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007A - 조립식 칸막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007A
KR20000028007A KR1019980046087A KR19980046087A KR20000028007A KR 20000028007 A KR20000028007 A KR 20000028007A KR 1019980046087 A KR1019980046087 A KR 1019980046087A KR 19980046087 A KR19980046087 A KR 19980046087A KR 20000028007 A KR20000028007 A KR 20000028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rtition
square pipes
panel member
shap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8048B1 (ko
Inventor
정중희
Original Assignee
정중희
주식회사 코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중희, 주식회사 코페스 filed Critical 정중희
Priority to KR101998004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04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1L-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2Cross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46Post-like profiles for connecting panels at an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각종 사무실내의 공간을 임의의 세부적인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칸막이를 다수 종류의 연결구와 사각파이프만을 이용하여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임의대로 상·하, 좌·우 임의의 크기로 손쉽게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칸막이(1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사각파이프(11)와,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물로 제조되면서도 상기 사각파이프(11)를 직각방향으로 연결조립하는 "L"자형 연결구(12)와, 삼방향으로 연결조립하는 "T"자형 연결구(13)와, 사방향으로 연결조립하는 "十"자형 연결구(14)를 갖추어 칸막이골조(10)를 형성하고, 상기 골조(10)의 전.후면상에 패널부재(20)를 부착조립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칸막이
본 발명은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각종 사무실내의 공간을 임의의 세부적인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칸막이를 다수 종류의 연결구와 사각파이프만을 이용하여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임의대로 상·하, 좌·우 임의의 크기로 손쉽게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사무실은 하나의 커다란 실내공간을 사용자의 편의대로 몇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는 설치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식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분되어져 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칸막이 중에서도 종래의 조립식 칸막이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사각 판체형으로 구비되는 일정크기의 패널부재와, 상기 패널부재들을 좌·우로 연결조립토록 하면서도 이들 패널부재들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금속재질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부재와 프레임은 고정보울트나 또는 별도의 여러 가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토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패널부재와 이에 맞는 프레임의 크기를 공급처에서 이미 설정하여 제조공급토록 하는 것임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처의 크기에 맞는 것을 구매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특별히 주문생산하여야만 하는 등 사용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패널부재와 프레임을 각 규격별로 제조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금형이 요구됨은 물론, 이에 따른 금형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부품수가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와 프레임은 이미 규격화된 고정틀로 형성됨으로써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보관에 따른 물류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숙련공이 아니면 설치가 매우 힘이드는 등 설치에 따른 작업성도 좋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패널부재와 프레임의 크기가 생산처에서 이미 정해진 상태로 공급되는 것임으로써 한 번 사용한 칸막이를 다른 위치에 변경하여 설치할 경우, 그 높이와 넓이 등을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없기 때문에 사용의 호환성 및 재활용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더구나, 종래의 칸막이는 그 일부가 고장나거나 파손될 경우 고장부분만을 별도로 교체사용하기가 어려운 등 사후관리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도 야기되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식 칸막이의 구성을 간단히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칸막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단순화로 운반 및 보관은 물론 숙련공이 아닌 누구라도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등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칸막이를 제공함에도 있다.
이러한 목적은 새로운 개념의 조립식 칸막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는 금속재질의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 종류의 연결구로서 상.하, 좌.우로 조립하여 칸막이의 골조를 형성토록 하고, 상기 칸막이 골조의 전.후면상에는 패널부재를 각각 부착하여서 칸막이를 임의의 크기로 조립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골조만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L"자형의 연결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T"자형의 연결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도 6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十"자형의 연결구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도 8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패널부재와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지지다리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칸막이 본체
10:골조 11: 사각파이프 12,13,14:연결구
15:지지다리 16:브라켓트 17:커버체
18:삽입돌기부 19:체결공 20:패널부재 21:체결후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100)는 다수개의 사각파이프가 상·하, 좌·우로 조립되어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토록 하는 골조(10)와, 상기 골조(10)의 전·후면에 부착되는 패널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골조(10)는 적정길이로 절단된 금속재질의 사각파이프(11)를 다수 종류의 연결구(12)(13)(14)로서 상.하, 좌.우 연결 조립하여서 된 것이며, 상기 골조(10)의 하부에는 지지다리(15)가 브라켓트(16)로서 체결되면서도 별도의 커버체(17)에 의해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2)(13)(14)는 조립되는 골조(10)의 형태에 따라 적정위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사각파이프(11)를 직각방향으로 연결할 시 사용되는 "L"자형 연결구(12)와, 사각파이프(11)를 삼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T"자형 연결구(13)와, 그리고 사각파이프(11)를 양사방으로 연결토록 하는 "十"자형 연결구(14)로 구성된다.
이들은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물로 성형되는 것으로, 그 형태에 따라 직각방향, 삼방향, 사방향에 각각 체결돌기부(18)를 일체로 갖추어 구성된다.
즉, "L"자형 연결구(12)는 첨부된 도면의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부(18)가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골조(10)의 각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것이고, "T"자형 연결구(13)는 첨부된 도면의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방향으로 각각 구비됨으로써 사각파이프(11)를 삼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十"자형 연결구(14)는 첨부된 도면의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사방향으로 체결돌기부(18)를 갖추어 구성되는 것임으로써 골조(10)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사각파이프(11)를 상.하, 좌.우 사방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구(12)(13)(14)들의 각 체결돌기부(18)들은 단턱을 갖추어 형성되면서도 사각파이프(11)의 내경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12)(13)(14)들은 그 전.후면상의 체결돌기부(18)가 연결되는 모서리부분에 별도의 패널부재(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19)을 갖추어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패널부재(20)는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사각형상의 판체로 구비되면서도 일측면상에는 골조(10)의 각 연결구(12)(13)(14)의 체결공(19)에 체결되는 체결후크(21)를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패널부재(20)를 골조(10)상에 간단히 원터치식으로 부착고정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널부재(20)의 체결후크(21)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이러한 수단외에도 별도의 체결보울트나 또는 기타 고정부재들을 이용하여 패널부재(20)를 골조(10)에 체결고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4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적정길이로 절단된 사각파이프(11)를 각 체결구(12)(13)(14)의 체결돌기부(18)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하여 골조(10)의 프레임을 상.하, 좌.우로 연속조립하게 된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L"자형 연결구(12)의 각 체결돌기부(18)에 사각파이프(11)를 각각 삽입체결함으로써 골조(10)의 사각파이프(11)를 2방향으로 조립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T"자형의 연결구(13)를 이용하여서는 골조(10)의 사각파이프(11)를 삼방향으로 조립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그리고, "十"자형 연결구(14)를 이용하여서 골조(10)의 사각파이프(11)를 사방향으로 연결조립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방법으로서 골조(10)의 높이는 물론 폭을 임의로 설정하여 조립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필요로 하는 크기의 골조(10)를 조립한 후에는 상기 골조(10)의 전,후면상에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된 패널부재(20)를 부착시공하게 된다.
즉, 패널부재(20)의 일측면 모서리부분에 구비되는 체결후크(21)를 골조(10)의 각연결구(12)(13)(14)상에 구비되는 체결공(19)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써 체결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널부재(20)는 골조(10)의 전.후면에 각각 체결되어 골조(10)의 공간부를 마감토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골조(10)의 사각 공간부에 하나의 패널부재(20)만을 체결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패널부재(20)를 임의의 크기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골조(10)에 패널부재(20)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골조(10)의 저면에 별도의 브라켓트(16)를 이용하여 지지다리(15)를 조립함과 동시에 커버체(17)로 마감처리함으로써 칸막이의 조립을 모두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15)는 칸막이본체(100)를 지면으로 부터 지지토록 하는 것으로, 이는 브라켓트(16)를 이용하지 않고 골조(10)에 직접체결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공지된 다른형태의 지지다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칸막이(100)는 조립되는 사각파이프(11)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얼마든지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의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하나의 "L"자형 체결구(12)만을 이용하여 칸막이의 골조(10)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정길이로 절단되는 사각파이프와 다수개를 한조로 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임의 크기의 칸막이 골조를 조립한 다음, 이의 골조의 전.후면에 패널부재를 간단히 체결하는 것으로써 실내의 칸막이를 조립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그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칸막이의 제조에 따른 제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가 있는 효과와 더불어 양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 또한 부피와 중량을 최소화할 수가 있게 되어 보관 및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주재료로 사용되는 사각파이프는 이미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규격화된 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이의 제조에 따른 금형비를 배제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는 그 조립 및 분해방법이 간단하여 특별한 공구나 또는 숙련공이 아니라 하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되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칸막이의 높낮이와 넓이를 임의대로 조정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그 사용의 호환성을 가지게 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실내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는 실내의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1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사각파이프(11)와,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물로 제조되면서도 상기 사각파이프(11)를 직각방향으로 연결조립하는 "L"자형 연결구(12)와, 삼방향으로 연결조립하는 "T"자형 연결구(13)와, 사방향으로 연결조립하는 "十"자형 연결구(14)를 갖추어 칸막이골조(10)를 형성하고,
    상기 골조(10)의 전.후면상에 패널부재(20)를 부착조립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KR1019980046087A 1998-10-30 1998-10-30 조립식칸막이 KR10031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087A KR100318048B1 (ko) 1998-10-30 1998-10-30 조립식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087A KR100318048B1 (ko) 1998-10-30 1998-10-30 조립식칸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007A true KR20000028007A (ko) 2000-05-15
KR100318048B1 KR100318048B1 (ko) 2002-04-22

Family

ID=1955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087A KR100318048B1 (ko) 1998-10-30 1998-10-30 조립식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0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047B1 (ko) * 2009-06-08 2012-05-31 김창규 벽 장식재
KR102308235B1 (ko) * 2020-09-25 2021-09-30 강성호 조립식 가벽 시스템
KR102308236B1 (ko) * 2020-09-25 2021-09-30 강성호 조립식 가벽 프레임 연결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058U (ko) * 1993-12-08 1995-07-24 조명호 건축물 우물천정의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047B1 (ko) * 2009-06-08 2012-05-31 김창규 벽 장식재
KR102308235B1 (ko) * 2020-09-25 2021-09-30 강성호 조립식 가벽 시스템
KR102308236B1 (ko) * 2020-09-25 2021-09-30 강성호 조립식 가벽 프레임 연결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8048B1 (ko)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155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6389773B1 (en) Stackable panel system for modular office furniture
US4712336A (en) Interconnecting "full bleed" modular panel and connective hardware system to form a variety of exhibit and office interior enclosures
US7481406B2 (en) Plastic pegboard assembly
US3661434A (en) Unitary modular shelving structure
US20100218432A1 (en) Adjustable wall system
CN201059307Y (zh) 柱状型材及用于与该柱状型材连接的法兰、底脚、卡装组件和端盖
JP7176049B1 (ja) 組み立て式ストレージラック
KR200479589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파티션
US4561229A (en) Modular screen assembly
KR19990064711A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100318048B1 (ko) 조립식칸막이
CA2476368A1 (en) Adjustable wall system
US4724650A (en) Subceiling beam intersection
CN210002622U (zh) 一种多功能室内金属隔断
KR200464733Y1 (ko)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진열장
KR20150074536A (ko) 수납용 조립식 가구
US11391033B2 (en) Structural component for modular walls
JP3933973B2 (ja) パネル接続構造
JPH07317186A (ja) 間仕切用曲面パネル装置
CN213503440U (zh) 托盘系统专用接头
CN219575026U (zh) 一种可拆卸的建筑模型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KR100375412B1 (ko) 구조물의 조립 구조
KR20200144750A (ko) 쉽게 조립하고 미관을 개선한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