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555A -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555A
KR20170015555A KR1020177002615A KR20177002615A KR20170015555A KR 20170015555 A KR20170015555 A KR 20170015555A KR 1020177002615 A KR1020177002615 A KR 1020177002615A KR 20177002615 A KR20177002615 A KR 20177002615A KR 20170015555 A KR20170015555 A KR 20170015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vehicle
display
terminal apparatus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859B1 (ko
Inventor
세이이치 츠노다
다이키 이소가이
야스토모 가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7001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60K35/28
    • B60K35/654
    • B60K35/80
    • B60K35/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B60K2360/143
    • B60K2360/1438
    • B60K2360/146
    • B60K2360/1468
    • B60K2360/1472
    • B60K2360/166
    • B60K2360/57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Navig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 (40) 는, 터치 패널 (3) 을 구비하고, 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놓여진 경우, 터치 패널 (3) 을, 표시 장치 (6V) 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을 조작하는 터치 패드로서 기능시키는 제어 장치 (1) 를 갖는다. 터치 패널 (3) 은 멀티 터치식의 터치 패드로서 기능하고, 제어 장치 (1) 는 터치 패널 (3) 에 대해서 행해진 터치 제스처가 몇 개의 손가락으로 행해졌는지에 따라서 조작 대상을 변경한다. 조작 대상은 커서, 지도 화상, 위젯 화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PORTABLE TERMINAL DEVICE, ON-VEHICLE DEVICE, AND ON-VEHICLE SYSTEM}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와 연계된 차재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와 차재 장치를 연계시키는 차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 실내에 반입된 휴대 단말 장치와 차재 장치를 근거리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하는 차재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차재 시스템은 휴대 단말 장치와 차재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차재 디스플레이에 대한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기능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 장치에 부속된 카메라로 차재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화상이 표시 화상의 어느 부분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입력 위치의 지정에 이용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를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기능시킨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91868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차재 시스템에서는 조작자는 휴대 단말 장치에 부속된 카메라로 차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상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 장치를 손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어 번잡한 조작이 강요된다.
상기 서술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와 연계된 차재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와 차재 장치를 연계시키는 차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로서, 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놓여진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을,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을 조작하는 터치 패드로서 기능시키는 제어 장치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재 장치는 차재 디스플레이에 접속되는 차재 장치로서, 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놓여진 휴대 단말 장치의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상기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에 대한 조작 입력으로서 받아들인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재 시스템은, 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놓여진 경우, 터치 패널을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을 조작하는 터치 패드로서 기능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와, 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놓여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상기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에 대한 조작 입력으로서 받아들이는 차재 장치를 갖는다.
상기 서술한 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와 연계된 차재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와 차재 장치를 연계시키는 차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대시 보드 상의 독 (dock) 에 도 1 의 휴대 단말 장치를 장착했을 때의 차 실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단말 상태 전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 는 조작 대상 변경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6 은 1 개의 손가락으로 행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내용과 표시 화상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2 개의 손가락으로 행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내용과 표시 화상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3 개의 손가락으로 행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내용과 표시 화상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 (40) 를 포함하는 차재 시스템 (100) 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 도 2 는 휴대 단말 장치 (40) 의 정면도이고, 도 3 은 대시 보드 상의 크레들 (독) (30) 에 휴대 단말 장치 (40) 가 놓여졌을 때의 차 실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재 시스템 (100) 은 휴대 단말 장치 (40) 와 차재 장치 (50) 를 연계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주로 휴대 단말 장치 (40) 및 차재 장치 (50) 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 장치 (40) 는 탑승자가 휴대하는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형 게임기, 태블릿형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 (40) 는 스마트 폰이고, 주로 제어 장치 (1), 정보 취득 장치 (2), 터치 패널 (3), 통신 장치 (4), 기억 장치 (5), 표시 장치 (6), 음성 입력 장치 (7) 및 음성 출력 장치 (8) 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40) 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한 컴퓨터이다. 제어 장치 (1) 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단말 상태 전환부 (10), 조작 입력 통지부 (11) 의 각 기능 요소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 으로부터 판독 출력하여 RAM 에 전개 (展開) 하고, 각 기능 요소에 대응하는 처리를 CPU 에 실행시킨다. 또한, 각 기능 요소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운로드되어도 되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에서 제공되어도 된다.
정보 취득 장치 (2) 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 회선, 공중 무선 LAN 등을 이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터치 패널 (3) 은 휴대 단말 장치 (40) 가 탑재하는 조작 입력 장치의 하나로서, 예를 들어 표시 장치 (6) 상에 배치되는, 멀티 터치 제스처 기능을 서포트하는 멀티 터치식의 터치 패널이다.
통신 장치 (4) 는 차재 장치 (50) 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 (4) 는 근거리 무선 통신 (이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라고 한다) 을 통해 차재 장치 (50) 의 통신 장치 (4V) 에 접속된다. 또한, 통신 장치 (4) 와 통신 장치 (4V) 사이의 통신에는 Bluetooth (등록 상표), Wi-Fi (등록 상표)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사용되어도 되고, USB (Universal Serial Bus)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이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 (4) 는 주기적으로 응답 요구 신호를 발신한다. 통신 장치 (4V) 는 그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를 통신 장치 (4) 에 회신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 (4) 는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장치 (4V) 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또한, 통신 장치 (4V) 가 주기적으로 응답 요구 신호를 발신해도 되고, 통신 장치 (4) 및 통신 장치 (4V) 의 각각이 주기적으로 응답 요구 신호를 발신해도 된다. 이 경우, 통신 장치 (4) 는 그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를 통신 장치 (4V) 에 회신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 (4V) 는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장치 (4) 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또, 통신 장치 (4) 는 통신 장치 (4V) 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했을 때, 무선 통신이 확립된 것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제어 장치 (1) 에 대해서 출력한다.
도 3 은 휴대 단말 장치 (40) 와 차재 장치 (50)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의 일례로서, 휴대 단말 장치 (40) 가 독 (30) 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 (40) 는 터치 패널 (3) 및 표시 장치 (6) 를 운전자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독 (30) 에 유지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운전자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70) 을 잡은 손을 뻗어 터치 패널 (3) 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 운전자는 운전 중에 내비게이션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6V) 와, 속도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 미터 (80) 와, 휴대 단말 장치 (40) 의 통신 상태 및 배터리 상태 등을 표시하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90) 를 필요에 따라서 시인할 수 있다.
기억 장치 (5) 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억 장치 (5) 는 휴대 단말 장치 (40)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이하, 「APP」이라고 한다), 위젯 등을 기억한다.
「위젯」은 휴대 단말 장치 (40) 상에서 동작하는 소규모의 액세서리 APP 이다. 위젯은 예를 들어 새로운 정보를 정기적으로 취득하여 표시하는 APP 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주가 정보, 일기 예보, 표고, 연안 파랑 예상 등을 표시하는 APP 을 포함한다. 또, 위젯은 캘린더, 시각 등을 표시하는 APP, 웹으로부터 취득한 차량 주변의 화상을 차례로 비추는 슬라이드 쇼 APP, 운전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에코도를 표시하는 APP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위젯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운로드되어도 되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표시 장치 (6) 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다. 음성 입력 장치 (7) 는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마이크이다. 음성 출력 장치 (8) 는 각종 정보를 음성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피커이다.
다음으로 차재 장치 (50) 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재 장치 (50) 는 예를 들어 차재 내비게이션 장치로서, 주로 제어 장치 (1V), 기억 장치 (5V), 표시 장치 (6V), 음성 출력 장치 (8V) 및 위치 검출 장치 (9V) 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 (1V) 는 차재 장치 (50) 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CPU, RAM, ROM 등을 구비한 컴퓨터이다. 제어 장치 (1), 예를 들어 후술하는 경로 안내부 (12V) 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 으로부터 판독 출력하여 RAM 에 전개하고, 경로 안내부 (12V) 에 대응하는 처리를 CPU 에 실행시킨다. 또한, 경로 안내부 (12V) 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운로드되어도 되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기억 장치 (5V) 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억 장치 (5V) 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 (51V) 를 기억한다. 지도 데이터 베이스 (51V) 는 교차점, 인터체인지 등의 노드 위치, 노드 간을 접속하는 요소인 링크의 거리, 링크를 통과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시간, 비용 등의 정도인 링크 비용, 시설 위치 (위도, 경도, 고도), 시설 명칭 등을 체계적으로 기억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표시 장치 (6V) 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차재 디스플레이로서,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음성 출력 장치 (8V) 는 각종 정보를 음성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피커이다.
위치 검출 장치 (9V) 는 차재 장치 (50) 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검출 장치 (9V) 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안테나를 통해 GPS 위성이 출력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이다. 위치 검출 장치 (9V) 는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재 장치 (50) 의 위치 (위도, 경도, 고도) 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 (1V) 에 대해서 출력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 장치 (40) 의 제어 장치 (1) 가 갖는 각종 기능 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기능 요소로서,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 (40) 가 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놓여진 경우, 통상적인 휴대 단말 장치로서 기능하는 동작 상태 (이하, 「통상 모드」라고 한다) 를, 차재 장치 (50) 의 조작 입력 장치로서 기능하는 동작 상태 (이하, 「입력 모드」라고 한다) 로 전환한다.
「차 실내의 소정 위치」란 휴대 단말 장치 (40) 와 차재 장치 (50) 사이의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영역 내의 위치로서, 예를 들어 운전석 주위의 소정 영역 내에 있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통신 장치 (4) 의 출력에 기초하여 통상 모드와 입력 모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40) 와 차재 장치 (50)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를 입력 모드로 한다. 한편으로,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40) 와 차재 장치 (50)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 경우,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를 통상 모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40) 가 독 (30) 에 장착되고, 무선 통신이 확립된 것을 검출한 경우, 소정의 APP 을 자동적으로 기동시킴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를 입력 모드로 한다. 또,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40) 가 독 (30) 으로부터 떼어내져 무선 통신이 끊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 소정의 APP 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킴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를 통상 모드로 한다. 또한,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모드 전환시에 소정의 APP 을 자동적으로 기동 혹은 종료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APP 을 기동 가능 또는 종료 가능으로 하게만 하면 되는 것이어도 된다. 조작자의 수동에 의한 소정의 APP 기동 또는 종료에 따라서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소정의 APP」란 휴대 단말 장치 (40) 상에서 동작하는 APP 으로서, 예를 들어 조작 입력에 관한 조작 입력 APP 을 포함하고, 특히 각종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을 포함한다. 터치 제스처는 터치 패널 (3) 상에서 손가락 등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행위로서, 예를 들어 탭, 더블 탭, 드러그, 스와이프, 플릭, 핀치 인, 핀치 아웃 등을 포함한다.
도 3 은 휴대 단말 장치 (40) 의 표시 장치 (6) 에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용의 화면인, 터치 패드의 화상 (흑색의 터치 패드면을 나타내는 화상) 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단, 휴대 단말 장치 (40) 는 독 (30) 에 장착된 경우,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을 기동시킨 다음, 즉 조작자에 의한 터치 패널 (3) 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가능하게 한 다음, 표시 장치 (6) 의 화면 표시를 중단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터치 패널」이란 표시 장치 상에 배치되어 그 표시 장치와 협동하는 (표시 장치에 표시된 조작 대상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 장치를 의미하고, 「터치 패드」란 표시 장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그 표시 장치와 협동하는 조작 입력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 (3) 은 표시 장치 (6) 와의 관계에서는 터치 패널로서 기능하지만, 표시 장치 (6V) 와의 관계에서는 터치 패드로서 기능한다. 표시 장치 (6) 가 터치 패널 (3) 과 일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에 비해서, 표시 장치 (6V) 는 터치 패널 (3)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조작자가 휴대 단말 장치 (40) 의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해서 행한 조작 입력의 내용을 차재 장치 (50) 에 통지하기 위한 기능 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이고, 조작자에 의한 터치 패널 (3) 에 대한 터치 제스처의 내용을 차재 장치 (50) 에 통지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터치 제스처에 사용한 손가락의 개수에 따라서 조작 대상을 변경한다. 「조작 대상」이란, 조작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조작자가 조작하는 차재 디스플레이 상의 화상이다. 구체적으로는, 1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 제스처가 행해진 경우,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표시 장치 (6V) 에 표시되는 커서가 조작 대상이 되도록 소정의 조작 입력 정보를 차재 장치 (50) 에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서의 이동, 커서에 의한 선택 등이 행해지도록 소정의 조작 입력 정보를 차재 장치 (50) 에 송신한다. 조작 입력 정보는 조작자에 의한 터치 패널 (3) 에 대한 조작 입력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조작 대상의 식별 번호, 조작 대상 이동량, 조작 대상 이동 속도, 조작 대상 이동 방향 등을 포함한다.
또, 2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 제스처가 행해진 경우,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표시 장치 (6V) 에 표시되는 특정 APP 의 화상이 조작 대상이 되도록 소정의 조작 입력 정보를 차재 장치 (50) 에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비게이션 APP 의 지도 화상의 스크롤, 확대 축소 표시 등이 행해지도록 소정의 조작 입력 정보를 차재 장치 (50) 에 송신한다.
또, 3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 제스처가 행해진 경우,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표시 장치 (6V) 에 표시되는 위젯 화면이 조작 대상이 되도록 소정의 조작 입력 정보를 차재 장치 (50) 에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 (6V) 에 표시되는 위젯 화면의 표시·비표시의 전환, 표시 장치 (6V) 에 표시되는 위젯 화면 종류의 전환 등이 행해지도록 소정의 조작 입력 정보를 차재 장치 (50) 에 송신한다. 또한, 위젯 화면은, 위젯이 표시 장치 (6V) 상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1 개, 2 개, 또는 3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 제스처가 행해진 경우의 조작 대상이 손가락의 개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지만, 4 개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 제스처가 행해진 경우의 조작 대상이 손가락의 개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차재 장치 (50) 의 제어 장치 (1V) 가 갖는 기능 요소인 경로 안내부 (12V) 에 대해서 설명한다.
경로 안내부 (12V) 는 소정 지점에 이를 때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 요소로서,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용 APP 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로 안내부 (12V) 는 위치 검출 장치 (9V) 가 검출한 현재 위치와, 휴대 단말 장치 (40) 의 터치 패널 (3) 을 개재하여 입력된 목적지의 위치와, 기억 장치 (5V) 에 기억된 지도 정보 데이터 베이스 (51V) 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이를 때까지의 최적 경로를 도출한다.
또, 경로 안내부 (12V) 는, 예를 들어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으로서 데이크스트라법을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한다. 또한, 경로 안내부 (12V) 는 최단 경로 외에, 가장 빨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속도 경로나 고속도로를 이용하지 않는 경로 등을 탐색할 수도 있다.
또, 경로 안내부 (12V) 는 탐색한 추천 경로를 다른 경로와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 (6V) 에 표시시켜 조작자가 추천 경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음성 안내를 음성 출력 장치 (8V) 로부터 출력시켜 조작자에 의한 추천 경로를 따른 운전을 지원한다.
다음으로, 도 4 를 참조하면서, 휴대 단말 장치 (40) 가 자신의 동작 상태를 전환 처리 (이하, 「단말 상태 전환 처리」라고 한다) 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 는 단말 상태 전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로서, 휴대 단말 장치 (40) 는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이 단말 상태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휴대 단말 장치 (40) 의 제어 장치 (1) 에 있어서의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40) 와 차재 장치 (50)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통신 장치 (4) 의 출력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 장치 (40) 에 탑재되는 통신 장치 (4) 와 차재 장치 (50) 의 통신 장치 (4V) 사이에서 NFC 에 의한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 의 예),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소정의 APP 이 미기동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이 미기동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이 미기동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 S2 의 예),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을 기동시킨다 (스텝 S3). 이로써,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를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이 기동이 완료된 상태로 판정한 경우 (스텝 S2의 아니오),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 (입력 모드) 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1 의 아니오),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소정의 APP 이 기동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 (1) 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이 기동 완료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이 기동 완료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 의 예),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을 종료시킨다 (스텝 S5). 이로써,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를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이 미기동이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S4 의 아니오), 휴대 단말 장치 (40) 의 동작 상태 (통상 모드) 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단말 장치 (40) 는 자신과 차재 장치 (50)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자신의 동작 상태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 도 8 을 참조하면서, 입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40) 에 대한 조작자에 의한 조작 입력의 내용에 따라서 조작 대상을 변경하는 처리 (이하, 「조작 대상 변경 처리」라고 한다) 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5 는 조작 대상 변경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로서, 휴대 단말 장치 (40) 는 조작 입력이 행해질 때마다 이 조작 대상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 또, 도 6 ∼ 도 8 은 휴대 단말 장치 (40) 의 터치 패널 (3) 에 대해서 행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내용과, 표시 장치 (6V) 의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휴대 단말 장치 (40) 의 제어 장치 (1) 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터치 제스처의 조작점의 수 (터치 제스처에 사용한 손가락의 개수) 를 검출한다 (스텝 S11).
손가락의 개수가 1 개인 경우 (스텝 S11 의 1 개 손가락 조작),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커서 (60V) 를 조작 대상으로서 선택한다 (스텝 S12).
도 6 은 1 개의 손가락으로 행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내용과 표시 화상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측 도면이 터치 제스처의 내용을 나타내고, 우측 도면이 표시 장치 (6V) 의 표시 화상의 내용을 나타낸다. 또, 도 6 의 우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 (6V) 의 표시 화상은 커서 (60V) 와, 자차 위치 아이콘 (61V) 과, 위젯 화면 (62V, 63V) 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위젯 화면 (62V, 63V) 은 지도 화상 위에 중첩 표시되고, 또, 커서 (60V) 는 표시 화상 내의 모든 화상 위를 횡단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또, 도 6 의 우측 도면은 위젯 화면 (62V) 에 제 1 위젯에 관한 화상 「A」가 표시되고, 위젯 화면 (63V) 에 제 2 위젯에 관한 화상 「B」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의 좌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손가락에 의한 드러그 조작이 행해지면, 도 6 의 우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서 (60V) 가 드러그 조작에 따라서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1 개의 손가락에 의한 드러그 조작에 의해서 커서 (60V) 가 이동된 경우여도, 지도 화상 및 위젯 화면 (62V, 63V) 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조작 대상이 커서 (60V) 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1 개의 손가락에 의한 탭 조작, 더블 탭 조작 등이 행해진 경우에는, 커서 (60V) 가 지정하는 표시 화상 위의 위치에 관한 각종 기능이 실행된다.
손가락의 개수가 2 개인 경우 (스텝 S11 의 2 개 손가락 조작),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화상을 조작 대상으로서 선택한다 (스텝 S13).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지도 화상을 조작 대상으로서 선택한다.
도 7 은 2 개의 손가락으로 행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내용과 표시 화상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단 및 하단의 좌측 도면이 터치 제스처의 내용을 나타내고, 상단 및 하단의 우측 도면이 표시 장치 (6V) 의 표시 화상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 7 의 상단 좌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손가락에 의한 핀치 아웃 조작이 행해지면, 도 7 의 상단 우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도 화상이 확대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손가락에 의한 핀치 아웃 조작에 의해서 지도 화상이 확대 표시된 경우여도, 커서 (60V) 의 위치 및 위젯 화면 (62V, 63V) 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조작 대상이 지도 화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2 개의 손가락에 의한 핀치 인 조작에 의해서 지도 화상을 축소 표시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또, 도 7 의 하단 좌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손가락에 의한 우측 방향으로의 드러그 조작이 행해지면, 도 7 의 하단 우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도 화상이 우측 방향으로 스크롤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손가락에 의한 드러그 조작에 의해서 지도 화상이 스크롤된 경우여도, 커서 (60V) 의 위치 및 위젯 화면 (62V, 63V) 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조작 대상이 지도 화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2 개의 손가락에 의한 드러그 조작이 다른 방향으로 행해진 경우도 동일하다.
손가락의 개수가 3 개인 경우 (스텝 S11 의 3 개 손가락 조작), 조작 입력 통지부 (11) 는 위젯 화면을 조작 대상으로서 선택한다 (스텝 S14).
도 8 은 3 개의 손가락으로 행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내용과 표시 화상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단 및 하단의 좌측 도면이 터치 제스처의 내용을 나타내고, 상단 및 하단의 우측 도면이 표시 장치 (6V) 의 표시 화상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 8 의 상단 좌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의 손가락에 의한 좌측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조작 또는 플립 조작이 행해지면, 도 8 의 상단 우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젯 화면의 내용이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위젯에 관한 화상 「A」를 표시하고 있던 위젯 화면 (62V) 에 제 2 위젯에 관한 화상 「B」가 표시된다. 또, 제 2 위젯에 관한 화상 「B」를 표시하고 있던 위젯 화면 (63V) 에 제 3 위젯에 관한 화상 「C」가 새롭게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 개의 손가락에 의한 좌측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조작 또는 플립 조작에 의해서 위젯 화면의 내용이 전환된 경우여도, 커서 (60V) 의 위치 및 지도 화상은 변화되지 않는다. 조작 대상이 위젯 화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3 개의 손가락에 의한 우측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조작 또는 플립 조작에 의해서 위젯 화면의 내용을 전환된 경우도 동일하다.
또, 도 8 의 하단 좌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의 손가락에 의한 하측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조작 또는 플립 조작이 행해지면, 도 8 의 하단 우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젯 화면의 표시·비표시가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위젯에 관한 화상 「A」를 표시하고 있던 위젯 화면 (62V) 과, 제 2 위젯에 관한 화상 「B」를 표시하고 있던 위젯 화면 (63V) 이 비표시로 되고, 시인할 수 있는 지도 화상의 영역이 확대된다. 또한, 도 8 의 하단 우측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비표시로 된 위젯 화면 (62V, 63V) 을 파선으로 나타내었지만, 이들 파선이 실제로 표시되는 경우는 없다. 또, 비표시로 된 위젯 화면 (62V, 63V) 은 3 개의 손가락에 의한 하측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조작 또는 플립 조작이 다시 행해지면 표시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 개의 손가락에 의한 하측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조작 또는 플립 조작에 의해서 위젯 화면의 표시·비표시가 전환된 경우여도, 커서 (60V) 의 위치 및 지도 화상은 변화되지 않는다. 조작 대상이 위젯 화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서, 휴대 단말 장치 (40) 는 조작자에게 번잡한 조작을 강요하지 않고, 자신의 터치 패널 (3) 을 차재 장치 (50) 의 터치 패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조작자는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차재 장치 (50) 는, 터치 패널 등이 구비되어 있는 조작 입력 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단, 터치 패널 등의 구비되어 있는 조작 입력 장치의 생략은 필수가 아니다.
또, 조작자는 터치 제스처를 행하는 손가락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표시 장치 (6V) 에 표시되는 복수의 조작 대상으로부터 원하는 조작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조작자는 표시 장치 (6V) 를 주시하지 않고, 원하는 조작 대상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손가락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작 대상을 선택할 수 없을 경우, 조작자는 표시 화상 위의 조작 대상을 정확하게 지정하기 위하여 표시 화상을 주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재 시스템 (100) 은 차재 장치 (50) 의 제어 장치 (1V) 에 있어서의 경로 안내부 (12V) 에 경로 안내를 실행시키지만, 휴대 단말 장치 (40) 의 제어 장치 (1) 에 있어서의 경로 안내부 (도시 생략) 에 경로 안내를 실행시켜도 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 장치 (40) 에 있어서의 경로 안내부는, 기억 장치 (5) 에 기억된 지도 데이터 베이스 (도시 생략) 및 차재 장치 (50) 의 기억 장치 (5V) 에 기억된 지도 데이터 베이스 (51V)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고, 또 자신이 탑재한 위치 검출 장치 (도시 생략) 의 출력 및 차재 장치 (50) 가 탑재한 위치 검출 장치 (9V) 의 어느 출력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 (40) 는 독 (30) 에 장착된 경우, 휴대 단말 장치 (40) 와 차재 장치 (50)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 (40) 는 운전석 주위의 소정 영역에 진입했을 경우, 휴대 단말 장치 (40) 와 차재 장치 (50)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할 수도 있다.
1 : 제어 장치
2 : 정보 취득 장치
3 : 터치 패널
4, 4V : 통신 장치
5, 5V : 기억 장치
6, 6V : 표시 장치
7 : 음성 입력 장치
8, 8V : 음성 출력 장치
9V : 위치 검출 장치
10 : 단말 상태 전환부
11 : 조작 입력 통지부
12V : 경로 안내부
30 : 독
40 : 휴대 단말 장치
50 : 차재 장치
51V : 지도 데이터 베이스
70 : 스티어링 휠
80 : 속도 미터
90 :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Claims (3)

  1. 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놓여진 경우, 터치 패널을,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을 조작하는 터치 패드로서 기능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와,
    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놓여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상기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 대상에 대한 조작 입력으로서 받아들이는 차재 장치를 갖는 차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상기 차재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이 확립된 후, 상기 휴대 단말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APP 을 자동적으로 기동시키고, 무선 통신이 끊어진 경우에 상기 APP 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는 단말 상태 전환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APP 은,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기 위한 APP 을 포함하는, 차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차재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는, 차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독에 장착된 경우, 상기 APP 을 기동시키고, 또한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를 중단하는, 차재 시스템.
KR1020177002615A 2012-09-12 2012-09-12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 KR101838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3375 WO2014041646A1 (ja) 2012-09-12 2012-09-12 携帯端末装置、車載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157A Division KR20150041127A (ko) 2012-09-12 2012-09-12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555A true KR20170015555A (ko) 2017-02-08
KR101838859B1 KR101838859B1 (ko) 2018-04-27

Family

ID=502778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615A KR101838859B1 (ko) 2012-09-12 2012-09-12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
KR1020157006157A KR20150041127A (ko) 2012-09-12 2012-09-12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157A KR20150041127A (ko) 2012-09-12 2012-09-12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27221A1 (ko)
JP (1) JP6172153B2 (ko)
KR (2) KR101838859B1 (ko)
CN (1) CN104603577A (ko)
DE (1) DE112012006892T5 (ko)
IN (1) IN2015DN01719A (ko)
WO (1) WO2014041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2973B2 (ja) * 2013-10-11 2016-03-09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20086B2 (en) 2014-03-05 2016-08-16 Honda Motor Co., Ltd. Information terminal
JP6525504B2 (ja) * 2014-04-20 2019-06-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操作入力方法
KR20150134674A (ko) * 2014-05-22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1513643B1 (ko) 2014-05-26 201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16009512A1 (ja) * 2014-07-16 2016-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ニアリングツール
KR101535032B1 (ko) 2014-07-1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DE102014219326A1 (de) * 2014-09-24 2016-03-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ensorfusion mit Smartphone im Fahrzeug
CN105446608A (zh) * 2014-09-25 2016-03-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搜索方法、信息搜索装置及电子装置
US9874952B2 (en) * 2015-06-11 2018-01-23 Honda Motor Co., Ltd. Vehicle user interface (UI) management
TWI578021B (zh) * 2015-08-19 2017-04-11 國立臺北科技大學 擴增實境互動系統及其動態資訊互動顯示方法
CN105260028A (zh) * 2015-11-11 2016-01-20 武汉卡比特信息有限公司 通过手机摄像头体感控制车载电脑的方法
CN105302007A (zh) * 2015-12-03 2016-02-03 深圳市凯立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联网操作控制系统
DE102016112833A1 (de) * 2016-07-13 2018-01-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erfahren zum Erkennen von Softwareanwendungen und Nutzereingaben
KR20180029697A (ko) * 2016-09-13 201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DE102016217770A1 (de) * 2016-09-16 2018-03-22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KR102005443B1 (ko) * 2017-09-13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EP3456577B1 (en) * 2017-09-13 2022-01-2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KR102480704B1 (ko) * 2018-01-31 2022-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DE102018100196A1 (de) * 2018-01-05 2019-07-11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ensch-Maschinen-Schnittstelle sowie Mensch-Maschinen-Schnittstelle
CN111147731A (zh) * 2018-11-06 2020-05-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全景预览方法、系统、装置、存储介质及车辆
EP3948165B1 (en) * 2019-03-27 2024-05-01 TVS Motor Company Limited Smart connect instrument cluster
JP7310705B2 (ja) * 2020-05-18 2023-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ージェント制御装置、エージェント制御方法、及びエージェント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1868A (ja) 2007-02-02 2008-08-21 Fujitsu Ltd 位置指定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7804A1 (en) * 2006-01-30 2007-08-02 Apple Computer,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US9292111B2 (en) * 1998-01-26 2016-03-22 Apple Inc.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JP2001142563A (ja) * 1999-11-09 2001-05-2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機能補完型携帯情報装置
KR100474724B1 (ko) *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JP2004028909A (ja) * 2002-06-27 2004-01-29 Victor Co Of Japan Ltd 車内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5284886A (ja) * 2004-03-30 2005-10-13 Toshiba Corp 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9042796A (ja) * 2005-11-25 2009-02-26 Panasonic Corp ジェスチャー入力装置および方法
JP4499127B2 (ja) * 2007-03-15 2010-07-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携帯端末
CN101600009A (zh) * 2008-06-04 2009-12-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无线控制装置及具有该控制装置的无线通信装置
US8683390B2 (en) * 2008-10-01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objects on multi-touch user interface
TW201117982A (en) * 2009-11-23 2011-06-01 Htc Corp Electronic system applied to a transport and related control method
JP5656046B2 (ja) * 2010-01-20 2015-01-21 株式会社ユピテル 車両用情報表示装置
CN102844731A (zh) * 2010-04-19 2012-12-26 株式会社Dap实现 具备触控面板机构的便携信息处理装置及该便携信息处理装置用程序
JP5555555B2 (ja) * 2010-06-28 2014-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携帯機器と連携し、該携帯機器に対して可能な入力操作を実現する車載機器
WO2012039022A1 (ja) * 2010-09-21 2012-03-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通信装置、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プログラム、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US20130241720A1 (en) * 2012-03-14 2013-09-19 Christopher P. Ricci Configurable vehicle console
JP2012108719A (ja) * 2010-11-17 2012-06-07 Ntt Docomo Inc 電子機器及び入出力方法
US8818275B2 (en) * 2011-03-10 2014-08-2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Enhancing vehicle infotainment systems by adding remote sensors from a portable device
JP5633460B2 (ja) * 2011-04-01 2014-12-03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
US8805349B2 (en) * 2011-05-04 2014-08-12 General Motors Llc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s
US8661151B2 (en) * 2011-05-09 2014-02-25 Google Inc. Dynamic playlist for mobile computing device
CN102594903A (zh) * 2012-03-02 2012-07-18 许晓聪 一种智能化移动车载系统
WO2013133478A1 (en) * 2012-03-04 2013-09-1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1868A (ja) 2007-02-02 2008-08-21 Fujitsu Ltd 位置指定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859B1 (ko) 2018-04-27
US20150227221A1 (en) 2015-08-13
WO2014041646A1 (ja) 2014-03-20
CN104603577A (zh) 2015-05-06
JP6172153B2 (ja) 2017-08-02
JPWO2014041646A1 (ja) 2016-08-12
KR20150041127A (ko) 2015-04-15
IN2015DN01719A (ko) 2015-05-22
DE112012006892T5 (de)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859B1 (ko)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
CN106062514B (zh) 便携式装置与车辆头端单元之间的交互
US9927245B2 (en) Map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for selectively displaying icons
EP2306154A2 (en) Navigation device and program
KR20090038540A (ko) 화면 상의 영상위치 변경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US20160148503A1 (en) Traffic information guide system, traffic information guide device, traffic information guid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818078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60231977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WO2014030263A1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携帯端末装置で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用クレードル
JP5924448B2 (ja)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39B2 (ja) 車載用情報端末
US20140181651A1 (en) User specific help
US20160300324A1 (en) Communication system
JP5607848B1 (ja) 携帯情報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動作制御システム
JP532667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6084021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197263A (ja) ナビゲーション表示装置
JP2012225751A (ja) 車載情報端末
US20200249823A1 (en) System and method of reordering apps on a user interface
JP713214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1260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4191818A (ja)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83454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317412A (ja) 車載装置
JP2016024112A (ja) 誘導装置、誘導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