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970Y1 - 누수 확인용 검수관 - Google Patents

누수 확인용 검수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970Y1
KR200468970Y1 KR2020120007674U KR20120007674U KR200468970Y1 KR 200468970 Y1 KR200468970 Y1 KR 200468970Y1 KR 2020120007674 U KR2020120007674 U KR 2020120007674U KR 20120007674 U KR20120007674 U KR 20120007674U KR 200468970 Y1 KR200468970 Y1 KR 200468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pipe
tube body
check
insp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120007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9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07Leak detector calibration, standard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조적벽에 누수 검사를 위한 내시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배수관과 연통 설치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그 개방 단부는 차단재가 구비된 덮개에 의해 밀폐됨에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누수 확인용 검수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은 일단은 배수관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에 노출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검수관 본체와, 상기 검수관 본체 내부에 출납 가능하게 삽입되고 삽입시 상기 검수관 본체의 내주연에 기밀하게 면접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밀폐수단과, 상기 검수관 본체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수 확인용 검수관{PIPE FOR WATER LEAKAGE CONFIRMATION}
본 고안은 누수 확인용 검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조적벽에 누수 검사를 위한 내시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배수관과 연통 설치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그 개방 단부는 차단재가 구비된 덮개에 의해 밀폐됨에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누수 확인용 검수관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 베란다 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활오수를 배수하기 위해 실내바닥과 및 조적벽 내에 배수관을 이용한 배수설비가 시공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배수관과 배수관을 이어주는 이음작업이 미흡할 경우 또는 배수관의 일측이 동파 등의 이유로 손상될 경우 누수가 발생되는데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건물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곰팡이가 피는 등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단독주택의 경우 누수가 발생되면 본인의 주택만 피해를 입게 되지만 집합건물의 경우 다수의 주민이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이에 근래에는 조적벽 내에 배수관과 연통되는 검수관을 설치하고 이 검수관 내로 내시경을 투입함으로써 누수를 확인함으로써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고 누수 발생시 해당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검수관의 경우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바 화재 발생시 불길이 번지는 통로의 역할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이 이 검수관을 통해 배수관으로부터 건물 내부로 악취 또는 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수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조적벽에 누수 검사를 위한 내시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배수관과 연통 설치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누수 확인용 검수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개방 단부가 차단재가 구비된 덮개에 의해 밀폐됨에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누수 확인용 검수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단은 배수관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에 노출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검수관 본체와, 상기 검수관 본체 내부에 출납 가능하게 삽입되고 삽입시 상기 검수관 본체의 내주연에 기밀하게 면접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밀폐수단과, 상기 검수관 본체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검수관 본체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가 소정의 경사로 상향 절곡되는 원판부재와, 상기 원판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밀폐수단을 상기 검수관 본체의 내, 외부로 출납시킬 때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검수관 본체의 내주연에는 상기 원판부재 가장자리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는 스토퍼부재가 돌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원판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검수관 본체의 내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수단이 상기 검수관 본체 내부로 삽입될 시에 상기 돌기가 상기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검수관 본체의 내부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차단이 가능한 차단재가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에 따르면 첫째, 배수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조적벽에 누수 검사를 위한 내시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배수관과 연통 설치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둘째, 그 개방 단부가 차단재가 구비된 덮개에 의해 밀폐됨에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확인 검수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확인 검수관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확인 검수관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확인 검수관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1)은 일단은 배수관(100)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200)에 노출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검수관 본체(10)와, 상기 검수관 본체(10) 내부에 출납 가능하게 삽입되고 삽입시 상기 검수관 본체(10)의 내주연에 기밀하게 면접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밀폐수단(20)과, 상기 검수관 본체(1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재(3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검수관 본체(10)는 조적벽(200) 내부 배수관(100)의 누수확인을 위해 삽입된 내시경이 배수관(100)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가능하게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단은 배수관(100)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200)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검수관 본체(10)는 건물 조적벽(200) 내에 내설되되 조적벽(200)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배수관(100)과 연통 되는데, 화재시 배수관(100)을 통해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불연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건물 내에서 전술한 검수관 본체(10)의 설치위치는 바닥 내에 또 다른 배수관이 매설되는 화장실이나 다용도실인 것이 바람직하며, 검수관 본체(10)의 내경 및 그 길이는 건물 조적벽(200)의 두께, 사용되는 내시경의 규격 등을 고려해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에 매설된 배수관(100)과 검수관 본체(10)를 상호 연통시키는 방법은 것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의 연결 방법이 사용되는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검수관 본체(10)의 내부에는 밀폐수단(20)이 출납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 밀폐수단(20)은 평상시 검수관 본체(10)의 내주연에 기밀하게 면접 배치됨으로써 배수관(100)과 연통 된 검수관 본체(10)를 통해서 화재시 불길이 번지거나 악취, 습기,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밀폐수단(20)은, 검수관 본체(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가 소정의 경사로 상향 절곡 형성되는 원판부재(21)와, 이 원판부재(21)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밀폐수단(20)을 검수관 본체(10)의 내, 외부로 출납시킬 때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재(22)로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원판부재(21)의 가장자리가 상향 절곡되되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는데, 이는 원판부재(21)가 검수관 본체(10)의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진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서서히 위치이동되고 이에 따라 검수관 본체(10) 내주연 측으로 더욱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손잡이부재(22)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좋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판부재(21)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견고하게 용접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검수관 본체(10)의 내주연에는 스토퍼부재(11)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스토퍼부재(11)는 검수관 본체(10) 내로 삽입되는 밀폐수단(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원판부재(21) 가장자리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검수관 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판부재(21)는 스토퍼부재(11)와 완전히 면접 되면서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더 이상 위치 이동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스토퍼부재(11)가 형성된 검수관 본체(10)의 내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홈(13)이 형성되고 원판부재(2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돌기(23)가 형성되는데 이 돌기(23)와 홈(13)은 검수관 본체(10) 내부로 삽입되는 밀폐수단(20)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되게 해주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밀폐수단(20)의 원판부재(21)가 검수관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시에 원판부재(21) 양단의 돌기(23)가 검수관 본체(10) 내부 양측의 홈(13) 내에 인입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재(22)를 내측으로 밀어 넣어 삽입시키면 원판부재(21)의 돌기(23)가 홈(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원판부재(21)가 스토퍼부재(11)까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밀폐수단(20)은 전술한 검수관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화재시 배수관(100)을 통해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불연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검수관 본체(10)가 조적벽(200)으로 노출된 위치에는 덮개부재(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덮개부재(30)는 검수관 본체(10)가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덮개부재(3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검수관 본체(10)와는 나사방식, 압입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조적벽(200)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으로 장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덮개부재(30)가 검수관 본체(10)의 내부와 접하는 면에는 배수관(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습기 및 연기를 2차적으로 차단해주는 차단재(40)가 구비되는데, 이 차단재(40)로는 스펀지 등의 불연성 합성수지재가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누수 확인용 검수관
10 : 검수관 본체
11 : 스토퍼부재
13 : 홈
20 : 밀폐수단
21 : 원판부재
22 : 손잡이부재
23 : 돌기
30 : 덮개부재
40 : 차단재
100 : 배수관
200 : 조적벽

Claims (5)

  1. 일단은 배수관(100)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200)에 노출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검수관 본체(10);
    상기 검수관 본체(10) 내부에 출납 가능하게 삽입되고 삽입시 상기 검수관 본체(10)의 내주연에 기밀하게 면접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밀폐수단(20); 및
    상기 검수관 본체(1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재(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20)은, 상기 검수관 본체(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가 소정의 경사로 상향 절곡되는 원판부재(21)와, 상기 원판부재(21)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밀폐수단(20)을 상기 검수관 본체(10)의 내, 외부로 출납시킬 때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재(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수관 본체(10)의 내주연에는 상기 원판부재(21) 가장자리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는 스토퍼부재(1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재(2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돌기(23)가 형성되고 상기 검수관 본체(10)의 내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홈(13)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수단(20)이 상기 검수관 본체(10) 내부로 삽입될 시에 상기 돌기(23)가 상기 홈(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30)가 상기 검수관 본체(10)의 내부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배수관(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차단이 가능한 차단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KR2020120007674U 2012-08-29 2012-08-29 누수 확인용 검수관 KR200468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74U KR200468970Y1 (ko) 2012-08-29 2012-08-29 누수 확인용 검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74U KR200468970Y1 (ko) 2012-08-29 2012-08-29 누수 확인용 검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970Y1 true KR200468970Y1 (ko) 2013-09-11

Family

ID=5139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674U KR200468970Y1 (ko) 2012-08-29 2012-08-29 누수 확인용 검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9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4473A (zh) * 2017-04-24 2017-06-23 张红星 一种自检式排水管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39Y1 (ko) * 2000-12-14 2001-05-15 정형일 배수관 점검구
JP2003232200A (ja) * 2001-12-07 2003-08-22 Shirataka Kogyo Kk 構造物の漏水部に取り付けられる漏水受樋装置
JP2004092765A (ja) * 2002-08-30 2004-03-25 Hosho Seisakusho:Kk 連結送水管用送水口
KR20090007880A (ko) * 2007-07-16 2009-01-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싱크로나이즈 알티브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39Y1 (ko) * 2000-12-14 2001-05-15 정형일 배수관 점검구
JP2003232200A (ja) * 2001-12-07 2003-08-22 Shirataka Kogyo Kk 構造物の漏水部に取り付けられる漏水受樋装置
JP2004092765A (ja) * 2002-08-30 2004-03-25 Hosho Seisakusho:Kk 連結送水管用送水口
KR20090007880A (ko) * 2007-07-16 2009-01-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싱크로나이즈 알티브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4473A (zh) * 2017-04-24 2017-06-23 张红星 一种自检式排水管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81881A1 (zh) 一种长效全封闭水封防臭同层排水地漏
KR101480792B1 (ko)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20040043630A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US20140090160A1 (en) Odor Removing Toilet
KR200468970Y1 (ko) 누수 확인용 검수관
JP4891198B2 (ja) 建具
ATE491068T1 (de) Bodenablauf
KR200469367Y1 (ko) 누수 확인용 검수관
US9249585B1 (en) Door trim floor gap cover system
CA2936002A1 (en) Air register drain
KR101480879B1 (ko)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CN203878716U (zh) 新型同层双水封地漏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JP2006336253A (ja) サッシの排水具
KR20130007529A (ko)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JP2011250912A (ja) 区画壁用孔閉塞治具
KR101515799B1 (ko) 발코니 시스템창호
KR20100013123A (ko) 배수트랩
KR101203940B1 (ko) 빗물 배수구조가 형성된 창틀
JP4833688B2 (ja) 配管支持具及びその配管支持具を備えた建物
JP4977098B2 (ja) 浴室ユニットと窓との接続部における止水構造
KR200382070Y1 (ko)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WO2010064876A3 (ko) 통풍구가 형성된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