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077Y1 -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077Y1
KR200350077Y1 KR20-2004-0000254U KR20040000254U KR200350077Y1 KR 200350077 Y1 KR200350077 Y1 KR 200350077Y1 KR 20040000254 U KR20040000254 U KR 20040000254U KR 200350077 Y1 KR200350077 Y1 KR 200350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window frame
balcon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만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4-0000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짝(2)이 장착되어 창짝(2)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5)이 성형되어 있는 구동부(4)와, 상기 구동부(4)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된 공틀부(3)를 포함하며, 여기서 구동부(4)와 공틀부(3)의 내측에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6)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 삽입장공(7)이 성형되어 있는 공틀 일체형 창틀에 관한 것이다. 또, 창짝(102)이 장착되어 창짝(102)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105)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부(104)를 포함하는 발코니창틀(100)과, 창짝(2)이 장착되어 창짝(2)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5)이 성형되어 있는 구동부(4)와 상기 구동부(4)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된 공틀부(3)를 포함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1)과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104)와 공틀부(3)의 내측에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6),(106)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 삽입장공(7)(107)이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발코니창틀(100)의 실내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08)과 상기 공틀 일체형 창틀(1)의 공틀부(3)가 접하도록 배치되며 이탈방지턱(108)의 상측면과 공틀부(3)의 노출된 단부 측면이 실링재(S)로서 마감되는 공틀 일체형 창틀(1)과 발코니창틀(100)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단독 설치시 실내의 미관을 개선하며, 단열 및 방음효과 증대를 위해 발코니에 기존의 이중창을 사용했을 경우 이중창틀 중간부위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크리센트 작동이 매우 불편했던 점을 해소하고, 브라인더, 방범창, 커튼설치시 창틀 중간부위 공간 문제로 설치가 불가능했던 단점을 해결하며, 발코니 창틀 부위에 충분한 공간확보를 위해 별도의 공틀을 발코니 창틀에 결합시 공틀을 결합하고 내부에 단창을 결합해야 하므로 결합에 의한 가공공수 증가와, 자재 증가에 따른 비용 부담의 문제를 해결하였고, 또, 기존 거실에 사용되던 공틀 일체형틀을 발코니창틀에 결합시 결합부위 쪽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확장시 거실 분합문에 사용되던 틀을 폐기해야 했던 단점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A window frame with an empty frame and its joining structure with another window frame}
본 고안은 공틀 일체형 창틀 및 이와 발코니창틀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발코니창틀의 구조에 따라 공틀 일체형 창틀의 공틀부와 구동부(레일부)를 변형하여 각각의 창짝들이 서로 호환성(교환장착가능)을 가지게 하고, 창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재가 삽입되는 보강재 삽입장공의 형태와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시공의 편의성(일종류의 보강재 사용)을 높이고, 공틀부의 높이를 레일부의 높이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높게 성형하여 발코니창틀과 결합시 서로의 실링(주로 실리콘에 의한 실링)이 실외측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내부에서 빗물등이 내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에서 실링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창틀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 및 방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중창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중창에 사용되는 이중창틀은 중간부위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크리센트 작동이 매우 불편하며, 브라인드나 커튼, 방범창 같은 것의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발코니창(100)과 단창(400)의 사이에 공틀(3")을 결합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공틀(3") 자체가 속이 비어있는 중공 형태로 강도가 약하여 브라인드(300)와 같은 것을 중간에 안정되게 튼튼하게 설치하기가 곤란하며, 그 두께 또는 높이가 발코니창(100) 및 단창(400)보다 낮아 실리콘과 같은 실링재(S)를 통하여 실링을 하지만 빗물이 유입되어 물이 고이기 쉬워서 수밀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 도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에 사용되던 공틀 일체형 창틀을 사용한 경우도 공틀부(3)의 높이가 발코니 창틀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턱(108)보다 낮아서 빗물 유입시 실링부(S)에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와 및 보강재 삽입장공(107),(7"),(7')의 구조가 서로 달라 별도의 보강재(106),(6"),(6')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블라인드나 방범창이 조립되는 부위 또한 도 7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순한 중공 형태로 견고한 고정이 어렵고, 확장시에는 발코니창틀의 구동부(레일부)와 공틀일체형 창틀의 구동부(레일부)의 높이가 달라 거실에 사용하던 틀과 창짝을 폐기해야 하므로 자재 및 비용낭비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거실에 설치시 창틀의 공틀부가 실내쪽으로 설치되어 내부에서 보기에 나무틀을 결합한 것처럼 보여 거실창의 외관이 좋으며 확장시에는 공틀부가 실외쪽을 향하도록 하여 발코니창틀의 내부쪽과 결합하면 거실용 창틀의 공틀 폭 크기만큼의 공간이 결합한 두 창틀의 중간 부위에 확보되어 창을 사용할 때 크리센트 작동이 용이하고, 확보된 공간에 브라인더, 방범창, 커튼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단열, 기밀성, 방음성이 매우 좋아지고, 확장 시에는 거실에 설치된 틀을 떼어내어 발코니 창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확장시 폐기해야 했던 거실창틀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발코니창틀과 거실분합문틀 결합시 결합부위로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결합부 방수처리가 용이하며, 공틀부와 레일부 챔버에 동일한 보강재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창틀과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틀 일체형 창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발코니 창틀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틀 일체형 창틀과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틀 일체형 창틀과 발코니 창틀을 결합하고 그 공틀부에 방범창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제 4도의 공틀부에 블라인드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공틀 일체형 창틀과 발코니 창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종래에 사용하던 별도의 공틀을 결합한 이중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 실링재(실링부) 1 : 공틀 일체형 창틀
2 : 창짝 3 : 공틀부
4 : 구동부(레일부) 5 : 레일
6 : 보강재 7 : 보강재 삽입장공
8 : 수직방향 리브 9 : 수평방향리브
100 : 발코니 창틀 108 : 이탈 방지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창짝이 장착되어 창짝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이 성형되어 있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된 공틀부를 포함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공틀부의 내측에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 삽입장공이 성형되어 있는 공틀 일체형 창틀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틀부의 내측에는 다수의 수직방향 리브와 다수의 수평방향 리브가 동시에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틀부의 높이가 상기 레일의 높이보다 높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창짝이 장착되어 창짝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발코니창틀과, 창짝이 장착되어 창짝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이 성형되어 있는 상기 발코니창틀의 구동부와 동일 높이(두께)를 가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된 공틀부를 포함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과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창틀의 실내측 단부에형성된 이탈방지턱과 상기 공틀 일체형 창틀의 공틀부가 접하도록 배치되며 이탈방지턱의 상측면과 공틀부의 노출된 단부 측면이 실링재로서 마감되는 공틀 일체형 창틀과 발코니창틀과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와 공틀부의 내부에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 삽입장공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틀부의 높이는 상기 레일의 높이보다 높게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틀 일체형 창틀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창틀(1)이 단독으로 설치된 형태로서, 창짝(2)이 결합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보아 좌측은 거실(실내)방향이며, 우측은 발코니(실외)방향이다. 물론, 반대방향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거실(실내)측의 미관등을 고려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틀 일체형 창틀(1)은 창짝(2)이 장착되어 창짝(2)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5)이 성형되어 있는 구동부(4)와 상기 구동부(4)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된 공틀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특히, 상기 구동부(4)와 공틀부(3)의 내측에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6)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 삽입장공(7)이 성형되어 있는데, 이로 인하여 일종류의 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틀부(3)의 내측에는 다수의 수직방향 리브(8)와 다수의 수평방향 리브(9)가 동시에 성형되어 공틀부(3)의 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따라서, 무거운 물건이나 사람이 공틀부(3)에 힘을 가하더라도 파손의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또, 상기 공틀부(3)의 높이가 상기 레일(5)의 높이보다 높게 성형하여 빗물이 흘러넘쳐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창틀의 단면도로서, 도 1과 비교하면 쉽게 알수 있겠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틀 일체형 창틀(1)의 구동부(4)와 비교하여 볼때, 구동부(104)의 레일(105)이 구동부(4)의 레일(5)와 동일하며, 보강재삽입장공(107) 및 이에 삽입된 보강재(106) 또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코니창에 사용되던 종래의 창짝(102)을 그대로 본 고안의 공틀 일체형 창틀(1)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반대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틀 일체형 창틀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코니창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104)와 공틀부(3)의 내측에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6),(106)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 삽입장공(7)(107)이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발코니창틀(100)의 실내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08)과 상기 공틀 일체형 창틀(1)의 공틀부(3)가 접하도록 배치되며 이탈방지턱(108)의 상측면과 공틀부(3)의 노출된 단부 측면이 실리콘과 같은 실링재(S)로서 마감되어 공틀 일체형 창틀(1)과 발코니창틀(100)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틀 일체형 창틀(1)과 발코니창틀(100)을 결합하게 되면, 도 4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를 사용하여 방범창(200)이나 블라인드(300)을 공틀부(3)에 장착시 수평방향 리브(9)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거실에 설치시 창틀의 공틀부가 실내쪽으로 설치되어 내부에서 보기에 나무틀을 결합한 것처럼 보여서 거실창이 외관이 좋으며, 확장시에는 공틀부가 실외쪽을 향하도록 하여 발코니 창틀의 내부쪽과 결합하면 거실용창틀의 공틀 폭 크기만큼의 공간이 결합한 두 창틀의 중간 부위에 확보되어 창을 사용할 때 크리센트 작동이 용이하고, 확보된 공간에 브라인더, 방범창, 커튼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단열, 기밀, 방음성이 매우 좋아지며, 확장시에는 거실에 설치된 틀을 떼어내어 발코니 창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확장시 폐기해야 했던 거실창틀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발코니 창틀과 거실분합문틀 결합시 결합부위로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결합부 방수처리가 용이하며 공틀부와 레일부챔버에 동일한 보강재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강도면에서도 유리하다.

Claims (6)

  1. 창짝(2)이 장착되어 창짝(2)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5)이 성형되어 있는 구동부(4)와, 상기 구동부(4)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된 공틀부(3)를 포함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와 공틀부(3)의 내부에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6)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 삽입장공(7)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틀부(3)의 내측에 다수의 수직방향 리브(8)와 다수의 수평방향 리브(9)가 동시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틀부(3)의 높이가 상기 레일(5)의 높이보다 높게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
  4. 창짝(102)이 장착되어 창짝(102)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105)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부(104)를 포함하는 발코니창틀(100)과, 창짝(2)이 장착되어 창짝(2)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5)이 성형되어 있는 구동부(4)와 상기 구동부(4)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된 공틀부(3)를 포함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1)과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창틀(100)의 실내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08)과 상기 공틀 일체형 창틀(1)의 공틀부(3)가 접하도록 배치되며 이탈방지턱(108)의 상측면과 공틀부(3)의 노출된 단부 측면이 실링재(S)로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1)과 발코니창틀(100)과의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104)와 공틀부(3)의 내부에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6),(106)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보강재 삽입장공(7)(107)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1)과 발코니창틀(100)과의 결합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틀부(3)의 높이가 상기 레일(5),(105)의 높이보다 높게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틀 일체형 창틀(1)과 발코니창틀(100)과의 결합구조.
KR20-2004-0000254U 2004-01-06 2004-01-06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 KR200350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254U KR200350077Y1 (ko) 2004-01-06 2004-01-06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254U KR200350077Y1 (ko) 2004-01-06 2004-01-06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077Y1 true KR200350077Y1 (ko) 2004-05-13

Family

ID=4942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254U KR200350077Y1 (ko) 2004-01-06 2004-01-06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0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994B1 (ko)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
AU2011362732B2 (en) Hidden rail type window and door system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216678B1 (ko)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KR20070083017A (ko) 복합 이중창호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20070024108A (ko) 슬라이드창호의 방음구조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20190133431A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KR200350077Y1 (ko) 공틀 일체형 창틀 및 발코니 창틀과의 결합구조
KR100844550B1 (ko)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AU2008246273B2 (en) Frame system
KR20130061831A (ko) 배수홀캡을 구비한 고층용 미서기 시스템 창호
KR101461264B1 (ko) 공틀확장 창호시스템
CN110552595A (zh) 一种全景门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KR101410505B1 (ko) 미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KR200186955Y1 (ko) 발코니 난간겸용 새시장치
KR200375916Y1 (ko) 창호용 프레임 스토퍼
KR100468264B1 (ko) 확장이 용이하며 확장 시 창짝의 재활용이 가능한 창호의구조
JP3896545B2 (ja) 建築用形材
KR20100004795U (ko) 미닫이 창문
JP4852520B2 (ja) 建具枠及び建具
KR20090110035A (ko) 미닫이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