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053A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053A
KR20170023053A KR1020170023017A KR20170023017A KR20170023053A KR 20170023053 A KR20170023053 A KR 20170023053A KR 1020170023017 A KR1020170023017 A KR 1020170023017A KR 20170023017 A KR20170023017 A KR 20170023017A KR 20170023053 A KR20170023053 A KR 2017002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mounting portion
screw
stay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정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정해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ublication of KR2017002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60N2/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3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60N2/83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rea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60N2/859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rear se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24Rotary to reciprocating and rotary
    • Y10T74/18032Rotary to reciprocating or rotary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시트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관통하는 스테이로드와,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에 연결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연결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인출부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회전하여, 헤드레스트를 용이하게 전방 및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Headrest Mov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시트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관통하는 스테이로드와,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에 연결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연결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인출부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회전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탑승자 머리를 받쳐주도록 헤드레스트를 설치하는데, 종래에는 충돌(추돌) 사고의 발생시 받침부재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머리가 급격히 뒤로 꺽이지 않도록 받쳐주게 함으로써 심각한 목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변이동 헤드레스트장치(2002.1.28. 미국특허출원10/184,675)가 있으며, 상기 가변이동 헤드레스트는 도 1에서와 같이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의 내부에 힌지축으로 회동하게 장착된 타격판(1A)을 타격할 때 그 힘이 상기 타격판을 전방으로 당겨주고 있는 스프링(1B)의 탄력보다 강하면 타격판이 뒤로 밀리게 되어 상부에 로드(2A)로 연결된 헤드레스트(3A)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한 것이다.
그러나, 탑승자의 등에 강한 타격을 받아 타격판(1A)이 뒤로 밀리면 헤드레스트(3A)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머리를 받치는 위치에 도달하지만 등판이 타격판을 타격한 다음 머리가 뒤로 젖혀질 때 타격판에 가해진 힘보다 늘어난 스프링(1B)의 수축력이 크면 타격판을 즉시 전방으로 원 위치시켜 주게 되므로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복귀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있거나 또는 이미 이동된 이후에 머리가 조금 늦게 뒤로 젖혀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특허출원10/184,67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헤드레스트를 용이하게 전방 및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시트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관통하는 스테이로드와,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에 연결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연결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인출부에 대해 회전한다.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되며, 적어도 한 높이에서는 상기 인출공의 중심과 상기 삽입공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이 상기 스크류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승시 상기 장착부와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나아가,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기 연결부에 대한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시트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관통하는 스테이로드와,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에 연결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연결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인출부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회전하여, 헤드레스트를 용이하게 전방 및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되며, 적어도 한 높이에서는 상기 인출공의 중심과 상기 삽입공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이 상기 스크류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승시 상기 장착부와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부로 이동할수록, 상기 장착부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더 커져서, 탑승자가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이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 일정 높이까지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미미하여 탑승자가 불편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기 연결부에 대한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장착부가 상기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더라도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스테이로드를 상기 장착부의 상기 삽입공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조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변이동 헤드레스트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일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10의 다른 일부분 확대도.
도 13은 도 10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배면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
도 16은 도 13의 측면도.
도 17은 탑승자 조작시 헤드레스트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프리 액티브시 헤드레스트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액티브시 헤드레스트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시트프레임(10)에 대해 고정되는 인출부(113)와, 상기 인출부(1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50)와, 헤드레스트(20)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150)를 관통하는 스테이로드(210)와, 연결부(230)와, 상기 연결부(2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210)에 연결되는 장착부(220)를 포함하는 이동부재(200)와, 상기 연결부(230)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300)와, 상기 스크류(300)를 회전시키는 모터(4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150)는 상기 인출부(113)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장착부(220)는 상기 연결부(230)에 대해 회전한다.
고정부재(100)는 인출부(113)가 장착되는 상면(110) 및 지지부(131)가 형성되며 시트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인출부(113)에는 이하 서술되는 회전부재(150)가 삽입되며, 스테이로드(210)가 관통되는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0)는 상부에 배치되는 상면(110)과 상면의 중심부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상면(110)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출부(113)가 장착되는 관통공이 양측에 형성되며,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113)의 관통공(111)과 상면(110)의 상기 관통공은 연통된다.
지지부재(1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지지부(131)가 형성된다.
지지부(131)는 단면이 원 또는 원호형상이 되도록 지지부재(130)의 양측이 굴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3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지지부재(13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에는 절곡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절곡부가 상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부재(130)는 상면(11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상면(110)과 지지부재(130)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인출부(113)는 상면(110) 양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공에 장착된다.
또한, 고정부재(100)의 상면(110)에는 상기 인출부(113)가 장착되고 관통공(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이하 서술되는 이동부재(200)의 스테이로드(210)가 관통되는 회전부재(1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재(150)에는 스테이로드(210)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부재(150)가 구비되어, 스테이로드(2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할 때에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출부(113)에는 스테이로드(210)가 회전되었을 때 간섭되지 않도록 안착홈(112)이 형성된다.
이동부재(200)는 상기 스테이로드(210)에 연결되는 장착부(220)와 상기 지지부(131)를 통해 지지되는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스테이로드(210)는 상기 인출부(113)의 회전부재(150)에 삽입되며 양측에 배치되는 수직봉(211)과, 양측의 수직봉(211)을 연결하는 수평봉(212)을 포함한다.
연결부(230)는 지지부재(130)와 직각으로 연결되며 수평하게 배치된다.
연결부(2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지지부(131)가 삽입되는 삽입홈(23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230)에는 리브가 여러개 형성되어, 연결부(230)의 내구성은 향상된다.
연결부(230)는 두개의 삽입홈(232) 사이에 배치되도록 관통공(231)이 형성되고, 관통공(231)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230)의 양측에는 스테이로드(210)의 수직봉(211)이 장착되는 장착부(220)가 배치된다.
장착부(220)와 연결부(230)는 샤프트(24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장착부(220)와 연결부(230) 전방에는 샤프트(24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돌출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장착부(220)에는 스테이로드(210)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장착부(220) 및 스테이로드(210)는 연결부(230)에 대해 회전가능해진다.
이러한, 샤프트(240) 및 돌출부로 인해 장착부(220) 및 연결부(230)의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장착부(220)에는 헤드레스트(20)의 높이 조절장치인 슬리브의 걸이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테이로드(210)는 장착부(22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재(100)와 이동부재(2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지고, 장치의 전체 중량도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모터(400)는 기어드 모터 등으로 구비되어 이동부재(20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다.
모터(400)는 고정부재(100)의 상면(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스크류(300)는 상기 모터(400)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재(200)에 나사결합된다.
모터(400)의 축과 스크류(300)는 베벨기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300)는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부는 고정부재(100)의 상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스크류(300)는 연결부(230)의 관통공(231)에 삽입되어 연결부(230)와 나사결합된다.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높이에서는 회전부재(150)의 상기 인출공의 중심과 장착부(220)의 상기 삽입공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c)이 스크류(3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연결부(230)가 상승시 장착부(220)와 회전부재(150)가 연결부(230)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모터(400)에 연결된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모터(400)는 작동되어 모터(400)의 축은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크류(300)도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30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부재(200)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된다.
이동부재(200)와 스테이로드(210)는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200)가 상부로 이동할 경우에는 연결부(230)는 지지부(131)에서 안내되면서 상승하되 연결부(230)을 기준으로 장착부(220)가 회전하여 헤드레스트(20)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변하게 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210)는 상승하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어, 스테이로드(210)에 연결된 헤드레스트(20)가 탑승자의 머리를 받혀주어서 충돌 ·추돌 사고 발생시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뒷차와의 상대속도 및 상대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미도시)와,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뒷차와의 충돌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모터(400)를 작동시켜서 이동부재(200)를 상부 및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와 제어부를 구비할 경우에는 후방 충돌 위험시에 자동으로 헤드레스트(20)가 상승하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어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순한 구조를 통해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며 소음도 감소되고, 전체 중량도 감소된다.
한편, 상기 인출공의 중간부분(중심축)과 스크류(300)의 중간부분(중심축)의 사이거리가 멀어질 수록 헤드레스트(20)의 회전각도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거리를 충분히 길게 하면 헤드레스트(2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접혀지게(Folding) 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20)가 필요없을 경우에는 헤드레스트(20)를 접어서 탑승자의 시야각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인출공의 중간부분(중심축)이 스크류(300)의 중간부분(중심축)보다 전방에 배치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는 전방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배치되면 후방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0)에 대해 고정되는 인출부(113)와, 상기 인출부(1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50)와, 헤드레스트(20)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150)를 관통하는 스테이로드(210)와, 연결부(230')와, 상기 연결부(2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210)에 연결되는 장착부(220')를 포함하는 이동부재(200)와, 상기 연결부(230')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300)와, 상기 스크류(300)를 회전시키는 모터(4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150)는 상기 인출부(113)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장착부(220')는 상기 연결부(230')에 대해 회전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의 고정부재(100)는 상부에 배치되는 상면(110)과 상면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30')와 양측의 지지부재(130')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면(140)을 포함한다.
양측의 지지부재(130')는 상면(110)에 형성된 두개의 인출부(113)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131')는 관통구멍으로 구비된다.
지지부(131')는 지지부재(13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면(140)에는 스크류(300)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멍으로 인해 스크류(300)는 하면(140)에 대해 회동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하면(140)으로 인해 스크류(300)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230')는 단면이 사각형인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스크류(300)가 관통되는 관통공(231)이 형성된다.
*연결부(230')의 양측에는 샤프트(240')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장착부(220')는 블럭형상으로 형성되며, 샤프트(240')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장착부(220')는 연결부(230')에 대해 회동가능해진다.
또한, 장착부(220')에는 스테이로드(210)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스테이로드(210)가 설치된다.
이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400)는 상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면(1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스크류(300)에 연결된다.
또한, 모터(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40)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400)에 연결된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모터(400)는 작동되어 모터(400)의 축은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크류(300)도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30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부재(200)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된다.
이동부재(200)와 스테이로드(210)는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200)가 상부로 이동할 경우에는 연결부(230')는 지지부(131')에서 안내되면서 상승하되 연결부(230')을 기준으로 장착부(220')가 회전하여 헤드레스트(20)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시트프레임(10')에 대해 고정되는 인출부(513)와, 상기 인출부(5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550)와, 헤드레스트(20)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550)를 관통하는 스테이로드(610)와, 연결부(630)와, 연결부(6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610)에 연결되는 장착부(620)를 포함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연결부(630)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700)와, 상기 스크류(700)를 회전시키는 모터(8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550)는 상기 인출부(513)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장착부(620)는 상기 연결부(630)에 대해 회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재는 인출부(513)가 형성되며 시트프레임(10')에 설치된다.
시트프레임(10')은 앞판(11)과 앞판(11)의 상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판(12)을 포함한다. 상판(12) 양측에는 인출부(513)가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부(513)는 상하방향으로 스테이로드(610)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인출부(513)의 후방으로 편심되게 배치된다.
나아가, 인출부(513)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핀삽입공이 형성된다.
*인출부(513)에는 이하 서술되는 스테이로드(610)가 관통되는 회전부재(5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재(550)에는 스테이로드(610)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다.
회전부재(550)는 인출부(513)의 안착홈에 안착된다.
회전부재(550)는 전방하부에 핀이 삽입되며, 상기 핀은 인출부(513)의 핀삽입공에 삽입된다.
회전부재(550)는 인출부(513)의 안착홈에 후방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회전부재(550)의 전면과 인출부(513)의 내벽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스테이로드(610)가 전방으로 회전하더라도 스테이로드(610)가 인출부(513)로 인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인출부(513)는 하부 양측에 후크(5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인출부(513)를 시트프레임(10')의 구멍에 끼워넣으면 후크(514)가 시트프레임(10')의 상판(12)에 걸리게 되어 인출부(513)는 시트프레임(10')에 원터치로 설치된다.
고정부재는 시트프레임(10')의 상판(12)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면(510)과, 하면(540)과, 상면(510)과 하면(540)의 양측을 연결하는 배면(560)을 포함하는 마운팅브라켓과, 상면(510) 및 하면(54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면(510)에도 인출부(513)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510) 및 하면(540)에는 지지부재(530)가 삽입되는 제1관통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면(510) 및 하면(540)에는 스크류(700)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제1관통공 사이에 배치된다. 상면(510)의 구멍은 상기 제2관통공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면(510)에 형성된 제2관통공은 하면(540)에 형성된 제2관통공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하면(54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면(540)과 배면(560) 사이 각은 예각이 된다.
지지부재(530)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530)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제1관통공에 각각 상부와 하부가 삽입되고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상면(510) 및 하면(540)에는 상기 너트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기 제1관통공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530)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보강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부재(530)는 연결부(630)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동부재는 헤드레스트(20)에 연결되며 인출부(513)를 통해 인출되는 스테이로드(610)와, 스테이로드(610)에 연결되는 장착부(620)와, 장착부(6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630)를 포함한다.
스테이로드(610)는 회전부재(550)의 인출공에 삽입되며 양측에 배치되는 수직봉(611)과, 양측의 수직봉(611)을 연결하는 수평봉(612)을 포함한다.
수직봉(611)은 상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직봉(611)의 하부 외주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620) 및 연결부(630)에는 샤프트(640)가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장착부(620)는 연결부(6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64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반원통형상의 돌출부(641)가 각각 형성된다.
샤프트(640)의 양쪽 끝에는 푸쉬너트(660)가 끼워져서, 샤프트(640)가 장착부(6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된다.
장착부(620)는 스테이로드(610)의 수직봉(611) 하부에 배치된다.
장착부(620)는 스테이로드(610)의 수직봉(611)이 삽입되는 삽입공(625)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샤프트(640)의 돌출부(641)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626)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삽입공(626)을 둘러싸도록 제1돌출부(623)가 형성되며, 제1돌출부(623)의 끝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2돌출부(624)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삽입공(626)은 돌출부(64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부(620)는 샤프트(640)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장착부(620)는 제1끼움홈(621)이 형성되고, 삽입공(625)에 연통되도록 제2끼움홈(6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끼움홈(622)에는 스테이로드(610)의 수직봉(611)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클립(670)이 끼워진다. 클립(670)은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c'모양으로 형성된다.이러한 클립(670)으로 인해 수직봉(611)이 장착부(6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연결부(630)는 양측에 배치되는 장착부(620)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부(630)는 후방 중심부에 스크류(700)가 나사결합되는 체결공(631)이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 지지부재(530)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632)이 형성되며,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샤프트(640)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633)이 형성되고, 제2관통공(633)에 연통되도록 전방 양측에는 제2돌출부(624)가 삽입되는 삽입홈(635)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끼움홈(634)이 형성된다.
일측이 끼움홈(634)에 끼워져서 연결부(6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끼움홈(621)에 끼워져서 장착부(620)에 연결되는 스프링(650)이 구비된다.
스프링(65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제1돌출부(623)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장착부(620)의 연결부(630)에 대한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는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620)에 형성된 제2돌출부(624)가 삽입되는 연결부(630)에 형성된 삽입홈(6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635)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호의 중심각이 제2돌출부(624)의 원호 중심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돌출부(624)는 삽입홈(635)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그 이외의 각도에서는 제2돌출부(624)가 연결부(630)에 걸리게 되어 장착부(620)는 연결부(630)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650)으로 인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장착부(620)가 연결부(6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더라도 장착부(620)는 연결부(630)에 대해 일정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테이로드(610)의 수직봉(611)를 장착부(620)의 삽입공(625)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조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스크류(700)는 연결부(630)의 체결공(631)을 관통하며, 상부는 상판(12) 및 상면(510)을 관통하고, 하부는 하면(54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스크류(7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800)는 스크류(700)를 회전시켜서 이동부재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다.
모터(800)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에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를 통해 스크류(7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베벨기어에는 모터(800)의 축이 연결되고, 상기 제2베벨기어에는 스크류(700)가 연결된다.
상기 제2베벨기어에는 스크류(70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의 내벽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스크류(700)의 치형과 맞물리게 된다.
모터(800)는 모터마운팅브라켓(810)에 의해 하면(54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적어도 한 높이에서는 적어도 한 높이에서는 상기 인출공의 중심과 상기 삽입공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c)이 스크류(7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연결부(630)가 상승시 장착부(620)와 회전부재(550)가 연결부(630)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630)가 상부로 이동할수록, 상기 장착부(620) 및 회전부재(550)가 상기 연결부(630)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더 커진다.
즉, 본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일정 높이까지는 이동부재가 상부로 이동시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미미하게 된다. 그러나, 일정 높이 이상에서는 헤드레스트(20)가 전방으로 급격히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헤드레스트(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이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 일정 높이까지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미미하여 탑승자가 불편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모터(800)가 작동되면 모터(800)의 축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1베벨기어가 회전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에 맞물리는 상기 제2베벨기어도 회전되고 상기 제2베벨기어에 연결된 스크류(700)도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70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부재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된다.
동시에 스테이로드(610)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가 상부로 이동할 경우에 연결부(630)는 상승하되 연결부(630)를 기준으로 장착부(62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헤드레스트(20)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조립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630)의 체결공(631)에 스크류(700)를 나사결합시키고, 제1관통공(632)에 지지부재(530)를 끼워넣고, 제2관통공(633)에 샤프트(640)를 관통시킨다.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제1관통공에 지지부재(530)를 끼워넣은 후에 지지부재(530)의 상부 및 하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지지부재(530)를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설치한다.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제2관통공에 스크류(700)를 끼워넣는다.
스크류(700)의 하부가 상기 제2베벨기어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모터마운팅브라켓(810)을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하면(540)에 볼트로 고정시킨다.
장착부(620)의 제1돌출부(623)에 스프링(650)을 끼워넣고, 스프링(650)의 타측은 장착부(620)의 제1끼움홈(621)에 끼워넣는다.
샤프트(640)의 양측에 장착부(620)를 끼워넣으면서, 스프링(650)의 일측은 연결부(630)의 끼움홈(634)에 끼워넣는다.
샤프트(640)의 양단에 푸쉬너트(660)를 끼워넣는다.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상면(510)을 시트프레임(10')의 상판(12) 위에 올려놓은 후에 리벳팅하여 고정한다.
인출부(513)의 안착홈에 회전부재(550)를 삽입하고, 핀을 인출부(513) 및 회전부재(550)에 삽입한다.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상면(510) 및 시트프레임(10')의 상판(12)에 형성된 구멍에 인출부(513)를 끼워넣는다.
*스테이로드(610)의 수직봉(611)을 회전부재(550)에 끼워넣고 장착부(620)의 삽입공(625)에 끼워넣는다. 이때, 장착부(620)는 스프링(650)과 상기 스토퍼로 인해 삽입공(625)이 상부로 향하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장착부(620) 및 수직봉(611)에 형성된 제2끼움홈(622) 및 끼움홈에 클립(670)을 끼워넣는다.
이로써,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고 위험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제어부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뒷차와의 충돌 확률을 계산한 후에 충돌 확률에 따라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확률이 50% 미만일 경우(충돌 확률이 '하'일 경우)에는, 탑승자가 헤드레스트(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작동버튼을 눌러서 직접 조작할 때만 모터(800)는 작동된다.(Manual단계)
이와 같이 탑승자가 직접 모터(800)를 작동시켜서 헤드레스트(2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이동부재가 정해진 높이까지만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20)의 높이 변화 폭은 크나 헤드레스트(20)의 전방 이동 폭은 미미한 구간까지 이동부재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헤드레스트(20)의 높이 조절시 헤드레스트(20)가 전방으로 큰폭으로 이동되어 탑승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확률이 50% 이상 80%이하가 되는 것(충돌 확률이 '중'일 경우)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800)를 작동시켜서 자동으로 헤드레스트(20)를 일정높이까지 상승시키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충돌을 대비하는 단계(Pre active 단계)가 포함되어 실제 충돌시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확률이 80%이상이 되는 것(충돌 확률이 '상'일 경우)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800)를 더 작동시켜서 헤드레스트(20)를 최대높이까지 상승시키는 동시에 최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충돌시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tive 단계)
나아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동부재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9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센서(910)는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는 모터(800)를 제어한다.
센서(910)는 상기 이동부재의 연결부(630)에 부착된 자석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910)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상면(510) 및 하면(540)에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고정되는 센서설치봉(90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910)는 여러개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최하단 높이와, 최상단 높이와, Manual 단계시의 높이와, Pre active 단계시의 높이 등에 배치된다.
센서(910)는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최하단 높이와, 최상단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최하단 또는 최상단에 위치했을 때를 감지하여 더이상 모터(80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모터(800)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910)는 상기 이동부재가 Manual 단계일때의 높이에 여러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탑승자가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을 단계적으로 할 수 있다.
센서(910)는 상기 이동부재가 Pre active단계 일때의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를 정해진 높이까지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부재 200 : 이동부재
300 : 스크류 400 : 모터

Claims (3)

  1. 시트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관통하는 스테이로드와,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에 연결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연결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인출부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되며,
    적어도 한 높이에서는 상기 인출공의 중심과 상기 삽입공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이 상기 스크류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승시 상기 장착부와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기 연결부에 대한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70023017A 2009-12-15 2017-02-2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70023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4513 2009-12-15
KR1020090124513 2009-12-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624A Division KR101738962B1 (ko) 2009-12-15 2010-11-3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053A true KR20170023053A (ko) 2017-03-02

Family

ID=444010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624A KR101738962B1 (ko) 2009-12-15 2010-11-3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70023017A KR20170023053A (ko) 2009-12-15 2017-02-2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70040809A KR20170040784A (ko) 2009-12-15 2017-03-3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624A KR101738962B1 (ko) 2009-12-15 2010-11-3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809A KR20170040784A (ko) 2009-12-15 2017-03-3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26020B2 (ko)
JP (1) JP5712222B2 (ko)
KR (3) KR101738962B1 (ko)
CN (1) CN102666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030B1 (ko) * 2013-06-12 2014-09-23 조성범 헤드레스트 겸용 지압장치
KR101585850B1 (ko) * 2015-02-27 2016-01-15 (주)현대기업 파워 헤드레스트 장치
CN205758109U (zh) * 2016-02-18 2016-12-07 罗刚 一种座椅可调节靠背头枕
KR101769342B1 (ko) 2016-04-26 2017-08-2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N107336646B (zh) * 2017-07-08 2019-11-01 江苏锡沂高新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头枕的汽车座椅
CN107323317A (zh) * 2017-07-08 2017-11-07 苏州力佳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头枕的座椅
DE102017117847A1 (de) * 2017-08-07 2019-02-07 Faurecia Autositz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stellung eines Sitzes
DE102017117846A1 (de) * 2017-08-07 2019-02-07 Faurecia Autositz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stellung eines Sitzes
EP3486116B1 (en) * 2017-11-21 2020-08-26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Motor-vehicle seat
EP3492310B1 (en) * 2017-11-29 2020-06-24 Schukra Gerätebau GmbH Adjustment mechanism for motorized multi-way seat adjustment
EP3492311B1 (en) 2017-11-29 2020-05-27 Schukra Gerätebau GmbH Clutch-based adjustment mechanism for motorized multi-way seat adjustment
US20200247276A1 (en) * 2019-02-05 2020-08-06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Electric power actuation tilting head restraint with automated deployment
US11148570B2 (en) * 2019-11-26 2021-10-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uating rear center head restraint
CN110901486B (zh) * 2019-11-27 2021-10-29 诺创汽车科技(上海)有限公司 座椅头枕翻转机构与汽车座椅
CN114801933B (zh) * 2021-08-26 2023-04-07 延锋国际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座椅电动头枕
US20240010113A1 (en) * 2022-07-05 2024-01-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ergy absorbing headrest for a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675B1 (ko) 1991-07-24 1999-04-15 이노우에 쥰이치 챔버내의 전극에 있어서의 실제의 rf파워를 검출 및 제어 가능한 플라즈마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833B2 (ja) * 1987-02-28 1996-10-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ツドレスト装置
JPH066758Y2 (ja) * 1989-03-31 1994-02-23 池田物産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JPH0711647Y2 (ja) * 1989-07-27 1995-03-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ツドレスト装置
JPH05253034A (ja) * 1992-03-11 1993-10-05 Ikeda Bussan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US6088640A (en) * 1997-12-17 2000-07-1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head of an occupant in the presence of objects that obscure the head
JP2898177B2 (ja) 1993-07-27 1999-05-31 池田物産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JP2754318B2 (ja) * 1993-09-17 1998-05-20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0060678A (ja) * 1998-08-26 2000-02-29 Nissan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KR20010026884A (ko) * 1999-09-09 2001-04-06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JP2008074265A (ja) * 2006-09-21 2008-04-03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
KR100992540B1 (ko) * 2007-12-14 2010-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장치
JP5253034B2 (ja) * 2008-08-07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675B1 (ko) 1991-07-24 1999-04-15 이노우에 쥰이치 챔버내의 전극에 있어서의 실제의 rf파워를 검출 및 제어 가능한 플라즈마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845A (ko) 2011-06-22
JP5712222B2 (ja) 2015-05-07
CN102666196A (zh) 2012-09-12
JP2013512724A (ja) 2013-04-18
KR101738962B1 (ko) 2017-05-23
US20120222511A1 (en) 2012-09-06
US8926020B2 (en) 2015-01-06
CN102666196B (zh) 2014-07-16
KR20170040784A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96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10434860B2 (en) Kart
US5288129A (en) Structure of a vertically movable powered headrest
JP6644914B2 (ja) ヘッドレス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CN106660572B (zh) 具有倾斜调整的转向柱组件及用于抵抗冲击的改进组装方法
US7648200B2 (en) Headrest device
US9878645B2 (en) Electric-powered headrest
JP2015058929A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US20130113247A1 (en) Adjustment device for motor vehicle seats, in particular height adjustment devices
US10384571B2 (en) Suspension device
CN110316242A (zh) 转向柱装置
KR20210072925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EP1765634A1 (en) Rotating armrest mechanism
EP2524623B1 (en) Chair arrangement
JP4449896B2 (ja) 揺動型運動装置
JP4575183B2 (ja) 椅子
KR10116272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MXPA04007440A (es) Soporte de cuello para el respaldo de los asientos del automovil, en particular asientos traseros.
KR10122915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장치
KR101736736B1 (ko) 폴딩 가능한 헤드레스트
US20220105876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gle of monitor on vehicle seat back
JP6141634B2 (ja) 椅子
SU943027A1 (ru) Подвеска сиден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4203217A (ja) 車両用シート
JP2004090845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