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529A -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 Google Patents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529A
KR20130007529A KR1020120157772A KR20120157772A KR20130007529A KR 20130007529 A KR20130007529 A KR 20130007529A KR 1020120157772 A KR1020120157772 A KR 1020120157772A KR 20120157772 A KR20120157772 A KR 20120157772A KR 20130007529 A KR20130007529 A KR 2013000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oller
frame
slid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244B1 (ko
Inventor
손동열
Original Assignee
손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열 filed Critical 손동열
Priority to KR102012015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2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의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건축용 자재인 창호의 수밀성 및 내풍압성, 기밀성, 결로 누수 방지와 같은 창호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 기능성을 갖추면서 건물 외측으로 여닫고 미닫을 수 있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를 제공하려는 목적은, 창틀(102)과 창틀(104) 사이에 복층 또는 3중 유리로 되며 프레임(208)의 추가설치로 돌출(projection)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으로 되고, 프레임(200)에 설치된 레일(20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창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102) 및 창틀(104))에는 롤러부재(222)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일단에는 롤러(222a)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222a)는 돌출된 다음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롤러(222a)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양측의 프레임(200)의 이동경로에는 롤러의 원활한 이동과 마모방지를 위해 특수몰딩(207)이 형성되어 있고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헤어(mohair;2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102)과 프레임(200)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가스켓(2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Multiple Fittings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용 자재인 창호의 수밀성 및 내풍압성, 기밀성, 결로 누수 방지와 같은 창호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 기능성을 갖추면서 건물 외측으로 여닫고 미닫을 수 있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창호는 창틀과 마주하는 옆면에 위치하는 힌지를 이용하여 창문을 고정시켜 상기 창문이 외측 또는 내측으로 터닝(Turning) 개폐될 수 있는 창호를 말한다. 특히, 힌지를 창틀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창문의 상부 또는 하부가 틸팅(Tilting) 개폐될 수 있다.
시스템 창호가 발전하면서 터닝과 틸팅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복합 여닫이 창호가 개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여닫이 창호는 건물의 내측으로 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건물의 외측으로 여닫고 미닫는 것이 가능한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시스템 창호는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07930
본 발명은 위의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건축용 자재인 창호의 수밀성 및 내풍압성, 기밀성, 결로 누수 방지와 같은 창호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 기능성을 갖추면서 건물 외측으로 여닫고 미닫을 수 있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건물의 외측으로 개폐되는 수밀성, 기밀성 및 통풍성을 확보한 다기능성의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로서,
창틀(102)과 창틀(104) 사이에 복층 또는 3중 유리로 되며 돌출(projection)시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으로 되고, 프레임(200)에 설치된 레일(20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창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102) 및 창틀(104))에는 롤러부재(222)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일단에는 롤러(222a)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222a)는 돌출된 다음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롤러(222a)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양측의 프레임(200)의 이동경로에는 롤러의 원활한 이동과 마모방지를 위해 특수몰딩(207)이 형성되어 있고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헤어(mohair;2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102)과 프레임(200)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가스켓(2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를 제공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222a)는 몰딩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부재(222)는 절첩가능하게 되어 있어 암(200b)에 의해 여닫이 식으로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틀(103)의 한쪽의 중간 부분에는 고정장치(2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창틀(103)의 다른쪽의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2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12)의 상부에는 푸시버튼(214)이 설치되고 또한 고정장치(216)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214)을 누르면 상기 롤러(222a)의 방향이 90도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롤러(222a)의 방향 전환을 위해 폭이 넓은 쪽과 폭이 좁은 쪽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으로 개폐되는 수밀성, 기밀성 및 통풍성을 확보한 다기능성의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로서,
창틀(102)과 창틀(104) 사이에 복층 또는 3중 유리로 되며 프레임(208)의 추가설치로 돌출(projection)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으로 되고, 프레임(200)에 설치된 레일(20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창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102) 및 창틀(104))에는 롤러부재(222)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일단에는 롤러(222a)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222a)는 돌출된 다음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롤러(222a)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양측의 프레임(200)의 이동경로에는 롤러의 원활한 이동과 마모방지를 위해 특수몰딩(207)이 형성되어 있고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헤어(mohair;220)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200)의 하단부분에 설치된 손잡이(240)는 창과 같은 방향으로 되면, 폐쇄상태가 되고 창과 수직방향으로 하면 개방상태가 되고, 창틀(102) 및 창틀(104)은 가스켓(224)과 맞닿아 있어 소음을 방지하고 방풍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창의 하단에 다른 손잡이(240)를 구비하고, 대형규격의 창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창의 상단에 위 아래로 격자 형태의 브라켓(223)이 형성되어 상하에서 창의 하중을 부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소형규격의 창호에서는 창의 상단에 레일이 설치되어 창의 전도를 방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창호의 돌출 사용시 중소형의 규격의 창호에 적용하도록 창의 상단 다수의 관절(200d, 200e, 200f)이 사용되고, 대형규격의 창호에 적용하도록 창의 중단에 관절(200g)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창의 본체에는 상기 다수의 관절을 지지하고 회동하게 하기 위한 힌지부(200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호가 건물의 외측으로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으로 개방 및 폐쇄되게 되어 오피스텔과 같은 경우 내실의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을 겸용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장점을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아주 탁월한 수밀성, 기밀성 및 통풍성을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창호를 구현할 수 있다.
여닫이식 창호의 개방시에도 빗물이 건물 내부로 들어오지 않아 우천시에도 건물 및 주택의 내부 환기가 가능하고, 안정성이 좋아 강풍에도 창호의 탈락우려가 없으며 보조 잠금장치로 방음 및 기밀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부개폐로 내부에 커텐을 설치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를 포함하는 창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기능성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의 부분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창호의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창호의 중앙부분 평면도, 중앙부분 입면도 및 하부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창호의 여닫이식, 미닫이식의 경우에 상부 부분의 롤러의 위치상태, 하부 부분의 위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기능 창호의 입면 즉,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창호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창호의 슬라이딩 사용시의 측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창호의 돌출 미닫이 사용시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를 포함하는 창의 평면도를 도시하는데, 도 1(a)는 아파트 등의 건물에 적용되고, 도 1(b)는 오피스텔 등의 대형 건물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창호는 복층 또는 3중 유리로 되며, 돌출시는 여닫이 식으로 되고, 또한 레일을 따라 미닫이 식으로 개폐된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 및 슬라이드된다.
상기 창호(1000)의 창(100)이 슬라이딩되는 경우 프레임(200)에 설치된 레일(201)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기능성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의 부분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a)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창호에서, 창틀(103)은 레일(A)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따라 왕복되어 미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202, 204 및 206은 창문 프레임이고, 210은 창틀(103)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이다. 또한 상기 창틀(103)과 근접하여 푸시버튼(21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b)의 정면도를 참조하면, 한쪽 즉, 도면에서 오른쪽의 창틀(103)의 중간 부분에는 창의 고정장치(217)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쪽 즉, 도면에서 왼쪽의 창틀(103)의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2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12)의 상부에는 푸시버튼(214)이 설치되고 또한 고정장치(216)와 결합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창호의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창호는 창틀(102)과 창틀(104) 사이에 창(100)이 설치되고, 창기 창틀(102) 및 창틀(104)에는 롤러부재(222)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일단에는 롤러(222a)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222a)는 돌출된 다음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롤러(222a)의 이동구간에는 원활한 이동과 소음 및 마모 방지를 위해 특수 몰딩(207)이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부재(222)의 양측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헤어(mohair;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창틀(102)과 프레임(200)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개스킷(2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부재(222)는 절첩가능하게 되어 있어 암(200b)에 의해 여닫이 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면에서 관절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 관절은 다관절로 될 수 있는데 이는 당업자가 적의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창호의 중앙부분 평면도, 중앙부분 입면도 및 하부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푸시버튼(214)를 누르면 도 3(a)에 도시된 롤러(222a)의 방향이 창호가 돌출하여 여닫이식 창호로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창틀(103)에는 푸시타입의 고정장치(217)가 설치되어 있는데 지면과 수직방향은 창호의 개방상태이고 지면과 수평방향은 창호의 폐쇄상태로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손잡이(21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도시되지 않은 부재가 상기 고정장치(216)와 결합되어 잠금이 유지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롤러(222a)는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동 이동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 식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푸시버튼(214)을 눌러서 롤러(222a)의 방향을 변경시키고 홈(B) 방향으로 이동시켜 창의 하부를 밀어서 사용한다. 반면에, 미닫이 식으로 사용시는 손잡이(212)를 밀어서 창을 건물의 최외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창을 좌우로 이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롤러(222a)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t1 > t2로 되어 롤러(222a)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창호의 여닫이식, 미닫이식의 경우에 상부 부분의 롤러의 위치상태, 하부 부분의 위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좌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이 닫혔을 때는 롤러의 위치가 건물의 내측으로 위치하고, 슬라이딩시는 가운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최외측으로 돌출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돌출 즉 여닫이식 사용시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222a)의 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창틀(102)은 슬라이딩 턱(200a)을 거쳐 회동식으로 이동되므로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기능 창호의 입면 즉,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 실시예가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은 일 실시예와는 달리 프레임(208)의 추가설치로 돌출(projection)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면에서 240은 손잡이이고 400은 고정창이다. 도 1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부가적인 부연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도 6a는 아파트 및 도시형 생활주택에 적용되고, 도 6b는 오피스텔과 같은 대형규격의 빌딩에 적용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창호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손잡이(240)는 창과 같은 방향에 있는 경우는 폐쇄상태가 되고, 창과 수직인 방향에서는 개방상태가 된다. 창틀(102) 및 창틀(104)은 가스켓(224)과 맞닿아 있어 소음을 방지하고 방풍을 유지한다.
도 7(a)는 도 7(b)의 확대도시한 평면도로서 손잡이(240) 방향에 따라 개폐방법이 달라지는데, 일 실시예와는 달리 돌출시키지 않고 바로 여닫이식 및 미닫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 208은 프레임이고 207은 특수몰딩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창호의 슬라이딩 사용시의 측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창호는 측면의 손잡이(212) 이외에 하단에도 손잡이(2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규격의 창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창의 상단에 위 아래로 격자 형태의 브라켓(223)이 형성되어 상하에서 창의 하중을 부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소형규격의 창호에서는 창의 상단에 레일이 설치되어 창의 전도를 방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208) 및 특수 몰딩(207)은 위에서 설명했으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창호의 돌출 사용시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중소형의 규격의 창호에서는 창의 상단에만 다수의 관절(200d, 200e, 200f)이 사용되는 반면에 대형규격의 창호에서는 창의 중단에도 관절(200g)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창의 본체에는 상기 다수의 관절을 지지하고 회동하게 하기 위한 힌지부(200c)가 설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호가 건물의 외측으로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으로 개방 및 폐쇄되게 되어 오피스텔과 같은 경우 내실의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을 겸용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장점을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아주 탁월한 수밀성, 기밀성과 통풍성을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창호를 구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측 여닫이식 창호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 목적이지 전술한 바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이라기보다는 이하의 부속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어 지며, 이러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그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창 102, 103, 104: 창틀
200, 208 : 프레임 200a: 슬라이딩 턱
200b: 암 201: 레일
202, 204, 206: 창문프레임
207: 특수 몰딩 210: 가이드부
212: 손잡이 214: 푸시버튼
216, 217: 고정장치
220: 모헤어 222: 롤러부재
222a: 롤러
220d, 220e, 220f: 관절 223: 브라켓
224: 가스켓 240: 손잡이
300, 300': 구획 프레임 400: 고정창

Claims (8)

  1. 건물의 외측으로 개폐되는 수밀성, 기밀성 및 통풍성을 확보한 다기능성의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로서,
    창틀(102)과 창틀(104) 사이에 복층 또는 3중 유리로 되며 프레임(208)의 추가설치로 돌출(projection)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으로 되고, 프레임(200)에 설치된 레일(20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창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102) 및 창틀(104))에는 롤러부재(222)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일단에는 롤러(222a)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222a)는 돌출된 다음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롤러(222a)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양측의 프레임(200)의 이동경로에는 롤러의 원활한 이동과 마모방지를 위해 특수몰딩(207)이 형성되어 있고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헤어(mohair;2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102)과 프레임(200)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가스켓(2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222a)는 몰딩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부재(222)는 절첩가능하게 되어 있어 암(200b)에 의해 여닫이 식으로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창틀(103)의 한쪽의 중간 부분에는 고정장치(2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창틀(103)의 다른 쪽의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2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12)의 상부에는 푸시버튼(214)이 설치되고 또한 고정장치(216)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214)을 누르면 상기 롤러(222a)의 방향이 90도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롤러(222a)의 방향 전환을 위해 폭이 넓은 쪽과 폭이 좁은 쪽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6. 건물의 외측으로 개폐되는 수밀성, 기밀성 및 통풍성을 확보한 다기능성의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로서,
    창틀(102)과 창틀(104) 사이에 복층 또는 3중 유리로 되며 프레임(208)의 추가설치로 돌출(projection)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으로 되고, 프레임(200)에 설치된 레일(20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창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102) 및 창틀(104))에는 롤러부재(222)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일단에는 롤러(222a)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222a)는 돌출된 다음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롤러(222a)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222)의 양측의 프레임(200)의 이동경로에는 롤러의 원활한 이동과 마모방지를 위해 특수몰딩(207)이 형성되어 있고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헤어(mohair;220)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200)의 하단부분에 설치된 손잡이(240)는 창과 같은 방향으로 되면, 폐쇄상태가 되고 창과 수직방향으로 하면 개방상태가 되고, 창틀(102) 및 창틀(104)은 쿠션 부재(230)와 맞닿아 있어 소음을 방지하고 방풍을 유지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창의 하단에 다른 손잡이(240)를 구비하고, 대형규격의 창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창의 상단에 위 아래로 격자 형태의 브라켓(223)이 형성되어 상하에서 창의 하중을 부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소형규격의 창호에서는 창의 상단에 레일이 설치되어 창의 전도를 방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창호의 돌출 사용시 중소형의 규격의 창호에 적용하도록 창의 상단 다수의 관절(200d, 200e, 200f)이 사용되고, 대형규격의 창호에 적용하도록 창의 중단에 관절(200g)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창의 본체에는 상기 다수의 관절을 지지하고 회동하게 하기 위한 힌지부(200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1020120157772A 2012-12-31 2012-12-31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10146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72A KR101467244B1 (ko) 2012-12-31 2012-12-31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72A KR101467244B1 (ko) 2012-12-31 2012-12-31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529A true KR20130007529A (ko) 2013-01-18
KR101467244B1 KR101467244B1 (ko) 2014-12-10

Family

ID=4783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772A KR101467244B1 (ko) 2012-12-31 2012-12-31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585Y1 (ko) * 2016-06-13 2017-02-09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록킹장치가 구비된 여닫이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62B1 (ko) 2019-05-20 2019-12-02 김용호 여닫이 창호 및 미닫이 창호가 결합된 복합 창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7726B2 (ja) * 1993-07-26 2002-02-18 中央発條株式会社 辷り出し窓開閉装置
US5836111A (en) * 1996-04-16 1998-11-17 Fine Industries, Inc. Opening-closing device for windows
KR100324496B1 (ko) * 1999-09-10 2002-02-27 박명신 레일채움형 창호장치
KR100543792B1 (ko) * 2005-09-21 2006-01-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KR101102305B1 (ko) * 2009-06-03 2012-01-03 주식회사동양강철 슬라이딩 및 틸팅 일체형 구조의 시스템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585Y1 (ko) * 2016-06-13 2017-02-09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록킹장치가 구비된 여닫이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244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951B1 (ko)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리프트 앤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RU2530851C1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запиранием
CN103168145A (zh) 水平锁紧的窗户系统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KR102259031B1 (ko) 기밀 방화 자동문의 밀폐구조
CN201155269Y (zh) 一种自带隐形纱窗的高密封性推拉窗
KR101102305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일체형 구조의 시스템 창호
CN103806603A (zh) 一种用于采光顶的开启天窗
RU2581561C1 (ru)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KR20220159243A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짝 간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창
KR20130007529A (ko)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20130117277A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JP4439403B2 (ja) 折畳み扉装置における扉枠の下枠構造
KR20180091801A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KR101502665B1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JP2004003337A (ja) 折り畳み装置
KR101398112B1 (ko) 창틀의 창문 밀폐장치
KR101471244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KR101234273B1 (ko) 문짝프레임 구조
KR101734456B1 (ko) 미서기 창호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1733388B1 (ko) 밀폐형 미서기창
KR100543792B1 (ko)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KR101540049B1 (ko) 에너지 고효율 여닫이 창 구조체
JP6422719B2 (ja) 換気装置付き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