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893A -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 Google Patents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893A
KR20170017893A KR1020167033310A KR20167033310A KR20170017893A KR 20170017893 A KR20170017893 A KR 20170017893A KR 1020167033310 A KR1020167033310 A KR 1020167033310A KR 20167033310 A KR20167033310 A KR 20167033310A KR 20170017893 A KR20170017893 A KR 2017001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ehicle body
wheels
follower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661B1 (ko
Inventor
동칭 차이
Original Assignee
알파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광저우 알파 컬처 커뮤니케이션스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아울디 애니매이션 앤드 토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광저우 알파 컬처 커뮤니케이션스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아울디 애니매이션 앤드 토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파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4Stunt-cars, e.g. lifting front wheels, roll-over or invertible c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14Endless-track automobiles or tru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08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with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가 개시된다. 상기 완구 자동차는 차체(1); 차체(1)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종동륜인 전륜(2); 및 차체(1)의 뒷부분에 설치되되, 차체(1)의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방 구동륜(32) 및 차체(1)의 하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하방 구동륜(31)을 구비한 후륜(3)을 포함하고, 후륜(3)은 탄성이 구비되어 변형 수축이 가능한 휠로 설계되고, 전륜(2)의 상하 최대거리는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으며,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는 완구 자동차와 매칭 구비되는 폐쇄 궤도(4)의 높이 거리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양면 완구 자동차가 수직방향 회전 구간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확보할 수 있는 한편, 후륜(3)이 탄성수축되지 않았을 때의 상하방 구동륜(32、31)의 최대거리는 폐쇄 궤도(4)의 높이 거리보다 크게 마련됨으로, 상기 양면 완구 자동차는 궤도 중에서 상하방 구동륜(32、31) 각각이 모두 상하 궤도면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어, 주행 과정의 안정성이 확보될 뿐만아니라, 수직궤도 상에서의 포복주행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DOUBLE-SIDED TOY CAR CAPABLE OF VERTICAL TURNING WITHIN SEALED TRACK}
본 발명은 양면 완구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완구 자동차는 종류가 다양한데, 그중 대다수는 단일 방향 주행을 위한 일반적인 완구 자동차이다. 즉, 차체의 저면부에 휠이 설치되어 주행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완구 자동차의 동력전달 구조 설계는 비교적 간단하고, 그 기능 또한 상대적으로 단일하며, 강한 흥미성이 결여된다. 현재, 다른 한가지 완구 자동차로서 양면 완구 자동차가 있는데, 이 종류의 완구 자동차는 차체의 저면부 및 위쪽부에 모두 휠이 설치되어 있기에 정면 주행 및 배면 주행이 실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양면 완구 자동차가 주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폐쇄 궤도가 설계되었는 바, 이는 곧 양면 완구 자동차의 상방 휠이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궤도 및 양면 완구 자동차의 하방 휠이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하부궤도를 포함하는 궤도 바디이다. 양면 완구 자동차는 당해 폐쇄 궤도 중에서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으나, 종래의 양면 완구 자동차의 동력전달 구조가 육중한 것에 더해 양면 완구 자동차의 상하방 휠이 모두 폐쇄 궤도의 상하부 궤도와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양면 완구 자동차가 수직방향 회전할 때, 전륜이 먼저 수직방향 회전 구간에 진입됨으로 인해, 전체 차체의 앞부분이 들려져 상승하게 된다. 이때 후륜의 상하방 휠은 상대적 변위가 발생하는데, 궤도 높이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경상적으로 걸림되어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종래의 처리방법은 3가지가 있다. 첫째로, 폐쇄 궤도의 수직방향 회전 구간의 설계를 생략하는 것인데, 이에 의해서는 상기 양면 완구 자동차가 폐쇄 궤도에서 주행하는 독특한 성능을 구현할 수 없다. 둘째로, 양면 완구 자동차의 높이를 축소하거나 폐쇄 궤도의 상하 높이를 증가하는 것, 즉 양면 완구 자동차의 상방 휠이 상부 궤도과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양면 완구 자동차를 위해 수직방향 회전 구간에 충족한 회전 공간을 예비하여 수직방향 회전을 실현하는 것이다. 하지만 양면 완구 자동차와 궤도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므로, 수직궤도 상에서의 주행을 만족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간극의 존재로 인해 양면 완구 자동차가 궤도 중에서 주행하는 것의 안정성이 상실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셋째로, 양면 완구 자동차의 상하방 휠을 상대적인 인장,수축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하는 바, 주로 스프링을 휠 축 및 차체 상에 매달아 걸어두는 방식으로 상하방 휠의 상대적인 탄성수축을 실현함으로써, 수직방향 회전 구간이 압착을 인가 받을 때 상하방 휠은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양면 완구 자동차가 걸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양면 완구 자동차의 무게가 가일층 가중화되며, 동력전달 구조 또한 더욱 복잡해지고, 수축 과정 중 양면 완구 자동차의 주행 구동력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며, 제조 원가도 증가할 뿐만아니라, 스프링이 사용 과정 중 수축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이 경우 역시 양면 완구 자동차가 수직방향 회전 위치에서 걸림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 중 존재하는 문제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가 교묘하며, 적용하는 완구 자동차가 라디안 급변 수직방향 회전 궤도 상 및 수직궤도 중에서 안정하고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양면 완구 자동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기술안을 적용한다.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는, 차체; 차체의 앞부분에 설치되며 차체의 상하방으로 돌출되는, 종동륜인 전륜; 및 차체 뒷부분에 설치되며, 차체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방 구동륜 및 차체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방 구동륜을 포함하는 후륜을 포함하고, 상기 후륜은 탄성을 구비하여 변형 수축이 가능한 휠로 설계되고, 상기 전륜의 상하 최대거리는 후륜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후륜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는 상기 완구 자동차와 매칭 구비되는 폐쇄 궤도의 높이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후륜이 탄성수축되지 않았을 때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는 폐쇄 궤도의 높이 거리보다 큰 것이 특징적이다.
여기서, 후륜의 휠 바디 자체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후륜의 상방 구동륜 및/또는 하방 구동륜의 휠 면 상에는 탄성 톱니를 설치하여 후륜의 탄성변형을 실현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당해 기술안은 더욱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이며, 양면 완구 자동차의 구동력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아울러, 탄성 톱니는 양면 완구 자동차가 주행하는 과정에 궤도면과 포인트 접촉 방식으로 접촉되므로, 휠과 궤도면 사이의 마찰 파손을 효과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도 실현 가능하다.
탄성 톱니는 다양한 형상의 기둥형상 돌기 또는 입자형상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 톱니는 복수의 원형 탄성 기둥형상 돌기가 소프트 링을 에워싸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톱니 형상을 이룬 휠 링 이며, 상기 휠 링은 상기 상방 구동륜 및/또는 하방 구동륜의 휠 면 상에 끼움 설치되게 구성하므로, 교체 및 탈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전륜은 다양한 설계안을 적용할 수 있다. 방안1에 의하면, 상기 전륜은 직경이 차체의 높이보다 크고, 차체의 상하방으로 돌출된 종동륜이고, 상기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의 앞부분 중간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종동륜의 직경은 후륜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게 마련된다. 방안2에 의하면, 상기 전륜은 직경이 차체의 높이보다 크고, 차체의 상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종동륜이고, 상기 한 쌍의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의 앞부분 양쪽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종동륜의 직경은 후륜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게 마련된다. 방안3에 의하면, 상기 전륜은 차체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나의 상방 종동륜 및 차체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방 종동륜을 포함하고, 상기 상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의 앞부분에서 상단에 근접한 중간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하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의 앞부분에서 하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상하방 종동륜의 최대 수직거리는 후륜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게 마련된다. 방안4에 의하면, 상기 전륜은 차체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방 종동륜 및 차체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나의 하방 종동륜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의 앞부분에서 상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하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의 앞부분에서 하단에 근접한 중간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상하방 종동륜의 최대 수직거리는 후륜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게 마련된다. 방안5에 의하면, 상기 전륜은 차체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방 종동륜 및 차체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방 종동륜을 포함하고, 상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의 앞부분에서 상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되고, 하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의 앞부분에서 하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상하방 종동륜의 최대 수직거리는 후륜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게 마련된다.
나아가, 보다 우수한 주행 성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상방 구동륜의 회전축 중심과 하방 구동륜의 회전축 중심은 함께 차체에 수직되는 동일한 수직단면 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양면 완구 자동차의 무게를 가급적으로 감소시켜 그의 주행 효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상방 구동륜과 하방 구동륜은 하나의 동력전달 구조를 통해 구동되어 상방 구동륜과 하방 구동륜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등속 회전을 실현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은 후륜을 변형 수축이 가능하도록 탄성이 구비된 휠의 형태로 마련하였고, 전륜의 상하 최대거리를 후륜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게 하였으며, 차체가 평면에 거치될 때 소정의 앞쪽으로 경사진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한 동시에, 후륜의 상방 구동륜이 하방 구동륜에 대해 앞쪽으로 경사지게 설계하였고, 후륜이 탄성수축되지 않았을 때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를 폐쇄 궤도의 높이 거리보다 크게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상기 양면 완구 자동차는 궤도 중에서 그 상하방 구동륜 각각이 모두 상하 궤도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주행 과정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수직 궤도 상에서의 포복 주행 또한 실현 가능하다. 한편, 후륜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를 당해 완구 자동차와 매칭 구비되는 폐쇄 궤도의 높이 거리보다 작게 마련하므로, 당해 양면 완구 자동차가 수직방향 회전 구간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원형 탄성 기둥형상 돌기가 소프트 링을 에워싸고 상호 이격 배치되어 톱니 형상을 이룬 휠 링을 적용하므로, 휠 링을 후륜에 끼움 설치하는 것만으로 후륜에 대해 탄성수축 성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이 간편한 것에 더해 교체의 편리성도 겸비한다. 나아가, 탄성 기둥형상 돌기는 양면 완구 자동차의 주행 과정 중 포인트 접촉 방식으로 궤도면과 접촉되므로, 양면 완구 자동차의 구동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궤도와의 부착력을 제고한 기초상에서 추가적으로 마찰 소모를 감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밖에, 전륜은 종동륜으로서 방향 가이드 역할을 발휘하기 때문에, 전륜은 수요에 따라 각종 다양한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이한 휠을 적용함에 따라 대응되게 적용하는 폐쇄 궤도의 형상도 서로 다른 바, 적용성이 강하고, 구조 구성타입은 다양화되어 있어 소비자는 자신의 선호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완구 자동차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계가 교묘하며, 다양한 구조타입의 폐쇄형 궤도에 적용 가능하고, 폐쇄형 궤도 중에서의 주행은 안정하고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적용성이 강한데, 양면 완구 자동차는 이로 인해 보다 풍부한 게임방식 및 흥미성을 첨가 부여 받게 되었다.
이하, 첨부도면 및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폐쇄형 궤도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3은 도2의 개략화 궤도 및 양면 완구 자동차가 수평 구간에 위치한 상태의 측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4는 도2의 개략화 궤도 및 양면 완구 자동차가 회전 구간에 위치한 상태의 측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는, 차체(1); 차체(1)의 앞부분에 설치되며 차체(1)의 상하방으로 돌출되는 종동륜인 전륜(2); 및 차체(1)의 뒷부분에 설치되며, 차체(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방 구동륜(32) 및 차체(1)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방 구동륜(31)을 포함하는 후륜(3)을 포함한다. 후륜(3)은 탄성을 가져 변형 수축이 가능한 휠로 설계되고, 전륜(2)의 상하 최대거리는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으며,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는 상기 완구 자동차와 매칭 구비되는 폐쇄 궤도(4)의 높이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후륜(3)이 탄성수축되지 않았을 때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는 폐쇄 궤도(4)의 높이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양면 완구 자동차는 궤도(4) 중에서 그 상하방 구동륜 각각이 모두 상하 궤도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주행 과정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수직 궤도 상에서의 포복 주행 또한 실현 가능할 뿐만아니라, 당해 양면 완구 자동차가 수직방향 회전 구간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확보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방 구동륜(32) 및 하방 구동륜(31)의 휠 면 상에는 모두 탄성 톱니(30)가 설치되어 후륜의 탄성수축이 실현될 수 있으며, 탄성 톱니(30)는 복수의 원형 탄성 기둥형상 돌기가 소프트 링을 에워싸고 상호 이격 배치되어 톱니 형상을 이룬 휠 링 으로서, 사용 시 휠 링을 상방 구동륜(32) 및 하방 구동륜(31)의 휠 면상에 끼움 설치하는데, 교체 및 탈착이 편리하며,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당해 기술안은 보다 간단하면서 실용적인 것은 물론, 양면 완구 자동차의 구동력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뿐만아니라, 탄성 톱니(30)는 양면 완구 자동차가 주행하는 과정에 궤도면과 포인트 접촉 방식으로 접촉되므로, 휠과 궤도면 사이의 마찰 파손을 효과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도 실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전륜(2)에 적용된 기술안은 하기와 같다. 전륜(2)은 차체(1)의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방 종동륜(22) 및 차체(1)의 하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하방 종동륜(21)을 포함하고, 상방 종동륜(22)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에서 상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되고, 하방 종동륜(21)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에서 하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방 구동륜(32)의 회전축 중심과 하방 구동륜(31)의 회전축 중심은 함께 차체(1)에 수직되는 동일한 수직단면 상에 위치하며, 상방 구동륜(32)과 하방 구동륜(31)은 하나의 동력전달 구조에 의해 구동되어 상방 구동륜(32)과 하방 구동륜(31)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등속 회전을 실현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중의 부호 "D"는 곧 전륜(2)의 상하방 종동륜의 최대 수직거리이고, 가령 도3 상태에서 후륜(3)의 탄성 톱니는 ‹š마침 비탄성변형 상태에 처해 있다고 가정할 경우, 후륜(3)이 탄성수축되지 않았을 때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는 곧 상하방 구동륜 각각과 상하 궤도면 접촉 포인트 사이의 연결선 의 거리인데, 도면 중에는 "L"로 표기되었다. 한편, 상하 궤도의 높이는 "H"로 표기되었고, 탄성 톱니(30)의 최대 탄성수축량은 "R"로 표시하였다. 그러면, 도3으로부터 알수 있는봐와 같이, "D"는 아주 선명하게 "L-R"보다 작기에, 차체(1)를 수평면 상에 거치할 경우, 당해 차체(1)는 앞쪽으로 경사진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후륜(3)의 상방 구동륜(32)은 하방 구동륜(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앞쪽에 근접한 곳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L"는 "H"보다 크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4 상태에서 차체(1)는 전륜(2)이 수직방향 회전 구간에 진입한 반면, 후륜(3)은 여전히 수평 궤도 구간에 위치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전륜(2)이 들려 상승하므로, 후륜(3)의 상방 구동륜(32)은 하방 구동륜(31)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을 향한 변위가 발생하게 되어, 탄성 톱니(30)는 탄성수축이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상방 구동륜(32)이 변위되어 하방 구동륜(31)의 중앙 상방에 도달하면, 도4의 상태와 같이, 이때 상하방 구동륜 각각과 상하 궤도면 접촉 포인트 사이의 연결선 거리는 "H"의 값과 동일하며, 아울러 이때 탄성수축은 가장 엄중하다. 때문에 양면 완구 자동차가 그 곳에서 걸림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하여 탄성수축량은 반드시 "R"보다 작거나 같아야 하는 바, 즉 오직 "L-R"가 "H"보다 작거나 같아야만 걸림되지 않도록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재를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의 기타 변경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 수준에서는 예상 가능한 것이며, 그러한 변경은 당연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한정 범주에 포함된다.

Claims (10)

  1.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에 있어서,
    차체(1);
    차체(1)의 앞부분에 설치되며 차체(1)의 상하방으로 돌출되는, 종동륜인 전륜(2); 및
    차체(1)의 뒷부분에 설치되며, 차체(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방 구동륜(32) 및 차체(1)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방 구동륜(31)을 포함하는 후륜(3); 을 포함하되,
    상기 후륜(3)은 탄성을 구비하여 변형 수축이 가능한 휠로 설계되고,
    상기 전륜(2)의 상하 최대거리는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는 상기 완구 자동차와 매칭 구비되는 폐쇄 궤도(4)의 높이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후륜(2)이 탄성수축되지 않았을 때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는 폐쇄 궤도(4)의 높이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완구 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3)의 상방 구동륜(32) 및/또는 하방 구동륜(31)의 휠 면에는 탄성 톱니(30)가 설치되어 후륜의 탄성수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톱니(30)는 복수의 원형 탄성 기둥형상 돌기가 소프트 링을 에워싸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톱니 형상을 이룬 휠 링 이고, 상기 휠 링은 상기 상방 구동륜(32) 및/또는 하방 구동륜(31)의 휠 면에 끼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2)은 직경이 차체(1)의 높이보다 크고, 차체(1)의 상하방으로 돌출된 종동륜이고,
    상기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 중간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종동륜의 직경은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2)은 직경이 차체(1)의 높이보다 크고, 차체(1)의 상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종동륜이고,
    상기 한 쌍의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 양쪽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종동륜의 직경은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2)은 차체(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나의 상방 종동륜 및 차체(1)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방 종동륜을 포함하고,
    상기 상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에서 상단에 근접한 중간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하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에서 하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상하방 종동륜의 최대 수직거리는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2)은 차체(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방 종동륜 및 차체(1)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나의 하방 종동륜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에서 상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하방 종동륜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에서 하단에 근접한 중간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상하방 종동륜의 최대 수직거리는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2)은 차체(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방 종동륜(22) 및 차체(1)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방 종동륜(21)을 포함하고,
    상방 종동륜(22)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에서 상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되고, 하방 종동륜(21)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차체(1)의 앞부분에서 하단에 근접한 양쪽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상하방 종동륜의 최대 수직거리는 후륜(3)이 최대 탄성수축된 후의 상하방 구동륜의 최대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구동륜(32)의 회전축 중심과 하방 구동륜(31)의 회전축 중심은 함께 차체(1)에 수직되는 동일한 수직단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구동륜(32)과 하방 구동륜(31)은 하나의 동력전달 구조를 통해 구동되어 상방 구동륜(32)과 하방 구동륜(31)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등속 회전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KR1020167033310A 2014-09-30 2015-06-30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KR101877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517935.7 2014-09-30
CN201410517935.7A CN104248846B (zh) 2014-09-30 2014-09-30 一种可在封闭轨道中竖向拐弯的双面玩具车
PCT/CN2015/082913 WO2016050103A1 (zh) 2014-09-30 2015-06-30 一种可在封闭轨道中竖向拐弯的双面玩具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893A true KR20170017893A (ko) 2017-02-15
KR101877661B1 KR101877661B1 (ko) 2018-07-11

Family

ID=5218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310A KR101877661B1 (ko) 2014-09-30 2015-06-30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975055B2 (ko)
EP (1) EP3202473A4 (ko)
JP (1) JP6362712B2 (ko)
KR (1) KR101877661B1 (ko)
CN (1) CN104248846B (ko)
AU (1) AU2015327589B2 (ko)
BR (1) BR112016029878A2 (ko)
CA (1) CA2950224C (ko)
MX (1) MX2016015717A (ko)
RU (1) RU2654448C1 (ko)
WO (1) WO2016050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9206B2 (ja) 2006-02-20 2012-01-25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玩具
CN104248846B (zh) * 2014-09-30 2017-04-05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在封闭轨道中竖向拐弯的双面玩具车
CN105617673B (zh) * 2015-12-25 2017-12-01 杭州电子科技大学 转向轮摆动角行程及周期精密可调的无碳小车
WO2018041071A1 (en) * 2016-08-29 2018-03-08 Smartrtoys Limited Toy vehicle and track system therefor
US10814237B2 (en) 2016-08-29 2020-10-27 Smartrtoys Limited Toy vehicle and track system therefor
JP3236393U (ja) * 2019-03-08 2022-02-17 スマートアールトイズ リミテッド 新規な玩具車両及び該玩具車両用の軌道システム
USD963067S1 (en) * 2020-03-31 2022-09-06 Rongbin Chen Remote-controlled toy
USD938528S1 (en) * 2021-05-13 2021-12-14 Zezhou Lin Toy car
US11712636B1 (en) 2022-08-12 2023-08-01 Spin Master Ltd. Transformable toy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8313A (en) * 1931-01-29 1932-07-19 Daubendiek Armin Toy
US2064309A (en) * 1936-02-14 1936-12-15 Marx & Co Louis Toy vehicle
US3445959A (en) * 1967-01-25 1969-05-27 Marvin Glass & Associates Reversible race car
US3733739A (en) * 1971-12-30 1973-05-22 Marvin Glass & Associates Motor operated toy vehicle
JPS5942063Y2 (ja) * 1979-06-15 1984-12-06 株式会社トミー 反転走行玩具
JPS6060875A (ja) * 1983-09-14 1985-04-08 株式会社タカラ 走行玩具
JPH0319408Y2 (ko) * 1985-10-19 1991-04-24
GB2214099A (en) 1988-01-14 1989-08-31 Synergistics Research Limited A toy vehicle
US4969851A (en) * 1990-01-26 1990-11-13 Marvin Glass & Associates Liquidating Trust Toy vehicle with changing style feature
US5173073A (en) * 1991-02-11 1992-12-22 Franzone Victor E Wheeled sparkplug toy vehicle
US5667420A (en) * 1994-01-25 1997-09-16 Tyco Industries, Inc. Rotating vehicle toy
US5727985A (en) * 1994-05-24 1998-03-17 Tonka Corporation Stunt performing toy vehicle
JP3025348U (ja) * 1995-11-30 1996-06-11 株式会社トミー 走行体
US5803790A (en) * 1997-01-22 1998-09-08 Mattel, Inc. Toy vehicle with selectively positionable wing
US6132287A (en) * 1997-08-19 2000-10-17 Kuralt; Richard Blake Transforming tracked toy vehicle
US6024627A (en) * 1997-08-19 2000-02-15 Tilbor; Neil Toy vehicle with gyroscopic action rear wheels
US5921843A (en) * 1997-12-04 1999-07-13 Hasbro, Inc. Remote controlled toy vehicle
US6589098B2 (en) * 1999-08-06 2003-07-08 Mattel, Inc. Toy vehicle with pivotally mounted side wheels
AU6481200A (en) * 1999-08-19 2001-03-19 Kyoung Chul Lee Toy vehicle
US6648722B2 (en) * 2001-10-26 2003-11-18 The Obb, Llc Three wheeled wireless controlled toy stunt vehicle
CA2502858A1 (en) * 2002-10-31 2004-05-21 Mattel, Inc. Toy vehicle
ES1062008Y (es) * 2002-11-01 2006-08-01 Obb Llc Vehiculo de juguete con componentes moviles de chasis.
US7234992B2 (en) * 2002-11-01 2007-06-26 Mattel, Inc. Remotely controlled toy vehicles with light(s)
US7172488B2 (en) * 2003-11-12 2007-02-06 Mattel, Inc. Toy vehicle
KR20070053156A (ko) * 2004-08-25 2007-05-23 잭스 퍼시픽, 인크. 바퀴회전런처 및 바퀴완구
WO2007147284A1 (en) * 2006-06-14 2007-12-27 Smartrtoys Ltd. A controllable toy vehicle and track
US8342904B2 (en) * 2007-04-20 2013-01-01 Mattel, Inc. Toy vehicles
US9352242B2 (en) * 2011-08-29 2016-05-31 Rehco, Llc Toy vehicle with rollover stunt movements
AU2011284752C1 (en) * 2010-07-30 2014-12-11 Thinking Technology, Inc. Two-sided toy vehicle
US8038504B1 (en) * 2010-12-10 2011-10-18 Silverlit Limited Toy vehicle
CN103816665A (zh) * 2012-11-16 2014-05-28 蔡俊权 一种双面玩具车
US9427672B2 (en) * 2013-02-07 2016-08-30 Objex Design Stunt arenas for remote control vehicles
CN104225927B (zh) * 2014-09-30 2017-04-05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玩具车
CN204121751U (zh) * 2014-09-30 2015-01-28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在封闭轨道中竖向拐弯的双面玩具车
CN104248846B (zh) * 2014-09-30 2017-04-05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在封闭轨道中竖向拐弯的双面玩具车
CN104678851B (zh) 2015-01-29 2018-03-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插座开关控制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27589A1 (en) 2016-12-22
RU2654448C1 (ru) 2018-05-17
CA2950224C (en) 2018-07-24
JP2017516589A (ja) 2017-06-22
JP6362712B2 (ja) 2018-07-25
US20170095745A1 (en) 2017-04-06
BR112016029878A2 (pt) 2020-11-10
EP3202473A4 (en) 2018-06-20
CN104248846B (zh) 2017-04-05
CN104248846A (zh) 2014-12-31
KR101877661B1 (ko) 2018-07-11
MX2016015717A (es) 2017-08-18
WO2016050103A1 (zh) 2016-04-07
AU2015327589B2 (en) 2017-09-28
CA2950224A1 (en) 2016-04-07
US9975055B2 (en) 2018-05-22
EP3202473A1 (en)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661B1 (ko) 폐쇄 궤도 중에서 수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면 완구 자동차
JP3198018U (ja) 動力車両
RU2016129179A (ru) Сферическое колес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колесо
KR20110089310A (ko) 마찰식 구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방향 이동체
US20160185417A1 (en) Freewheeling unicycle
CN205478970U (zh) 双滚轮三销式移动万向节
CN204121751U (zh) 一种可在封闭轨道中竖向拐弯的双面玩具车
CN109435575A (zh) 一种具有刹车功能的麦克纳姆轮
JP2010091104A (ja) 等速ジョイント
CN103867603B (zh) 双向超越离合器
CN101468718A (zh) 离心牵引力装置
US10065125B1 (en) 3D high-speed track car toy
CN201572044U (zh) 吸尘器地刷传动机构
CN207686492U (zh) 手动推拉门超速制动承重走轮
CN105422620B (zh) 一种摩天轮主轴支撑结构
CN204507144U (zh) 一种自行车
JP2012214082A (ja) 車両用スパッツ
CN212332276U (zh) 一种自行车偏心轮
CN203698570U (zh) 电动变速自行车
CN106627973A (zh) 一种由中轴驱动的变速轮盘
CN201671973U (zh) 一种轴承及切割仪器
CN204755560U (zh) 一种异形结构转轴
TWM400319U (en) Massage device with pinch and massage function
CN204020395U (zh) 防止摩托车突然加速的轮毂
KR101530602B1 (ko)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