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941B1 - 판재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941B1
KR101499941B1 KR20130113978A KR20130113978A KR101499941B1 KR 101499941 B1 KR101499941 B1 KR 101499941B1 KR 20130113978 A KR20130113978 A KR 20130113978A KR 20130113978 A KR20130113978 A KR 20130113978A KR 101499941 B1 KR101499941 B1 KR 10149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work roll
side portion
deform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덕
송승호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0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camber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5Stretching combined with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부 워크롤과 하부 워크롤을 가지며, 판재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평탄 교정부; 및 상기 평탄 교정부의 입측과 출측에 구비되며, 상기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변형 방지부는 상, 하, 좌, 우 이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판재 교정 장치{PLATE LEVE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판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롤의 이동을 통해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판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 주조 공정을 통해 가열로로 안내된 슬라브(slab)는 열간압연작업, 냉각작업 및 평탄도 작업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의 판재로 제조된다.
도 1은 판재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열로(1)를 거친 슬라브는 스케일 제거 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가열로(1)에서 장시간 슬래브를 가열하게 되면 슬래브 표면에 스케일(표면에 생기는 산화철)이 발생된다. 이러한 스케일은 제품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어, 스케일 제어 작업을 통해 슬래브 표면에 발생된 스케일을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케일 제거 작업이 이루어진 슬래브는 열간 압연기(2)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판재(후강판)의 두께로 압연 처리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열간압연처리가 이루어진 판재는 가속 냉각기(3)를 통해 급냉 열처리가 이루어져 제품의 강성을 높이게 된다.
다음으로, 가속 냉각 처리가 이루어진 판재는 상부 워크롤(5) 및 하부 워크롤(6)이 구비된 평탄 교정기(4)에 의해 평탄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평탄 교정기(4)로 안내되는 판재는 상부 워크롤(5)과 하부 워크롤(6)에 의해 형성된 롤갭(Roll Gap)사이로 이동되어 판재의 평탄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롤갭(G1)은 상부 워크롤(5)의 하단점과 하부 워크롤(6)의 상단점 사이의 공간을 말한다. 즉, 상부 워크롤(5)과 하부 워크롤(6)이 떨어진 간격이다.
그러나 평탄 교정기(4)로 치입되는 판재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롤갭의 차이, 워크롤의 피치 간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휨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판재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발생되는 휨 부위는 절단을 하거나 추가적인 평탄 작업이 이루어져야 되기에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판재 교정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2-0075215에서는 하부 워크롤(7) 형태의 갖는 조정롤(8)을 판재 교정 장치(9)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구비시킨 상태에서 조정롤(8)의 상승 또는 하강의 높낮이 조정을 통해 판재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휨 발생을 조절하는 판재 교정 장치(9)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조정롤(8)은 하부 워크롤(7)과 일정한 피치(P')를 유지하는 고정된 구성으로, 조정롤(8)의 높낮이 조정만으로 판재의 평탄도를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교정롤의 상,하,좌,우 이동을 통해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판재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부 워크롤과 하부 워크롤을 가지며, 판재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평탄 교정부; 및 상기 평탄 교정부의 입측과 출측에 구비되며, 상기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변형 방지부는 상, 하, 좌, 우 이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부는, 상기 평탄 교정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회전축으로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신축되는 로드부를 갖는 피스톤부; 및 일단은 상기 로드부와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교정롤이 구비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부는,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를 지지하는 측면부; 상기 링크부에 형성된 중심홀에 삽입되며 상기 1측면부와 제2측면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축; 및 상기 링크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인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중심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교정롤과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구동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정롤은 상기 상부 워크롤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과 상기 로드부의 신축에 따라 상기 교정롤은 상,하,좌,우로 선택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 교정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 방지부에 구비되는 교정롤은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여 판재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변형에 대한 제어 범위가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판재의 휨 변형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교정롤의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강종 및 두께에 대한 판재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변형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교정롤은 워크롤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판재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변형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 방지부는 판재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발생 부위에 대한 평탄한 교정이 가능하여 휨 부위를 절단하거나 휨 부위에 대한 추가적인 평탄 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판재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 방지부는 평탄 교정부로 치입되는 판재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판재의 이송 불량에 의해 주변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 방지부의 불량 및 이상 발생시, 변형 방지부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즉, 변형 방지부는 평탄 교정부와 분리된 개별적인 구성으로, 변형 방지부의 이상 발생시 정비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판재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판재 교정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 교정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의 작동에 따른 교정롤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롤의 위치 변화에 따른 판재의 선단부 변형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 교정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의 작동에 따른 교정롤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롤의 위치 변화에 따른 판재의 선단부 변형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속 주조 공정을 통해 가열로로 안내된 슬라브(slab)는 열간압연작업, 냉각작업 및 평탄도 작업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의 판재(20)로 제조된다.
판재(20)의 평탄도 작업을 수행하는 판재 교정 장치(1000)는 판재(20)의 평탄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판재(2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발생되는 휨 발생에 대해 교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판재 교정 장치(1000)는 평탄 교정부(100)와 변형 방지부(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평탄 교정부(100)는 상,하측에 구비되는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을 포함하며,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은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은 길게 신장된 상태를 이루며,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의 롤갭(G2, 도 5참조) 사이로 공급되는 판재(20)의 평탄도를 교정하게 된다.
여기서, 롤갭(G2)은 상부 워크롤(110)의 하단점과 하부 워크롤(120)의 상단점 사이의 공간으로,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이 떨어진 간격을 말한다.
평탄 교정부(100)의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은 판재(20)가 이동하는 패스라인(30)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게 되며, 백업롤(130)은 각각의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평탄 교정부(100)는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의 롤갭(G2)으로 공급되는 판재(20)를 상하에서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판재(20)의 평탄도를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평탄 교정부(100)는 하부 워크롤(120)을 통해 판재(20)의 하측을 가압한 후, 상부 워크롤(110)을 통해 판재(20)의 상측을 가압하여 판재의 상부와 하부를 교대로 가압하므로써 판재(20)의 평탄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판재(20)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을 반복하면서 판재(20)의 소성변형이 시작하는 항복응력을 낮추는 바우싱거 효과(Bauschinger Effect)를 이용하여 판재(20)의 평탄도를 수월하게 조절한다.
이러한 평탄 교정부(100)의 입측의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의 롤갭은 작고, 출측의 상부 워크롤(110)과 하부 워크롤(120)의 롤갭은 가장 크게 형성되어 판재(20)의 평탄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변형 방지부(200)는 지지부(210), 피스톤부(220), 링크부(230)를 포함하며 판재(20)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휨 변형을 교정하게 된다. 이때, 변형 방지부(200)는 측면부(240), 제1연결축(250) 및 제2연결축(2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10)는 평탄 교정부(100)의 외형을 이루는 외형부(101)에 결합되어 피스톤부(220)를 지지하게 된다. 지지부(210)는 회전축(211)을 구비하고, 회전축(211)은 피스톤부(220)의 몸체부(221)를 지지하게 된다.
피스톤부(220)는 몸체부(221)와 로드부(222)를 포함하며, 몸체부(221)는 회전축(211)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부(221)는 회전축(211)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교정롤(270)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로드부(222)는 몸체부(221)와 결합되며, 몸체부(221)로부터 신축(伸縮)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로드부(222)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부(222)의 신축을 통해 교정롤(27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링크부(230)의 일단은 로드부(222)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핀(231)에 의해 결합되어 교정롤(2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교정롤(270)은 링크부(230)의 타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교정롤(270)은 상부 워크롤(110) 및 하부 워크롤(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판재(20)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변형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측면부(240)는 제1측면부(241)와 제2측면부(242)가 한 쌍을 이루며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부(240)는 제1측면부(241)와 제2측면부(242) 중 어느 하나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부(240)는 링크부(23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제어부(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측면부(24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측면부(240)의 상하 이동시 측면부(240)와 결합된 링크부(230)도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제1연결축(250)과 제2연결축(260)은 제1측면부(241)와 제2측면부(242)를 연결한다. 제1연결축(250)은 링크부(2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홀(232)에 관통 삽입되며, 링크부(2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제2연결축(260)은 링크부(230)의 일단부측에 형성된 가이드홀(233)에 관통 삽입되며, 가이드홀(233)은 링크부(230)의 회전에 따라 제2연결축(260)에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홀(233)은 중심홀(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결형성된다.
즉, 몸체부(221)의 회전 및 로드부(222)의 신축으로 링크부(230)가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홀(233)은 제2연결축(260)에 맞닿은 상태로 링크부(23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며 교정롤(270)의 상,하,좌,우 이동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링크부(230)의 상부에는 구동롤(2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동롤(280)은 동력부(미도시)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동력부(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은 구동롤(280)은 연결부재(281)를 통해 교정롤(27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281)는 벨트, 체인 등 구동롤(280)의 회전력을 교정롤(270)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교정롤(270)은 평탄 교정부(100)로부터 배출되는 판재(20)를 패스라인(30)으로 원활히 안내함과 동시에 판재(20)의 휨 변형이 발생될 경우, 휨 변형 부위를 교정하게 된다. 따라서, 판재(20)의 이송 불량에 의해 주변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로드부(222)의 신축에 따라 링크부(230)는 제1연결축(25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일예로, 도 5a의 상태에서 도 5b의 상태로 로드부(222)의 길이가 신장되면, 링크부(230)는 제1연결축(25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링크부(230)의 타단에 구비되는 교정롤(270)은 링크부(230)의 회전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때, 교정롤(270)은 상승뿐만 아니라 평탄 교정부(100)의 출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평탄 교정부(100)의 출측에 구비되는 상부 워크롤(110)과의 피치(P, Pitch)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로드부(222)의 신장으로 링크부(230)가 회전됨에 있어, 링크부(230)에 형성된 가이드홀(233)은 제2연결축(260)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링크부(230)는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로드부(222)의 길이가 신장되면, 링크부(230)가 제1연결축(25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로드부(222)와 링크부(230)가 결합된 결합핀(231)의 위치는 변경된다.
다시 말해서, 로드부(222)의 신장과 함께 몸체부(221)는 제1연결축(25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링크부(230)는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부(220)의 작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축(250)과 제2연결축(260)이 결합된 측면부(240)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상하 이동에 대한 조정이 없는 경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221)의 회전과 로드부(222)의 신축에 따라 교정롤(270)은 좌,우,상,하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평탄 교정부(100)로부터 배출되는 판재(20)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변형에 대해 제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측면부(240)의 선택적인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교정롤(270)의 높낮이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측면부(24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측면부(240)의 상하 이동시 몸체부(221)의 회전 및 로드부(222)의 신축은 함께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변형 방지부(200)는 측면부(240)에 의한 교정롤(270)의 높이 조정과 피스톤부(220)에 의한 교정롤(270)의 상,하,좌,우 이동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교정롤(270)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판재(20)의 휨 교정 범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로드부(222)의 길이가 축소되는 경우는 로드부(222)의 길이가 신장되는 과정의 역순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에 따라 평탄 교정부(100)로부터 배출되는 판재(20)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변형율은 달라진다.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인터메쉬(i 도 5참조, intermesh)가 낮을 경우, 판재(20)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변형율이 낮아진다.
여기서 인터메쉬는 상부 워크롤(110)의 하부점과 교정롤(270)의 하부점의 수직선상의 거리로, 교정롤(270)의 인터메쉬가 -2.0mm인 경우에는 교정롤(270)의 하부점이 상부 워크롤(110)의 하부점보다 -2.0mm 아래에 위치된 상태를 말한다.
예로, 도 6b을 참조하면, 인터메쉬가 0.0mm인 경우에 비해 인터메쉬가 -0.2mm인 경우에 판재(20)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변형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정롤(270)의 하부점이 상부 워크롤(110)의 하부점보다 낮을 경우, 판재(20)의 휨 변형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를 조정할 경우에도 판재(20)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휨 변형율은 달라지게 된다.
도 6a와 도 6b는 두께가 10mm인 판재에 대해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만을 조정하여 판재(20)의 선단부 휨 변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6c와 도 6d는 두께가 20mm인 판재에 대해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만을 조정하여 판재(20)의 선단부 휨 변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6은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를 500mm와 900mm로 각각 조정함에 따라 판재(20)의 선단부 휨 변형율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로, 도 6c와 도 6d를 참조하면, 인터메쉬가 0.0mm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며, 인장강도가 90.8MPa인 실시예 3번의 판재는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가 500mm인 경우가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가 900mm인 경우보다 판재(20)의 휨 변형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c와 도 6d를 참조하면, 인터메쉬가 2.0mm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며, 인장강도가 90.8MPa인 실시예 3번의 판재는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가 500mm인 경우가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가 900mm인 경우보다 판재(20)의 휨 변형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인터메쉬의 상황에서도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가 짧은 경우에는 판재(20)의 휨 변형율의 제어 범위가 다양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강종 및 두께에 대해 판재(20)의 변형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교정롤(270)의 인터메쉬 조정과 상부 워크롤(110)과 교정롤(270)의 피치(P) 조정은 상술된 변형 방지부(200)를 통해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강종에 대한 판재(20)의 변형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판재 100: 평탄 교정부
110: 상부 워크롤 120: 하부 워크롤
200: 변형 방지부 210: 지지부
211: 회전축 220: 피스톤부
221: 몸체부 222: 로드부
230: 링크부 233: 가이드홀
240: 측면부 250: 제1연결축
260: 제2연결축 270: 교정롤
280: 구동롤 1000: 판재 교정 장치

Claims (8)

  1. 상부 워크롤과 하부 워크롤을 가지며, 판재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평탄 교정부; 및
    상기 평탄 교정부의 입측과 출측에 구비되며, 상기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변형 방지부는, 상기 평탄 교정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회전축으로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신축되는 로드부를 갖는 피스톤부 및 일단은 상기 로드부와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교정롤이 구비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과 상기 로드부의 신축에 따라 상기 교정롤은 상, 하, 좌, 우로 선택적인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교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부는,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를 지지하는 측면부;
    상기 링크부에 형성된 중심홀에 삽입되며 상기 1측면부와 제2측면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축; 및
    상기 링크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축을 더 포함하는 판재 교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인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교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중심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교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교정롤과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구동롤이 더 포함되는 판재 교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롤은 상기 상부 워크롤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교정 장치.
  8. 삭제
KR20130113978A 2013-09-25 2013-09-25 판재 교정 장치 KR10149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978A KR101499941B1 (ko) 2013-09-25 2013-09-25 판재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978A KR101499941B1 (ko) 2013-09-25 2013-09-25 판재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941B1 true KR101499941B1 (ko) 2015-03-06

Family

ID=5302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978A KR101499941B1 (ko) 2013-09-25 2013-09-25 판재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496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변형 억제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및 변형 억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525A (ja) * 1992-03-05 1993-09-24 Nkk Corp 蛇行修正装置
KR200204802Y1 (ko) * 2000-06-2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조질압연기의 스트립 평탄도 교정장치
KR100758487B1 (ko) * 2006-06-07 2007-09-12 주식회사 포스코 휨 발생된 압연소재 유도장치
KR20120075215A (ko)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판재 교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525A (ja) * 1992-03-05 1993-09-24 Nkk Corp 蛇行修正装置
KR200204802Y1 (ko) * 2000-06-2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조질압연기의 스트립 평탄도 교정장치
KR100758487B1 (ko) * 2006-06-07 2007-09-12 주식회사 포스코 휨 발생된 압연소재 유도장치
KR20120075215A (ko)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판재 교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496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변형 억제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및 변형 억제방법
KR102281549B1 (ko) * 2018-12-19 2021-07-23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변형 억제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및 변형 억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7597B2 (ja) 形鋼用曲り矯正装置および形鋼の曲り矯正方法
KR101461757B1 (ko) 판재 교정장치
JP4702166B2 (ja) 形鋼の冷却方法及び冷却装置
JP4924125B2 (ja) 鋼矢板の矯正方法および鋼矢板用矯正装置
KR101499941B1 (ko) 판재 교정 장치
KR20030023722A (ko) 레일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설비
KR20180045897A (ko) H 형강 플랜지 교정기
JP4866434B2 (ja) 山形鋼の曲がり矯正装置及び山形鋼の製造方法
KR101620936B1 (ko) 정밀 공차의 챔버 치수를 갖는 금속 섹션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627601B1 (ko) 금속판재의 곡면성형장치
KR101462399B1 (ko) 후판 형상 교정 장치
KR20040062691A (ko) 강판의 냉각방법, 강판의 냉각장치 및 강판의 제조방법
KR20160131618A (ko) 판 소재의 휨 교정 시스템
KR101003261B1 (ko) 형강재의 교정 방법
JP2013180335A (ja) 鋼板のローラーレベラー矯正方法及びローラーレベラー矯正機
JP5966991B2 (ja) H形鋼の曲がり矯正装置
KR20120075215A (ko) 판재 교정 장치 및 방법
JP2001071013A (ja) 金属バンドをフレキシブルに圧延する方法
KR101332780B1 (ko) 무구동 각도 교정기
JP5158681B2 (ja) 溝形断面材のロール成形方法
KR20180073366A (ko) 강판의 교정 장치
KR100534496B1 (ko) 열간 조바아의 사이드 포지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28631B1 (ko) 날판 교정을 위한 냉간교정장치
KR101517023B1 (ko) 만곡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1677385B1 (ko) 판재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