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295A -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295A
KR20170025295A KR1020150121572A KR20150121572A KR20170025295A KR 20170025295 A KR20170025295 A KR 20170025295A KR 1020150121572 A KR1020150121572 A KR 1020150121572A KR 20150121572 A KR20150121572 A KR 20150121572A KR 20170025295 A KR20170025295 A KR 20170025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lexible sheet
tire
power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훈
Original Assignee
심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훈 filed Critical 심재훈
Priority to KR102015012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295A/ko
Publication of KR2017002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60J7/1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 B60L223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6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체에 구비된 타이어의 구조 내에, <차체가 주행할 때 타이어 방향으로 가해지는 역학적 응력에 따라,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물>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무모하게 사장되고 있는 에너지(예컨대, 차체가 주행할 때 자연 생성되는 역학적 에너지)를 예컨대, 배터리 충전용도로 폭 넓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자동차 생산주체, 자동차 사용주체 측에서, 기존의 비효율적 전력운영에 따른 제품(예컨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불필요한 품질저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The car which is using a electric energy}
본 발명은 예컨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과 같은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구비된 타이어의 구조 내에, <차체가 주행할 때 타이어 방향으로 가해지는 역학적 응력에 따라,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물>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무모하게 사장되고 있는 에너지(예컨대, 차체가 주행할 때 자연 생성되는 역학적 에너지)를 예컨대, 배터리 충전용도로 폭 넓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자동차 생산주체, 자동차 사용주체 측에서, 기존의 비효율적 전력운영에 따른 제품(예컨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불필요한 품질저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기계 및 자동차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예컨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가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343433호(명칭: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시스템)(2004.3.3.자 공고),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2-5070호(명칭: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장치)(2012.7.11.자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463442호(명칭: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12.11.5.자 공고),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474884호(명칭: 자동차용 전력 변환 장치)(2014.10.22자 공고)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이슈가 범 사회적으로 폭 넓게 부각되면서,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예컨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소모전력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해당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의 성능/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에서는 배터리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회로의 성능을 개선하는 정도의 소극적 조치만을 관성적으로 강구하고 있을 뿐, 무모하게 사장되고 있는 에너지(예컨대,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가 주행할 때 자연 생성되는 역학적 에너지)를 재활용하여, 신규전력을 생산하는 등의 좀더 적극적인 조치는 전혀 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체제 하에서, 자동차 생산주체, 자동차 사용주체 등에서는 상술한 배터리 성능 개선조치, 회로성능 개선조치 등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의 비효율적 전력운영에 따른 제품 품질저하 피해를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343433호(명칭: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시스템)(2004.3.3.자 공고)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2-5070호(명칭: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장치)(2012.7.11.자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463442호(명칭: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12.11.5.자 공고)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474884호(명칭: 자동차용 전력 변환 장치)(2014.10.22자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에 구비된 타이어의 구조 내에, <차체가 주행할 때 타이어 방향으로 가해지는 역학적 응력에 따라,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물>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무모하게 사장되고 있는 에너지(예컨대, 차체가 주행할 때 자연 생성되는 역학적 에너지)를 예컨대, 배터리 충전용도로 폭 넓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자동차 생산주체, 자동차 사용주체 측에서, 기존의 비효율적 전력운영에 따른 제품(예컨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불필요한 품질저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를 구비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하단에 구비된 타이어 림(Tire rim)과; 상기 타이어 림에 끼워진 타이어와; 상기 타이어 림 및 타이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차체의 주행에 의해 상기 타이어 림 및 타이어 방향으로 역학적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역학적 응력에 상응하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패널과; 상기 발전패널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전패널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는 경우, 해당 전력을 상기 배터리 측으로 공급하는 전력공급 회로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발전패널은 상호 마주보며 결합된 상부 플렉서블 시트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와; 상기 상부 플랙서블 시트의 표면에 배치된 상부 전극층과; 상기 하부 플랙서블 시트의 표면에 배치된 하부 전극층과; 상기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렉서블 시트 및 하부 블렉서블 시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역학적 응력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렉서블 시트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의 형태가 변하는 경우, 쌍극자 모멘트에 변화를 일으켜, 상기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에 포텐셜을 발생시킴으로써, 출력전압을 생산하는 압전층을 포함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체에 구비된 타이어의 구조 내에, <차체가 주행할 때 타이어 방향으로 가해지는 역학적 응력에 따라,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물>을 추가 배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무모하게 사장되고 있는 에너지(예컨대, 차체가 주행할 때 자연 생성되는 역학적 에너지)를 예컨대, 배터리 충전용도로 폭 넓게 재활용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자동차 생산주체, 자동차 사용주체 측에서는, 기존의 비효율적 전력운영에 따른 제품(예컨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불필요한 품질저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발광패널 및 전력공급 회로세트의 기능수행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발광패널 및 전력공급 회로세트의 기능수행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1)(예컨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는 배터리(1b) 및 차량운행 제어기(1a)를 구비한 차체(1c)와, 차체(1c)의 하단에 배치되는 타이어 림(3) 및 타이어(2)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2)는 타이어 림(3)(Tire rim)의 외측 테두리에 끼워진 구조를 취하게 되며, 이 타이어 림(3)의 전방에는 휠 디스크(4)가 추가 배치되고, 타이어(2) 및 타이어 림(3)은 휠 허브(5)를 통해, 차체(1c) 측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1)의 소모전력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해당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1)의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차체(1c)에 구비된 타이어(2)의 구조 내에(예컨대, 타이어(2) 및 타이어 림(3) 사이의 계면에), <차체(1c)가 주행할 때 지면(E)과 접촉되는 타이어(2) 방향으로 가해지는 역학적 응력에 따라,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본 발명 고유의 발전패널(13)>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함과 아울러, 발전패널(13), 배터리(1b), 차량운행 제어기(1a) 등을 연결하는 전기연결 경로 상에, <발전패널(13)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1b) 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 회로세트(20)>를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러한 조치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1)는 배터리(1b)를 구비한 차체(1c), 차체(1c)의 하단에 구비된 타이어 림(3), 타이어 림(3)에 끼워진 타이어(2), 타이어 림(3) 및 타이어(2) 사이에 개재되며, 차체(1c)의 주행에 의해 타이어 림(3) 및 타이어(2) 방향으로 역학적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역학적 응력에 상응하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패널(13), 발전패널(13) 및 배터리(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전패널(13)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는 경우, 해당 전력을 배터리(1b) 측으로 공급하는 전력공급 회로세트(2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전패널(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며 결합된 상부 플렉서블 시트(13a)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13e), 상부 플랙서블 시트(13a)의 표면에 배치된 상부 전극층(13b), 하부 플랙서블 시트(13e)의 표면에 배치된 하부 전극층(13d),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플렉서블 시트(13a) 및 하부 블렉서블 시트(13e) 사이에 개재되는 압전층(13c)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전층(13e)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운전에 따라 차체(1c)의 운행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지면(E)과 접촉되는 타이어(2) 방향으로 일련의 역학적 응력이 가해져, 상부 플렉서블 시트(13a)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13e)의 형태가 변하는 경우, 자가 쌍극자 모멘트에 변화를 일으켜,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에 일련의 포텐셜을 발생시킴으로써,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1)에 필요한 출력전압을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전층(13c)은 압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구조체가 혼입된 후, 경화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보유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압전 나노입자로는 BTO 나노입자가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탄소나노구조체로는 탄소나노튜브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전패널(13)과 연계 동작하는 본 발명 고유의 전력공급 회로세트(20)는 전력전달 브러쉬(21), 로터(22), 스테이터(23), 전기연결 커넥터(24), 전기연결 라인(31,32,33)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전력전달 브러쉬(21) 측에서는 전기연결 라인(31)을 매개로 발전패널(13)과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발전패널(13) 측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로터(22) 측에서는 휠 허브(5)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구조, 스테이터(23)와 소정의 에어 갭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전자기장 커플을 이루는 구조, 전기연결 라인(32)을 통해 전력전달 브러쉬(21)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구조 등을 형성하면서, 전력전달 브러쉬(21)에 의해 발전패널(13) 측 전력이 수신되면, 스테이터(23)와의 사이에 전자기장을 형성시켜, 발전패널(13) 측 전력을 스테이터(23)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스테이터(23) 측에서는 휠 허브(5)에 비 회전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 로터(22)와 소정의 에어 갭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전자기장 커플을 이루는 구조, 전기연결 라인(33)을 통해 전기연결 커넥터(24)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구조 등을 형성하면서, 로터(22)와의 사이에 형성된 전자기장을 통해 발전패널(13) 측 전력이 전송되면, 이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발전패널(13) 측 전력을 전기연결 커넥터(2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전기연결 커넥터(24) 측에서는 전기연결 라인(33)을 통해 스테이터(23)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구조, 전기연결 라인(34)을 통해 차량운행 제어기(1a), 배터리(1b) 등과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구조 등을 형성하면서, 스테이터(23)에 의해 발전패널(13) 측 전력이 수신되면, 해당 전력을 전달받은 후, 전달 완료된 전력을 차량운행 제어기(1a), 배터리(1b) 등으로 전달하여, 결국, 발전패널(13)에 의해 생산된 전력이 배터리(1b)에 안정적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운전에 따라 차체(1c)의 운행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지면(E)과 접촉되는 타이어(2) 방향으로 일련의 역학적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역학적 응력은 발전패널(13)에 영향을 미쳐, 발전패널(13)을 구성하고 있던 상부 플렉서블 시트(13a)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13e)의 형태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과 접촉된 상태로 상부 플렉서블 시트(13a) 및 하부 블렉서블 시트(13e)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압전층(13c)은 압전 나노입자 및 탄소나노구조체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쌍극자 모멘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체(1c)의 운행에 기인한 역학적 응력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렉서블 시트(13a)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13e)가 구부러지는 경우, 압전층(13c)과 접촉되어 있던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에는 일련의 양극 포턴셜 및 음극 포텐셜이 각기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상기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에 일련의 양극 포턴셜 및 음극 포텐셜이 각기 발생한 상황 하에서, 생성된 전자는 하부 전극층(13d)으로부터 상부 전극층(13b)으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을 보이게 되며, 그에 따라,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 사이에서는 일련의 출력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출력전압의 발생상황 하에서, 발전패널(13)과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전력전달 브러쉬(21), 로터(22), 스테이터(23), 전기연결 커넥터(24) 측에서는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차체(1c) 측 배터리(1b)로 전송/전달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며, 결국,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1)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예컨대, 배터리(1b) 충전용도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체(1c)의 운행에 의해 타이어(2)가 1 바퀴 회전하는 경우(즉, 타이어(2)의 1 바퀴 회전에 의해 발전패널(13)이 지면(E)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그에 의해 야기된 역학적 응력의 변화는 발전패널(13)에 영향을 미쳐, 발전패널(13)을 구성하고 있던 상부 플렉서블 시트(13a)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13e)의 형태를 일부 펴진 형상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여기서도,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과 접촉된 상태로 상부 플렉서블 시트(13a) 및 하부 블렉서블 시트(13e)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압전층(13c)은 압전 나노입자 및 탄소나노구조체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쌍극자 모멘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이어(2)의 회전에 기인한 역학적 응력 변화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렉서블 시트(13a)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13e)가 원래의 상태로 일부 펴지는 경우,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에 발생되어 있던 일련의 양극 포턴셜 및 음극 포텐셜은 자연스러운 일부 소멸상태를 보이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상기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에 발생되어 있던 양극 포턴셜 및 음극 포텐셜이 일부 소멸된 상황 하에서, 상부 전극층(13b)에 축적되어 있던 일부 전자는 하부 전극층(13d)으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을 보이게 되며, 그에 따라, 상부 전극층(13b) 및 하부 전극층(13d) 사이에서는 일련의 출력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출력전압의 발생상황 하에서도, 발전패널(13)과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전력전달 브러쉬(21), 로터(22), 스테이터(23), 전기연결 커넥터(24) 측에서는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차체(1c) 측 배터리(1b)로 전송/전달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며, 결국,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1)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예컨대, 배터리(1b) 충전용도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체(1c)에 구비된 타이어(2)의 구조 내에, <차체(1c)가 주행할 때 타이어(2) 방향으로 가해지는 역학적 응력에 따라,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물>을 추가 배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1)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무모하게 사장되고 있는 에너지(예컨대, 차체(1c)가 주행할 때 자연 생성되는 역학적 에너지)를 예컨대, 배터리 충전용도로 폭 넓게 재활용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자동차 생산주체, 자동차 사용주체 측에서는, 기존의 비효율적 전력운영에 따른 제품(예컨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불필요한 품질저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패널(13)을 타이어(2)의 하측 부위뿐만 아니라, 상측 부위에도 추가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취할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 상측 부위에 배치된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수취/전달하기 위하여, 타이어(2)의 상측 부위에는 전력전달 브러쉬(21)가 추가 배치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상황 하에서도, 각 발전패널(13)과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전력전달 브러쉬(21), 로터(22), 스테이터(23), 전기연결 커넥터(24) 측에서는 차체(1c)의 운행 및 이에 기인한 역학적 응력 변화에 상응하는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차체(1c) 측 배터리(1b)로 전송/전달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며, 결국,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1)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전패널(13) 측 생산전력을 예컨대, 배터리(1b) 충전용도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전기의 효율적 활용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E: 지면
1: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1a: 차량운행 제어기
1b: 배터리
1c: 차체
2: 타이어
3: 타이어 림
4: 휠 디스크
5: 휠 허브
13: 발전패널
13a: 상부 플렉서블 시트
13b: 상부전극
13c: 압전층
13d: 하부전극
13e: 하부 플렉서블 시트
20: 전력공급 회로세트
21: 전력전달 브러쉬
22: 로터
23: 스테이터
24: 전기연결 커넥터
31,32,33,34: 전기연결 라인

Claims (4)

  1. 배터리를 구비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하단에 구비된 타이어 림(Tire rim)과;
    상기 타이어 림에 끼워진 타이어와;
    상기 타이어 림 및 타이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차체의 주행에 의해 상기 타이어 림 및 타이어 방향으로 역학적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역학적 응력에 상응하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패널과;
    상기 발전패널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전패널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는 경우, 해당 전력을 상기 배터리 측으로 공급하는 전력공급 회로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패널은 상호 마주보며 결합된 상부 플렉서블 시트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와;
    상기 상부 플랙서블 시트의 표면에 배치된 상부 전극층과;
    상기 하부 플랙서블 시트의 표면에 배치된 하부 전극층과;
    상기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렉서블 시트 및 하부 블렉서블 시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역학적 응력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렉서블 시트 및 하부 플렉서블 시트의 형태가 변하는 경우, 쌍극자 모멘트에 변화를 일으켜, 상기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에 포텐셜을 발생시킴으로써, 출력전압을 생산하는 압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은 압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구조체가 혼입된 후, 경화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나노입자는 BTO 나노입자이고, 상기 탄소나노구조체는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KR1020150121572A 2015-08-28 2015-08-28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KR20170025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572A KR20170025295A (ko) 2015-08-28 2015-08-28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572A KR20170025295A (ko) 2015-08-28 2015-08-28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295A true KR20170025295A (ko) 2017-03-08

Family

ID=5840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572A KR20170025295A (ko) 2015-08-28 2015-08-28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29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433Y1 (ko) 2003-08-07 2004-03-03 송명석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시스템
KR20120005070U (ko) 2011-01-03 2012-07-11 (주)비엘씨테크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장치
KR200463442Y1 (ko) 2009-12-31 2012-11-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200474884Y1 (ko) 2013-03-20 2014-10-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전력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433Y1 (ko) 2003-08-07 2004-03-03 송명석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시스템
KR200463442Y1 (ko) 2009-12-31 2012-11-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20120005070U (ko) 2011-01-03 2012-07-11 (주)비엘씨테크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장치
KR200474884Y1 (ko) 2013-03-20 2014-10-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전력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89786A (zh) 车辆充电装置
KR101637809B1 (ko) 에너지 발전소자 탑재 구조물을 갖는 차량용 리어트레이
CN105172573A (zh) 一种四驱混合动力汽车的控制系统、方法和汽车
CN103386895B (zh) 四驱电动汽车
JP2015210259A (ja) 車両性能試験システム
CN108583293B (zh) 新能源汽车的制动回馈扭矩分配方法及其四驱控制系统
CN103231653A (zh) 机械转速发电装置及机械转速发电的电动车
KR20170025295A (ko) 전기이용 타입 자동차
CN203612163U (zh) 自发电电动自行车
CN200957770Y (zh) 车辆重力发电装置
CN201761371U (zh) 自发电电动车
CN201646959U (zh) 自发电电动车
CN101643035A (zh) 太阳能高尔夫球车
CN202906787U (zh) 一种汽车轮胎损耗能量收集装置
CN207725243U (zh) 新能源汽车分布式驱动电源系统
CN201478990U (zh) 电动车辆车载自供不断电装置
CN101638059A (zh) 自发电电动轿车
CN211032184U (zh) 一种电动汽车发电机充电装置
CN113682157A (zh) 一种电动汽车增程供电系统
JP2015177733A (ja) タイヤ発電装置
CN103754182B (zh) 车用电喇叭的节能供电装置、车用电喇叭警示装置与汽车
CN204279124U (zh) 基于运动风能应用的风力辅助电动车
CN213768272U (zh) 一种新能源汽车节能装置
CN103204207A (zh) 一种自发电充电两轮电动车
CN102602297A (zh) 多能源补偿式电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