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249B1 -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 Google Patents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249B1
KR102450249B1 KR1020220073243A KR20220073243A KR102450249B1 KR 102450249 B1 KR102450249 B1 KR 102450249B1 KR 1020220073243 A KR1020220073243 A KR 1020220073243A KR 20220073243 A KR20220073243 A KR 20220073243A KR 102450249 B1 KR102450249 B1 KR 102450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eiling
cold
opening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이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환 filed Critical 이주환
Priority to KR102022007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슬래부에 매립시킨 박스 형태의 함체 내부에 수납된 냉수 및 온수 분기관 각각의 일측에 보일러와 연결된 냉수 유입관 및 온수 유입관을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하고, 냉수 및 온수 분기관 각각의 타측에 복수의 냉수 배출관 및 온수 배출관을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하여 냉수 및/또는 온수를 실내 양변기, 세면대, 욕조 및 기타 실내 바닥에 포설된 난방 코일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냉온수 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하부를 덮는 덮개와 천장판에 설치된 천장 점검용 개폐판을 연동시켜 동시에 개폐되게 하는 연동 개폐 수단과; 상기 함체 양단에 돌출시켜 슬래부에 매립시킨 지진 시 대응하는 수평 흡수 부재; 및 함체 내부에 수납된 온수 분기관과 접속된 온수 유입관에 온수 온도 보조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Ceiling-mounted hot and cold water distributor}
본 발명은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매립되는 냉온수 분배기 함체의 덮개를 천장 점검용 개폐판과 연동시켜 개폐하게 함으로써 냉온수 분배기의 보수 및 고장 수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지진 발생시 수평 하중을 흡수하여 냉온수 분배기의 견고성을 제공함은 물론 온수의 재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소비를 절감하도록 하는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는 냉온수 분배기로 유도되고, 상기 냉온수 분배기를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는 건물의 바닥이나 벽, 천장 등을 통과해 화장실,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등의 각 수요처로 보내지고, 각 수요처에 설치된 각각의 수도전을 통해 욕조, 세면대, 변기 등에 공급된다.
이러한 냉온수 분배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979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냉온수 분배기 함체 내부에 수납시킨 분기관에 드레인 관을 부가한 기술이 소개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193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기관 으로 공급된 냉, 온수를 각각의 배관으로 분배하도록 상기 분기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분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기관의 분기구가 형성된 양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각 면은 상기 분기관의 경사면과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수용 분배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종전의 냉온수 분배기 모두는 천장에 냉온수 분배기 함체를 매립시킨 후 냉온수 분배기 함체 하부에 덮개를 고정볼트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분배기 함체 내부에서 분기관과 냉온수 유입관 및 냉온수 배출관과의 접속부분의 훼손 등으로 인한 누수 발생 시 이를 수리하거나 부품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천장에 설치된 천장 점검용 개폐판을 개방시킨 다음 분배기 함체에 체결된 덮개 체결용 고정볼트를 풀어 덮개를 개방시켜 분배기 함체 내부의 구성 요소를 점검하거나 부품 등을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종전의 냉온수 분배기 보수 및 고장 수리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종전의 선행기술에 의한 냉온수 분배기 함체는 천장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슬래부에 매립시켜 냉온수 분배기 함체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나, 지진 시 냉온수 분배기 함체에 가해지는 수평 하중에 의하여 냉온수 분배기 함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영향으로 냉온수 분배기 함체 내부에서 분기관과 냉온수 유입관 및 냉온수 배출관과의 접속부분이 풀어지거나 훼손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지진에 대응하여 견고한 설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 유출관 및 회수관과 주택이나 아파트 내부의 화장실 천장에 설치된 냉온수 분배기와의 거리가 매우 멀고, 특히 온수 배관이 주택이나 아파트 벽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냉온수 분배기에 도달하는 동안에는 배관을 따라 이송되는 온수의 온도가 낮아질 염려가 지적되고, 온도가 낮아진 온수는 화장실 바닥에 포설한 난방 코일에 그대로 공급되게 되므로 원하는 온도의 온수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없을 뿐 아니라 환수된 저온의 온수를 보일러를 조절하여 다시 가열한 후 온수 배관으로 재분배해야 함에 따라, 재가열에 대한 에너지 소모로 인하여 경제적인 손실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가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는 새로운 타입의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97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1937호
본 발명은 천장에 매립되는 냉온수 분배기 함체의 덮개를 천장 점검용 개폐판과 연동시켜 개폐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발생시 수평 하중을 흡수하여 냉온수 분배기의 함체를 견고하고도 안전성 있게 천장에 매립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 배관을 따라 이송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낮추지 않고 온수의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슬래부에 매립시킨 박스 형태의 함체 내부에 수납된 냉수 및 온수 분기관 각각의 일측에 보일러와 연결된 냉수 유입관 및 온수 유입관을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하고, 냉수 및 온수 분기관 각각의 타측에 복수의 냉수 배출관 및 온수 배출관을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하여 냉수 및/또는 온수를 실내 양변기, 세면대, 욕조 및 실내 바닥에 포설된 난방 코일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냉온수 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하부를 덮는 덮개와 천장판에 설치된 천장 점검용 개폐판을 연동시켜 동시에 개폐되게 하는 연동 개폐 수단과; 상기 함체 양단에 돌출시켜 슬래부에 매립시킨 지진 시 대응하는 수평 흡수 부재; 및 함체 내부에 수납된 온수 분기관과 접속된 온수 유입관에 온수 온도 보조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장에 매립되는 냉온수 분배기 함체의 덮개를 천장 점검용 개폐판과 연동시켜 동시에 개폐토록 함으로써 냉온수 분배기 함체 내부에 설치된 냉온수 분기관과 각각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된 접속부위의 누수 점검이나 훼손된 패킹의 교체 및 수리를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점검에 따른 보수 유지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발생시 수평 하중을 흡수하여 냉온수 분배기의 함체를 견고하고도 안전성 있게 천장에 매립 유지되게 함으로써 냉온수 분배기의 신뢰성은 물론 수명 연장을 도모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 배관을 따라 이송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낮추지 않고 온수의 요구되는 온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온수의 재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소비를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설치상태 예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의 예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덮개와 연동 개폐되는 천장판에 설치된 천장 점검용 개폐판을 발췌한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저면을 바라 본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함체로부터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함체 양단에 설치한 수평 흡수 부재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내부 구성을 생략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함체에 설치한 온수 유입관에 설치된 온수 온도 보조 가열 수단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설치상태 예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덮개와 연동 개폐되는 천장판에 설치된 천장 점검용 개폐판을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저면을 바라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의 함체로부터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슬래부(200)에 매립시킨 박스 형태의 함체(10) 내부에 수납된 냉수 및 온수 분기관(110)(120) 각각의 일측에 미 도시한 보일러와 연결된 냉수 유입관(111) 및 온수 유입관(121)을 커넥터(C1)에 의하여 접속하고, 냉수 및 온수 분기관(110)(120) 각각의 타측에 복수의 냉수 배출관(112) 및 온수 배출관(122)을 커넥터(C2)에 의하여 접속하여 냉수 및/또는 온수를 실내(S)에 배치된 미 도시한 양변기, 세면대, 욕조 및 기타 실내 바닥에 포설된 난방 코일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냉온수 분배기(100)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하부를 덮는 덮개(11)와 천장판(300)에 설치된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을 연동시켜 동시에 개폐되게 하는 연동 개폐 수단(400)과; 상기 함체(10) 양단에 돌출시켜 슬래부(200)에 매립시킨 지진 시 대응하는 수평 흡수 부재(510)(520); 및 함체(10) 내부에 수납된 온수 분기관(120)과 접속된 온수 유입관(121)에 온수 온도 보조 가열 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및 온수 분기관(110)(120)의 형태는 다양한 양태로 설계될 수 있고, 실내(S)에 설치된 양변기, 욕조, 세면대의 설치 수에 따라 냉수 배출관(112) 및 온수 배출관(122)을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 냉수 유입관(111) 및 온수 유입관(121)의 일단은 슬래부(200) 내부에 매립된 보일러와 접속된 냉수 및 온수 공급관(111-1)(121-1)과 함체(10) 측면에서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되고, 냉수 배출관(112) 및 온수 배출관(122)의 일단은 슬래부(200) 내부에 매립된 냉수 및 온수 분기 공급관(112-1)(122-1)을 통하여 함체(10) 측면에서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된다.
상기 연동 개폐 수단(400)은 천장판(300) 내측 전, 후에 고정 설치된 안내 레일(410)에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을 끼워 안내시키고, 상기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의 중앙에 돌출된 끼움 돌출부(311)에 끼워 상향 돌출시킨 제1 연결간(420)과 함체(10)의 하부 전, 후방에 일체로 돌출시킨 안내 레일(10A)에 끼워 안내되는 덮개(11)의 하부 중앙에 하향 돌출된 끼움 돌출부(11A)에 끼워 하향 돌출시킨 제2 연결간(430)을 상호 결합하여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이 안내 레일(410)을 따라 개폐될 때 이와 연동하여 함체(10)의 안내 레일(10A)을 따라 덮개(11)가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과 함께 동시에 개폐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 연결간(420)과 제2 연결간(430)은 스터드 볼트로 형성하되, 스터드 볼트로 형성된 제1 연결간(420)의 상부와 제2 연결간(430)의 하부 사이를 너트(440)에 의하여 체결하여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과 덮개(11)를 제1 연결간(420)과 제2 연결간(430)에 의하여 분리 및 조립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간(420)과 제2 연결간(430)은 끼움 돌출부(311) 및 끼움 돌출부(11A)에 나사 조립하여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함체(10) 내부의 구성품에 대한 보수 작업이 필요할 시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을 개방시키면 천장 점검용 개폐구가 개방되면서 함체(10)를 덮은 덮개(11)도 자동으로 동시에 개방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수월하고도 단시간 내에 덮개(1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함체(10) 내부에 수납된 냉수 및 온수 분기관(110)(120)에 접속된 냉수 유입관(111) 및 온수 유입관(121)과 냉수 및 온수 분기관(110)(120)의 교체나 수리 또는 커넥터(C1)(C2)의 교체나 수리 등 보수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 중 310A는 개폐 손잡이, P1은 중간 격판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함체 양단에 설치한 수평 흡수 부재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내부 구성을 생략한 상태의 도면이다.
상기 수평 흡수 부재(510)(520)는 함체(10) 양단에 돌출시킨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의 중앙에 가로 방향으로 오목한 탄성부(511A)(521A)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의 상부 및 측면에 제1 및 제2 고정판(512)(522)을 덮어 결합볼트(B1)로 체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 및 제1 및 제2 고정판(512)(522)은 슬래부(200) 내측에 매립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의 상부 및 측면을 제1 및 제2 고정판(512)(522)에 의하여 덮어 고정 시키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의 중앙에 가로 방향으로 오목한 탄성부(511A)(521A)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충전되지 않게 되어 오목한 탄성부(511A)(521A)의 탄성 변위에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지진 시 발생 되는 수평 하중이 제1 및 제2 고정판(512)(522)이 전달되면서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에 충격이 가해지면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의 오목한 탄성부(511A)(521A)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지진 시 탄성 변위와 복원이 반복되어 변형능력 및 에너지 흡수능력이 매우 우수하게 되어 함체(100가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함체(10) 내부에 수납된 냉수 및 온수 분기관(110)(120)에 접속된 냉수 유입관(111) 및 온수 유입관(121)과 냉수 및 온수 분기관(110)(120)이 견고한 상태로 접속 유지될 수 있어 냉온수 분배기의 신뢰성은 물론 수명 연장을 도모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함체에 설치한 온수 유입관에 설치된 온수 온도 보조 가열 수단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온수 온도 보조 가열 수단(600)은 함체(10) 내부에 수납된 온수 분기관(120)과 접속된 온수 유입관(121)의 둘레 상부 및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 브라켓(610)을 덮어씌우되, 상기 고정 브라켓(6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끼움 구멍(611)에 세라믹 히터(620)를 끼워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세라믹 히터(620)의 가열에 의하여 온수 분기관(120)과 접속된 온수 유입관(121) 내부를 흐르는 온수의 온도를 보충적으로 가열시켜 온수 배출관(122)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610)은 열전도 효율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공하는 것이 바랍직 하다.
상기 세라믹 히터(620)는 미 도시한 전원 공급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고, 세라믹 히터(620)의 발열 온도를 측정하는 미 도시한 온도 센서 및 온도 센서에 의하여 요구되는 온도 이상일 경우 세라믹 히터(6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 시키는 미 도시한 바이메탈이 구비된 미 도시한 제어 회로부가 함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미 도시한 별도의 온도 센서에 의하여 온수 배출관(122)을 통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요구되는 온수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 회로부에 의하여 세라믹 히터(620)를 발열시킬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610) 양단의 지지부는 결합볼트(B2)로 함체(10) 상부 내측면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보일러와 접속되어 벽체 및 슬래브(200)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의 온수 공급관(121-1)을 통하여 공급되는 온수가 온수 공급관(121-1)의 길이 및 슬래브(200) 내부 온도에 따라 요구되는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저하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세라믹 히터(620)의 발열을 통해 낮아진 온수의 온도를 요구되는 온도로 맞출 수 있게 됨으로써 보일러를 통하여 온수의 재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시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함체 10A : 안내 레일
11 : 덮개 11A, 311 : 끼움 돌출부
100 : 냉온수 분배기 110, 120 : 냉수 및 온수 분기관
111, 121 : 냉수 및 온수 유입관
111-1, 121-1 : 냉수 및 온수 공급관 112, 122 : 냉수 및 온수 배출관
112-1, 122-1 : 냉수 및 온수 분기 공급관 200 : 슬래브
300 : 천장판 310 : 천장 점검용 개폐판
400 : 연동 개폐 수단 410 : 안내 레일
420, 430 : 제1 및 제2 연결간 440 : 너트
500 : 수평 흡수 부재 511, 521 : 제1 및 제2 지지판
511A, 521A : 탄성부 512, 522 : 제1 및 제2 고정판
600 : 온수 온도 보조 가열 수단 610 : 고정 브라켓
611 : 끼움 구멍 620 : 세라믹 히터
B1, B2 : 결합볼트 C1, C2 : 커넥터
P1 : 중간 격판 S : 실내

Claims (7)

  1. 콘크리트 구조물인 슬래부(200)에 매립시킨 박스 형태의 함체(10) 내부에 수납된 냉수 및 온수 분기관(110)(120) 각각의 일측에 보일러와 연결된 냉수 유입관(111) 및 온수 유입관(121)을 커넥터(C1)에 의하여 접속하고, 냉수 및 온수 분기관(110)(120) 각각의 타측에 복수의 냉수 배출관(112) 및 온수 배출관(122)을 커넥터(C2)에 의하여 접속하여 냉수 및/또는 온수를 실내 (S)에 배치된 양변기, 세면대, 욕조 및 실내 바닥에 포설된 난방 코일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냉온수 분배기(100)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하부를 덮는 덮개(11)와 천장판(300)에 설치된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을 연동시켜 동시에 개폐되게 하는 연동 개폐 수단(400)과; 상기 함체(10) 양단에 돌출시켜 슬래부(200)에 매립시킨 지진 시 대응하는 수평 흡수 부재(510)(520); 및 함체(10) 내부에 수납된 온수 분기관(120)과 접속된 온수 유입관(121)에 온수 온도 보조 가열 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연동 개폐 수단(400)은 천장판(300) 내측 전, 후에 고정 설치된 안내 레일(410)에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을 끼워 안내시키고, 상기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의 중앙에 돌출된 끼움 돌출부(311)에 끼워 상향 돌출시킨 제1 연결간(420)과 함체(10)의 하부 전, 후방에 일체로 돌출시킨 안내 레일(10A)에 끼워 안내되는 덮개(11)의 하부 중앙에 하향 돌출된 끼움 돌출부(11A)에 끼워 하향 돌출시킨 제2 연결간(430)을 상호 결합하여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이 안내 레일(410)을 따라 개폐될 때 이와 연동하여 함체(10)의 안내 레일(10A)을 따라 덮개(11)가 천장 점검용 개폐판(310)과 함께 동시에 개폐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연결간(420)과 제2 연결간(430)은 스터드 볼트로 형성하되, 스터드 볼트로 형성된 제1 연결간(420)의 상부와 제2 연결간(430)의 하부 사이를 너트(440)에 의하여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 흡수 부재(510)(520)는 함체(10) 양단에 돌출시킨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의 중앙에 가로 방향으로 오목한 탄성부(511A)(521A)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의 상부 및 측면에 제1 및 제2 고정판(512)(522)을 덮어 결합볼트(B1)로 체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511)(521) 및 제1 및 제2 고정판(512)(522)은 슬래부(200) 내측에 매립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온수 온도 보조 가열 수단(600)은 함체(10) 내부에 수납된 온수 분기관(120)과 접속된 온수 유입관(121)의 둘레 상부 및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 브라켓(610)을 덮어씌우되, 상기 고정 브라켓(6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끼움 구멍(611)에 세라믹 히터(620)를 끼워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세라믹 히터(620)의 가열에 의하여 온수 분기관(120)과 접속된 온수 유입관(121) 내부를 흐르는 온수의 온도를 보충적으로 가열시켜 온수 배출관(122)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7. 제6항에 있어서, 고정 브라켓(61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20220073243A 2022-06-16 2022-06-16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2450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43A KR102450249B1 (ko) 2022-06-16 2022-06-16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43A KR102450249B1 (ko) 2022-06-16 2022-06-16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249B1 true KR102450249B1 (ko) 2022-09-30

Family

ID=8345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243A KR102450249B1 (ko) 2022-06-16 2022-06-16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24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0551A (en) * 1986-11-03 1988-03-15 Peludat Walter W Heat distributor for suspended ceilings
KR200395231Y1 (ko) * 2005-06-29 2005-09-07 주식회사 애강 냉,온수용 분배기박스
KR100684256B1 (ko) * 2006-10-18 2007-02-22 주식회사 피아이피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0751728B1 (ko) * 2006-12-15 2007-08-27 주식회사 피아이피 분배기함의 슬래브 하부 노출 수직하향배관구조
KR100761927B1 (ko) * 2006-08-18 2007-09-28 황인건 슬라브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박스
KR100851937B1 (ko) 2007-01-11 2008-08-12 김성환 냉, 온수용 분배기 및 그 시공방법
KR101029791B1 (ko) 2010-06-03 2011-04-19 정명훈 드레인관을 구비한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20120015085A (ko)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KR20190002597U (ko) * 2018-04-09 2019-10-17 김용 수평형 온수 분배기
KR20200060824A (ko) * 2018-11-23 2020-06-02 김홍수 천장에 시공되는 점검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0551A (en) * 1986-11-03 1988-03-15 Peludat Walter W Heat distributor for suspended ceilings
KR200395231Y1 (ko) * 2005-06-29 2005-09-07 주식회사 애강 냉,온수용 분배기박스
KR100761927B1 (ko) * 2006-08-18 2007-09-28 황인건 슬라브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박스
KR100684256B1 (ko) * 2006-10-18 2007-02-22 주식회사 피아이피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0751728B1 (ko) * 2006-12-15 2007-08-27 주식회사 피아이피 분배기함의 슬래브 하부 노출 수직하향배관구조
KR100851937B1 (ko) 2007-01-11 2008-08-12 김성환 냉, 온수용 분배기 및 그 시공방법
KR101029791B1 (ko) 2010-06-03 2011-04-19 정명훈 드레인관을 구비한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20120015085A (ko)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KR20190002597U (ko) * 2018-04-09 2019-10-17 김용 수평형 온수 분배기
KR20200060824A (ko) * 2018-11-23 2020-06-02 김홍수 천장에 시공되는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21454A (en) Pre-fabricated utility building assembly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KR20160019373A (ko) 난방 시스템
KR102450249B1 (ko)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200430527Y1 (ko) 선반을 갖는 욕실용 조립식 벽체
KR100684256B1 (ko)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0704659B1 (ko) 비수전함형 수전결합 시스템
KR20100070745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644429B1 (ko) 벽체 매입형 분배용 수전함
KR200443777Y1 (ko)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개수대 배관연결구
KR200426264Y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용 수전
KR102521754B1 (ko) 천장 매립형 냉온수 분배장치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0467536B1 (ko) 방열판 및 유리온돌판을 구비한 악세스 플로어형 바닥구조및 그 시공방법
KR100703626B1 (ko) 욕실 냉온수 배관 결합장치
JP3346685B2 (ja) 浴室ユニット
JP3182313B2 (ja) 住宅用内装構造、内壁構造及びユニット設備室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0481811B1 (ko) 비수전함형 수전연결시스템
PL175986B1 (pl) Budynek z dwupoziomowymi pomieszczeniami mieszkalnymi wyposażony w zespół zewnętrznych kabin sektorowych połączonych ze ścianą tego budynku oraz sposób wznoszenia budynku z dwupoziomowymi pomieszczeniami mieszkalnymi wyposażonego w zespół zewnętrznych kabin sektorowych połączonych ze ścianą tego budynku .
RU215352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инженер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здания
KR102229142B1 (ko) 모듈형 욕실 층상 배관 시스템
KR200310036Y1 (ko) 난방용 온수판넬
KR100615840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
JPH0573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