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194B1 -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 Google Patents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194B1
KR100693194B1 KR1020040092280A KR20040092280A KR100693194B1 KR 100693194 B1 KR100693194 B1 KR 100693194B1 KR 1020040092280 A KR1020040092280 A KR 1020040092280A KR 20040092280 A KR20040092280 A KR 20040092280A KR 100693194 B1 KR100693194 B1 KR 10069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runner
wall
fireproof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215A (ko
Inventor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한기업
이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한기업, 이우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한기업
Priority to KR102004009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1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4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3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ed of gypsu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층고가 높은 건물의 벽체 시공시 벽체의 골조를 직사각형 형태의 수직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함에 따라 전도되거나 좌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중심부에 에어존이 형성되어 흡음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벽체의 중심부에 차음,방범성보드를 설치하여 차음성이 뛰어나도록 한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의 연직 상부면에 위치하고 천정에 고정되는 상부러너 사이에 설치되어 벽체를 이루는 경량칸막이 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러너 및 하부러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전,후면으로 펀칭홀이 형성 되어 있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의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에어존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면서 상기 상부러너 및 하부러너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전,후면으로 펀칭홀이 형성 되어 있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의 제2수직부재와, 상기 제1,2수직부재의 측면에 피스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사이 공간을 갖도록 하는 내화,방음재와, 상기 내화,방음재의 사이에 충진되는 흡음,단열재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수직부재, 흡음,단열재, 내화,방음재, 펀칭홀, 직사각형, C-스터드, 차음,방범성보드

Description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Wall structure of a lightweight parti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차음,방범성보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절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수직부재를 나타낸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차음,방범성보드 설치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수직부재만을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수직부재만을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고 8 은 본 발명을 다수겹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부재 (10a) : 제1수직부재
(10b) : 제2수직부재 (11) : 펀칭홀
(20) : 내화,방음재 (30) : 흡음,단열재
(40) : 차음,방범성보드 (50) : 상부러너
(51) : 하부러너 (60) : 에어존
본 발명은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당이나 공연장, 극장, 교회 등의 층고가 높은 건물의 벽체시공시 벽체 내부의 골조를 시공함에 있어, 내부가 천공되고 단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의 수직부재를 이용하여 시공함에 따라 일측이 개방된 C-스터드에 비해 강도가 강해 좌굴이나 전도되지 않아 층고가 높은 건물이나, 건축주나 설계자에 의해 강성이 특별히 요구되는 시설물에 설치가 용이한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외부와 접하는 벽이나, 호텔 여관 등의 객실과 객실, 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세대와 세대에는 내화 및 방음을 목적으로 칸막이를 설치한다. 또한 임대 빌딩이나 회사건물 같은 경우에도 내부 공간을 필요에 따라 여러개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칸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칸막이는 공간을 구획하되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공간 상호간의 소음 및 화재시 열의 전달을 어느 정도 이상 차단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특히 경량칸막이의 단열능력은 화재시에 인명사고와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칸막이를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연이어 세우고,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내화,방음재를 고정하 며, 상기 수직부재 중앙에 중간벽을 삽입장착하거나 공기층을 형성 하고, 상기 중간벽내지는 공기층과 상기 내화,방음재 사이에 흡음,단열재를 충진하여 설치하였다.
상기 수직부재는 C-스터드로서 이 C-스터드는 [표 1]에서와 같이 폭, 두께에 따른 최대변형에 의하여 설치간격 및 제한높이가 규정되어 있다.
[표 1]
Figure 112004052506310-pat00001
이와 같은 C-스터드를 이용하여 층고가 높은 건물의 벽체를 설치할 경우에는 C-스터드의 폭방향의 길이가 길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C-스터드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강도를 강하게 하여 층고가 높은 건물의 벽체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C-스터드는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개방된 측의 강도가 약하여 좌굴이 발생하거나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C-스터드의 폭방향 길이를 크게 하여 높은 층고까지 설치할 수 있으나 이는 C-스터드의 대형화로 인한 자재비가 많이 들어 전체적인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층고가 높은 건물의 벽체 시공시 벽체의 골조를 직사각형 형태의 수직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함에 따라 전도되거나 좌굴이 일어나지 않아 구조 자체의 강성을 배가 시키고, 중심부에 에어존을 형성하거나 차음,방범성보드를 삽입하여 방범성 및 차음성이 뛰어나도록 한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의 연직 상부면에 위치하고 천정에 고정되는 상부러너 사이에 설치되어 벽체를 이루는 경량칸막이 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러너 및 하부러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전,후면으로 펀칭홀이 형성 되어 있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의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에어존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면서 상기 상부러너 및 하부러너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전 ,후면으로 다수의 펀칭홀이 형성 되어 있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의 제2수직부재와, 상기 제1,2수직부재의 측면에 피스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사이 공간을 갖도록 하는 내화,방음재와, 상기 내화,방음재의 사이에 충진되는 흡음,단열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면구조가 사각형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수직부재에 의해 강당, 공연장, 극장 등의 층고가 높은 건물이나 특별히 벽체에 피로도가 심하여 강성 요구되는 장소 에 설치하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차음,방범성보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절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수직부재를 나타낸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차음,방범성보드 설치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바닥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하부러너(51)와, 상기 하부러너(51)의 연직 상부면에 위치하고 천정면에 고정되는 상부러너(50)와, 상기 상기러너(50) 및 하부러너(51)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며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수직부재(10)와, 상기 수직부재(10)의 외측면에 피스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벽을 이루며 내부에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내화,방음재(20)와, 상기 내화,방음재(20)의 사이에 충진되어 외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구획되는 공간의 열을 보전해주는 흡음,단열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재(10)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에어존(60)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수직부재(10a) 및 제2수직부재(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직부재(10a)와, 제2수직부재(10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존(60)에 의해 외부의 소리가 흡수되고 차단되어 차음 및 흡음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상기 제1수직부재(10a)와 제2수직부재(10b)의 간격을 조정하여 에어존(6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에어존(60)의 크기에 따라 방음성이 조절된다.
상기 제1수직부재(10a)와 제2수직부재(10b)의 단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구조이기 때문에 벽체에 가해지는 외력을 보다 안전하게 견딜 수 있어 층고가 높은 건물이나 강성이 특별히 요구 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 하다.
또한 화재시에 수직부재(10)에 전달된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수직부재(10a) 및 제2수직부재(10b)의 전,후면에 펀칭홀(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펀칭홀(11)은 수직부재(10)에 전달된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열에 의한 변형이나 강도의 약화로 인한 좌굴이나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열에 의한 수축팽창계수를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펀칭홀(11)에 의해 제1수직부재(10a) 및 제2수직부재(10b)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명현상을 감소시켜 벽체의 울림 현상을 크게 감소시켜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의 강도를 높여 방범성이 향상되고 차음성이 우수하도록 상기 제1수직부재(10a)와 제2수직부재(10b) 사이에 차음,방범성보드(40)가 끼워진다.
상기 차음,방범성보드(40)는 시멘트와 섬유의 혼합보드, 강화보드, 정전기를 방지해주는 마그네슘보드, 철판, 석고보드, 스틸판넬, 우드판넬 등으로 이루어져 강성이 뛰어나 방범성이 우수하다. 즉 상기 차음,방범성보드(40)는 내화,방음재(20)가 파손될 경우에도 차음,방범성보드(40)의 강성에 의해 벽체에 구획된 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설치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연장되는 하부러너(51)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러너(51)의 연직 상부면에 위치하고 천정에 고정되는 상부러너(50)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러너(50)와 하부러너(51) 사이에 외력을 견뎌주는 제1수직부재(10a) 및 제2수직부재(10b)를 일정간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상기 제1수직부재(10a) 및 제2수직부재(10b)의 폭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구획되는 공간의 열을 보전해주는 흡음,단열재(30)를 충진하며, 상기 제1,2수직부재(10a)(10b)의 외측면에 벽체의 외면을 형성하는 내화방음재(20)를 피스로 고정하여 설치한다.
한편 설계자 내지는 건축주의 의지에 따라 상기 제1,2수직부재(10a)(10b)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내화방음재(20) 대신에 차음,방범성보드(40)를 내화기준에 맞춰 제1,2수직부재(10a)(10b)의 양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화,방음재(20)는 시공환경에 따라 다수겹으로 설치하여 보다 안전하게 열에 견딜 수 있고,보다 향상된 방음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직부재(10a)와 제2수직부재(10b) 사이에 차음,방범성보드(40)를 끼워 방범성 및 차음성이 뛰어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극장이나, 공연장 등의 세밀한 방음을 요구하는 시설물에 설치할 경우 도 8 에서와 같이 수직부재(10)와 내화,방음재 및 흡읍,단열재를 다수겹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6, 도7에서와 같이 수직부재(10)의 설치시 하나의 수직부재, 예를 들어 제1수직부재(10a)만으로 골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직부재(10a)의 양측으로 내화,방음재(20)를 설치하고 상기 내화,방음재(20)의 사이에 흡음,단열재(30)를 충진하여 벽체를 이룰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러너(51)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러너(51)의 연직 상부면에 위치하고 천정면에 고정되는 상부러너(50)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러너(50) 및 하부러너(5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제1수직부재(10a)를 설치하고, 상기 제1수직부재(10a)의 양측면으로 피스로 고정되어 벽을 이루며 내부에 사이 공간을 갖도록 하는 내화,방음재(20)를 설치하며, 상기 내화,방음재(20)의 사이에 외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구획되는 공간의 열을 보전해주는 흡음,단열재(30)를 충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콘센트나 환기구 등의 설비를 하기 위해 개구부를 형성할 경우 상기 내화,방음재(2)와 흡음,단열재(30)를 소정의 크기로 제거하고 벽체의 내부에 콘센트나 환기구를 설치하게 되면 개구부를 통해 전해지는 소음이나 손실되는 열, 그리고 화재시에 불길이 벽체 중앙에 설치되는 차음,방범성보드(40)에 의해 차단되게 됨으로써 차음 및 단열 화재지연 등의 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구획된 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방범성 또한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단면구조가 직사각형 형태의 수직부재를 이용하여 벽체를 지지함으로써 C-스터드에 비해 층고가 높은 건물에 설치가 가능하여 강당이나, 공연장, 극장, 교회 등의 건물에 구조적 안전의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어, 종래의 C-스터드가 설치 높이를 높이기 위해 두께를 두껍게 하는 문제점에서 벗어나 C-스터드와 동일한 두께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자재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원가를 낮추게 되고, 또한 추가적으로 벽체의 중심에 형성되는 공기층이나 차음,방범성보드 설치에 의한 벽체의 차음성 및 방범성이 뛰어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의 연직 상부면에 위치하고 천정에 고정되는 상부러너 사이에 설치되어 벽체를 이루는 경량칸막이 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러너 및 하부러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있으며, 전,후면으로 다수의 펀칭홀이 형성 되어 있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의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에어존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면서 상기 상부러너 및 하부러너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전,후면으로 펀칭홀이 형성 되어 있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의 제2수직부재와,
    상기 제1,2수직부재의 측면에 피스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사이 공간을 갖도록 하는 내화,방음재와,
    상기 내화,방음재의 사이에 충진되는 흡음,단열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수직부재 사이의 중앙 벽체에 끼워져 벽체의 강도를 높여주고 방음 및 방범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음,방범성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방범성보드는 시멘트와 섬유의 혼합보드, 강화보드, 철판, 마그네슘보드, 석고보드, 스틸판넬, 우드판넬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부재 및 제2수직부재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내화,방음재 대신에 차음,방범성보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1020040092280A 2004-11-12 2004-11-12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10069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280A KR100693194B1 (ko) 2004-11-12 2004-11-12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280A KR100693194B1 (ko) 2004-11-12 2004-11-12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215A KR20060045215A (ko) 2006-05-17
KR100693194B1 true KR100693194B1 (ko) 2007-03-14

Family

ID=3714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280A KR100693194B1 (ko) 2004-11-12 2004-11-12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1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0476B2 (en) 2010-04-12 2014-09-02 Lg Hausys, Ltd. Assembly wall body having improved sound absorbing and screening performance and a assembly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20160074906A (ko) 2014-12-19 2016-06-29 이영호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102093952B1 (ko) * 2019-07-25 2020-05-15 (주)해원에이앤씨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EP3739140A1 (en) * 2019-05-16 2020-11-18 Muotolevy Oy A fire retaining wall structure assembly for partitioning adjacent spaces
KR20220156346A (ko) * 2021-05-18 2022-11-25 한국토지주택공사 소음 저감형 차폐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278B1 (ko) * 2011-04-13 2014-01-16 (주)엘지하우시스 차음용 건식 벽체조립체
KR101143844B1 (ko) * 2011-11-09 2012-05-04 롯데건설 주식회사 고차음 방범 건식벽체
KR102333274B1 (ko) * 2019-10-02 2021-12-01 주식회사 한성케이 건식벽체용 고 차음 스터드
JP7439538B2 (ja) * 2020-01-29 2024-02-2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間仕切壁の遮音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0476B2 (en) 2010-04-12 2014-09-02 Lg Hausys, Ltd. Assembly wall body having improved sound absorbing and screening performance and a assembly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20160074906A (ko) 2014-12-19 2016-06-29 이영호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EP3739140A1 (en) * 2019-05-16 2020-11-18 Muotolevy Oy A fire retaining wall structure assembly for partitioning adjacent spaces
KR102093952B1 (ko) * 2019-07-25 2020-05-15 (주)해원에이앤씨 건식 파이프 덕트 벽체구조 및 그 벽체구조의 설치방법
KR20220156346A (ko) * 2021-05-18 2022-11-25 한국토지주택공사 소음 저감형 차폐벽체
KR102606145B1 (ko) * 2021-05-18 2023-11-23 한국토지주택공사 소음 저감형 차폐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215A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2867A (en) Acoustic building structure
JP5296600B2 (ja) 間仕切壁構造
JP2013524051A (ja) 吸遮音性能が改善された組立式壁体及びその組立式構造物
KR100693194B1 (ko)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20200076321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80093736A (ko)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
KR100970239B1 (ko) 건축물 외벽용 패널
KR101982295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구조물
KR10080335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패널
KR200421104Y1 (ko) 다층건축물 층간차음판의 차음받침대
JP4427099B2 (ja) 乾式間仕切壁構造
KR20070104824A (ko)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경량패널 및 이를 이용한차음바닥구조
KR20050094624A (ko) 층간 소음방지재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0875573B1 (ko) 층간 흡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JP4086715B2 (ja) 壁構造及び建物
KR101838656B1 (ko) 구조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소음과 비내력벽 이음부를 통한 공기전달음을 저감시키는 벽체의 시공방법
KR100718701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102436890B1 (ko) 층간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패널
KR20200076322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패널 및 이를 이용하여 방진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200410609Y1 (ko)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20050054217A (ko) 층간 소음 방지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3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