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236A -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236A
KR20150100236A KR1020140021783A KR20140021783A KR20150100236A KR 20150100236 A KR20150100236 A KR 20150100236A KR 1020140021783 A KR1020140021783 A KR 1020140021783A KR 20140021783 A KR20140021783 A KR 20140021783A KR 20150100236 A KR20150100236 A KR 2015010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touch
control area
touch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863B1 (ko
Inventor
이무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2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6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236A/ko
Priority to KR1020200025771A priority patent/KR102516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 제어 영역이 설정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는 터치한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출력된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이 발생된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영역의 형태 및 위치에 기반하여, 출력된 객체 또는 객체의 시야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 제어 영역이 설정됨으로써,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은 단말의 사용자에 따라 커스터마이즈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TERMINAL CONTROLLED BY TOUCH INPUT AND METHOD THEREOF}
아래의 설명은 단말의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입력을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 등이 사용자에게 널리 보급됨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에 의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이 활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가상 조이스틱을 터치함으로써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의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가상 조이스틱을 통해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를 조작할 때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에 따라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연속적인 입력이 요구되거나 복잡한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캐릭터 또는 아바타의 조작에 있어서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자마다 사용하는 단말의 크기 및 종류가 상이하고, 사용자마다 손가락의 모양 및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가상 조이스틱을 통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의 조작에 있어서 불편함을 겪는 사용자가 많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5551호(공개일 2011년 07월 06일)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에 따라 단말의 특정 항목을 선택 또는 실행하고 해당 항목에 3차원 캐릭터가 맵핑된 것으로 확인되면 기 설정된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3차원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3차원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정보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종래 기술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기반의 가상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객체 및 객체의 시야가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가 가상 조이스틱이 출력된 영역 외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객체의 제어에 있어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객체에 대한 연속적인 제어가 요구되는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출력되는 가상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객체 및 객체의 시야를 제어하게 되면, 객체의 제어에 있어서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같은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형태에 기반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객체 또는 객체의 시야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상기 객체의 시야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단말의 사용자의 양 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의 형태에 기반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 제어 영역의 가상 조이스틱을 기울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제1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상의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영역의 형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가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의 기준이 됨을 나타내는 기준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인디케이터가 출력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영역의 면적,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소정의 후보 영역 내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swipe) 또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상기 스와이프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의 크기, 진행 방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1 객체 영역 내의 가상 조이스틱은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상기 제1 객체의 종류 및 상기 제1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외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영역에서의 제3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외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영역에서의 제4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제2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상의 제5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5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서로 구분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소정의 제1 후보 영역 내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4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소정의 제2 후보 영역 내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후보 영역 및 상기 제2 후보 영역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서로 구분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제4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5 터치 입력의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상기 스와이프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의 크기, 진행 방향 및 상기 제5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객체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2 객체 영역 내의 가상 조이스틱은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1 객체 영역 내의 제1 가상 조이스틱은 소정의 제1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객체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2 객체 영역 내의 제2 가상 조이스틱은 상기 제1 가상 조이스틱이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소정의 제2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제1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제2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의 시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야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상기 제1 객체의 배경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영역의 형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제1 시간 내에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제2 시간 내에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5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상기 제1 객체의 종류, 상기 제2 객체의 종류 및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제1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상의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제1 객체 제어 영역 외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영역에서의 제3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제어 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외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영역에서의 제4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제2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상의 제5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서로 구분된 영역일 수 있다.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 제어 영역이 설정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가 터치한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터치 입력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상의 영역의 형태에 기반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객체 또는 객체의 시야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 제어 영역이 설정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커스터마이즈된(customized) 객체 제어 영역을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객체 또는 객체의 시야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말하자면, 단말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커스터마이즈된 객체 제어 영역을 통해 효과적으로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객체 또는 객체의 시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해제하고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제2 객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후보 영역 내에서의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나타낸다.
도 13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14는 일 예에 따른 제2 객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의 연속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16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의 제어 및 제2 객체의 제어를 위한 옵션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시된 단말(110)은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 중 하나일 수 있다.
단말(11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말(11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객체(150)는 예컨대,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의 단말(110)의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일 수 있다.
제2 객체(160)는 제1 객체(150)의 시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객체(160)가 포함하는 제1 객체(150)의 시야와 관련된 정보는 제1 객체(150)의 배경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객체(16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의 단말(110)의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인 제1 객체(150)의 방향 전환 또는 제1 객체(150)를 둘러싼 배경을 제어함으로써 식별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2 객체(160)는 어플리케이션 내의 단말(110)의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인 제1 객체(150)가 응시하는 방향에 대한 시야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객체(160)는 제1 객체(150)의 방향 전환 또는 움직임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1 객체(150)는 1 인칭 시점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의 캐릭터일 수 있다. 이 때, 터치 디스플레이(120)에는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만 출력될 수도 있다.
단말(110)의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110)의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되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상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상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및/또는 터치 펜(touch pen)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상의 터치 입력을 통해 단말(110)의 사용자는 제1 객체(15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고,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상의 터치 입력을 통해 단말(110)의 사용자는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은 단말(110)의 사용자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은 단말(110)의 사용자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터치 입력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10)의 사용자가 오른손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설정될 수 있고, 단말(110)의 사용자가 왼손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설정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임의의 위치에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의 제어를 위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설정됨으로써 단말(110)의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의 제약 없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설정되는 방법과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내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가 제어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서는 편의 상 제1 객체(150)가 어플리케이션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이고 제2 객체(160)가 제1 객체의 시야인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제2 객체가 어플리케이션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이고 제1 객체가 제2 객체의 시야일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낸다.
단말(110)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장치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단말의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단말(11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되는 콘텐츠는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의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단말(110)의 구성 요소들을 관리할 수 있고, 단말(110)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프로그램의 실행 및 데이터의 처리 등에 필요한 연산을 처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단말(1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프로세서 내의 적어도 하나의 코어(core)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단말(11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단말(120)의 AP의 적어도 하나의 코어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의해 감지된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의해 감지된 터치 입력을 처리함으로써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되는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의해 감지된 터치 입력을 처리함으로써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객체 제어 영역은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고,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객체 제어 영역 상에 감지된 터치 입력을 처리함으로써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객체 제어 영역 상에 감지된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 및/또는 터치 입력의 형태(예컨대, 터치 입력의 입력 면적 또는 터치 입력의 모양)에 기반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함으로써,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객체의 움직임 및/또는 객체의 배경에 대응하는 객체의 시야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의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대한 접촉 시간일 수 있다.
객체 제어 영역은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가상 조이스틱으로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220)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하는 방법과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상에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가 제어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단말(110)의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의해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제어부(220)에 의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객체가 제어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단계(310)에서,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감지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제1 객체(15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제1 객체(150)는 단말(11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내의 단말(110)의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일 수 있고,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은 제1 객체(15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의 영역으로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점(point)일 수 있다.
또는, 제1 터치 입력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소정의 제1 후보 영역 내에서 감지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후보 영역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11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은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영역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은 원, 타원 또는 다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의 형태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의 형태는 예컨대, 상기 영역의 면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되면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10)의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 펜을 사용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을 위한 소정의 시간은 단말(110)의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 및 제1 객체(150)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설정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4,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제어부(220)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을 처리함으로써 제1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한 제1 객체(150)의 제어, 조작의 방향, 움직임, 행동 및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110)의 사용자가 예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는 제1 객체(150)의 조작을 위한 가상 조이스틱일 수 있다. 가상 조이스틱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객체(150)는 단말(110)의 사용자에 의해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상의 가상 버튼이 터치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단계(340)에서,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상의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감지된 터치 입력이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은 제1 객체(150)의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은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1 터치 입력 및 제2 터치 입력의 감지는 동시에 또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터치 입력은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swipe) 또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이 때,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은 제1 객체(150)의 제어를 위한 제2 터치 입력이면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을 위한 제1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단계(350)에서, 제어부(220)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상의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220)는 제2 터치 입력을 처리함으로써 제1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제1 객체(150)의 움직임은 제1 객체(150)의 이동, 변경 및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제1 객체(150)의 움직임은 제1 객체(150)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절대적 위치의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2 터치 입력이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의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인 경우, 상기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의 진행 방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의 면적, 제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및 제2 터치 입력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2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인 경우, 제어부(220)는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의 진행 방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객체(150)가 제어됨으로써 도시된 것처럼 제1 객체(150)의 시야에 대응하는 제2 객체(160)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150)가 이동함으로써 제1 객체(150)의 배경에 대응하는 제2 객체(160) 또한 변경될 수 있다.제어부(220)가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8 및 도 13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단계(360)에서,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2 터치 입력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설정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감지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 이내에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은 해제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말하자면, 설정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은 해제될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이 해제되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의 감지를 위한(또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소정의 시간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되는 제1 객체(150)의 특성, 종류, 제1 객체(150)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내용 및 단말(110)의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150)의 빈번한 움직임 및/또는 변경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소정의 시간은 제1 객체(150)의 빈번한 움직임 및/또는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소정의 시간보다 더 길 수 있다. 또는, 제1 객체(150)의 연속적인 제어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소정의 시간은 제1 객체(150)의 연속적인 제어가 요구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소정의 시간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이 해제되면,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다시 단계(310)로 돌아가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재설정할 수 있다.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설정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전술된 단계(320)는 후술될 단계들(410 및 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의 범위의 영역으로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의 기준이 됨을 나타내는 기준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기준 인디케이터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터치 입력이 발생 또는 감지된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제어부(220)는 기준 인디케이터가 출력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출력된 기준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는 원 또는 다각형 형태의 영역을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결정되면 출력된 기준 이미지는 제거될 수 있다.
단계(330)의 인디케이터는 단계(420)에서 결정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해제하고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외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다른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거나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외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다른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됨으로써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설정 해제되고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재설정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단계(510)에서,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외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다른 영역에서의 제3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3 터치 입력은 설정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외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다른 영역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단계(520)에서, 제어부(220)는 제3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220)는 제1 제어 영역(170)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외의 다른 영역에서 제3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제어부(220)는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10)의 사용자가 설정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외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다른 영역을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터치하는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은 해제될 수 있고,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재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된 다른 제1 객체 제어 영역상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제1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제1 터치 입력에 대한 설명은 제3 터치 입력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에 대한 설명은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재설정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제2 객체(16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단계(610)에서,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제4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4 터치 입력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소정의 제2 후보 영역 내에서 감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 상의 후보 영역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11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영역 및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2 영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형태(예컨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넓이 및/또는 모양)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단말(110)의 사용자의 오른손의 손가락에 의한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은 단말(110)의 사용자의 왼손의 손가락에 의한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오른손의 손가락 및 왼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들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입력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형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제어부(220)는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제2 객체(16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은 제2 객체(16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서로 구분된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서로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된 것처럼, 제1 영역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설정되고 제2 영역에 기반하여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설정됨으로써,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의 제어를 위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은 단말(110)의 사용자의 양 손의 손가락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터치 위치에 따라 커스터마이즈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의 형태에 기반하여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다.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의 형태는 예컨대, 상기 영역의 면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설정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제2 객체(160)는 제1 객체(150)의 시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객체(150)의 시야와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제1 객체의 배경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객체(16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내용 중 제1 객체(150)를 제외한 부분일 수 있다.
단계(630)에서,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상의 터치 입력에 의한 제2 객체(160)의 제어, 조작의 방향, 움직임, 행동 및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110)의 사용자가 예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는 제2 객체(180)의 조작을 위한 가상 조이스틱일 수 있다. 가상 조이스틱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와는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객체(160)의 조작을 위한 가상 조이스틱은 제1 객체(150)의 조작을 위한 가상 조이스틱과는 상이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상의 제5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감지된 터치 입력이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4 터치 입력 및 제5 터치 입력의 감지는 동시에 또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5 터치 입력은 제4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이 때,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은 제2 객체(160)의 제어를 위한 제5 터치 입력이면서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을 위한 제5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단계(650)에서, 제어부(220)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상의 제5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2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220)는 제5 터치 입력을 처리함으로써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110)의 사용자의 제5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의 방향과 제2 객체의 변경 및/또는 전환의 방향은 일치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5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2 객체(160)인 제1 객체(150)의 시야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객체(150)의 시야가 제어됨으로써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출력된 제1 객체(150)의 배경이 변경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출력된 제1 객체(150)의 배경이 변경됨으로써 단말(110)의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시점이 변경된 콘텐츠의 내용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상의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제1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220)는 단말(110)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 및/또는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5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인 경우, 제어부(220)는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의 진행 방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제어부(220)가 제5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2 객체(16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9 및 도 1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제2 터치 입력은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제1 시간 내에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소정의 제1 시간 내에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제5 터치 입력은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제2 시간 내에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단계(660)에서, 제어부(220)는 제4 터치 입력의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이 해제되면,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다시 단계(610)로 돌아가 제4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220)는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제5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말하자면, 설정된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내에 제5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은 해제될 수 있다.
제5 터치 입력의 감지를 위한(또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제2 시간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되는 제1 객체(150)의 종류, 제2 객체(160)의 종류 및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2 터치 입력의 감지를 위한(또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제1 시간 및 제5 터치 입력의 감지를 위한(또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제2 시간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되는 제1 객체(150)의 특성 및 종류, 제2 객체(160)의 특성 및 종류 및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객체(160)의 변경 및/또는 전환이 빈번하게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제2 시간은 제2 객체(160)의 변경 및/또는 전환이 빈번하게 요구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제2 시간보다 더 길 수 있다. 또는, 제2 객체(160)의 연속적인 제어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제2 시간은 제2 객체(160)의 연속적인 제어가 요구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의 해제를 위한 제2 시간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또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제3 시간 이내에 제2 터치 입력 또는 제5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은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1 터치 입력 및 제2 터치 입력에 대한 설명은 제4 터치 입력 및 제5 터치 입력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에 대한 설명은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설정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말하자면, 전술된 단계들(310 내지 360)은 단계들(610 내지 66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보다 먼저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임의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20)는 감지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인지 제4 터치 입력인지를 식별할 수 있고, 감지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인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고, 감지된 터치 입력이 제4 터치 입력인 경우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감지된 터치 입력의 형태에 기반하여 터치 입력이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를 식별할 수 있고,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제1 터치 입력으로서 식별할 수 있고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제4 터치 입력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감지된 터치 입력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후보 영역 내에서 발생했는지 제2 후보 영역 내에서 발생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제1 후보 영역 내에서 발생한 터치 입력을 제1 터치 입력으로서 식별할 수 있고, 제2 후보 영역 내에서 발생한 터치 입력을 제4 터치 입력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설명에 따르면, 단계(320)에서,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이 설정될 수 있고, 단계(620)에서,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은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영역(710-1) 및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2 영역(720-1)에 기반하여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의 형태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또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의 기울어진 각도에 기반하여, 감지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인지 제4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또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이 제1 영역(710-1)처럼 왼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을 제1 터치 입력으로서 식별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감지된 영역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이 제2 영역(720-1)처럼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을 제2 터치 입력으로서 식별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감지된 영역에 기반하여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영역(710-1)은 단말(110)의 사용자의 오른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720-1)은 사용자의 왼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는 단말(110)의 사용자의 오른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감지되면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고, 왼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이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감지되면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에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상의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됨으로써 제1 객체(150)가 제어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제어부(220)는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810)의 면적, 제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및 제2 터치 입력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영역(810)에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됨으로써, 제1 객체(150)가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150)의 이동 거리는 제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영역(810)의 면적 및 제2 터치 입력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할 수 있다. 또는, 제1 객체(150)는 제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동안 계속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어부(220)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에 대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에 대한 스와이프 입력의 진행 방향 및/또는 크기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이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인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제2 객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9에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에 대한 제5 터치 입력이 감지됨으로써 제2 객체(160)가 제어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220)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내의 영역(910) 상의 제5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의 시야 또는 배경인 제2 객체(160)를 도시된 것처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5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910)의 면적, 제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및 제2 터치 입력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영역(910)에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됨으로써, 제1 객체(150)의 시야 또는 배경인 제2 객체(160)가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객체(160)의 변화량은 제5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영역(810)의 면적 및 제2 터치 입력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할 수 있다. 또는, 제2 객체(160)는 제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동안 계속 변화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어부(220)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에 대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에 기반하여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에 대한 스와이프 입력의 진행 방향 및/또는 크기에 기반하여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5 터치 입력이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인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된 도 1, 도 7, 도 8 및 도 9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는 편의상 2 차원으로 도시되었으나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의 각각은 3 차원 환경의 어플리케이션 내의 3 차원의 객체일 수 있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시된 것처럼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가로 모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의 각각은 3 차원 환경의 어플리케이션 내의 3 차원의 객체일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은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가상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십자 형태의 기호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십자 형태의 기호는 제1 객체(150) 및 제2 객체(160)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가상 조이스틱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십자 형태의 기호의 4개의 꼭지점들이 나타내는 4개의 방향들은 제1 객체(150)가 이동하는 동서남북의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객체(150)가 제어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또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십자 형태의 기호의 꼭지점들이 나타내는 4개의 방향들은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가 변화하는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객체(160)가 제어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1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포함하는 가상 조이스틱은 도시된 십자 형태와는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후보 영역 내에서의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에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설정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감지되는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감지되는 제4 터치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소정의 제1 후보 영역(1110) 내에서 감지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소정의 제1 후보 영역(1110)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4 터치 입력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소정의 제2 후보 영역(1120) 내에서 감지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소정의 제2 후보 영역(1120)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후보 영역(1110) 및 제2 후보 영역(1120)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서로 구분된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제1 후보 영역(1110) 및 제2 후보 영역(1120)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을 대칭적으로 양분할 수 있다. 제1 후보 영역(1110) 및 제2 후보 영역(1120)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1 후보 영역(1110) 및 제2 후보 영역(1120)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일부의 영역을 양분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1 후보 영역(1110) 및 제2 후보 영역(1120) 내의 터치 입력만을 제1 터치 입력 또는 제4 터치 입력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220)는 제1 후보 영역(1110) 및 제2 후보 영역(1120) 이외의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후보 영역(1110) 및 제2 후보 영역(1120)에 걸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감지된 터치 입력이 제1 후보 영역(1110)에 우세(dominant)한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고, 감지된 터치 입력이 제2 후보 영역(1110)에 우세한 경우,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후보 영역(1110) 및 제2 후보 영역(1120)의 각각의 크기 및/또는 형태는 단말(110)의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나타낸다.
도 12에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이 도시되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객체(150)의 제어를 위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의 가상 조이스틱은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십자 형태의 가상 조이스틱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θ 1 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객체(150)의 제어를 위한 제2 터치 입력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2 객체(160)의 제어를 위한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내의 가상 조이스틱은 또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십자 형태의 가상 조이스틱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θ 2 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또는, 제2 객체(160)의 제어를 위한 제2 객체 영역(180) 내의 가상 조이스틱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내의 가상 조이스틱이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객체(160)의 제어를 위한 제5 터치 입력은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객체 제어 영역(180) 내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θ 1 θ 2 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가상 조이스틱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가상 조이스틱은 도시된 것처럼 서로 대칭하는 형태일 수 있다.
θ 1 θ 2 의 크기는 단말(110)의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가상 조이스틱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가상 조이스틱이 기울어지는 방향은 단말(110)의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θ 1 θ 2 의 크기는 10도 이상 15도 미만일 수 있다.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가상 조이스틱 및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가상 조이스틱이 기울어진 소정의 각도는,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터치하는 단말(110)의 사용자의 양 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의 형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각도는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왼손 및/또는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터치할 때, 엄지 손가락이 기울어지는 각도의 범위에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에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에 대한 제2 터치 입력에 의해 제1 객체(150)가 제어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제2 터치 입력은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말하자면, 제2 터치 입력은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는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종료되지 않고,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에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되는 경우, 이러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을 제2 터치 입력으로 식별함으로써 제1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350)에서, 제어부(220)는 제2 터치 입력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1 객체(15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1 객체(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다른 위치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1310)의 크기, 진행 방향 및 제2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150)의 이동 속도는 벡터(1310)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또는, 제2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은 제1 객체(150)를 이동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벡터(1310)의 진행 방향으로 제1 객체(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가상 조이스틱의 배치 및 벡터(1310)의 진행 방향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십자 형태의 가상 조이스틱의 꼭지점들이 나타내는 4개의 방향들의 각각은 제1 객체(150)가 이동하는 동서남북의 4개의 방향들의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십자 형태의 가상 조이스틱의 꼭지점들이 나타내는 4개의 방향들을 기준으로 벡터(1310)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1 객체(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벡터(1310)의 진행 방향이 가상 조이스틱의 위쪽 꼭지점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법선 방향으로 제1 객체(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벡터(131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단말(110)의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벡터(1310)를 식별함으로써 제1 객체(150)를 소기의 방향 또는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객체(150)가 제어됨으로써 도시된 것처럼 제1 객체(150)의 시야에 대응하는 제2 객체(160)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벡터(1310)의 크기의 임계치 및/또는 벡터(1310)의 크기 변화에 대한 제1 객체(150)의 이동 속도 변화의 민감도는 단말(110)의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일 예에 따른 제2 객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14에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에 대한 제5 터치 입력에 의해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가 제어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제5 터치 입력은 제4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말하자면, 제5 터치 입력은 제2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는 제2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을 설정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종료되지 않고,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에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되는 경우, 이러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을 제5 터치 입력으로 식별함으로써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650)에서, 제어부(220)는 제5 터치 입력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제4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제4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다른 위치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1410)의 크기, 진행 방향 및 제5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의 변화량 및/또는 변경되는 속도는 벡터(1410)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벡터(1310)의 진행 방향으로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2 객체 제어 영역(180)의 가상 조이스틱의 배치 및 벡터(1410)의 진행 방향에 기반하여 제2 객체(160)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십자 형태의 가상 조이스틱의 꼭지점들이 나타내는 4개의 방향들의 각각은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가 변화하는 동서남북의 4개의 방향들의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십자 형태의 가상 조이스틱의 꼭지점들이 나타내는 4개의 방향들을 기준으로 벡터(1410)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2 객체(160)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벡터(1410)의 진행 방향이 가상 조이스틱의 위쪽 꼭지점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되는 경우, 제1 객체(150)의 시야는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법선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이 때, 벡터(1410)의 크기가 커질수록 제1 객체(150)의 시야는 더 하늘 쪽을 향할 수 있다. 말하자면,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220)는 제1 객체(150)가 어플리케이션 내의 하늘을 응시할 때의 제1 객체(150)의 시야에 대응하도록 제2 객체(160)를 변화시킬 수 있다.
벡터(1410)의 진행 방향이 가상 조이스틱의 왼쪽 꼭지점의 방향 또는 오른쪽 꼭지점의 방향쪽으로 변경되면, 제어부(220)는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2 객체(160)를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말하자면, 벡터(1410)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1 객체(150)가 이동하는 어플리케이션 내의 평면 상에서의, 제1 객체(150)가 응시하는 방향이 결정될 수 있고, 제어부(220)는 결정된 방향에 대한 제1 객체(150)의 시야로서 제2 객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벡터(1410)의 크기에 기반하여 벡터(1410)의 진행 방향에 의해 결정된 방향을 정면으로 향하는 제1 객체(150)가 응시하는 상하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벡터(1410)의 크기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여 더 커질수록 제어부(220)는 제2 객체(160)를 제1 객체(150)가 어플리케이션 내의 더 하늘 쪽을 응시할 때의 제1 객체(150)의 시야에 대응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고, 벡터(1410)의 크기가 소정의 값 미만으로 더 작아질수록 제어부(220)는 제2 객체(160)를 제1 객체(150)가 어플리케이션 내의 더 지면 쪽을 응시할 때의 제1 객체(150)의 시야에 대응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벡터(141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단말(110)의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된 벡터(1410)를 식별함으로써 제1 객체(150)의 시야인 제1 객체(160)를 소기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벡터(1410)의 크기의 임계치 및/또는 벡터(1410)의 크기 변화에 대한 제1 객체(120)의 변화의 민감도는 단말(110)의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의 연속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에는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에 의해 제1 객체(150)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제어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1)에서 도시된, ①로부터 ②로 향하는 제1 벡터 및 ③로부터 ④로 향하는 제2 벡터의 각각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벡터(1310)에 대응할 수 있다.
①의 위치에서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220)는 ①의 위치를 중심으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인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①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②의 위치를 종점으로 하는, 제1 벡터에 기반하여, 제어부(220)는 제1 객체(150)를 (2)의 ①로부터 ②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의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①의 위치에서의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은 해제될 수 있다. 또는, (1)의 ③의 위치에서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220)는 ①의 기 설정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을 해제하고 ③의 위치를 중심으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인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③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④의 위치를 종점으로 하는, 제2 벡터에 기반하여, 제어부(220)는 제1 객체(150)를 (2)의 ③으로부터 ④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말하자면, 단말(110)의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상의 소기의 위치에서 제1 객체(150)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객체(150)가 제어됨으로써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객체(150)의 시야에 대응하는 제2 객체(160)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2 객체(160) 또한, 연속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일 예에 따른 제1 객체의 제어 및 제2 객체의 제어를 위한 옵션을 나타낸다.
도시된 옵션에 의해, 단말(110)의 사용자는 객체 제어 영역의 유지 시간, 객체 제어의 민감도 및 객체 제어 영역의 반응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은 설정된 유지 시간만큼만 유지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설정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의 설정은 해제될 수 있다. 객체 제어 영역의 유지 시간이 무한대인 경우, 제1 객체 제어 영역(170)은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에 항상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 또는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벡터(1310)의 크기 및/또는 방향의 변화량에 대한 제1 객체(150)의 움직임,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와 같은 객체(150)의 변화량은 설정된 제1 객체 제어 민감도에 비례할 수 있다.
벡터(1310)의 크기의 임계치는 설정된 제1 객체 제어 영역 반응 범위에 비례할 수 있다. 예컨대, 벡터(1310)의 크기가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 객체(150)는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벡터(1310)의 크기가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제1 객체(150)는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된 제1 객체 제어 영역(170) 및 제1 객체(150)에 대한 설명은 제2 객체 제어 영역(180) 및 제2 객체(160)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10: 단말
120: 터치 디스플레이
150: 제1 객체
160: 제2 객체
170: 제1 객체 제어 영역
180: 제2 객체 제어 영역
220: 제어부
1110: 제1 후보 영역
1120: 제2 후보 영역

Claims (36)

  1.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제1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상의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영역의 형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말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가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의 기준이 됨을 나타내는 기준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인디케이터가 출력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말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영역의 면적,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소정의 후보 영역 내에서 감지되는, 단말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인, 단말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swipe) 또는 드래그 입력인, 단말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상기 스와이프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의 크기, 진행 방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1 객체 영역 내의 가상 조이스틱은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인, 단말 제어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상기 제1 객체의 종류 및 상기 제1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단말 제어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외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영역에서의 제3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재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외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영역에서의 제4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제2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상의 제5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서로 구분된 영역인, 단말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소정의 제1 후보 영역 내에서 감지되고,
    상기 제4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소정의 제2 후보 영역 내에서 감지되고,
    상기 제1 후보 영역 및 상기 제2 후보 영역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서로 구분된 영역인, 단말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제4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인, 단말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5 터치 입력의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상기 스와이프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의 크기, 진행 방향 및 상기 제5 터치 입력의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 방법.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2 객체 영역 내의 가상 조이스틱은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고,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인, 단말 제어 방법.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1 객체 영역 내의 제1 가상 조이스틱은 소정의 제1 각도만큼 기울어지고,
    상기 제2 객체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2 객체 영역 내의 제2 가상 조이스틱은 상기 제1 가상 조이스틱이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소정의 제2 각도만큼 기울어지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제1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이고,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제2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터치 입력인, 단말 제어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의 시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야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상기 제1 객체의 배경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영역의 형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말 제어 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제1 시간 내에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이고,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제2 시간 내에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인, 단말 제어 방법.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상기 제1 객체의 종류, 상기 제2 객체의 종류 및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단말 제어 방법.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34.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제1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상의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제어하는, 단말.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제1 객체 제어 영역 외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영역에서의 제3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제어 영역을 재설정하는, 단말.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외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영역에서의 제4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제2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객체 제어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 상의 제5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객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객체 제어 영역 및 상기 제2 객체 제어 영역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서로 구분된 영역인, 단말.
KR1020140021783A 2014-02-25 2014-02-25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KR102086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83A KR102086863B1 (ko) 2014-02-25 2014-02-25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KR1020200025771A KR102516422B1 (ko) 2014-02-25 2020-03-02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83A KR102086863B1 (ko) 2014-02-25 2014-02-25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71A Division KR102516422B1 (ko) 2014-02-25 2020-03-02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236A true KR20150100236A (ko) 2015-09-02
KR102086863B1 KR102086863B1 (ko) 2020-03-09

Family

ID=5424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783A KR102086863B1 (ko) 2014-02-25 2014-02-25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8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741A (ko)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이디오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WO2017204504A1 (ko) * 2016-05-27 2017-11-30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에서 캐릭터의 행동을 제어하는 방법
WO2018004061A1 (ko) * 2016-06-29 2018-01-04 정상문 모바일 실시간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터치 조작 방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843A (ko) * 2011-02-10 2012-08-27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입력장치, 정보처리장치 및 입력값 취득방법
JP2013146583A (ja) * 2013-03-28 2013-08-01 Square Enix Co Ltd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843A (ko) * 2011-02-10 2012-08-27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입력장치, 정보처리장치 및 입력값 취득방법
JP2013146583A (ja) * 2013-03-28 2013-08-01 Square Enix Co Ltd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741A (ko)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이디오 모바일 게임용 컨트롤러 장치
WO2017204504A1 (ko) * 2016-05-27 2017-11-30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에서 캐릭터의 행동을 제어하는 방법
KR20170134033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에서 캐릭터의 행동을 제어하는 방법
WO2018004061A1 (ko) * 2016-06-29 2018-01-04 정상문 모바일 실시간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터치 조작 방식
US10905947B2 (en) 2016-06-29 2021-02-02 Sang Mun Jung Method for touch control in mobile real-time simulation g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863B1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07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TWI638297B (zh) 終端裝置
CN106030497B (zh) 经由部分用户界面的移动与计算设备的交互
KR101956410B1 (ko)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US9542005B2 (en) Representative image
US20170007921A1 (en) User interface
JP2019067390A (ja) 情報処理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JP692119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6206854B2 (ja) 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8216080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2016529640A (ja) マルチタッチ仮想マウス
US11650721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manipulating a user interface element
JP201614889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086863B1 (ko)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US20170315615A1 (en) Gesture library
US10379639B2 (en) Single-hand, full-screen interaction on a mobile device
KR102516422B1 (ko) 터치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및 단말 제어 방법
JP2016209142A (ja) 画面表示を制御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35533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단말 및 이의 게임 제공 방법
JP5769841B2 (ja)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ゲーム装置
JP6514416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20170293350A1 (en) 3d navigation mode
JP201601825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26639B2 (ja)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7496013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