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426B1 -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426B1
KR101359426B1 KR1020120089803A KR20120089803A KR101359426B1 KR 101359426 B1 KR101359426 B1 KR 101359426B1 KR 1020120089803 A KR1020120089803 A KR 1020120089803A KR 20120089803 A KR20120089803 A KR 20120089803A KR 101359426 B1 KR101359426 B1 KR 10135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unting frame
unfinished
unit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봉
Original Assignee
서광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기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28Groov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4Angles
    • B23C2210/0407Cutt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36Production of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08Clamping mechanisms or provision for cl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을 둥글게 벤딩시켜서 후육관과 같은 파이프를 제작할 때 파이프의 외면에 용접을 위한 홈을 가공하기 위한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밀링가공이 이루어질 가공예정부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준비된 미완성 파이프가 올려지는 적재부; 상기 가공예정부의 반대측으로 상기 적재부와 인접되게 마련되되, 상기 미완성 파이프의 상부를 눌러 고정되게 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며, 상기 미완성 파이프의 길이방향 및 미완성 파이프의 단면방향으로 움직이는 삼각 형태의 탑재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탑재프레임의 빗변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가공예정부를 절삭할 밀링커터를 포함하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PIPE LONGITUDINAL SEAM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강판을 둥글게 벤딩시켜서 후육관과 같은 파이프를 제작할 때 파이프의 외면에 용접을 위한 홈을 가공하기 위한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두꺼운 강판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는 경우 강판을 둥글게 벤딩시켜서 강판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마주보게 한 후 양단부를 용접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파이프가 완성된다.
마주보게 벤딩될 강판의 양단부는 미리 적당한 각도로 내외면에 대한 면취가 이루어진다.
강판을 원에 가깝게 벤딩한 후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가용접을 하고 내면을 따라 연속적인 용접을 실시한다.
이후 파이프의 외면에 대한 용접을 실시하는데, 이에 앞서 용접이 이루어질 부위를 균일하게 가공하여 적당한 그루브가 형성되도록 한다.
파이프의 외면에 용접을 위한 그루브를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 롱심 밀링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기존에 알려진 롱심 밀링장치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53414호(2010.04.09 등록)의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가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가공이 이루어질 부위가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파이프를 배치한 상태에서 밀링유니트를 이용하여 그루브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가공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장치의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48783호(2007.08.06 등록)의 "단관 외면 개선 가공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컬럼을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되는 밀링커터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은 파이프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 밀링커터를 상하 좌우로 위치를 동시에 조정해야 했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많았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53414호(2010.04.09 등록) 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48783호(2007.08.06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직경이 변하더라도 간단한 조작으로 밀링커터가 가공예정부에 위치되어 신속 정확한 그루브 형성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는, 밀링가공이 이루어질 가공예정부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준비된 미완성 파이프가 올려지는 적재부; 상기 가공예정부의 반대측으로 상기 적재부와 인접되게 마련되되, 상기 미완성 파이프의 상부를 눌러 고정되게 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며, 상기 미완성 파이프의 길이방향 및 미완성 파이프의 단면방향으로 움직이는 삼각 형태의 탑재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탑재프레임의 빗변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가공예정부를 절삭할 밀링커터를 포함하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탑재프레임의 빗변은 45의 기울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탑재프레임의 빗변에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에 연결되어 움직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미완성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피딩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가공예정부를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상기 미완성 파이프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회전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미완성 파이프의 직경변화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에 고정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면부에 탑재프레임이 장착되는 이동판; 상기 레일 상면에 마련되는 랙기어;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며 회전축에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갖는 제1구동부; 상기 이동판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탑재프레임을 상기 파이프의 단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탑재프레임의 빗변에 연결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함체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기어; 상기 함체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그 상단부는 함체 상면으로 돌출되는 틸팅샤프트; 상기 틸팅샤프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밀링커터; 상기 함체의 일측 외면에 부착되며 회전축에는 풀리가 결합되는 틸팅용 모터; 상기 함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부측 일부구간에는 스크류홈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풀리가 결합되어 상기 틸팅용 모터의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중간샤프트; 상기 스크류홈에 연결되며 상기 틸팅샤프트와도 체결되어 상기 틸팅샤프트를 상하 움직일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는 밀링커터가 장착되는 가공부가 삼각 형태의 탑재프레임의 빗변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파이프의 직경이 변하더라도 빗변을 따라 가공부의 위치만 옮기면 되므로 제어가 쉽고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이프의 가공예정부가 수평상태로 배치되고, 밀링커터가 수평상태로 가공예정부에 접근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도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가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의 평면도.
도 3은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의 정면도.
도 4는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의 상태 변화도.
도 6은 가공부가 장착되는 탑재프레임의 빗변의 각도 선정원리를 보여주는 원리도.
도 7은 가공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가공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의 상태 변화도이다. 도 6은 가공부가 장착되는 탑재프레임의 빗변의 각도 선정원리를 보여주는 원리도이며, 도 7과 도 8은 가공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는 적재부(100), 클램핑부(200), 이송부(300) 및 가공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적재부(100)는 밀링가공이 이루어질 미완성 파이프(10)가 올려지는 부위이며, 원형으로 벤딩된 후 내면부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진 미완성 파이프(10)는 적재부(100)에 놓여진다.
적재부(100)에 올려진 미완성 파이프(10)는 가공예정부(11)가 가상적인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적재부(100)는 복수개의 피딩롤러(110)와 복수개의 회전롤러(12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적재부(100)로 공급되는 미완성 파이프(10)는 피딩롤러(110)에 의해 적당한 위치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피딩롤러(110)들은 링크에 의해 연결되며 회동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최초 미완성 파이프(10)가 적재부(100)로 적재되면 피딩롤러(110)들은 상사점에 위치되어 미완성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상태가 되고 미완성 파이프(10)를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위치로 옮기기 위해 피딩롤러(110)가 회전하여 미완성 파이프(10)를 이동시키게 된다. 미완성 파이프(10)를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피딩롤러(110)는 회동되어 하사점으로 이동된다.
피딩롤러(110)가 하사점으로 내려가면 회전롤러(120)에 의해 미완성 파이프(10)는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미완성 파이프(10)가 올려지는 적재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포인트에 회전롤러(120)가 마련되며, 각 지점의 회전롤러(120)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안정적으로 미완성 파이프(10)를 지지하게 된다.
회전롤러(120)는 정역회전될 수 있으며 미완성 파이프(10)의 가공예정부(11)가 수평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미완성 파이프(10)를 올바른 위치에 오도록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롤러(120)는 미완성 파이프(10)의 직경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미완성 파이프(10)의 하부면을 좌우 한 쌍의 형태로 지지하게 되는 회전롤러(120) 중 어느 하나는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미완성 파이프(10)의 직경에 따라 두 회전롤러(120)간 거리를 변경시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적재부(100)와 인접한 일측으로 클램핑부(200)가 마련되며, 미완성 파이프(10)의 가공예정부(11)가 향하는 반대방향에 클램핑부(200)가 설치되며, 복수개의 클램핑부(200)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클램핑부(200)는 미완성 파이프(10)의 상부를 눌러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미완성 파이프(10)의 직경에 따라 클램핑부(200)는 상하로 이동되면서 미완성 파이프의 상면을 눌러 고정시키게 된다.
클램핑부(200)의 반대측에 이송부(300)가 마련된다. 즉, 적재부(100)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클램핑부(200)가 마련되고, 타측에 이송부(300)가 마련되도록 한다.
이송부(300)는 삼각 형태의 탑재프레임(310)을 포함하며, 탑재프레임(310)이 미완성 파이프(10)의 길이방향 또는 단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후술되겠지만 이송부(300)의 탑재프레임(310)에는 가공부(400)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부(300)는 레일(320), 이동판(330), 랙기어(340), 제1구동부(350) 및 제2구동부(360)를 포함하게 된다.
레일(320)은 지면에 고정되며 미완성 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레일(320)의 상면부에 이동판(330)이 결합되며, 이동판(330)은 레일(32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판(330) 위에 탑재프레임(310)이 장착된다.
레일(320) 상면에 랙기어(340)가 마련되며, 이동판(330)에는 랙기어(340)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갖는 제1구동부(350)가 마련된다.
제1구동부(350)는 모터가 사용되며 모터의 회전축에 피니언이 결합되고 피니언은 랙기어(340)와 맞물리는 상태가 되어 모터가 회전되면 이동판(330)은 레일(320)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판(330)에는 제2구동부(360)도 마련되며, 제2구동부(360)는 이동판(330)의 일측에 마련되어 탑재프레임(310)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기능하게 된다. 즉, 제2구동부(360)는 탑재프레임(310)이 미완성 파이프(10)의 단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탑재프레임(310)의 빗변에 가공부(400)가 결합되며 가공부(400)는 빗변을 따라 비스듬한 각도로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미완성 파이프(10)의 가공예정부(11)를 절삭할 밀링커터(450)를 포함한다.
가공부(410)에는 밀링커터(45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20)와 다수의 기어(430)들로 이루어지며, 밀링커터(450)는 수직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공부(400)는 탑재프레임(310)의 내부에 빗변과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는 스크류(미도시)에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탑재프레임(310)의 상단측에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모터(370)가 마련된다.
밀링커터(450)는 가공부(400)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수평상태로 마련되어 미완성 파이프(10)의 가공예정부(11)를 향하게 된다.
미완성 파이프(10)의 직경에 따라 가공부(400)는 탑재프레임(310)의 빗변을 따라 적당한 위치로 이동된 후 밀링커터(450)가 회전되면서 가공예정부(11)를 절삭하여 용접을 위한 그루브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가공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도록 한다.
가공부(400)는 함체(410), 모터(420), 기어(430), 틸팅샤프트(440), 밀링커터(450), 틸팅용 모터(460), 중간샤프트(470), 및 커넥터(480)를 포함한다.
함체(410)는 탑재프레임(310)의 빗변에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함체(410)의 상부 일측에 모터(420)가 마련되며, 모터(420)의 회전축은 함체(410) 내부에 위치되고 함체(410)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430)들이 마련되어 모터(420)의 회전력을 밀링커터(45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함체(410) 내부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틸팅샤프트(440)가 마련되며, 틸팅샤프트(440)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어 복수의 기어(430)의 조합을 통해 모터(4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틸팅샤프트(440)의 상단부는 함체(410)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틸팅샤프트(440) 외면에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43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틸팅샤프트(440)는 후술될 틸팅용 모터(460)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하로도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틸팅샤프트(440)에 결합되는 기어(430)는 이와 치합되는 다른 기어보다 두께가 두꺼워 틸팅샤프트(440)가 상하로 이동되더라도 기어간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함체(410) 상부로 돌출되는 틸팅샤프트(440)의 상단부에 밀링커터(450)가 결합되며, 함체(410)의 일측 외면에는 틸팅용 모터(460)가 결합된다. 틸팅용 모터(460)의 회전축에 풀리(P)가 결합된다.
틸팅용 모터(460)의 회전력을 틸팅샤프트(440)로 전달하기 위해 중간샤프트(470)가 함체(410) 내부에 마련된다. 중간샤프트(470)는 함체(410)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며, 중간샤프트(470)의 상부측 일부구간에는 스크류홈(47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풀리(P)가 결합된다.
중간샤프트(470)와 틸팅샤프트(440)는 함체(410) 내부에서 브라켓(B)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특히 틸팅샤프트(440)는 회전될 수 있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중간샤프트(470)의 하단측에 결합되는 풀리(P)는 틸팅용 모터(460)의 회전축에 결합된 풀리(P)와 벨트(미도시)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중간샤프트(470)에 형성되는 스크류홈(471)에 커넥터(480)가 연결되며, 커넥터(480)는 틸팅샤프트(440)와도 연결된다. 따라서 틸팅용 모터(460)가 회전하게 되면 중간샤프트(470)가 회전되고, 이때 중간샤프트(470)에 연결된 커넥터(480)는 스크류홈(471)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커넥터(480)가 상승하거나 하강되면 커넥터(480)와 연결된 틸팅샤프트(440)도 동일한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틸팅샤프트(440)는 부싱(A)에 의해 구속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공부(400)의 밀링커터(450)가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파이프의 직경변화에 따라 밀링커터(450)가 보다 정확하게 가공예정부(11)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기술들과 달리 본 발명은 가공예정부(11)를 갖는 미완성 파이프(10)의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간편한 조작으로 밀링커터(410)를 가공예정부에 해당되는 높이에 오도록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가공부(400)만을 적당하게 이동시키면 밀링커터(410)가 소정 직경을 갖는 미완성 파이프(10)의 가공예정부(11)에 일치하거나 허용가능한 오차범위내에 오기 때문에 본 발명의 롱심 밀링장치는 조작이 편리하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성은 탑재프레임(310)의 빗변에 가공부(400)를 마련하여 가공부(400)가 빗변을 따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밀링커터(410)를 가공예정부(11)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송부(300)를 이루는 탑재프레임(310)은 삼각 형태를 이루게 되며, 바람직하게 직각 삼각형 형태가 적합하다. 특히 탑재프레임(310)의 빗변은 소정의 기울기를 갖게 되며, 바람직하게 45도 기울기가 되는 것으로 한다.
탑재프레임(310)의 빗변을 45도로 하는 것은 탑재프레임(310)의 빗변에 장착되어 움직이게 되는 가공부(400)의 밀링커터(410)가 최소한의 간단한 조작으로 가공예정부(11)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과 같이 출원인은 미완성 파이프(10)의 직경 변화에 따른 가공예정부(11)의 위치변화를 고려하여 테스트를 해본 결과 가공부(400)가 탑재프레임(310)을 따라 대략 45도 기울기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직경변화에 따른 가공예정부의 위치변화를 대략적으로 연결해 본 결과 대략 44.4313도 정도였으며, 따라서 가공특성 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는 탑재프레임의 빗변을 45도가 되도록 하였다.
미완성 파이프(10)의 직경에 따라 가공부(400)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정확하게 가공예정부(11)에 일치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다소 차이가 발생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매우 작으며 허용가능 오차 범위에 오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밀링커터(410)가 가공예정부(11)의 허용 오차를 벗어난 위치에 오는 경우에는 제2구동부(360)를 이용하여 탑재프레임(310) 자체를 적당히 움직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미완성 파이프(10)의 직경을 고려하여 가공부(400)의 밀링커터(450)가 가공예정부(11)의 위치에 오도록 한 다음 이동판(330) 자체가 레일(3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가공예정부(11)에 연속적인 그루브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미완성 파이프 자체가 굴곡이 많아 가공예정부(11)가 균일하지 못하고 완만한 굴곡이 있는 경우에는 미완성 파이프(10)의 굴곡에 따라 밀링커터(450)가 적당히 움직이면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공부(400)에는 미완성 파이프(10)의 외형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마련하고, 센서의 신호에 따라 가공부(400)의 밀링커터(450)가 전진, 후퇴, 상승, 하강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밀링커터(450)의 전후진은 이송부(300)의 제2구동부(360)를 이용하여 탑재프레임(310) 자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밀링커터(450)의 상승 또는 하강은 틸팅용 모터(460)의 회전력으로 틸팅샤프트(440)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강판을 벤딩시켜서 파이프를 제작하는 과정 중 용접이 이루어질 파이프 외면에 그루브를 형성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적재부 110 : 피딩롤러
120 : 회전롤러 200 : 클램핑부
300 : 이송부 310 : 탑재프레임
320 : 레일 330 : 이동판
340 : 랙기어 350 : 제1구동부
360 : 제2구동부 400 : 가공부
410 : 함체 420 : 모터
430 : 기어 440 : 틸팅샤프트
450 : 밀링커터 460 : 틸팅용 모터
470 : 중간샤프트 471 : 스크류홈
480 : 커넥터

Claims (6)

  1.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에 있어서,
    밀링가공이 이루어질 가공예정부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준비된 미완성 파이프가 올려지는 적재부;
    상기 가공예정부의 반대측으로 상기 적재부와 인접되게 마련되되, 상기 미완성 파이프의 상부를 눌러 고정되게 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며, 상기 미완성 파이프의 길이방향 및 미완성 파이프의 단면방향으로 움직이는 삼각 형태의 탑재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탑재프레임의 빗변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가공예정부를 절삭할 밀링커터를 포함하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공부는,
    상기 탑재프레임의 빗변에 연결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함체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기어;
    상기 함체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그 상단부는 함체 상면으로 돌출되는 틸팅샤프트;
    상기 틸팅샤프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밀링커터;
    상기 함체의 일측 외면에 부착되며 회전축에는 풀리가 결합되는 틸팅용 모터;
    상기 함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부측 일부구간에는 스크류홈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풀리가 결합되어 상기 틸팅용 모터의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중간샤프트;
    상기 스크류홈에 연결되며 상기 틸팅샤프트와도 체결되어 상기 틸팅샤프트를 상하 움직일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프레임의 빗변은 45도 기울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탑재프레임의 빗변에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에 연결되어 움직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미완성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피딩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가공예정부를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상기 미완성 파이프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회전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미완성 파이프의 직경변화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미완성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에 고정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면부에 탑재프레임이 장착되는 이동판;
    상기 레일 상면에 마련되는 랙기어;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며 회전축에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갖는 제1구동부;
    상기 이동판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탑재프레임을 상기 파이프의 단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6. 삭제
KR1020120089803A 2012-08-17 2012-08-17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KR101359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03A KR101359426B1 (ko) 2012-08-17 2012-08-17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03A KR101359426B1 (ko) 2012-08-17 2012-08-17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426B1 true KR101359426B1 (ko) 2014-02-10

Family

ID=5027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03A KR101359426B1 (ko) 2012-08-17 2012-08-17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4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970A (ko) 2016-07-07 2018-01-17 주식회사 소파 강관 회전장치
CN112620753A (zh) * 2020-12-26 2021-04-09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铣槽装置
CN117161451A (zh) * 2023-10-20 2023-12-05 英诺威阀业有限公司 一种盾构机内刀筒的制作方法及其铣磨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137A (ko) * 1982-09-29 1984-11-22 앙드레 도아뜨 난형 튜우브의 절단방법 및 그 장치
JP2001300801A (ja) * 2000-04-19 2001-10-30 Mori Seiki Co Ltd Nc旋盤の制御方法
KR100426654B1 (ko) * 1998-10-23 2004-07-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심밀링장치
JP2008284641A (ja) 2007-05-16 2008-11-27 Yamazaki Mazak Corp 複合旋盤装置の制御方法、複合旋盤装置、旋削バイトホルダ、刃先位置登録装置、及び刃先位置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137A (ko) * 1982-09-29 1984-11-22 앙드레 도아뜨 난형 튜우브의 절단방법 및 그 장치
KR100426654B1 (ko) * 1998-10-23 2004-07-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심밀링장치
JP2001300801A (ja) * 2000-04-19 2001-10-30 Mori Seiki Co Ltd Nc旋盤の制御方法
JP2008284641A (ja) 2007-05-16 2008-11-27 Yamazaki Mazak Corp 複合旋盤装置の制御方法、複合旋盤装置、旋削バイトホルダ、刃先位置登録装置、及び刃先位置検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970A (ko) 2016-07-07 2018-01-17 주식회사 소파 강관 회전장치
CN112620753A (zh) * 2020-12-26 2021-04-09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铣槽装置
CN112620753B (zh) * 2020-12-26 2022-06-21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铣槽装置
CN117161451A (zh) * 2023-10-20 2023-12-05 英诺威阀业有限公司 一种盾构机内刀筒的制作方法及其铣磨设备
CN117161451B (zh) * 2023-10-20 2024-05-17 英诺威阀业有限公司 一种盾构机内刀筒的制作方法及其铣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77817B (zh) 具有自动翻转功能的生产线
JP6077895B2 (ja) ターニングローラ装置
KR101158400B1 (ko) 파이프 단부 복합 면취장치
KR101022771B1 (ko) 대형 가공물 용접장치
KR101359426B1 (ko)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CN107399585A (zh) 一种转弯纠偏的输送装置
CN114713978B (zh) 一种光学光电子产品加工用激光点焊机
US201301535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wing-ring plate
JP6180286B2 (ja) 角形鋼管の処理設備
JP2010133847A (ja) 被測定物の高さ調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表面形状測定装置
KR101305154B1 (ko) 지관용 파이프의 단면 가공장치
KR101528486B1 (ko) 면취기
KR101908707B1 (ko) 강관 회전장치
CN106865169B (zh) 一种送料机
KR20020033239A (ko) 휨측정날판의 측면정렬장치
KR101878957B1 (ko) 강관 이음부 가공장치
KR101583505B1 (ko) 면취장치
CN107020310B (zh) 一种翻板机与压平机紧凑联合式矫直设备
CN207209274U (zh) 一种转弯纠偏的输送装置
CN110883444A (zh) 一种建筑芯板焊接设备
CN103934546B (zh) 一种自引导焊接机
JP5937958B2 (ja) 金属板の曲げ加工装置および曲げ加工方法
JP5355967B2 (ja) 送材装置と送材方法
CN210550598U (zh) 一种多规格产品对位装置
CN109761026B (zh) 自动拼板翻转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