 측면과 파티션사이의 공간부가 생기지 않도록 한 파티션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파티션은 주로 사무실이나 오피스텔등에서 일정한 공간을 여러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고자 설치하는 것으로, 종래의 파티션용 지주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 또는 목재 등의 내부에 흡음재등으로 채워진 파티션(50)의 양단에 지지부재(60)를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60)의 양측으로 걸림고리(61)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또한, 코너부분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지주(80)에는 양측으로 걸림고리(61)를 가지는 지지부재(60)가 스포트용접 또는 나사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파티션(50)의 지지부재(60)와 지주(80)의 지지부재(60)를 연결하는 연결구(90)는 양측 지지부재(60)의 걸림돌기(61)가 끼워지도록 홈부(91)를 가지며, 상기 연결구(90)는 상기 양측의 걸림돌기(61)를 서로 밀착시킨 후 상기 홈부(91)를 상부에서 끼우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00 은 파티션(5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사무용 책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티션(50)으로 사무실이나 오피스텔등에서 일정한 공간을 여러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고자 설치하는 경우, 먼저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80)에 의하여 2 방향 또는 3 방향으로 구획되는 경우에는 파티션(50)의 지지부재(60)를 서로 맞댄 후 상기 지지부재(60)의 걸림돌기(61)에 연결구(80)의 홈부(81)를 끼워 상부에서 밀게 되면 그 조립이 완료되며, 또한 지주(80)와 연결할 때에도 위와 동일하게 지주(80)의 지지부재(60)의 걸림돌기(61)와 파티션(50)의 지지부재(60)의 걸림돌기(61)를 일치시킨 후 상기 걸림돌기(61)에 연결구(80)의 홈부(81)를 끼워 상부에서 밀게 되면 그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사무실이나 오피스텔등에서 일정한 공간을 여러공간으로 나눈 후 사무용 책상(100)을 상기 파티션(50)에 밀착하여 놓을 때, 상기 파티션(50)는 그 규격(폭)이 즉, 일측 지지부재(60)의 걸림돌기(61)에서 타측 지지부재(60)의 걸림돌기(61)까지의 규격이 1800mm, 1500mm, 1200mm, 900mm 로 규격화되어 있고, 책상의 경우에도 그 규격(폭)이 1800mm, 1500mm, 1200mm 로 규격화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나의 파티션(50)에 하나의 사무용 책상(100)이 맞게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주(8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80)에 고정된 지지부재(60)의 길이(t) 만큼 더 길게 됨으로 인하여 파티션(50)과 사무용 책상(100)의 측면사이에 공간부(t)가 생기고, 이로 인해 사무용 책상(100)위에 놓여져 있는 사무용품, 특히 필기구 등이 상기 공간부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티션(50)과 사무용 책상(100)의 측면사이에 공간부(t)를 없게 하기 위하여 파티션(50)을 일측으로 기울리게 함으로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사무실이나 오피스텔등에서 일정한 공간을 여러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파티션을 연결할 때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연결부분에 설치하여 파티션과 밀착하여 설치되는 사무용 책상의 측면과 파티션사이의 공간부가 생기지 않도록 한 파티션용 지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티션을 연결하여 설치시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지주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파티션의 양측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의 홈부와 동일한 형상의 홈부를 각 방향별로 형성하고, 이 홈부에는 선단에 체결구멍이 뚫어진 상.하부연결구를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지주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부분의 결합단면도.
도 4 는 종래의 지주에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종래의 코너부분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하부연결구. 20. : 지주.
21, 64. : 홈부. 11. : 체결구멍.
50. : 파티션. 60. : 지지부재.
62. : 걸림구멍. 70. : 고정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지주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부분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션(50)은 금속제 또는 목재 등의 내부에 흡음재등으로 채워지고, 그 양단에 홈부(64)를 가지는 지지부재(60)를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70)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60)의 측면에는 등간격으로 걸림구멍(62)이 형성되고, 상기 파티션(50)의 일측 지지부재(60)의 상.하부에는 상.하부연결구(10)를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70)으로 고정하며, 이 상.하부연결구(10)의 선단에 체결구멍(11)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60)의 걸림구멍(62)을 통해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70)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지주(20)는 상기 지지부재(60)의 홈부(64)와 동일한 형상의 홈부(21)를 각 방향별로 형성하고, 이 홈부(21)에는 선단에 체결구멍(11)이 뚫어진 상.하부연결구(10)를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70)으로 고정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션(50)을 서로 연이어 설치하여 사무실이나 오피스텔등에서 일정한 공간을 여러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고자 할 때 먼저, 상기 파티션(50)의 양측으로 고정된 지지부재(60)의 일측에 상.하부연결구(10)를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70)으로 고정한다.
또한,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지주(20)의 홈부(21)에도 상.하부연결구(10)를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70)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티션(50)이나 지주(20)의 연결에 있어 먼저 파티션(50)의 연결에 대하여 설명하면, 파티션(50)의 지지부재(60)의 홈부(64)에 상.하부연결구(10)가 고정된 부분을 다른 파티션(50)에 고정된 지지부재(60)의 홈부(64)에 끼움과 동시에 이 지지부재(60)의 측면에 뚫어진 걸림구멍(62)를 통해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70)으로 상기 상.하부연결구(10)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구멍(11)에 체결하여 고정하면 그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파티션(50)을 서로 연결할 때 그 중간부분이나 끝부분에서 방향을 바꾸어 파티션(50)을 설치할 때에는 지주(20)에 고정된 상.하부연결구(10)를 파티션(50)의 지지부재(60)에 형성된 홈부(64)에 끼운 후 지지부재(60)의 측면에 뚫어진 걸림구멍(62)를 통해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70)으로 상기 상.하부연결구(10)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구멍(11)에 체결하여 고정하면 그 조립이 완료됨과 아울러 파티션(50)의 지지부재(60)가 지주(20)에 밀착이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지주(20)부분에 위치하는 사무용 책상(100)들은 각각의 파티션(50)에 밀착되어 파티션(50)과 사무용 책상(100)사이에는 공간부가 없이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사무실이나 오피스텔등에서 일정한 공간을 여러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파티션을 연결할 때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지주에 파티션이 밀착하여 설치되므로 사무용 책상의 측면과 파티션사이의 공간부가 생기지 않을 뿐만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의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파티션을 연결하여 설치시 2 방향, 3 방향 및 4 방향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지주에 있어서, 상기 지주(20)는 파티션(50)의 양측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60)의 홈부(64)와 동일한 형상의 홈부(21)를 각 방향별로 형성하고, 이 홈부(21)에는 선단에 체결구멍(11)이 뚫어진 상.하부연결구(10)를 고정수단(70)으로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지주.
KR2019970032578U 1997-11-18 1997-11-18 파티션용 지주 KR199900192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578U KR19990019285U (ko) 1997-11-18 1997-11-18 파티션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578U KR19990019285U (ko) 1997-11-18 1997-11-18 파티션용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85U true KR19990019285U (ko) 1999-06-15

Family

ID=6969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578U KR19990019285U (ko) 1997-11-18 1997-11-18 파티션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28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82B1 (ko) * 2009-12-24 2012-05-09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 조립체
KR102093952B1 (ko) * 2019-07-25 2020-05-15 (주)해원에이앤씨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82B1 (ko) * 2009-12-24 2012-05-09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 조립체
KR102093952B1 (ko) * 2019-07-25 2020-05-15 (주)해원에이앤씨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9169A (ko) 조립선반용의 코너 브라켓
GB2300867A (en) Partition wall
JP2795186B2 (ja) 組立式書架
GB2331700A (en) Supporting rack assembly for a washbasin
KR19990019285U (ko) 파티션용 지주
US5251413A (en) Stabilized space dividing frames and panels
KR100271081B1 (ko)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KR200406549Y1 (ko) 유리칸막이 테이블
JPH0744190Y2 (ja) 陳列棚用支柱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CN218074145U (zh) 一种隐藏式抽屉板连接件及抽屉
KR102350755B1 (ko) 책상용 프레임
JPH0348334Y2 (ko)
JPH0236812Y2 (ko)
JP2976822B2 (ja) 書架等のアジャスター装置
CN213962258U (zh) 一种桌屏的拼接结构
JPH0741377Y2 (ja) ピンナップボード立設装置
KR200196110Y1 (ko) 보관함용 서랍의 구획격벽부재
KR0129572Y1 (ko) 보강대를 일체로 형성한 가구용 다리
KR19990019284U (ko) 가구용 연결장치
KR100929008B1 (ko) 테이블을 이용한 공간분할기구
KR200172147Y1 (ko) 컴퓨터 테이블용 스탠드
KR20000028007A (ko) 조립식 칸막이
KR950000676Y1 (ko) 조립식 책꽂이
KR950008942Y1 (ko) 천정판 설치용 바아의 연결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