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67Y1 - 누수 확인용 검수관 - Google Patents

누수 확인용 검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67Y1
KR200469367Y1 KR2020120007675U KR20120007675U KR200469367Y1 KR 200469367 Y1 KR200469367 Y1 KR 200469367Y1 KR 2020120007675 U KR2020120007675 U KR 2020120007675U KR 20120007675 U KR20120007675 U KR 20120007675U KR 200469367 Y1 KR200469367 Y1 KR 200469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pipe
cover member
sealing means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120007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07Leak detector calibration, standard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조적벽에 누수 검사를 위한 내시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배수관과 연통 설치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그 개방 단부는 차단재 및 밀폐수단이 구비된 덮개에 의해 밀폐됨에 따라 화재방지 및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누수 확인용 검수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은 일단은 배수관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에 노출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검수관 본체와, 상기 검수관 본체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는 금속재질의 밀폐수단이 구비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수 확인용 검수관{PIPE FOR WATER LEAKAGE CONFIRMATION}
본 고안은 누수 확인용 검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조적벽에 누수 검사를 위한 내시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배수관과 연통 설치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그 개방 단부는 차단재 및 밀폐수단이 구비된 덮개에 의해 밀폐됨에 따라 화재방지 및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누수 확인용 검수관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 베란다 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활오수를 배수하기 위해 실내바닥과 및 조적벽 내에 배수관을 이용한 배수설비가 시공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배수관과 배수관을 이어주는 이음작업이 미흡할 경우 또는 배수관의 일측이 동파 등의 이유로 손상될 경우 누수가 발생되는데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건물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곰팡이가 피는 등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단독주택의 경우 누수가 발생되면 본인의 주택만 피해를 입게 되지만 집합건물의 경우 다수의 주민이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이에 근래에는 조적벽 내에 배수관과 연통되는 검수관을 설치하고 이 검수관 내로 내시경을 투입함으로써 누수를 확인함으로써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고 누수 발생시 해당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검수관의 경우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바 화재 발생시 불길이 번지는 통로의 역할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이 이 검수관을 통해 배수관으로부터 건물 내부로 악취 또는 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수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조적벽에 누수 검사를 위한 내시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배수관과 연통 설치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한 누수 확인용 검수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개방 단부가 차단재 및 밀폐수단이 구비된 덮개에 의해 밀폐됨에 따라 화재방지 및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누수 확인용 검수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단은 배수관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에 노출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검수관 본체와, 상기 검수관 본체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는 금속재질의 밀폐수단이 구비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검수관 본체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덮개부재의 결합부 선단측까지 밀착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의 내측과 면접되는 상기 밀폐수단 상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덮개부재의 사출 작업시 상호 부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타공이 관통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검수관 본체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덮개부재의 결합부 외측 가장자리까지 밀착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 외측 가장자리와 면접되는 상기 밀폐수단 상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덮개부재와 사출시 상호 부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타공이 관통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검수관 본체가 상호 맞닿는 위치에는 링 형상의 발포 개스킷이 개재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밀폐수단이 상기 검수관 본체의 내부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차단이 가능한 차단재가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에 따르면 첫째, 배수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조적벽에 누수 검사를 위한 내시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배수관과 연통 설치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둘째, 그 개방 단부가 차단재 및 밀폐수단이 구비된 덮개에 의해 밀폐됨에 따라 화재방지 및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1)은 일단은 배수관(400)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400)에 노출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검수관 본체(100)와, 상기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는 금속재질의 밀폐수단(210)이 구비되는 덮개부재(20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확인용 검수관(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검수관 본체(100)는 조적벽(400) 내부 배수관(400)의 누수확인을 위해 삽입된 내시경이 배수관(400)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가능하게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단은 배수관(400)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400)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검수관 본체(100)는 건물 조적벽(400) 내에 내설되되 조적벽(400)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배수관(400)과 연통되는데, 화재시 배수관(400)을 통해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건물 내에서 전술한 검수관 본체(100)의 설치위치는 바닥 내에 또 다른 배수관이 매설되는 화장실이나 다용도실인 것이 바람직하며, 검수관 본체(100)의 내경 및 그 길이는 건물 조적벽(400)의 두께, 사용되는 내시경의 규격 등을 고려해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에 매설된 배수관(400)과 검수관 본체(100)를 상호 연통시키는 방법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의 연결 방법이 사용되는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에는 덮개부재(2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덮개부재(200)는 첫째, 건물 조적벽(400) 외부로 노출된 검수관 본체(100)가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역할을 하고, 둘째, 내측에 구비되는 밀폐수단(210)을 이용해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을 기밀하게 차단해 줌으로써 배수관(400)과 연통된 검수관 본체(100)를 통해서 화재시 불길이 번지거나 악취, 습기,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덮개부재(200)는 누수확인을 위해 내시경을 삽입할 시에는 검수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검수관 본체(100)가 배수관(400)과 연통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검수관 본체(100)와 결합시켜 검수관 본체(100)를 건물 내부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 측과 덮개부재(200)의 결합방법은 결합부(212)에 형성되는 나사산(213)과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측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213)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될 수도 있고 압입에 의해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밀폐수단(210)은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덮개부재(200)의 결합부(212) 선단측까지 밀착 구비되되 결합부(212)의 내측과 면접되는 밀폐수단(210) 상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덮개부재(200)의 사출 작업시 상호 부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타공(211)이 관통 형성된다.
덮개부재(20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밀폐수단(2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바 밀폐수단(210)의 일측에 타공(211)을 형성하여 덮개부재(200)를 이중사출성형하게 되면, 덮개부재(200)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재가 사출시 타공(211) 내로 유입되면서 양측이 상호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밀폐수단(210)을 통해서 화재시 검수관 본체(100)를 통해 건물 내부로 불길이 번지는 것이 방지되며, 밀폐수단(210)이 검수관 본체(100)의 내부와 접하는 면에는 차단재(300)가 구비되도록 해 배수관(400)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습기 및 연기가 차단되도록 하는데, 이때 전술한 차단재(300)로는 스펀지 등의 불연성 합성수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덮개부재(200)와 검수관 본체(100)가 상호 맞닿는 위치에는 링 형상의 발포 개스킷(220)이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해 일정 온도 이상이 될 경우 발포되면서 검수관 본체(100)와 덮개부재(200)를 더욱 기밀하게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포 개스킷(220)은 종래기술에 따른 발포 개스킷(220)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밀폐수단(21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밀폐수단(210)이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덮개부재(200)의 결합부(212) 외측 가장자리까지 밀착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덮개부재(200)와 밀폐수단(210)을 상호 부착시키기 위한 타공(211)은 검수관 본체(100)와 덮개부재(200)간 상호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결합부(212) 외측 가장자리와 면접되는 밀폐수단(210) 상에 형성되고, 발포 개스킷(220) 또한 덮개부재(200) 상이 아닌 밀폐수단(210)과 검수관 본체(100)가 상호 맞닿는 위치에 개재되며, 나사산(213) 또한 덮개부재(200)의 결합부(212)가 아닌 밀폐수단(210) 상에 형성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누수 확인용 검수관
100 : 검수관 본체
200 : 덮개부재
210 : 밀폐수단
211 : 타공
212 : 결합부
213 : 나사산
220 : 발포 개스킷
300 : 차단재
400 : 배수관
500 : 조적벽

Claims (5)

  1. 일단은 배수관(400)과 연통 되고 타단은 건물 조적벽(400)에 노출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검수관 본체(100); 및
    상기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는 금속재질의 밀폐수단(210)이 구비되는 덮개부재(2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210)은 상기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덮개부재(200)의 결합부(212) 선단측까지 밀착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212)의 내측과 면접되는 상기 밀폐수단(210) 상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덮개부재(200)의 사출 작업시 상호 부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타공(211)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210)은 상기 검수관 본체(100)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덮개부재(200)의 결합부(212) 외측 가장자리까지 밀착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212) 외측 가장자리와 면접되는 상기 밀폐수단(210) 상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덮개부재(200)와 사출시 상호 부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타공(211)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200)와 상기 검수관 본체(100)가 상호 맞닿는 위치에는 링 형상의 발포 개스킷(22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210)이 상기 검수관 본체(100)의 내부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배수관(400)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습기 및 연기의 차단이 가능한 차단재(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확인용 검수관.
KR2020120007675U 2012-08-29 2012-08-29 누수 확인용 검수관 KR200469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75U KR200469367Y1 (ko) 2012-08-29 2012-08-29 누수 확인용 검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75U KR200469367Y1 (ko) 2012-08-29 2012-08-29 누수 확인용 검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367Y1 true KR200469367Y1 (ko) 2013-10-08

Family

ID=5073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675U KR200469367Y1 (ko) 2012-08-29 2012-08-29 누수 확인용 검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6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200A (ja) 2001-12-07 2003-08-22 Shirataka Kogyo Kk 構造物の漏水部に取り付けられる漏水受樋装置
JP2005240475A (ja) 2004-02-27 2005-09-08 Noritz Corp 立ち上げ管の配管構造
KR200426986Y1 (ko) 2006-06-30 2006-09-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점검구 일체형 상수도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200A (ja) 2001-12-07 2003-08-22 Shirataka Kogyo Kk 構造物の漏水部に取り付けられる漏水受樋装置
JP2005240475A (ja) 2004-02-27 2005-09-08 Noritz Corp 立ち上げ管の配管構造
KR200426986Y1 (ko) 2006-06-30 2006-09-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점검구 일체형 상수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4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1809911B1 (ko) 공동주택 오배수 모듈화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JP6475483B2 (ja) ドレントラップおよびドレン配管構造
KR200469367Y1 (ko) 누수 확인용 검수관
KR20180130793A (ko) 내화충전제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KR200468970Y1 (ko) 누수 확인용 검수관
KR200426264Y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용 수전
JP2016204837A (ja) 排水配管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8127766A (ja) 管継手および脚部継手
JP2012052641A (ja) 配管用防音部材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JP2011250912A (ja) 区画壁用孔閉塞治具
KR200496747Y1 (ko)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JP7206074B2 (ja) キャップおよび継手の遮音構造
JP3198278U (ja) プラグ付水栓継手
KR102627468B1 (ko) 내화팽창재가 구비된 배수트랩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130052122A (ko) 배수용 난형관 연결장치
KR101192394B1 (ko)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JP2009062811A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20080008798A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KR100891413B1 (ko) 개폐밸브 차폐구조
KR100898854B1 (ko) 개폐밸브 차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