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634B1 -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634B1
KR100665634B1 KR1020050107951A KR20050107951A KR100665634B1 KR 100665634 B1 KR100665634 B1 KR 100665634B1 KR 1020050107951 A KR1020050107951 A KR 1020050107951A KR 20050107951 A KR20050107951 A KR 20050107951A KR 100665634 B1 KR100665634 B1 KR 100665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nnecting member
fixing
inspection
in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찬
Original Assignee
청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04F19/086Covers with magnetic fix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7Plinths fixed by means of adhesi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13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및 욕실 등의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의 내부에 설치 사용되는 파이프 배관 및 전기선의 배선 상태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것으로, 상기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에 부착되어 그 내부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를 별도의 스테인레스 재질등의 점검구가 아닌 건물 및 욕실의 벽면(60)등에 부착, 사용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를 점검구(10)로 사용하여, 벽면 등에서 용이하게 해체 및 결합을 시키기 위하여, 벽면(60) 등에 부착 사용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에 고정용 연결재(30)를 설치 및 상기 점검구(10)에 분리용 연결재(50)를 설치 하여 사용 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재에 의하여 타일 등의 내장재를 점검구로 사용, 용이하게 벽면 등에 부착 및 해체를 할수가 있으며, 그의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성 향상 및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내장재와 동일한 내장재를 점검구로 사용하여 설치후, 이질감을 느끼지 않아 미관이 수려한 등의 효과를 가져올수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점검구, 고정용 연결재, 분리용 연결재, 내장재

Description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separate type check implement of double connector and method for establishment}
도 1은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를 결합한 결합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고정용 연결재와 자석부의 사시도 및 결합 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자석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용 연결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의 해체 사용상태상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의 결합 사용상태상의 전면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의 결합 사용상태상의 배면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의 결합 상태상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를 설치하는 설치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점검구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점검구
11,11' 전면부 12,12' 후면부
13' 프레임 14' 절첩편
20,20' 내장재
21 전면부 22 후면부
30 고정용 연결재
31 본체 32 전면부
33 후면부 34 돌출부
35,35' 체결홀 36 내부공간
37 접착홀 38 접착제
40 자석부
41 본체 42 삽입부
42',42" 폐쇄면 43 개방부
44,44' 체결홀 45 자석
46 판스프링 47 후면판
48,48' 리벳
50 분리용 연결재
51 본체 52 전면부
53 후면부 54 접착홀
55 접착제
60,60' 벽면 70,70' 배관
80 몰탈 90 실리콘
본 발명은 건물 및 욕실 등의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 등의 내부에 설치 사용되는 파이프 배관 및 전기선의 배선 상태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 등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것으로, 상기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 등에 부착되어 그 내부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사용되는 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를 별도의 스테인레스 재질등의 점검구가 아닌 건물 및 욕실의 벽면 등에 부착, 사용되는 타일등의 내장재를 점검구로 사용하여, 상기 점검구 및 벽면에 부착되는 타일등의 내장재에 이중구조의 연결재인 분리용 및 고정용 연결재를 설치하여, 점검구를 벽면 등에서 용이하게 해체, 결합 및;
벽면의 내장재와 동일한 내장재를 점검구로 사용하여 설치후, 사용시 이질감 을 느끼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등의 효과를 가져올수 있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건물 및 욕실 등의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 등의 내부에 설치 사용되는 파이프 배관 및 전기선의 배선 상태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60')등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종래기술의 점검구(10')는, 스테인레스 재질등의 점검구(10')로 벽면(60')에 프레임(13')을 설치후, 상기 프레임에 점검구(10')를 절첩편(14')에 의하여 결합하여 프레임(13')으로 부터 점검구
(10')가 개폐가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설치후 사용시 벽면(60)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와 재질이 상이하여, 이질감이 있는 전면부(11')가 노출되는 점검구(10') 및 프레임(13')의 사용으로 외관이 저하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기 프레임(13') 및 점검구(10')를 설치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벽면 (60')또는 타일 등의 내장재(20')에 점검구(10') 및 프레임(13')의 면적만큼 공간을 형성하여 설치 하여야 함으로, 상기 벽면(60) 및 타일 등의 내장재(20')의 해당부위를 별도로 깨뜨려야 함으로, 작업시의 소음발생 및 벽면이 파손 되었으며, 그의 설치에 있어 작업성이 저하 되었으며, 사용시 점검구(10')의 연결 절첩편(14') 등에 녹이 발생되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욕실의 바닥면 등에 상기와 같은 점검구(10')를 사용시, 온수 등의 물의 사용으로 인한 벽면(60') 등에 습기가 발생되거나, 바닥면으로 물이 흐르게 되 어 상기 점검구 전면부(11')의 틈새로 물이 유입되게 되어 사용이 곤란하였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점검구(10')를 설치시 바닥 타일면을 깨트려야 하는 설치상의 문제점으로 바닥면에 설치가 곤란하여, 사용자가 바닥면의 내부에 있는 배관
(70')등을 점검 하기 위하여 바닥면을 깨어 배관을 보수후, 그 상부에 타일 등의 내장재(20')를 별도로 재시공을 하여야 함으로, 작업상의 번잡함 및 소음발생, 결합공수 증가, 원자재 비용이 2배로 상승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인출된 것으로서,
점검구를 별도 재질의 점검구가 아닌 건물 및 욕실의 벽면 등에 부착, 사용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를 점검구로 사용하여, 상기 점검구 및 벽면에 부착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에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연결재를 설치하여, 점검구를 벽면 등에서 용이하게 해체 결합 및;
설치후, 사용시 이질감을 느끼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물이 사용되는 욕실의 바닥면 등에도 용이하게 사용 할수가 있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성은;
1)내장재
2)점검구
3)고정용 연결재
4)분리용 연결재
5)자석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를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고정용 연결재와 자석부의 사시도 및 결합 상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자석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용 연결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의 해체 사용상태상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의 결합 사용상태상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의 결합 사용상태상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완성품인 점검구의 결합 상태상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는 건물 및 욕실 등의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 등의 내부에 설치 사용되는 파이프 배관 및 전기선의 배선, 설비 상태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 등의 타일 등의 내장재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벽면(60) 또는 천정면, 바닥면 등의 표면에 고정,설치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 및;
상기 내장재(20)에서 탈,부착이 되어 그 내부상태를 점검할수 있는 상기 내장재(20)와 동일한 재질의 일정 면적을 갖는 점검구(10);
상기 벽면(60) 등에 고정,설치되는 내장재(20)의 후면부(22)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 등의 고정용 연결재(30);
상기 고정용 연결재(30)의 돌출부(34) 내의 내부공간(36)에 삽입,결합되어 분리용 연결재(50)를 자석(45)에 의하여 고정용 연결재에서 내,외부로 탈,부착이 용이하게 하는 용도의 금속 재질 등의 자석부(40);
상기 점검구(10)의 후면부(12)에 설치되어, 고정용 연결재에 탈,부착이 가능한 금속재질의 분리용 연결재(50); 로 구성되어,
상기 점검구(10)의 후면부(12)에 설치되어 있는 분리용 연결재(50)를 벽면 (60)또는 천정면, 바닥면의 표면에 고정,설치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의 후면부(22)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용 연결재(30)에 자석부(40)의 자석(45)의 자성에 의하여 내,외부로 탈,부착을 함으로서 그 내부의 배관 및 설비 등을 용이하게 점검할수가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연결재(30)는 사각형 형태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31) 및 상기 본체(31)의 상부면에 "ㄷ"자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4)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34)의 내부에 내부공간(36) 및 그 양측면에 리벳(48,48')등의 체결구가 체결되는 체결홀(35,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공간(36)에 자석부(40)의 본체(41)를 삽입, 본체(41)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홀(44,44') 및 상기 고정용 연결재(30)의 체결홀(35,35')에 리벳(48,48')을 삽입하여, 상기 자석부(40)가 고정용 연결재(30)의 본체(31)에 고정이 되는 구조 및;
상기 본체(31)의 전,후면부(32,33)에 홀 형태의 다수개의 접착홀(3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착홀(37)에 에폭시 본드 등의 접착제를 투입하여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 등의 표면에 고정,설치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에 다수개가 접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3b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자석부(40)는 직육면체 형상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41) 및 상기 본체(41)의 중앙부위에 자석(45)이 삽입되는 소정면적이 개방되어 있는 삽입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에 상기 삽입부(42)의 면적보다 큰 면적 및 후면판(47)의 두께만큼 개방 처리가 된 개방부(4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후면판(47)을 개방부(43)에 결합시, 그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42)후면의 양 측면인 패쇄면(42',42")에 맞닿아 결합,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부(42)에 삽입되는 금속판 형태의 판 스프링(46)이 후면판(47)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로, 상기 후면판(47)을 개방부(43)에 결합시, 판 스프링(46)이 삽입부(42)의 내면에 위치되어, 자석(45)을 삽입부(42)에 삽입시 자석(45)이 자성에 의하여 판 스프링(46)에 부착되어, 외부에서 자석(45)을 내면으로 밀으면 판 스프링(46)이 내면의 이동 공간 길이만큼 내부로 이동함으로서, 자석(45)이 내부로 이동 및 평상시는 상기 판 스프링(46)이 복원되어 자석(45)의 일정길이가 외부로 이동이 되어, 자석(45)의 일정길이가 외부로 노출이 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분리용 연결재(50)는 사각형 형태의 금속재질의 본체(51) 및 상기 본체(51)의 전,후면부(52,53)에 홀 형태의 다수개의 접착홀(5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착홀(54)에 에폭시 본드 등의 접착제를 투입하여 상기 점검구(10)의 후면에 다수개가 부착되어, 평상시 상기 고정용 연결재(30)의 돌출부(34)의 일측면에 삽입되어, 자석부(40)의 자석(45)의 자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 및 점검 필요시 외부로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6a 내지 도 6c 에 도시한바와 같이 평상시 점검구(10)를, 벽면(60) 등에 몰탈(80) 또는 시멘트 등으로 고정,부착이 되어 있는 타일 등의 내장재(20)에 설치가 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정용 연결재(30)에, 점검구(10)를 결합시;
상기 점검구(10) 후면부(12)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분리용 연결재(50)가 상기 다수개의 고정용 연결재(30)의 돌출부(34)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자석부(40) 의 자석(45)에 부착되어 용이하게 결합 및 결합후 결합력을 지지하게 되어 있으며;
점검 필요시, 상기 점검구(10) 후면부(12)의 다수개의 분리용 연결재(50)를 다수개의 고정용연결재(30) 내부의 자석(45)에서 이탈을 시킴으로서 점검구(10)를 외부로 용이하게 분리를 할수가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결합 사용시 벽면(60) 등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 등의 내장재(20)와 동일 재질의 점검구(10)를 사용함으로서, 외관이 미려한 등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욕실에 설치시에도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욕실의 바닥면 등에 용이하게 설치를 할수가 있으며, 상기 점검구(10)와 바닥 타일면인 내장재(20)의 경계면에 실리콘(90) 코팅을 추가로 함으로서,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이 점검구(10)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 및;
설치 후, 욕실의 바닥면 등의 배관 및 설비 등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점검구(10)의 분리 필요시는, 상기 경계면의 실리콘(90)만을 칼로 제거를 하면, 간단히 분리를 할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동일한 기술구성으로, 본 발명의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를 현관 문 등의 도어에도 설치를 하여 점검구로 사용을 할수가 있으며, 벽면의 전기 및 수도 계량기를 점검하는 점검구 등에도 설치를 하여 사용 할수도 있으며, 타일 등의 내장재가 아닌 콘크리트 또는 세멘트 재질 등으로 구성된 벽면과 동일 재질의 점검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를 설치하는 설치방법에 대하여 명기키로 한다.
도 7에 도시 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를 설치하는 설치방법은 S1 단계 내지 S5단계를 거쳐 설치되며, 바닥면에 설치시는 별도의 S6 단계가 추가되게 되며, 이를 상세히 순차적으로 명기 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정용연결재(30)의 본체(31)의 돌출부(34) 내부공간(36)에 자석부(40)를 삽입하고, 그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홀(44,44') 및 상기 고정용연결재(30)의 돌출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홀(35,35')에 리벳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자석부(40)가 고정용 연결재(30)의 본체(31)에 고정이 되게 한다. (S1 단계/ 고정용 연결재에 자석부 장착 단계)
2) 벽면(60) 또는 천정에 고정,부착이 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 중, 점검구(10)가 위치되는 양 측면에 위치되는 내장재(20)의 후면부(22) 각 측면에, 자석부(4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고정용 연결재(30) 다수개를 각각 에폭시본드 등의 접착제(38)를 상기 고정용 연결재의 접착홀(37)에 주입하여, 고정용 연결재(30)를 양 측면에 위치되는 내장재(20)에 부착 시킨다. (S2 단계/ 고정용 연결재의 내장재 부착단계)
3) 상기 고정용 연결재(30)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의 내장재(20)를 벽면(60) 또는 천정면에 공지의 시공방법인 몰탈(80) 또는 시멘트, 내부 배관에 용접 처리 등을 하여, 벽면(60) 또는 천정면에 고정,설치를 한다. (S3 단계/ 내장재의 벽면 등의 시공 단계)
4) 점검구(10)로 사용할 타일 등의 내장재 후면부(12)의, 상기 자석부(40)가 위치되는 해당부위의 각 측면에, 분리용 연결재(50) 다수개를 각각 에폭시본드 등의 접착제(38)를 상기 접착홀(54)에 주입하여, 분리용 연결재(50)를 점검구(10)의 후면부(12)에 부착 시킨다. (S4 단계/ 분리용 연결재의 점검구 부착단계)
5) 상기 점검구(10) 후면부(12)의 분리용 연결재(50)를, 벽면(60) 또는 천정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용 연결재(30)의 돌출부(34)내의 자석부(40)의 자석(45)에 부착을하여 설치를 완료 한다. (S5 단계/ 점검구의 자석부에 의한 설치 단계)
6) 점검구(10)를 욕실에 설치시에는, 물 및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점검구(10) 및 점검구(10)의 사방측면에 고정,위치되는 내장재(20)의 경계면에 실리콘(90)으로 코팅 처리를 하여 설치를 완료 한다. (S6 별도 단계/ 욕실용 점검구의 실리콘 별도처리단계)
상기와 같이, 점검 필요시 상기 분리용 연결재(50)를 고정용 연결재(30)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자석부(40)의 자석(45)에서 분리를 시킴으로서 간단히 분리가 되게 되며, 점검후 설치시에는 상기 자석부(40)의 자석(45)에 부착을 함으로서, 자석의 자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가 되는 설치 방법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설치된 점검구(10)를 분리 필요시에는, 상기 실리콘(90)을 칼로 제거후, 점검구(10)를 분리시키는 설치방법으로 구성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의 기술구성으로, 종래 기술의 이질감이 있는 점검구 및 프레임의 사용으로 외관이 저하 되는 문제점 및 그의 설치에 있어 작업성이 저하 되었으며, 사용시 점검구의 연결 절첩편 등에 녹이 발생되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동시에;
특히, 점검구를 별도 재질의 점검구가 아닌 건물 및 욕실의 벽면 등에 부착, 사용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를 점검구로 사용하여, 상기 점검구 및 벽면에 부착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에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연결재를 설치하는 기술 구성으로;
점검구를 벽면 등에서 용이하게 해체, 결합 및;
설치후, 사용시 이질감을 느끼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물이 사용되는 욕실의 바닥면 등에도 용이하게 설치,사용 할 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수가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Claims (6)

  1. 건물 또는 욕실 등의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에 부착되어 그 내부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벽면(60) 등에 고정,설치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와 동일한 재질로, 상기 내장재에 탈,부착이 가능한 점검구(10);
    상기 내장재(20)의 후면부(22)에 설치되는 고정용 연결재(30);
    상기 고정용 연결재(30)의 내부에 위치되는 자석(45)을 내재한 자석부(40);
    상기 점검구(10)의 후면부(12)에 설치되어, 자석부(40)의 자석(45)에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용 연결재(50); 로 구성되어,
    상기 분리용 연결재(50)를, 고정용 연결재(30) 내부에 위치한 자석부(40)의 자석(44)에 자성에 의하여, 탈,부착을 함으로서,
    점검구(10)를 벽면(60) 등에 고정, 설치된 내장재(20)에서 용이하게 해체 및 결합을 시킬수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연결재(30)가 사각형 형태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31) 및 상기 본체(31)의 상부면에 "ㄷ"자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4) 및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내부공간(36)이 형성 되어 있고, 그 양측면에 리벳(48,48') 등의 체결구가 체결되는 체결홀(35,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공간(36)에 자석부(40)의 본체(41)를 삽입, 체결홀(44,44') 및 상기 고정용 연결재 의 체결홀(35,35')에 리벳(48,48')을 삽입하여, 자석부(40)가 고정용 연결재(30)의 본체(31)에 고정 및;
    상기 본체(31)의 전,후면부(32,33)에 홀 형태의 다수개의 접착홀(3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착홀(37)에 접착제(38)를 투입하여, 벽면(60) 또는 천정면, 바닥면의 표면에 고정,설치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의 후면부(22)에 접착되는 구성으로, 다수개를 사용 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40)가 직육면체 형상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41) 및 상기 본체(41)의 중앙부위에 자석(45)이 삽입되는 소정면적이 개방되어 있는 삽입부(42) 및, 상기 삽입부의 후면에 후면판(47)이 그 내부에 결합되는 개방부(43)가 형성되어 있어, 금속판 형태의 판 스프링(46)이 후면판(47)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로, 상기 후면판(47)을 개방부(43)에 결합시, 판 스프링(46)이 삽입부(42)의 내면에 위치되어, 자석(45)이 자성에 의하여 판 스프링(46)에 부착되어, 상기 자석(45)이 판 스프링(46) 내면의 이동 공간의 거리만큼 내,외부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연결재(50)가 사각형 형태의 금속재질의 본체 (51)및 상기 본체의 전,후면부(52,53)에 홀 형태의 다수개의 접착홀(54)이 형성되어 있어, 접착홀(54)에 접착제(38)를 투입하여 상기 점검구(10)의 후면부(53)에 접 착되는 구성으로 다수개를 사용 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10)와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의 경계면에, 실리콘(90)으로 코팅을 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6. 다음과 같은 S1 내지 S6의 설치방법으로, 건물 또는 욕실 등의 벽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에 설치가 되는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의 설치방법 ;
    1) 고정용연결재(30)의 본체(31)의 돌출부(34) 내부공간(36)에 자석부(40)를 삽입하고, 그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홀(44,44') 및 상기 고정용연결재(30)의 돌출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홀(35,35')에 리벳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자석부(40)가 고정용 연결재(30)의 본체(31)에 고정이 되게 한다. (S1 단계/ 고정용 연결재에 자석부 장착 단계)
    2) 벽면(60) 또는 천정에 고정,부착이 되는 타일 등의 내장재(20) 중, 점검구(10)가 위치되는 양 측면에 위치되는 내장재(20)의 후면부(22) 각 측면에, 자석부(4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고정용 연결재(30) 다수개를 각각 에폭시본드 등의 접착제(38)를 상기 고정용 연결재의 접착홀(37)에 주입하여, 고정용 연결재(30)를 양 측면에 위치되는 내장재(20)에 부착 시킨다. (S2 단계/ 고정용 연결재의 내장재 부착단계)
    3) 상기 고정용 연결재(30)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의 내장재(20)를 벽면(60) 또는 천정면에 공지의 시공방법인 몰탈(80) 또는 시멘트, 내부 배관에 용접 처리 등을 하여, 벽면(60) 또는 천정면에 고정,설치를 한다. (S3 단계/ 내장재의 벽면 등의 시공 단계)
    4) 점검구(10)로 사용할 타일 등의 내장재 후면부(12)의, 상기 자석부(40)가 위치되는 해당부위의 각 측면에, 분리용 연결재(50) 다수개를 각각 에폭시본드 등의 접착제(38)를 상기 접착홀(54)에 주입하여, 분리용 연결재(50)를 점검구(10)의 후면부(12)에 부착 시킨다. (S4 단계/ 분리용 연결재의 점검구 부착단계)
    5) 상기 점검구(10) 후면부(12)의 분리용 연결재(50)를, 벽면(60) 또는 천정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용 연결재(30)의 돌출부(34)내의 자석부(40)의 자석(45)에 부착을하여 설치를 완료 한다. (S5 단계/ 점검구의 자석부에 의한 설치 단계)
    6) 점검구(10)를 욕실에 설치시에는, 물 및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점검구(10) 및 점검구(10)의 사방측면에 고정,위치되는 내장재(20)의 경계면에 실리콘(90)으로 코팅 처리를 하여 설치를 완료 한다. (S6 별도 단계/ 욕실용 점검구의 실리콘 별도처리단계)
KR1020050107951A 2005-11-11 2005-11-11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665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951A KR100665634B1 (ko) 2005-11-11 2005-11-11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951A KR100665634B1 (ko) 2005-11-11 2005-11-11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679U Division KR200421790Y1 (ko) 2006-03-13 2006-03-13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634B1 true KR100665634B1 (ko) 2007-01-09

Family

ID=3786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951A KR100665634B1 (ko) 2005-11-11 2005-11-11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952B1 (ko) * 2019-07-25 2020-05-15 (주)해원에이앤씨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952B1 (ko) * 2019-07-25 2020-05-15 (주)해원에이앤씨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30044U (zh) 一种成品装配式墙面装饰系统
AU2005307933A1 (en)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KR100515187B1 (ko) 타일 시공 결합체
KR100665634B1 (ko)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및 그의 설치방법
KR200421790Y1 (ko)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 점검구
JP5420608B2 (ja) 水洗式便器の施工方法及び水洗式便器
KR100877990B1 (ko) 벽체 매립 상자
JP4896180B2 (ja) 水洗式便器
JP4640229B2 (ja) ユニットバスルーム
KR102003274B1 (ko) 건축물 금속패널의 조립식 구조
US8222550B2 (en) Electric thermostat fitting control switch for actuating the fitting
KR100470679B1 (ko) 욕실용 천장 패널과 그 시공방법
JP3589627B2 (ja) カウンターの取付構造
KR100703626B1 (ko) 욕실 냉온수 배관 결합장치
WO2015146474A1 (ja) 浴室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00144766A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KR101663103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CN210976055U (zh) 用水组合式房间的止水构造
KR101281209B1 (ko) 건식 벽체 조립용 브라켓트
JP4429637B2 (ja) 洗い場付浴槽の配管構造
WO2008038309A1 (en) Tap group
KR200219016Y1 (ko) 조립식 욕실의 파티션(partition)
KR200257346Y1 (ko) 조립식 욕실의 조립 구조
JP2009045261A (ja) スプリンクラー配設用パネル及びスプリンクラー配設用パネルシステム
CN207734081U (zh) 挂装式淋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