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217A -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217A
KR20170015217A KR1020160096107A KR20160096107A KR20170015217A KR 20170015217 A KR20170015217 A KR 20170015217A KR 1020160096107 A KR1020160096107 A KR 1020160096107A KR 20160096107 A KR20160096107 A KR 20160096107A KR 20170015217 A KR20170015217 A KR 2017001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graphic
unit
console
wireless communication
radiographic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436B1 (ko
Inventor
도시야 이시오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cintillation detectors, e.g. for the photo-multiplier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3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image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communication between diagnostic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65Application layer names, e.g. buddy names, unstructured names chosen by a user or home appliance n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 또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및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무선 통신의 하나의 마스터 유닛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도록 판정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RADIATION IMAG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사선 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된 방사선을 피사체에 조사하고,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의 강도 분포를 검출하여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포함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용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 및, 방사선을 형광체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하고 가시광을 광 센서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2013-236711호는 무선 기능을 구비한 방사선 촬영 장치, 무선 통신용 마스터 유닛(액세스 포인트(AP)) 및 콘솔을 구비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개시한다. 콘솔은 방사선 촬영 장치에 동작 지시를 부여하고 촬영 결과로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 시스템을 포함한 정보 처리 장치(PC)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중개하는 디바이스이며, 방사선 촬영 장치와 콘솔 사이의 통신을 중개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가 배열될 때,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를 통합할 수 있고, 범용성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2013-236711호에서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AP)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단일 유닛으로서 자주 설치되고, 이에 따라 시스템 구성요소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는 방법으로서, 방사선 촬영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 방법을 실행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통신용 무선 식별 정보(예를 들어, SSID)의 할당에 관하여 검토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의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에 동일한 무선 통신 ID가 할당될 수 있고, 동일한 무선 통신 ID를 갖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가 시스템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조합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와 콘솔(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불안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 장치와 제어 장치 사이에서 안정한 통신이 가능한 방사선 촬영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 및 슬레이브 유닛 중 하나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 제공되고,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및 판정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무선 통신의 하나의 마스터 유닛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도록 판정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 및 슬레이브 유닛 중 하나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제어 방법이 제공되고,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은 무선 통신의 하나의 마스터 유닛이 방사선 촬영 장치 내에 존재하도록 판정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 및 슬레이브 유닛 중 하나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되고,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및 판정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무선 통신의 하나의 마스터 유닛이 방사선 촬영 장치를 포함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도록 판정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선 촬영 장치와 제어 장치 사이에서 안정한 통신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통신 준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통신 준비시 콘솔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처리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를 사용시 통신 준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콘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7a 및 도 7b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방사선 촬영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통신 준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시스템에 추가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AP 모드에서 동작 중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정지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a 및 도 11b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콘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는 단지 예인 점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개별적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방사선 촬영 시스템으로서, 여러 구성예가 상정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 유닛의 조합,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데 요구되는 무선 식별 정보(무선 ID)를 방사선 촬영 장치에 할당하는 타이밍, 및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개수를 포함하는 기본 구성예가 설명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는 구성예에 대해서도,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콘솔 및 하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하는 시스템 구성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 또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는 무선 통신에서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촬영 장치는 무선 통신에서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a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무선 통신에서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b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시스템(100)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통신 채널(110 내지 113)을 개재하여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콘솔(103)과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파 강도, 촬영 장치의 온도 정보,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설치된 배터리의 잔량 정보 등을 콘솔(103)로 송신할 수 있다. 콘솔(103)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 등의 표시 기능 및 입력 유닛을 개재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PC)에 의해 구성된다. 콘솔(103)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 송신하고,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솔(103)(제어 장치)은 무선 통신 기능에 추가로 유선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 및 콘솔(103)의 사이의 통신)
화상 데이터 취득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시스템의 구성 상태에 따라서 통신 채널(110 내지 113) 중 어느 하나를 개재하여 화상 데이터를 콘솔(103)로 송신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이 화상 데이터 취득시의 구성 및 통신 채널이 각각의 조건에 대해 여기서 설명될 것이다.
일 예로서,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AP 유닛(104)을 개재하여 콘솔(103)과 통신 가능한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이때,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장치 소유의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시스템 내에 형성된 AP 유닛(104)으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AP 유닛(104)은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102)을 개재하여 콘솔(103)로 송신한다. 이때, 화상 데이터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통신 채널(110), AP 유닛(104), 통신 채널(111), 네트워크(102), 및 통신 채널(112)을 경유하여 콘솔(103)로 송신된다. AP 유닛(104)과 콘솔(103) 사이에 존재하는 통신 채널(111, 112) 및 네트워크(102)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즉,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 콘솔(103) 사이의 통신 중,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 AP 유닛(104) 사이의 적어도 정보 교환은 무선 통신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통신 채널(111, 112) 및 네트워크(102)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모두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AP 유닛(104)은 네트워크(102)를 통하지 않고 콘솔(103)에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화상 데이터가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콘솔(103)로 송신되는 채널은 통신 채널(110), AP 유닛(104), 및 통신 채널(113)로부터 형성된다. 통신 채널(113)은 네트워크(102)와 마찬가지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도 1a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 1b에서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콘솔(103)과 직접적으로 화상 데이터 교환을 실행할 수 있다(통신 채널(114)). 콘솔(103)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 등의 표시 기능, 및 입력 유닛을 개재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PC)에 의해 구성된다. 콘솔(103)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 직접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고,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직접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콘솔(103)과 직접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화상 데이터를 콘솔(103)로 직접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의 무선 통신 채널이 통신 채널(114)이다. 도 1b는 화상 데이터가 직접 무선 통신에 의해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콘솔(103)로 전달되는 예를 도시하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을 사용하거나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 양쪽을 사용한 네트워크가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 콘솔(103) 사이에 또한 개재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 콘솔(103)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의 교환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채널이 상술되었다. 도 1a 및 도 1b의 구성예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기능이 사용되는 예가 설명된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유선 통신에 의해 다른 유닛과 통신을 또한 실행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의한 피사체(105)의 촬영 절차가 이어서 설명될 것이다. 피사체(105)의 촬영을 실시하기 전에,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방사선 튜브(106)에 의해 방출되어 피사체(105)을 투과한 방사선이 조사되는 위치에 설정된다. 촬영의 절차에 관해, 사용자가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기동한 이후, 촬영자는 콘솔(103)을 조작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촬영 가능 상태로 설정한다. 이어서, 촬영자는 방사선 발생 장치(108)의 콘솔(107)을 조작하여 방사선의 조사 조건을 설정한다. 상술된 처리의 종료 이후, 촬영자는 피사체(105)를 포함한 촬영 준비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방사선 발생 장치(108)의 콘솔(107)에 구비된 노출 스위치를 눌러서 방사선 토출을 수행한다.
방사선의 노출시, 방사선 발생 장치(108)는 방사선 조사가 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커넥터(109)(방사선 디바이스 커넥터) 또는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통지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구성예에서, 방사선 발생 장치(108) 및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커넥터(109) 및 네트워크(102)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그러나, 접속 형태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조사 통지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기능에 따라서 불필요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를 나타내는 신호 수신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방사선 조사가 준비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문제가 없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조사 허가 신호를 방사선 발생 장치(108)로 송신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조사 허가 신호를 수신한 이후, 방사선 발생 장치(108)는 방사선을 방출한다.
방사선 발생 장치(108)로부터 방사선 조사 종료 신호 수신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화상 데이터의 생성을 개시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술된 통신 채널을 개재하여 콘솔(103)로 송신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화상 데이터 수신시, 콘솔(103)은 콘솔(103)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내부 구성)
도 2를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내부 구성의 예가 이어서 설명될 것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입사 방사선을 전기 신호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센서 유닛(204)을 구비한다. 센서 유닛(204)은 신틸레이터 및 광검출기 어레이에 의해 형성된다. 신틸레이터 및 광검출기 어레이는 2차원 평면 형상을 구비하고, 평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된다. 신틸레이터는 X-선 등의 방사선에 의해 여기되고, 가시광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광검출기는 가시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센서 구동 유닛(203)은 상술된 구성을 갖는 센서 유닛(204)을 구동한다. 센서 구동 유닛(203)은 전기 신호가 추출되는 행 또는 열을 선택하고, 추출된 전기 신호를 증폭하고, 전력을 광검출기 어레이로 공급한다. 센서 구동 유닛(203)은 광검출기 어레이로부터 추출된 전기 신호를 제어 유닛(201)으로 송신한다. 센서 구동 유닛(203)으로부터 전기 신호 수신시, 제어 유닛(201)은 수신된 전기 신호를 저장 유닛(202)에 출력하고, 신호를 저장 유닛(202)에 저장한다. 센서 유닛(204)의 구성에 관해, 예를 들어 신틸레이터의 종류 및 광검출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유닛(201)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각 유닛의 제어에 관련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촬영에 관해, 제어 유닛(201)은 센서 유닛(204)을 구동하기 위한 지시를 센서 구동 유닛(203)으로 출력하거나,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 유닛(202)에 저장하거나, 저장 유닛(202)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01)은 통신 유닛(205)을 개재하여 화상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거나, 통신 유닛(205)을 개재하여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하거나, 조작 유닛(209)으로부터의 조작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기동/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01)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동작 상태 또는 에러 상태를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개재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된 처리 내용은 하나의 제어 유닛(201)에 의해 처리된다. 그러나, 처리는 또한 복수의 제어 유닛,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제어 유닛에 의해 분할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저장 유닛(202)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 또는 내부 처리 결과 등을 나타내는 로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1)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 저장 유닛(202)은 또한 제어 유닛(201)에 의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202)의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 HDD 등이 여러 조합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는 단 하나의 저장 유닛(202)이 도시된다. 그러나, 복수의 저장 유닛이 또한 배열될 수 있다.
통신 유닛(205)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 유닛(205)은 무선 통신용 제1 외부 접속 유닛(206)에 접속되고, 제1 외부 접속 유닛(206)을 개재하여 AP 유닛(104) 또는 콘솔(103)과 통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접속 유닛(206)의 예는 무선 통신용 안테나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은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유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통신의 규격 및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통신 유닛(205)은 제2 외부 접속 유닛(211)에 접속된다. 제2 외부 접속 유닛(211)은 제1 외부 접속 유닛(206)을 개재한 통신과는 별도로, 각종 정보를 콘솔 등 다른 디바이스와 교환하는데 사용된다. 정보의 예는 제1 외부 접속 유닛(206)을 개재해서 통신할 때의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설정 정보이다. 제2 외부 접속 유닛(211)의 접속 방식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유선 통신에서,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고 또는 기억 매체가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직접 조립된다. 무선 통신에서도,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 또는 전파를 사용한 통신이 사용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예에서, 통신 유닛(205)은 2개의 외부 접속 유닛(제1 외부 접속 유닛(206) 및 제2 외부 접속 유닛(211))에 접속된다. 그러나, 전용 통신 유닛이 각각의 접속 유닛에 대응해서 설치될 수 있다.
제1 외부 접속 유닛(206)을 개재하여 AP 유닛(104) 또는 콘솔(103)과 통신할 때,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서의 통신 동작 모드를, 즉,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할지 또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르는 무선 식별 정보(무선 ID)를 사용하여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무선 식별 정보(무선 ID)의 설정 방법이 후술될 것이다. 동작 모드의 선택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의해 항상 선택될 필요는 없고, 콘솔(103)(제어 장치)가 또한 동작 모드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각각의 실시예에 따르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무선 통신에서 이용 가능한 동작 모드는 적어도 마스터 유닛 모드(액세스 포인트 모드: 이후 AP 모드로 지칭됨) 및 슬레이브 유닛 모드(스테이션 모드: 이후 STA 모드로 지칭됨)를 포함한다. AP 모드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제어 장치와 직접 무선 통신하고, 또한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와 제어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모드이다. STA 모드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제어 장치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를 포함한 다른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내부 전원(207)을 구비한다. 내부 전원(207)은 예를 들어 착탈 가능한 재충전 가능 배터리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고, 재충전 가능 전원, 재충전 불가능 전원, 착탈 가능 전원, 착탈 불가능 전원, 및 전력 생성법 등 여러 전원이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전원 생성 유닛(208)은 내부 전원(207)에 의해 부여된 전력으로부터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각각의 유닛에 의해 요구되는 전압/전류를 생성하고, 전압/전류를 분배한다.
조작 유닛(209)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조작 유닛(209)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각종 스위치, 터치 패널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조작 전용 원격 제어기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수신 유닛이 함께 배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예를 들어 LED, LCD, 모니터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통지 방법으로서, 스피커 등의 통지 유닛이 함께 배열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통신 확립 동작)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환경에서의 통신 확립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방사선 촬영 시스템(100)에 통합할 때 통신 준비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무선 통신이 무선 LAN이라고 상정하여 여기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사선 촬영 장치(101), 콘솔(103) 및 AP 유닛(104)을 구비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100)에 의해 방사선 화상이 캡처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방사선의 조사를 자동으로 검출시 촬영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상정된다. 도 1a을 참조하여 설명된 커넥터(109)는 방사선 화상을 촬영하는 구성에서 생략된다.
단계(S300)에서, 통신 준비 처리가 개시된다. 촬영 개시시, 도 3의 단계(S301 및 S30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닛의 기동, 및 콘솔(103)과 방사선 촬영 장치(101) 사이의 페어링이 개시된다. 페어링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 및 콘솔(103)을 연동하기 위한 처리이다.
무선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AP 유닛(104)을 포함하는 구성에서,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통신 유닛(이후, 간단히 유닛으로도 지칭됨)이 하나의 AP 유닛(104)에 접속될 수 있다. 촬영 환경 하에서, 각각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콘솔 및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콘솔 및 방사선 촬영 장치가 페어링에 의해 쌍이 되는 파트너 유닛이 통지되지 않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가 바람직하지 않은 콘솔로 송신될 수 있고, 또는 알려지지 않은 송신처로 인해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화상 데이터의 제공이 불가능할 수 있다.
페어링의 방법 예로서, 적외선 통신에 의한 정보 교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의한 정보 교환, 및 무선 LAN 이외의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콘솔(103) 측에 각종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이 구비되고 방사선 촬영 장치(101) 내의 제2 외부 접속 유닛(211)이 각종 통신용 안테나 등의 송/수신 유닛으로서 형성된다고 상정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조작 유닛(209)로부터의 페어링을 지시하는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페어링 요구를 콘솔(103)에 통지하고, 페어링 요구에 응답하여 콘솔(103)이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의해 페어링을 실행한다.
페어링을 실행하는 구성의 다른 예로서, 페어링은 물리적인 접속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솔(103) 및 제2 외부 접속 유닛(211)은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고, 접속 검출에 의해 서로의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페어링은 상술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촬영자가 콘솔(103) 및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조작 유닛(209)을 사용하여 파트너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등, 복수의 방법에 의해 상대편의 정보를 입력하는 등, 복수의 방법에 의해 주입될 수 있다.
단계(S302)에서 페어링이 개시될 때, 단계(S303)에서, 콘솔(103)은 AP 유닛(104)의 유/무를 판정한다. 콘솔(103)(제어 장치)은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콘솔(103)(제어 장치)은 판정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의 하나의 마스터 유닛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 획득되도록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판정에 기초하여,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AP 유닛(104))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킨다.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킨다. 콘솔(103)(제어 장치)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 유/무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의 통신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콘솔(103)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페어링된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시킬지(AP 모드) 또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킬지(STA 모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콘솔(103)(제어 장치)은 AP 유닛(104)의 유/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부여되는 지시를 변경할 수 있다. AP 유닛(104)의 유/무 판정 방법의 예로서, AP 유닛(104)의 IP 어드레스 중, 호스트부의 수치 범위가 미리 결정된다. 콘솔(103)은 AP 유닛(104)용 호스트에 의해 동작하는 유닛이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판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S303)에서 AP 유닛(104)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S3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304)로 진행된다.
단계(S304)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AP로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무선 ID)로서 SSID를 생성한다. 콘솔(103)(제어 장치)은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시스템에서,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101)이 시스템 내에 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 SSID가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무선 ID)로서 생성된다.
콘솔(103)(제어 장치)은 무선 통신에서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식별 가능한 문자 정보, 제어 장치의 고유의 식별 정보,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고유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에 관해, 콘솔(103)(제어 장치)은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 방사선 촬영 장치와 제어 장치 사이의 페어링 시지를 특정하는 정보 및 제어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콘솔(103)은 SSID의 구성예로서, SSID를 구비한 디바이스인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문자열), 방사선 촬영 장치와 제어 장치 사이의 페어링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연/월/일 및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및 페어링된 콘솔의 시리얼 번호(제어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SSID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유의 SSID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AP로서 동작하는 상태에서도 혼선 등의 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문자 정보(문자열)가 SSID의 구성에 포함되는 경우, AP 유닛(104) 및 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우선권이 부여되어야 하는지가 판정될 수 있다. 추가로, 페어링된 연/월/일 및 시간이 SSID의 구성에 포함되는 경우, 콘솔은 최신 AP에 우선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콘솔의 시리얼 넘버가 SSID의 구성에 포함되는 경우, 복수의 콘솔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쌍이 존재하는 환경 하에서도 동일한 SSID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SSID는 상술된 각 정보 모두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각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획득되는 장점이 불필요한 경우, 콘솔(103)은 각 정보를 제외한 상태로 SSI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더넷®을 사용하는 디바이스가 구비된 MAC 어드레스 등의 전세계적 범위에서 사용되는 고유의 수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S304)로 고유의 SSID가 생성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S305)로 진행한다. 단계(S305)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대해 AP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AP 지정(designation) 지시)를 출력한다. 단계(S306)에서, 콘솔(103)은 단계(S304)에서 생성된 SSID를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통지한다. 단계(S307)에서, 콘솔(103)로부터의 지시 및 SSID의 정보를 수신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수신된 SSID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AP 모드 동작)을 개시한다. 그 후, 단계(S308)에서, 콘솔(103)과 AP 모드의 방사선 촬영 장치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한다. SSID 통지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콘솔(103)이 AP 모드에서 동작을 개시한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의 준비 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 콘솔(103)과, SSID를 통지한 방사선 촬영 장치(101) 사이의 무선 접속(무선 통신)이 확립되고, 따라서 무선 통신 준비를 완료한다.
한편, 동작하는 AP 유닛(104)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한다고 단계(S303)의 판정 처리에 의해 판정될 때(단계(S303)에서 예), 처리는 단계(S309)로 진행한다.
처리가 단계(S309)로 진행하는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방사선 촬영 장치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지정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콘솔(103)(제어 장치)은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슬레이브 유닛 또는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킬지 여부를 선택한다. 더 구체적으로, 콘솔(103)은 페어링된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어떻게 동작시킬지를 사용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윈도우를 모니터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선택을 재촉한다. 촬영자의 선택 결과로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선택된 경우, 처리는 단계(S310)로 진행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를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선택된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를 방사선 촬영 장치에 통지하고,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킨다.
한편, 단계(S309)의 판정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촬영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처리는 단계(S312)로 진행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선택된 경우에, 콘솔(103)(제어 장치)은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의 무선 식별 정보를 방사선 촬영 장치에 통지하고, 방사선 촬영 장치를 디바이스의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킨다. 이 방식으로, 콘솔(103)(제어 장치)은 단계(S309)에서의 선택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S310)의 처리 내용은 상술된 단계(S304 내지 S308)의 것과 동일하다. 도 3에서, 이들 처리는 SU300로서 규정되고, 단계(S310)의 표기를 치환한다. 단계(S310)의 SU300의 처리가 종료될 때, 동작하는 두 개의 액세스 포인트(AP)가 시스템 내에 존재한다. 단계(S311)에서, 콘솔(103)은 자체의 디폴트 접속처로서 액세스 포인트(AP)를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설정하고, 통신 준비를 완료한다. 이 단계에서, 콘솔(103)(제어 장치)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유닛의 디폴트 접속처를, 방사선 촬영 장치로 변경한다.
한편, 처리가 단계(S312)로 진행된 경우,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슬레이브 유닛으로서의 동작을 행하는 지시(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를 통지한다. 단계(S313)에서, 콘솔(103)은 AP 유닛(104)의 SSID를,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통지한다. 단계(S314)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 AP 유닛(104) 사이에 무선 접속이 확립되고, 따라서 통신 준비가 완료된다.
이 실시예에서, 페어링된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시킬지(AP 모드) 또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킬지 여부가 선택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우선적으로 접속되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이후에 시스템에 통합된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AP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사전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AP 유닛(104)이 존재하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STA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사전 설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통신 동작 불안정시 콘솔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처리 예)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할 때,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시스템으로부터 이격된 장소로 이동되거나 조작이 불안정한 경우의 방사선 촬영 장치(101) 및 콘솔(103)의 처리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이어서 설명될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AP 모드에서 동작할 때 콘솔(103) 및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콘솔(103)의 처리 절차가 도 4a에 도시되고,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처리 절차가 도 4b에 도시된다. 정보 교환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처리는 파선 또는 일점 쇄선의 화살표에 의해 연결된다. 콘솔(103) 측의 흐름도 단계 번호를 "SC"로 표시되고, 방사선 촬영 장치(101) 측의 흐름도 단계 번호를 "SX"로 표시된다.
(콘솔(103)의 처리)
먼저, 콘솔(103)의 처리(SC400)가 설명될 것이다. 단계(SC401)에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경우,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통지(AP 정지 통지)의 유/무를 감시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통지(AP 정지 통지)를 송신하는 조건은 후술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 측의 처리에 관해 설명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의 통지(AP 정지 통지) 수신시(단계(SC401)에서 예), 콘솔(103)은 처리를 단계(SC402)로 진행시킨다.
단계(SC402)에서, 콘솔(103)은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 상의 표시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실행(AP 전환의 실행)을 통지한다.
단계(SC403)에서, 콘솔(103)은 디폴트 접속처에 대해 AP 유닛(104)을 설정한다. 단계(SC404)에서,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현재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고,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를 종료한다. AP 모드의 종료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동작 모드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모드(STA 모드)로 전환된다(단계(SX406 내지 SX408)). 단계(SC404)에서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 통지는 콘솔(103)로부터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 송신된다. 후술되는 단계(SX406)에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처리는 콘솔(103)로부터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 송신된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 통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AP 정지 통지가 송신될 때, AP 유닛(104)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한다고 상정하여 여기서 설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계(SC410)에서와 같이, 콘솔(103)은 AP 유닛(104)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 유/무에 따라, 콘솔(103)(제어 장치)은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의 통신의 동작 모드를, 단계(SC402 내지 SC404)의 처리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단계(SC404)의 처리가 종료될 때, 처리는 단계(SC413)로 진행하고, 콘솔의 처리는 종료한다. 이 처리의 실행에 의해,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를 종료한다.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 동작이 종료한다.
한편,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의 AP 정지 통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단계(SC401)에서 아니오), 콘솔(103)은 처리를 단계(SC405)로 진행한다. 단계(SC405)에서, 콘솔(103)은 콘솔(103)과,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접속처인 방사선 촬영 장치(101) 사이의 무선 강도(무선 감도)를 확인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와 제어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강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STA 모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 이상이고, 무선 통신이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다고 판정될 때(단계(SC405)에서 예), 콘솔(103)은 처리를 단계(SC401)로 복귀시켜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SC405)에서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즉,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 콘솔(10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거나, 장해물로서 작용할 수 있는 구조물이 전파를 억제하거나, 다른 전자파를 방사하는 디바이스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콘솔(103)이 안정된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확보될 수 없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C4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C406)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임계값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이 가능한 하한 강도(하한 감도) 또는 하한 강도(하한 감도)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마진을 갖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판정 시점에서의 강도값(감도 값)을 사용하는 대신, 콘솔(103)은 시계열적으로 변하는 복수의 강도 값(감도 값)으로부터의 강도 값(감도 값)의 변화를 취득하고, 강도 값(감도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콘솔(103)과 방사선 촬영 장치(101)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고 추정한다. 그리고, 콘솔(103)은 사전결정된 시간에 무선 강도(감도)가 임계값 이하로 되는 것을 예측하고, 사전결정된 시간의 경과 이후 단계(SC406)로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단계(SC406)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무선 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도, 임계값이 마진을 포함한 수치인 경우, 불안정해질 가능성은 있으나, 통신은 계속될 수 있다.
단계(SC406)에서 콘솔(103)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C406)에서 예), 처리는 단계(SC407)로 진행한다. 단계(SC407)의 처리 내용은 상술된 단계(SC402 및 SC403)의 것과 동일하다. 도 4a에서, 이를 처리는 SCU400로 규정되고, 단계(SC407) 내의 표기를 치환한다. 단계(SC407)에서 SCU400의 처리가 종료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SC408)로 진행한다. 단계(SC408)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을 행하는 지시(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를 통지한다. 콘솔(103)의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는 콘솔(103)로부터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 송신된다. 후술되는 단계(SX401)의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처리는 콘솔(103)로부터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 송신되는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단계(SC409)에서, 콘솔(103)은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에 대한 응답이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단계(SC409)에서 아니오), 콘솔(103)은 응답 대기 상태에서 대기한다. 한편,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단계(SC409)에서 예), 처리는 단계(SC413)로 진행하여 콘솔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를 종료한다.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 동작이 종료한다.
한편, 단계(SC406)에서 콘솔(103)이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C406)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C410)로 진행한다. 단계(SC410)에서, 콘솔(103)은 AP 유닛(104)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AP 유닛(104)의 유/무 판정 방법에 관해, 콘솔(103)은 도 3의 단계(S303)의 처리에 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AP 유닛(104)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단계(SC410)에서 동작하는 AP 유닛(104)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시(단계(SC410)에서 예), 처리는 단계(SC411)로 진행한다.
단계(SC411)의 처리 내용은 상술된 단계(SC402 및 SC403)의 처리 내용과 동일하다. 도 4a에서, 이들 처리는 SCU400로서 규정되고, 단계(SC411)의 표기를 치환한다. 단계(SC411)에서 SCU400의 처리가 종료될 때, 처리는 단계(SC413)로 진행한다. 즉, 콘솔(103)은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표시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AP) 전환의 실행(AP 전환의 실행)을 통지하고(단계(SC402)), AP 유닛(104)을 디폴트 접속처로서 설정한다(단계(SC403)). 단계(SC413)에서, 콘솔의 처리는 종료한다. 이 처리의 실행에 의해,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를 종료한다.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 동작이 종료한다.
한편, 단계(SC410)에서 AP 유닛(104)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시(단계(SC410)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C412)로 진행한다. 단계(SC412)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사용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AP)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통지하고, 이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C412)의 처리 실행 이후, 처리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의 무선 통신을 재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종료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처리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재확립의 가능성 고려시, 또한 콘솔(103)은 사전결정된 시간 간격에서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의 액세스 포인트(AP)을 정기적으로 검색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처리)
이어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처리(SX400)가 설명될 것이다. 단계(SX40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콘솔(103)로부터의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의 유/무를 판정한다.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는 상술된 바와 같이 콘솔(103)이 무선 강도(감도)의 저하를 검출할 때 콘솔(103)(단계(SC408))로부터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 송신된다. 단계(SX40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콘솔(103)로부터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가 수신된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X401)에서 예), 처리는 단계(SX402)로 진행한다.
단계(SX402)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수신된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에 대한 인지 통지를 콘솔(103)로 송신한다. 단계(SX407)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고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표시를 제어하여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AP 모드가 정지한 것을 통지한다. 단계(SX408)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AP 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X40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콘솔(103)로부터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단계(SX4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X403)로 진행한다.
단계(SX403)에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 접속처인 콘솔(103) 사이의 무선 강도(무선 감도)를 확인한다. 이 처리는 단계(SC405)에서의 콘솔(103)의 처리와 동일하다.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 이상이고, 무선 통신이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SX403)에서 예),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처리를 단계(SX401)로 복귀하여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SX403)에서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처리는 단계(SX404)로 진행한다. 단계(SX404)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콘솔(103)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콘솔(103)의 단계(SC406)에 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도, 임계값이 마진을 포함한 수치인 경우, 불안정해질 가능성은 있으나, 통신은 계속될 수 있다.
단계(SX404)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X404)에서 예), 처리는 단계(SX405)로 진행한다.
단계(SX405)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통지(AP 정지 통지)를 콘솔(103)로 송신한다. AP 정지 통지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콘솔(103)로 송신된다. 단계(SC401)에서 콘솔(103)의 처리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콘솔(103)로 송신되는 AP 정지 통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단계(SX406)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송신된 AP 정지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콘솔(103)로부터 송신되는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의 통지의 유/무를 판정한다.
단계(SX406)에서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 통지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단계(SX406)에서 아니오),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 통지의 수신 대기 상태에서 대기한다.
한편, 단계(SX406)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 통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단계(SX406)에서 예), 처리는 단계(SX407)로 진행한다. 단계(SX407)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고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표시를 제어하여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AP 모드가 정지한 것을 통지한다. 단계(SX408)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AP 모드를 종료한다. 무선 통신 동작이 불안정할 때 콘솔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처리가 상술되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이 안정되게 수행될 수 없는 경우 처리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내부 전원(207)의 잔류 용량이 임계값 미만이고, 사전결정된 시간 경과 이후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기능을 정지하는 동작 상태가 판명되는 경우, 도 4a 및 도 4b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의 단계(SX403 및 SC405)의 처리 각각은, 내부 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로 치환되고, 따라서, 콘솔 및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술된 바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와 별도로,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 콘솔(103)과,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 사이에 무선 통신에 의한 정보 교환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동작을 슬레이브 유닛으로 전환하는 처리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처리의 일부를 치환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에 의한 정보 교환이 실행되지 않는 시간은 "통신 부재 시간"으로 규정된다. 도 4a 및 도 4b의 단계(SC405 및 SX403)의 각 처리는 "통신 부재 시간 ≥ 설정 시간?"으로 변경된다. 이에 의해,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동작을 방사선 촬영 장치가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AP 모드로부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슬레이브 유닛 모드(STA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이 사전결정된 시간 이상 동안 수행되지 않는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무선 통신 없이 AP 동작을 수행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장치 자체의 제어 하에 또는 콘솔(10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비해 실행되는 처리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처리 개수의 증가에 따라서 소비 전력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콘솔(103)과 방사선 촬영 장치(101) 사이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지정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억제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는 콘솔(103)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처리에 의해 유발된다. 그러나, 촬영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또는 AP 모드 정지 조작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를 AP 유닛(104)과 방사선 촬영 장치(101)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도록 전환하는 경우, 촬영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변형예)
제1 실시예에서, 하나의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콘솔(제어 장치)의 동작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고,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제어 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및 제2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 병원의 인접한 촬영실 등에 존재하는 경우,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이 중복하고, 제1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제2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방사선 촬영 장치에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제로 촬영을 행하려고 하는 제1 방사선 촬영 시스템 이외의 제2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한 제1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방사선 촬영 장치의 것과 동일한 무선 식별 정보(예를 들어, SSID)를 제1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장치가 생성하는 경우 송신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송신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본 변형예에 따르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 또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및 판정 유닛의 판정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 가능한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한 상이한 각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할 때, 생성 유닛은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 할당된 무선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무선 식별 정보와 상이한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처의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해 무선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생성 유닛은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 할당된 무선 식별 정보와 상이한 무선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이에 의해 무선 통신을 수행 가능한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해 상이한 각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송신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상술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콘솔(103) 및 하나의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존재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제2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새로 추가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구성에 관해, 하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도 2의 구성에 새로 추가된다.
도 5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를 사용할 때의 통신 준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 방사선 촬영 장치의 페어링이 실행될 때 처리의 절차가 후술될 것이다. 이 처리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가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새로 추가되는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추가된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슬레이브 유닛 또는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킬지 여부를 선택한다. 그리고, 콘솔(103)(제어 장치)은 선택에 기초하여, 추가된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준비가 개시된 이후 제1 방사선 촬영 장치(이후, 촬영 장치(1)로 지칭됨)의 페어링이 수행될 때까지의 처리 내용은 도 3과 동일하다. 이로 인해, 도 5에서, 단계(S501)에서의 촬영 장치(1)의 통신 준비 처리는 도 3의 처리로서 표시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S501)의 처리 결과로서, AP 유닛(104) 및 촬영 장치(1) 중 하나가 디폴트 접속처 AP로서 설정되는 점에 유의한다. 이 실시예에서, 촬영 장치(1)가 디폴트 접속처 AP에 대해 설정된다.
단계(S502)에서 제2 방사선 촬영 장치(이후, 촬영 장치(2)로 지칭됨)의 페어링이 개시될 때, 단계(S503)에서 콘솔(103)은 촬영 장치(2)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S503)의 판정 처리는 촬영 장치(1)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도 3의 단계(S309))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인 촬영자가 촬영 장치(2)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촬영 장치(2)를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시키는 경우(단계(S5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504)로 진행한다. 마스터 유닛의 동작이 선택된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고 이후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된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킨다.
촬영 장치(2)를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처리(단계(S504 내지 S508))는 촬영 장치(1)를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시킬 때의 처리(도 3의 SU300)와 거의 동일하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S504)에서, 콘솔(103)은 촬영 장치(2)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무선 식별 정보(무선 ID)로서, AP 동작용 SSID를 생성한다. 이 시스템에서,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 2))가 시스템에 통합되기 때문에, 콘솔(103)은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무선 ID)로서 SSID를 생성한다.
단계(S504)에서 고유의 SSID가 생성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S505)로 진행한다. 단계(S505)에서, 콘솔(103)은 AP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AP 지정 지시)를 촬영 장치(2)로 출력한다.
단계(S506)에서, 콘솔(103)은 단계(S504)에서 생성된 SSID를 촬영 장치(2)에 통지한다. 단계(S507)에서, 콘솔(103)로부터의 지시 및 SSID 정보를 수신한 촬영 장치(2)는 수신한 SSID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AP 모드 동작)을 개시한다. 이후, 단계(S508)에서, 콘솔(103)과 AP 모드의 촬영 장치(2) 사이에 무선 접속이 확립한다. SSID의 통지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AP 모드에서 동작을 개시한 촬영 장치(2)로부터의 준비 완료 통지를 콘솔(103)이 수신하는 경우, 콘솔(103)과, SSID를 통지한 촬영 장치(2)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된다. 콘솔(103)은 그 자체의 디폴트 접속처로서 액세스 포인트(AP)를 촬영 장치(1)로부터 촬영 장치(2)로 변경한다. 이 처리에 의해, 촬영 장치(2)가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설정된다.
이어서, 단계(S509)에서, 콘솔(103)은 촬영 장치(1)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 장치(1)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지 않는 경우(단계(S5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517)로 진행하여 통신 준비를 완료한다.
한편, 단계(S509)에서 촬영 장치(1)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한다고 판정될 때(단계(S509)에서 예), 처리는 단계(S510)로 진행한다. 처리가 단계(S510)로 진행할 때, 콘솔(103)은 촬영 장치(1)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지정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촬영 장치(1) 및 촬영 장치(2) 각각은 고유의 SSID를 구비하기 때문에, 양쪽 촬영 장치가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할 필요가 없는 촬영 장치는 전력 절약의 관점으로부터 또는 제한된 무선 채널을 가능한 해방하기 위해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도록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촬영 장치(1)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의 동작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콘솔(103)은 페어링된 촬영 장치(1)를 어떻게 동작시킬지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한 윈도우를 모니터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선택을 재촉한다. 촬영자의 선택 결과로서 촬영 장치(1)가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선택되는 경우(단계(S510)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517)로 진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510)의 판정에서 촬영 장치(1)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촬영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S511)로 진행한다.
처리가 단계(S511)로 진행되는 경우, 콘솔(103)은 촬영 장치(1)에,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취지의 지시(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를 통지한다.
단계(S512)에서, 콘솔(103)은 접속될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AP)인 촬영 장치(2)의 SSID를 촬영 장치(1)에 통지한다. 단계(S513)에서, 촬영 장치(1)와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촬영 장치(2) 사이에 무선 접속이 확립되고, 따라서 통신 준비를 완료한다(단계(S517)).
한편, 단계(S503)의 판정 결과로서 촬영자가 촬영 장치(2)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단계(S503)에서 예), 처리는 단계(S514)로 진행한다. 슬레이브 유닛의 동작이 선택된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무선 식별 정보를, 추가된 방사선 촬영 장치에 통지하고, 추가된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킨다.
처리가 단계(S514)로 진행되는 경우, 콘솔(103)은 촬영 장치(2)에,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취지의 지시(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를 통지한다. 단계(S515)에서, 콘솔(103)은 접속될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디폴트 AP)로서 동작하는 촬영 장치(1)의 SSID를 촬영 장치(2)에 통지한다. 단계(S516)에서, 촬영 장치(2)와,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디폴트 AP)로서 동작하는 촬영 장치(1) 사이에 무선 접속이 확립되고, 따라서 통신 준비를 완료한다(단계(S517)).
제2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추가되는 경우의 처리가 상술되었다. 동일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제3 및 이후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처리에서, 새로 추가한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2)) 이외의 방사선 촬영 장치(예를 들어, 촬영 장치(1))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지정하는 처리가 단계(S509 내지 S513)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의 페어링이 수행되는 경우, 콘솔(103)은 어느 촬영 장치가 AP로서 지정되어야 하고 어느 촬영 장치가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지정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및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공존하도록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처리에서, 콘솔은 또한 임의의 타이밍에서 AP 지정 또는 슬레이브 유닛 지정을 사용자인 촬영자가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선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동작 불안정시 콘솔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처리 예)
방사선 촬영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할 때 방사선 촬영 장치가 시스템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이동되거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콘솔의 처리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이어서 설명될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술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처리 중 콘솔(103) 측의 처리에 대응한다.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경우 콘솔(103)의 처리가 추가된다. 흐름도에서 단계 번호는 "SC"에 의해 표시된다.
콘솔(103)의 처리(SC600)가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단계(SC601)에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경우,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통지(AP 정지 통지)의 유/무를 감시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의 통지(AP 정지 통지)를 수신시(단계(SC601)에서 예), 콘솔(103)은 처리를 단계(SC602)로 진행한다.
단계(SC602)에서, 콘솔(103)은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전환될 필요가 있는 점을 통지하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AP 유닛(104)을 후보로서 통지한다. 콘솔(103)은 예를 들어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액세스 포인트(AP) 후보를 표시함으로써(AP 후보 선택 화면 표시), 방사선 촬영 장치 전환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는 처리를 위해, 페어링 시 고유의 SSID가 할당된다. 따라서,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모두를, 후보로서 AP 후보 선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SC603)에서, 콘솔(103)은 사용자로부터의 액세스 포인트(AP) 후보 선택 유/무를 판정한다. 즉,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게 될 방사선 촬영 장치의 지시가 사용자인 촬영자로부터 부여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지시가 없는 경우(단계(SC603)에서 아니오), 콘솔(103)은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지시 대기의 상태에서 대기한다. 한편, 단계(SC603)의 판정시,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지시가 존재하는 경우(단계(SC603)에서 예), 처리는 단계(SC604)로 진행한다.
단계(SC604)에서, 콘솔(103)은 선택된 대상의 방사선 촬영 장치에, AP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AP 지정 지시)를 출력한다.
그후, 처리가 단계(SC605)로 진행하는 경우, 콘솔(103)은 AP로서 지정되도록 지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AP 후보 촬영 장치)로부터의 응답(통지 수신 완료 또는 AP 지정 완료의 응답)의 유/무를 판정한다. AP 로서 지정되도록 지시한 방사선 촬영 장치(AP 후보 촬영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SC605)에서 아니오),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로부터의 응답 대기의 상태에서 대기한다. 한편, 단계(SC605)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AP 후보 촬영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존재한다고 판정시(단계(SC605)에서 예), 처리는 단계(SC606)로 진행한다.
처리가 단계(SC606)로 진행할 때,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새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예를 들어, 촬영 장치(2))로 접속을 전환한다. 그리고, 콘솔(103)은 디폴트 설정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한다. 또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새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2))의 SSID를 통지한다. 즉, 콘솔(103)은 새롭게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2))로 접속을 전환하고, 디폴트 설정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전환 준비 완료 및 새로운 AP(촬영 장치(2))의 SSID를 통지한다.
단계(SC606) 이후, 처리는 단계(SC616)로 진행한다. 단계(SC616)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를 종료한다.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단계(SC601)에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의 통지(AP 정지 통지)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정시(단계(SC601)에서 아니오), 콘솔(103)은 처리를 단계(SC607)로 진행시킨다.
단계(SC607)에서, 콘솔(103)은 콘솔(103)과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접속처인 방사선 촬영 장치(101) 사이의 무선 강도(무선 감도)를 확인한다.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 이상이고, 무선 통신이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다고 판정시(단계(SC607)에서 예), 콘솔(103)은 처리를 단계(SC601)로 복귀하여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SC607)에서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단계(SC60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C608)로 진행한다.
단계(SC608)에서, 콘솔(103)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C608)에서 예), 처리는 단계(SC609)로 진행한다. 단계(SC609)의 처리 내용은 상술된 단계(SC602 내지 SC605)의 처리 내용과 마찬가지이다. 도 6b에서, 이들 처리는 SCU600로서 규정되고, 단계(SC609)의 표기를 치환한다. 단계(SC609)에서의 SCU600의 처리에 의해 새로운 AP 후보인 방사선 촬영 장치(AP 후보 촬영 장치)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SC610)로 진행한다.
단계(SC610)에서,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슬레이브 유닛으로서의 동작을 행하는 지시(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를 통지한다.
단계(SC611)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부터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단계(SC611)에서 아니오), 콘솔(103)은 응답 대기의 상태에서 대기한다. 한편,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단계(SC611)에서 예), 처리는 단계(SC616)로 진행한다. 단계(SC616)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를 종료시킨다.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단계(SC608)에서 콘솔(103)이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C608)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C612)로 진행한다.
단계(SC612)에서,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의 후보(AP 후보)로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또는 AP 유닛(104)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단계(S303)의 처리 또는 도 4a의 단계(SC410)의 처리와 같이, AP 유닛(104)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단계(SC612)의 판정 처리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SC612)에서 액세스 포인트(AP) 후보(AP 후보)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시(단계(SC612)에서 예), 처리는 단계(SC613)로 진행한다.
단계(SC613)의 처리 내용은 상술된 단계(SC602 내지 SC605)의 처리 내용과 마찬가지이다. 도 6b에서, 이들 처리는 SCU600로서 규정되고, 단계(SC613)의 표기를 치환한다. 새로운 AP 후보인 방사선 촬영 장치(AP 후보 촬영 장치)의 준비가 단계(SC613)에서의 SCU600의 처리에 의해 완료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SC614)로 진행한다.
단계(SC614)에서,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슬레이브 유닛으로서의 동작을 행하는 지시(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를 통지한다. 그리고, 콘솔(103)은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에, 새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SSID를 통지한다.
즉, 콘솔(103)은 원래의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된 무선 슬레이브 유닛에,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AP)의 정보(AP 정보)를 통지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원래 동작되던 방사선 촬영 장치가 무선 통신에 접속될 수 없기 때문에,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원래 동작되던 방사선 촬영 장치에, 종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하지 않고 새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신규 액세스 포인트(AP)의 SSID를 통지한다.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AP)의 SSID를 통지하는 여러 방법이 상정된다.
예를 들어, 콘솔(103)은 미리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정보를 취득한다. 액세스 포인트(AP)가 없는 경우, 콘솔(103)은 취득된 슬레이브 유닛의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AP)의 SSID를 통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페어링시 할당된 SSID를 사용하는 대신, 콘솔(103)이 원래 동작되던 액세스 포인트(AP)의 SSID의 정보를 포함한 SSID 또는 우선적으로 접속될 액세스 포인트(AP)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SSID를 생성하여 슬레이브 유닛이 그 자체의 판정에서 새로운 SSID의 액세스 포인트(AP)와 접속하도록 설정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되던 방사선 촬영 장치의 SSID는 "AP_ID1_YYMMDD1"이라고 상정한다. 이 정보는 콘솔(103)에 알려져 있다.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 새로 AP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할 때(AP 지정 지시), 콘솔(103)은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 할당될 SSID의 선두에 알고 있는 SSID 정보 "AP_ID1_YYMMDD1"를 부가함으로써 SSID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새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SSID가 "AP_ID2_YYMMDD2"인 경우, 콘솔(103)은 새로 AP 모드로서 동작하는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의 SSID로서 "AP_ID1_YYMMDD1_AP_ ID2_YYMMDD2"를 생성한다. 원래의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된 슬레이브 유닛은 SSID의 명칭에 기초하여, 치환으로서 준비되고 새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또한, 콘솔(103)은 "1stPri_AP"와 같이 우선적으로 접속될 액세스 포인트(AP)의 SSID에 부가되는 부가 정보(예를 들어, 문자 열)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 전환시, 콘솔(103)은 새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의 SSID에, 접속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SSID가 설정되는 경우, 콘솔(103)은 사전결정된 시간 이후 원래 할당된 AP 동작용 SSID로 이행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 전환시,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된 슬레이브 유닛에, SSID의 전환을 통지할 수 있어서, 전환 이후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AP)로의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이 다시 확립될 수 있다.
단계(SC614) 이후, 처리는 단계(SC616)로 진행한다. 단계(SC616)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를 종료시킨다.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단계(SC612)에서 액세스 포인트(AP) 후보(AP 후보)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시(단계(SC61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C615)로 진행한다.
단계(SC615)에서, 액세스 포인트(AP) 후보(AP 후보)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콘솔(103)은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무선 통신이 정지한 것을 콘솔(103)의 모니터 등을 개재하여 통지한다. 그리고,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를 종료시킨다.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AP 모드 동작이 종료된다.
이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콘솔 측의 처리의 상대인 방사선 촬영 장치 측의 처리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a, 도 7b는 AP 동작을 수행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슬레이브 유닛 동작을 수행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처리를 도시한다.
도 7a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이후, 방사선 촬영 장치(101)로 지칭됨)의 처리를 도시하고, 도 7b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이후, 방사선 촬영 장치(151)로 지칭됨)의 처리를 도시한다. 도 7a의 흐름도의 단계 번호는 "SXA"로 표시되고, 도 7b의 흐름도의 단계 번호는 "SXC"로 표시된다.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처리)
먼저, 도 7a를 참조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단계(SXA700)에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SXA70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의 유/무를 판정한다. 단계(SXA70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단계(SXA701)에서 예), 처리는 단계(SXA702)로 진행한다.
단계(SXA702)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수신된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의 송신원이 콘솔(103)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원이 콘솔(103)인 경우(단계(SXA702)에서 예), 처리는 단계(SXA703)로 복귀한다. 송신원으로서 콘솔(103)은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와 함께 새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의 SSID을 통지한다.
단계(SXA703)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수신된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에 대한 인지 통지를 콘솔(103)에 송신한다. 단계(SXA703) 이후, 처리는 단계(SXA704)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SXA702)에서 수신된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의 송신원이 콘솔(103)이 아니고,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의 슬레이브 유닛이라고 판정시(단계(SXA7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XA706)로 진행한다. 단계(SXA706)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통지(AP 정지 통지)를 콘솔(103)에 송신한다.
단계(SXA707)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송신된 AP 정지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콘솔(103)로부터 송신되는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 통지(도 6b의 단계(SC606)에서 송신되는 통지)의 유/무를 판정한다.
단계(SXA707)에서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 통지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시(단계(SXA707)에서 아니오),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 통지의 수신 대기 상태에서 대기한다.
한편, 단계(SXA707)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AP) 전환 준비 완료 통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단계(SXA707)에서 예), 처리는 단계(SXA704)로 진행한다. 콘솔(103)은 전환 준비 완료 통지와 함께 새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의 SSID를 통지한다.
단계(SXA704)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자체에 접속된 슬레이브 유닛에, 새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새로운 AP)의 SSID를 통지한다. 단계(SXA705)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콘솔(103)에 의해 통지된 SSID의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된다. 단계(SXA71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AP 모드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SXA70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 통지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단계(SXA7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XA708)로 진행한다.
단계(SXA708)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무선 강도(무선 감도)를 확인한다.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 이상이고, 무선 통신이 안정되게 수행된다고 판정시(단계(SXA708)에서 예),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처리를 단계(SXA701)로 복귀하고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SXA708)에서,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안정된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확보될 수 없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XA708)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XA709)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임계값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하한 강도(하한 감도) 또는 하한 강도(하한 감도)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마진을 갖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SXA709)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무선 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도, 임계값이 마진을 포함한 수치일 때, 불안정하게 될 수 있으나, 통신은 계속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단계(SXA709)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XA709)에서 예), 처리는 단계(SXA706)로 진행한다. 단계(SXA706)로부터의 처리로서, 상술된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SXA709)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가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XA7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XA710)로 진행한다. 단계(SXA710)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고,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표시를 제어하여 사용자인 촬영자에게 AP 모드가 정지된 것을 통지한다. 단계(SXA71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01)는 AP 모드를 종료한다.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처리)
이어서, 도 7b를 참조하여, 슬레이브 유닛 모드(STA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51)의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151)의 내부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사선 촬영 장치(101)의 내부 구성의 예와 동일하다.
단계(SXC700)에서, 슬레이브 유닛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51)의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SXC70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AP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지시(AP 지정 지시)가 콘솔(103)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SXC701)에서 AP 지정 지시가 수신된 것으로 판정시(단계(SXC701)에서 예), 처리는 단계(SXC702)로 진행한다. 단계(SXC702)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수신된 AP 지정 지시에 대한 인지 통지를 콘솔(103)로 송신한다. 단계(SXC703)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콘솔(103)로부터 송신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데 사용되는 SSID(AP용 SSID)에 기초하여 AP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다. 단계(SXC714)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의 동작 모드를 슬레이브 유닛 모드(STA 모드)로부터 AP 모드로 변경하는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SXC701)에서 AP 지정 지시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시(단계(SXC7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XC704)로 진행한다.
단계(SXC704)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현재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AP)와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새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새로운 AP)이 콘솔(103)에 의해 통지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새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새로운 AP)이 콘솔(103)에 의해 통지되는 경우(단계(SXC704)에서 예), 처리는 단계(SXC705)로 진행한다. 단계(SXC705)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콘솔(103)에 의해 통지된 SSID의 액세스 포인트(새로운 AP)에 접속된다. 단계(SXC714)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접속처로서 액세스 포인트(AP)의 변경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XC704)에서 새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새로운 AP)이 콘솔(103)에 의해 통지되지 않은 경우(단계(SXC7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XC706)로 진행한다. 단계(SXC706)에서, 슬레이브 유닛 모드(STA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무선 강도(무선 감도)를 확인한다.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 이상이고, 무선 통신이 안정되게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시(단계(SXC706)에서 예),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처리를 처리 단계(SXC701)로 복귀시키고,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SXC706)에서 무선 강도(무선 감도)가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처리는 단계(SXC707)로 진행한다. 단계(SXC707)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콘솔(103)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AP)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콘솔(103)의 통신 정보를 취득 및 조정하고, 이에 의해 콘솔(103)과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SXC707)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XC707)에서 예), 처리는 단계(SXC708)로 진행한다.
단계(SXC708)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콘솔(103)에, 액세스 포인트(AP)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통지하고, 처리는 단계(SXC709)로 진행한다.
단계(SXC709)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새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새로운 AP)의 SSID가 콘솔(103)에 의해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마스터 유닛(새로운 AP)의 SSID가 콘솔(103)에 의해 통지되지 않은 경우(단계(SXC709)에서 아니오),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SSID의 통지 대기의 상태에서 대기한다. 한편, 단계(SXC709)에서 마스터 유닛(새로운 AP)의 SSID가 콘솔(103)에 의해 통지된 것으로 판정시 (단계(SXC709)에서 예), 처리는 단계(SXC710)로 진행한다.
단계(SXC710)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콘솔(103)로부터 송신된 SSID에 기초하여, 새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마스터 유닛(새로운 AP)에 접속되고, 처리를 종료한다(단계(SXC714)).
단계(SXC707)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가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XC70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XC711)로 진행한다.
단계(SXC711)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단계(SXC711)에서 예), 처리는 단계(SXC712)로 진행한다. 단계(SXC712)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 AP 모드에서의 동작의 정지를 지시(AP 정지 지시)한다. 단계(SXC712)의 처리 이후, 처리는 단계(SXC709)로 진행한다. 단계(SXC709)로부터의 처리로서, 상술된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SXC711)에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단계(SXC71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XC713)로 진행한다. 슬레이브 유닛 모드(STA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51)는 디스플레이 유닛 등을 통해, 접속처가 무선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단계(SXC714)).
이 실시예에서, 콘솔(103), AP 유닛(104), 및 방사선 촬영 장치 등의 디바이스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공존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시스템은 상술된 것 이외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인 촬영자가 콘솔(103)보다 휴대성은 우수하지만 처리 성능이 열악한 태블릿 PC를 개재하여 조작을 행하기 원하는 경우, 원격-제거 가능하도록 태블릿 PC가 액세스 포인트(AP)를 개재하여 콘솔(103)에 접속되는 시스템 구성이 상정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에서, 실시예의 상술된 구성 및 처리는 슬레이브 유닛을 태블릿 PC으로 치환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태블릿 PC 등의 정보 처리 장치는 자체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도, 구성은 장치가 AP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AP 지정 지시가 부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만을 요구한다. AP 지정 지시가 부여되는 경우에도, 구성은 이를 거부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것만을 요구한다.
(제3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하는 유닛의 개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은 구성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유닛의 개수의 제한(예를 들어, 유닛 개수의 상한 또는 유닛 개수의 하한, 또는 이의 양쪽)이 설정될 수 있다. 유닛의 개수가 설정된 제한을 초과하는 경우, 콘솔(103)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재하여 그 상황이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술된 구성을 구현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 통신 준비 처리, 방사선 촬영 장치를 시스템에 부가하는 처리, 및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정지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통신 준비 처리)
도 8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유닛의 개수의 제한을 설정하는 경우 콘솔에서의 통신 준비 처리의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촬영을 시작할 때, 제1 실시예의 도 3의 단계(S301)에 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닛이 기동된다.
단계(S801)에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 가능한 유닛의 개수의 제한(유닛의 개수의 상한 및 유닛의 개수의 하한)을 설정한다. 제한이 설정된 이후, 단계(S802)에서,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존재하는 AP 유닛(104)의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S803)에서, 콘솔(103)은 제1 방사선 촬영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한다.
단계(S804)에서, 콘솔(103)은 설정된 하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 개수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 동작 중인 단 하나의 AP 유닛(104)을 포함하고, 설정된 하한이 하나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는 하한 이상이고(단계(S804)에서 예), 처리는 단계(S805)로 진행한다. 단계(S805)에서, 단계(S803)에서 페어링이 개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는 슬레이브 유닛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이 처리에 의해, 방사선 촬영 장치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콘솔(103)과 페어링된다. 단계(S805)의 처리 이후, 통신 준비가 완료된다(단계(S806)).
한편, 설정된 하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단계(S804)에서 확보되지 않은 경우(단계(S8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807)로 진행한다. 단계(S807)에서, 콘솔(103)은 단계(S803)에서 페어링이 개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를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방사선 촬영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콘솔(103)과 페어링된다.
단계(S808)에서, 콘솔(103)은 설정된 하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 개수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에서, 콘솔(103)은 단계(S807)에서 증가된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설정된 하한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하한 이상인 경우(단계(S808)에서 예), 처리는 단계(S806)로 진행하여 통신 준비를 완료한다.
한편, 단계(S808)에서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하한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시(단계(S808)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809)로 진행한다. 단계(S809)에서, 콘솔(103)은 디스플레이 유닛 등을 개재하여,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부족하다는 점을 사용자인 촬영자에 통지한다.
단계(S810)에서, 콘솔(103)은 n번째(n≥2) 방사선 촬영 장치와의 페어링을 개시한다. 즉, 콘솔(103)은 새로운 방사선 촬영 장치와의 페어링 처리를 개시하고, 처리를 단계(S807)로 복귀시킨다.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하한 이상이 될 때까지 단계(S807)로부터의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설정된 하한 이상이 되지 않는 경우 통신 준비가 완료되지 않는 통신 준비 처리의 예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페어링된 상태에서, 콘솔(103)은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하한 미만이라는 점을 통지하고(단계(S809)), 통신 준비를 완료하고, 촬영 처리로 이행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를 시스템에 추가하는 처리)
도 9를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를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추가하는 경우의 콘솔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는 콘솔(103)로부터의 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900)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 추가 처리가 개시된 시점에서,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이 정지되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는 하한보다 적을 수 있다.
단계(S901)에서, 콘솔(103)은 N번째(N≥1) 방사선 촬영 장치와의 페어링을 개시한다. 즉, 콘솔(103)은 새로운 방사선 촬영 장치와의 페어링 처리를 개시하고, 처리를 단계(S903)로 진행시킨다.
단계(S903)에서, 콘솔(103)은 도 8의 단계(S801)에서 설정된 하한 이상인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설정된 하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단계(S9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904)로 진행한다.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의 개수가 설정된 하한보다 적은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킨다.
단계(S904)에서, 콘솔(103)은 단계(S901)에서 페어링이 개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를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방사선 촬영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콘솔(103)과 페어링된다.
단계(S905)에서, 콘솔(103)은 설정된 하한 이상인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에서, 콘솔(103)은 단계(S904)에서 증가된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설정된 하한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하한 이상인 경우(단계(S905)에서 예), 처리는 단계(S910)로 진행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 추가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905)에서 콘솔(103)이 설정된 하한 이상인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확보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9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906)로 진행한다.
단계(S906)에서, 콘솔(103)은 디스플레이 유닛 등을 개재하여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부족하다는 점을 사용자인 촬영자에 통지하고, 방사선 촬영 장치 추가 처리가 종료된다(단계(S910)). 단계(S904)로부터의 처리는 도 8의 단계(S807 내지 S810)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하한 이상이 될 때까지 반복 실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한편, 단계(S903)에서 콘솔(103)이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도 8의 단계(S801)에서 설정된 하한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903)에서 예), 처리는 단계(S907)로 진행한다.
단계(S907)에서, 콘솔(103)은 도 8의 단계(S801)에서 설정된 상한 이상인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S907)에서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설정된 상한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시(단계(S90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908)로 진행한다. 단계(S908)에서, 사용자는 페어링이 개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콘솔(103)은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모드 선택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를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상한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경우, 페어링이 개시된 제어 대상의 방사선 촬영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콘솔(103)은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모드 선택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인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S908)의 처리 이후, 처리는 단계(S910)에 진행하고, 방사선 촬영 장치 추가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S907)에서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설정된 상한 이상이라고 판정시(단계(S907)에서 예), 처리는 단계(S909)로 진행한다. 단계(S909)에서, 단계(S903)에서 페어링이 개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는 슬레이브 유닛 동작을 행하도록 설정된다. 즉,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의 개수가 설정된 상한 이상인 경우, 콘솔(103)(제어 장치)은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킨다. 이 처리에 의해, 방사선 촬영 장치는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콘솔(103)과 페어링된다. 단계(S909)의 처리 이후, 방사선 촬영 장치 추가 처리가 종료된다(단계(S910)). 단계(S907 및 S909)의 처리는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상한 미만이 될 때까지 반복 실행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정지 처리)
이어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어떠한 이유로 인해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 콘솔(103)의 처리(AP 모드 정지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강도가 저하되거나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 콘솔(103)과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1) 사이에 무선 통신에 의한 정보 교환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는 AP 모드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가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 콘솔(103)은 이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1000)). 단계(S1001)에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어 대상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도, 콘솔(103)은 설정된 하한 이상인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S1001)에서, 설정된 하한 이상인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단계(S10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002)로 진행한다.
단계(S1002)에서, 콘솔(103)은 슬레이브 유닛 모드에서 동작하며 AP 모드 또는 AP 유닛(AP로 지정될 수 있는 유닛)에서 동작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AP 모드 동작의 정지에 의해 발생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의 AP의 개수의 감소를 보충하기 위해서, AP로서 지정될 수 있는 다른 유닛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 콘솔(103)과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사이의 통신 부재로 인해 AP 모드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 예를 들어, 이들 사이에 통신이 실행되는 조건에 따라서 AP 모드 동작을 재개하는 처리가 추가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에 의해 방사선 촬영 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S1002)에서 콘솔(103)이 AP로서 지정될 수 있는 유닛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1002)에서 예), 처리는 단계(S1003)로 진행한다. 단계(S1003)에서, 콘솔(103)은 슬레이브 유닛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또는 AP 유닛(104)에,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단계(S1003)의 처리 이후, 처리는 단계(S1008)로 진행하여 AP 모드 정지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1002)에서 콘솔(103)이 AP로서 지정될 수 있는 유닛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S10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004)로 진행한다.
단계(S1004)에서, 콘솔(103)은 디스플레이 유닛 등을 개재하여,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부족하다는 점을 사용자인 촬영자에 통지하고, AP 모드 정지 처리를 종료한다(단계(S1008)).
한편, 단계(S1001)에서, 설정된 하한 이상인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확보되는 경우(단계(S1001)에서 예), 처리는 단계(S1005)로 진행한다.
단계(S1005)에서, 콘솔(103)은 슬레이브 유닛 접속의 유/무를 판정한다. 즉, 콘솔(103)은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접속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 필요한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 정보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AP 모드 동작의 정지를 콘솔(103)에 통지할 때에 동시에 통지될 수 있다.
단계(S1005)에서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한 슬레이브 유닛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시(단계(S10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006)로 진행한다. 단계(S1006)에서, 콘솔(103)은 AP 모드 동작의 정지를 허가하고, AP 모드 정지 처리를 종료한다(단계(S1008)).
한편, 단계(S1005)에서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한 슬레이브 유닛 접속이 존재한다고 판정시(단계(S1005)에서 예), 처리는 단계(S1007)로 진행한다. 단계(S1007)에서, 콘솔(103)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로부터 대체 액세스 포인트(AP)(대체 AP)를 선택하고, AP 모드 정지 처리를 종료한다(단계(S1008)). 단계(S1001)의 처리에서, 콘솔(103)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더라도, 설정된 하한 이상인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수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가 하나의 시스템에 할당되고,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AP)가 이미 할당된 경우 AP 모드에서 동작하지만 대체 AP 후보가 될 수 없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콘솔(103)은 예를 들어 단계(S1003)에서와 같이, 슬레이브 유닛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또는 AP 유닛(104)을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이 개시된 대체 AP 후보로서 추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복수의 AP 유닛(104) 및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경우, 어떠한 이유로 인해 디폴트 접속처로서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AP)에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대체 AP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처리 시간은 하한을 설정함으로써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한을 설정함으로써, 제한된 개수의 무선 채널이 불필요하게 점유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필요보다 많은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할 때 발생하는 소비 전력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상술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존재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 하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이 또한 가능하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단 하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조건 하에서,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콘솔(103)과 페어링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5에 기초한 흐름도이다. 통신 준비의 개시 이후 제1 방사선 촬영 장치(이하, 촬영 장치(1)로 지칭됨)가 페어링될 때까지의 처리 내용은 도 3과 동일하다(단계(S1101)). 각각의 유닛이 기동되고, 이후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의 페어링이 수행된 경우, AP 유닛(104)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콘솔(103)은 우선적으로 AP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에 지시(AP 지정 지시)한다. 한편, AP 유닛(104)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콘솔(103)은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를 슬레이브 유닛 또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시킬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S1102)에서, 제2 방사선 촬영 장치(이하, 촬영 장치(2)로 지칭됨)의 페어링이 개시된다. 단계(S1103)에서, 콘솔(103)은 촬영 장치(2)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S1103)의 판정 처리는 촬영 장치(1)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도 3의 단계(S309))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단계(S1103)에서 사용자인 촬영자가 촬영 장치(2)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것, 즉, 촬영 장치(2)를 액세스 포인트(AP: 마스터 유닛)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단계(S11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104)로 진행한다.
단계(S1104)에서, 콘솔(103)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된 단계(S1101)의 처리 결과로서, AP 유닛(104) 및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 중 하나가 디폴트 접속처 AP로서 설정된다. 이로 인해,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가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설정되는 경우, 이 단계에서 콘솔(103)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AP 유닛(104)이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설정되는 경우, 이 단계에서 콘솔(103)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단계(S1104)에서 예), 처리는 단계(S1105)로 진행한다. 처리가 단계(S1105)로 진행하는 경우, 콘솔(103)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이 경우, 촬영 장치(1))에,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게 하는 지시(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를 통지한다.
단계(S1106)에서, 콘솔(103)은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지정되도록 지시한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로부터 송신된 슬레이브 유닛 지정 완료 통지의 수신 대기 상태에서 대기한다(단계(S1106)에서 아니오)). 콘솔(103)이 슬레이브 유닛 지정 완료 통지를 수신한 경우(단계(S1106)에서 예), 처리는 단계(S1107)로 진행한다.
한편,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S11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107)로 진행한다.
단계(S1107)에서, 콘솔(103)은 촬영 장치(2)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무선 식별 정보로서 AP 동작용 SSID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SSID의 내용이 후술될 것이다.
단계(S1108)에서, 콘솔(103)은 촬영 장치(2)에 AP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AP 지정 지시)한다.
단계(S1109)에서, 콘솔(103)은 단계(S1107)에서 생성된 SSID를 촬영 장치(2)에 통지한다. 단계(S1110)에서, 콘솔(103)로부터의 지시 및 SSID 정보를 수신한 촬영 장치(2)는 수신된 SSID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동작(AP 모드 동작)을 개시한다. 그후, 단계(S1111)에서, 콘솔(103)은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AP)를 촬영 장치(2)에 대해 설정한다.
단계(S1112)에서, 콘솔(103)은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처를 종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새로 설정된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디폴트 AP)로 변경한다. 단계(S1112)의 처리 이후, 처리는 단계(S1116)로 진행되어 통신 준비를 완료한다.
한편, 단계(S1103)에서 사용자인 촬영자가 촬영 장치(2)를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단계(S1103)에서 예), 처리는 단계(S1113)로 진행한다.
단계(S1113)에서, 콘솔(103)은 촬영 장치(2)에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하게 하는 지시(슬레이브 유닛 지정 지시)를 통지한다. 단계(S1114)에서, 콘솔(103)은 접속될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디폴트 AP)(예를 들어, AP 유닛(104) 또는 촬영 장치(1))의 SSID를 촬영 장치(2)에 통지한다. 단계(S1115)에서, 촬영 장치(2)와 디폴트 액세스 포인트(디폴트 AP)(AP 유닛(104) 또는 촬영 장치(1)) 사이에 무선 접속이 확립되고, 통신 준비가 완료된다(단계(S1116)).
도 11b의 단계(S1105 내지 S1106)의 처리에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가 AP 모드 동작을 정지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슬레이브 유닛 지정 완료 통지)를 수신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슬레이브 유닛 지정 완료 통지를 수신한 이후, 콘솔(103)은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2))에, AP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AP 지정 지시)한다. 즉, 콘솔(103)은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유닛 지정 완료 통지를 수신하고, 이후,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하는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로 AP 지정 지시를 출력한다. 이 방식으로, 콘솔은 각각의 방사선 촬영 장치에 지시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고, 이에 의해 동일한 SSID를 구비하며 동일한 타이밍에서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를 발생시키지 않고서 단 하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AP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한을 부과할 수 있다.
단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콘솔(103)은 단계(S1107)에서 단 하나의 종류의 SSID를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변경되더라도, 공통의 SSID가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해 설정된다. 이로 인해, 콘솔(103)은 새로운 마스터 유닛의 SSID를 슬레이브 유닛에 통지하는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추가로, 단계(S1112)에서, 슬레이브 유닛은 접속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를 AP 유닛(104)로부터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로 변경하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를 특정할 수 있는 문자 열이 방사선 촬영 장치의 SSID에 포함된다. 각각의 디바이스는 이러한 SSID가 발견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에 접속되도록 미리 설정된다.
단계(S1105내지 S1112)의 처리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로부터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2))로 전환하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1))의 AP 모드 동작이 정지한다(단계(S1106)). 그리고, 동일한 SSID의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2))가 AP 모드 동작을 개시한다(단계(S1110)). 따라서, 슬레이브 유닛은 액세스 포인트(AP)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 일시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이후 복귀된다고 인식하고,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촬영 장치(2))에의 접속을 개시한다(단계(S1112)).
한편, 복수의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 동일한 환경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더 구체적으로, 콘솔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복수의 쌍이 하나의 병원 내에 존재하는 경우, 콘솔(103)은 적어도 콘솔의 식별 정보(ID)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식별 정보(ID)를 사용함으로써 병원 내의 각각의 시스템에 대해 고유의 SSI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SSID와 동일한 SSID를 구비하고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동일한 환경 내에 존재한다고 검출시, 콘솔(103)은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동일한 SSID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행하고 대상 방사선 촬영 장치의 AP 모드 동작을 정지시키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동일한 SSID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의 검출은 무선 LAN 디바이스에 원래 설치된 MAC 어드레스 등의 고유의 정보(제2 무선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환경 내에 동일한 SSID를 구비하고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의 몇몇 종류의 통신 디바이스)가 존재하고, 콘솔(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를 디폴트 접속처에 대해 설정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콘솔(103)이 방사선 촬영 장치에 접속하려고 할 때, 동일한 SSID를 갖는 두 개의 디바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접속처는 무작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속처는 어떠한 이유로 인해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콘솔(103)은, 예를 들어 제1 무선 식별 정보로서 SSID에 기초하여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AP)의 MAC 어드레스(제2 무선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보유 지지한다. 콘솔(103)은 이전의 접속에 의해 취득된 MAC 어드레스가 금회의 접속에 의해 취득된 MAC 어드레스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가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환경 내에 존재하는 경우, MAC 어드레스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동일한 SSID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가 존재하고,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중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AP)로 접속이 전환되는 경우, MAC 어드레스(제2 무선 식별 정보)가 변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콘솔(103)은 접속 가능한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의 범위 또는 그들의 MAC 어드레스 자체를 취득할 수 있고, 디바이스가 새로 접속되는 경우, MAC 어드레스의 범위 내의 디바이스인지 또는 미리 취득된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미리 MAC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콘솔(103)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MAC 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MAC 어드레스는 제조시 콘솔(103)의 저장 유닛에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콘솔(103)은 페어링시 AP 유닛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로부터 MAC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예시된 방법이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동일한 SSID이지만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갖는 상태를 검출시, 콘솔은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이를 나타내는 통지를 행하고, 디폴트 접속처로서, 대상 SSID를 사용한 방사선 촬영 장치를 사용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사용을 정지하는 통지를 출력한다. 이때의 처리에 관해,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는 처리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전환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SSID의 방사선 촬영 장치에, AP 모드 동작을 정지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단 하나의 방사선 촬영 장치(101)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콘솔 기동시, 사용자는 이 실시예의 동작을 채용할지 또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은 동작을 채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내에 동일한 SSID를 갖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상술된 실시예 각각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콘솔의 페어링 시 고유의 SSID를 생성하는 구성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공장으로부터 제조/출하시 AP 동작용 SSID가 방사선 촬영 장치에 할당될 수 있고, 페어링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는 AP 동작용 SSID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로서의 동작을 개시하게 될 수 있다. SSID의 자릿수가 제조된 방사선 촬영 장치의 개수에 비해 적은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는 출하국 또는 지역 또는 사용자 등의 조건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고, 각각의 영역 내에서 고유의 SSID가 할당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선 촬영 장치와 제어 장치 사이에 안정한 통신이 가능한 방사선 촬영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또한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기억 매체(더욱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로도 지칭될 수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그리고/또는 상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기억 매체로부터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 처리 장치(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저장 장치,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 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그러한 변경예 및 등가적 구조예 및 기능예 모두를 포함하도록 가장 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8)

  1.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 중 하나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및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무선 통신의 하나의 마스터 유닛이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식별 가능한 문자 정보, 상기 제어 장치의 고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고유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키고,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디바이스의 무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또는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킬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이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에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의 무선 식별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이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에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의 상기 마스터 유닛의 디폴트 접속처를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로 변경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강도가 임계값 미만이 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이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 사이에서 사전결정된 시간 이상 동안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새롭게 추가되는 경우,
    상기 선택 유닛은 추가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또는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킬지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추가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이 추가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고, 이후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가된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이 추가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추가된 방사선 촬영 장치에,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무선 식별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추가된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의 개수가 설정된 하한값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시키고,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의 마스터 유닛의 개수가 설정된 상한값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무선 통신의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동작시키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고유의 무선 식별 정보로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 간의 페어링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 및 상기 제어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무선 통신을 수행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 가능한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들 간에 변하는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7.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 중 하나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며,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은 무선 통신의 하나의 마스터 유닛이 상기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무선 통신에서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 중 하나로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며,
    무선 통신의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및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무선 통신의 하나의 마스터 유닛이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포함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KR1020160096107A 2015-07-31 2016-07-28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2078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52690 2015-07-31
JP2015152690A JP6585957B2 (ja) 2015-07-31 2015-07-31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217A true KR20170015217A (ko) 2017-02-08
KR102078436B1 KR102078436B1 (ko) 2020-02-17

Family

ID=5688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107A KR102078436B1 (ko) 2015-07-31 2016-07-28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31035A1 (ko)
EP (2) EP3656306A3 (ko)
JP (1) JP6585957B2 (ko)
KR (1) KR102078436B1 (ko)
CN (1) CN1063888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5957B2 (ja) 2015-07-31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6618378B2 (ja) 2016-02-09 2019-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撮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71613B2 (ja) 2017-04-19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07982B2 (ja) 2018-03-23 2021-07-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
WO2020213563A1 (ja) * 2019-04-16 2020-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455729B2 (ja) * 2020-10-30 2024-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放射線検出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2085289A (ja) * 2020-11-27 2022-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04682A (ja) * 2021-06-28 2023-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2023049842A (ja) * 2021-09-29 202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8101B1 (en) * 2012-08-13 2013-04-23 Redlin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triggered frequency hopping
US20130173704A1 (en) * 2007-11-27 2013-07-04 Loyalblocks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reating a Virtual Local Social Network
US20140105061A1 (en) * 2012-10-16 2014-04-17 Venkatesh Kannan Method and System to Configure Network Devices
US20140275954A1 (en) * 2011-11-30 2014-09-18 Fujifilm Corporation Radiography system
US20140362975A1 (en) * 2013-06-05 2014-12-11 Cmt Medical Technologies Ltd. Wireless x-r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9887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データ伝送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制御方法
JP5127492B2 (ja) * 2008-02-08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ワイヤレスx線透視システム及びそのユニット間の同期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25192B2 (ja) * 2010-10-22 2013-10-23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動作制御方法
JP2012109944A (ja) * 2010-10-29 2012-06-07 Buffalo Inc 無線lanシステム、通信装置、設定情報の共有方法
US8539055B2 (en) * 2011-06-30 2013-09-17 Aruba Networks, Inc. Device abstraction in autonomous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2013222991A (ja) * 2012-04-12 2013-10-28 Ricoh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端末装置
JP5884630B2 (ja) 2012-05-14 2016-03-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6195344B2 (ja) * 2012-06-08 2017-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撮影システム、x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13444A (ja) * 2012-11-16 2014-06-2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91193B2 (ja) * 2012-12-26 2016-09-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6222962B2 (ja) * 2013-03-29 2017-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方法、プログラム
TWI494008B (zh) * 2013-05-03 2015-07-21 Acer Inc 電子裝置的無線網路連線方法及其電子裝置
JP6367149B2 (ja) * 2015-05-29 2018-08-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電子カセッテ
JP6585957B2 (ja) 2015-07-31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CN107409434A (zh) * 2015-12-31 2017-11-28 林祖荣 运动感测服装的包含传感器连接与发射机制的交替的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3704A1 (en) * 2007-11-27 2013-07-04 Loyalblocks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reating a Virtual Local Social Network
US20140275954A1 (en) * 2011-11-30 2014-09-18 Fujifilm Corporation Radiography system
US8428101B1 (en) * 2012-08-13 2013-04-23 Redlin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triggered frequency hopping
US20140105061A1 (en) * 2012-10-16 2014-04-17 Venkatesh Kannan Method and System to Configure Network Devices
US20140362975A1 (en) * 2013-06-05 2014-12-11 Cmt Medical Technologies Ltd. Wireless x-r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6306A3 (en) 2020-09-09
CN106388840B (zh) 2020-11-10
EP3132746A1 (en) 2017-02-22
EP3132746B1 (en) 2019-12-25
JP2017029410A (ja) 2017-02-09
JP6585957B2 (ja) 2019-10-02
CN106388840A (zh) 2017-02-15
EP3656306A2 (en) 2020-05-27
KR102078436B1 (ko) 2020-02-17
US20170031035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5217A (ko)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JP6222962B2 (ja)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方法、プログラム
KR102205653B1 (ko) 방사선 촬영 장치,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JP2008113156A (ja) 無線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基地局、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34733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28219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7011448B2 (ja) 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06923849B (zh) 放射线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放射线摄像系统
JP6840812B2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90562B2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21988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39886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radiation imaging system, radiation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WO2020039863A1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当該放射線撮影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放射線撮影装置、及び、当該放射線撮影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制御装置
JP2013111198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制御ユニット
JP6666984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40023913A1 (en) Control apparatus,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radiation imaging system
JP7258636B2 (ja) 放射線撮像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928413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放射線デジタル撮影システム
JP2023088568A (ja) 放射線画像検出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JP2023000005A (ja) 制御端末、プログラム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23107574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6198412B2 (ja) 状態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74790A (ja) 放射線撮像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23144745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2022085289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