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204A -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204A
KR20170019204A KR1020150113311A KR20150113311A KR20170019204A KR 20170019204 A KR20170019204 A KR 20170019204A KR 1020150113311 A KR1020150113311 A KR 1020150113311A KR 20150113311 A KR20150113311 A KR 20150113311A KR 20170019204 A KR20170019204 A KR 20170019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animal
rail
protection net
guar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056B1 (ko
Inventor
박광훈
Original Assignee
박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훈 filed Critical 박광훈
Priority to KR102015011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도로 진입을 차단하여 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도로에 진입한 동물이 도로 바깥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주행중인 운전자들에게 알려 운전자가 경각심을 갖고 안전운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동물보호용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드레일(10)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양측 레일포스트(11) 사이 후방에 도로 바깥으로만 열리도록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망(100); 상기 레일포스트(11)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물의 도로 진입시 작동되는 경광등(200); 상기 경광등(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동물보호용 가드레일{Guard rail for animal protection}
본 발명은 동물보호용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도로 진입을 차단하여 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도로에 진입한 동물이 도로 바깥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주행중인 운전자들에게 알려 운전자가 경각심을 갖고 안전운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동물보호용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도로와 인도 간을 경계하거나 차량이 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인도가 인접하여 있을 경우 인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가드레일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의 구조는 일차적으로 도로로부터 이탈하는 차량이 가장 먼저 닿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그 설치 높이를 결정하고, 또한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레일프레임의 길이와 폭이 결정된다.
통상 가드레일은 레일프레임이 레일포스트의 상단에서 중앙부분에 걸쳐 설치되고, 레일프레임의 하부쪽은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드레일의 개방된 하부공간을 통해 느닷없이 고양이, 개, 토끼, 너구리, 멧돼지, 고라니, 노루, 사슴 등의 동물이 도로로 뛰어들거나 끊어진 이동경로에 의해 도로로 뛰어드는 동물들이 발생하게 되고, 차량을 몰고 도로를 달리다 보면 이러한 동물들의 시체들에 의해 2차 사고를 유발시키고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도로의 주변에 서식하고 있던 동물이 도로에 침입하게 될 경우에는 주행하는 차량에 부딪혀 죽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 및 방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차량 사고를 유발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주변의 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서는 가드레일의 지주와 지주 사이에 어망과 같이 미세한 구멍을 가지는 그물망을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그물망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그물망이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어 손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38745호에는 기존 가드레일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하여 동물의 도로 진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망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도로의 밖에서 도로의 안쪽으로 들어온 동물들이 다시 도로의 밖으로 나갈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0724018호에는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된 철망을 위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철망의 상단을 지주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한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휀스가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제작 및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없기 때문에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로에 진입한 동물이 도로 바깥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주행중인 운전자들에게 알려 운전자가 경각심을 갖고 안전운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238745호(등록일자 : 2001.07.05)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0724018호(등록일자 : 2007.05.2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도로 진입을 차단하여 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로에 진입한 동물이 도로 바깥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동물보호용 가드레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주행중인 운전자들에게 알려 운전자가 경각심을 갖고 안전운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이를 통해 주행중 동물의 차량 충돌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동물보호용 가드레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양측 레일포스트 사이 후방에 도로 바깥으로만 열리도록 보호망의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레일포스트의 상부에 동물의 도로 진입시 작동되는 경광등을 설치하며, 상기 가드레일의 적소에는 경광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호망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틀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틀의 양측 상부에는 축핀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레일포스트의 배면에는 축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삽입공이 구비된 지지편을 나사체결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틀의 양측 하부에는 보호망이 도로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일포스트에 걸리는 스토퍼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포스트의 일측에는 지지대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경광등과 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각도조절구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조립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센서로 형성하여 태양전지판의 일측에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호망은 양측 레일포스트에 고정된 레일프레임의 하부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호망은 양측 레일포스트 사이 공간을 전체적으로 차단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물보호용 가드레일에 따르면, 가드레일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양측 레일포스트 사이 후방에 도로 바깥으로만 열리도록 보호망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도로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는 보호망을 통해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도로 진입을 차단하여 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도로 바깥으로는 열리는 보호망을 통해 다른 경로를 통해 이미 도로에 진압한 동물의 경우에는 도로 바깥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드레일에 경광등과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경광등을 통해 주행중인 운전자들에게 알릴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경각심을 갖고 안전운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행중 동물의 차량 충돌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드레일에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이 부가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태양전지판을 이용하여 전기 공급이 어려운 야외에서 손쉽고 편리하게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면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망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과 감지센서 및 태양전지판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동물보호용 가드레일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드레일(10)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양측 레일포스트(11) 사이 후방에 도로 바깥으로만 열리도록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망(100); 상기 레일포스트(11)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물의 도로 진입시 작동되는 경광등(200); 상기 경광등(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00)를 포함하는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여기서, 상기 가드레일(10)은 지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레일포스트(11)와, 각 레일포스트(11) 간에 중첩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의 충격력을 완화하고 궤도이탈을 방지하는 레일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레일프레임(12)은 선택사항으로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보호망(100)은 금속망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보호망(100)은 가드레일(10)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가드레일(10)의 양측 레일포스트(11) 사이 후방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호망(100)은 도로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도록 구성하여 동물의 도로 진입을 방지하되, 한편 상기 보호망(100)은 도로 바깥으로는 열리도록 구성하여 다른 경로를 통해 이미 도로에 진입한 동물의 경우에는 도로 바깥으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호망(10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틀(11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틀(110)의 양측 상부에는 축핀(120)이 각각 돌출되며, 상기 레일포스트(11)의 배면에는 축핀(1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삽입공(131)이 구비된 지지편(130)이 나사(S)체결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틀(110)의 양측 하부에는 보호망(100)이 도로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일포스트(11)에 걸리는 스토퍼(140)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틀(110)은 보호망(100)의 상하좌우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틀(110)은 보호망(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축핀(120)은 고정틀(110)의 양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축핀(120)은 보호망(100)이 도로의 바깥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편(130)은 양측 레일포스트(11)의 배면에 나사(S)체결로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편(130)에는 축핀(1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삽입공(13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130)은 보호망(100)의 양측에 고정된 축핀(1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편(130)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0)는 고정틀(110)의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토퍼(140)는 보호망(100)이 도로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망(100)은 평상시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가드레일(10)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외부에서 동물이 보호망(100)을 도로방향으로 밀 경우에는 양측 스토퍼(140)가 도 3a에서와 같이 레일포스트(11)에 걸리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보호망(100)은 양측 스토퍼(140)에 의해 도로방향으로는 열리지 않는다. 한편, 도로에 진입한 동물이 보호망(100)을 도로 바깥방향으로 밀 경우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축핀(120)을 중심으로 보호망(100)이 회전하면서 열리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도로에 진입한 동물은 도로측에서 보호망(100)을 밀고 도로 바깥방향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망(100)은 양측 레일포스트(11)에 고정된 레일프레임(12)의 하부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망(100)을 통해 고양이, 개, 토끼, 너구리 등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동물들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망(100)은 가드레일(10)의 양측 레일포스트(11) 사이 공간을 전체적으로 차단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드레일(10)에는 레일프레임(12)이 설치되지 않고, 상기 보호망(100)이 레일프레임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망(100)을 통해 고양이, 개, 토끼, 너구리 등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동물들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멧돼지, 고라니, 노루, 사슴 등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동물들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경광등(200)은 레일포스트(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광등(200)은 동물의 도로 진입시 감지센서(300)를 통해 작동되면서 주행중인 운전자들에게 소리와 불빛으로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경광등(200)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불빛을 통해 주행중인 운전자는 경각심을 갖게 되므로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300)는 경광등(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감지센서(300)는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300)에 의해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가 감지되면 경광등(200)이 작동하도록 감지센서(300)와 경광등(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300)의 조사각도(K)는 동물의 도로 진압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80~90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일포스트(11)의 일측에는 지지대(410)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에는 경광등(200)과 감지센서(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400)이 각도조절구(42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감지센서(300)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져 태양전지판(400)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410)는 레일포스트(11)에 볼트체결이나 용접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각도조절구(420)에는 고정용 나사(421)가 구비된다.
상기 태양전지판(400)은 경광등(200)과 감지센서(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태양전지판(400)은 지지대(410)의 상부에 각도조절구(42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태양전지판(400)을 해뜨는 동쪽과 서쪽 사이 방향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공급이 어려운 야외에서 손쉽고 편리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드레일(10)에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400)을 설치하여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판(400)을 이용하면 전기 공급이 어려운 야외에서 외부 전기선을 끌어오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성하여 손쉽고 편리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양전지판(400)에는 생성된 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축전지 및 상기 축전지와 연결되어 저장된 전기를 단자로 출력하는 전원공급기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가드레일(10)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양측 레일포스트(11) 사이 후방에 도로 바깥으로만 열리도록 보호망(1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도로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는 보호망(100)을 통해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도로 진입을 차단하여 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도로 바깥으로는 열리는 보호망(100)을 통해 다른 경로를 통해 이미 도로에 진압한 동물의 경우에는 도로 바깥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가드레일(10)에 경광등(200)과 감지센서(300)가 설치되어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경광등(200)을 통해 주행중인 운전자들에게 알릴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경각심을 갖고 안전운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행중 동물의 차량 충돌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가드레일(10)에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400)이 부가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태양전지판(400)을 이용하여 전기 공급이 어려운 야외에서 손쉽고 편리하게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가드레일 11 : 레일포스트
12 : 레일프레임 100 : 보호망
110 : 고정틀 120 : 축핀
130 : 지지편 131 : 핀삽입공
140 : 스토퍼 200 : 경광등
300 : 감지센서 400 : 태양전지판
410 : 지지대 420 : 각도조절구

Claims (5)

  1. 가드레일(10)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양측 레일포스트(11) 사이 후방에 도로 바깥으로만 열리도록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망(100);
    상기 레일포스트(11)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물의 도로 진입시 작동되는 경광등(200);
    상기 경광등(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물의 도로 진입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00)를 포함하는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10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틀(11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틀(110)의 양측 상부에는 축핀(120)이 각각 돌출되며, 상기 레일포스트(11)의 배면에는 축핀(1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삽입공(131)이 구비된 지지편(130)이 나사(S)체결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틀(110)의 양측 하부에는 보호망(100)이 도로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일포스트(11)에 걸리는 스토퍼(140)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포스트(11)의 일측에는 지지대(410)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에는 경광등(200)과 감지센서(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400)이 각도조절구(42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감지센서(300)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져 태양전지판(400)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100)은 양측 레일포스트(11)에 고정된 레일프레임(12)의 하부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100)은 양측 레일포스트(11) 사이 공간을 전체적으로 차단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KR1020150113311A 2015-08-11 2015-08-11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KR101874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11A KR101874056B1 (ko) 2015-08-11 2015-08-11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11A KR101874056B1 (ko) 2015-08-11 2015-08-11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204A true KR20170019204A (ko) 2017-02-21
KR101874056B1 KR101874056B1 (ko) 2018-07-03

Family

ID=5831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311A KR101874056B1 (ko) 2015-08-11 2015-08-11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9047A (zh) * 2017-12-13 2018-05-11 浙江万里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基坑安全防护装置
KR101975773B1 (ko) 2018-10-23 2019-08-28 문장화 케이블선 용접장치
KR20200025269A (ko) 2018-08-30 2020-03-10 김재헌 가드레일의 차단판
KR20210073340A (ko) * 2019-12-10 2021-06-18 다스코 주식회사 가드레일 부착형 태양광 패널용 구조체
KR20210108089A (ko) * 2020-02-25 2021-09-02 엄희철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동물침입 방지장치
KR20220021586A (ko) 2020-08-14 2022-02-22 김재헌 가드레일의 차단판
KR102501668B1 (ko) * 2022-02-07 2023-02-21 주식회사 신웅 잡초 및 우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238B1 (ko) 2018-09-13 2019-08-13 김기웅 로드킬 방지 자동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45Y1 (ko) 2001-03-29 2001-10-10 김영인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망
KR100724018B1 (ko) 2006-02-01 2007-06-04 (주) 화랑월드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휀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89B1 (ko) * 2012-01-20 2014-02-2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킬 방지용 가드펜스 시스템
KR101198753B1 (ko) * 2012-04-19 2012-11-12 이원태 도로의 가드레일용 동물진입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45Y1 (ko) 2001-03-29 2001-10-10 김영인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망
KR100724018B1 (ko) 2006-02-01 2007-06-04 (주) 화랑월드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휀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9047A (zh) * 2017-12-13 2018-05-11 浙江万里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基坑安全防护装置
CN108019047B (zh) * 2017-12-13 2020-02-18 浙江万里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基坑安全防护装置
KR20200025269A (ko) 2018-08-30 2020-03-10 김재헌 가드레일의 차단판
KR101975773B1 (ko) 2018-10-23 2019-08-28 문장화 케이블선 용접장치
KR20210073340A (ko) * 2019-12-10 2021-06-18 다스코 주식회사 가드레일 부착형 태양광 패널용 구조체
KR20210108089A (ko) * 2020-02-25 2021-09-02 엄희철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동물침입 방지장치
KR20220021586A (ko) 2020-08-14 2022-02-22 김재헌 가드레일의 차단판
KR102501668B1 (ko) * 2022-02-07 2023-02-21 주식회사 신웅 잡초 및 우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56B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56B1 (ko)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KR101623803B1 (ko) 발광 기능을 갖는 펜스
JP5701875B2 (ja) 幹線道路保護バリア
KR101969782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장치 및 방법
DE50011158D1 (de) Sicherheitseinrichtung an einem Fahrzeug zum Schutz von Fussgängern
KR101851214B1 (ko) 무단횡단금지용 차선분리대
KR101365289B1 (ko) 로드킬 방지용 가드펜스 시스템
WO2015108249A1 (ko) 접근 방지를 위한 경보 및 차단시스템
KR100717731B1 (ko) 전주 보호시설
CN206015574U (zh) 一种高速公路安全防护网
KR20120095126A (ko) 안전운전 유도장치가 설치된 지주
KR200358869Y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동물 보호망
KR20090048222A (ko) 도로 가드레일의 동물 진입 차단장치
SE0401726L (sv) Vägräcke
KR102461501B1 (ko) 회전 안내장치가 구성된 어린이보호구역 난간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101691023B1 (ko) 보행자 보호용 교통신호장치
KR101563540B1 (ko)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CN205012253U (zh) 一种新型道路防护栏
JP2009114681A (ja) 遮断機の表示灯付き遮断バー
JPS6032176Y2 (ja) 道路トンネル内などへの車両進入禁止装置
KR200336614Y1 (ko) 도로용 가드레일 구조
KR101317271B1 (ko) 동물의 이동이 차단되는 가드레일용 차단장치
CN215255193U (zh) 一种建筑工程用临时围挡装置
KR100992284B1 (ko)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방지를 위한 야간발광 시선유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