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898A -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 Google Patents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898A
KR20170022898A KR1020160103548A KR20160103548A KR20170022898A KR 20170022898 A KR20170022898 A KR 20170022898A KR 1020160103548 A KR1020160103548 A KR 1020160103548A KR 20160103548 A KR20160103548 A KR 20160103548A KR 20170022898 A KR20170022898 A KR 20170022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sterilizing
gas
uni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이케다 기카이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케다 기카이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케다 기카이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2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94Gaseous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21/00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21/02Glove-boxes, i.e. chambers in which manipulations are performed by the human hands in gloves built into the chamber walls; Glo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65B5/045Packaging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61L2202/181Flexible packaging means, e.g. permeable membranes,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Abstract

[해결 수단] 멸균 장치는, 멸균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멸균부와, 상기 멸균 대상물을 수납하는 봉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2 멸균부와,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의 양쪽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는 멸균 가스 공급 계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내시경 등의 멸균 대상물을 멸균 가스로 멸균하는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내시경 등의 멸균 처리가 필요한 멸균 대상물의 세정이나 살균을 행하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 종류의 장치는, 예를 들면, 멸균 대상물을 세정 소독하기 위한 세정조(洗淨槽)와, 세정액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세정조에 멸균 대상물을 세팅하고, 세정조 내에 소독액(오존수)을 공급하여, 소독액 중에 멸균 대상물을 침지하면서, 또한 세정액을 멸균 대상물에 분사함으로써, 멸균 대상물을 세정 소독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03-135396호 공보 참조).
그런데, 종래의 상기 장치에서는, 오존수를 사용하여 멸균 대상물을 소독하고 있으므로, 오존수로는 멸균 대상물의 외부 및 내부에 퇴적된 세균을 확실하게 멸균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정 소독한 멸균 대상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멸균 대상물을 장치로부터 꺼내어 봉지(bag)에 채워 넣는 경우가 있으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봉지에 채워 넣는 것에 대해 일체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시경의 외부 및 내부에 퇴적된 세균을 확실하게 멸균할 수 있는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특징에 관한 기본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간단한 개요를 이하에 기재한다. 본 개요는, 본 발명의 외연(外延)에 대한 개략을 나타낸 것은 아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주요 또는 중요 요소(要素)를 특정하는 것, 또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그 목적은, 발명의 몇 가지 기본 개념을, 이후에 계속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의 서론으로서, 간소화한 형태로 제시하는 것뿐이다.
본 발명에 관한 멸균 장치는, 멸균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멸균부와, 상기 멸균 대상물을 수납하는 봉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2 멸균부와,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의 양쪽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는 멸균 가스 공급 계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의하면,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의 각각으로부터 멸균 가스를 배기하는 멸균 가스 배기 계통을 포함하고,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한 후에, 상기 멸균 가스를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로부터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을 통하여 배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멸균부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가지는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멸균 대상물이 상기 탱크 내부에 투입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멸균 대상물이 상기 탱크 내부로부터 꺼내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멸균부와 상기 탱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멸균 대상물의 상기 봉지로의 수납 작업을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멸균 방법은, 멸균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멸균부와, 상기 멸균 대상물을 수납하는 봉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2 멸균부와,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의 양쪽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는 멸균 가스 공급 계통을 포함하는 멸균 장치를 사용한 멸균 방법으로서,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의 내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1 멸균부에 수용된 상기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하는 것, 및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2 멸균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2 멸균부에 수용된 상기 봉지를 멸균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멸균 처리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의 각각으로부터 멸균 가스를 배기하는 멸균 가스 배기 계통을 포함하고,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한 후에, 상기 멸균 가스를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로부터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을 통하여 배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멸균 처리 공정 후에,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의 내부의 멸균 가스를 멸균 장치의 외부로 배기하고, 또한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2 멸균부의 내부의 멸균 가스를 멸균 장치의 외부로 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 멸균 처리 공정 후에, 상기 제1 멸균부 또는 상기 제2 멸균부의 내부에서, 상기 멸균 대상물을 상기 봉지에 채워 넣는 봉지 채우기 작업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 멸균 처리 공정에서는, 칸막이에 의해 상기 제1 멸균부와 상기 제2 멸균부를 서로 비연통(非連通) 상태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멸균하고, 상기 봉지 채우기 작업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멸균부와 상기 제2 멸균부를 비연통 상태로 칸막이한 상기 칸막이를 개방하여 상기 제1 멸균부와 상기 제2 멸균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멸균부에서 봉지 채우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멸균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탱크의 주위벽에 배치된 복수의 노즐과, 탱크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바스켓의 회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바스켓 내에 배치된 복수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탑재된 상태의 복수의 내시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복수의 홀더에 처치 도구의 삽입구가 탑재된 상태의 복수의 내시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내시경의 외부 세정 공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내시경의 내부 세정 공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7은, 탱크 내의 내시경의 멸균 처리 공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2 챔버의 봉지의 멸균 처리 공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멸균 처리된 봉지에 멸균 처리된 내시경을 봉지에 채워 넣는 작업 공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멸균 장치(1)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멸균 대상물(A)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멸균부(2)와, 멸균 대상물(A)을 수납하는 봉지(B)를 수납할 수 있는 제2 멸균부(4)와, 제1 멸균부(2) 및 제2 멸균부(4)의 양쪽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는 멸균 가스 공급 계통(28)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멸균 대상물(A)로서 내시경이 적용된다[이하, 내시경(A) 라고 함].
멸균 가스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질소(NO2)가 사용된다.
제1 멸균부(2)는,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1 챔버(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챔버(20)의 내부에는, 멸균 대상물(A)을 멸균하기 위한 탱크(21), 및 후술하는 바스켓(22)을 탱크(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10)가 설치된다.
탱크(21)는, 탱크 본체(210)와, 상기 탱크 본체(210)의 개구부(210a)를 개폐하는 커버(211)와, 탱크 본체(210)의 내부에, 상기 탱크 본체(210)에 대하여 동심형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바스켓(22)과, 상기 바스켓(22)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시경(A)의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홀더(23)를 포함한다. 그리고, 탱크 본체(210)의 커버(211)는, 탱크 본체(210)의 내부와 제2 챔버(40)의 칸막이로 되어 있다. 즉, 제1 멸균부(2)와 제2 멸균부(4)는, 커버(211)에 의해 서로 비연통 상태로 분리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멸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스켓(22)은, 20㎜×20㎜ 메쉬의 주위벽을 가지는 원통체로 구성되며, 복수의 내시경(A)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회전부(10)는, 모터(100)와, 상기 모터(100)의 구동축(101)에 고착된 풀리(pully)(P1)와, 바스켓(22)의 바닥부의 중심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102)과, 상기 회전축(102)에 고착된 풀리(P2)와, 풀리(P1) 및 풀리(P2)에 감긴 벨트(103)를 포함한다.
회전축(10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02)은, 고압 에어에 의해 UF수(순수)가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탱크(21)의 내부에서 복수의 급수관(102a)으로 분기되어, 후술하는 홀더(23)의 기단부(基端部)[유체 공급로(23a)]에 접속된다.
홀더(23)에는, 내시경(A)의 처치 도구 삽입구(A1)에 세정액, 및 건조 공기(본 실시 형태에서는 온풍)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공급로(23a)가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탱크 본체(210)의 주위벽에는, 멸균 처리 공정 전에, 내시경(A)의 외부를 세정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24)과, 내시경(A)의 외부를 세정하는 복수의 초음파 발진기(發振機)(25)가 배치된다.
노즐(24)은, 탱크 본체(210)의 중심에 분출구(선단부)(24a)가 향하도록, 탱크 본체(210)의 주위벽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노즐(24)은, 탱크 본체(210)의 주위벽에 대하여, 탱크 본체(210)의 축 방향으로 상하로 간격을 두고 2개씩 배치되고, 탱크 본체(210)의 주위 방향에 걸쳐 복수 조(組) 더 배치된다.
복수의 초음파 발진기(25)가 발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도시하지 않음)가, 복수의 초음파 발진기(25)의 외부에 설치된다. 또한, 초음파 발진기(25)는, 상하로 배치된 노즐(24, 24)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발진기(25)는, 탱크 본체(210)의 중심에 출력부(선단부)(25a)가 향하도록, 탱크 본체(210)의 주위벽에 배치된다.
그리고, 탱크 본체(210)의 개구부(210a)는, 내시경(A)을 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탱크 본체(210)의 개구 단부는, 제1 챔버(20)와 제2 챔버(40)의 격벽(D)에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 본체(210)의 커버(211)를 여는 것에 의해 탱크 본체(210)의 내부와 제2 챔버(40)의 내부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챔버(20) 내에는, 세정액 공급 계통(26)과, 세정액 배액(排液) 계통(27)과, 멸균 가스 공급 계통(28)과, 멸균 가스 배기 계통(29)과, 건조 공기 공급 계통(30)과, 건조 공기 배기 계통(31)과, 습도 컨트롤러(32)와, 진공 계통(33)과, 홀더(23)로의 홀더용 세정액 공급 계통(34)과, 홀더(23)로의 압공(壓空) 계통(35)이 포함되어 있다.
세정액 공급 계통(26)은, 복수의 노즐(24)에 내시경(A)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세정액 공급 계통(26)은, 탱크(21)에 제트 분사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관(260)과, 상기 공급관(260)에 설치된 개폐 밸브(260a)를 포함한다.
세정액 배액 계통(27)은, 복수의 노즐(24)로부터 공급된 제1 챔버(20) 내의 세정액을 멸균 장치(1)의 외부로 배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세정액 배액 계통(27)은, 탱크(21)에 급수된 순수를 멸균 장치(1)의 외부에 배수하는 배수관(270)과, 상기 배수관(270)에 설치된 개폐 밸브(270a)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정액으로서 순수(UF수)를 사용한다. 또한, 세정액의 양은, 내시경(A)의 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공급된다.
멸균 가스 공급 계통(28)은, 멸균 가스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탱크(21)의 내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280)과, 상기 가스 공급관(280)에 설치된 개폐 밸브(280a)를 포함한다.
건조 공기 공급 계통(30)은, 세정 공정 후의 탱크(21)의 내부와, 내시경(A)의 외부를 노즐(24)로부터의 건조 공기(온풍)에 의해 건조시키면서, 또한 내시경(A)의 내부를 홀더(23)로부터의 건조 공기(온풍)에 의해 건조시킨다. 또한, 건조 공기 공급 계통(30)은, 건조용 공기(온풍)를 공급하는 건조 공기 공급원(도시하지 않음)과, 건조 공기 공급원에 접속되어, 탱크(21) 및 제2 챔버(40)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공기(온풍)를 공급하는 건조 공기 공급관(300)과, 상기 건조 공기 공급관(300)에 설치된 개폐 밸브(300a)를 포함한다.
건조 공기 배기 계통(31)은, 탱크(21) 및 제2 챔버(40)를 건조한 후의 건조 공기(온풍)를 멸균 장치(1)의 외부로 배기하는 건조 공기 배기관(310)과, 상기 건조 공기 배기관(310)에 설치된 배기 밸브(310a)를 포함한다.
또한, 탱크(21)의 내부에는, 탱크(21)의 내부의 습도를 조정하는 습도 컨트롤러(32)가 설치된다.
진공 계통(33)은, 멸균 가스를 공급하는 환경을 정돈하기 위해, 탱크(21) 및 내시경(A)의 내부를 진공 배기(air purge)하기 위한 압력 조정 배관(330)과, 상기 압력 조정 배관(330)에 설치된 개폐 밸브(330a)를 포함한다.
홀더용 세정액 공급 계통(34)은, 홀더(23)의 유체 공급로(23a)에 순수를 공급하는 공급관(340)과, 상기 공급관(340)에 설치된 개폐 밸브(34a)를 포함한다. 또한, 압공 계통(35)은, 내시경(A)의 내부를 제트 분사로 세정하기 위한 고압 에어를 공급하는 고압 에어 배관(350)과, 고압 에어 배관(350)에 설치된 고압 에어 공급 밸브(35a)를 포함한다.
제2 챔버(40)는, 복수의 투명의 판재로 둘러싸여 형성된 룸이다. 제2 챔버(40)는, 커버(211)를 개방한 상태의 탱크(21)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제2 챔버(40)는, 내시경(A)의 멸균 처리 후에, 탱크 본체(210)의 개구부(210a)로부터 꺼내어진 내시경(A)을 봉지(B)에 채워 넣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챔버(40) 내에는, 복수의 봉지(B)가 유지된 봉지 유지부(41)와, 제2 챔버(40)의 외부로부터 봉지 채우기 작업을 하기 위한 글러브(G)와, 내시경(A)을 봉지에 채워 넣은 상태의 봉지(B)의 개구부를 봉함(封緘)하는 봉함부(30)와, 멸균 가스 공급 계통(44)과, 멸균 가스 배기 계통(45)과, 습도 컨트롤러(46)가 배치된다.
글러브(G)는, 작업자가 멸균 장치(1)의 외부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제2 챔버(40) 내에서 작업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봉지(B)는, 내시경(A)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부직포로 형성됨으로써, 봉지(B)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및 외부로부터 내부로 멸균 가스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봉함부(3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봉지(B)의 개구부를 가열 밀봉(heat seal)하는 핸드 실러이다.
멸균 가스 공급 계통(44)은, 가스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제2 챔버(40)의 내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44)과, 상기 가스 공급관(44)에 설치된 개폐 밸브(440a)를 포함한다.
멸균 가스 배기 계통(45)은, 제2 챔버(40)로부터 멸균 가스를 멸균 장치(1)의 외부, 예를 들면, 소정의 배기 처리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배기하는 가스 배기관(450)(290)과, 상기 가스 배기관(450)(290)에 설치된 개폐 밸브(450a)(290a)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챔버(40)의 멸균 가스 배기 계통(45)은, 제1 챔버(20)의 멸균 가스 배기 계통(29)과 공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탱크(21)의 내부에 고인 세정 후의 세정액을 배수하는 배수구에는, 스트레이너(strainer) 또는 필터가 적절히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탱크(21)의 내부, 및 제2 챔버(40)의 내부의 각각에는, 멸균 가스의 농도를 검지하기 위한 농도 센서와, 건조 공기(온풍)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멸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멸균 방법은, 세정액을 복수의 노즐(24)로부터 제트 분사하여 내시경(A)의 외부를 세정하는 내시경 외부 세정 공정과, 내시경 외부 세정 공정 후에 내시경(A)의 외부를 초음파 세정하는 초음파 세정 공정과, 세정액을 복수의 홀더(23)로부터 제트 분사하여 내시경(A)의 내부를 세정하는 내시경 내부 세정 공정과, 멸균 가스에 의해 내시경(A)의 외부 및 내부를 멸균하는 멸균 처리 공정과, 멸균 처리 공정 후, 멸균된 봉지(B)에 멸균된 내시경(A)을 채워 넣는 수납 작업(봉지 채우기 작업) 공정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시경(A)에 대하여, 제트 분사 세정 및 초음파 세정이 반복된다.
먼저, 내시경 외부 세정 공정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챔버(40)를 개방하여, 탱크(21)의 커버(211)를 열어, 탱크(21)의 개구부(210a)를 개방한다. 그리고, 탱크(21)의 개구부(210a)로부터 복수의 내시경(A)(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 개)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탱크(21)의 내부의 바스켓(22)의 바닥부에 복수의 내시경(A)을 순차적으로 세팅한다(스텝 S0).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시경(A)의 가요관(可撓管)을 권취하면서, 홀더(23)의 유체 공급로(23a)의 개구부에 내시경(A)의 처치 도구 삽입구(A1)를 탑재한다.
다음에, 탱크(21)의 커버(211)를 닫아 제2 챔버(40)와 비연통 상태로 하고, 탱크(21)의 개구부(210a)를 폐색한다. 그리고, 복수의 노즐(24)에 압력을 가하면서 순수를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회전부(10)에 의해 바스켓(22)을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내시경(A)의 외부가 제트 분사로 세정된다(스텝 S1).
다음에, 초음파 세정 공정으로 이행한다(스텝 S2). 즉, 초음파 발진기(25)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진시키고, 또한 초음파 진동에 의해 내시경(A)의 외부에 퇴적된 세균을 벗겨낸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의 진동으로, 초음파를 전도시키는 액체 중에 무수한 기포가 발생하고, 또한 발생한 기포가 내시경(A)에 충돌하여 부서질 때의 충격파에 의해 내시경(A)의 외부에 부착된 세균을 벗겨낼 수가 있다.
그 후, 바스켓(22)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제트 분사 세정 및 초음파 세정에서 사용한 물을 멸균 장치(1)의 외부로 배수한다(스텝 S3).
다음에, 복수의 노즐(24)에 건조 공기 공급관(300) 및 개폐 밸브(300a)를 통하여 고압의 건조 공기(본 실시 형태에서는 온풍)가 공급되고, 복수의 노즐(24)로부터 공급된 건조 공기에 의하여, 탱크(21)의 내부를 건조시킨다(스텝 S4). 건조 후, 건조 공기는 건조 공기 배기관(310) 및 배기 밸브(310a)를 통해 멸균 장치(1)의 외부로 배기된다(스텝 S5). 이로써, 내시경(A)의 외부에 부착된 수분에 의해 세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시경(A)의 외부의 세정에 병행하여 내시경 내부 세정 공정이 행해진다. 즉, 내시경(A)의 내부가, 제트 분사 세정된다(스텝 S10). 구체적으로는, 홀더(23)의 유체 공급로(23a)에 순수를 고압으로 급수하여 내시경(A)의 내부의 세정이 행해진다. 그 후, 홀더(23)를 통해 내시경(A)의 내부의 물을 빼낸다(스텝 S11).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시경(A)에 대하여, 제트 분사 세정 및 초음파 세정이 반복된다.
다음에, 홀더(23)의 유체 공급로(23a)를 통해 내시경(A)의 내부에 고압의 건조 공기(본 실시 형태에서는 온풍)가 공급되고, 내시경(A)의 내부가 건조된다(스텝 S12). 건조 후, 건조 공기는 멸균 장치(1)의 외부로 배기된다(스텝 S13). 이로써, 내시경(A)의 내부에 잔류한 수분에 의해 세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내시경(A)의 멸균 처리 공정으로 이행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21)의 내부 및 내시경(A)의 내부의 진공 배기가 진공 배기관(330)과 개폐 밸브(330a)를 통해 행해진다(스텝 S20). 그 후, 탱크(21)의 내부[내시경(A)의 내부를 포함함]에 대하여, 습도 컨트롤러(32)에 의해 습도가 조정된다(스텝 S21). 즉, 제2 챔버(40), 탱크(21)의 내부[내시경(A)의 내부를 포함함]에 멸균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이 정돈된다.
그리고, 멸균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소정량의 멸균 가스가 공급되고(스텝 S22), 공급된 소정량의 멸균 가스에 의해 내시경(A) 및 제1 챔버(20)의 탱크(21)의 내부가 멸균 처리된다(스텝 S23).
그리고, 탱크(21)의 내부[내시경(A)의 내부를 포함함]에 있어서, 에어레이션(aeration)이 행해진다(스텝 S24). 구체적으로는, 탱크(21)의 내부[내시경(A)의 내부를 포함함]의 에어레이션은, 청정 에어 공급을 복수회 실시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경우, 멸균 가스를 단시간에 탱크(21)의 내부로부터 배출하는 경우에는, 청정 에어를 공급하는 것, 탱크(21)의 내부의 가스를 진공 배기하는 것을 반복해도 된다. 이로써, 탱크(21)의 내부[내시경(A)의 내부를 포함함]의 멸균 가스 농도가 저하된다.
다음에, 탱크(21)의 내부[내시경(A)의 내부를 포함함]에서의 멸균 가스의 잔류의 유무를 농도 검지 센서에 의해 확인한다(스텝 S25).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21) 내의 커버(211)가 닫히고, 제2 챔버(40)와 탱크(21)가 비연통 상태로 된 후, 대기압 상태의 제2 챔버(40)는, 멸균 처리 공정으로 이행한다(스텝 S30). 멸균 처리 공정에서는, 습도 컨트롤러(46)에 의해 제2 챔버(40)의 내부의 습도가 조정(스텝 S31)된 후, 멸균 가스가 공급(스텝 S32)된다. 그리고, 제2 챔버(40)의 복수의 봉지(B)가 멸균 처리된다(스텝 S33).
그 후, 제2 챔버(40)의 에어레이션이 행해진다(스텝 S34). 구체적으로는, 탱크(21)의 커버(211)를 열고, 또한 청정 에어를 공급하면서 제2 챔버(40)의 내부, 및 탱크(21)의 내부의 가스를 멸균 장치(1)의 외부로 배기한다. 이로써, 제2 챔버(40)의 내부의 멸균 가스의 농도가 저하된다.
다음에, 제2 챔버(40)에서의 멸균 가스의 잔류의 유무를 농도 검지 센서에 의해 확인한다(스텝 S35).
멸균 처리 공정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 채우기 작업 공정으로 이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탱크(21)의 커버(211)를 열어 탱크(21)의 개구부(210a)를 개방(스텝 S40)한다. 그리고, 탱크(21)의 개구부(210a)로부터 내시경(A)을 꺼내어봉지(B)에 채워 넣고(스텝 S41), 봉지(B)의 개구부를 핸드 실러로 밀봉한다(스텝 S42).
그리고, 제2 챔버(40) 및 탱크(21)의 커버(211)가 개방(스텝 S43)되어, 복수의 봉지에 채워진 내시경(A)이 외부로 반송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 형태(변형된 형태를 포함함)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정리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멸균 장치(1)는, 멸균 대상물(A)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멸균부(2)와, 상기 멸균 대상물(A)을 수납하는 봉지(B)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2 멸균부(4)와, 상기 제1 멸균부(2) 및 상기 제2 멸균부(4)의 양쪽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는 멸균 가스 공급 계통(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멸균부(2)에서 멸균 대상물(A)을 멸균 가스로 직접 멸균하고, 제2 멸균부(4)에서 봉지(B)를 멸균 가스로 직접 멸균할 수 있으므로, 멸균 효과가 높아, 멸균 대상물(A)을 확실하게 멸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멸균부(2) 및 상기 제2 멸균부(4)의 각각으로부터 멸균 가스를 배기하는 멸균 가스 배기 계통(29)을 구비하고,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28)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2), 및 상기 제2 멸균부(4)에 멸균 가스를 공급한 후에, 상기 멸균 가스를 상기 제1 멸균부(2) 및 상기 제2 멸균부(4)로부터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29)을 통하여 배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제1 멸균부(2) 및 제2 멸균부(4)의 각각에 멸균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확실하게 멸균할 수 있고, 제1 멸균부(2) 및 제2 멸균부(4)로부터 배기함으로써, 게다가 단시간에 제1 멸균부(2), 및 제2 멸균부(4) 내에 멸균 가스가 잔류하지 않게 배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멸균부(2)는, 개구부(210a)와 상기 개구부(210a)를 개폐하는 커버(211)를 가지는 탱크(21)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210a)를 통하여 상기 멸균 대상물(A)이 상기 탱크(21) 내부에 투입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210a)를 통하여 상기 멸균 대상물(A)이 상기 탱크(21) 내부로부터 꺼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멸균부(4)와 상기 탱크(21)는, 상기 개구부(210a)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멸균 장치(1)는, 상기 멸균 대상물(A)의 상기 봉지(B)로의 수납 작업을 상기 멸균 장치(1)의 외부로부터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멸균한 제2 멸균부(4)의 내부, 또는 멸균한 탱크(21)의 내부에서, 멸균 대상물(A)을 봉지(B)에 수납 가능하므로, 멸균 후의 멸균 대상물(A)이나 봉지(B)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멸균 방법은, 멸균 대상물(A)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멸균부(2)와, 상기 멸균 대상물(A)을 수납하는 봉지(B)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2 멸균부(4)와, 상기 제1 멸균부(2) 및 상기 제2 멸균부(4)의 양쪽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는 멸균 가스 공급 계통(28)을 포함하는 멸균 장치(1)를 사용한 멸균 방법으로서,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28)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2)의 내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1 멸균부(2)에 수용된 상기 멸균 대상물(A)을 멸균 처리하는 것, 및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28)으로부터 상기 제2 멸균부(4)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2 멸균부(4)에 수용된 상기 봉지(B)를 멸균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멸균 처리 공정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멸균 대상물(A)로서의 내시경(A), 및 상기 내시경(A)을 수용하는 봉지(B)를 멸균 가스로 개별적으로 멸균한다. 그러므로, 내시경(A), 및 상기 내시경(A)을 수용하는 봉지(B)를 확실하게 무균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멸균 장치(1)는, 상기 제1 멸균부(2) 및 상기 제2 멸균부(4)의 각각으로부터 멸균 가스를 배기하는 멸균 가스 배기 계통(29)을 포함하고,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28)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2), 및 상기 제2 멸균부(4)에 멸균 가스를 공급한 후에, 상기 멸균 가스를 상기 제1 멸균부(2) 및 상기 제2 멸균부(4)로부터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29)을 통하여 배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멸균 처리 공정 후에,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29)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2)의 내부의 멸균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면서, 또한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29)으로부터 상기 제2 멸균부(4)의 내부의 멸균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제1 멸균부(2) 및 제2 멸균부(4)의 각각에 멸균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확실하게 멸균할 수 있고, 제1 멸균부(2) 및 제2 멸균부(4)로부터 배기함으로써, 게다가 단시간에 제1 멸균부(2), 및 제2 멸균부(4) 내에 멸균 가스가 잔류하지 않게 배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멸균 처리 공정 후에, 상기 제1 멸균부(2) 또는 상기 제2 멸균부(4)의 내부에서, 상기 멸균 대상물(A)을 상기 봉지(B)에 채워 넣는 봉지 채우기 작업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제1 멸균부(2)의 내부, 또는 제2 멸균부(4)의 내부에서 봉지에 채우므로, 멸균 환경 하에서 봉지 채우기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멸균 대상물(A)을 확실하게 멸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멸균 처리 공정에서는, 칸막이에 의해 상기 제1 멸균부(2)와 상기 제2 멸균부(4)를 서로 비연통 상태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멸균하고, 상기 봉지 채우기 작업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멸균부(2)와 상기 제2 멸균부(4)를 비연통 상태로 상기 칸막이한 칸막이를 개방하여 상기 제1 멸균부(2)와 상기 제2 멸균부(4)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멸균부(4)에서 봉지에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비연통 상태의 제1 멸균부(2), 및 제2 멸균부(4) 각각의 내부에서 멸균 대상물(A) 및 봉지(B)를 확실하게 멸균할 수 있다. 그 후, 제1 멸균부(2)와 제2 멸균부(4)를 연통시켜 제2 멸균부(4)의 내부에서 봉지 채우기 작업이 행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구성의 멸균 방법은, 멸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봉지 채우기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멸균 대상물(A)로서의 내시경(A)의 외부 및 내부에 퇴적된 세균을 확실하게 멸균하여, 무균 상태로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 바스켓(22)을 회전시켜 복수의 노즐(24)로부터 내시경(A)에 제트 분사하도록 했지만, 탱크(21)를 회전시켜 복수의 노즐(24)로부터 내시경에 제트 분사하도록 해도 되고, 탱크(21) 및 바스켓(22)의 양쪽을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챔버(20) 상에 제2 챔버(40)를 세로 일렬로 배치하도록 했지만, 제1 챔버(20)와 제2 챔버(40)를 가로 일렬로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 내시경(A)을 채워 넣는 봉지를 부직포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멸균 가스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봉지(B)의 내부 및 외부를 멸균 처리할 수 있는 소재이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 소정량의 멸균 가스를 탱크(21) 내 및 제2 챔버(40)에 공급하도록 했지만, 탱크(21)의 내부 및 제2 챔버(40)의 각각에 멸균 가스의 농도를 검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탱크(21)의 내부 및 제2 챔버(40)의 각각의 멸균 가스의 농도가 소정값으로 될 때까지 멸균 가스를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 탱크(21)의 내부를 진공 배기할 때, 제2 챔버(40)는, 대기압 상태로 했지만, 탱크(21)의 내부 및 제2 챔버(40)를 진공 배기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 하나의 바스켓(22)에 세 개의 내시경(A)을 세팅하도록 했지만, 단체(單體)의 바스켓(22)의 용적을 크게 하여, 세팅하는 내시경(A)을 증가시켜도 되고, 복수의 바스켓(22)의 각각에 복수의 내시경(A)을 세팅하고, 내시경(A)을 멸균 처리하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 제2 챔버(40)의 멸균 가스 배기 계통(45)은, 제1 챔버(20)의 멸균 가스 배기 계통(29)과 공용했지만, 개별적으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도,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번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는,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7)

  1. 멸균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멸균부;
    상기 멸균 대상물을 수납하는 봉지(bag)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2 멸균부; 및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의 양쪽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는 멸균 가스 공급 계통
    을 포함하는 멸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의 각각으로부터 멸균 가스를 배기하는 멸균 가스 배기 계통을 포함하고,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한 후에, 상기 멸균 가스를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로부터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을 통하여 배기하도록 구성되는, 멸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멸균부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가지는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멸균 대상물이 상기 탱크 내부에 투입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멸균 대상물이 상기 탱크 내부로부터 꺼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멸균부와 상기 탱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멸균 대상물의 상기 봉지로의 수납 작업을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멸균 장치.
  4. 멸균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멸균부, 상기 멸균 대상물을 수납하는 봉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2 멸균부, 및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의 양쪽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는 멸균 가스 공급 계통을 포함하는 멸균 장치를 사용한 멸균 방법으로서,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의 내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1 멸균부에 수용된 상기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하는 것, 및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2 멸균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2 멸균부에 수용된 상기 봉지를 멸균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멸균 처리 공정
    을 구비하는 멸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의 각각으로부터 멸균 가스를 배기하는 멸균 가스 배기 계통을 포함하고, 상기 멸균 가스 공급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에 멸균 가스를 공급한 후에, 상기 멸균 가스를 상기 제1 멸균부 및 상기 제2 멸균부로부터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을 통하여 배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멸균 처리 공정 후에,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1 멸균부의 내부의 멸균 가스를 멸균 장치의 외부로 배기하면서, 또한 상기 멸균 가스 배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제2 멸균부의 내부의 멸균 가스를 멸균 장치의 외부로 배기하는, 멸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처리 공정 후에, 상기 제1 멸균부 또는 상기 제2 멸균부의 내부에서, 상기 멸균 대상물을 상기 봉지에 채우는 봉지 채우기 작업 공정을 포함하는 멸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처리 공정에서는, 칸막이에 의해 상기 제1 멸균부와 상기 제2 멸균부를 서로 비연통 상태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멸균하고, 상기 봉지 채우기 작업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멸균부와 상기 제2 멸균부를 비연통 상태로 칸막이한 상기 칸막이를 개방하여 상기 제1 멸균부와 상기 제2 멸균부를 연통시켜, 상기 제2 멸균부에서 봉지에 채워 넣는, 멸균 방법.
KR1020160103548A 2015-08-19 2016-08-16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KR20170022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1998A JP5883980B1 (ja) 2015-08-19 2015-08-19 滅菌装置及び滅菌方法
JPJP-P-2015-161998 2015-08-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898A true KR20170022898A (ko) 2017-03-02

Family

ID=5545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548A KR20170022898A (ko) 2015-08-19 2016-08-16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049916A1 (ko)
JP (1) JP5883980B1 (ko)
KR (1) KR20170022898A (ko)
CN (1) CN1066689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3332B2 (ja) * 2016-12-22 2019-04-17 池田機械産業株式会社 内視鏡浄化用袋体
US11123133B2 (en) * 2018-04-24 2021-09-21 Covidien Lp Method of reprocessing a surgical instrument
KR102135501B1 (ko) * 2018-08-08 2020-07-17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탐촉자 세척 및 소독장치
NL2021787B1 (en) * 2018-10-10 2020-05-14 Jbt Food & Dairy Systems B V A sterilizer-filler nozzle assembly for an aseptic packag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7323A (ja) * 1997-06-06 1998-12-22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洗浄殺菌装置
US6594971B1 (en) * 1998-12-30 2003-07-22 Ethicon, Inc. Sterile packaging for flexible endoscopes
JP2002066472A (ja) * 2000-08-31 2002-03-05 Bio Media Co Ltd 医療・福祉用具の洗浄方法
JP2002301138A (ja) * 2001-04-05 2002-10-15 Shibuya Kogyo Co Ltd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の滅菌方法
JP2003260118A (ja) * 2002-03-11 2003-09-16 Olympus Optical Co Ltd 滅菌装置
US7578969B2 (en) * 2002-08-07 2009-08-25 American Sterilizer Company Decontamination system for mail and other articles
US8017074B2 (en) * 2004-01-07 2011-09-13 Noxilizer, Inc. Sterilization system and device
JP3845110B2 (ja) * 2006-01-06 2006-11-15 生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滅菌包装における滅菌方法
US8420016B2 (en) * 2007-05-16 2013-04-16 American Sterilizer Company Microbial deactivation apparatus having integrated ultrasonic drying system
JP4880571B2 (ja) * 2007-11-28 2012-02-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の簡易洗浄システム及び簡易洗浄用ケースユニット
JP5086784B2 (ja) * 2007-12-05 2012-11-2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4942201B2 (ja) * 2007-12-10 2012-05-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収納袋
JP5127619B2 (ja) * 2008-07-24 2013-01-2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洗浄消毒装置、内視鏡洗浄消毒装置を用いた内視鏡の洗浄方法
US8668881B2 (en) * 2012-02-22 2014-03-11 American Sterilizer Company Vaporized hydrogen peroxide decontamination structure
JP6088394B2 (ja) * 2013-10-03 2017-03-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洗浄消毒装置、および内視鏡洗浄消毒装置用アダプタ
JP6386228B2 (ja) * 2014-01-27 2018-09-05 澁谷工業株式会社 無菌作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83980B1 (ja) 2016-03-15
CN106668919A (zh) 2017-05-17
US20170049916A1 (en) 2017-02-23
JP2017038770A (ja)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7008B2 (ja) 一体化した洗浄/滅菌処理方法
KR20170022898A (ko)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CA2256036C (en) Lumen device reprocessor without occlusion
EP1192954B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cleaning, sterilising or disinfecting medical devices
US6015529A (en) Tray/container system for cleaning/sterilization processes
US6187266B1 (en) Integrated cleaning/sterilization process with lumen devices
CN102512698B (zh) 医用内镜清洗干燥及低温灭菌的装置与方法
KR101177868B1 (ko) 핸드피스 소독 멸균장치
US7556767B2 (en) Integrated washing and sterilization process
US20050163655A1 (en) Integrated washing and sterilization process
JP4668453B2 (ja) オートクレーブ装置
CN109092759B (zh) 负压清洗机
JPH11244362A (ja) 閉塞部を減少または除去した装置への流体供給法およびその装置
ES2259547A1 (es) Metodo para la descontaminacion de corcho e instalacion para su puestaen practica.
EP1186307B1 (en) Method for processing device with fluid submersion
JP2000176391A (ja) 洗浄/滅菌処理用のトレイ/コンテナシステム
KR20170031468A (ko) 내시경 세척소독기
JPH03295535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2153544A (ja) 閉塞部分を減少した装置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3070883A (ja) 液体浸漬により器具を処理する方法及び器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