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660A - 소재 사행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사행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660A
KR20140028660A KR1020120095375A KR20120095375A KR20140028660A KR 20140028660 A KR20140028660 A KR 20140028660A KR 1020120095375 A KR1020120095375 A KR 1020120095375A KR 20120095375 A KR20120095375 A KR 20120095375A KR 20140028660 A KR20140028660 A KR 2014002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ller
roller member
guid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876B1 (ko
Inventor
박영국
김웅
배진운
이정한
임갑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8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20Track of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사행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면에 안착된 소재를 회전 구동에 의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롤러부재와, 이송 중인 소재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장치와, 롤러부재의 기울기를 조정하며, 소재를 자중에 의해 롤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소재의 사행을 보정하는 기울기조정장치와, 사행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소재의 형상에 따라 기울기조정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사행 보정장치{APPARATUS FOR MEANDERING CORRECTION OF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사행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테이블상에서 이송 중인 소재의 사행(蛇行)을 보정하기 위한 소재 사행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을 고체로 변형시키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공정은 슬라브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압연에 적합한 온도(1100 ~ 1300 ℃)로 재가열하여 추출한 후, 조압연기를 통해 폭압연 및 두께압연을 실시하고 사상압연기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제품으로 최종 압연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관련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9638호(2004.01.31. 공개, 발명의 명칭 : 스트립의 사행 조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롤러테이블상에서 이송 중인 소재의 사행을 안정되게 보정할 수 있는 소재 사행 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는, 소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면에 안착된 상기 소재를 회전 구동에 의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롤러부재; 이송 중인 상기 소재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장치; 상기 롤러부재의 기울기를 조정하며, 상기 소재를 자중에 의해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소재의 사행을 보정하는 기울기조정장치; 및 상기 사행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소재의 형상에 따라 상기 기울기조정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행감지장치는,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와 상기 소재의 폭 방향 중간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울기조정장치는, 상기 롤러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축의 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이동장치; 및 상기 롤러부재를 회전구동시키는 롤러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회전장치는,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축에 힌지 연결되는 롤러연결바; 구동모터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구동바; 일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바에 연결되며, 상기 롤러연결바의 위치에 따라 기울기와 길이가 변화되는 신축바; 상기 구동바와 상기 신축바간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바의 회전력을 상기 신축바에 전달하는 제1유니버셜조인트; 및 상기 신축바와 상기 롤러연결바간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기 신축바의 회전력을 상기 롤러연결바에 전달하는 제2유니버셜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축바는, 일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바에 연결되며, 직선형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바; 및 일단부가 상기 구동바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롤러연결바 둘레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부가 형성된 가이드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이동장치는, 상기 베어링부재에 연결되는 베어링연결부; 및 상부가 상기 베어링연결부에 연결되며, 길이가 신축 변형되며 상기 베어링연결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신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롤러부재 중 일부는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기울이고, 상기 롤러부재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기울여 상기 소재의 위치를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 중간부측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롤러부재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 중인 소재의 사행 시, 기울기조정장치에 의해 롤러부재를 길이방향으로 기울여 소재를 롤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사행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재의 사행 형태, 즉 소재의 구부러진 방향에 따라 롤러부재를 다른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소재를 롤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사행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롤러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사행 중인 소재의 폭방향 위치를 롤러부재의 길이방향 중간부측으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에 별도의 접촉 가압력을 작용시키지 않고도 소재의 자중을 이용하여 소재를 이동시킬 수 있어, 소재의 측면부를 밀어내면서 소재의 위치를 정렬하는 경우와 비교해 소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의 작동 상태의 일례를 정면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의 작동 상태의 다른 일례를 정면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의 작동 상태의 또 다른 일례를 정면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의 제1, 2유니버셜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의 제1, 2유니버셜조인트의 작동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 3, 4,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의 다양한 작동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의 제1, 2유니버셜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의 제1, 2유니버셜조인트의 작동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200)는 롤러부재(210), 사행감지장치(220), 기울기조정장치(230), 컨트롤러(240)를 포함한다.
롤러부재(21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소재(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된다.
복수개의 롤러부재(210)는 평판형 소재(10)를 복수개의 개소에서 하단 지지가능한 받침면을 제공한다.
소재(10)는 복수개의 롤러부재(210)의 상단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루는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롤러부재(210)의 회전 구동에 의해 롤러부재(210)의 배열방향을 따라 일측(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된다.
롤러부재(210)의 회전축(211)은 롤러부재(210)의 양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기울기조정장치(230)의 롤러회전장치(235)와 연결되어 롤러회전장치(2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즉, 롤러부재(210)는 롤러회전장치(235)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되면서 소재(10)를 이송시키게 된다.
사행감지장치(220)는 이송 중인 소재(10)의 사행(蛇行)을 감지한다.
여기서 소재(10)의 사행이란, 소재(10)가 롤러부재(210)의 배열방향, 즉 소재(10)의 이송방향을 향해 나란하게 연장되지 않고 소재(10)의 폭방향(도 2에서 좌우측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행감지장치(220)는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축방향, 도 2에서 좌우측방향)의 중간부와 소재(10)의 폭 방향 중간부가 일치하는지 여부와, 소재(10)의 구부러진 형상(구부러진 정도, 구부러진 방향 등)을 감지한다.
사행감지장치(220)로는 소재(10)의 폭 전체를 촬상가능하게 롤러부재(210) 상측에 설치되는 영상촬영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행감지장치(220)로는 고온 소재(10)와 대기간 온도차를 이용하여 소재(10)의 폭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예를 들어, 파이로미터), 또는 소재(10)의 양측면의 위치를 측정하는 변위센서(예를 들어, 레이저센서)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사행감지장치(220)는 영상촬영장치, 온도센서, 변위센서 등을 이용해 소재(10)의 좌측면, 우측면 위치를 검출한 후 이를 평균함으로써 소재(10)의 폭방향 중간부의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도출할 수 있다.
사행감지장치(220)는 상기와 같이 도출한 소재(10)의 폭방향 중간부의 위치 데이터를,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대한 위치 데이터와 비교한다.
사행감지장치(220)는 상기와 같이 소재(10)의 폭 방향 위치가 설정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설정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컨트롤러(240)로 소재(10)의 사행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기울기조정장치(230)는 롤러부재(210)의 회전 구동 상태를 유지하면서 롤러부재(210)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롤러부재(21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기울이면 소재(10)는 자중에 의해 롤러부재(210)의 우측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즉, 소재(10)가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좌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경우, 롤러부재(210)를 우측으로 기울임으로써 소재(10)의 위치를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중간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부재(21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기울이면 소재(10)는 자중에 의해 롤러부재(210)의 좌측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즉, 소재(10)가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우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경우, 롤러부재(210)를 좌측으로 기울임으로써 소재(10)의 위치를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중간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재(10)의 사행 형태, 즉 소재(10)의 구부러진 방향에 따라 롤러부재(210)를 다른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소재(10)를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사행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울기조정장치(230)는 지지대(231), 승강이동장치(234), 롤러회전장치(235)를 포함한다.
지지대(231)는 롤러부재(210)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롤러부재(210)의 회전축(211)에 연결되는 롤러회전장치(235)의 롤러연결바(23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231)는 베어링부재(232)와 가이드지지바(233)를 포함한다.
베어링부재(232)는 롤러연결바(236)에 구름 접촉되는 복수개의 볼 또는 롤러를 구비하여 롤러연결바(236) 둘레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롤러연결바(236)는 베어링부재(232)에 의해 둘레가 지지된 상태로 롤러회전장치(235)에 연동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지지바(233)는 베어링부재(232)의 상하 이동, 즉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일측부의 상하 이동을 직선 경로로 가이드한다.
가이드지지바(233)에는 상하로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가지며, 베어링부재(232)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가이드홀부(233a)가 형성된다.
베어링부재(232), 즉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일측부는 가이드홀부(233a)를 따라 상하 직선 경로로 이동되며, 가이드홀부(233a)의 상단부, 하단부에 각각 걸려 상향 이동과 하향 이동이 구속된다.
베어링부재(23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부(233a)의 하단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지지바(233)는 롤러부재(210)의 하중을 하단 지지하게 된다.
승강이동장치(234)는 롤러부재(210)의 양단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211)의 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롤러부재(210)를 기울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이동장치(234)는 베어링연결부(234a)와 신축실린더(234b)를 포함한다.
베어링연결부(234a)는 베어링부재(232)에 연결,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어링연결부(234a)는 베어링부재(232)의 둘레에 대응되는 호(弧) 형상을 이루어 베어링부재(232)의 하부에 연결된다.
신축실린더(234b)는 상부가 베어링연결부(234a)에 연결되며, 길이가 신축 변형되며 베어링연결부(234a)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신축실린더(234b)는 실린더부재와 로드부재를 포함한다.
신축실린더(234b)의 실린더부재는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된다.
신축실린더(234b)의 로드부재는 실린더부재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실린더부재 내부에 형성되는 유압에 의해 상측(실린더부재 외측)으로 이동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로드부재가 상향 이동되면 신축실린더(234b)의 길이가 신장되고, 베어링부재(232)와 롤러부재(210)의 일측부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상향 이동된다.
반대로,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상태에서 로드부재가 하향 이동되면 신축실린더(234b)의 길이가 짧아진다.
이때, 상향 이동되어 있던 베어링부재(232)와 롤러부재(210)의 일측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가이드지지바(233)에 의해 하단 지지된 상태가 된다.
롤러회전장치(235)는 상기와 같이 폭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수평을 이루도록 복귀되는 롤러부재(210)를 지속적으로 회전구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회전장치(235)는 롤러연결바(236), 구동모터(237a), 구동바(237b), 신축바(238), 제1유니버셜조인트(239a), 제2유니버셜조인트(239b)를 포함한다.
롤러연결바(236)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롤러부재(210)의 회전축(211)에 힌지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재(210)의 우측에 위치된 롤러연결바(236)가 상향 이동되면, 롤러연결바(236)와 힌지 연결된 회전축(211)의 단부가 함께 상향 이동되면서 회전축(211)(롤러부재(210))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롤러연결바(236)와 회전축(211)을 힌지 연결함으로써, 롤러연결바(236)의 상하 위치에 따라 롤러부재(210)의 회전축(211)을 다양한 각도로 자유롭게 기울일 수 있다.
구동모터(237a)는 롤러부재(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며, 정위치(正位置)에 고정 설치된다.
구동바(237b)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모터(237a)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37a)에 연동하여 정위치에서 회전된다.
신축바(238)는 일단부가 롤러연결바(236)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구동바(237b)에 연결되어, 구동바(237b)의 회전력(회전 변위)을 롤러연결바(236)로 전달한다.
신축바(238)의 타단부는 제1유니버셜조인트(239a)에 의해, 정위치에서 회전되는 회전구동바(237b)와 연결된다.
신축바(238)의 일단부는 제2유니버셜조인트(239b)에 의해, 승강이동장치(234)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롤러연결바(236)와 연결되며, 롤러연결바(236)와 동일 변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축바(238)는 롤러연결바(236)의 위치에 따라 그 기울기와 길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며 짧아지거나,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지며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바(238)는 가이드바(238a)와 슬라이딩바(238b)를 포함한다.
가이드바(238a)는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된 내부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이루어 직선형으로 연장형성된다.
가이드바(238a)의 일단부는 제2유니버셜조인트(239b)에 의해 롤러연결바(236)에 연결된다.
슬라이딩바(238b)는 가이드바(238a)의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바(238a) 타단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가이드바(238a)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가이드바(238a)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가이드바(238a) 외측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바(238b)의 일단부는 구동바(237b)에 연결되며, 슬라이딩바(238b)의 타단부는 상기와 같이 가이드바(238a)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유니버셜조인트(239a)는 구동바(237b)와 신축바(238)간 연결부에 설치되며, 구동바(237b)의 회전력을 신축바(238)에 전달한다.
제2유니버셜조인트(239b)는 신축바(238)와 롤러연결바(236)간 연결부에 설치되며, 신축바(238)의 회전력을 롤러연결바(236)에 전달한다.
제1유니버셜조인트(239a), 제2유니버셜조인트(239b)로는, 상대 각도를 두고 회전하는 두 축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조인트부재인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제1유니버셜조인트(239a), 제2유니버셜조인트(239b)의 일례로써 카르단 유니버셜 조인트(Cardan universal joint)를 적용할 수 있다.
카르단 유니버셜 조인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Y자형 요크를 십자형 핀의 4개의 단부상에 직각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한 형태를 가진다.
구동바(237b)의 회전력(회전 변위)은 구동바(237b)와 연결된 제1유니버셜조인트(239a)의 Y자형 요크, 십자형 핀, 신축바(238)와 연결된 Y자형 요크를 통해 신축바(238)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유니버셜조인트(239a)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바(238)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237b)의 회전력을 신축바(238)측으로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신축바(238)로 전달된 회전력(회전 변위)은 신축바(238)와 연결된 제2유니버셜조인트(239b)의 Y자형 요크, 십자형 핀, 롤러연결바(236)와 연결된 Y자형 요크를 통해 롤러연결바(236)로 안정되게 전달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사행감지장치(220)에서 감지된 소재(10)의 형상에 따라 기울기조정장치(2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40)는 사행감지장치(220)로부터 소재(10)의 사행을 알리는 정보와, 소재(10)의 사행 형태에 관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승강이동장치(234)의 신축실린더(234b)를 신장 구동시켜 롤러부재(210)를 기울인다.
컨트롤러(240)는 소재(10)가 좌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재(210)의 좌측에 위치되는 승강이동장치(234)를 신장 구동시켜 롤러부재(210)를 우측으로 기울임으로써 소재(10)의 사행을 보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소재(10)가 우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재(210) 우측에 위치되는 승강이동장치(234)를 신장 구동시켜 롤러부재(210)를 좌측으로 기울임으로써 소재(10)의 사행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40)는 소재(10)의 사행 형태, 즉 소재(10)의 구부러진 정도, 방향과 무관하게, 사행감지장치(220)에 소재(10)의 사행이 감지되기만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괄적으로 롤러부재(210)를 기울일 수도 있다.
도 5에는 복수개의 롤러부재(210) 중 일부는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지고, 롤러부재(210) 중 다른 일부는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기울어진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러부재(21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복수개의 롤러부재(210)가 배열되어 이루는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중간부가 오목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소재(10)가 롤러부재(210)의 표면을 타고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다가 목표로 하는 지점, 즉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중간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복수개의 롤러부재(210)를 기울임에 있어서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롤러부재(210)와 좌측으로 기울어진 롤러부재(210)가 교대로 배열되게 승강이동장치(234)를 기울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롤러부재(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롤러부재(21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일 수도 있다.
그리고, 사행감지장치(220)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롤러부재(21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인 후, 소재(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른 롤러부재(210)를 순차적으로 기울일 수도 있다.
복수개의 롤러부재(21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임에 있어서는, 서로 동일한 대향 각도로 기울임으로써 사행 중인 소재(10) 폭방향 위치를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중간부측으로 자연히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재 사행 보정장치(200)는, 롤러부재(210)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 중인 소재(10)의 사행 시, 기울기조정장치(230)에 의해 롤러부재(210)를 기울여 소재(10)를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사행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재(10)의 사행 형태, 즉 소재(10)의 구부러진 방향에 따라 롤러부재(210)를 다른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소재(10)를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사행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롤러부재(21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사행 중인 소재(10)의 폭방향 위치를 롤러부재(210)의 길이방향 중간부측으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10)에 별도의 접촉 가압력을 작용시키지 않고도 소재(10)의 자중을 이용하여 소재(10)를 이동시킬 수 있어, 소재(10)의 측면부를 밀어내면서 소재(10)의 위치를 정렬하는 경우와 비교해 소재(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소재 200 : 소재 사행 보정장치
210 : 롤러부재 211 : 회전축
220 : 사행감지장치 230 : 기울기조정장치
231 : 지지대 232 : 베어링부재
233 : 가이드지지바 233a : 가이드홀부
234 : 승강이동장치 234a : 베어링연결부
234b : 신축실린더 235 : 롤러회전장치
236 : 롤러연결바 237a : 구동모터
237b : 구동바 238 : 신축바
238a : 가이드바 238b : 슬라이딩바
239a : 제1유니버셜조인트 239b : 제2유니버셜조인트
240 : 컨트롤러

Claims (8)

  1. 소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면에 안착된 상기 소재를 회전 구동에 의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롤러부재;
    이송 중인 상기 소재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장치;
    상기 롤러부재의 기울기를 조정하며, 상기 소재를 자중에 의해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소재의 사행을 보정하는 기울기조정장치; 및
    상기 사행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소재의 형상에 따라 상기 기울기조정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사행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감지장치는,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와 상기 소재의 폭 방향 중간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사행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조정장치는,
    상기 롤러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축의 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이동장치; 및
    상기 롤러부재를 회전구동시키는 롤러회전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사행 보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회전장치는,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축에 힌지 연결되는 롤러연결바;
    구동모터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구동바;
    일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바에 연결되며, 상기 롤러연결바의 위치에 따라 기울기와 길이가 변화되는 신축바;
    상기 구동바와 상기 신축바간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바의 회전력을 상기 신축바에 전달하는 제1유니버셜조인트; 및
    상기 신축바와 상기 롤러연결바간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기 신축바의 회전력을 상기 롤러연결바에 전달하는 제2유니버셜조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사행 보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바는,
    일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바에 연결되며, 직선형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바; 및
    일단부가 상기 구동바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사행 보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롤러연결바 둘레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부가 형성된 가이드지지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사행 보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이동장치는,
    상기 베어링부재에 연결되는 베어링연결부; 및
    상부가 상기 베어링연결부에 연결되며, 길이가 신축 변형되며 상기 베어링연결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신축실린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롤러부재 중 일부는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기울이고, 상기 롤러부재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기울여 상기 소재의 위치를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 중간부측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사행 보정장치.
KR1020120095375A 2012-08-30 2012-08-30 소재 사행 보정장치 KR101399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75A KR101399876B1 (ko) 2012-08-30 2012-08-30 소재 사행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75A KR101399876B1 (ko) 2012-08-30 2012-08-30 소재 사행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660A true KR20140028660A (ko) 2014-03-10
KR101399876B1 KR101399876B1 (ko) 2014-05-27

Family

ID=5064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375A KR101399876B1 (ko) 2012-08-30 2012-08-30 소재 사행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8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041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크랩 처리장치
KR20160070913A (ko) * 2014-12-10 2016-06-21 주식회사 포스코 사행방지 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
KR20170016251A (ko) *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포스코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KR20180045566A (ko) * 2016-10-26 2018-05-04 한국기계연구원 자기베어링을 이용한 사행제어장치와 사행제어방법
KR20200064813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포스코 위치교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229B1 (ko) * 2014-12-19 2016-09-09 주식회사 포스코 루퍼 설비의 스윙 롤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2283071B1 (ko) * 2020-09-21 2021-07-29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168A (ko) * 2001-07-16 2003-01-24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KR20040027080A (ko) * 2002-09-27 2004-04-01 주식회사 포스코 수평식 루퍼의 스트립 센터링 장치
KR101243249B1 (ko) * 2010-08-16 2013-03-13 주식회사 포스코 박판 사행 방지용 로울러 테이블 및 사행방지 방법
KR101219598B1 (ko) * 2010-12-23 2013-01-0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정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041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크랩 처리장치
KR20160070913A (ko) * 2014-12-10 2016-06-21 주식회사 포스코 사행방지 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
KR20170016251A (ko) *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포스코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KR20180045566A (ko) * 2016-10-26 2018-05-04 한국기계연구원 자기베어링을 이용한 사행제어장치와 사행제어방법
KR20200064813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포스코 위치교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876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876B1 (ko) 소재 사행 보정장치
US20100199797A1 (en) Transfer robot, transfer method, and control method
CA2653944A1 (en) Guidance unit for conveyor belt
KR101435039B1 (ko) 소재 정렬장치
WO2016097984A1 (en) Bending machine for bending tubes, profiled sections, sheets and the like, with a measuring system for measuring the reaction force applied by the workpiece on the bending roller(s) of the machine
KR101435071B1 (ko) 소재 형상 교정장치
US20190176850A1 (en) Conveying apparatus
RU2423222C1 (ru) Манипулятор
KR101301383B1 (ko) 소둔로 내 스트립 사행보정장치
JP2014005176A (ja) 折割装置
KR10147708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센터링장치
KR101739454B1 (ko) 금속 판재의 곡면 성형을 위한 피딩 장치 및 방법
KR101562125B1 (ko) 롤 간격 측정장치
KR101359426B1 (ko)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KR101633984B1 (ko) 컨베이어 장치
CN205442003U (zh) 玻璃基板划线机的皮带传送系统
WO2003102496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ylindrical articles
KR101670125B1 (ko) 컨베이어 장치
KR20160126758A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499941B1 (ko) 판재 교정 장치
KR101424464B1 (ko) 소재 온도 측정장치
KR102164122B1 (ko) 위치교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KR101609152B1 (ko) 소재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1411876B1 (ko) 소재 이송장치를 이용한 소재 이송방법
KR101707449B1 (ko)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