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168A -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168A
KR20030008168A KR1020010042913A KR20010042913A KR20030008168A KR 20030008168 A KR20030008168 A KR 20030008168A KR 1020010042913 A KR1020010042913 A KR 1020010042913A KR 20010042913 A KR20010042913 A KR 20010042913A KR 20030008168 A KR20030008168 A KR 20030008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oop
wire rod
repeater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태문
이원희
라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8168A/ko
Publication of KR2003000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1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 B21B2203/187Tilting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피터의 내부를 통과하는 선재에 형성된 루프에 맞닿아 회전되면서 그 루프를 안내 할 수 있는 복수개의 테이퍼 롤을 설치하여 상기 선재의 긁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 압연기(1)에서 생산되는 선재를 사상 압연기(2)로 공급는 리피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에 형성된 루프의 측면에 복수개의 브래킷(22)이 마련되고 그 브래킷의 전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 롤(21)각각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의 배면 중앙 및 일측에는 지지봉(23) 및 안내봉(24)이 각각 형성된 루프 안내부(20);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지지블럭(31)이 마련되고 그 지지블럭에는 구동실린더(35)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32)이 관통 삽입된 기울기 조절부(30); 상기 브래킷의 일측 저면에 설치된 지지봉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42)이 형성된 안내부재(41)가 마련되고 그 안내부재의 일면에는 안내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43)가 마련된 회동 조절부(40); 상기 루프를 통과하는 선재를 사상 압연기로 안내하도록 복수개의 안내롤(51)이 마련되고 그 안내롤의 후단에는 선재가 배출되는 배출홈(52)이 구비된 배출부(5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Loop guide apparatus of rod wire repeater}
본 발명은 가변형 롤러식 선재 리피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재 생산공정에서 소재 진행방향전환 및 루프 유동 발생시 소재 밑면과 평판형 베이스의 마찰에 의해 긁힘, 소재 마찰면 마모, 및 소재 후단부 통과시 구부러짐을 방지하여 최종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가변형 롤러식 선재 리피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 압연공정은 2스트랜드 배열 압연방식으로 조압연과 중간압연은 1개의 압연롤에 여려 개의 공형을 가공하여 압연소재가 1개의 롤에서 동시에 감연되며, 조압연공정을 통과한 소재는 중간사상, 사상공정으로 각각 이송라인을 따라 분리되며 선재 압연공정에는 그 선재를 안내하는 리피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피터 장치는 조압연기와 사상 압연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리피터 장치를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리피터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리피터 장치(10)는 조 압연기(1)와 중간사상 압연기(2)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 압연기(1)의 출력단에는선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열간감지기(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열간감지기(3)의 후단에는 선재를 전단하는 전단기(5)가 설치되어 있되, 그 전단기(5)는 조 압연기(1)에서 생산되는 선재를 각각 전단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단기(5)의 후단에는 선재를 안내하는 직선가이드(1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직선가이드(11)의 후단에는 선재가 파손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곡선가이드(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곡선가이드(12)의 후단에는 선재의 루프를 조절하는 오픈가이드(13)가 에어 실린더(14)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픈가이드(13)의 후단에는 선재(S)를 중간 사상 압연기(2)로 안내하는 리피터 가이드(15)가 설치되어 있고 오픈가이드(13)와 리피터 가이드(15)의 측면에는 루프가 형성된 선재(S)를 안내하는 베이스(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사상 압연기(2)의 후단에는 선재(S)의 진행을 확인하는 스케너(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리피터 장치는 조 압연기(1)를 통과한 소재의 선단부가 열간감지기(3)에 감지되면 전단기(5)가 작동하여 소재 선단부를 일정량만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소재 선단부는 연속적으로 직선가이드(11), 곡선가이드(12), 오픈가이드(13)를 지나 리피터 가이드(15)를 따라 진행하여 중간 사상 압연기(2)로 공급된다.
이때까지 오픈가이드(13)는 닫혀진 상태로서 상기 소재는 리피터 가이드(15)를 따라 직선형태로 이동한다.
이후 소재가 업 루퍼(6)의 스케너(4)에 감지되면 에어 실린더(14)가 작동하여 오픈가이드(13)가 열려지게 된다.
상기 오픈가이드(13)가 열려지면 리피터 가이드(14)를 따라 이동하는 선재(S)는 리피터 가이드(14)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열려진 리피터 가이드(14)를 따라 루프를 형성하면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재의 후단부가 열간감지기(3)에서 벗어나면 에어 실린더(14)가 작동되어 오픈가이드(13)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선재(S)의 후단부는 오픈가이드(13)를 벗어나면서 중간사상 압연기(2)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소재가 진입하면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피터 장치는 조 압연기(1)에서 생산되는 선재(S)의 강종별 추출온도에 따라 마찰면의 긁힘 및 마모정도가 다를 수 있는데, 추출온도가 높은 소재 일 수록 흠 발생 및 마모정도가 크게 나타난다.
특히 루프가 형성된 선재는 베이스(16)에 접촉되면서 이동되므로 상기 베이스(16)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될 경우에는 흠이 발생되지만 그 요철을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고 발견시에는 용접 후 그라인딩 작업을 실시하므로 평탄도 불량으로 소재 긁힘의 원인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연속적으로 압연하는 선재공정에서 리피터를 통과하는 소재가긁힘 및 마모에 의해서 문제가 발생되어 최종제품의 소재터짐, 스켑(SGAP), 단면의 편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리피터의 내부를 통과하는 선재에 형성된 루프에 맞닿아 회전되면서 그 루프를 안내 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복수개의 테이퍼 롤을 설치하여 상기 선재의 긁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피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안내장치가 설치된 리피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안내장치로 루프를 안내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안내장치로 루프를 안내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 압연기2 : 사상 압연기
20 : 루프 안내부21 : 테이퍼 롤
22 : 브래킷23 : 지지봉
23 : 지지봉24 : 안내봉
30 : 기울기 조절부31 : 지지블럭
32 : 회전축35 : 구동실린더
40 : 회동 조절부41 : 안내부재
42 : 가이드 홈43 : 이동실린더
50 : 배출부51 : 안내롤
52 : 배출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조 압연기에서 생산되는 선재를 사상 압연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선재를 안내하는 리피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에 형성된 루프의 측면에 복수개의 브래킷이 마련되고 그 브래킷의 전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 롤각각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의 배면 중앙 및 일측에는 지지봉 및 안내봉이 각각 형성된 루프 안내부; 상기 루프 안내부의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블럭이 마련되고 그 지지블럭에는 구동실린더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이 관통 삽입된 기울기 조절부; 상기 루프 안내부에 설치된 브래킷의 일측 저면에 설치된 지지축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안내부재가 마련되고 그 안내부재의 일면에는 안내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가 마련된 회동 조절부; 상기 루프 안내부를 통과하는 선재를 사상 압연기로 안내하도록 복수개의 안내롤이마련되고 그 안내롤의 후단에는 선재가 배출되는 배출홈이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안내장치가 설치된 리피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종래 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조 압연기(1)와 사상 압연기(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 압연기(1)에서 생산된 선재가 사상 압연기(2)로 공급될 때 발생되는 루프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선재의 루프를 안내하는 루프 안내부(20)와, 그 루프 안내부(2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30)와, 상기 루프 안내부(2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 조절부(40)와, 상기 루프 안내부(20)에 안내된 선재를 배출시키는 배출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루프 안내부(20)는 오픈가이드(13)의 후단에 설치된 리피터 가이드(15)의 일측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복수개의 테이퍼 롤(21)이 설치되어 있되 그 테이퍼 롤(21)은 브래킷(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22)의 저면 중앙에는 지지봉(23)이 형성되고 저면 일단에는 안내봉(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울기 조절부(30)는 브래킷(22)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봉(23)의 단부에 지지블럭(31)이 결합되어 있되, 상기 지지봉(23)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지지블럭(31)의 하부에는 지지블럭(3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2)이 관통 삽입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2)의 일단에는 베어링블럭(33)이 설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링크(34)가 결합되어 있고 그 링크(34)는 구동실린더(35)가 작동함에 따라 회전축(32)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동실린더(35)의 로드(36)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동 조절부(40)에는 안내부재(4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안내부재(41)의 상면에는 브래킷(22)에 형성된 지지봉(23)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42)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 홈(42)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내부재(41)의 일면에는 이동실린더(43)가 연결되어 있고 안내부재(41)의 양 측면에는 그 안내부재(41)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44)이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고 그 가이드 롤(44)은 고정부재(45)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배출부(50)는 루프 안내부(20)를 통과한 선재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롤(5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안내롤(51)의 후단에는 선재가 배출되는 배출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 압연기(1)를 통과한 소재의 선단부가 열간감지기(3)에 감지되면 전단기(5)가 작동하여 소재 선단부를 일정량만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소재 선단부는 연속적으로 직선가이드(11), 곡선가이드(12), 오픈가이드(13)를 지나 리피터 가이드(15)를 따라 진행하여 중간 사상 압연기(2)로 공급된다.
이때까지 오픈가이드(13)는 닫혀진 상태로서 상기 소재는 리피터 가이드(15)를 따라 직선형태로 이동한다.
이후 소재가 업 루퍼(6)의 스케너(4)에 감지되면 에어 실린더(14)가 작동하여 오픈가이드(13)가 열려지게 된다.
상기 오픈가이드(13)가 열려지면 리피터 가이드(15)를 따라 이동하는 선재(S)는 리피터 가이드(15)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열려진 리피터 가이드(15)를 따라 루프를 형성하면서 이동되고 그 루프는 루프 안내부(20)에 설치된 테이퍼 롤(21)에 접촉된 상태로 안내되면서 이동된다.
상기 루프가 커지게 되면 테이퍼 롤(21)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루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구동실린더(35)를 작동시키면 그 구동실린더(35)에 연결된 링크(34)가 작동되므로 상기 링크(34)에 연결된 회전축(32)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32)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그 회전축(32)이 관통 삽입된 복수개의 지지블럭(31)과 브래킷(22)이 회전되므로 상기 브래킷(22)에 설치된 테이퍼 롤(21)이 루프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된다. 즉, 상기 테이퍼 롤(21)의 대경부가 루프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테이퍼 롤(21)이 이동되면 선재(S)와 접촉되는 면의 접촉력이 증가하고 그 선재(S)에는 대경부가 접촉되므로 상기 선재에 형성되는 루프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재(S)에 형성되는 루프가 작아질 경우에는 구동실린더(35)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테이퍼 롤(21)의 소경부가 선재에 형성된 루프에 접촉되도록 하면 상기 루프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선재(S)에 형성된 루프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테이퍼 롤(21)은 브래킷(2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지지봉(23)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선재(S)의 루프가 테이퍼 롤(21)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될 때는 이동실린더(43)을 작동시켜 안내부재(41)를 테이퍼 롤(21)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안내부재(41)는 그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 롤(44)에 안내를 받으면서 원활하게 이동된다.
상기 안내부재(41)가 이동되면 그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2)에 삽입된 안내봉(24)은 부채꼴 형상의 둘레면 측으로 이동되므로 유동 가능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 롤(21)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선재(S)의 루프에 의해서 테이퍼 롤(21)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변경되면 그 테이퍼 롤(21)은 지지봉(23)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며 그 회동범위는 안내봉(24)이 끼워진 부채꼴 형상의 가이드 홈(42)의 크기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루프 안내부(20)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된 선재(S)는 배출부(50)에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롤(51)에 안내를 받으면서 배출홈(51)을 통하여 배출되고 그 배출된 선재(S)는 중간사상 압연기(2)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소재의 후단부가 열간감지기(3)에서 벗어나면 에어 실린더(14)가 작동되어 오픈가이드(13)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선재(S)의 후단부는 오픈가이드(13)를 벗어나면서 중간사상 압연기(2)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재(S)의 후단부가 중간사상 압연기(2)로 공급되면 이동실린더(43)가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안내부재(41)를 이동시켜 그 안내부재(41)에 형성된 가이드 홈(42)의 중심부에 안내봉(24)이 접촉되도록 하여 그 안내봉(24)이 형성된 브래킷(22)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소재(S)가 진입하면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는 선재에 형성되는 루프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서 그 루프를 안내하는 테이퍼 롤의 위치를 변형하여 소재와 롤러의 접촉면을 최소화함은 물론 이때 발생되는 마찰력을 줄여 소재의 긁힘 및 마모를 미연에 방지하여 최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조 압연기(1)에서 생산되는 선재를 사상 압연기(2)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선재를 안내하는 리피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에 형성된 루프의 측면에 복수개의 브래킷(22)이 마련되고 그 브래킷의 전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 롤(21)각각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의 배면 중앙 및 일측에는 지지봉(23) 및 안내봉(24)이 각각 형성된 루프 안내부(20);
    상기 루프 안내부의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블럭(31)이 마련되고 그 지지블럭에는 구동실린더(35)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32)이 관통 삽입된 기울기 조절부(30);
    상기 루프 안내부에 설치된 브래킷의 일측 저면에 설치된 지지봉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42)이 형성된 안내부재(41)가 마련되고 그 안내부재의 일면에는 안내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43)가 마련된 회동 조절부(40);
    상기 루프 안내부를 통과하는 선재를 사상 압연기로 안내하도록 복수개의 안내롤(51)이 마련되고 그 안내롤의 후단에는 선재가 배출되는 배출홈(52)이 구비된 배출부(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KR1020010042913A 2001-07-16 2001-07-16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KR20030008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13A KR20030008168A (ko) 2001-07-16 2001-07-16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13A KR20030008168A (ko) 2001-07-16 2001-07-16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168A true KR20030008168A (ko) 2003-01-24

Family

ID=2771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913A KR20030008168A (ko) 2001-07-16 2001-07-16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81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680B1 (ko) * 2003-03-27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체결 구조
KR101399876B1 (ko) * 2012-08-30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사행 보정장치
CN104056864A (zh) * 2014-06-18 2014-09-24 江苏永钢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耐磨层的活套轮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680B1 (ko) * 2003-03-27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체결 구조
KR101399876B1 (ko) * 2012-08-30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사행 보정장치
CN104056864A (zh) * 2014-06-18 2014-09-24 江苏永钢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耐磨层的活套轮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565B2 (en) System for leveling metal strip
JP6021257B2 (ja) 線材繰り出し装置及び線材繰り出し方法
JP4167976B2 (ja) 平坦度測定ローラーを有する薄ストリップ巻上げ機
JP2010504216A (ja) 巻取りマンドレルで、ストリップを巻き上げる方法及び装置。
JP2006504539A (ja) 研磨ユニットと少なくとも一つのブレード及び前記研磨ユニットを備えた切断機
JP7167180B2 (ja) 支持要素を有する研削体を備える、金属ストリップをガイド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06315842A (ja) 鋼管加工装置の補助保持装置
KR20030008168A (ko) 선재 리피터의 루프 안내장치
US4406141A (en) Straightening apparatus for steel pipes and the like
KR100609075B1 (ko) 금속 로드 사면 가공장치
US6708919B2 (en) Turning bar assembly for use with a moving web
JP5410268B2 (ja) 鋳片のバリ取り装置
KR100431445B1 (ko) 압연라인의 디프렉트롤 이물질 제거장치
US6257964B1 (en) Roll grinding system for a roll
KR101709139B1 (ko) 롤 구동 감지 방법 및 롤 구동 감지 장치
KR102042552B1 (ko) 업루퍼 시스템
US6379227B1 (en) Abrasive-band grind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brasive-band grinding device during grinding of faces of crowned rolls
KR950003539B1 (ko)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KR101079536B1 (ko)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JP7108128B2 (ja) ストリップ材料、特に熱間ストリップ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4512498B2 (ja) ベルトスリーブの走行線制御方法、及びベルトスリーブの走行線制御装置
JPH05213502A (ja) 薄ウエブの蛇行修正方法および装置
JPH0833914A (ja) 被圧延材ループを制御の下に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951432A1 (en) Arrangement for angular positioning of milling rolls
JP3282797B2 (ja) 傾斜ロールミルにおけるロール研削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