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328B1 -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328B1
KR100690328B1 KR1020050029667A KR20050029667A KR100690328B1 KR 100690328 B1 KR100690328 B1 KR 100690328B1 KR 1020050029667 A KR1020050029667 A KR 1020050029667A KR 20050029667 A KR20050029667 A KR 20050029667A KR 100690328 B1 KR100690328 B1 KR 10069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button
command
ring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487A (ko
Inventor
유달산
박해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테크
Priority to KR102005002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32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22D41/01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B22D43/001Retaining slag during pouring molten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마우스 패드 또는 데스크가 없더라도 사용이 가능하고, 반지형 입력장치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키보드를 치거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어 사용과 휴대가 상당히 편리한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삽지고정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각종 제어회로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명령대상체의 움직임의 방향을 사용자 임의로 조정하는 방향조정스틱과,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동된 명령대상체 상의 객체를 선택 명령하는 선택버튼과, 상기 몸체의 상단면 또는 측면에 내장되되 방향조정스틱과 선택버튼의 입력명령에 따라 해당 작동을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선택 명령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케이블 등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DEVICE FOR INPUTTING A DIRECTION OF RING TYPE}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입력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지형 입력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지형 입력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지형 입력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지형 입력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반지형 입력장치 110: 몸체
120: 삽지고정구 130: 방향조정스틱
135: 방향인식단자 140: 선택버튼
150: 보조제어부 160: 옵션버튼
170: 설정표시수단 180: 제어회로부
190: 인터페이스케이블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중이거나 좁은 공간에서도 데스크나 마우스패드 등이 필요없어 휴대와 작업성 및 이동성이 탁월한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령을 선택 및 입력하는 장치로 키보드 외에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보조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마우스의 경우에는 주로 데스크 또는 마우스 패드와 같은 평평한 곳에 올려놓고 사용하였다.
도 1a와 같은 마우스의 경우에는 하단에 있는 볼을 굴리거나 광센서를 이용하여 커서와 같은 명령대상체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특정 명령을 입력하였다.
이와 같은 게임이나 오락을 할 경우 마우스의 사용이 불편하고, 생동감 있는 플레이가 어려워서 별도의 방향키로 작동하는 번거로움 등이 있었다.
그리고 예컨대 차세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과 휴대인터넷(WiBro)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면서 외부 환경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여건이 되어야 하지만 현재의 마우스 기능은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므로 차세대 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보조장치로는 그 기능이 미비하다.
그리고, 도 1b와 같은 게임용 조이스틱의 경우에는 제품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야외에서 사용하기에는 휴대가 불편하고, 게임이나 오락을 할 경우 생동감 있는 플레이가 어려워서 별도의 방향키로 작동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종래의 마우스의 경우에는 조이스틱 기능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조이스틱을 구매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고, 마우스를 사용하다가 키보드를 사용해야 할 경 우에는 마우스를 놓고 키보드를 쳐야만 하는 불필요한 동작들이 많았고, 종래의 마우스와 조이스틱은 손으로 잡는 형상이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형상이 커질 수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휴대가 상당히 불편하였다.
또한, 마우스를 포함한 터치펜, 스크린패드, 터치패드, 게임용 조이스틱 등의 입력장치는 입력의 조건이 적고, 사용이 불편하며, 이동 중에 사용하거나 휴대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과 휴대인터넷(WiBro) 서비스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거나 노트북을 사용할 경우 어떠한 외부 환경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마우스와 조이스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마우스 패드 또는 데스크가 없더라도 사용이 가능하고, 반지형 입력장치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키보드를 치거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어 사용과 휴대가 상당히 편리한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식이 아닌 아날로그 방식의 미니 방향조정스틱을 구비하고 이를 엄지손가락으로 조정함으로써, 커서와 같은 명령대상체를 모든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할 경 우 대상체의 조정 방향으로 사용자가 실제 동작을 행함으로써, 사용자와 게임이 일체화되어 보다 현실감 있는 게임세계를 부여할 수 있는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손가락에 삽입하여 명령대상체를 조정하는 반지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삽지고정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각종 제어회로가 설치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명령대상체의 움직임의 방향을 사용자 임의로 조정하는 방향조정스틱;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동된 명령대상체 상의 객체를 선택 명령하는 선택버튼; 상기 몸체의 상단면 또는 측면에 내장되되 방향조정스틱과 선택버튼의 입력명령에 따라 해당 작동을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선택 명령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옵션버튼의 설정 상태와 설정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설정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입력장치의 작동 모드와 기능을 선택하는 복수의 옵션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옵션버튼은, 상기 입력장치를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모드로 변경하거나 각종 게임의 기능을 설정 및 해제하는 모드버튼; 상기 입력장치로 게임 을 할 경우 다른 기능을 배가시켜 주는 파워버튼; 상기 입력장치로 게임을 시작하거나 중지하게 하는 시작버튼; 및 상기 입력장치로 게임을 할 경우 게임에 사용되는 도구를 선택하는 도구선택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지고정구는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몸체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이며, 상기 몸체의 측면부인 삽지고정구의 외측면은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조정스틱은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몸체에 세팅되되 몸체 내부에 설치된 소정의 방향인식단자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조정스틱과 선택버튼은 동일한 면에 형성되되 방향조정스틱의 하단에 선택버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택버튼은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객체를 선택하고 해당 객체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 1 버튼; 및 상기 제 1 버튼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문서나 웹 페이지에서 소정의 팝업 메뉴를 실행하는 제 2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지형 입력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지형 입력장치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지형 입력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지형 입력장치의 사 용 상태도로서, 몸체(110), 방향조정스틱(130), 선택버튼(140), 옵션버튼(160), 제어회로부(180) 및 인터페이스케이블(19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10)는 중앙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삽지고정구(120)가 형성되며 내측 공간에는 각종 부품이 실장된 제어회로부가 설치되어 있고, 방향조정스틱(130)은 상기 몸체(110)의 측면(111)에 돌출 형성되어 명령대상체의 움직임의 방향을 사용자 임의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선택버튼(140)은 몸체(110)의 측면(111)에 형성되어 이동된 명령대상체 상의 객체를 선택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어회로부(180)는 몸체(110)의 상단 또는 측면에 내장되되 방향조정스틱(130)과 선택버튼(140)의 입력명령에 따라 해당 작동을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인터페이스케이블(190)은 제어회로부(180)에 연결되어 소정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선택 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단면에 LED 또는 LCD와 같은 설정표시수단(170)이 설치되어 옵션버튼(160)의 설정 상태와 그 여부를 제어회로부(180)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0)의 상단면에 복수의 옵션버튼(160)을 설치하여 입력장치의 작동 모드와 기능을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옵션버튼(160)은, 상기 입력장치(100)를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모드로 변경하거나 각종 게임의 기능을 설정 및 해제하는 모드버튼(161)과, 상기 입력장치로 게임을 할 경우 다른 기능을 배가시켜 주는 파워버튼(163)과, 상기 입력장치로 게임을 시작하거나 중지하게 하는 시작버튼(165), 및 상기 입력장치로 게임을 할 경우 게임에 사용되는 도구를 선택하는 도구선택버튼(167)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몸체(110)에 내장되는 회로부를 2개로 나누었는데, 예컨대 방향조정스틱(130)과 선택버튼(140)의 작동을 입력을 받아 명령을 처리하는 보조제어부(150)를 몸체(110)의 측면에 내장하였고, 옵션버튼(160)과 설정표시수단(170)의 작동을 처리하거나 제어하는 제어회로부(180)를 몸체(110)의 상단에 내장하였지만, 단일 회로부로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삽지고정구(120)는 도 5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입력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삽지고정구(120)는 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몸체(11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이고, 상기 몸체(110)의 측면부인 삽지고정구(120)의 외측면은 인접 손가락의 접촉과 지지가 용이하도록 오목한 곡면 형상의 지지구(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0)의 측면(111)에 형성된 방향조정스틱(130)은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몸체(110)에 세팅되되 몸체(110) 내부에 설치된 소정의 방향인식단자(135)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조정스틱(130)과 선택버튼(140)은 동일한 면(111)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몸체(110)의 삽지고정구(120)에 검지를 끼운 상태에서 엄지로 방향조정스틱(130)과 선택버튼(140)을 조정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방향조정스틱(130)의 하단에 선택버튼(140)을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버튼(140)은, 몸체(110)의 좌측면(111)에 형성되어 객체를 선택하고 해당 객체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 1 버튼(141)과, 상기 제 1 버튼(141)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문서나 웹 페이지에서 소정의 팝업 메뉴를 실행하는 제 2 버튼(14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케이블(190)은 몸체(110)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되 손가락을 삽지고정구(120)에 삽입할 경우 후방인 손바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입력장치(100)는 마우스 기능과 게임용 조이스틱 기능을 통합한 반지형 입력장치로서, 손가락에 삽입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초소형으로 설계하였고, 이에 따라 패드 또는 데스크가 없어도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이 가능하며, 휴대가 간편해야 하고, 어떠한 환경과 여건 속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예컨대, 노트북이나 PDA, 휴대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커서 또는 게임기의 방향을 책상용 마우스나 키보드의 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조이스틱과 같은 방향조정스틱(130)을 엄지손가락만으로도 360°회전하여 방향을 조정하거나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100)를 소정의 USB단자(135)와 같은 인터페이스케이블(190)을 통해 노트북이나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한 상태에서 몸체(110)의 삽지고정구(120)에, 예컨대 오른손의 검지에 도 5와 같이 끼운다. 상기 검지를 삽지고정구(120)에 끼운 상태에서 입력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중지를 몸체(110)의 우측면(115)에 밀 착하여 몸체(110)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엄지로 방향조정스틱(130)이나 선택버튼(140)을 조정하거나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서와 같은 명령대상체의 4방향 조정은 방향조정스틱(130)을 이용하여 엄지로 조정하게 된다.
상기 방향조정스틱(130)은 자유스런 방향 조작이 가능한 아날로그 스틱으로, 디지털 버튼과 같이 정해진 방향인 아닌 360°자유스럽게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마우스만큼의 정확한 위치 선정을 할 수 있고, 게임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데, 카레이싱 및 슈팅 게임 등 움직임이 중요시되는 게임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객체의 선택은 방향조정스틱(130)의 하단에 부착된 선택버튼(140)을 엄지로 가볍게 누르면 선택되고, 몸체(110)의 상단에는 각종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버튼(160)과, 상기 옵션버튼(160)의 선택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윈도우(17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옵션버튼(160) 중 모드버튼(161)은 한 번의 버튼 조작으로 마우스와 조이스틱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여러가지 기능을 선택하여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상기 옵션버튼(160)은, 마우스와 조이스틱의 변경과 각종 게임의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며 게임소프트 상에서 사용자가 제어하기 편한 배치로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드버튼(161)과, 게임시 다른 기능을 배가시켜 주는 기능으로 터보 LED의 점등으로 정상적으로 세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파워버튼(163)과, 게임을 시작하거나 멈추게 하는 시작버튼(165)과, 게임의 도구(무기나 장비) 등을 선택할 때 사용하는 도구선택버튼(167)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방향조정스틱(130)의 하단에 있는 제 1 및 제 2 버튼(141, 145)은 사용자가 "선택"에 관한 지시를 하려고 할 때 제 1 버튼(141)을 엄지로 한번 누르고(클릭), 선택된 위치에서 제 2 버튼(145)을 한번 더 누르거나 또는 두 번 빠르게 누르면(더블클릭), 선택된 개체에 대해 특별한 동작이 일어나는데, 예를 들어 윈도우 운영체계에서는 해당 객체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다.
아울러, 입력장치(100)의 몸체(110)는 인체 공학적인 설계로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형상과 그립 채택으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피곤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다.
종래의 마우스는 노트북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케이블이 마우스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몸체(110)의 삽지고정구(12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인터페이스케이블(190)은 후방(손바닥 방향)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걸림 현상을 줄일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입력장치로서 마우스 기능과 조이스틱 기능이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휴대하는 것이 편리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과 휴대인터넷(WiBro)의 단말기를 사용하거나 노트북을 사용할 경우, 어떠한 외부 환경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마우스와 조이스틱 기능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반지형 입력장치는 게임기나 컴퓨터 및 휴대 단말기(노트북, PDA, 휴대폰 등)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조이스틱,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의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휴대 단말기(노트북, 휴대인터넷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입력장치는 이동중이거나 좁은 공간에서도 마우스의 사용이 가능해야 하는 데, 반지형 입력장치는 최소형의 방향조정스틱(130)으로도 커서(명령대상체)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 별도의 고정대 또는 마우스 패드가 없는 환경과 여건 속에서도 명령대상체(커서)의 방향 조정과 객체(문자, 그림 등)의 선택 및 특정 소프트웨어의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반지형 입력장치의 몸체의 형상이나 방향조정스틱의 방향인식 방식이나 구조 및 형상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입력장치로서 마우스 기능과 조이스틱 기능이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휴대하는 것이 편리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과 휴대인터넷(WiBro)의 단말기를 사용하거나 노트북을 사용할 경우, 어떠한 외부 환경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마우스와 조이스틱 기능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별도의 마우스 패드 또는 데스크가 없더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지형 마우스 겸용 조이스틱을 검지에 끼워놓고 버튼만으로 기능을 변경할 수 있고, 마우스 사용 중에도 키보드를 치거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우스와 게임용 조이스틱 기능이 통합되어 있어서 여러가지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초소형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게임을 할 경우 사용자가 실제 동작을 함으로써 게임에서도 그 행동이 반영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게임 속에 들어가 함께 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Claims (10)

  1. 손가락에 삽입하여 명령대상체를 조정하는 반지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삽지고정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각종 제어회로가 설치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명령대상체의 움직임의 방향을 사용자 임의로 조정하는 방향조정스틱;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동된 명령대상체 상의 객체를 선택 명령하는 선택버튼;
    상기 몸체의 상단면 또는 측면에 내장되되 방향조정스틱과 선택버튼의 입력명령에 따라 해당 작동을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선택 명령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케이블; 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측면부인 삽지고정구의 외측면은 인접 손가락의 접촉과 지지가 용이하도록 오목한 곡면 형상의 지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옵션버튼의 설정 상태와 설정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설정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명령 입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입력장치의 작동 모드와 기능을 선택하는 복수의 옵션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옵션버튼은, 상기 입력장치를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모드로 변경하거나 각종 게임의 기능을 설정 및 해제하는 모드버튼; 상기 입력장치로 게임을 할 경우 다른 기능을 배가시켜 주는 파워버튼; 상기 입력장치로 게임을 시작하거나 중지하게 하는 시작버튼; 및 상기 입력장치로 게임을 할 경우 게임에 사용되는 도구를 선택하는 도구선택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고정구는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몸체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스틱은 360° 회전이 가능하도록 몸체에 세팅되되 몸체 내부에 설치된 소정의 방향인식단자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스틱과 선택버튼은 동일한 면에 형성되되 방향조정스틱의 하단에 선택버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버튼은,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객체를 선택하고 해당 객체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 1 버튼; 및 상기 제 1 버튼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문 서나 웹 페이지에서 소정의 팝업 메뉴를 실행하는 제 2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케이블은 몸체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되 손가락을 삽지고정구에 삽입할 경우 후방인 손바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KR1020050029667A 2005-04-08 2005-04-08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KR10069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667A KR100690328B1 (ko) 2005-04-08 2005-04-08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667A KR100690328B1 (ko) 2005-04-08 2005-04-08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487A KR20060106487A (ko) 2006-10-12
KR100690328B1 true KR100690328B1 (ko) 2007-03-09

Family

ID=3762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667A KR100690328B1 (ko) 2005-04-08 2005-04-08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08B1 (ko) * 2006-02-02 2008-03-27 주식회사 쏠리테크 조이스틱 겸용 반지형 무선 입력장치
KR100760958B1 (ko) * 2006-06-05 2007-09-21 한국과학기술원 방향 스위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기기
KR101606118B1 (ko) * 2016-01-21 2016-03-24 김용훈 웨어러블 포인팅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582A (ja) * 1995-10-23 1997-05-02 Fujitsu Ltd 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装置
JPH10301706A (ja) 1997-04-24 1998-11-13 Nec Niigata Ltd 装着形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
KR19980064767U (ko) * 1997-04-30 1998-11-25 윤종용 반지 형상을 갖는 포인팅 장치
KR19990007763A (ko) * 1998-10-31 1999-01-25 조재경 유선 링 마우스
JP2001084094A (ja) * 1999-09-17 2001-03-30 Susumu Noguchi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ー用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1109569A (ja) * 1999-10-08 2001-04-20 Nec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
KR20020090200A (ko) * 2002-10-31 2002-11-30 신용식 핑거마우스
KR20030071330A (ko) * 2002-02-28 2003-09-03 안영후 컴퓨터용 반지형 마우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582A (ja) * 1995-10-23 1997-05-02 Fujitsu Ltd 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装置
JPH10301706A (ja) 1997-04-24 1998-11-13 Nec Niigata Ltd 装着形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
KR19980064767U (ko) * 1997-04-30 1998-11-25 윤종용 반지 형상을 갖는 포인팅 장치
KR19990007763A (ko) * 1998-10-31 1999-01-25 조재경 유선 링 마우스
JP2001084094A (ja) * 1999-09-17 2001-03-30 Susumu Noguchi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ー用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1109569A (ja) * 1999-10-08 2001-04-20 Nec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
KR20030071330A (ko) * 2002-02-28 2003-09-03 안영후 컴퓨터용 반지형 마우스
KR20020090200A (ko) * 2002-10-31 2002-11-30 신용식 핑거마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487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8993A1 (en) Computer mouse
US7663509B2 (en) Hand-held electronic equipment
US20030076302A1 (en) Joystick input device for palmtop information appliance
US7724235B2 (en) Input mechanism for front panel of portable computing device
JP3247630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携帯用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操作方法
US20080278443A1 (en) User input device
US20080284739A1 (en) Human Interface Device
US20080246731A1 (en) Backside Control Utility, BCU.
US7177604B2 (en) Pointing device for handheld device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TW201246021A (en) A device for multiple inputs
US20150193023A1 (en) Devices for use with computers
KR20080038247A (ko)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6194355B2 (ja) コンピュータと共に用いるデバイスの改良
Li et al. Get a grip: Evaluating grip gestures for vr input using a lightweight pen
WO2015043518A1 (zh) 一种三维控制鼠标及其使用方法
US200402229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ling of a signal in a hand-held computing device
KR100690328B1 (ko) 반지형 명령 입력장치
US20160328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JP2019522855A (ja) ハンドヘルド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適応的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20110090180A1 (en) Stylus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US20170113132A1 (en) Enhanced function interaction device
KR100817508B1 (ko) 조이스틱 겸용 반지형 무선 입력장치
JP6530186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
KR100597795B1 (ko) 방향인식센서를 이용한 반지형 마우스
KR100527055B1 (ko)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