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394B1 -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 Google Patents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394B1
KR101192394B1 KR1020110020037A KR20110020037A KR101192394B1 KR 101192394 B1 KR101192394 B1 KR 101192394B1 KR 1020110020037 A KR1020110020037 A KR 1020110020037A KR 20110020037 A KR20110020037 A KR 20110020037A KR 101192394 B1 KR101192394 B1 KR 10119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protrusion
stopper
upp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1918A (ko
Inventor
전병운
Original Assignee
전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운 filed Critical 전병운
Priority to KR102011002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39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기관에 있어서, 구 형상의 관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1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1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배관; 상기 제 1돌출부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1스프링이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배관의 제 1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1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1마개; 상기 상부배관과 결합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2돌출부와, 상기 제 2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2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배관; 상기 제 2돌출부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2스프링이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배관의 제 2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2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2마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Using the cap vent flue}
본 발명은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기관은 하수배관을 통해 역류하는 냄새와 오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소형화하여 건물 내부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배관구조에도 시공할 수 있어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기관은 배수관에 물이 흐를 때, 관내의 공기는 흐르는 물로 인하여 압축 또는 흡입되어 관내의 공기압력이 부분적으로 정압 또는 부압으로 변동하며, 관내압력의 변동폭이 일정한도를 초과하면 배수트랩의 봉수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의 최상부를 대기에 개방시켜, 공기를 흡입하여 관내의 공기압력을 대기압 상태에 가깝도록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즉, 통기관은 배수관내의 물과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공기압축에 따르는 배압 또는 부압에 의한 배수트랩의 봉수를 손실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관내를 환기시켜서 위생적인 배수계통을 유지하기 위하여 모든 건물 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배수트랩의 봉수의 역할은 배수배관 내의 역한 냄새가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기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설치된 변기(110)와, 변기(110)에 연결되어 물을 배출하는 배출배관(120)과, 다수개의 배출배관(120)과 연결되어 물이 흐르는 하수배관(130)이 있다. 하수배관(13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도록 천장(140)을 관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배관(150)을 더 포함한다.
즉, 하나의 변기(110)에서 물을 내리게 되면, 물은 배출배관(120)과 하수배관(130)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는데, 하수배관(130)의 공기압력은 낮아지게 되고 다른 변기(110)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압력을 대기압과 맞추려한다. 이때, 배수트랩의 봉수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수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배관(150)을 설치하는데, 기존에는 배관이 천장(140)을 관통하여 실외의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유입배관(150)은 천장(140)을 관통하여 실외로 설치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실외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 특히,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배관에 결로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고, 천장(140)을 관통하기 때문에 천장(140) 누수의 원인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내부에서 건물 외벽의 천장(140)까지 연결되며 설치되기 때문에 건물의 내부 고유면적을 일정부분차지하고, 복잡한 배관들 사이로 설치되므로 공기유입배관(150)의 설치가 어렵고, 천장(140)까지 설치되는 공기유입배관(150)의 시공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외벽의 천장(140)을 관통하여 옥상에 설치되는 공기유입배관(150)에서 하수배관(130)의 냄새가 옥상까지 올라오기 때문에 옥상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옥상의 활용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기관으로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소형화하여 건물 내부에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배수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원활한 물의 배수가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배관의 냄새가 통기관을 따라서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의 유입구를 차단함으로써, 하수배관의 냄새를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을 관통하여 통기관을 설치하지 않아,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시공도 간단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기관에 있어서, 구 형상의 관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1돌출부와, 제 1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1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배관; 상기 제 1돌출부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1스프링이 구비되는 연결부와, 연결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배관의 제 1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1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1마개; 상기 상부배관과 결합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2돌출부와, 제 2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2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배관; 상기 제 2돌출부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2스프링이 구비되는 연결부와, 연결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배관의 제 2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2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2마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제 1마개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유입구마개의 하측에 구비되어 역류하는 오수에 떠올라 제 2유입구가 폐쇄될 수 있도록 부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기관에 있어서, 구 형상의 관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1돌출부와, 제 1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1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배관; 상기 제 1돌출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연결부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배관의 제 1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1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1마개; 상기 상부배관과 결합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2돌출부와, 제 2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2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배관; 상기 제 2돌출부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2스프링이 구비되는 연결부와, 연결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배관의 제 2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2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2마개; 및 상기 상부배관과 하부배관를 서로 연결하는 관으로 형성된 연결배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을 제공한다.
또한, 제 2유입구마개의 하측에 구비되어 역류하는 오수에 떠올라 제 2유입구가 폐쇄될 수 있도록 부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배관의 제 1유입구를 감싸며 돌출 형성되어 제 1유입구로 물기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돌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통기관은 작고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배수될 때, 공기가 원활히 유입됨으로 배수가 원활할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의 봉수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배관에서 역류하는 냄새와 오수를 차단하여 통기관 밖으로 배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기관을 통해 밖으로 나오는 벌레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기관의 구조와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통기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를 나타낸 제 1실시예를 분해한 단면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의 제 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를 나타낸 제 2실시예를 분해한 단면도.
도 6a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의 제 2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를 나타낸 제 1실시예를 분해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의 제 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를 나타낸 제 2실시예를 분해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a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의 제 2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배출배관(120)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어 하나의 하수배관(130)으로 흐르고, 오수가 하수배관(130)을 흐르면서 공기유입배관(150)으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진다.
제 1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관은 하수배관(1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유입배관(150)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부배관(230), 하부배관(23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배관(210) 및 상부배관(210)과 하부배관(230)의 내부에 각각 제 1마개(220) 및 제 2마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배관(210)은 구 형상의 관으로 형성되어, 상부배관(210)의 상측의 중앙은 돌출형성되는 제 1돌출부(216), 상부배관(210)의 상측에 공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유입구(212), 상부배관(210)의 하측은 후술할 하부배관(230)과 연결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관통되어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부배관(210)의 제 1돌출부(216)는 상측에 판형상의 제 1받침부(211)가 형성되며, 제 1돌출부(216)와 제 1받침부(211)의 중앙을 관통하며 상부배관(21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 1관통부(218)를 더 포함한다.
상부배관(2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제 1마개(220)는 상부배관(210)의 제 1관통부(218)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연결부(224), 연결부(224)의 상측에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걸림부(222) 및 연결부(224)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부배관(210)의 상측 내벽을 감싸며 선택적으로 제 1유입구(212)를 막을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유입구마개(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배관(210)의 제 1관통부(218)에 제 1마개(220)가 삽입되는 것은 하수배관(130)의 역한 냄새가 통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 1마개(220)의 제 1유입구마개(226)가 상부배관(210)의 제 1유입구(212)를 필요에 따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제 1걸림부(222)와 제 1받침부(211)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부(224)와 결합하는 수축가능한 코일형태의 제 1스프링(228)을 추가로 구성한다.
이로써, 하수배관(130)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면 공기압력의 낮아짐에 따라, 제 1스프링(228)이 수축하여 제 1유입구마개(226)가 하강하며 제 1유입구(212)는 개방된다. 개방된 제 1유입구(2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하수배관(130)의 공기압력이 높아지고 하수배관(130)의 배수는 잘 이루어진다.
배수가 이루어진 후에, 수축했던 제 1스프링(228)은 팽창하여 제 1유입구마개가 상승하며 제 1유입구(212)는 폐쇄되어 하수배관(130)의 냄새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하부배관(230)은 상부배관(210) 및 공기유입배관(150)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부배관(210)의 결합부(213)와 결합되도록 하부배관(23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부(235), 하부배관(230)의 상측은 상부배관(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하부배관(230)으로 유입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2유입구(232), 제 2유입구(232)의 중앙에 하부배관(230)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2돌출부(236) 및 하부배관(230)의 중간부는 관의 직경이 줄어들며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만곡부(237)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또한, 하부배관(230)의 제 2돌출부(236)는 하측에 판형상의 제 2받침부(231)가 형성되며, 제 2돌출부(236)와 제 2받침부(231)의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배관(23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 2관통부(238)를 더 포함한다.
하부배관(230)의 내부에 구성되는 제 2마개(240)는 하부배관(230)의 제 2관통부(238)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연결부(244), 연결부(244)의 상측에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걸림부(242), 연결부(244) 하측은 하부배관(230)의 만곡부(237)를 감싸며 제 2유입구(232)를 막을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2유입구마개(246) 및 제 2유입구(246)의 하측에 구비되며, 물에 뜰 수 있는 부표(2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배관(230)의 제 2관통부(238)에 제 2마개(240)가 삽입되는 것은 하수배관(130)에서 역류하는 오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 2마개(240)의 제 2유입구마개(246)가 하부배관(230)의 제 2유입구(232)를 필요에 따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제 2받침부(231)와 제 2유입구마개(246)의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부(244)와 결합하는 수축가능한 코일형태의 제 2스프링(249)을 추가로 구성한다.
이로써, 하수배관(130)에서 오수가 역류함에 따라, 제 2마개(240)의 부표(248)는 오수에 떠오르며 제 2스프링(249)은 수축하고, 제 2유입구마개(246)는 하부배관(230)의 만곡부(237)에 걸리며 오수가 더 이상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오수가 하수배관(130)을 통해 배수되면, 수축한 제 2스프링(249)은 팽창하면서 만곡부(237)와 접촉하여 제 2유입구(232)를 폐쇄하고 있는 제 2유입구마개(246)는 만곡부(237)와 이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부배관(210)의 제 1마개(220)는 항상 제 1유입구(212)를 폐쇄하여 하수배관(130)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부배관(230)의 제 2마개(240)는 하수배관(130)의 오수가 역류할 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부배관(210)의 제 1유입구(212)의 주위를 둘러싸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에 체결부(215)가 형성되는 돌출관(214)을 포함한다.
제 1마개(220)의 고정부는 상부배관(2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부의 힘에 의해 눌리게 될 경우 상부배관(210)의 제 1유입구(212)는 열리게 되어 하수배관(130)의 역겨운 냄새가 올라오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배관(210)의 돌출관(214)과 결합하도록 체결부(253)가 형성되는 보호캡(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캡(25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배관(210)의 제 1유입구(2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252)가 형성되되, 보호캡(250)의 흡입구(252)는 하측에 형성되어 다른 물체나 큰 먼지가 쌓여 흡입구(252)를 폐쇄하지 못하도록 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관은 하수배관(130)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기관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부배관(230), 하부배관(230)의 상측에 "∩"과 같은 관 형상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배관(260), 연결배관(260)의 타측에 결합되는 상부배관(210) 및 상부배관(210)과 하부배관(230)의 내부에는 각각 제 1마개(220) 및 제 2마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배관(210)은 구 형상의 관으로 형성되어, 상부배관(210)의 하측의 중앙은 돌출형성되는 제 1돌출부(216), 상부배관(210)의 하측에 공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유입구(212), 상부배관(210)의 상측은 후술할 연결배관(260)과 연결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관통되어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부배관(210)의 제 1돌출부(216)는 중앙을 관통하며 상부배관(21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 1관통부(218)를 더 포함한다.
상부배관(2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제 1마개(220)는 상부배관(210)의 제 1관통부(218)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연결부(224), 연결부(224)의 하측에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걸림부(222) 및 연결부(224) 상측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부배관(210)의 하측 내벽을 감싸며 선택적으로 제 1유입구(212)를 막을 수 있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유입구마개(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마개(220)의 제 1걸림부(222)는 소정의 무게가 주어져 제 1유입구(212)를 항상 폐쇄함으로 하수배관(130)을 타고 올라오는 역한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로써, 하수배관(130)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면 공기압력의 낮아짐에 따라, 제 1마개(220)는 상향하며 제 1유입구마개(226)는 제 1유입구(212)를 개방하고, 개방된 제 1유입구(2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하수배관(130)의 공기압력이 높아짐으로 하수배관(130)의 배수가 잘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배관(210)의 제 1유입구(212)의 주위를 둘러싸며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관(214)을 포함한다. 상부배관(210)의 돌출관(214)은 상부배관(210)에 결로현상으로 제 1유입구(212)로 물기가 흐를 때, 제 1유입구(212)에 맺힌 물기가 기온변화에 의하여 얼게 되면 제 1유입구(212)가 얼음에 의해 막혀 공기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제1유입구(212)의 주위를 둘러싸며 하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하부배관(230) 및 제 2마개(240)의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하부배관(230) 및 제 2마개(24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배관(210)과 하부배관(230)을 연결하는 "∩"과 같은 관 형상의 연결배관(260)의 일측에 상부배관(210)의 결합부(215)와 결합되도록 체결부(265)가 형성되고, 연결배관(260)의 타측에 하부배관(230)의 체결부(225)와 결합되도록 결합부(263)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213, 253, 263)와 체결부(215, 235, 265)는 서로 결합함에 있어서, 회전에 의해서 체결과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부(213, 253, 263)와 체결부(215, 235, 265)는 암수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나사 체결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부배관의 제 1마개(220)는 항상 제 1유입구(212)를 폐쇄하여 하수배관(130)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부배관(230)의 제 2마개(240)는 하수배관(130)의 오수가 역류할 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일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0: 배출배관 130: 하수배관
150: 공기유입배관 210: 상부배관
211: 제 1받침부 212: 제 1유입구
213, 253, 263: 결합부 214: 돌출관
215, 235, 265: 체결부 216: 제 1돌출부
218: 제 1관통부 220: 제 1마개
222: 제 1걸림부 224, 244: 연결부
226: 제 1유입구마개 229: 제 1스프링
230: 하부배관 231: 제 2받침부
232: 제 2유입구 236: 제 2돌출부
237: 만곡부 228: 제 2관통부
240: 제 2마개 242: 제 2걸림부
246: 제 2유입구마개 248: 부표
250: 보호캡 252: 흡입구
260: 연결배관

Claims (6)

  1.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기관에 있어서,
    구 형상의 관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1돌출부와, 제 1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1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배관;
    상기 제 1돌출부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1스프링이 구비되는 연결부와, 연결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배관의 제 1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1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1마개;
    상기 상부배관과 결합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2돌출부와, 제 2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2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배관;
    상기 제 2돌출부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2스프링이 구비되는 연결부와, 연결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배관의 제 2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2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2마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제 1마개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유입구마개의 하측에 구비되어 역류하는 오수에 떠올라 제 2유입구가 폐쇄될 수 있도록 부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4.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기관에 있어서,
    구 형상의 관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1돌출부와, 제 1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1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배관;
    상기 제 1돌출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연결부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배관의 제 1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1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1마개;
    상기 상부배관과 결합되고 상측에 내부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 2돌출부와, 제 2돌출부의 외주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 2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배관;
    상기 제 2돌출부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2스프링이 구비되는 연결부와, 연결부 하측에 결합되어 하부배관의 제 2유입구를 폐쇄하는 제 2유입구마개를 포함하는 제 2마개; 및
    상기 상부배관과 하부배관를 서로 연결하는 관으로 형성된 연결배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5. 제 4항에 있어서,
    제 2유입구마개의 하측에 구비되어 역류하는 오수에 떠올라 제 2유입구가 폐쇄될 수 있도록 부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관의 제 1유입구를 감싸며 돌출 형성되어 제 1유입구로 물기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돌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KR1020110020037A 2011-03-07 2011-03-07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KR101192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37A KR101192394B1 (ko) 2011-03-07 2011-03-07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37A KR101192394B1 (ko) 2011-03-07 2011-03-07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918A KR20120101918A (ko) 2012-09-17
KR101192394B1 true KR101192394B1 (ko) 2012-10-18

Family

ID=4711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37A KR101192394B1 (ko) 2011-03-07 2011-03-07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9556A (zh) * 2015-10-21 2017-05-03 李明秀 消臭省水马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331Y1 (ko) 1998-11-26 2000-12-01 오시덕 건물옥상용 배수트랩
KR101111528B1 (ko) 2009-11-16 2012-02-16 (주)케이디디앤티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331Y1 (ko) 1998-11-26 2000-12-01 오시덕 건물옥상용 배수트랩
KR101111528B1 (ko) 2009-11-16 2012-02-16 (주)케이디디앤티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9556A (zh) * 2015-10-21 2017-05-03 李明秀 消臭省水马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918A (ko) 201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2553B2 (ja) 建造物内の排水設備
US20110290349A1 (en) Non-Return Valve Adapter For Water Closet
CA2678710C (en)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CN208792475U (zh) 一种地漏
KR101192394B1 (ko)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KR101275592B1 (ko) 하수구 밸브 장치
JP3681688B2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JP5706659B2 (ja) 排水管路における掃除口用蓋
KR20100110933A (ko) 배수관의 악취 역류 차단용 트랩
CN210395532U (zh) 可稳定排水管道内部压强的自动补气装置
RU19123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ода конденсата
KR101485864B1 (ko) 배수관용 압력파 제거장치
KR101333988B1 (ko)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
JP4907640B2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JP2001262655A (ja) 排水用通気装置
RU147326U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JP2014119111A (ja) 排水用低位通気弁
CN205369504U (zh) 一种室内下沉式卫生间防积水装置
CN210151892U (zh) 一种由塑料内芯构成的自闭式地漏
KR101134584B1 (ko) 발코니 배수트랩
TWM553776U (zh) 壓力平衡氣閥
TWI635232B (zh) Pressure balance valve
KR200401683Y1 (ko) 악취 유입 방지용 배수관
JP2006016779A (ja) 床下配管の通気構造
KR20230001827U (ko) 이중봉수구조를 가지는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