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346A - 트러스트 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트러스트 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346A
KR20170021346A KR1020177002524A KR20177002524A KR20170021346A KR 20170021346 A KR20170021346 A KR 20170021346A KR 1020177002524 A KR1020177002524 A KR 1020177002524A KR 20177002524 A KR20177002524 A KR 20177002524A KR 20170021346 A KR20170021346 A KR 20170021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
retainer
hook
pockets
diamet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577B1 (ko
Inventor
마사키 사다무라
유키 심포
히로미치 다케무라
유타카 곤도우
Original Assignee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axial load mainly
    • F16C19/305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axial load mainly consisting of rollers held in a c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05Details of interaction of cage and race, e.g. retention or cent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588Races of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61Toothed gear systems, e.g. support of pini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06Details of interaction of cage and race, e.g. retention, cent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42Ball cages made from wire or sheet metal strips
    • F16C33/422Ball cages made from wire or sheet metal strips made from sheet metal
    • F16C33/425Ball cages made from wire or sheet metal strips made from sheet metal from a single part, e.g. ribbon cages with one corrugated annula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4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 F16C33/542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made from sheet metal
    • F16C33/543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made from sheet metal from a sing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4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 F16C33/542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made from sheet metal
    • F16C33/547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made from sheet metal from two parts, e.g. two discs or ring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트러스트 베어링 (10) 은, 복수의 포켓 (13a) 을 구비하는 유지기 (13) 와, 복수의 포켓 (13a)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14) 와, 복수의 롤러 (14) 가 전송하는 환상의 제 1 레이스부 (11a) 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제 1 레이스 (11) 를 구비한다. 제 1 레이스 (11) 는, 제 1 레이스부 (11a) 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 (11b) 를 구비하고,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은, 훅 컬부 (11b) 의 내주면 (11c) 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 (13b1) 을 갖는다. 훅 컬부 (11b) 의 내주면 (11c) 이,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 (13) 를 비분리로 유지한다.

Description

트러스트 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THRUST BEA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본 발명은, 트러스트 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이나 컴프레서 등의 회전축에 가해지는 트러스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트 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래디얼 롤러 베어링과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이 배치 형성된 기어 기구의 베어링 장치에 있어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궤도륜 부재의 내경측 부분에,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유지기와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유지기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체가 배치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가이드체는, 궤도륜 부재의 내경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으로 통상 (筒狀) 으로 돌출되고, 또한 외주면을 제 1 가이드면으로 하는 외경측 통상부와, 외경측 통상부의 단 (端) 가장자리에서 중심측을 향하여 환상 (環狀) 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일 측면을 제 2 가이드면으로 하는 환상부를 구비하고, 제 1 가이드면에 의해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유지기를 가이드함과 함께, 제 2 가이드면에 의해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유지기를 가이드하고 있다.
또, 합성 수지제 유지기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 볼록 곡면으로 하여, 유지기가 레이스의 접혀 세워진 벽의 내주면에 에지가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종래의 트러스트 베어링 (100) 으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체 (101) 를 유지하는 유지기 (102) 가, 레이스 (103) 의 원환상 (圓環狀) 의 립부 (104) 내에 수용됨과 함께, 립부 (104) 의 단부 (端部) 에 스테이킹 탭에 의해 형성된 걸림부 (105) 가 유지기 (102) 의 단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레이스 (103) 와 비분리로 장착되어 있다. 또, 트러스트 베어링 (100) 에서는, 유지기 (102) 와, 레이스 (103) 의 걸림부 (105) 나 립부 (104) 의 만곡부 (104b) 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기 (102) 의 외주면 (102a)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모따기 (102b, 102c) 가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852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87207호
그런데,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트러스트 베어링 (100) 에서는, 래디얼 하중이나 래디얼 방향 변위가 작용하였을 때, 유지기 (102) 의 외주면 (102a) 이 립부 (104) 의 내주면 (104a) 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유지기 (102) 가 안내된다. 그러나, 모따기 (102b, 102c) 에 의해, 유지기 (102) 의 외주면 (102a) 의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트러스트 베어링 (100) 에 래디얼 하중이나 래디얼 방향 변위가 작용하면, 립부 (104) 의 내주면 (104a) 과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압이 커져 마모가 발생하여, 트러스트 베어링 (100) 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최근 자동차의 오토매틱 트랜스미션 등에 사용되는 트러스트 베어링은, 미끄럼 베어링의 대체품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박형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트러스트 베어링 (100) 을 박형으로 하기 위해 유지기 (102) 의 두께를 얇게 하면, 립부 (104) 의 내주면 (104a) 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유지기 (102) 의 외주면 (102a) 의 면적이 더욱 작아지기 때문에, 립부 (104) 의 내주면 (104a) 과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압이 보다 높아진다.
또, 트러스트 베어링 (100) 을 박형화한 경우, 레이스 (103) 에 립부 (104) 와 걸림부 (105) 를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도 더욱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지기와 레이스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마모를 억제하면서, 박형화할 수 있는 일체형의 트러스트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지기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유지기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으로서, 레이스는, 레이스부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유지기의 외주면은, 훅 컬부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고, 훅 컬부의 내주면이, 유지기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2)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으로서, 레이스는, 레이스부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유지기의 내주면은, 훅 컬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고, 훅 컬부의 외주면이, 유지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3) 트러스트 베어링은, 전동체가 롤러인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트러스트 베어링.
(4) 트러스트 베어링은, 전동체가 볼인 트러스트 볼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트러스트 베어링.
(5)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고, 레이스는, 레이스부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유지기의 외주면은, 훅 컬부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고, 훅 컬부의 내주면이, 유지기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복수의 포켓 내에 복수의 전동체가 각각 배치된 유지기와, 환상의 레이스 소재를 구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전동체가 레이스 소재의 레이스부와 맞닿도록, 유지기와 레이스 소재를 배치하는 공정과, 레이스 소재의 외경측 부분을 유지기의 원뿔면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훅 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
(6)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고, 레이스는, 레이스부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유지기의 내주면은, 훅 컬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고, 훅 컬부의 외주면이, 유지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복수의 포켓 내에 복수의 전동체가 각각 배치된 유지기와, 환상의 레이스 소재를 구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전동체가 레이스 소재의 레이스부와 맞닿도록, 유지기와 레이스 소재를 배치하는 공정과, 레이스 소재의 내경측 부분을 유지기의 원뿔면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훅 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
(7)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고, 레이스에는, 레이스부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복수의 훅 컬부가 복수의 노치부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유지기의 외주면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에 있어서, 복수의 훅 컬부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각각 갖고, 복수의 훅 컬부의 내주면이, 유지기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복수의 포켓 내에 복수의 전동체가 각각 배치된 유지기와, 복수의 훅 컬부와 복수의 노치부가 형성된 레이스를 구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돌기부와 복수의 노치부의 위상을 맞춘 상태에서, 유지기를 레이스에 장착하고, 복수의 전동체가 레이스의 레이스부와 맞닿도록, 유지기와 레이스를 배치하는 공정과, 유지기의 원뿔면이 레이스의 복수의 훅 컬부와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유지기를 레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
(8)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고, 레이스에는, 레이스부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복수의 훅 컬부가 복수의 노치부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유지기의 내주면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에 있어서, 복수의 훅 컬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각각 갖고, 복수의 훅 컬부의 외주면이, 유지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복수의 포켓 내에 복수의 전동체가 각각 배치된 유지기와, 복수의 훅 컬부와 복수의 노치부가 형성된 레이스를 구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돌기부와 복수의 노치부의 위상을 맞춘 상태에서, 유지기를 레이스에 장착하고, 복수의 전동체가 레이스의 레이스부와 맞닿도록, 유지기와 레이스를 배치하는 공정과, 유지기의 원뿔면이 레이스의 복수의 훅 컬부와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유지기를 레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트러스트 베어링에 의하면, 레이스는, 레이스부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유지기의 외주면은, 훅 컬부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는다. 그리고, 훅 컬부의 내주면이, 유지기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기 때문에, 훅 컬부는, 유지기의 유지 기능과, 트러스트 베어링에 래디얼 하중이나 래디얼 방향 변위가 작용하였을 때의 가이드 기능의 양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또, 트러스트 베어링을 박형화해도 훅 컬부의 내주면과 유지기의 외주면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압을 저감시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유지기의 외주측에서 안내되는 비분리 또한 박형의 트러스트 베어링이 제작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트러스트 베어링에 의하면, 레이스는, 레이스부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유지기의 내주면은, 훅 컬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는다. 그리고, 훅 컬부의 외주면이, 유지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기 때문에, 훅 컬부는, 유지기의 유지 기능과, 트러스트 베어링에 래디얼 하중이나 래디얼 방향 변위가 작용하였을 때의 가이드 기능의 양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또, 트러스트 베어링을 박형화해도 훅 컬부의 외주면과 유지기의 내주면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압을 저감시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유지기의 내주측에서 안내되는 비분리 또한 박형의 트러스트 베어링이 제작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지기가 레이스의 외경측에서 안내되는 경우, 환상의 레이스 소재에 유지기를 배치한 상태에서, 레이스 소재의 외경측 부분을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훅 컬부를 형성하므로, 훅 컬부에 의해 유지기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유지기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유지기가 레이스의 내경측에서 안내되는 경우에는, 환상의 레이스 소재에 유지기를 배치한 상태에서, 레이스 소재의 내경측 부분을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훅 컬부를 형성하므로, 훅 컬부에 의해 유지기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유지기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트러스트 베어링의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지기가 레이스의 외경측 또는 내경측에서 안내되는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유지기의 복수의 돌기부와 레이스의 복수의 노치부의 위상을 맞춘 상태에서, 유지기와 레이스를 배치한 후, 유지기의 원뿔면이 레이스의 복수의 훅 컬부와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유지기를 레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이로써, 복수의 훅 컬부에 의해 유지기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유지기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레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 의 (a) 는 원호 형상의 노치부를 갖는 변형예의 레이스의 사시도이고, (b) 는 사다리꼴의 노치부를 갖는 다른 변형예의 레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의 (a) 는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상면도이고, (b) 는 제 4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상면도이다.
도 9 는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제 4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련된 트러스트 볼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트러스트 베어링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트러스트 베어링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은, 제 1 레이스 (11) 와, 제 2 레이스 (12) 와, 제 1 레이스 (11) 및 제 2 레이스 (12) 간에 배치된 유지기 (13) 와, 유지기 (13) 의 복수의 포켓 (13a)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전동체인 복수의 롤러 (14) 를 갖는다.
제 1 레이스 (11) 는, 원판상의 제 1 레이스부 (11a) 와, 제 1 레이스부 (11a) 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 (11d) 에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예각으로 절곡되어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환상의 훅 컬부 (11b) 를 갖는다. 또, 제 2 레이스 (12) 는, 제 1 레이스부 (11a) 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원판상의 제 2 레이스부 (12a) 를 갖는다.
유지기 (13) 는, 합성 수지에 의해 박판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기 (13) 의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 (13a) 내에는, 복수의 롤러 (14) 가, 그 회전 축선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다.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은, 훅 컬부 (11b) 의 내주면 (11c) 의 경사각 (θ) 과 대략 동일한 각도 (θ) 로 경사지는 원뿔면 (13b1) 을 갖고, 또한, 원뿔면 (13b1) 의 대경 (大徑) 측 부분에 인접하여,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 (11d) 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원통면 (13b2) 을 갖는다. 또한,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 (11d) 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형상이면, 원통면 (13b2) 에 한정되지 않고, 곡면 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의 내측에 유지기 (13) 가 장착됨으로써, 훅 컬부 (11b) 의 내주면 (11c) 과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즉, 원뿔면 (13b1) 이 슬라이딩 접촉하여, 제 1 레이스 (11) 와 유지기 (13) 가 비분리로 장착된다. 즉,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의 최대 직경은, 훅 컬부 (11b) 의 내주면 (11c) 의 최소 직경보다 크고, 충분한 접촉 면압 (예를 들어, 원뿔면 (13b1) 의 면적의 절반 이상에서의 접촉) 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축방향에서 봤을 때에 오버랩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기 (13) 의 포켓 (13a) 에 유지된 복수의 롤러 (14) 는, 제 1 레이스 (11) 의 제 1 레이스부 (11a) 와 제 2 레이스 (12) 의 제 2 레이스부 (12a) 사이에서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에 작용하는 트러스트 하중을 지지하고 있다.
또,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에 래디얼 하중이나 래디얼 방향 변위가 작용하면,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의 내주면 (11c) 과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이 슬라이딩 접촉한다. 즉,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는, 종래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0) 에 있어서 립부 (104) 가 갖는 유지기 (102) 를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과, 걸림부 (105) 가 갖는 유지기 (102) 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유지 기능의 양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에서는, 립부 (104) 와 걸림부 (105) 가 축방향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0) 의 두께 방향) 으로 나열되는 종래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0) 에 비해, 훅 컬부 (11b) 에 의해 용이하게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의 두께가 얇아져도,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와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의 접촉 면적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와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의 슬라이딩 접촉면에 있어서의 면압이 저감되어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박형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0) 에서는 사용이 곤란하였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0) 에 편심이나 원심력 등의 래디얼 하중이 작용하는 사용 환경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스페이스 확보의 관점에서, 종래 와셔 등의 미끄럼 베어링이 사용되었던 부분에도, 본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회전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레이스 (11) 와 유지기 (13) 가 일체 비분리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차량 등의 베어링부로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1 레이스부 (11a) 의 훅 컬부 (11b)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레이스부 (11a) 의 외경측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한 것뿐만 아니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의 훅 컬부 (11b) 의 원주 방향의 일부를 원호상 (도 3 의 (a)) 혹은 사다리꼴상 (도 3 의 (b)) 으로 절결한 복수의 노치부 (15) 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노치부 (15) 의 개수, 크기, 간격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통유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에 의하면, 제 1 레이스 (11) 는, 제 1 레이스부 (11a) 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 (11b) 를 구비하고,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은, 훅 컬부 (11b) 의 내주면 (11c) 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 (13b1) 을 갖는다. 그리고, 훅 컬부 (11b) 의 내주면 (11c) 이,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 (13) 를 비분리로 유지하기 때문에, 훅 컬부 (11b) 는, 유지기 (13) 의 유지 기능과,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에 래디얼 하중이나 래디얼 방향 변위가 작용하였을 때의 가이드 기능의 양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또,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을 박형화해도 훅 컬부 (11b) 의 내주면 (11c) 과 유지기 (13) 의 외주면 (13b) 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압을 저감시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유지기 (13) 의 외주측에서 안내되는 비분리 또한 박형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 이 제작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트러스트 베어링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A) 은, 제 1 레이스 (11) 와, 제 2 레이스 (12) 와, 제 1 레이스 (11) 및 제 2 레이스 (12) 간에 배치된 유지기 (13) 와, 유지기 (13) 의 복수의 포켓 (13a)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전동체인 복수의 롤러 (14) 를 갖는다.
제 1 레이스 (11) 는, 원판상의 제 1 레이스부 (11a) 와, 제 1 레이스부 (11a) 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 (11g) 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예각으로 절곡되어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환상의 훅 컬부 (11e) 를 갖는다. 또, 제 2 레이스 (12) 는, 제 1 레이스부 (11a) 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원판상의 제 2 레이스부 (12a) 를 갖는다.
유지기 (13) 는, 합성 수지에 의해 박판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유지기 (13) 의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 (13a) 내에는, 복수의 롤러 (14) 가, 그 회전 축선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다. 유지기 (13) 의 내주면 (13d) 은, 훅 컬부 (11e) 의 외주면 (11f) 의 경사각 (θ) 과 대략 동일한 각도 (θ) 로 경사지는 원뿔면 (13d1) 을 갖고, 또한, 원뿔면 (13d1) 의 소경 (小徑) 측 부분에 인접하여,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 (11g) 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원통면 (13d2) 을 갖는다. 또한,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 (11g) 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형상이면, 원통면 (13d2) 에 한정되지 않고, 곡면 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e) 의 외측에 유지기 (13) 가 장착됨으로써, 훅 컬부 (11e) 의 외주면 (11f) 과 유지기 (13) 의 내주면 (13d), 즉, 원뿔면 (13d1) 이 슬라이딩 접촉하여, 제 1 레이스 (11) 와 유지기 (13) 가 비분리로 장착된다. 즉, 유지기 (13) 의 내주면 (13d) 의 최소 직경은, 훅 컬부 (11e) 의 외주면 (11f) 의 최대 직경보다 작고, 충분한 접촉 면압 (예를 들어, 원뿔면 (13d1) 의 면적의 절반 이상에서의 접촉) 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축방향에서 봤을 때에 오버랩되어 있다.
그리고,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A) 에 래디얼 하중이나 래디얼 방향 변위가 작용하면,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e) 의 외주면 (11f) 과 유지기 (13) 의 내주면 (13d) 이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 때문에,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A) 의 두께가 얇아져도,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e) 와 유지기 (13) 의 내주면 (13d) 의 접촉 면적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e) 와 유지기 (13) 의 내주면 (13d) 의 슬라이딩 접촉면에 있어서의 면압이 저감되어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박형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0) 에서는 사용이 곤란하였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0) 에 편심이나 원심력 등의 래디얼 하중이 작용하는 사용 환경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스페이스 확보의 관점에서, 종래 와셔 등의 미끄럼 베어링이 사용되었던 부분에도, 본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A) 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회전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A) 에 의하면, 제 1 레이스 (11) 는, 제 1 레이스부 (11a) 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 (11e) 를 구비하고, 유지기 (13) 의 내주면 (13d) 은, 훅 컬부 (11e) 의 외주면 (11f) 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 (13d1) 을 갖는다. 그리고, 훅 컬부 (11e) 의 외주면 (11f) 이, 유지기 (13) 의 내주면 (13d)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 (13) 를 비분리로 유지하기 때문에, 훅 컬부 (11e) 는, 유지기 (13) 의 유지 기능과,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A) 에 래디얼 하중이나 래디얼 방향 변위가 작용하였을 때의 가이드 기능의 양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또,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A) 을 박형화해도 훅 컬부 (11e) 의 외주면 (11f) 과 유지기 (13) 의 내주면 (13d) 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슬라이딩 접촉부의 면압을 저감시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유지기 (13) 가 내주측에서 안내되는 비분리 또한 박형의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10A) 이 제작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베어링과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유지기 (13) 는, 훅 컬부 (11b) 가 절곡된 제 1 레이스 (11) 에 대하여, 유지기 (13) 의 외경측 부분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압입함으로써,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기 (13) 를 제 1 레이스 (11) 를 형성하는 레이스 소재에 세팅한 상태에서, 훅 컬부 (11b) 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유지기 (13) 가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의 내측에 장착된다.
즉,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지기 (13) 의 복수의 포켓 (13a) 내에 복수의 롤러 (14) 가 각각 배치된 유지기 (13) 와, 환상의 레이스 소재 (1) 를 구비한다. 레이스 소재 (1) 는, 원환상의 제 1 레이스부 (11a) 가 형성됨과 함께, 그 제 1 레이스부 (11a) 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훅 컬부 (11b) 를 이루는 외경측 부분 (1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레이스부 (11a) 와 외경측 부분 (1b) 은, 연속하여 평탄한 형상이어도 되고, 외경측 부분 (1b) 의 판두께를 제 1 레이스부 (11a) 에 대하여 얇게 하여, 제 1 레이스부 (11a) 와 외경측 부분 (1b) 사이에 단차가 있는 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레이스 소재 (1) 상에 유지기 (13) 를 재치 (載置) 하고, 복수의 롤러 (14) 가 레이스 소재 (1) 의 제 1 레이스부 (11a) 와 맞닿도록, 유지기 (13) 와 레이스 소재 (1) 를 배치한다.
그 후, 레이스 소재 (1) 의 외경측 부분 (1b) 을 유지기 (13) 의 원뿔면 (13b1) 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훅 컬부 (11b) 를 갖는 제 1 레이스 (11) 가 형성된다. 이로써, 복수의 롤러 (14) 를 유지하는 유지기 (13) 와 제 1 레이스 (11) 의 조립을 완료시킨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트러스트 베어링 (10) 을 조립함으로써, 제 1 레이스 (11) 에 대한 유지기 (13) 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와 유지기 (13) 의 원뿔면 (13b1) 이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 되는 길이 (L) (도 1 참조) 를 길게 하여, 유지기 (13) 가 제 1 레이스 (11)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의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 (15) 를 구성하는 4 개의 홈부 (5) 에 의해, 외경측 부분 (1b) 이 4 개 지점으로 분할된 레이스 소재 (1A) 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지기 (13) 는, 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레이스 소재 (1A) 에 세팅된 상태에서, 복수의 훅 컬부 (11b) 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의 내측에 장착된다. 이 때, 레이스 소재 (1A) 에 홈부 (5) 를 형성해 둠으로써, 훅 컬부 (11b) 를 절곡 형성할 때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재료의 늘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노치부 (15) 의 수는, 재료의 늘어짐을 억제할 수 있으면 되며, 적어도 1 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베어링 (10) 을 사용하여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제 2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베어링 (10A) 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유지기 (13) 가 제 1 레이스 (11) 의 내경측에서 안내되는 경우에는, 환상의 레이스 소재에 유지기 (13) 를 배치한 상태에서, 레이스 소재의 내경측 부분을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훅 컬부 (11b)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같이, 레이스 소재의 적어도 1 개 지점에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레이스의 훅 컬부가 형성되는 둘레면에 적어도 1 개의 노치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제 1 레이스 (11) 가 내경측 부분과 외경측 부분의 양측에 훅 컬부 (11b, 11e) 를 구비하고, 유지기 (13) 가 제 1 레이스 (11) 의 직경 방향 양측에서 안내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트러스트 베어링과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레이스 (11) 에는, 제 1 레이스부 (11a) 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훅 컬부 (11b) 가,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노치부 (15) 에 의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노치부 (15) 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기 (13x) 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4 개 지점의 복수의 돌기부 (13e) 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복수의 돌기부 (13e) 의 외주면에 복수의 훅 컬부 (11b) 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는 원뿔면 (13b1)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훅 컬부 (11b) 의 내주면이, 유지기의 외주면인 돌기부 (13e) 의 원뿔면 (13b1)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 (13) 를 비분리로 유지한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 (13e) 와 제 1 레이스 (11) 의 복수의 노치부 (15) 는, 원주 방향의 위상이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 노치부 (15) 의 원주 방향 길이는, 돌기부 (13e) 의 원주 방향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트러스트 베어링 (10) 의 제조 방법에서는, 복수의 포켓 (13a) 내에 복수의 롤러 (14) 가 각각 배치된 유지기 (13x) 와, 복수의 훅 컬부 (11b) 가 형성된 제 1 레이스 (11) 를 구비한다.
그리고, 복수의 돌기부 (13e) 와 복수의 노치부 (15) 의 위상을 맞춘 상태에서, 유지기 (13x) 를 제 1 레이스 (11) 에 장착하고, 복수의 롤러 (14) 가 제 1 레이스 (11) 의 제 1 레이스부 (11a) 와 맞닿도록, 유지기 (13x) 와 제 1 레이스 (11) 를 배치한다.
그 후, 유지기 (13x) 의 원뿔면 (13b1) 이 제 1 레이스 (11) 의 복수의 훅 컬부 (11b) 와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유지기 (13x) 를 제 1 레이스 (11) 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레이스 (11) 와 유지기 (13x) 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트러스트 베어링 (10) 을 조립함으로써, 제 1 레이스 (11) 에 대한 유지기 (13x) 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제 1 레이스 (11) 의 훅 컬부 (11b) 와 유지기 (13x) 의 원뿔면 (13b1) 이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길이 (L) (도 1 참조) 를 길게 하여, 유지기 (13x) 가 제 1 레이스 (11)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레이스 (11), 유지기 (13x), 및 복수의 롤러 (14) 가 일체화되어,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레이스 (11) 의 복수의 노치부 (15), 및 유지기 (13x) 의 복수의 돌기부 (13e) 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또한 각각 동등한 원주 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8 의 (a) 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레이스 (11) 의 복수의 노치부 (15), 및 유지기 (13x) 의 복수의 돌기부 (13e) 는, 원주 방향 길이가 각각 상이해도 된다. 즉, 상이한 원주 방향 길이의 복수의 노치부 (15a, 15b), 및 상이한 원주 방향 길이의 복수의 돌기부 (13e1, 13e2) 가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혹은, 도 8 의 (b) 의 다른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레이스 (11) 의 복수의 노치부 (15), 및 유지기 (13x) 의 복수의 돌기부 (13e) 는, 원주 방향의 위상이 각각 부등 간격이어도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8 의 (a) 의 변형예의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도 8 의 (b) 의 다른 변형예의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기 (13x) 가 제 1 레이스 (11) 의 외경측에서 안내되는 트러스트 베어링 (10) 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당해 제조 방법은, 유지기가 제 1 레이스 (11) 의 내경측에서 안내되는 트러스트 베어링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 1 레이스에는, 제 1 레이스부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복수의 훅 컬부가 복수의 노치부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또, 유지기의 내주면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에 있어서, 복수의 훅 컬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각각 갖는다. 그리고, 복수의 훅 컬부의 외주면이, 유지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한다.
이 경우에도, 유지기의 복수의 돌기부와 레이스의 복수의 노치부의 위상을 맞춘 상태에서, 유지기와 레이스를 배치한 후, 유지기의 원뿔면이 레이스의 복수의 훅 컬부와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유지기를 레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레이스, 유지기, 및 복수의 롤러를 일체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제 1 레이스 (11) 가 내경측 부분과 외경측 부분의 양측에 훅 컬부를 구비하고, 유지기가 제 1 레이스 (11) 의 직경 방향 양측에서 안내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체로서 롤러 (14) 를 갖는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트러스트 베어링으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체로서 볼 (16) 을 갖는 트러스트 볼 베어링 (10B) 이어도 된다. 또, 도 11 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유지기 (13) 가 제 1 레이스 (11) 의 외경측에서 안내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유지기 (13) 가 제 1 레이스 (11) 의 내경측에서 안내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출원은, 2014년 7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153074호, 및 2015년 7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5-145144호에 기초하여, 그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받아들여진다.
1 : 레이스 소재
10, 10A :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 (트러스트 베어링)
10B : 트러스트 볼 베어링 (트러스트 베어링)
11 : 제 1 레이스
11a : 제 1 레이스부
11b, 11e : 훅 컬부
11c : 훅 컬부의 내주면
11f : 훅 컬부의 외주면
12 : 제 2 레이스
12a : 제 2 레이스부
13, 13x : 유지기
13a : 포켓
13b : 유지기의 외주면
13b1 : 원뿔면
13d : 유지기의 내주면
13e : 돌기부
14 : 롤러 (전동체)
15 : 노치부
16 : 볼 (전동체)

Claims (8)

  1.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으로서,
    상기 레이스는, 상기 레이스부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기의 외주면은, 상기 훅 컬부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고,
    상기 훅 컬부의 내주면이, 상기 유지기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2.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으로서,
    상기 레이스는, 상기 레이스부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기의 내주면은, 상기 훅 컬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고,
    상기 훅 컬부의 외주면이, 상기 유지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전동체가 롤러인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전동체가 볼인 트러스트 볼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5.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레이스는, 상기 레이스부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기의 외주면은, 상기 훅 컬부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고,
    상기 훅 컬부의 내주면이, 상기 유지기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각각 배치된 상기 유지기와, 환상의 레이스 소재를 구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상기 레이스 소재의 레이스부와 맞닿도록, 상기 유지기와 상기 레이스 소재를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레이스 소재의 외경측 부분을 상기 유지기의 원뿔면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훅 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
  6.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레이스는, 상기 레이스부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훅 컬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기의 내주면은, 상기 훅 컬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갖고,
    상기 훅 컬부의 외주면이, 상기 유지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각각 배치된 상기 유지기와, 환상의 레이스 소재를 구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상기 레이스 소재의 레이스부와 맞닿도록, 상기 유지기와 상기 레이스 소재를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레이스 소재의 내경측 부분을 상기 유지기의 원뿔면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훅 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
  7.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레이스에는, 상기 레이스부의 외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복수의 훅 컬부가 복수의 노치부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지기의 외주면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훅 컬부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각각 갖고,
    상기 복수의 훅 컬부의 내주면이, 상기 유지기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각각 배치된 상기 유지기와, 상기 복수의 훅 컬부가 형성된 상기 레이스를 구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노치부의 위상을 맞춘 상태에서, 상기 유지기를 상기 레이스에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상기 레이스의 상기 레이스부와 맞닿도록, 상기 유지기와 상기 레이스를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지기의 원뿔면이 상기 레이스의 복수의 훅 컬부와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상기 유지기를 상기 레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
  8.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유지기와,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전송하는 환상의 레이스부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레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레이스에는, 상기 레이스부의 내경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직경 방향 비스듬히 외경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복수의 훅 컬부가 복수의 노치부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지기의 내주면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훅 컬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원뿔면을 각각 갖고,
    상기 복수의 훅 컬부의 외주면이, 상기 유지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유지기를 비분리로 유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포켓 내에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각각 배치된 상기 유지기와, 상기 복수의 훅 컬부가 형성된 상기 레이스를 구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노치부의 위상을 맞춘 상태에서, 상기 유지기를 상기 레이스에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전동체가 상기 레이스의 상기 레이스부와 맞닿도록, 상기 유지기와 상기 레이스를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지기의 원뿔면이 상기 레이스의 복수의 훅 컬부와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상기 유지기를 상기 레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제조 방법.
KR1020177002524A 2014-07-28 2015-07-28 트러스트 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0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53074 2014-07-28
JP2014153074 2014-07-28
JP2015145144A JP6613678B2 (ja) 2014-07-28 2015-07-22 スラスト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5-145144 2015-07-22
PCT/JP2015/071356 WO2016017629A1 (ja) 2014-07-28 2015-07-28 スラスト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346A true KR20170021346A (ko) 2017-02-27
KR101920577B1 KR101920577B1 (ko) 2018-11-20

Family

ID=5521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524A KR101920577B1 (ko) 2014-07-28 2015-07-28 트러스트 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6420B2 (ko)
EP (1) EP3176449B1 (ko)
JP (1) JP6613678B2 (ko)
KR (1) KR101920577B1 (ko)
CN (1) CN106662146B (ko)
WO (1) WO2016017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0420A (en) * 2016-05-20 2017-11-22 Bowman Int Ltd Rolling element bearing cage
WO2019017969A1 (en) * 2017-07-21 2019-01-24 Koyo Bearings North America Llc SHORT STOP FLANGE STOP BEARING CAGE
JP7147257B2 (ja) * 2018-05-14 2022-10-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ラストころ軸受
DE102021123377A1 (de) 2021-09-09 2023-03-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xialwälzlagereinheit, umfassend mindestens eine flach oder abgewinkelt aus einem Blechmaterial umgeformte Axiallagerscheibe
US20230407910A1 (en) * 2022-06-21 2023-12-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xial bearing assembly with cage to accommodate radial misalignment cond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7207A (ja) 2006-01-12 2007-07-26 Nsk Ltd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11085239A (ja) 2009-10-19 2011-04-28 Jtekt Corp 歯車機構の軸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0346Y1 (ko) * 1970-12-24 1976-05-27
BE788278A (fr) 1971-09-21 1972-12-18 Pitner Alfred Plaque de roulement pour butee a aiguilles ou a rouleaux
JPS5514792B2 (ko) 1974-08-10 1980-04-18
JP2567601Y2 (ja) * 1992-05-25 1998-04-02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スラストニードル軸受
DE19535085A1 (de) * 1995-09-21 1997-03-27 Schaeffler Waelzlager Kg Axialwälzlager
JP2008281016A (ja) * 2007-05-08 2008-11-20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1336B2 (ja) * 2007-10-22 2013-11-13 Ntn株式会社 スラストころ軸受
JP5815971B2 (ja) * 2011-04-07 2015-11-17 Ntn株式会社 スラスト軸受用保持器及びスラスト軸受
JP5864317B2 (ja) 2011-04-15 2016-02-17 Ntn株式会社 スラスト軸受
JP2012255526A (ja) * 2011-06-10 2012-12-27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14153074A (ja) 2013-02-05 2014-08-25 Hamamatsu Photonics Kk 放射線像変換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放射線像変換パネル
JP6400913B2 (ja) 2014-01-31 2018-10-03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DE112015005204T5 (de) 2014-11-18 2017-07-27 Ntn Corporation Halter für Druckrollenlag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Halters
CN206592430U (zh) 2017-03-27 2017-10-27 人本集团有限公司 一种推力滚针轴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7207A (ja) 2006-01-12 2007-07-26 Nsk Ltd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11085239A (ja) 2009-10-19 2011-04-28 Jtekt Corp 歯車機構の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36420B2 (en) 2018-07-31
US20170211621A1 (en) 2017-07-27
CN106662146B (zh) 2020-06-19
KR101920577B1 (ko) 2018-11-20
EP3176449B1 (en) 2020-04-22
EP3176449A4 (en) 2017-08-16
EP3176449A1 (en) 2017-06-07
JP6613678B2 (ja) 2019-12-04
JP2016033420A (ja) 2016-03-10
CN106662146A (zh) 2017-05-10
WO2016017629A1 (ja)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577B1 (ko) 트러스트 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
US8961029B2 (en) Roller thrust bearing
JP4790341B2 (ja) 針状ころ軸受および軸受構造
US20070246318A1 (en) Roller-type one-way clutch
JP2009210096A (ja)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2008175310A (ja) スラスト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スラストころ軸受
US5758755A (en) Sprag type one-way clutch
US9982726B2 (en) One-way clutch device
JP2013204617A (ja) 転がり軸受
JP2006234002A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10255645A (ja) ラジアルニードル軸受
US10502272B2 (en) One way clutch cage with integrated return spring
US20060219511A1 (en) One-way clutch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WO2019172301A1 (ja) ラジアルフォイル軸受
JP2011094727A (ja) 転がり軸受のクリープ防止装置
JP4480639B2 (ja) 針状ころ軸受および外輪の製造方法
JP2008151216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5029430B2 (ja) スラストころ軸受装置
JP2011231831A (ja) ラジアルニードル軸受用保持器及びラジアルニードル軸受
JP5685975B2 (ja) ローラクラッチ及び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EP4339477A1 (en) One-way clutch
JP6876030B2 (ja) 転がり軸受固定構造
JP6759544B2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05337447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20148257A (ja) 回転部材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