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201A - 카드 송출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송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201A
KR20170015201A KR1020160095430A KR20160095430A KR20170015201A KR 20170015201 A KR20170015201 A KR 20170015201A KR 1020160095430 A KR1020160095430 A KR 1020160095430A KR 20160095430 A KR20160095430 A KR 20160095430A KR 20170015201 A KR20170015201 A KR 20170015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ables
table set
card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725B1 (ko
Inventor
타카히토 야마미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ntrolled by height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4Endless-belt separators
    • B65H3/042Endless-belt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0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magazine to conveying arrangement
    • G06K13/103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magazine to conveying arrangement using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3Size
    • B65H2701/1131Size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카드 송출 장치는 상이한 타입 또는 종류의 카드들의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인 송출을 구현한다. 이 장치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 및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의 카드들이 그 위에 보류되는 테이블들을 가지는 테이블 세트,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예컨데 프레임),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예컨대 리프팅 메커니즘), 및 테이블들 상에 보류된 카드들을 반송하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카드 송출 신호에 응답하여,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는 상기 신호에 의해 테이블들 중에서 지정된 타겟 테이블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는 활성화되고, 이로써 타겟 테이블 상의 카드를 카드 반송 디바이스로 송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 송출 장치{CARD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카드 송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 스택으로부터 각각의 테이블들 상에 카드들을 공급하고 각각의 테이블들 상에 배치된 카드들을 외부를 향하여 차례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카드 송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이한 타입 또는 종류의 카드의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인 송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카드"라는 용어는 널리 카드 형상의 물건을 의미하는데, 이는 전화 카드, 선불 카드, 캐릭터 카드, 인물 사진, IC(Integrated Circuit; 집적 회로) 카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카드(예컨대 신용 카드와 은행 카드) 및 바코드 카드와 같은 통상적인 카드뿐만 아니라 종이, 플라스틱, 또는 두께 면에서 통상적인 카드보다 더 두껍거나 비슷한 것들과 유사한 것으로 만들어진 다른 얇은 플레이트 형상의 물건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본 발명에 관한 첫번째 종래 기술로서, 복수의 카드가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카드 스택(card stack; 즉 카드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 또는 적층되어 있는 카드를 의미하고, 이와 관련하여 '카드 스태커(card stacker)'는 카드를 적층시키는 수단 내지 장치 등을 의미하며, 이는 명세서 전체로 동일함)으로부터 가장 낮게 위치결정되어있는 카드를 분리하는 것과 분리된 카드를 소정의 송출 방향으로 송출하는 것을 위한 카드 송출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2012년 8월 8일자로 공표된 일본 특허 제 499199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의 장치는 카드 스택 내의 복수의 카드들을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적층되도록 저장하는 것을 위한 카드 저장 수단, 및 카드 스택으로부터 가장 낮게 위치결정되어 있는 카드를 분리하는 것과 분리된 카드를 소정의 송출 방향으로 송출하는 것을 위한 카드 송출 수단을 구비한다.
카드 저장 수단의 카드 스택에서, 2개의 인접하는 카드들의 마주하는 면들은 서로 접촉하고 있고, 모든 적층된 카드들은 사각 기둥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카드 송출 수단은 반송 동안 카드가 눌리는 베이스, 카드가 베이스와 반송 수단에 의해 끼워지도록 카드 저장 수단 내의 카드 스택으로부터 분리된 카드가 배치되는 반송 부재, 및 편평한 루프를 잡아당기도록 반송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편평한 루프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편형한 루프 이동 수단의 동작에 의해, 카드는 베이스에 의해 보류되고, 반송 부재는 그들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송출 방향으로 송출된다(도 1, 도 4와 도 5 및 [0040] 내지 [0049] 단락 참조).
본 발명의 두번째 종래 기술로서, 자동 카드 불출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1993년 8월 20일자로 공표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5-21078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 장치는 복수의 카드들을 카드들 사이에 상호 접촉없이 스택의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카드 스태커, 적층된 카드들 중에서 선택된 원하는 카드를 카드 스택 안이나 카드 스택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푸싱 부재, 및 카드 스택 내의 각각의 카드들의 존재와 부존재를 탐지하기 위한 카드 탐지기를 구비한다. 카드 스태커 및/또는 카드 푸싱 부재는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카드 스태커 및/또는 카드 푸싱 부재를 위쪽이나 아래쪽 동작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카드 탐지기는 카드가 카드 스택 내에서의 카드 포지션들 중 특정된 한가지로 보류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탐지한다. 특정된 카드 포지션에 있는 카드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라면, 카드 탐지기는 카드가 다음 카드 포지션으로 다시 보류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탐지한다. 이 카드 탐지 과정은 카드가 특정된 카드 포지션으로 발견될 때까지 반복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특정된 카드 포지션에 있는 카드가 발견되는 경우라면, 푸싱 부재는 특정된 카드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동일한 포지션으로 보류된 카드를 카드 스태커 외부 쪽으로 밀어낸다(도 1 내지 도 3 및 [0015] 내지 [0023] 단락 참조).
최근에는 이러한 타입의 카드 송출 장치의 사용법이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장치의 한가지 사용법은 단일의 카드 송출 장치 내에서의 필요에 따라 상이한 타입 또는 종류의 복수의 카드들을 무작위로 송출하는 것이다.
전술된 첫번째 종래 기술의 카드 송출 장치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이한 타입/종류의 복수의 카드들이 카드 저장 수단 내에 카드 스택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순서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된다. 만약 그렇다면, 송출되는 이러한 타입/종류의 카드들은 카드들의 소정의 적층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상이한 타입/종류의 카드들이 필요에 따라 무작위로 송출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 특허 제 4991995호에 개시되어 있는 첫번째 종래 기술의 카드 송출 장치가 각각의 타입/종류의 카드들을 위하여 제공되는 경우라면, 상이한 타입/종류의 카드들은 필요에 따라 첫번째 종래 기술의 카드 송출 장치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무작위 순서로 송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첫번째 종래 기술의 송출 장치들의 조합의 전체 크기가 과도하게 커지고, 제조 비용도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일어나다.
다른 한편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5-2107183에 개시된 전술된 두번째 종래 기술의 카드 불출 장치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푸싱 부재에 의한 카드 푸싱 조작은 카드의 존재가 카드 탐지기에 의해 탐지되는 카드 포지션에서만 실행될 수 있다. 이는 송출되는 카드의 총 개수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드 스태커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카드들의 총 개수가 증가되는 경우라면,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될 수 있지만, 카드 스태커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진다는 다른 문제점이 일어나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어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들이 상이한 타입 또는 종류인 경우일지라도 소정의 방향으로의 카드의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인 송출을 보장하는 카드 송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정의 방향으로의 상이한 타입 또는 종류의 카드들의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인 송출을 보장함과 동시에 장치의 전체 크기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하고 송출되는 카드들의 원하는 총 개수를 보장하는 카드 송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과 함께 위 목적들은 다음에 오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는:
카드 스택을 형성하도록 카드들을 수직방향으로 저장하기 위한 카드 저장 섹션, 및 원하는 카드를 카드 스택으로부터 공급 포트 쪽으로 차례로 반송하기 위한 카드 반송 섹션을 포함하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
그 공급 포트를 통해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들을 보류하는 것과 카드들을 소정의 카드 송출 방향으로 차례로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송출하는 것을 위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 및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는:
그 공급 포트를 통해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들이 각각의 테이블 상에 배치되도록 소정의 피치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테이블들을 포함하는 테이블 세트;
모든 테이블들을 둘러싸도록 테이블 세트를 지지하는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예컨대 프레임);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예컨대 리프팅 메커니즘); 및
테이블 세트의 각각의 테이블 상에 보류되어 있는 카드들을 카드 송출 방향으로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차례로 반송하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
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제어장치의 제어 하에서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를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의 공급 포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드 반송 포지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는 활성화되고, 이로써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들을 테이블 세트의 각각의 테이블 상에 배치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에서 제어장치의 제어 하에서 장치의 상위 수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카드 송출 신호에 대응하여,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는 테이블 세트의 테이블들로부터의 카드 송출 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타겟 테이블(target table)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카드 반송 디바이스는 활성화되고, 이로써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를 카드 송출 방향으로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에 있어서, 전술된 구조와 기능을 각각 가지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카드 공급 디바이스의 조작과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조작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의 제어 하에서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를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의 공급 포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드 반송 포지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는 활성화되고, 이로써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들을 테이블 세트의 각각의 테이블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타입/종류의 카드들이 카드 공급 디바이스의 카드 저장 섹션 내에 카드 스택을 미리 형성하도록 저장되는 경우라면, 상이한 타입/종류의 카드들은 테이블 세트의 각각의 테이블 상에 배치되고 보류될 수 있다.
게다가, 제어장치의 제어 하에서 장치의 상위 수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카드 송출 신호에 대응하여,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는 테이블 세트의 테이블들로부터의 카드 송출 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타겟 테이블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카드 반송 디바이스는 활성화되고, 이로써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를 카드 송출 방향으로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타입/종류의 카드들이 테이블 세트의 각각의 테이블 상에 배치되어 있고 보류되어 있는 경우일지라도, 원하는 카드들은 필요에 따라서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카드 송출 방향으로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송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들이 상이한 타입 또는 종류를 가지는 경우일지라도, 소정의 방향으로의 카드들의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인 송출이 보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본 특허 제 4991995에 개시되어 있는 전술된 첫번째 종래 기술의 카드 송출 장치와 달리, 복수의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복수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는 각각 타입/종류의 카드들을 위하여 제공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전체 크기는 과도하게 커지지 않는다.
더 추가적으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5-210783호에 개시되어 있는 전술된 두번째 종래 기술의 카드 불출 장치와 달리, 테이블 세트의 각각의 테이블들 상에 보류되어 있는 카드들은 카드 송출 신호에 대응하여 카드 송출 방향으로 차례로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송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 공급 디바이스의 카드 저장 섹션의 크기를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송출되는 카드들의 총 개수에 대한 제한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방향으로의 상이한 타입 또는 종류의 카드들의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인 송출이 보장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전체 크기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하고 송출되는 카드들의 원하는 총 개수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드 송출 신호에 대응하여 타겟 테이블 상의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추가적인 카드의 배치 동작은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의 반송 동작과 연동된다.
이 실시예에서,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타겟 테이블 상의 추가적인 카드의 배치 동작이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의 반송 동작 직후에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카드 송출 장치가 보다 효율적으로 또는 더 빠른 속도로 조작된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남아있는 테이블들을 슬라이딩시키지 않으면서도 테이블 세트의 수직방향 동작과 연동되도록 테이블 세트의 테이블들 중 특정된 하나를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메커니즘이 더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테이블 세트 사이에 간격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테이블 세트 사이의 간섭은 확실하게 회피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카드 송출 방향에 대하여 테이블 세트의 양쪽 측면들에 각각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측벽이 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에서 한 쌍의 측벽들 각각은 제 1 직선부, 제 2 직선부, 및 제 1 직선부와 제 2 직선부 사이에 형성된 굴곡부를 가지는 캠 홀을 구비한다. 테이블 세트 내의 각각의 테이블들은 한 쌍의 측벽의 캠 홀들과 각각 맞물려 있는 좌측 캠 팔로워 및 우측 캠 팔로워를 가진다. 한 쌍의 측벽의 캠 홀들과 테이블들의 캠 팔로워들은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구성한다.
이 경우에는, 특정된 테이블을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새로운 구동 메커니즘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카드 송출 장치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드 반송 디바이스는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와 접촉가능한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한다.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를 송출하는 경우, 한 쌍의 회동 롤러는 타겟 테이블 상의 카드와 그 2개의 측면 에지들에서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타겟 테이블 상의 카드를 카드 송출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테이블 세트 내의 모든 테이블들 상에 보류된 카드들은 테이블 세트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한 쌍의 회동 롤러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가 더욱 확실하게 반송될 수 있다는 점, 및 테이블 세트의 수직방향 동작을 방해하는 위험이 제거될 수 있다는 점과 같은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더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테이블 세트 내의 각각의 테이블들은 카드의 배치 동작에 응답하여 대기 포지션과 돌출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각각의 테이블 상에서의 카드의 존재와 부존재는 레버가 위치되어 있는 포지션이 대기 포지션과 돌출 포지션 중에서 어느 포지션인지를 탐지하여 판단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테이블 상에서의 카드의 존재와 부존재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발견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는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의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동 핀들, 및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상에서 구동 핀들과 각각 맞물려 있는 한 쌍의 기어를 구비한다.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는 한 쌍의 기어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실시예에서,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의 측면 플레이트 상에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각각의 배열 라인들 상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돌출부들, 및 대응하는 조작 돌출부들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열 라인들 상에 제공되어 있는 센서들이 더 제공되어 있다.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의 수직방향 동작 동안의 포지션은 센서들의 출력 신호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탐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의 수직방향 동작 동안의 포지션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탐지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드 반송 디바이스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카드 반송 포지션 쪽으로 이동되는 카드를 앞쪽으로 반송하기 위한 제 1 롤러 유닛; 제 1 롤러 유닛에 의해 타겟 테이블 상에 반송되는 카드를 앞쪽으로 반송하기 위한 제 2 롤러 유닛; 및 제 2 롤러 유닛에 의해 타겟 테이블로부터 앞쪽으로 반송되는 카드를 앞쪽으로 반송하기 위한 제 3 롤러 유닛;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카드의 반송 조작은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이 3개의 부분들은 제 1 롤러 유닛 내지 제 3 롤러 유닛에 각각 할당되기 때문에, 카드 반송 디바이스에 의한 카드의 복잡한 반송 조작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테이블 세트 내의 모든 테이블들은 고정된 피치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 내에서 앞쪽과 뒤쪽으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테이블 세트를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테이블 세트 내의 테이블들 중 하나가 타겟 테이블로 지정되는 경우, 타겟 테이블은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 포지션 쪽으로의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의 수직방향 동작과 동시에 카드 송출 신호에 응답하되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카드 반송 포지션 쪽으로 뒤쪽으로 이동된다.
이 실시예에서,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를 카드 송출 신호에 의해 지정된 포지션 쪽으로 수직방향으로 간단히 이동시킴으로써 타겟 테이블이 카드 반송 포지션 쪽으로 확실하게 이동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의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n이 1 보다 큰 정수인 경우 테이블 세트 내의 모든 테이블들이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로 정의될 때, 제어장치는 카드 배치 과정과 카드 송출 과정을 실행한다. 카드 배치 과정에서, 카드들은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카드 반송 포지션 쪽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카드 송출 과정에서,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중에서 지정된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된 카드는 카드 송출 신호에 응답하여 앞쪽으로 반송된다.
이 실시예에서, 처음에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의 카드들이 카드 배치 과정에서 테이블 세트 내의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므로,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된 카드는 카드 송출 과정에서 카드 송출 신호에 응답하여 앞쪽으로 선택적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카드들이 카드 송출 과정이 시작하기 전에 테이블 세트 내의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상에 확실하게 배치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타겟 테이블 상의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추가적인 카드의 배치 동작은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의 반송 동작과 동시에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타겟 테이블 상의 추가적인 카드의 배치 동작이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된 카드의 반송 동작을 완료한 직후에 시작될 수 있다는 점, 및 타겟 테이블 상에서의 추가적인 카드의 배치 동작과 타겟 테이블 상에서의 카드의 반송 동작을 위하여 카드 반송 디바이스를 공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점과 같은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이 추가적인 이점들은 본 발명의 카드 송출 장치의 조작 속도나 조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드 반송 디바이스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드 송출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비스듬히 위쪽 방향에서 정면을 바라본, 도 1의 카드 송출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비스듬히 위쪽 방향에서 후면을 바라본,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주요 부분이 나타나 있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디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프레임이 나타나 있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프레임이 나타나 있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테이블 세트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테이블 세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테이블이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12a는 카드가 도 11의 테이블 위에 배치되고 보류되기 전의 그 테이블의 상태가 나타나 있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카드가 도 11의 테이블 위에 배치되고 보류되기 전의 그 테이블의 상태가 나타나 있는 저면도이다.
도 13a는 카드가 도 11의 테이블 위에 배치되고 보류된 후의 그 테이블의 상태가 나타나 있는 평면도이다.
도 13b는 카드가 도 11의 테이블 위에 배치되고 보류된 후의 그 테이블의 상태가 나타나 있는 저면도이다.
도 14는 커버가 부착되어 있는 도 11의 테이블의 상태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테이블의 상태가 나타나 있는 정면도이고, 여기서 8개의 테이블들은 그 각각의 커버들과 함께 프레임 내에서 둘러싸여 있다.
도 16은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주요 부분이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고, 여기서 카드 반송 디바이스와 구동 디바이스는 생략되어 있다.
도 17은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주요 부분이 나타나 있는 우측면도이고, 여기서 카드 반송 장치와 구동 디바이스는 생략되어 있다.
도 18은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주요 부분이 나타나 있는 좌측면도이고, 여기서 카드 반송 디바이스와 구동 디바이스는 생략되어 있다.
도 19는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20a는 카드가 반송되기 전의 상태가 나타나 있는, 도 19의 카드 반송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평면도이다.
도 20b는 카드가 앞쪽으로 반송되고 있는, 도 19의 카드 반송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평면도이다.
도 21a는 카드가 테이블 상에 배치되지 않는,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드 센서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21b는 카드가 테이블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드 센서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3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프레임이 가장 높은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도 22의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우측면도이다.
도 24는 프레임이 두번째로 높은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도 22의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프레임이 가장 낮은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도 22의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는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1의 카드 송출 장치의 제어장치의 기능이 나타나 있는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7은 도 1의 카드 송출 장치의 조작이 설명되어 있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1)가 나타나 있다. 이 장치(1)는 복수의 카드(C)가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적층되어 있는 카드 스택으로부터 원하는 카드(C)를 분리하고 나서 분리된 카드(C)를 공급하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10), 및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된 카드(C)를 일시적으로 보류하고 나서 소정의 송출 방향(CD)으로 보류된 카드(C)를 선택적으로 송출하는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를 구비한다.
카드 공급 디바이스 (CARD SUPPLYING DEVICE]
우선,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는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디바이스(10)는 복수의 카드(C)를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카드 저장 섹션(11), 및 가장 낮게 위치결정된 카드(C)를 카드 저장 섹션(11) 내에 저장된 카드 스택으로부터 디바이스(10)의 공급 포트(13)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반송하기 위한 카드 반송 섹션(12)을 구비한다.
카드 저장 섹션(11)의 카드 스택에서, 2개의 인접하는 카드(C)들의 마주하는 면들은 서로 접촉하고 있고, 적층된 모든 카드(C)들은 사각 기둥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카드 저장 섹션(11)은 그 수평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이면서 그 크기가 카드(C) 보다 약간 더 큰 하나의 저장 공간(11a)을 가진다. 카드(C)들은 저장 공간(11a)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된다. 가장 낮게 위치결정된 카드(C)는 카드 스택의 잔여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고, 카드 반송 섹션(12)에 의해 공급 포트(13) 쪽으로 송출된다. 이 조작은 필요한 만큼 반복된다.
카드(C)는 수평방향 포지션으로 유지되도록 저장 공간(11a)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된다. 단 하나의 카드 스택이 저장 공간(11a)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카드 반송 섹션(12)은 카드(C)가 반송 동안 눌리는 베이스(미도시), 카드(C)가 베이스와 반송 부재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는 반송 부재(미도시), 및 편평한 루프를 잡아당기도록 반송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편평한 루프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편평한 루프 이동 수단의 동작에 의해, 베이스와 반송 부재에 의해 보류되는 카드(C)는 카드(C), 베이스 및 반송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공급 포트(13) 쪽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앞쪽으로 송출된다.
카드 공급 장치(10)의 구조가 전술된 첫번째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허 제 4991995호에 개시된 카드 송출 장치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장치(10)에 관한 설명이 여기에서는 생략될 것이다.
카드 스택으로부터 공급 포트(13) 쪽으로의 카드 스택 및 카드 공급 기능의 형태로 카드 저장 기능을 가지는 다른 디바이스가 전술된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 (CARD HOLDING AND FEEDING DEVICE)
다음으로, 카트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는, U자형 단면을 가지는 바디(21); 카드(C)들을 각각 보류하기 위하여 8개의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에 의해 형성된 테이블 세트(22)(도 10 참조); 바디(21) 내에 위치되어 있고 테이블 세트(22)(즉 모든 테이블들(162A 내지 162H))를 둘러싸는 프레임(23); 및 프레임(23)을 위쪽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메커니즘(24);을 구비한다.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C)들을 각각의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쪽으로 반송하는 것과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상에 보류되는 카드(C)들을 소정의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송출하는 것을 위한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를 더 구비한다.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는 제 1 롤러 유닛(25), 제 2 롤러 유닛(26) 및 제 3 롤러 유닛(27)을 포함한다.
게다가,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는,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 보류된 카드(C)의 포지션을 감지하기 위한 카드 센서 디바이스(30); 리프팅 메커니즘(24)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 디바이스(31);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의 제 1 롤러 유닛(25), 제 2 롤러 유닛(26) 및 제 3 롤러 유닛(27)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 디바이스(32); 프레임(23)의 포지션을 감지하기 위한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33); 및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와 카드 저장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40)(도 26 참조);를 구비한다.
바디 (BODY)
다음으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바디(21)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드 저장 및 반송 디바이스(20)의 바디(21)는 위쪽과 아래쪽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프레임(23)을 지지하는 기능, 및 리프팅 메커니즘(24), 카드 반송 디바이스(28), 제 1 구동 디바이스(31) 및 제 2 구동 디바이스(32)가 장착되도록 둘러싸는 기능을 가진다. 바디(21)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우측 측벽(102R)과 좌측 측벽(102L), 및 우측 측벽(102R)과 좌측 측벽(102L)의 하부 단부들을 상호연결하는 바닥 벽(104)을 구비한다. 우측 측벽(102R), 좌측 측벽(102L) 및 바닥 벽(104)은 모두 플레이트 형상이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측벽(102R)에는, 프레임(23) 상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가이드 롤러(148)들을 안내하기 위한 수직방향 가이드 그루브(106R, 108R)가 형성되어 있고, 추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좌측 측벽(102L)에는, 프레임(23) 상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가이드 롤러(148)들을 안내하기 위한 수직방향 가이드 그루브(106L, 108L)가 형성되어 있고, 추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이들 수직방향 가이드 그루브들(106R, 106L, 108R, 108L)은 바닥 벽(104)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위쪽으로 뻗어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우측 측벽(102R)이나 좌측 측벽(102L)의 상부 단부에 다다른다. 각각의 수직방향 가이드 그루브(106R, 108R, 106L, 108L)는, 우측 측벽(102R)의 내측 표면(110R)이나 좌측 측벽(102L)의 내측 표면(110L)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 벽(112, 114)에 의해 획정된다.
우측 측벽(102R)과 좌측 측벽(102L)에는, 리프팅 메커니즘(24)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을 맞물리기 위한 기다란 가이드 홀들(116R, 116L)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은 프레임(23)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홀들(116R, 116L)은 우측 측벽(102R)과 좌측 측벽(102L)의 중간에 대하여 후방 포지션(환언하자면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에 더 가까운 포지션)에 각각 위치되어 있고, 우측 측벽(102R)의 하부 단부와 좌측 측벽(102L)의 하부 단부의 근처로부터 우측 측벽(102R)의 상부 단부와 좌측 측벽(102L)의 상부 단부의 근처까지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테이블 세트(22)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캠 홀들(118R, 118L)은 우측 측벽(102R)과 좌측 측벽(102L) 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캠 홀(118R, 118L)은 제 1 직선부(120)와 제 2 직선부(122), 및 제 1 직선부(120)와 제 2 직선부(122) 사이에 형성된 굴곡부(121)를 가진다. 굴곡부(121)는 옆으로 누운 V자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캠 홀들(118R, 118L)은 우측 측벽(102R)과 좌측 측벽(102L)의 중간에 대하여 전방 포지션(환언하자면 정면 단부에 가까운 포지션)에 각각 위치되어 있고, 가이드 그루브(106R, 106L)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되어 있다.
우측 측벽(102R)과 좌측 측벽(102L)의 대략적인 중심 영역에는, 제 2 롤러 유닛(26)의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과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롤러 디바이스 수용 구멍들(119R, 119L)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그루브(106R, 106L), 가이드 그루브(108R, 108L), 가이드 홀(116R, 116L), 캠 홀(118R, 118L) 및 롤러 디바이스 수용 구멍(119R, 119L)은 바디(21)의 중심 평면(CP)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고, 동일한 중심 평면(CP)에 대하여 대칭적인 포지션에 배열되어 있다.
프레임 (FRAME)
다음으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프레임(23)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프레임(23)은 프레임(23) 내부에서 앞쪽과 뒤쪽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되도록 테이블 세트(22)(즉 테이블들(162A 내지 162H))를 둘러싸는 기능을 가지고, 리프팅 메커니즘(24)을 사용하여 바디(21)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프레임(23)은 박스 형상이고, 환언하자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프레임(23)은 정상 플레이트(132), 바닥 플레이트(134) 및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R)와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L)를 구비한다. 정상 플레이트(132)와 바닥 플레이트(134)는 직사각형이고, 서로 평행하다. 정상 플레이트(132)는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의 상부 단부와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L)의 상부 단부에 연결되고, 바닥 플레이트(134)는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의 하부 단부와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L)의 하부 단부에 연결된다.
각각의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와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L) 상에는, 테이블 세트(22)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9개의 테이블 지지 부재(138A 내지 138I)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 단면이 직사각형인 각각의 테이블 지지 부재(138A 내지 138I)는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나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L)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카드 송출 방향(CD)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져 있다. 직사각형 개구부들(140R, 140L)은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와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L) 내에 각각 형성되어서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다. 이들 개구부들(140R, 140L)은 제 2 롤러 유닛(26)(도 19 참조)의 우측 측면 롤러 섹션(230R)과 좌측 측면 롤러 섹션(230L)의 롤러(232)들이 프레임(23)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다.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와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L)에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의 가이드 핀들(172, 174)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홀(142R, 142L)이 형성되어 있다. 형상이 대략 타원형인 가이드 홀(142R, 142L)은 카드 송출 방향(CD)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다. 측면 플레이트(136R) 내의 가이드 홀(142R)은 개구부(140R)에 대하여 플레이트(136R)의 정면 영역과 후면 영역 내에 같은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측면 플레이트(136L) 상의 가이드 홀(142L)은 개구부(140L)에 대하여 플레이트(136L)의 정면 영역과 후면 영역 내에 같은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가이드 홀(142R)들은 측면 플레이트(136R) 상의 개구부(140R)의 정면 영역과 후면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홀(142R, 142L)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A 내지 138I) 중 인접하는 2개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 홀(142R, 142L)은 테이블 세트(22)의 수평방향 이동 거리에 따라 정해지는 동일한 길이(L1)를 가진다.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의 후면 단부와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L)의 후면 단부의 근처에는, 프레임(23)을 위쪽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8개의 구동 핀(144A 내지 144H)이 제공되어 있다. 구동 핀(144A 내지 144H)은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직경이 D1인 동일한 원주 형상을 가지고 소정의 피치(H1)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와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L)의 각각의 코너에는 가이드 롤러(148)가 제공되어 있다. 측면 플레이트들(136R, 136L) 상의 대응하는 포지션들에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148)들 중 2개는 문제되는 가이드 롤러(148)들 사이에 개재된 대응하는 지지 샤프트(14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48)들은 바디(21)의 대응하는 수직방향 가이드 그루브(106R, 106L, 108R, 108L)와 각각 맞물려 있고, 이로써 프레임(23)을 바디(21)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의 외측 표면 상에는, 조작 돌출부들(301 내지 304, 311 내지 314, 321 내지 324)이 그 수직방향 이동 동안 프레임(23)의 포지션을 발견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조작 돌출부들(301 내지 304, 311 내지 314, 321 내지 324)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추후에 주어질 것이다.
테이블 세트 (TABLE SET)
도 10 내지 도 15에는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테이블 세트(22)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 세트(22)는 8개의 테이블(162A 내지 162H)을 구비한다. 이들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테이블(162A)에 관한 설명만이 여기에 나타나 있고, 남아있는 테이블(162B 내지 162H)에 관한 설명은 간단히 기술하기 위하여 생략되어 있다.
테이블(162A)은,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C)를 운반하고 그 동일한 카드를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162A)은 얕은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주요 부분(163)의 우측 측면 에지와 좌측 측면 에지에 각각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주요 부분(163)과 측벽들(164R, 164L)을 구비한다. 측벽들(164R, 164L)은 카드(C)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측벽들(164R, 164L) 사이의 간격은 카드(C)의 폭 보다 약간 더 크다. 이는 테이블(162A)로부터의 카드(C)의 일직선 송출 작용을 수월하게 한다. 테이퍼 부분(165)들은 측벽들(164R, 164L)의 후면 단부들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측벽들(164R, 164L)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C)의 수용을 수월하게 한다. 4개의 그루브(167)는 주요 부분(163)의 상부 표면(166a)에 형성되어서 주요 부분(163)의 앞쪽/뒤쪽 방향(또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뻗어있다. 이는 카드(C)가 동일한 상부 표면(166a) 상에 배치되는 경우 카드(C)가 상부 표면(166a)과 가까이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2개의 절결부(168R, 168L)는 주요 부분(163)의 우측 측면 에지와 좌측 측면 에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68R, 168L)는, 주요 부분(163)의 우측 측면 에지와 좌측 측면 에지에 대하여 내부에 있을 뿐만 아니라 주요 부분(163)의 중앙에 대하여 정면 단부에 더 가까이 있는 포지션들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 핀(172)과 가이드 핀(174)은 각각의 측벽들(164R, 164L)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정면 가이드 핀(172)은 테이블(162A)의 정면 단부에 더 가까운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고, 후면 가이드 핀(174)은 테이블(162A)의 후면 단부에 더 가까운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다. 모든 가이드 핀들(172, 174)은 각각의 측벽들(164R, 164L)로부터 옆으로 돌출되어 있다. 측벽들(164R, 164L) 상의 정면 가이드 핀(172)들은 프레임(23)의 대응하는 가이드 홀들(142R, 142L)을 관통하고, 바디(21)의 대응하는 캠 홀들(118R, 118L)과 맞물린다. 측벽들(164R, 164L) 상의 후면 가이드 핀(174)들은 프레임(23)의 대응하는 가이드 홀들(142R, 142L) 속으로 삽입되고, 프레임(23)의 대응하는 가이드 홀들(142R, 142L)과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와 관계 때문에, 프레임(23)이 리프팅 메커니즘(24)을 이용하여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정면 가이드 핀(172)과 후면 가이드 핀(174)은 프레임(23)의 가이드 홀들(142R, 142L)에 의해 안내되고, 이와 동시에 정면 가이드 핀(172)들은 바디(21)의 캠 홀(118R)들의 굴곡부(121)들에 의해 안내된다. 결과적으로, 캠 홀들(118R, 118L)과 맞물려 있는 정면 가이드 핀(172)들은 "캠 팔로워(cam follower)"로서 이용되고, 이로써 테이블(162A)을 앞뒤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는 가이드 핀(172, 174), 가이드 홀(142R, 142L) 및 캠 홀(118R, 118L)의 조합이 테이블(162A)을 앞뒤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메커니즘(sliding mechanism)"으로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된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테이블 세트(22)의 수직방향 이동과 연동되도록 카드 송출 방향을 따라 테이블(162A)들 중 특정된 하나의 선택적인 슬라이딩을 구현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카드(C)의 배치 조작이 실행되는 경우, 환언하자면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된 추가적인 카드(C)가 특정된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경우, 특정된 테이블은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카드 공급 디바이스(11)의 공급 포트(13)를 향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와 프레임(23)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와 프레임(23) 사이의 간섭이 확실하게 회피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는데, 이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의 전술된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는데 구동 메커니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고, 카드 송출 장치(1)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다른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테이블(162A)의 측벽들(164R, 164L) 상에는, 커버(192)(도 14에 나타나 있으며, 추후에 설명될 것임)를 테이블(162A)에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4개의 맞물림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부(176)들 중 2개는 측벽들(164R, 164L)의 정면 단부에 더 가까운 포지션에 각각 위치되어 있고, 나머지 2개는 측벽들의 후면 단부에 더 가까운 포지션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도 12a와 도 1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162A)의 후면, 즉 주요 부분(163)의 하부 표면(166b) 상에는, 절결부(168R)와 중첩하는 포지션에서 소정의 축(AX) 둘레에서 요동가능하도록 요동 레버(178)가 제공되어 있다. 레버(178)의 평면 형상은 C자와 유사하다. 레버(178)는 주요 부분(178), 및 축(AX)에 대해 레버(178)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정상 단부(182)를 가진다. 돌출부(184)는 도 11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요 부분(163)의 상부 표면(166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레버(178)의 정상 단부(182)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84)는 주요 부분(163)의 하부 표면(166b)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어져 있다. 레버(178)는 바이어스(biasing) 또는 가압(urging) 부재(미도시)로 대기 포지션(SP)을 향하여 바이어스되거나 가압된다. 카드(C)가 이 상태로 테이블(162A) 상에 배치되는 경우라면, 카드(C)가 돌출부(184)와 접촉하게 되고 나서, 레버(178)는 바이어스/가압 부재의 바이어스력/가압력에 대항하여 카드(C)에 의해 바깥쪽으로 요동된다(즉 도 12b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됨). 결과적으로, 레버(178)는 도 13a와 도 1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184)의 외측면이 우측 측벽(164R)의 외측 표면과 높이가 같은 돌출된 포지션(TP)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드(C)는 추후에 기술될 카드 센서 디바이스(30)로 탐지될 수 있다.
요동 레버(178)가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서의 카드(C)의 존재와 부존재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발견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테이블 커버(192)는 도 1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 커버(192)는 테이블(162A)에 제공된다. 이 커버(192)는 테이블(162A) 상에 배치된 카드(C)를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테이블(162A)과 대략 동일한 윤곽을 가지는 커버(192)는 주요 부분(194)과 4개의 연결 부분(198)을 구비하는데, 이 연결 부분은 주요 부분(19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대략 직사각형이다. 주요 부분(194)은 그 후방 단부에 대략 직사각형인 절결부(196)를 구비한다. 테이블(162A) 상에 배치된 카드(C)의 후방 단부는 절결부(196)를 통해 노출되어 있다. 맞물림 홀(199)은 테이블(162A)의 각각의 맞물림부(176)에 대해 대응하는 포지션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192)가 상부 포지션으로부터 테이블(162A)에 부착되는 경우, 테이블(162A)의 4개의 맞물림부(174)는 커버(192)의 각각의 맞물림 홀(199)과 맞물리고, 이로써 커버(192)를 테이블(162A)에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커버(192)는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남아있는 테이블(162B 내지 162H)에도 제공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 세트(22)를 구성하는 각각의 8개의 테이블(162A 내지 162H)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A 내지 138I) 중 인접하는 2개 사이의 포지션에 배치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테이블(162A)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A, 138B) 사이의 포지션에 배치결정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테이블(162B)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B, 138C) 사이의 포지션에 배치결정되어 있고, 테이블(162C)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C, 138D) 사이의 포지션에 배치결정되어 있고, 테이블(162D)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D, 138E) 사이의 포지션에 배치결정되어 있고, 테이블(162E)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E, 138F) 사이의 포지션에 배치결정되어 있고, 테이블(162F)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F, 138G) 사이의 포지션에 배치결정되어 있고, 테이블(162G)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G, 138H) 사이의 포지션에 배치결정되어 있고, 테이블(162H)은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H, 138I) 사이의 포지션에 배치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이 프레임(23)의 각각의 가이드 홀들(142R, 142L)에 대응하도록 배열된다고 말할 수 있다.
리프팅 메커니즘 (LIFTING MECHANISM)
순차적으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리프팅 메커니즘(24)은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리프팅 메커니즘(24)은 프레임(23)을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환언하자면, 리프팅 메커니즘(24)은 테이블 세트(22) 내에 집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8개의 테이블(162A 내지 162H)을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게다가, 리프팅 메커니즘(24)은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 원하는 하나(환언하자면 타겟 테이블)를 소정의 카드 반송 포지션 쪽으로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여기서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C)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에서 원하는 하나(즉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되므로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된 카드(C)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를 사용하여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앞쪽으로 송출된다.
리프팅 메커니즘(24)은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3) 상에 제공되는 8개의 구동 핀(144A 내지 144H), 및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과 선택적으로 맞물림되도록 설계된 한 쌍의 리프팅 기어(202R, 202L)를 구비한다.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은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직경(D1)을 가지고, 피치(H1)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8개의 톱니가 있는 평 기어인 리프트 기어(202R, 202L)는 공통 지지 샤프트(20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바디(21)의 우측 측벽(102R)과 좌측 측벽(102L) 외부에 각각 배치된다. 리프팅 기어들(202R, 202L)의 톱니 피치와 톱니 폭은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의 직경(D1) 및 피치(H1)와 동일하거나 이에 따라 결정된다.
리프팅 메커니즘(24)은 다음에 오는 것과 같이 조작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가장 낮게 위치결정되어 있는 테이블(162A)과 가장 높게 위치결정되어 있는 테이블(162H) 각각은 리프팅 기어(202R, 202L)의 1 회동에 의해 동일한 카드 반송 포지션에 연속적으로 위치된다. 리프팅 기어들(202R, 202L)이 도 1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프레임(23)(즉 테이블 세트(22))은 하강된다. 리프팅 기어들(202R, 202L)이 도 16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프레임(즉 테이블 세트(22))은 상승된다. 따라서, 리프팅 기어(202R, 202L)의 회동 각도에 따라서,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 원하는 하나(즉, 타겟 테이블)는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는 가장 낮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A)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고, 여기서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C)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 원하는 하나(즉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되므로 배치되는 카드(C)는 그로부터 앞쪽으로 송출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블(162A)은 전술된 슬라이딩 메커니즘(즉 가이드 핀(172, 174), 가이드 홀(142R, 142L)과 캠 홀(118R, 118L)의 조합)에 의해 남아있는 테이블들(162B 내지 162H)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로 뒤쪽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있다.
반송 메커니즘들 (CONVEYING MECHANISMS)
다음으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는 도 19, 도 20A, 도 20B,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C)를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 원하는 하나(즉 타겟 테이블) 쪽으로 반송하는 기능, 및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 원하는 하나(즉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되고 보류되는 카드(C)를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앞쪽으로 반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카드 반송(즉 타겟 테이블) 디바이스(28)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뒤(즉 프레임(23))에 배치되는 제 1 롤러 유닛(25),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의 우측과 좌측에 배치되는 제 2 롤러 유닛(26), 및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의 앞에 배치되는 제 3 롤러 유닛(27)을 구비한다. 제 2 롤러 유닛(26)은 카드 송출 방향(CD)을 따라 제 1 롤러 유닛(25)과 제 3 롤러 유닛(27) 사이에 위치된다. 도 20a, 도 20b, 도 21a 및 도 21b에는, 가장 낮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A)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제 1 롤러 유닛(25)은 다음의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
특히, 제 1 롤러 유닛(25)은 한 쌍의 롤러(214)와 한 쌍의 롤러(218)를 구비한다. 한 쌍의 롤러(214)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카드 반송 방향(CD)에 대해 수직인 축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 샤프트(212)에 고정된다. 이와 유사하게, 한 쌍의 롤러(218)는, 지지 샤프트(212)에 평행하게 뻗어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롤러(214)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 샤프트(212)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 샤프트(216)에 고정된다. 지지 샤프트(212, 216)는 바디(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롤러(214, 218)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기어들(222, 224)은 서로 맞물림되도록 지지 샤프트(212, 216)의 우측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한 쌍의 롤러(214)와 한 쌍의 롤러(218)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특히, 도 19에서 한 쌍의 롤러(214)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한 쌍의 롤러(218)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한 쌍의 롤러(214, 218)의 조작에 의해,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C)는 테이블(162A)(즉 타겟 테이블)에 반송될 수 있고,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롤러 유닛(26)은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과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을 구비하고, 양자 모두는 대칭적인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에 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되고,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시될 것이다.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은 롤러(232)와 기어(238)를 구비하고, 양자 모두는 지지 샤프트(234)에 고정된다. 롤러(232)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기어(238)는 지지 샤프트(234)가 회동됨에 따라 롤러(232)를 따라 회동된다.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은, 기어(238)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기어와 맞물림되는 기어(240)를 더 구비한다. 지지 샤프트들(234, 236)은 그 아래에 제공되는 레버(237)에 고정된다. 도 3과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샤프트(236)는 바디(21)의 우측 측벽(102R)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샤프트 지지 부재(12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 지지 부재(125)는 롤러 디바이스 수용 구멍(119R) 바로 아래의 포지션에서 우측 측벽(102R)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지지 부재(125)는 지지 샤프트(236)의 하부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한다.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과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이 카드 송출 방향(CD)을 따라 테이블 세트(22)의 중심 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은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과 대칭적으로 조작된다.
도 19에서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의 지지 샤프트(236)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의 지지 샤프트(23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라면, 롤러(232)는 기어들(238, 240)의 맞물림 때문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레버(237)는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 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며, 이와 동시에 롤러(232)는 기어들(238, 240)의 맞물림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레버(237)는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L)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된다. 도 2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과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 내의 이러한 요동 동작 때문에, 한 쌍의 우측 롤러(232)는 테이블(162A)의 절결부(168R)의 내부로 들어가고, 이와 동시에, 한 쌍의 좌측 롤러(232)는 테이블(162A)의 절결부(168L)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과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 내의 2개의 롤러(232)는 제 1 롤러 유닛(25)에 의해 테이블(162A) 상에 배치되어 있는 카드(C)의 2개의 마주하는 측면 에지들과 접촉되어 있다.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 내의 우측 롤러(2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 내의 좌측 롤러(232)가 이 접촉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라면, 카드(C)는 롤러(232)의 회동 때문에 제 3 롤러 유닛(27) 쪽으로 앞쪽으로 보내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의 지지 샤프트(23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의 지지 샤프트(236)가 도 19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라면,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 내의 레버(237)는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 내의 레버(237)는 시계방향으로 요동된다. 따라서,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과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L) 내에서의 레버의 전술된 요동 동작 때문에, 롤러 서브유닛들(230R, 230L) 내의 2개의 롤러(232)들은 테이블(162A)의 절결부들(168R, 168L)의 내부로부터 각각 빠져나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롤러 서브유닛들(230R, 230L) 내의 롤러(232)들은 테이블(162A) 상에 배치된 카드(C)의 마주하는 측면 에지들로부터 이탈되고, 비접촉 상태를 초래한다. 리프팅 메커니즘(24)에 의한 프레임(23)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의 동작은 이러한 비접촉 상태에서 실행된다.
이 실시예에서, 리프팅 메커니즘(24)에 의한 프레임(23)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의 동작이 이러한 비접촉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제 2 롤러 유닛(26)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정된 테이블(즉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C)가 보다 확실하게 송출될 수 있다는 것, 및 프레임(23)의 수직방향 이동을 방해하는 위험이 제거될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제 3 롤러 유닛(27)은 제 1 롤러 유닛(25)과 대략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 특히, 제 3 롤러 유닛(27)은 한 쌍의 롤러(244)와 한 쌍의 롤러(248)를 구비한다. 한 쌍의 롤러(244)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카드 송출 방향(CD)에 대해 수직인 축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 샤프트(242)에 고정된다. 이와 유사하게, 한 쌍의 롤러(248)는, 지지 샤프트(242)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고 한 쌍의 롤러(244)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 샤프트(242)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 샤프트(246)에 고정된다. 지지 샤프트(242, 246)는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롤러(244, 248)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기어들(252, 254)은 서로 맞물림되도록 지지 샤프트(242, 246)의 우측 단부들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한 쌍의 롤러(244)와 한 쌍의 롤러(248)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특히, 도 19에서 한 쌍의 롤러(244)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한 쌍의 롤러(248)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한 쌍의 롤러(244, 248)의 조작에 의해, 제 2 롤러 유닛(26)에 의해 매우 멀리 반송되어 있는 카드(C)는 본 실시예의 카드 송출 장치(1)의 외부를 향하여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앞쪽으로 더욱 보내진다.
이 실시예에서, 카드(C)의 반송 조작은 3개의 부분들로 나누어지고, 이들 3개의 부분들을 제 1 내지 제 3 롤러 유닛들(25, 26, 27)에 할당한다. 따라서, 카드(C)의 복잡한 반송 조작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카드 센서 디바이스 (CARD SENSOR DEVICE)
카드 센서 디바이스(30)는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을 위하여 바디(21) 상에 제공된다. 카드 센서 디바이스(30)는 카드(C)가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 대응하는 하나 상에 배치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는 카드(C)가 테이블(162A) 상에 배치되는 경우가 예시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2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드 센서 디바이스(30)는 지지 샤프트(262)에 고정되는 레버(264), 및 레버(264)의 동작이나 포지션을 감지하기 위한 광전 센서(270)를 구비한다. 지지 샤프트(262)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디(21) 상에 형성된 샤프트 지지수단(126)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 지지수단(126)은 바디(21)의 우측 측벽(102R)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지지 샤프트(262)는 수평 평면 내에서 샤프트 지지수단(126) 둘레에서 요동가능하다. 대략 L자 형상의 윤곽을 가지는 레버(264)는 지지 샤프트(262) 보다 낮게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하부 부분, 및 지지 샤프트(262) 보다 높게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레버(264)의 하부 부분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조작 단부(268)는 테이블(162A) 상의 요동 레버(178)의 돌출부(184)에 대해 반대쪽에 있도록 테이블(162A)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제 1 조작 단부(268)와 돌출부(184)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264)의 상부 부분의 정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조작 단부(266)는 테이블(162A)을 위하여 제공된 대응하는 광전 센서(270)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도 21A에서 레버(264)는 바이어스 부재나 가압 부재(미도시)로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되거나 가압된다.
광전 센서(270)는 반전된 U자형 윤곽을 가지는 투과형 센서이다. 센서(270)는 그 한쪽 단부에 형성된 광 방출 부분 및 그 다른 단부에 형성된 광 수용 부분을 구비한다. 센서(270)는 광 방출 부분으로부터 방출된 광 빔이 수평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바디(21)의 우측 측벽(102R)의 외측 표면에 고정된다. 레버(264)의 제 2 조작 단부(266)는 레버(264)의 요동 동작에 따라 센서(270)의 광 방출 부분과 광 수용 부분 사이의 공간 속으로 삽입되도록 그리고 상기 공간으로부터 빠져나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레버(264)의 제 2 조작 단부(266)가 광 방출 부분으로부터 방출된 광 빔을 차단하는지 아닌지 여부(즉 광 빔의 광학 경로를 방해하는지 아닌지 여부)에 응답하여 센서(270)의 출력 신호가 변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드(C)가 테이블(162A) 상에 보류되지 않는 경우에는, 테이블(162A)의 요동 레버(178)의 돌출부(184)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기 포지션으로 위치되고, 결과적으로 레버(264)의 제 1 조작 단부(268)는 테이블(162A)의 돌출부(184)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레버(264)의 제 2 조작 단부(266)는 센서(270)로부터 방출되는 광 빔을 차단하지 않는데, 이는 센서(270)의 출력 신호를 소정의 높은 수준(H)으로 유지한다. 카드(C)가 테이블(162A) 상에 보류되는 경우에는, 테이블(162A)의 요동 레버(178)의 돌출부(184)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돌출된 포지션(TP)으로 전환된다. 결과적으로, 레버(264)의 제 1 조작 단부(268)는 테이블(162A)의 돌출부(184)에 의해 눌린다. 이러한 이유로, 레버(264)는 바이어스/가압 부재의 바이어스력/가압력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레버(264)의 제 2 조작 단부(266)는 센서(270)로부터 방출되는 광 빔을 차단하는데, 이는 센서(270)의 출력 신호를 높은 수준(H)으로부터 소정의 낮은 수준(L)으로 변경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드(C)가 테이블(162A) 상에 보류되는지 아닌지 여부는 광전 센서(270)의 출력 신호로 탐지될 수 있다.
물론, 테이블(162A)에 관한 전술된 설명은 남아있는 테이블들(162B 내지 162H) 중 어떤 것에도 적용가능하다.
제 1 구동 디바이스 제 2 구동 디바이스 (FIRST AND SECOND DRIVING DEVICES)
다음으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제 1 구동 디바이스(31)와 제 2 구동 디바이스(32)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바디(21)의 캠 홀들(118R, 118L) 뒤에 배치되는 제 1 구동 디바이스(31)는 한 쌍의 리프팅 기어(202R, 202L)를 구동시킴으로써 리프팅 메커니즘(24)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 1 구동 디바이스(31)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전기 모터(281), 제 1 모터(281)의 출력 샤프트(282)에 동축방향으로 연결되는 기어(283), 기어(283)와 맞물림되는 기어(284), 샤프트(285)를 이용하여 기어(284)에 연결되는 기어(286), 및 기어(284)와 맞물림되는 기어(288)를 구비한다. 출력 샤프트(282)와 샤프트(285)는 수평방향으로 뻗어있다. 제 1 모터(281)는 바디(21) 내에 배치된다. 기어들(283, 284, 288)은 좌측 측벽(102L)에 인접하도록 바디(21) 외부에 배치된다. 기어들(286, 287)은 우측 측벽(102R)에 인접하도록 바디(21) 외부에 배치된다. 대부분의 모든 샤프트(285)는 바디(21) 내에 배치된다. 우측 리프팅 기어(202R)는 기어(287)와 동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측 리프팅 기어(202L)는 기어(288)와 동축방향으로 배치된다.
기어들(283, 286, 287)의 조합은 우측 측벽(102R) 근처에 제공되는 우측 리프팅 기어(202R)를 위한 감속 기어 세트로서 이용된다. 기어들(283, 284, 288)의 조합은 우측 측벽(102L) 근처에 제공되는 우측 리프팅 기어(202L)를 위한 감속 기어 세트로서 이용된다. 제 1 전기 모터(281)로부터의 구동력은 기어들(283, 286, 287)을 이용하여 우측 리프팅 기어(202R)로 전달되고, 이와 동시에 기어들(283, 284, 288)을 이용하여 좌측 리프팅 기어(202L)로 전달된다. 2개의 리프팅 기어들(202R, 202L)의 회동에 의해, 리프팅 메커니즘(24)은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바디(21)의 롤러 디바이스 수용 구멍(119R, 119L) 위에 배치되어 있는 거의 모든 제 2 구동 디바이스(32)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의 제 1 롤러 유닛(25), 제 2 롤러 유닛(26) 및 제 3 롤러 유닛(27)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 2 구동 디바이스(32)는, 전기 모터(291), 제 2 모터(291)의 출력 샤프트(미도시)에 연결되는 감속 기어 메커니즘(229), 감속 기어 메커니즘(292)의 출력 샤프트(미도시)와 동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베벨 기어(293, 294), 베벨 기어(293, 294)와 각각 맞물림되는 베벨 기어(295, 296), 베벨 기어(295, 296)와 동축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샤프트(297, 298), 및 감속 기어 메커니즘(292)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 1 롤러 유닛(25)과 제 3 롤러 유닛(27)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메커니즘(미도시)을 구비한다. 샤프트(297)는 우측 롤러 서브유닛(230R)의 지지 샤프트(236)에 연결된다. 샤프트(298)는 좌측 롤러 서브유닛(230)의 지지 샤프트(236)에 연결된다.
제 2 모터(291), 감속 기어 메커니즘(292), 베벨 기어들(293, 294, 295, 296)은 바디(21)의 정상에 배치된다. 샤프트(297, 298)는 우측 측벽(102R)과 좌측 측벽(102L)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각각 뻗어있도록 바디(21) 외부에 배치된다.
제 2 전기 모터(291)의 구동력은 감속 메커니즘(292), 베벨 기어들(293, 294, 295, 296) 및 샤프트(297, 298)를 이용하여 제 2 롤러 디바이스(26)에 전달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모터(291)의 구동력은 감속 메커니즘(292)과 미도시된 연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 1 롤러 유닛(25)과 제 3 롤러 유닛(27)에 전달된다.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 (FRAME POSITION SENSOR DEVICE)
다음으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33)는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33)는 프레임(23)이 리프팅 메커니즘(24)을 이용하여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동안 프레임(23)의 수직방향 포지션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 어느 것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디바이스(33)가 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33)는, 프레임(23)의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12개의 조작 돌출부(301 내지 304, 311 내지 314, 321 내지 324), 및 바디(21)의 우측 측면 플레이트(116R)의 내측 표면(110R) 상에 장착된 3개의 광전 센서(331, 332, 333)를 구비한다. 각각의 조작 돌출부(301 내지 304, 311 내지 314, 321 내지 324)는 기다란 직사각 평행육면체인 형상을 가지고,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 상의 소정의 포지션에 위치된다. 각각의 광전 센서(331, 332, 333)는 반전된 U자형상 윤곽을 가지는 투과형 센서이고, 그 한쪽 단부에 형성된 광 방출 부분과 그 다른 단부에 형성된 광 수용 부분을 구비한다.
광전 센서(331)는 광 방출 부분으로부터 방출된 광 빔이 수평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바디(21)의 우측 측벽(102R)의 내측 표면(110R)에 고정된다. 조작 돌출부들(301 내지 304)은 센서(331)의 광 방출 부분과 광 수용 부분 사이의 공간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광 방출 부분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빔이 돌출부들(301 내지 30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차단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센서(331)가 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광전 센서(332)는 광 방출 부분으로부터 방출된 광 빔이 수평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바디(21)의 우측 측벽(102R)의 내측 표면(110R)에 고정된다. 조작 돌출부들(311 내지 314)은 센서(332)의 광 방출 부분과 광 수용 부분 사이의 공간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광 방출 부분으로부터 방출된 광 빔이 돌출부들(311 내지 31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차단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센서(332)가 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전 센서(333)는 광 방출 부분으로부터 방출된 광 빔이 수평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바디(21)의 우측 측벽(102R)의 내측 표면(110R)에 고정된다. 조작 돌출부들(321 내지 324)은 센서(333)의 광 방출 부분과 광 수용 부분 사이의 공간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광 방출 부분으로부터 방출된 광 빔이 돌출부들(321 내지 32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차단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센서(333)가 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돌출부들(301 내지 304)은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1 배열 라인(AL1) 상에 소정의 피치(H2)로 배열되어 있는데, 여기서 피치(H2)는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의 피치(H1)의 2배이다. 돌출부(301)는 구동 핀(144A)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돌출부(302)는 구동 핀(144C)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돌출부(303)는 구동 핀(144E)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그리고 돌출부(304)는 구동 핀(144G)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광전 센서(331)는 제 1 배열 라인(AL1) 상에도 위치되어 있다.
조작 돌출부들(311 내지 314)은 제 1 배열 라인(AL1)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는 제 2 배열 라인(AL2) 상에 배열된다. 돌출부들(311, 312) 사이 및 돌출부들(313, 314) 사이의 간격(피치)은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의 피치(H1)와 동일하다. 돌출부들(312, 313) 사이의 간격(피치)은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의 피치(H1)의 3배인 H3이다. 돌출부(311)는 측면방향으로 돌출부(302)에 인접하여 있고, 돌출부(313)는 측면방향으로 돌출부(304)에 인접하여 있다. 돌출부(311)는 구동 핀(144C)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돌출부(312)는 구동 핀(144D)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돌출부(313)는 구동 핀(144C)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돌출부(314)는 구동 핀(144H)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광전 센서(332)는 제 2 배열 라인(AL2) 상에도 위치되어 있다.
조작 돌출부(321 내지 3247)는 제 1 배열 라인(AL1)과 제 2 배열 라인(AL2)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는 제 3 배열 라인(AL3) 상에 피치(H1)로 배열되어 있다. 돌출부(321)는 구동 핀(144E)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돌출부(322)는 구동 핀(144F)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돌출부(323)는 구동 핀(144G)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그리고 돌출부(324)는 구동 핀(144H)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광전 센서(333)는 제 3 배열 라인(AL3) 상에도 위치된다.
광전 센서(331)는 프레임(2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조작 돌출부들(301 내지 304)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조작 돌출부들(301 내지 304) 중 어느 하나가 센서(331)로부터의 광 빔을 감지하는 광학 경로 상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경우, 환언하자면 돌출부들(301 내지 304) 중 어느 하나가 센서(331)로부터의 광 빔을 차단하는 경우, 센서(331)의 출력 신호는 변경된다.
광전 센서(332)는 프레임(2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조작 돌출부들(311 내지 314)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조작 돌출부들(311 내지 314) 중 어느 하나가 센서(332)로부터의 광 빔을 감지하는 광학 경로 상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경우, 환언하자면 돌출부들(311 내지 314) 중 어느 하나가 센서(332)로부터의 광 빔을 차단하는 경우, 센서(332)의 출력 신호는 변경된다.
광전 센서(333)는 프레임(2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조작 돌출부들(321 내지 324)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조작 돌출부들(321 내지 324) 중 어느 하나가 센서(333)로부터의 광 빔을 감지하는 광학 경로 상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경우, 환언하자면 돌출부들(321 내지 324) 중 어느 하나가 센서(333)로부터의 광 빔을 차단하는 경우, 센서(333)의 출력 신호는 변경된다.
3개의 광전 센서들(331, 332, 333)의 출력 신호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직방향 이동 프레임(23)의 포지션은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3)이 그 가장 높은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도 23의 경우에는, 가장 낮은 포지션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핀(144A)은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팅 기어들(202R, 202L)과 맞물리거나 리프팅 기어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센서들(331, 332, 333) 중 어느 것도 조작 돌출부들(301 내지 304, 311 내지 314, 321 내지 324)을 탐지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센서들(331, 332, 333)의 모든 출력 신호들은 낮은 수준(L)에 있다.
도 24에는 프레임(23)이 그 두번째로 높은 포지션에 있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그 두번째로 낮은 포지션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핀(144B)은 리프팅 기어들(202R, 202L)과 맞물리거나 리프팅 기어들(202R, 202L)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센서(331)만이 돌출부(301)를 탐지하고, 다른 센서들(332, 333)은 돌출부들(311 내지 314, 321 내지 324)을 탐지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센서(331)의 출력 신호만이 수준(H)으로 바뀌고, 남아있는 센서들(332, 333)의 출력 신호들은 수준(L)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 25에는 프레임(23)이 그 가장 낮은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그 가장 높은 포지션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핀(144H)은 리프팅 기어들(202R, 202L)과 맞물리거나 리프팅 기어들(202R, 202L)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3개의 센서들(331, 332, 333)은 돌출부들(304, 314, 324)을 각각 탐지한다. 결과적으로, 센서들(331, 332, 333)의 출력 신호들은 수준(H)으로 바뀐다.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의 지지되거나 맞물리는 상태(즉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 중 하나가 리프팅 기어들(202R, 202L)에 의해 지지되거나 리프팅 기어들(202R, 202L)과 맞물려 있는 상태)와 센서들(331, 332, 333)의 출력 신호 수준(L 또는 H) 사이의 관계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광전 센서들(331, 332, 333)은 첫번째 숫자, 두번째 숫자 및 세번째 숫자에 각각 할당되고, 센서들(331, 332, 333)의 출력 신호들의 수준(L 또는 H)은 "0" 또는 "1"로 각각 표현된다. 그래서,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의 전술된 지지 상태 내지 맞물림 상태는 아래의 표 2에 표현된다.
Figure pat00002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 핀들(144A 내지 144H)의 8개의 지지되거나 맞물리는 상태는 3개의 센서들(331, 332, 333)의 출력 신호들의 조합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23)의 포지션이 센서들(331, 332, 333)의 출력 신호들로부터 용이하게 탐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된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프레임 포지션 센서(33)가 제공되기 때문에, 그 수직방향 동작 동안의 프레임(23)의 포지션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탐지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제어장치 (CONTROLLER)
다음으로, 제어장치 또는 제어 디바이스(40)의 조작은 도 2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어장치(40)는 다음의 방식으로 카드 송출 장치(1)의 전체 조작을 제어한다.
제어장치(40)는, (ⅰ) 그 카드 공급 조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카드 공급 제어 신호(CSCS)를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 전송하고, (ⅱ) 리프팅 메커니즘(24)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 1 모터 제어 신호(MCS1)을 제 1 전기 모터(281)로 전송하고, 그리고 (ⅲ)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 2 모터 제어 신호(MCS2)를 제 2 전기 모터(291)로 전송한다. 제어장치(40)의 이러한 제어 조작들은 카드 송출 장치(1)에 연결되는 상위 수준 또는 호스트 디바이스(2)로부터 전송된 카드 송출 신호(CPS)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게다가, 제어장치(40)는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33)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포지션 신호(FPS), 및 카드 센서 디바이스(30)로부터 전송된 카드 감지 신호(CDS)를 수신하고, 이로써 프레임(23)의 현재의 포지션 및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서의 카드(C)의 존재나 부존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카드 송출 장치의 조작 (OPERATION OF CARD FEEDING APPARATU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1)의 조작은 도 2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카드 송출 장치(1)의 조작의 시작에 앞서, 카드(C)들은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의 카드 저장 섹션(11)의 저장 공간(11a) 내에 수직방향으로 적층된다.
우선, 카드 배치 과정이 실행된다. 이 과정에서, 카드(C)들은 카드 공급 디바이스(10) 내에 형성된 카드 스택으로부터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 쪽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단계(S1)에서, 제어장치(40)는,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33)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포지션 신호(FPS)에 기초하여 가장 낮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A)(즉 제 1 테이블)이 소정의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장 낮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A)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라면, 환언하자면 단계(S1)에서 일어나는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라면, 조작 흐름은 다음 단계(S2)로 넘어가는데, 다음 단계(S2)에서는 제어장치(40)가 리프팅 메커니즘(24)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제 1 모터 제어 신호(MCS1)를 제 1 전기 모터(281) 쪽으로 전송하고 이로써 테이블(162A)을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 후, 조작 흐름은 다음 단계(S3)로 넘어간다.
가장 낮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A)(즉 제 1 테이블)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는 경우라면, 환언하자면 단계(S1)에서 일어나는 판단이 "예"인 경우라면, 조작 흐름은 즉시 단계(S3)로 넘어간다.
단계(S3)에서, 제어장치(40)는 동일하게 조작하기 위해서 카드 공급 제어 신호(CSCS)를 카드 공급 디바이스(10) 쪽으로 전송하고, 이로써 제 1 카드(C)를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카드 반송 디바이스(28) 쪽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의 제 1 카드(C)는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정지된다.
순차적으로, 다음 단계(S4)에서, 제어장치(40)는 제 2 모터 제어 신호(MCS2)를 제 2 전기 모터(291)로 전송하고, 이로써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카드(C)는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므로, 제 1 카드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에 의해 앞쪽으로 반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카드(C)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의 제 1 롤러 유닛(25)에 의해 가장 낮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A) 쪽으로 반송되고, 테이블(162A) 상에 배치된다.
연속적인 단계(S5)에서, 단계(S1)에서의 판단과 유사한 판단은 가장 높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H)(즉 제 8 테이블)을 위하여 실행된다. 특히, 제어장치(40)는 프레임 포지션 센서 디바이스(33)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포지션 신호(FPS)에 기초하여 가장 높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H)(즉 제 8 테이블)이 소정의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가장 낮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a)(즉 제 1 테이블)은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므로, 단계(S5)에서의 판단은 "아니오"이고, 조작 흐름은 다음 단계(S6)로 넘어간다.
스텝(S6)에서, 제어장치(40)는 리프팅 메커니즘(24)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제 1 모터 제어 신호(MCS1)를 제 1 전기 모터(281) 쪽으로 전송하고, 이로써 두번째로 낮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B)(즉 제 2 테이블)을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 후, 조작 흐름은 다시 단계(S3)로 넘어가는데, 이 단계(S3)에서는 제어장치(40)가 카드 공급 제어 신호(CSCS)를 카드 공급 디바이스(10) 쪽으로 전송하고 이로써 제 2 카드(C)를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카드 반송 메커니즘(28) 쪽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의 제 2 카드(C)는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정지된다.
다음 단계(S4)에서, 제어장치(40)는 제 2 모터 제어 신호(MCS2)를 제 2 전기 모터(291) 쪽으로 전송하고, 이로써 카드 반송 메커니즘(28)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된 제 2 카드(C)는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므로, 이 제 2 카드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에 의해 앞쪽으로 반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카드(C)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의 제 1 롤러 유닛(25)에 의해 두번째로 낮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B) 쪽으로 반송되고, 테이블(162B) 상에 배치된다.
순차적으로 단계(S5)에서의 판단은 다시 실행된다.
단계(S3)로부터 단계(S6)까지의 전술된 조작들은 남아있는 테이블들(162C 내지 162H)(즉 제 3 테이블 내지 제 8 테이블)을 위하여 반복된다. 결과적으로, 제 3 카드(C) 내지 제 8 카드(C)는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 쪽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각각의 테이블(162C 내지 162R) 상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제 1 내지 제 8 카드(C)는 테이블(162A 내지 162H)(즉 제 1 테이블 내지 제 8 테이블) 상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가장 높게 위치결정된 테이블(162H)(즉 제 8 테이블)은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므로, 단계(S5)에서 일어나는 판단은 "예"로 바뀐다. 그리고 나서, 조작 흐름은 다음 단계(S7)로 넘어간다.
여기서부터는, 카드 송출 과정이 실행된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즉 제 1 테이블 내지 제 8 테이블) 상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8 카드(C)는 필요에 따라서 카드 송출 장치(1)의 외부 쪽으로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송출된다.
추가적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정된 테이블 상에 존재하는 카드(C)가 앞쪽으로 송출된 직후에 추가적인 카드(C)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 지정된 하나에 신속하게 공급되는데, 이는 단일의 반송 카드 과정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카드 송출 장치(1)가 보다 효율적으로 조작된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단계(S7)에서, 제어장치(40)는 상위 수준 디바이스(2)로부터 전송된 카드 송출 신호의 수신을 기다린다. 카드 송출 신호(CPS)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즉 제 1 테이블 내지 제 8 테이블) 중에서 제 n 테이블(n은 1 부터 8 중에서 선택된 정수)을 지정할 뿐만 아니라 지정된 제 n 테이블로부터 카드(C)의 송출 조작을 교시하는 명령이다. 단계(S7)에서의 전술된 명령을 포함하는 카드 송출 신호(CPS)를 수신하는 경우, 조작 흐름은 다음 단계(S8)로 넘어간다.
단계(S8)에서, 제어장치(40)는 상기 명령에 의해 지정된 제 n 테이블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8)에서 일어나는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라면, 조작 흐름은 다음 단계(S9)로 넘어간다. 이 단계에서, 제어장치(40)는 리프팅 메커니즘(24)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제 1 모터 제어 신호(MCS1)를 제 1 모터(281) 쪽으로 전송하고, 이로써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의해 지정된 제 n 테이블을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 후, 조작 흐름은 다음 단계(S10)로 넘어간다.
단계(S8)에서 일어나는 판단이 "예"인 경우라면, 상기 명령에 의해 지정된 제 n 테이블이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위치되므로, 조작 흐름은 즉시 다음 단계(S10)로 넘어간다.
단계(S10)에서, 제어장치(40)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를 조작하기 위해서 카드 공급 제어 신호(CSCS)를 카드 공급 디바이스(10) 쪽으로 전송하고, 이로써 추가적인 카드(C)를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카드 반송 디바이스 쪽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의 추가적인 카드(C)는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정지된다.
순차적으로, 다음 단계(S11)에서, 제어장치(40)는 제 2 모터 제어 신호(MCS2)를 제 2 전기 모터(291) 쪽으로 전송하고, 이로써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추가적인 카드(C)는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므로, 추가적인 카드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에 의해 앞쪽으로 반송될 수 있다. 게다가, 이때, 제 n 테이블(즉 8개의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에서 지정된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C)는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고, 이는 제 n 테이블 상의 카드(C)가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에 의해 앞쪽으로 반송될 수 있는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n 테이블(즉 8개의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에서 지정된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C)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의 제 2 롤러 유닛(26)과 제 3 롤러 유닛(27)의 조작에 의해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앞쪽으로 송출된다. 그 직후,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었을 뿐만 아니라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추가적인 카드(C)는 앞쪽으로 반송되고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의 제 1 롤러 유닛(25)의 조작에 의해 제 n 테이블 상에 배치된다.
제 n 카드를 위한 전술된 카드 송출 과정을 완료한 후, 조작 흐름은 다시 단계(S7)로 넘어가고, 단계들(S7 내지 S11)은 다시 반복된다. 이들 단계들(S7 내지 S13)은 상위 수준 디바이스(2)로부터 전송된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응답하여 필요한 만큼 반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의해 지정된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즉 제 1 테이블 내지 제 8 테이블) 중 임의의 하나 상에 보류된 카드(C)는 상위 수준 디바이스(2)로부터의 카드 송출 신호(CPS)에 따라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무작위적이고 선택적으로 송출될 수 있다.
전술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카드 송출 장치(1)는, 카드 스택을 형성하도록 카드(C)들을 수직방향으로 저장하기 위한 카드 저장 섹션(11) 및 원하는 카드(C)를 카드 스택으로부터 공급 포트(13) 쪽으로 차례로 반송하기 위한 카드 반송 섹션(12)을 포함하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10); 그 공급 포트(13)를 통해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된 카드(C)들을 보류하는 것과 소정의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장치(1) 외부를 향하여 카드(C)를 차례로 송출하는 것을 위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 및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의 조작과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40);를 구비한다.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에서, 테이블 세트(22)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된 카드(C)가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 배치되도록 소정의 피치(H1)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을 포함한다. 프레임(23)은 모든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을 둘러싸도록 테이블 세트(22)를 지지한다. 리프팅 메커니즘(24)은 프레임(23)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는 테이블 세트(22)의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 보류된 카드(C)를 장치(1)의 외부 쪽으로 소정의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차례로 반송한다.
제어장치(40)의 제어 하에서 리프팅 메커니즘(24)에 의해 프레임(23)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프레임(23)은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의 공급 포트(13)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드 반송 포지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와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20)는 활성화되며, 이로써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C)들을 테이블 세트(22)의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타입/종류의 카드(C)들이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의 카드 저장 섹션(11) 내에 카드 스택을 미리 형성하도록 저장되는 경우라면, 상이한 타입/종류의 카드(C)들은 테이블 세트(22)의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 배치되고 보류될 수 있다.
게다가, 제어장치(40)의 제어 하에서 카드 송출 장치(1)의 상위 수준 디바이스(2)로부터 전송된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응답하여, 프레임(23)은 테이블 세트(22)의 테이블들(162A 내지 162H)로부터의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의해 지정되는 타겟 테이블이 소정의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카드 반송 디바이스(2)는 활성화되며, 이로써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C)를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 세트(22)의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 배치되어 있고 보류되어 있는 상이한 타입/종류의 카드(C)들은 필요에 따라서 장치(1)의 외부를 향하여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선택적이면서 무작위적으로 송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들이 상이한 타입 또는 종류인 경우일지라도, 소정의 방향으로의 카드들의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인 송출이 보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본 특허 제4991995호에 개시되어 있는 전술된 첫번째 종래 기술의 카드 송출 장치와 달리, 복수의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복수의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는 각각의 타입/종류의 카드를 위하여 제공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드 송출 장치(1)의 전체 크기는 과도하게 커지지 않는다.
더 추가적으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5-210783호에 개시된 전술된 두번째 종래 기술의 카드 불출 장치와 달리, 테이블 세트(22)의 각각의 테이블(162A 내지 162H) 상에 보류되어 있는 카드(C)들은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응답하여 카드 송출 방향(CD)으로 차례차례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송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 공급 디바이스(10)의 카드 저장 섹션(11)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송출될 카드(C)들의 총 개수에 관한 제한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타입 또는 종류의 카드들의 소정의 방향으로의 무작위적이면서 선택적인 송출이 보장될 수 있는 한편, 장치(1)의 전체 크기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하고 송출될 카드의 원하는 총 개수를 보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테이블 세트(22) 내의 모든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은 고정된 피치(H1)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고 프레임(23) 내에서 앞쪽과 뒤쪽으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전술된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테이블 세트(22)를 위하여 제공된다. 테이블 세트(22) 내의 테이블들(162A 내지 162H) 중 어느 하나가 타겟 테이블로서 지정되는 경우, 타겟 테이블은 리프팅 메커니즘(24)에 의한 지정된 포지션 으로의 프레임(23)의 수직방향 동작과 동시에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응답하되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뒤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응답하여 프레임(23)을 지정된 포지션으로 수직방향으로 간단히 이동시킴으로써 타겟 테이블이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확실하게 이동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n이 1보다 큰 정수인 경우 테이블 세트(22) 내의 모든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이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로서 정의될 때, 제어장치(40)는 카드 배치 과정과 카드 송출 과정을 실행한다. 카드 배치 과정에서, 카드(C)들은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카드 송출 과정에서,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중에서 지정된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된 카드(C)는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응답하여 앞쪽으로 반송된다.
이러한 이유로, 처음에는 카드(C)들이 카드 배치 과정에서 테이블 세트(22) 내의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그 후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된 카드(C)가 카드 송출 과정에서 카드 송출 신호(CPS)에 응답하여 앞쪽으로 선택적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카드 송출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카드(C)들이 모든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상에 확실하게 배치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더 추가적으로, 타겟 테이블 상에서 카드 공급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추가적인 카드(C)의 배치 동작은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C)의 반송 동작과 동시에 실행된다. 따라서,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된 카드(C)의 반송 동작을 완료한 직후에 타겟 테이블 상에서의 추가적인 카드(C)의 배치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는 점, 및 타겟 테이블 상에서의 추가적인 카드(C)의 배치 동작과 타겟 테이블 상에서의 카드(C)의 반송 동작을 위하여 카드 반송 디바이스(28)를 공통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점과 같은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이점들은 카드 송출 장치(1)의 조작 속도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카드 반송 디바이스(28)의 구조를 단순화한다.
변형예 (VARIATIONS)
전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화된 예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술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수정도 위 실시예에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카드 송출 장치(1)에서, 리프팅 메커니즘(24)(즉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은 구동 핀(144A 내지 144H)과 리프팅 기어(202R, 202H)를 사용하여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프팅 메커니즘(24)(즉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은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테이블(162A 내지 162H)을 프레임(23)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A 내지 138I)은 전술된 카드 송출 장치(1) 내에서 프레임(23)의 우측 측면 플레이트(136R)와 좌측 측면 플레이트(136L)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테이블 지지 부재들(138A 내지 138I)은 생략될 수 있다. 이는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이 테이블(162A 내지 162H)의 가이드 핀(172, 174)과 프레임(23)의 가이드 홀(142R, 142L) 사이의 맞물림을 이용하여 프레임(23)에 의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카드 센서 디바이스(30)의 광전 센서들(331, 332, 333)은 전술된 카드 송출 장치(1) 내의 투과형(transmission type) 센서이지만, 반사형(refection type)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테이블(162A 내지 162H)의 카드 보류 상태는 반사형 광전 센서를 이용하여 직접 탐지될 수 있다.
프레임(23)은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로서 사용되지만, 프레임(23)은 모든 테이블들(162A 내지 162H)을 둘러싸도록 테이블 세트(22)를 지지하는 경우라면 임의의 다른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리프팅 메커니즘(24)은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로서 이용되지만, 리프팅 메커니즘(24)은 프레임(23)과 같은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라면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이나 디바이스로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가 기술되어 있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그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자명할 것이라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에 오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Claims (12)

  1. 카드 스택을 형성하도록 카드들을 수직방향으로 저장하기 위한 카드 저장 섹션, 및 원하는 카드를 카드 스택으로부터 공급 포트 쪽으로 차례로 반송하기 위한 카드 반송 섹션을 포함하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
    그 공급 포트를 통해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들을 보류하는 것과 카드들을 소정의 카드 송출 방향으로 차례로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송출하는 것을 위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 및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를 구비하는 카드 송출 장치로서,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는:
    그 공급 포트를 통해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들이 각각의 테이블 상에 배치되도록 소정의 피치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테이블들을 포함하는 테이블 세트;
    모든 테이블들을 둘러싸도록 테이블 세트를 지지하는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 및
    테이블 세트의 각각의 테이블 상에 보류되어 있는 카드들을 카드 송출 방향으로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차례로 반송하는 카드 반송 디바이스;
    를 구비하고,
    제어장치의 제어 하에서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를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의 공급 포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드 반송 포지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카드 공급 디바이스와 카드 보류 및 송출 디바이스는 활성화되고, 이로써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들을 테이블 세트의 각각의 테이블 상에 배치할 수 있고,
    제어장치의 제어 하에서 장치의 상위 수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카드 송출 신호에 대응하여,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는 테이블 세트의 테이블들로부터의 카드 송출 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타겟 테이블이 카드 반송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카드 반송 디바이스는 활성화되고, 이로써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를 카드 송출 방향으로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반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드 송출 신호에 대응하여 타겟 테이블 상의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추가적인 카드의 배치 동작은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의 반송 동작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남아있는 테이블들을 슬라이딩시키지 않으면서도 테이블 세트의 수직방향 동작과 연동되도록 테이블 세트의 테이블들 중 특정된 하나를 카드 반송 포지션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카드 송출 방향에 대하여 테이블 세트의 양쪽 측면들에 각각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측벽을 더 구비하고,
    한 쌍의 측벽들 각각은 제 1 직선부, 제 2 직선부, 및 제 1 직선부와 제 2 직선부 사이에 형성된 굴곡부를 가지는 캠 홀을 구비하고,
    테이블 세트 내의 각각의 테이블들은 한 쌍의 측벽의 캠 홀들과 각각 맞물려 있는 우측 캠 팔로워 및 좌측 캠 팔로워를 가지고,
    한 쌍의 측벽의 캠 홀들과 테이블들의 캠 팔로워들은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카드 반송 디바이스는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와 접촉가능한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고,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를 송출하는 경우, 한 쌍의 회동 롤러는 타겟 테이블 상의 카드와 그 2개의 측면 에지들에서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타겟 테이블 상의 카드를 카드 송출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고,
    테이블 세트 내의 모든 테이블들 상에 보류된 카드들은 테이블 세트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한 쌍의 회동 롤러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세트 내의 각각의 테이블들은 카드의 배치 동작에 응답하여 대기 포지션과 돌출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각각의 테이블 상에서의 카드의 존재와 부존재는 레버가 위치되어 있는 포지션이 대기 포지션과 돌출 포지션 중에서 어느 포지션인지를 탐지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는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의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동 핀들, 및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상에서 구동 핀들과 각각 맞물려 있는 한 쌍의 기어를 구비하고,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는 한 쌍의 기어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의 측면 플레이트 상에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각각의 배열 라인들 상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돌출부들, 및 대응하는 조작 돌출부들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열 라인들 상에 제공되어 있는 센서들을 더 구비하고,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의 수직방향 동작 동안의 포지션은 센서들의 출력 신호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카드 반송 디바이스는: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카드 반송 포지션 쪽으로 이동되는 카드를 앞쪽으로 반송하기 위한 제 1 롤러 유닛;
    제 1 롤러 유닛에 의해 타겟 테이블 상에 반송되는 카드를 앞쪽으로 반송하기 위한 제 2 롤러 유닛; 및
    제 2 롤러 유닛에 의해 타겟 테이블로부터 앞쪽으로 반송되는 카드를 앞쪽으로 반송하기 위한 제 3 롤러 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세트 내의 모든 테이블들은 고정된 피치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 내에서 앞쪽과 뒤쪽으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테이블 세트를 위하여 제공되어 있고,
    테이블 세트 내의 테이블들 중 하나가 타겟 테이블로 지정되는 경우, 타겟 테이블은 테이블 세트 이동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 포지션 쪽으로의 테이블 세트 지지 구조의 수직방향 동작과 동시에 카드 송출 신호에 응답하되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카드 반송 포지션 쪽으로 뒤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n이 1 보다 큰 정수인 경우 테이블 세트 내의 모든 테이블들이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로 정의될 때, 제어장치는 카드 배치 과정과 카드 송출 과정을 실행하고,
    카드 배치 과정에서, 카드들은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카드 반송 포지션 쪽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카드 송출 과정에서, 제 1 테이블 내지 제 n 테이블 중에서 지정된 타겟 테이블 상에 배치된 카드는 카드 송출 신호에 응답하여 앞쪽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타겟 테이블 상의 카드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추가적인 카드의 배치 동작은 타겟 테이블 상에 보류된 카드의 반송 동작과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송출 장치.
KR1020160095430A 2015-07-29 2016-07-27 카드 송출 장치 KR101787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9088 2015-07-29
JPJP-P-2015-149088 2015-07-29
JPJP-P-2016-068005 2016-03-30
JP2016068005A JP6286697B2 (ja) 2015-07-29 2016-03-30 カード送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201A true KR20170015201A (ko) 2017-02-08
KR101787725B1 KR101787725B1 (ko) 2017-10-18

Family

ID=5798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430A KR101787725B1 (ko) 2015-07-29 2016-07-27 카드 송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86697B2 (ko)
KR (1) KR101787725B1 (ko)
CN (1) CN1063954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1078B (zh) * 2017-08-05 2023-01-24 广州明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助领卡机的送卡机构
CN107867496B (zh) * 2017-12-13 2023-03-10 广州明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转盘式卡片储存设备
CN108146955B (zh) * 2017-12-18 2021-05-18 浙江诺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卡证双用设备
CN108116927A (zh) * 2017-12-27 2018-06-05 珠海市新德汇信息技术有限公司 电子港澳通行证废卡收集装置
CN108423416B (zh) * 2018-03-21 2019-08-16 潍坊学院 散热器翅片分离取送设备
CN112623805B (zh) * 2020-11-24 2024-04-05 杨恒鑫 一种用于彩色打印的送纸机构
KR102550347B1 (ko) * 2021-08-12 2023-07-0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저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187A (ja) * 1990-05-30 1992-02-04 Olympus Optical Co Ltd 光カード連続処理装置
JPH05210783A (ja) * 1992-01-31 1993-08-20 Olympus Optical Co Ltd カード自動発行装置
US5374043A (en) * 1993-09-30 1994-12-20 Xerox Corporation Sorter with stapler actived release gate mechanism
JPH101235A (ja) * 1996-06-13 1998-01-06 Asahi Seiko Kk シート体の払い出し装置
JPH1059613A (ja) * 1996-08-19 1998-03-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排紙機構
JP4991995B2 (ja) * 2006-08-30 2012-08-08 旭精工株式会社 カードの送り出し装置
JP5480592B2 (ja) * 2009-10-23 2014-04-2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送出装置およびカード送出装置の制御方法
CN104016151A (zh) * 2014-05-29 2014-09-03 深圳市创自技术有限公司 暂存器
CN204360394U (zh) * 2014-12-11 2015-05-27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皮带升降式自助退卡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725B1 (ko) 2017-10-18
CN106395439A (zh) 2017-02-15
CN106395439B (zh) 2018-05-18
JP6286697B2 (ja) 2018-03-07
JP2017033535A (ja)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725B1 (ko) 카드 송출 장치
ES2659531T3 (es) Aparato de manipulación de hoja de papel, aparato de transacción automático, y aparato de transporte de hoja de papel
EP3124410B1 (en) Card feeding apparatus
US9708125B2 (en) Card processing apparatus
JP5283519B2 (ja) 景品払出ユニット、景品払出装置および景品払出システム
US20200255240A1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5130508B2 (ja) 紙幣収納庫、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6522491B2 (ja) カード送出装置
JP5687913B2 (ja) カードスタッカのフル検出器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US20180225903A1 (en) Paper sheet storage apparatus and storing method of paper sheet storage apparatus
EP2728558B1 (en) Deposit module
JP5256556B2 (ja) 紙幣収納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5677886B2 (ja) カードスタッカ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JP5714279B2 (ja) 景品払出装置および景品管理システム
JP5294056B2 (ja) 扁平物品の自動払出装置における昇降装置駆動装置
KR101401908B1 (ko) 카드 디스펜서
JP2017117087A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13193879A (ja) カード類の送出し装置
JP2013131030A (ja) 紙幣収納装置
JP2001206603A (ja) 紙幣搬送装置
JP2003016501A (ja) 硬貨収納装置
JPH09240814A (ja) 物品搬送装置
JP2018169647A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2019095979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の制御方法
JP2017151921A (ja) 媒体搬送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