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070Y1 -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 Google Patents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070Y1
KR200382070Y1 KR20-2005-0000643U KR20050000643U KR200382070Y1 KR 200382070 Y1 KR200382070 Y1 KR 200382070Y1 KR 20050000643 U KR20050000643 U KR 20050000643U KR 200382070 Y1 KR200382070 Y1 KR 200382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sides
veranda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케미칼 filed Critical (주)에이스케미칼
Priority to KR20-2005-0000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설치면적을 갖는 창틀에 통상 3개 일조로 이루어지는 베란다용 창호의 내 외측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되, 대형이면서 중간부에 위치하는 창호를 내측레일에 위치케 하고, 비교적 소형이면서 상기 대형레일의 양측에 위치하는 창호를 외측레일에 설치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대형창호 양측에 노출된 레일의 상부를 별도의 커버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마감하여 줌으로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상기 대형 창호가 중간부에 고정 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재로 인해 미관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넓게 보일수 있도록 연출하고, 또한 레일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 유입을 차단하면서 이사를 하거나 대형 가구등의 이동통로 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커버부재를 간단히 해탈하여 대형 창호를 일측 혹은 양측으로 개방시켜 공간 활용에도 용이한 베란다용 창호의 개선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Improvement structure of veranda window frame}
본 고안은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설치면적을 갖는 창틀에 통상 3개 일조로 이루어지는 베란다용 창호의 내 외측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되, 대형이면서 중간부에 위치하는 창호를 내측레일에 위치케 하고, 비교적 소형이면서 상기 대형레일의 양측에 위치하는 창호를 외측레일에 설치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대형창호 양측에 노출된 레일의 상부를 별도의 커버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마감하여 줌으로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상기 대형 창호가 중간부에 고정 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재로 인해 미관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넓게 보일수 있도록 연출하고, 또한 레일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 유입을 차단하면서 이사를 하거나 대형 가구등의 이동통로 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커버부재를 간단히 해탈하여 대형 창호를 일측 혹은 양측으로 개방시켜 공간 활용에도 용이한 베란다용 창호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등의 공동 주거형 주택에서는 법규상 거실 외측으로 발코니(이하 베란다 라 함)를 배치하고 거실과 베란다 사이에 창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베란다창은 일반적으로 입주자가 직접 설치한다.
최근에는 가족간의 공동생활공간인 거실을 보다 넓게 사용하고자 베란다 창을 설치한 후 거실창을 제거함으로서 거실을 확장하는 세대가 증가하고 있는바, 거실창을 제거하는 경우 베란다 공간 까지 거실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형태로 거실이 확장되고 나면 베란다창이 바로 외부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통상 그 표면에 우드무늬가 배해진 PVC 필름을 랩핑하여 거실의 분위기를 베란다 창틀에까지 확장시킨다.
상기에서의 베란다창은 통상적으로 대형유리창(2) 하나에 비교적 소형인 유리창(3) 2개가 결합되는 3개 일조를 이루고 있는데,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 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에서의 대형 유리창(2)은 창틀(1)의 외측레일(12)에 결합되어 중간부에 위치하고, 소형유리창(3) 2개는 내측레일(11)에 결합되어 상기 대형유리창(2) 각 양측과 접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를 띠고 있기 때문에 대형 유리창(2)의 양측에 위치한 소형유리창(3)의 이동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기 대형유리창(2)이 위치되는 내측레일(11)의 중간부는 실내측에 항상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게 되고, 이 비좁은 공간에 먼지등의 각종 이물질이 끼여 위생적으로 이로움이 전혀 없으며, 또한 미관을 해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항상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베란다용 창틀이 갖는 구조적 결함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일정 설치면적을 갖는 창틀에 통상 3개 일조로 이루어지는 베란다용 창호의 내 외측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되, 대형이면서 중간부에 위치하는 창호를 내측레일에 위치케 하고, 비교적 소형이면서 상기 대형레일의 양측에 위치하는 창호를 외측레일에 설치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대형창호 양측에 노출된 레일의 상부를 별도의 커버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마감하여 줌으로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상기 대형 창호가 중간부에 고정 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재로 인해 미관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넓게 보일 수 있도록 연출하고, 또한 레일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 유입을 차단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사를 하거나 대형 가구등의 이동통로 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커버부재를 간단히 해탈하여 대형 창호를 일측 혹은 그 타 측으로 개방시켜 사용하고, 사용 후 간단히 결합시켜 본래의 목적대로 사용가능함으로서 공간 활용에 용이한 이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 외측레일(11),(12)이 일체로 되고 일정 설치면적을 갖는 창틀(1)에 하나의 대형 창호(2)와 2개의 비교적 소형인 창호(3)가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상 3개 일조로 이루어지는 베란다용 창호에 있어서,
상기 대형 창호(2)는 상기 창틀(1)의 내측레일(11) 중간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복수개의 소형 창호(3)는 상기 대형창호(2) 양측단 각 외측에 접하도록 외측레일(12)에 끼워져서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대형창호(2) 양측에 노출된 창틀(1)의 내측레일(11) 상부와 그 각 측면 및 상면에는 하부 양측에 쐐기형 걸림턱(41)이 형성된 커버부재(4)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창틀(1)을 이루는 내측레일(11)은 첨부된 도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경사면(51)을 갖는 조립부재(5)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부재(5)가 끼워지는 창틀(1)의 내측면 공간(13)양측의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걸림편(6)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조립가능하게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7 은 쇄정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미도시 하였으나, 내측면 공간(13)의 외측벽 하부로부터 다수개의 배수공을 그 외부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외부에서 발생되는 빗물등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측레일(12)이 형성된 외측공간 내면을 경사형성 하였고, 이는 빗물의 실내 유입을 막아준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이루는 창틀(1)은 창틀(1) 본체와 조립부재(5) 및 커버부재(4)를 각각 압출하여 셋트화 하고, 현장에서 통상의 창틀 시공작업과 동일하게 시공한 다음, 내측레일(11)을 구성하는 조립부재(5)를 상부에서 약간의 힘을 가해 압입하여준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경사면(51)을 갖는 조립부재(5)의 양측 각 상단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6)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 조립완료 되어 있는 소형 창호(3)를 외측레일(12)에 각각 끼워 양측에 위치시키고, 대형창호(2)를 내측레일(11)인 조립부재(5)의 중간부에 위치시켜 조립 완료한다.
이때, 별도의 쇄정장치(7)를 통해 대형 창호(2)의 양측 외측에 위치하는 소형창호(3)를 대형창호(2)에 고정하여 대형창호(2)가 고정될 위치를 정확하게 맞춘 다음, 대형 창호(2)의 양측에 노출된 레일(11)부, 즉 조립부재(5) 상면에 커버부재(4)를 일치시켜 재단 한 다음, 그 상면에 커버부재(4)를 끼워 전체면을 감싸도록 마감하고, 창틀(1)의 상부에 위치한 레일 또한 동일하게 재단하여 끼워 조립함으로서 마감한다.
이러한 작업과정으로 창틀(1)의 상하부에 노출된 내측레일(11)의 상면 마감작업이 완료되면 그 양 측면에 입설 된 상태로 노출된 레일부재의 각 외측에 상기한 커버부재(4)를 재단하여 끼워줌으로서 대형 창호(2)의 양측에 노출된 내측레일(11) 전체를 커버부재(4)로 마감하여 창틀(1)을 이루는 내측 레일(11) 상면 전체를 커버부재(4)로 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부재(4)의 마감작업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대형 창호를 고정하는 작용을 가진다.
또한 상기에서의 커버부재(4)는 실내측에 위치한 거실의 실내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는 색상 혹은 무늬를 갖는 랩핑 필름으로 표면이 랩핑된 커버부재(4)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곧 거실의 실내분위기를 확장하는 미관 향상효과를 가지게 되며, 먼지 등의 이물유입방지기능을 함께 가진다.
이러한 상태로 사용하다가 베란다 창을 통해 대형가구의 출입이 필요하거나 이사를 하게 되는 경우, 상기한 대형창호(2)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상황이 발생되는데,
이때에는 상기한 커버부재(4)를 간단한 수공구를 이용하여 해탈시키고 커버부재(4)가 해탈 된 방향으로 상기한 대형 창호(2)와 소형창호(3)를 동시에 슬라이드 시켜 공간을 배로 확장함으로서 이동 통로로의 사용 또한 용이하다.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이는 창틀(1)의 내 외측에 2개 1조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크기의 창호(2a),(3a)를 채택하여 사용하는 경우, 내측에 위치한 창호(2a)의 타측에 노출된 내측레일(11)이 위치할 내측면 공간(13) 상부에 상기한 본 고안의 커버부재(4)를 끼워 사용함으로서 전술한 본 고안과 동일한 작용및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이때에는 내측에 위치한 창호(2a)가 일측에 위치한 채 시공시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 되므로 조립부재(5)인 내측레일(11)이 필요 없이, 그 상태로 창호(2a)가 끼워져 미 도시된 모헤어 사이에서 긴밀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그 타측은 커버부재(4)로 마감하여 주면 되므로 그 시공이 더욱 간단하면서 시공 단가가 저감되는 이점을 함께 얻을 수 있다.
이하, 다른 부분은 전술한 본 고안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일정 설치면적을 갖는 창틀에 통상 3개 일조로 이루어지는 베란다용 창호의 내 외측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되, 대형이면서 중간부에 위치하는 창호를 내측레일에 위치케 하고, 비교적 소형이면서 상기 대형레일의 양측에 위치하는 창호를 외측레일에 설치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대형창호 양측에 노출된 레일의 상부를 별도의 커버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마감하여 줌으로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상기 대형 창호가 중간부에 고정 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재로 인해 미관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넓게 보일 수 있도록 연출하고, 또한 레일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 유입을 차단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사를 하거나 대형 가구등의 이동통로 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커버부재를 간단히 해탈하여 대형 창호를 일측 혹은 그 타 측으로 개방시켜 사용하고, 사용 후 간단히 결합시켜 본래의 목적대로 사용가능함으로서 공간 활용에도 용이한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베란다용 창들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A-A선에 의한 평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베란다용 창틀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 는 도 3 의 B-B선에 의한 평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부를 발췌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8 은 도 7 의 C-C 선에 의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틀,
2 : 대형창호,
3 : 소형창호,
2a, 3a : 창호,
4 : 커버부재,
5 : 조립부재,
6 : 걸림편,
11 , 12 : 내, 외측 레일,
13 : 내측면 공간,
41 : 쐐기형 걸림턱,
51 : 경사면,

Claims (3)

  1. 내 외측레일(11),(12)이 일체로 되고 일정 설치면적을 갖는 창틀(1)에 하나의 대형 창호(2)와 2개의 비교적 소형인 창호(3)가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상 3개 일조로 이루어지는 베란다용 창호에 있어서,
    상기 대형 창호(2)는 상기 창틀(1)의 내측레일(11) 중간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복수개의 소형 창호(3)는 상기 대형창호(2) 양측단 각 외측에 접하도록 외측레일(12)에 끼워져서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대형창호(2) 양측에 노출된 창틀(1)의 내측레일(11) 상부와 그 각 측면 및 상면에는 하부 양측에 쐐기형 걸림턱(41)이 형성된 커버부재(4)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창틀(1)을 이루는 내측레일(11)은 일측에 경사면(51)을 갖는 조립부재(5)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부재(5)가 끼워지는 창틀(1)의 내측면 공간(13)양측의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걸림편(6)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조립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1)의 내 외측에 2개 1조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크기의 창호(2a),(3a)가 설치되되, 상기 내측에 위치한 창호(2a)의 타측에 노출된 내측레일(11)이 위치할 내측면 공간(13) 상부에 상기 커버부재(4)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KR20-2005-0000643U 2005-01-10 2005-01-10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KR200382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643U KR200382070Y1 (ko) 2005-01-10 2005-01-10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643U KR200382070Y1 (ko) 2005-01-10 2005-01-10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070Y1 true KR200382070Y1 (ko) 2005-04-19

Family

ID=4368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643U KR200382070Y1 (ko) 2005-01-10 2005-01-10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0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03A (ko) * 2014-04-18 2015-10-29 현우공업 주식회사 구조변경이 용이한 다기능 창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03A (ko) * 2014-04-18 2015-10-29 현우공업 주식회사 구조변경이 용이한 다기능 창호 시스템
KR101594978B1 (ko) * 2014-04-18 2016-02-18 현우공업 주식회사 구조변경이 용이한 다기능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0664B2 (ja) 窓戸設備
EP2687665B1 (en) Hidden rail type window and door system
KR200382070Y1 (ko) 베란다용 창틀의 개선구조
KR20080001176U (ko) 슬라이딩 창호용 모헤어의 설치구조
KR20080072600A (ko) 공간절약형 여닫이도어
KR20110002841U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200183492Y1 (ko) 창문 및 창틀용 프레임
KR20090126075A (ko)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KR20040041899A (ko)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창호
KR20120124970A (ko) 문짝프레임 구조
KR100768796B1 (ko) 창틀의 폭을 줄인 창호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KR200305970Y1 (ko) 창호의 결로수 배수구조
KR200305822Y1 (ko)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창호
JPH11287069A (ja) 片引戸枠
JP3620591B2 (ja) 浴室用ドア
KR100752687B1 (ko) 다양한 개폐 방식을 갖는 창호
KR20100001878A (ko)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커튼월의 개선구조
JP2534625Y2 (ja) 引違い窓における排水装置
KR100709042B1 (ko) 역결합 방식의 슬라이딩 창호구조
KR200350077Y1 (ko)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
KR20020035311A (ko) 미서기창호의 복합프레임
KR200373247Y1 (ko) 미서기 창호
KR20090110035A (ko) 미닫이 창문
KR200368455Y1 (ko) 발코니용 분합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