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870A - 연성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연성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870A
KR20170025870A KR1020150122943A KR20150122943A KR20170025870A KR 20170025870 A KR20170025870 A KR 20170025870A KR 1020150122943 A KR1020150122943 A KR 1020150122943A KR 20150122943 A KR20150122943 A KR 20150122943A KR 20170025870 A KR20170025870 A KR 2017002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gauge
bending sensor
display panel
capacitor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553B1 (ko
Inventor
최용균
손민호
유세종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5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이 벤딩되었을 때 벤딩 센서로부터 RC 딜레이의 변화 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읽어내어 벤딩 각도를 산출하기 위한 연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의 벤딩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와 금속 전극 사이에 절연층이 구비되어 커패시터의 형태를 가지며, 표시 패널이 벤딩됨으로써 커패시터의 형태가 변화하고, 그에 따른 RC 딜레이의 변화 또는 커패시터의 전압의 변화를 센싱하여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산출한다.

Description

연성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연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성 표시 장치의 벤딩시의 RC 딜레이의 변화 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센싱하여 그를 통해 벤딩 각도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연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이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지더라도 디스플레이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연성(flexible) 표시 장치가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고, 휘거나 굽힐 수 있어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그 활용성이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 표시 장치 기술은 실험 단계를 거쳐 이제 대량의 양산을 목전에 두고 있다. 연성 표시에 기반한 연성(flexible) 표시 장치는 종래의 단단한(rigid) 표시 장치를 갖는 전자 기기들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더욱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종래에는, 연성 표시장치의 형상을 감지하기 위하여 연성 표시장치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벤딩 센서(bending sensor)들을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복수의 벤딩 센서들을 통해 연성 표시장치의 벤딩 각도를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연성 표시장치의 형상 감지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2569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이 때, 벤딩 센서는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진 휘트스톤 브리지로 구현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벤딩 센서를 복수 개 포함한 연성 표시장치의 경우, 각 스트레인 게이지마다 휘트스톤 브리지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할 뿐 아니라 회로 면적이 상승하여 표시 면적의 감소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벤딩 센서의 수축 또는 인장에 따른 RC 딜레이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센싱하거나, 벤딩 센서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센싱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회로 면적을 감소시키는 연성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는, 스트레인 게이지와 절연층,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 형태의 벤딩 센서를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구비하고, 충전 기간에 스트레인 게이지에 펄스를 입력하여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센싱 기간에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이를 통해 RC 딜레이를 산출하고, 미리 저장된 상기 RC 딜레이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읽어내어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센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와 금속 전극이 일부만 중첩되며, 표시 패널의 벤딩 정도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와 금속 전극의 중첩 면적이 달라지도록 구비된다. 그에 따라 벤딩 센서의 일부 영역에만 표시 장치의 벤딩 정도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는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충전 기간에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펄스를 입력하여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센싱 기간에는 커패시터의 전압을 읽어들이며, 미리 저장된 커패시터의 전압에 따른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읽어내어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센싱한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는 휘트스톤 브리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는 종래에 비해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회로 면적 또한 종래에 비해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는 회로의 간소화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표시 패널의 개구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장치에 구비된 벤딩 센서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장치의 벤딩 센서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벤딩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의 벤딩 센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상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접힘 각도와 그 때의 RC 딜레이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최대 커패시턴스값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벤딩 센서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장치에 구비된 벤딩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B-B`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벤딩 센서(7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표시 패널의 접힘 각도와 벤딩 센서가 형성하는 커패시터의 전압 변화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표시 패널이 접힘으로써 벤딩 센서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장치에 구비된 벤딩 센서(10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10)의 접히는 위치의 비표시 영역(N/A)에는 벤딩 센서(100)가 위치한다. 이 때 벤딩 센서(100)는 연성 표시 장치의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는 벤딩 센서(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상 표시장치의 벤딩 센서(1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벤딩 센서(100)는, 스트레인 게이지(101)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절연층(102), 상기 절연층(102)의 상부에 위치하는 금속전극(103)으로 이루어진 커패시터 형태이다.
스트레인 게이지(101)는 외력의 변형에 의한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저항선이 여러 차례 구부러진 형태를 가진다. 또한 절연층(102)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01)를 덮도록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상층에 구비된다.
금속 전극(103)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절연층(102) 상에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벤딩 센서(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벤딩 센서(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는, 스위칭부(150), 펄스 발생부(151), 증폭부(152), 적분부(15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4) 및 연산부(155)를 포함한다.
스위칭부(150)는 일단이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양단과 접속되며, 다른 일단이 펄스 발생부(151) 또는 증폭부(152)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펄스 발생부(151)는 충전 기간 동안 스위칭부(150)를 통해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양단에 접속되며, 충전 기간 동안 스트레인 게이지(101)에 일정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출력하여 커패시터 형태인 벤딩 센서(100)에 전압을 충전한다.
증폭부(152)는 차동 증폭기(OP-Am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 기간 동안 스위칭부(150)를 통해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양단에 접속되며 벤딩 센서(100)에 충전된 전압을 입력받아 이를 증폭시킨다. 또한 적분부(153)는 벤딩 센서(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미리 설정된 특정 전압 레벨에 이르는 시점까지 누적시키며, 누적된 전압이 특정 전압 레벨에 이르게 되면 이를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4)는 출력된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연산부(155)로 출력한다.
연산부(155)는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클럭 펄스(CLK)를 카운팅하는 클럭 카운터(156)와 메모리(157) 및 접힘 각도 산출부(158)를 포함한다. 이 때 연산부(155)가 클럭 펄스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경우에는 클럭 펄스 생성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럭 카운터(156)는 클럭 펄스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는 시점에서 카운팅된 클럭 펄스의 횟수를 접힘 각도 산출부(158)로 출력한다.
접힘 각도 산출부(158)는 상기 카운팅된 클럭 펄스의 횟수를 이용하여 RC 딜레이 시간을 측정한다. 이 때 메모리(157)에는 표시 패널(10)의 접힘(Folding) 각도에 대응되는 RC 딜레이 시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접힘 각도 산출부(158)는 측정된 RC 딜레이 시간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를 메모리(157)로부터 읽어들여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를 산출한다.
이하로는, 도면을 참조하여 RC 딜레이 시간을 통해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를 산출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의 벤딩 센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연성 표시장치가 구부러졌을 때, 변곡점에서는 스트레스와 스트레인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들은 비례 관계에 있다.
스트레스와 스트레인의 변형에 따라 변곡점의 두께(t), 폭(w) 및 길이(L)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각 변곡점에 위치하는 벤딩 센서(100)의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저항(R)이 변화하며, 그에 더하여 스트레인 게이지(101)와 절연층(102), 그리고 금속 전극(103)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터(C)의 커패시턴스값 또한 변화한다.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101)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장시에는 길이(L)가 증가하고, 두께(t) 및 폭(W)은 감소하므로, 인장 정도가 클수록 그 저항값이 증가한다.
한편 스트레인 게이지(101)는 수축시에는 인장시와 반대로 변형하며, 그에 따라 수축 정도가 클수록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저항값은 감소한다.
또한 벤딩 센서(100)에 구비된 커패시터(C)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장시에는 스트레인 게이지(101)와 금속 전극(10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동시에, 스트레인 게이지(101) 및 금속 전극(103)의 높이는 감소하며, 그 길이(L)는 증가하므로 인장 정도가 클수록 커패시턴스 값이 증가한다.
한편 상기 커패시터(C)는 수축시에는 인장시와 반대로 변형하며, 그에 따라 수축 정도가 클수록 커패시턴스 값은 감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벤딩 센서(100)는 저항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101)를 구비하고, 벤딩 센서(100) 자체가 커패시터(C)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커패시터(C)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일정 레벨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지연되는 RC 딜레이가 발생한다.
이 때 RC 딜레이값은 저항과 커패시턴스의 곱에 비례하도록 정의된다.
다시 말하면, 벤딩 센서(100)가 수축할 경우 상기 저항 및 커패시턴스의 곱에 비례하는 RC 딜레이값은 상기 저항 또는 커패시턴스의 감소폭보다 더 크게 감소하며, 벤딩 센서(100)가 인장할 경우 상기 RC 딜레이값은 상기 저항 또는 커패시턴스의 증가폭보다 더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RC 딜레이값을 이용하여 벤딩 각도를 센싱하는 경우, 저항 또는 커패시턴스만을 이용하여 벤딩 각도를 센싱할 때에 비하여 각도에 변화에 따른 RC 딜레이의 변화폭이 크게 증가하고, 따라서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를 더욱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이하로는 상기 원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충전 기간 동안 펄스 발생부(151)는 스위칭부(150)를 통해 스트레인 게이지(101)와 접속되며, 일정한 주파수 및 전압 레벨을 가지는 펄스를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양단으로 출력한다. 이 때 펄스의 주파수는 10Hz~1Hz 사이에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레인 게이지(101)에는 상기 펄스의 전압이 입력되며, 금속 전극(103)은 그라운드 상태를 유지한다. 스트레인 게이지(101)와 금속 전극(103) 사이에는 절연층(102)이 구비되어 커패시터(C)가 형성되며, 상기 펄스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가 충전된다.
센싱 기간 동안 증폭부(152)는 스위칭부(150)에 의해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01)의 양단과 접속되며, 스트레인 게이지(101)로부터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을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여 적분부(153)로 출력한다. 적분부(153)는 상기 증폭된 전압을 n회(n은 2 이상의 자연수)누적한다. 이후, 누적된 전압이 일정 전압 레벨에 이르면 적분부(153)는 상기 누적된 전압을 출력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54)는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연산부(155)로 출력한다.
연산부(155)에는 외부로부터 클럭 펄스(CLK)가 입력되거나, 내부에 클럭 펄스 생성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연산부(155)에는 클럭 카운터(미도시)가 구비되고, 클럭 카운터는 상기 클럭 펄스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커패시터(C)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는 시점의 클럭 카운팅 횟수를 접힘 각도 산출부(158)로 출력한다.
접힘 각도 산출부(158)는 상기 클럭 카운팅 횟수를 이용하여 RC 딜레이 시간을 측정하고, 메모리(157) 등에 저장된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에 대응되는 RC 딜레이 시간 데이터에서 상기 측정된 RC 딜레이 시간에 대응되는 접힘 각도를 읽어들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벤딩 센서(100)의 인장 각도가 클수록 RC 딜레이 시간이 증가하며, 벤딩 센서(100)의 수축 각도가 클수록 RC 딜레이 시간은 감소한다.
그런데, 이 때 RC 딜레이에는 히스테리시스가 거의 존재하지 않아, 접힘 각도에 따른 RC 딜레이 시간의 변화는 거의 선형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메모리(157)에 저장된 접힘 각도와 RC 딜레이 시간의 관계는 도 5 에 도시된 그래프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상기 그래프의 x 축은 표시 패널의 접힘 각도이며, Y 축은 그에 따른 RC 딜레이 시간이다. 180도가 표시 패널의 접힘이 없는 상태이며, 0도는 표시 패널이 안쪽으로 최대로 접힌 상태이며, 360도는 표시 패널이 바깥쪽으로 최대로 접힌 상태이다. 표시 패널이 안쪽으로 접히는 경우 벤딩 센서(100)는 수축되며, 표시 패널이 바깥쪽으로 접히는 경우 벤딩 센서(100)는 인장된다.
RC 딜레이 시간이 가장 적은 경우는 표시 패널이 안쪽으로 최대한 접혀 벤딩 센서(100)의 수축 각도가 최대인 경우이며, RC 딜레이 시간이 가장 큰 경우는 표시 패널이 바깥쪽으로 최대로 접혀 벤딩 센서(100)의 인장 각도가 최대인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그래프는 패널의 접힘이 없는 경우가 중점에 위치하고, 수축 각도가 최대인 지점이 x 축의 가장 좌측에, 인장 각도가 최대인 지점이 x 축의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그 때에 대응되는 RC 딜레이값의 두 점(A, B)을 선형으로 연결한 형태가 된다.
그에 따라, 메모리(157)는 상기 A, B 점에 대한 데이터만 있는 경우에도 전체 각도에 따른 RC 딜레이 시간을 도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메모리(157)는 각 패널의 접힘 각도에 따른 RC 딜레이 값을 모두 측정하여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한편 증폭부(152) 또는 적분부(153)는 필요에 따라 모두 포함하거나 둘 중 하나만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최대 커패시턴스값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벤딩 센서(100)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벤딩 센서(100)가 이루는 커패시터(C)의 커패시턴스가 너무 큰 경우에는 RC 딜레이 시간도 그에 비례하여 길어지므로,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를 센싱하는 시간 또한 증가한다.
따라서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를 빠르게 센싱하기 위하여, 벤딩 센서는 도 6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의 벤딩 센서(500)는 스트레인 게이지(501)와 절연층(502)을 구비한 점에서는 도 1의 벤딩 센서(100)와 동일하며, 금속 전극(503)의 형태가 도 1의 벤딩 센서(100)의 금속 전극(103)과 상이하다.
금속 전극(503)은 스트레인 게이지(501)와 그 형태가 동일하며, 스트레인 게이지(501)가 90도 회전한 형태로 스트레인 게이지(501)의 위치에 대응되는 절연층(502)상에 배치된다. 이 때에도 금속 전극(503)은 그라운드 상태를 유지한다.
금속 전극이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가짐으로써, 벤딩 센서(500)의 스트레인 게이지(501)와 금속 전극(503)이 절연층(502)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면의 단면적이 크게 감소하므로, 벤딩 센서(500)가 형성하는 커패시터(C)의 최대 커패시턴스 값은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벤딩 센서(500)의 형태를 가질 경우, 표시 패널(10)의 폴딩 각도를 센싱하는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편의상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를 설명할 때 동시에 진행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장치에 구비된 벤딩 센서(7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8은 도 7의 B-B`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벤딩 센서(7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벤딩 센서(100)와 동일하게, 표시 패널(10)의 접히는 위치의 비표시 영역(N/A)에 구비된다. 이 때 벤딩 센서(700)는 연성 표시 장치의 한 측면 또는 양 측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의 벤딩 센서(700)는 스트레인 게이지(701)와, 스트레인 게이지(70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절연층(702), 그리고 절연층(702)의 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전극(703)으로 이루어진 커패시터 형태이다.
이 때, 금속 전극(703)은 스트레인 게이지(701)와 일부만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701)를 이루는 저항선의 중앙 부분의 상부에는 금속 전극(703)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저항선의 양 측면에 중첩되도록 금속 전극(703)이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 전극(703)의 형태는 스트레인 게이지(701)가 반전된 형태와 유사하고, 스트레인 게이지(701)의 일부를 노출한다.
그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센서(700)의 단면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701)의 일부 영역과 금속 전극(703)의 일부 영역이 절연층(702)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벤딩 센서(7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벤딩 센서(700)의 금속 전극(703)의 상세한 형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벤딩 센서(7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는, 펄스 발생부(751), 증폭부(752), 적분부(75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54) 및 연산부(755)를 포함한다.
펄스 발생부(751)는 스트레인 게이지(701)의 양단에 접속되며, 충전 기간 동안 스트레인 게이지(701)에 일정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출력하여 커패시터 형태인 벤딩 센서(700)에 전압을 충전한다.
증폭부(752)는 차동 증폭기(OP-Amp)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벤딩 센서(700)의 금속 전극(703)에 접속되고, 센싱 기간 동안 금속 전극(703)으로부터 출력되는 벤딩 센서(700)에 충전된 전압을 입력받아 이를 증폭시킨다. 또한 적분부(753)는 벤딩 센서(700)로부터 출력되고 증폭부(752)를 통해 증폭된 전압을 일정 기간 동안 누적시켜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54)는 출력된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연산부(755)로 출력한다.
연산부(755)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된 전압 정보를 이용하여 벤딩 센서(700)가 형성하는 커패시터의 전압 변화를 통해 표시 패널(10)의 벤딩 각도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연산부(755)는 메모리(757) 및 접힘 각도 산출부(75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메모리(757)에는 표시 패널(10)의 벤딩 각도에 대응되는 전압 의 변화량이 저장된다.
접힘 각도 산출부(758)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된 전압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757)에 저장된 전압에 따른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를 읽어냄으로써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를 센싱한다.
한편 증폭부(752) 또는 적분부(753)는 필요에 따라 모두 포함하거나 둘 중 하나만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접힘 각도와 벤딩 센서(700)가 형성하는 커패시터의 전압 변화와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시 패널(10)이 안으로 접히는 경우, 벤딩 센서(700) 또한 안으로 접히며 수축한다. 그러면 도 10의 (a)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701)와 금속 전극(703)이 중첩되는 면적이 감소한다. 그에 따라 벤딩 센서(700)가 수축할수록 벤딩 센서(700)가 형성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도 크게 감소하며, 따라서 이 때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또한 크게 감소한다.
도 10의 (b)는 표시 패널(10) 및 벤딩 센서(700)가 수축, 또는 팽창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에는 스트레인 게이지(701)와 금속 전극(703)이 중첩되는 면적이 앞선 경우에 비해 증가하므로, 벤딩 센서(700)가 형성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 또한 앞선 경우에 비해 크다. 따라서, 이 때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또한 증가한다.
도 10의 (c)는 표시 패널(10) 및 벤딩 센서(700)가 바깥으로 접히며 팽창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 패널(10)이 바깥쪽으로 접히는 경우, 벤딩 센서(700) 또한 바깥쪽으로 접히며 팽창한다. 그러면 도 10의 (c)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701)와 금속 전극(703)이 중첩되는 면적이 더욱 증가한다. 그에 따라 벤딩 센서(700)가 팽창할수록 벤딩 센서(700)가 형성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은 표시 패널(10)이 수축 또는 팽창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욱 커지며, 벤딩 센서(700)가 형성하는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또한 앞선 경우들에 비하여 더욱 크다.
도 11은 표시 패널이 접힘으로써 벤딩 센서(700)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180도인 경우가 표시 패널이 접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고, 180도보다 각도가 작을수록 표시 패널이 안쪽으로 많이 접힌 것이며, 180도보다 각도가 클수록 표시 패널이 바깥쪽으로 많이 접힘을 의미한다.
표시 패널이 안쪽으로 접힐수록 벤딩 센서(700)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값은 작아지고, 표시 패널이 바깥쪽으로 접힐수록 벤딩 센서(700)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메모리(757)에는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표시 패널(10)이 접히는 각도에 따른 벤딩 센서(7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레벨이 저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접힘 각도 산출부(758)는 벤딩 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통해 표시 패널(10)이 접히는 각도를 산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벤딩 센서(700)를 사용할 경우에도 별도의 휘트스톤 브리지 없이 효과적으로 표시 패널의 접힘 각도를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는 휘트스톤 브리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는 종래에 비해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회로 면적 또한 종래에 비해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표시 장치는 회로의 간소화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표시 패널의 개구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상부에 터치 패널이 더 구비된 경우,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라우팅 라인과 동일한 층에, 상기 라우팅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이용하여 스트레인 게이지를 형성할 수 있다. 터치 전극도 라우팅 라인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본 발명의 벤딩 센서는 터치 전극 어레이와 동일한 층에,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임과 동시에 접히는 영역에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벤딩 센서(100, 700)는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라우팅 라인이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이 때 스트레인 게이지(101, 701)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라우팅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이 가능하므로, 공정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표시 패널 100(300,500): 벤딩 센서
101(501,701): 스트레인 게이지 102(502,702): 절연층
103(503,703): 금속 전극 150: 스위칭부
151(751): 펄스 발생부 152(752): 증폭부
153(753): 적분부 154(754):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155(755): 연산부 156: 클럭 카운터
157(757): 메모리 158(758): 접합 각도 산출부

Claims (10)

  1. 스트레인 게이지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가 구비되고,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벤딩 센서와,
    충전 기간에는 상기 벤딩 센서에 펄스를 출력하여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센싱 기간에는 상기 벤딩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센싱하여 RC 딜레이를 측정하고, 상기 RC 딜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산출하는 벤딩 센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연성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센서 구동 회로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와 접속되어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양단에 펄스를 출력하여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펄스 발생부,
    센싱 기간에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충전 기간에는 상기 벤딩 센서를 상기 펄스 발생부와 접속시키고, 센싱 기간에는 상기 벤딩 센서를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스위칭부, 및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과, 상기 커패시터로 인해 발생하는 RC 딜레이를 측정하고, 상기 RC 딜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연성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각도에 따라 변화하는 RC 딜레이값이 저장된 메모리,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클럭 펄스를 카운팅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되는 전압값을 입력받는 시점에 카운팅된 펄스 수를 출력하는 클럭 카운터, 및
    상기 카운팅된 펄스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RC 딜레이를 측정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RC 딜레이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각도를 읽어내는 접힘 각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연성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극은,
    판형이며,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덮도록 위치하는 연성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극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와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연성 표시 장치.
  6. 스트레인 게이지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가 구비되고,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벤딩 센서와,
    상기 커패시터의 금속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센싱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접힘 각도를 센싱하는 벤딩 센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연성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센서 구동 회로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와 접속되어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양단에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와,
    상기 금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펄스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연성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레벨의 변화에 따른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 각도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커패시터로부터의 전압 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각도를 산출하는 접힘 각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연성 표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극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루는 저항선을 노출함과 아울러, 상기 저항선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양 측면과 상기 금속 전극의 양 측면이 일부 중첩되는 연성 표시 장치.
  10.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 센서는 상기 터치 패널에 구비된 터치 전극 어레이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연성 표시 장치.
KR1020150122943A 2015-08-31 2015-08-31 연성 표시 장치 KR10243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43A KR102436553B1 (ko) 2015-08-31 2015-08-31 연성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43A KR102436553B1 (ko) 2015-08-31 2015-08-31 연성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870A true KR20170025870A (ko) 2017-03-08
KR102436553B1 KR102436553B1 (ko) 2022-08-25

Family

ID=5840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43A KR102436553B1 (ko) 2015-08-31 2015-08-31 연성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55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1427A (zh) * 2017-09-05 2018-01-1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折叠状态检测装置及方法
CN109062436A (zh) * 2018-08-01 2018-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19041830A1 (en) * 2017-08-29 2019-03-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SOFT DISPLAY PANEL, SOFT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CN109584725A (zh) * 2019-01-02 2019-04-05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786430A (zh) * 2019-02-22 2019-05-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097826A (zh) * 2019-03-28 2019-08-06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显示屏弯曲检测装置和方法、显示装置
CN110224009A (zh) * 2019-06-06 2019-09-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衬底基板、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0277433A (zh) * 2019-06-27 2019-09-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检测方法
CN110459579A (zh) * 2019-08-21 2019-1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弯折检测方法
CN111712775A (zh) * 2018-02-27 2020-09-25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感测电路基于弯曲信息改变操作模式的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12703547A (zh) * 2018-10-30 2021-04-23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与弯折检测方法
CN112815823A (zh) * 2020-12-31 2021-05-1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柔性平板电容器的柔性高拉伸应变传感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534A (ja) * 2000-10-20 2002-08-20 Ethicon Endo Surgery Inc 手術用ハンドピースを制御するために指で操作されるスイッチ
KR20130113895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방법
KR20150077728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534A (ja) * 2000-10-20 2002-08-20 Ethicon Endo Surgery Inc 手術用ハンドピースを制御するために指で操作されるスイッチ
KR20130113895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방법
KR20150077728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구동 방법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1830A1 (en) * 2017-08-29 2019-03-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SOFT DISPLAY PANEL, SOFT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2424B2 (en) 2017-08-29 2022-03-2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CN107591427A (zh) * 2017-09-05 2018-01-1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折叠状态检测装置及方法
CN107591427B (zh) * 2017-09-05 2020-04-2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折叠状态检测装置及方法
CN111712775B (zh) * 2018-02-27 2023-11-03 三星电子株式会社 基于弯曲信息改变操作模式的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11712775A (zh) * 2018-02-27 2020-09-25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感测电路基于弯曲信息改变操作模式的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09062436A (zh) * 2018-08-01 2018-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062436B (zh) * 2018-08-01 2021-1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703547A (zh) * 2018-10-30 2021-04-23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与弯折检测方法
CN109584725A (zh) * 2019-01-02 2019-04-05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126226B2 (en) 2019-01-02 2021-09-21 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Bendable display panel having bending detection unit,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11374065B2 (en) 2019-02-22 2022-06-2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09786430A (zh) * 2019-02-22 2019-05-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0168821A1 (zh) * 2019-02-22 2020-08-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786430B (zh) * 2019-02-22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097826A (zh) * 2019-03-28 2019-08-06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显示屏弯曲检测装置和方法、显示装置
WO2020244567A1 (zh) * 2019-06-06 2020-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224009B (zh) * 2019-06-06 2021-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衬底基板、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0224009A (zh) * 2019-06-06 2019-09-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衬底基板、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1974493B2 (en) 2019-06-06 2024-04-3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0277433B (zh) * 2019-06-27 202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检测方法
CN110277433A (zh) * 2019-06-27 2019-09-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检测方法
CN110459579A (zh) * 2019-08-21 2019-1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弯折检测方法
CN112815823A (zh) * 2020-12-31 2021-05-1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柔性平板电容器的柔性高拉伸应变传感器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553B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5870A (ko) 연성 표시 장치
KR102396458B1 (ko) 연성 표시장치
US10088937B2 (en)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moment compensated bending sensor for load measurement on platform supported by bending beams
CN108089736B (zh) 用于感测用户输入的设备
JP6292932B2 (ja) 圧力センサ
KR102605388B1 (ko) 벤드 센싱 회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7064561B (zh) 一种单轴加速度传感器的标定装置及标定方法
KR102398552B1 (ko) 벤딩 센싱 장치를 갖는 연성 표시장치
EP32186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pressure sens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Tian et al. The novel structural design for pressure sensors
US20150212187A1 (en) Electrostatic capacitance sensor and method for correcting non-linear output
US20170030741A1 (e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evice with electrical compensation and readout circuit thereof
KR20170025620A (ko) 벤딩 센싱 장치를 갖는 연성 표시장치 및 벤딩 센싱 방법
JP6184006B2 (ja) 圧力センサ
JP6661937B2 (ja) 加速度補正データ算出装置及び加速度センサの製造方法
JP2882786B1 (ja) センサの信号処理回路
EP3462124B1 (en) Curvature measurement apparatus
CN109186819B (zh) 一种mems压力传感器模组
Kisić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 flexible polyimide based device for displacement sensing
JP2008139136A (ja) 力学量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12864A (ja) 力センサー
TWI443555B (zh) 軟性觸控感測薄膜、軟性觸控顯示裝置以及感測方法
KR101617094B1 (ko) 출력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하중 측정 장치
JP3569772B2 (ja) 静電容量型トランスデューサ用信号処理回路
JP2008224406A (ja) 物理量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