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055B1 -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055B1
KR100527055B1 KR10-2003-0003215A KR20030003215A KR100527055B1 KR 100527055 B1 KR100527055 B1 KR 100527055B1 KR 20030003215 A KR20030003215 A KR 20030003215A KR 100527055 B1 KR100527055 B1 KR 100527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mputer
button
shortc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231A (ko
Inventor
오인환
Original Assignee
오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환 filed Critical 오인환
Priority to KR10-2003-000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0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마우스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급변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보다 발전시키고, 특히 손가락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노약자도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이동시키는 휠(14)과;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볼(12)과; 커서의 이동과 파일의 실행을 위한 제1입력버튼(16a)과, 부가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2입력버튼(16b)을 구비하는 입력버튼부(16)와; 키보드상의 여러 키를 조합하여 실행되는 단축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단축버튼으로 구성되는 단축버튼부(18)와; 상기 휠(14), 볼(12), 입력버튼부(16) 및 단축버튼부(18)를 상면에 구비하는 대략 박스 형태의 입력 본체부(10)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은 사용자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휠(14), 볼(12), 그리고 다수의 입력버튼 및 단축버튼은 그 일부가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Input unit of computer for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발전시키기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에서 키보드와 함께 사용되는 마우스에 여러가지 기능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고,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조절 기능을 갖추며, 특히 손가락의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과 노약자 등이 발 또는 다른 신체부위를 통해 용이하게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 대한 기술이 발전해오면서, 초기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이 컴퓨터 기술에 관한 가장 중요한 요소였으나, 점점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극대화하기 위한 컴퓨터 주변기기가 컴퓨터 기술에 관한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
PC업계에서도 단지 새로운 PC의 판매에 치중하기 보다, PC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보다 직관적이고 강력한 정보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만족의 지평을 열고 있다. 컴퓨터 주변기기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술과 연결 옵션, 그리고 디자인 측면에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이동성을 갖춘 무선과 광센서 방식의 신기술, USB와 블루투스 같은 새로운 연결 옵션, 편리함과 유연성을 감안한 산업디자인의 새로운 미학 등이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를 발전시키고 있다. 투버튼 볼마우스 대신 광스크롤 마우스가 등장해 소비자 호응도를 확대한 것이 일례다.
그러나,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발전 가운데서도, 장애인과 노약자들을 위한 개발과 개선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 초기의 컴퓨터에서는 숫자와 문자만 처리할 수 있었으나, 정보인식(입력) 및 표현(출력) 기술이 발전함으로써, 문자 이외에도 음성, 도형, 영상 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매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멀티미디어라 한다. 멀티미디어 매체들은 영상과 소리를 주로 취급하기 때문에 정보의 양이 방대하고, 이들 자원을 처리하기가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이들을 처리하고 전송하기 위해서는 고속의 전송선로와 다양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술, 그리고 영상과 음성 신호의 처리기술이 필요하다. 멀티미디어는 영상회의·전자출판·가상현실·각종 오락·의료·교육·방송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매우 다양하게 응용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를 취급하기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가 더욱 중요한 분야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멀티미디어화 되면서 여러 가지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방법이 복잡해지게 되는데, 컴퓨터 상의 일련의 동작을 원터치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임의의 키 조합을 누를 경우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프로그램(utility program), 복수개의 단축 버튼들을 갖는 키보드, 마우스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이용한 소프트웨어적 단축키 지정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유틸리티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단축키들을 모두 암기해야만 하며, 또한 특정 프로그램에서는 그 프로그램 자체에 설정된 단축 버튼들과 유틸리티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단축 버튼들이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주로 마우스를 입력장치로서 이용하여 선택기능과 드래그 기능, 실행기능 등을 마우스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행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는 마우스는 3-버튼 마우스(휠 마우스)로서, 좌측의 버튼과 우측의 버튼 및 휠(가운데 버튼)이 구비되어 스크롤링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종래의 키보드와 마우스 사용에 있어서, 키보드에서 단축키를 사용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손가락 또는 세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키보드를 눌러야 하기 때문에, 키가 서로 멀리 있을 경우에는 두 손 모두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함을 주는 것이며, 마우스를 빈번하게 사용하여야 하는 그래픽 프로그램이나 게임 등의 프로그램 사용시에는, 마우스를 잡은 손이 키보드로 옮겨와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에게는 행동 특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상황으로, 키보드에서 동시에 두,세 개의 버튼 조작은 전혀 불가능하거나 능숙하게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마우스는, 손을 마우스의 상면에 얹었을 때, 검지와 중지, 약지로 좌측 버튼, 우측 버튼 및 가운데 휠을 조작하게 되어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마우스 및 트랙볼은 손가락 사용을 전제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손가락이 불편하거나, 손가락이 없는 사람이 사용하기에는 큰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컴퓨터 마우스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급변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보다 발전시키고, 특히 손가락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노약자도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이동시키는 휠(14)과;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볼(12)과; 커서의 이동과 파일의 실행을 위한 제1입력버튼(16a)과, 부가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2입력버튼(16b)을 구비하는 입력버튼부(16)와; 키보드상의 여러 키를 조합하여 실행되는 단축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단축버튼으로 구성되는 단축버튼부(18)와; 상기 휠(14), 볼(12), 입력버튼부(16) 및 단축버튼부(18)를 상면에 구비하는 대략 박스 형태의 입력 본체부(10)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은 사용자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휠(14), 볼(12), 그리고 다수의 입력버튼 및 단축버튼은 그 일부가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본체부는 세로가 10~18㎝, 가로가 20~45㎝, 경사도가 5°~ 30°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볼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를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휠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조작할 수 있도록, 원판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휠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버튼 또는 단축버튼이 작동될 때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스피커를 구비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버튼 또는 단축버튼이 작동될 때 진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터를 구비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a, 도 1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는, 입력 본체부(10)상에 설치된 휠(14), 볼(12),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버튼부(16) 및 단축버튼부(18)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 본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휠(14)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측면, 즉 도1a 및 도 1b에서 휠(14)이 위치하는 방향을 전면으로 하고, 볼(12)이 위치하는 방향을 후면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기 휠(14)은, 일반적인 종래의 마우스의 휠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컴퓨터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휠(14)을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모티터상에 나타나는 화면도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휠(14)을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화면도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휠(14)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만 조작될 수 있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하 및 좌우 모든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14)은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그 중에서도 상기 볼(12)의 전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12)에 비해 소형화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볼(12)을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볼(12)은 일반적인 종래의 볼 마우스의 하면에 설치된 볼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컴퓨터 모니터상에 나타난 정지된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손, 손목 또는 발을 이용하여 상기 볼(12)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면, 마우스 포인터도 모니터에 나타나 있는 화면상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12)은 상하, 좌우 뿐만 아니라 임의의 어떤 방향으로도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 형태로 형성 및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12)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입력 본체부(10) 상면에 설치되고, 그 중에서도 상기 휠(14)의 후단에 설치되도록 한다. 특히, 사용자의 볼(12) 및 휠(14)에 대한 사용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상기 볼(12)은 휠(14)에 비해 대형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14)과 볼(12)은 모두 그 일부분만 입력 본체부(10)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14)과 볼(12)은 입력 본체부(10)의 상면 중심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입력 본체부(10)의 상면 일측단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본체부(10)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입력버튼부(16)에는, 일반적인 종래의 마우스에 있어서의 왼쪽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입력버튼(16a)과, 오른쪽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입력버튼(16b)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1입력버튼(16a)은 주로 파일, 폴더, 아이콘 등의 선택, 프로그램의 실행, 창이나 대화 상자 열기, 마우스 끌기 등 운영체제 거의 모든 곳에 사용되는 버튼이고, 상기 제2입력버튼(16b)은 파일, 폴더, 아이콘 등의 부가 메뉴(팝업 메뉴)의 사용에 쓰이는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입력버튼(16a)을 누르게 되면, 그때의 마우스 포인터 위치로 커서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입력버튼(16a)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볼(12)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드래그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1입력버튼(16a)을 두번 연속으로 누르게 되면 파일, 폴더, 아이콘 등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하나의 손 또는 발에 의해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드래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제3입력버튼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2입력버튼(16b)을 누르게 되면, 마우스 포인터에 부가 메뉴 화면이 나타나게 되고, 상기 부가 메뉴를 이용하여 파일이나 폴더 등을 복사하거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는 다수의 단축버튼으로 구성되는 단축버튼부(18)를 포함하고, 상기 단축버튼부(18)는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다.
PC 기반에서 게임을 할 경우와, 문서 및 그림 편집 프로그램 등을 사용할 때, 화상 입력장치 외에도 키보드에서 단축키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축키는 대개 키보드상의 Shift 키나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알파벳 버튼이나 숫자 버튼을 함께 누르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축키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축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A l t + F 4 : 열려진 창, 프로그램을 닫거나 시스템을 종료시킨다.
A l t + Esc : 다음 순서의 활성 창으로 이동한다.
A l t + Enter : DOS 창에서 전체 화면 또는 창 화면으로 전환한다.
A l t + Tab : 다른 활성 창으로 이동한다.
A l t + Space bar : 창의 조절 메뉴를 부른다.
A l t + Print Screen : 활성 창을 클립보드로 복사한다.
Ctrl + Esc : 시작 메뉴를 부른다.
Ctrl + F 4 : 프로그램 내의 문서 창을 닫는다.
Ctrl + X : 파일이나 폴더를 오려낸다.
Ctrl + C : 파일이나 폴더를 복사한다.
Ctrl + V : 파일이나 폴더를 붙여 넣는다.
상기와 같은 단축키 이외에도 많은 단축키가 사용되고 있으나, 단축키를 만들기 위한 조합을 모두 암기하고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따른다. 또한, 대부분의 단축키는 두개 이상의 키를 동시에 누르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의 키보드를 이용하기 불편한 사람들이 상기 단축키를 이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리고, 미디어 관련 프로그램을 운용하는 경우, 목록 검색과 미디어 재생 관련 기능 외에는 키보드를 사용하는 빈도가 떨어지고, 모니터에 가까이 있을 필요성도 감소한다. 또한, 프리젠테이션과 같이 대형화면으로 모니터상의 내용을 확대하고 움직이며, 컴퓨터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화면상의 부분을 가리키거나 전, 후 혹은 아래, 위 페이지 선택 등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으면 컴퓨터와의 거리에 대해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축키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수의 단축버튼으로 구성된 단축버튼부(18)를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예컨데, 입력 본체부(10)상에 설치되는 상기 단축버튼부(18)를 구성하는 다수의 단축버튼 중, 제1단축버튼(18a)은 A l t + F 4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2단축버튼(18b)은 A l t + Esc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3단축버튼(18c)은 Ctrl + Esc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다수의 단축버튼이 상기 단축버튼부(18)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축버튼은 하나의 버튼 조작에 의해 종래의 단축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다수의 키를 동시에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기 입력버튼부(16)를 구성하는 각 입력버튼 및 상기 단축버튼부(18)를 구성하는 각 단축버튼은, 조작의 편의를 위해 입력 본체부(10)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입력 본체부(10)가 사용자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각 입력버튼 및 단축버튼의 전단부만 돌출되고, 후단부는 입력 본체부(10)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는 발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은 사용자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입력 본체부(1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세로가 10~18㎝, 가로가 20~45㎝, 경사도가 5°~ 30°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로가 12㎝, 가로가 28㎝, 경사도가 8°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버튼부(16)를 구성하는 각 입력버튼의 가로 크기가 3cm, 각 버튼 사이의 간격이 2cm가 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발과 발가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축버튼에 대해서도 상기 입력버튼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크기 및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입력버튼과 단축버튼의 크기 및 간격을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는, 발굼치를 바닥에 붙인 상태에서 양발을 움직여서 볼, 휠 및 각 버튼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입력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볼(12), 휠(14), 입력버튼부(16) 및 단축버튼부(18)와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전선이나 회로 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종래 기술과 차이가 없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상기 볼(12), 휠(14) 및 다수의 입력버튼은 기존의 마우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과 동일하고,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볼(12)은 종래의 마우스와 달리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볼(12)과 연결되는 회로 소자의 배치 역시 종래의 마우스와는 반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축버튼은 키보드상의 여러 키를 동시에 눌렀을 때 나타나는 기능을 하나의 버튼에 의해 달성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입력 본체부(10) 내에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 신호발생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입력 본체부(10)에 설치된 상기 각 입력버튼 및 단축버튼이 동작될 때 일정한 크기의 음향 또는 진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버튼 또는 단축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일정한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버튼이 제대로 눌려졌음을 알려주어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각 버튼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음향 이외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휠(14), 볼(12) 또는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조작된 휠(14), 볼(12) 또는 버튼은 각 연결된 전선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회로 소자 등에 의해 상기 휠(14), 볼(12) 또는 버튼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로 변환되어 접속된 컴퓨터로 전송되며, 컴퓨터는 상기 전송된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는, 보다 다양한 미적 표현과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여러가지 장식물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장식물은 합성수지 혹은 목재, 금속, 유리, 석재, 도자기 , 직물, 가죽, 털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에 의하면, 손가락이 부자유스러운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이 최대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외형을 갖춤으로써, 정보화와 미디어환경에서 소외되어지는 사람들에게 일반인들과 똑같은 문화적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하고, 일반인들에게도 발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두 손이 키보드와 그 외의 필요한 곳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보다 발전시킬수 있게 하며, 또한 하나의 버튼으로 종래의 단축키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급변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도 적절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입력 본체부 12.....볼
14.....휠 16.....입력버튼부
16a....제1입력버튼 16b....제2입력버튼
18.....단축버튼부 18a....제1단축버튼
18b....제2단축버튼 18c....제3단축버튼

Claims (8)

  1.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이동시키는 휠(14)과;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볼(12)과;
    커서의 이동과 파일의 실행을 위한 제1입력버튼(16a)과, 부가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2입력버튼(16b)을 구비하는 입력버튼부(16)와;
    키보드상의 여러 키를 조합하여 실행되는 단축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단축버튼으로 구성되는 단축버튼부(18)와;
    상기 휠(14), 볼(12), 입력버튼부(16) 및 단축버튼부(18)를 상면에 구비하는 대략 박스 형태의 입력 본체부(10)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은 사용자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휠(14), 볼(12), 그리고 다수의 입력버튼 및 단축버튼은 그 일부가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본체부(10)는 세로가 10~18㎝, 가로가 20~45㎝, 경사도가 5°~ 30°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1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를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14)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조작할 수 있도록, 원판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14)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버튼 또는 단축버튼이 작동될 때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스피커를 구비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버튼 또는 단축버튼이 작동될 때 진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터를 구비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KR10-2003-0003215A 2003-01-17 2003-01-17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KR100527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215A KR100527055B1 (ko) 2003-01-17 2003-01-17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215A KR100527055B1 (ko) 2003-01-17 2003-01-17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231A KR20040066231A (ko) 2004-07-27
KR100527055B1 true KR100527055B1 (ko) 2005-11-09

Family

ID=3735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215A KR100527055B1 (ko) 2003-01-17 2003-01-17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0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9B1 (ko) * 2006-07-05 2008-09-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언어장애자 의사소통 지원시스템
KR101687150B1 (ko) 2015-09-25 2016-12-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 친화적인 가상 터치 방식의 병상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KR20190001465A (ko) 2017-06-27 2019-01-04 제일정보통신(주) 3d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장애인용 마우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9B1 (ko) * 2006-07-05 2008-09-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언어장애자 의사소통 지원시스템
KR101687150B1 (ko) 2015-09-25 2016-12-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 친화적인 가상 터치 방식의 병상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KR20190001465A (ko) 2017-06-27 2019-01-04 제일정보통신(주) 3d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장애인용 마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231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1878B2 (ja) デュアルナビゲーション制御のコンピュータキーボード
JP4975634B2 (ja) データを制御し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7602382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sponsive to sensing a physical presence proximate to a computer input device
US8638315B2 (en) Virtual touch screen system
US7358956B2 (en)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responsive to sensing a physical presence proximate to a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US7091954B2 (en) Computer keyboard and cursor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keyboard map switching
Karam A taxonomy of gestures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s
Harrison et al. Using shear as a supplemental two-dimensional input channel for rich touchscreen interaction
US2002017593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n expanded desktop
WO2004010276A1 (ja)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KR20070114143A (ko) 컴퓨터 마우스 주변 장치
US20020158827A1 (en) Method for utilization of a gyroscopic or inertial device as a user interface mechanism for headmounted displays and body worn computers
JP2007504559A (ja) コンピュータ及びビデオゲーム用のハンドマニピュレート情報機器
JP2011526037A (ja) ジェスチャー制御用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20010011998A1 (en) Embedded keyboard pointing device with keyboard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50156895A1 (en) Portable put-on keyboard glove
KR100527055B1 (ko)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
JP4063423B2 (ja) ユーザ入力装置
KR20150071597A (ko) 데이터 실행 장치
JPH0366690B2 (ko)
KR20070103268A (ko)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입력 장치
WO2001088896A1 (en) Method for utilization of a gyroscopic or inertial device as a user interface mechanism for computers
KR100389963B1 (ko) 컴퓨터용 마우스형 입력장치
Hinckley A Background Perspective on Touch
Huot Touch Inte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