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251A -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 Google Patents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251A
KR20170016251A KR1020150109737A KR20150109737A KR20170016251A KR 20170016251 A KR20170016251 A KR 20170016251A KR 1020150109737 A KR1020150109737 A KR 1020150109737A KR 20150109737 A KR20150109737 A KR 20150109737A KR 20170016251 A KR20170016251 A KR 20170016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entral
center
centering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449B1 (ko
Inventor
박순복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0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2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driving means for roller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면서 이송 소재를 지지하는 중앙정렬롤, 및 상기 중앙정렬롤과 결합되어 상기 박판이 상기 중앙정렬롤의 일측으로 쏠림시 상기 박판을 상기 중앙중렬롤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유도부는 상기 중앙정렬롤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유도부 몸체, 상기 유도부 몸체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한 쌍 이상 설치되고, 상기 유도부 몸체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DEVICE FOR ARRAYING STRIP, AND METHOD FOR ARRAYING STRIP}
본 발명은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판 표면부 코팅 작업시 코팅 작업전 박판을 중앙정렬롤의 중앙으로 정열시켜 코팅 작업시 중랑정렬롤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여 코팅롤의 손상 방지는 물론 박판 양측 가장자리 미코팅 부분을 최소화시켜 실수율 향상에 기여하는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정렬롤은 코팅롤의 전단에 위치되어 박판 표면부의 코팅 작업시 코팅롤 전면부 박판을 서포트 함과 동시에 박판을 코팅롤 방향으로 진행시켜주는 것이다.
이러한 중앙정렬롤의 상단부에 안착된 박판은 한 쌍의 코팅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코팅롤에 의하여 박판 양면에 코팅이 이루어지고, 계속에서 박판은 히팅 코일에 의하여 가열되는 건조로를 통과하면서 코팅 작업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박판이 통판된 상태에서 중앙정렬롤 상부를 통과하면서 중앙정렬롤의 어느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 박판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물결 모양의 파형에 의해 코팅롤 가장자리가 훼손되어 박판 표면부의 코팅 작업 중 수리를 위하여 중앙정렬롤 상단에서 정렬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박판 가장자리의 코팅 불량으로 인하여 스크랩 발생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박판 표면부 코팅 작업시 코팅 작업전 박판을 중앙정렬롤의 중앙으로 정열시켜 코팅 작업시 중앙정렬롤의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박판 표면부 코팅 작업시 발생되는 박판 쏠림 현상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코팅롤 양측 가장자리 훼손방지는 물론 박판 양측 코팅불량을 예방하여 실수율 향상은 불론 코팅롤 교체와 중앙정렬롤 상단에서의 교정작업 불필요에 따른 생산성 증가는 물론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대상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면서 이송 소재를 지지하는 중앙정렬롤, 및
상기 중앙정렬롤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 소재가 상기 중앙정렬롤의 일측으로 쏠림시 상기 이송 소재를 상기 중앙중렬롤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유도부는 상기 중앙정렬롤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유도부 몸체,
상기 유도부 몸체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한 쌍 이상 설치되고, 상기 유도부 몸체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봉을 포함하는 것인 정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상장치는 코팅롤로 제공되고, 상기 이송 소재는 박판으로 이루어져 박판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유도부 몸체의 일단부에는 볼죠인트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도부 몸체의 타단부에는 탄성부재가 내장된 완충부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앙정렬롤의 하부에는 경사면을 갖는 설치부재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도부 몸체는 그 일단부에 형성된 볼죠인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도부 몸체는 슬라이딩봉이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도부 몸체는 그 타단부에 형성된 완충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봉은 상기 베이스의 경사면에 평행하게 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슬라이딩봉이 설치되는 제1, 제2 이탈 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중앙정렬롤이 이송 소재를 지지하는 이송 소재 지지 단계,
상기 이송 소재 지지 단계에서 상기 중앙정렬롤에 지지된 이송 소재가 상기 중앙정렬롤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쏠렸는지는 판단하는 쏠림 판단 단계, 및
상기 쏠림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송 소재가 상기 중앙정렬롤 일측으로 쏠렸다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정렬롤의 일측으로 쏠린 상기 이송 소재를 상기 중앙정렬롤의 중앙으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유도 단계는 상기 이송 소재가 쏠린 중앙정렬롤의 일측의 반대측을 상승시켜 상기 이송 소재를 상기 중앙정렬롤의 중앙으로 쏠리도록 제어하는 중앙 쏠림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정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소재는 박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쏠림 판단 단계는 상기 중앙정렬롤 일측이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하강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유도 단계는 상기 중앙정렬롤 타측을 상기 중앙정렬롤이 하강한 거리만큼 상승시켜 주는 하강 거리 상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유도 단계는 상기 중앙정렬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각도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유도 단계는 상기 중앙정렬롤의 유동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 완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중앙정렬롤에서 박판의 쏠림 현상을 자동으로 콘트롤하여 코팅롤 양측 가장자리 훼손방지는 물론 박판 양측 코팅불량을 예방 실수율 향상은 물론 코팅롤 교체와 중앙정렬롤 상단에서의 교정 작업 불필요에 따른 생산성 증가는 물론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장치의 개략적인 겅단면도로서, 박판이 중앙정렬롤 좌측으로 쏠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현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구현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장치의 개략적인 겅단면도로서, 박판이 중앙정렬롤 좌측으로 쏠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장치는, 대상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면서 이송 소재를 지지하는 중앙정렬롤(100), 및
상기 중앙정렬롤(100)과 결합되고, 상기 이송 소재가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상단부를 통과하는 중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일측으로 쏠림시 상기 이송 소재를 상기 중앙중렬롤(100)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장치는 코팅롤(미도시)로 제공되고, 상기 이송 소재는 박판(10)으로 이루어져 박판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중앙정렬롤(100)은 코팅롤의 전단에 위치한 상기 박판(10)을 코팅롤 방향으로 진행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롤의 전단이라 함은 상기 코팅롤을 기준으로 상기 박판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중앙 유도부(200)는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양측 회전축(110, 120)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10, 1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도부 몸체(210, 220),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의 하부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경사면(231, 241)을 갖는 베이스(230, 240), 및
상기 베이스(230, 240)에 적어도 한 쌍 이상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가 결합되고, 상기 박판(10)이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일측으로 쏠림시 상기 유동부 몸체(210, 220)가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봉(250, 2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의 일단부에는 상기 중앙중렬롤(100)의 회전축(110, 120)의 결합 각도 조절과 함께 회전력을 가지도록 상기 회전축(110, 120)과 회전 가능하게 볼죠인트(270, 2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앙정렬롤(100)은 상기 볼죠인트(270, 280)의 결합에 의해 자유로운 기울어짐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중랑정렬롤(100)의 좌,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케 구성된 상기 유동부 몸체(210, 220)는 슬라이딩봉(250, 260)과의 결합 이탈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유동시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유격을 주기 위한 탄성부재(310)가 내장된 완충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230, 240)가 설치면(2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설치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죠인트(270, 280)와 결합되는 볼죠인트 결합부(211, 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는 그 중앙부에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봉(250, 2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213, 2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는 그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300)와 연결되는 완충부 연결부(215, 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 연결부(215, 225)는 상기 완충부(300)와 임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16, 226)에 의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봉(250, 260)은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가 상기 슬라이딩봉(250, 260)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230, 240)의 경사면(231, 241)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30, 240)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봉(250, 26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의 전, 후진 슬라이딩시 상기 유도부 몸체가 상기 슬라이딩봉(250, 2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제2 이탈 방지판(233, 234, 243, 244)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박판(10)이 상기 중앙정렬롤(100) 좌측으로 쏠림 발생시 박판(10)이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중앙으로 정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박판(100)이 상기 중앙정렬롤(100) 우측으로 쏠림 발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어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중앙으로 정렬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박판(1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박판(10)이 진행중 상기 중앙정렬롤(100) 좌측으로 쏠림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박판(10)은 상기 중앙정열롤(100) 좌측 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박판(10)이 상기 중앙정열롤(100) 좌측 부분을 가압하게 되면, 도 2의 점선과 같이,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좌측 부분은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우측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됨과 아울러 상기 중앙정렬로(100)의 우측 부분은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좌측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상기 중앙정렬로(100)의 우측 부분은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좌측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우측에 위치한 유도부 몸체(210)은 볼죠인트(270) 결합에 의하여 우측 상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기울어짐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230)에 설치된 슬라이딩봉(250, 260)을 따라 일시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좌측에 위치한 유도부 몸체(220)은 볼죠인트(280) 결합에 의하여 좌측 하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기울어짐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240)에 설치된 슬라이딩봉(250, 260)을 따라 일시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도부 몸체(210)가 상기 베이스(230)에 설치된 슬라이딩봉(250, 260)을 따라 일시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상승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박판(10)은 상기 유도부 몸체(210)의 일시적 상승에 따라 상기 중앙정렬롤(100)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앙정럴롤(100) 우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박판(10)이 도 2의 실선과 같이,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우측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중앙정럴롤(100)은 상기와는 반대로 우측으로 쏠리면서 진행되는 박판(10)이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완충부(300)의 탄성부재(310)는 상기 유동부 몸체(210, 220)가 슬라이딩봉(250, 260)을 따라 슬라이딩시 유격을 최소화시켜 상기 중앙정렬롤(100)로 하여금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30, 240)의 상단부에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 제2 이탈 방지판(233, 234, 243, 24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도부 몸체(210, 220)의 전, 후진 슬라이딩시 상기 유도부 몸체가 상기 슬라이딩봉(250, 2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방법은 하기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사항 이외에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장치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렬 방법은, 중앙정렬롤(100)이 이송 소재를 지지하는 이송 소재 지지 단계(S10),
상기 이송 소재 지지 단계(S10)에서 상기 중앙정렬롤(100)에 지지된 이송 소재가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쏠렸는지는 판단하는 쏠림 판단 단계(S20), 및
상기 쏠림 판단 단계(S30)에서 상기 이송 소재가 상기 중앙정렬롤(100) 일측으로 쏠렸다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일측으로 쏠린 이송 소재를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유도 단계(S30)는 상기 이송 소재가 쏠린 중앙정렬롤(100)의 일측의 반대측을 상승시켜 상기 이송 소재를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중앙으로 쏠리도록 제어하는 중앙 쏠림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소재는 박판(1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쏠림 판단 단계(S20)는 상기 박판(10)이 상기 중앙정렬롤(100)이 일측을 일정한 크기의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중앙정렬롤(100) 일측이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하강 판단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유도 단계(S30)는 상기 하강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중앙정렬롤(100) 일측이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 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정렬롤(100) 타측을 상기 중앙정렬롤(100)이 하강한 거리만큼 상승시켜 주는 하강 거리 상승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유도 단계(S30)는 상기 하강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중앙정렬롤 일측이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 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각도 조절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유도 단계(S30)는 상기 중앙정렬롤(100) 일측이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 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정렬롤(100)의 유동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 완충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10: 박판 20: 설치면
100: 중앙정렬롤 110, 120: 회전축
200: 중앙 유도부 210, 220: 유도부 몸체
230, 240: 베이스 250, 260: 슬라이딩봉
270, 280: 볼죠인트 300: 완충부
400: 설치부재

Claims (14)

  1. 대상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면서 이송 소재를 지지하는 중앙정렬롤, 및
    상기 중앙정렬롤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 소재가 상기 중앙정렬롤의 일측으로 쏠림시 상기 이송 소재를 상기 중앙중렬롤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유도부는 상기 중앙정렬롤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유도부 몸체,
    상기 유도부 몸체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한 쌍 이상 설치되고, 상기 유도부 몸체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봉을 포함하는 것인 정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코팅롤로 제공되고, 상기 이송 소재는 박판으로 이루어져 박판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정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 몸체의 일단부에는 볼죠인트가 결합되는 것인 정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 몸체의 타단부에는 탄성부재가 내장된 완충부가 연결되는 것인 정렬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 몸체는 그 일단부에 형성된 볼죠인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정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 몸체는 슬라이딩봉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정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 몸체는 그 타단부에 형성된 완충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정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봉은 상기 베이스의 경사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인 정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슬라이딩봉이 설치되는 제1, 제2 이탈 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인 정렬 장치.
  10. 중앙정렬롤이 이송 소재를 지지하는 이송 소재 지지 단계,
    상기 이송 소재 지지 단계에서 상기 중앙정렬롤에 지지된 이송 소재가 상기 중앙정렬롤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쏠렸는지는 판단하는 쏠림 판단 단계, 및
    상기 쏠림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송 소재가 상기 중앙정렬롤 일측으로 쏠렸다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정렬롤의 일측으로 쏠린 상기 이송 소재를 상기 중앙정렬롤의 중앙으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유도 단계는 상기 이송 소재가 쏠린 중앙정렬롤의 일측의 반대측을 상승시켜 상기 이송 소재를 상기 중앙정렬롤의 중앙으로 쏠리도록 제어하는 중앙 쏠림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정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소재는 박판으로 제공되고,
    상기 쏠림 판단 단계는 상기 중앙정렬롤 일측이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하강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정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도 단계는 상기 중앙정렬롤 타측을 상기 중앙정렬롤이 하강한 거리만큼 상승시켜 주는 하강 거리 상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정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도 단계는 상기 중앙정렬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각도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정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도 단계는 상기 중앙정렬롤의 유동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 완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정렬 방법.
KR1020150109737A 2015-08-03 2015-08-03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KR10170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737A KR101707449B1 (ko) 2015-08-03 2015-08-03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737A KR101707449B1 (ko) 2015-08-03 2015-08-03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251A true KR20170016251A (ko) 2017-02-13
KR101707449B1 KR101707449B1 (ko) 2017-02-16

Family

ID=5815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737A KR101707449B1 (ko) 2015-08-03 2015-08-03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6532A (zh) * 2022-07-01 2022-08-16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物流仓储置物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250U (ko) * 1996-09-25 1998-07-06 양재신 글로브 박스내에 설치된 그물망 자동감김장치
KR200186051Y1 (ko) * 1999-12-24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판쏠림 교정장치
KR20080055426A (ko)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이송용 밸런스편차보정형 롤러장치
KR20140028660A (ko) * 2012-08-30 2014-03-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사행 보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250U (ko) * 1996-09-25 1998-07-06 양재신 글로브 박스내에 설치된 그물망 자동감김장치
KR200186051Y1 (ko) * 1999-12-24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판쏠림 교정장치
KR20080055426A (ko)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이송용 밸런스편차보정형 롤러장치
KR20140028660A (ko) * 2012-08-30 2014-03-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사행 보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6532A (zh) * 2022-07-01 2022-08-16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物流仓储置物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449B1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4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lded shaped steel
KR102029705B1 (ko) 코일스프링 핀 챔퍼링 장치
KR101388015B1 (ko) 벨트 컨베이어
TW201509843A (zh) 薄板玻璃的搬運方法、搬運裝置與切斷方法以及玻璃物品的製造方法
KR101707449B1 (ko)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JP2016190268A (ja) H形鋼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JP2014087815A (ja) 溶接型鋼の歪矯正装置
KR101581088B1 (ko) 판유리의 곡면 성형 장치 및 곡면 성형 방법
KR20150143274A (ko) 취성재료 기판의 브레이크장치
KR101739454B1 (ko) 금속 판재의 곡면 성형을 위한 피딩 장치 및 방법
KR20200033683A (ko) 용접변형 교정 지그
KR20160149526A (ko) 사이드 가이드 장치
CN106185230A (zh) 带式输送机小半径可调转弯装置
CN104003105B (zh) 带式输送机自动纠偏系统
CN205328126U (zh) 用于转子的定向调整装置
CN211034132U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输送带
CN103785715B (zh) 适合各种尺寸金属板的调直检测设备
CN217200250U (zh) 输送装置
KR20140087498A (ko) 기판 지지 유닛
KR101669062B1 (ko) 인쇄회로기판 이송 적재용 지지 장치
KR101515328B1 (ko) 글라스 이송 장치
KR101819299B1 (ko) 소재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JP6597859B2 (ja) 基板加工装置
KR101685757B1 (ko) 이송장치
KR2003004859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