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452A - 복귀 차단 장치를 구비한 로크 실린더 - Google Patents

복귀 차단 장치를 구비한 로크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452A
KR20170012452A KR1020167036700A KR20167036700A KR20170012452A KR 20170012452 A KR20170012452 A KR 20170012452A KR 1020167036700 A KR1020167036700 A KR 1020167036700A KR 20167036700 A KR20167036700 A KR 20167036700A KR 20170012452 A KR20170012452 A KR 2017001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ylinder core
key
retur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리드리히 피퍼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01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with supplementary safety device preventing operation of the starter of an engine already ru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63Ignition switch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60R25/021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 B60R25/02118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with linear bolt motion parallel to the lock axis
    • B60R25/021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with linear bolt motion parallel to the lock axis comprising safety devices avoiding locking until removal of the k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60R25/021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 B60R25/02118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with linear bolt motion parallel to the lock axis
    • B60R25/021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with linear bolt motion parallel to the lock axis comprising safety devices avoiding locking until removal of the key
    • B60R25/0212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with linear bolt motion parallel to the lock axis comprising safety devices avoiding locking until removal of the key using an axially slidable lock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00Locks
    • Y10S70/30Switch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점화 스타터 스위치(50) 또는 스티어링 휠 로크(70)를 위한 로크 실린더(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크 실린더는 실린더 하우징(11) 내에 적어도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실린더 코어(12)를 가지며, 실린더 코어(12) 내에는, 로킹 상태에서는 실린더 하우징(11) 내 실린더 코어(12)의 회전을 방지하고 릴리스 상태에서는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로킹 부재(13)가 제공되며, 실린더 코어(12)를 관통하여 키 채널(12.1)이 연장되고, 이 키 채널 내로 키(14)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 키 채널을 이용하여 로킹 부재(13)가 로킹 상태와 릴리스 상태 간에 이동할 수 있으며, 실린더 코어(12)를 통해 2개 이상의 회전 위치(0, III), 즉, 오프 위치(O) 및 시동 위치(III)가 취해질 수 있으며, 오프 위치(O)에서는 키(14)가 키 채널(12.1) 내에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고, 시동 위치(III)에서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부하 장치, 특히 스타터가 스위치-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 코어(12)의 회전, 특히 단순 회전에 의해 적어도 시동 위치(III)에서 오프 위치(O)로 실린더 코어(12)가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히 기계식 복귀 차단 장치(15)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귀 차단 장치를 구비한 로크 실린더{LOCK CYLINDER HAVING A RESETTING BLOCK}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차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점화 스타터 스위치 또는 스티어링 휠 로크(steering wheel lock)를 위한 기계식 로크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로크 실린더는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적어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 코어를 포함하는 기계적으로 복잡한 부품이다. 또한, 실린더 코어 내에는, 매칭 키가 사용되는 한, 로킹 상태(locking position)에서는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의 실린더 코어의 회전을 방지하고 릴리스 상태(release position)에서는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로킹 부재(locking element)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실린더 코어 내에는 키 채널이 제공되고, 이 키 채널 내로 키의 키 비트(key bit)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키 채널에 의해 로킹 부재가 로킹 상태와 릴리스 상태 간에 이동될 수 있고, 실린더 코어를 통해 2개 이상의 회전 위치, 즉, 오프 위치(off position) 및 시동 위치(start position)가 취해질 수 있으며, 오프 위치에서는 키가 키 채널 내에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고, 시동 위치에서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부하 장치(load), 특히 스타터가 스위치-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17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의 기능 핵심 부품의 차단을 위한 스티어링 휠 로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기능 핵심 부품으로는 스티어링 휠 또는 변속 레버를 생각해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20항의 전제부에 따른, 로크 실린더 또는 스티어링 휠 로크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예컨대 독일 공보 DE 203 21 590 U1호로부터, 자동차를 위한 다양한 로크 실린더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로크 실린더들은, 차량에서 도어 또는 도어용 중앙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해 도어 손잡이의 영역 및 스티어링 휠 로크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로 스티어링 휠 로크 또는 점화 스타터 스위치에서 로크 실린더를 사용할 경우 더욱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는데, 그 이유는 운전자에 의한 오조작은 차량에서 의도하지 않은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스위칭 상태들을 긴박하게 초래할 수 있고, 이러한 스위칭 상태들은 이어서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예컨대 로크 실린더가 의도치 않게 오프 위치로 변위됨으로 인해 예컨대 엔진, 파워 스티어링 장치, 브레이크 부스터,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등과 같은 차량의 모든 전기 부하 장치가 작동 중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사고 위험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추가로, 스티어링 휠 로크에서 사용될 경우, 예컨대 차량의 이미 작동 중인 엔진이 스타터에 의해 재시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형의 로크 실린더에 대한 추가 요건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예컨대 공보 EP 2 253 519 A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시동 반복 차단기가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점화 스타터 스위치 또는 스티어링 휠 로크를 위한 로크 실린더 및 차량용 스티어링 휠 로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증대된 안전성, 특히 파손 안전성 외에 기능 안전성도 갖춘 로크 실린더 또는 스티어링 휠 로크를 위한 작동 방법도 제공하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로크 실린더 및 스티어링 휠 로크의 조작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작동 방법의 적용도 최대한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본원의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히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들을 갖는, 차량 내 적어도 하나의 점화 스타터 스위치 또는 스티어링 휠 로크를 위한 로크 실린더를 통해 해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청구항 제17항의, 특히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들을 갖는, 차량 내 기능 핵심 부품의 차단을 위한 스티어링 휠 로크가 제안된다.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청구항 제20항의 특징들을 갖는, 특히 특징부로 이루어진, 차량에서 로크 실린더 또는 스티어링 휠 로크의 작동을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장치 및 방법 관련 종속 청구항들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에 대해 공개되는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도 적용되고, 각각 그 반대로도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의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도 적용되고, 그 반대로도 적용되며, 그럼으로써 본 발명의 개별 양태들 간에 각각 상호 참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를 위해 이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로크 실린더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 코어의 단순 회전을 통한, 적어도 시동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의 실린더 코어의 복귀를 방지하는 복귀 차단 장치가 제공된다. 언급한 복귀 차단 장치는, 특히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실린더 코어의 복귀를 형상 결합 및/또는 강제 결합 방식으로 차단하는 순수 기계식 또는 전기 기계식 복귀 차단 장치일 수 있다. 그 결과, 실린더 코어의 의도하지 않은 단순 회전에 의해 오프 위치와 그에 따른 엔진 및 기타 전기 부하 장치의 작동 중지 및 경우에 따라서는 심지어 스티어링 스핀들 또는 기타 기능 핵심 부품의 차단이 일어날 수 있는 점이 방지된다. "실린더 코어의 단순 회전"이란 표현은, 엔진의 시동 시 오프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수행되는 것과 같은 실린더 코어의 단독 회전(exclusive rotation)은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오히려, 실린더 코어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을 위한 추가의 의도적인 수동 조작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복귀 차단 장치는 의식적으로 작동되거나 풀려야 한다. 그에 따라, 적어도 오프 위치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키의 종래의 통상적인 역회전을 통한 실린더 코어의 간단한 복귀는 불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경우, 복귀 차단 장치는, 실린더 코어의 단순 회전을 통한, 주행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의, 특히 ACC 위치로의 실린더 코어의 복귀를 방지한다. 이는, 실린더 코어의 단독 회전만으로는 주행 위치로부터 ACC 위치로, 또는 더 나아가 오프 위치로 실린더 코어를 역회전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의미한다. 오히려, 운전자에 의해 복귀 차단 장치의 의도적인 작동이 수행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추가로, 복귀 차단 장치는 실린더 코어의 회전, 특히 단독 회전을 통한, 주행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의 실린더의 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오프 위치로의 실린더 코어의 단순 회전은 도저히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오히려, 실린더 코어가 주행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 또는 심지어 ACC 위치로 전환되어야 한다면, 바로 복귀 차단 장치의 작동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주행 위치로부터 ACC 위치로의 실린더 코어의 복귀는 이미 복귀 차단 장치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오프 위치는 실린더 코어의 복귀 과정에서 ACC 위치 다음에 오기 때문에, 복귀 차단 장치는 매우 이른 시점에 실린더 코어의 의도하지 않은 복귀를 차단하며, 그럼으로써 특히 높은 안전 표준이 실현되는데, 그 이유는 ACC 위치에서(ACC는 축전지를 나타냄) 차량의 전기 부하 장치들이 스위치-온될 수 있고, 실린더 코어가 이미 주행 위치에 있다면 그 스위치-온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순한 단독 회전에 의해 주행 위치에서 다시 ACC 위치로, 또는 심지어 오프 위치로 비의도적 및 비고의적으로 실린더 코어가 전환될 수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 코어는 적어도 3개의 안정된 회전 위치, 즉, 오프 위치, ACC 위치 및 주행 위치를 가지며, 이런 위치에서 실린더 코어는 고정 부재를 통해, 특히 강제 결합 및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예컨대 볼 캐치(ball catch)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안정된 회전 위치들에서 실린더 코어를 고정하기 위해 직접 실린더 코어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실린더 코어는, 키를 통해 약간 증가한 힘 작용만으로, 상기 안정된 회전 위치들에서 바로 다음 회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고정 부재는 하류에 연결된 점화 스타터 스위치 내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점화 스타터 스위치는 실린더 코어의 안정된 회전 위치들을 생성한다. 상응하는 점화 스타터 스위치는 커플링 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로크 실린더와 기계적으로 작동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코어가, 작용하는 추가 회전력에 대항하여서만 도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불안정한 회전 위치, 즉, 시동 위치를 갖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가 회전력은, 불안정한 회전 위치로부터 바로 다음에 오는, 특히 주행 위치로 실린더 코어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불안정한 회전 위치에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실린더 코어가 실수로 주행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에 도달할 수 없는 점도 보장된다.
또한, 이런 점에서 미리 언급할 사항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 코어가 1회 이상, 즉 정확히 1회 주행 위치에서 바로 시동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점을 방지하는 시동 반복 차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시동 위치는 차량에서 내연기관을 위한 스타터를 시동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내연기관이 시동되는 즉시, 스타터는 손상을 피하기 위해 작동 중지되어야 한다. 또한, 매우 바람직하게는, 로크 실린더는, 그 이전에 이미 시동 위치에 1회 도달되었다면, 주행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의 로크 실린더 코어의 재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스타터의 재시동을 방지한다. 오히려, 시동 위치에 1회 도달한 후에 실린더 코어는, 결과적으로 시동 반복 차단 장치를 극복하고 다시 오프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 실린더 코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프 위치로 역회전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복귀 차단 장치가, 시동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의 실린더 코어의 단순 회전 시, 특히 형상 결합 방식으로 실린더 코어를 차단하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에 따라, 키를 통해 실린더 코어에 조금 더 큰 힘이 작용하여도 실린더 코어가 간단히 시동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전환될 수 없는 점이 보장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복귀 차단 장치의 형상 결합은, 이미 앞에서 기재한 것처럼, 주행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만, 또는 ACC 위치로만 실린더 코어를 차단한다. 그에 따라, 복귀 차단 장치의 형상 결합이 파괴되어야만, 실린더 코어가 시동 위치 또는 주행 위치에서 ACC 위치 또는 오프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위한 최대 안전성이 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는, 복귀 차단 장치가, 로킹 상태에서는 주행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의 실린더 코어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차단하고 릴리스 상태에서는 오프 위치로의 실린더 코어의 회전을 허용하는 가변 로킹 부재를 갖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복귀 차단 장치는 로킹 상태에서 가변 로킹 부재로써 주행 위치로부터 ACC 위치로의 실린더 코어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주행 위치에서 ACC 위치 쪽으로 실린더 코어를 미리 차단함으로써, 이미 기재한 것처럼, 로크 실린더의 안전성이 명백히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복귀 차단 장치는 실린더 하우징과 실린더 코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귀 차단 장치의 이미 기재한 형상 결합은, 키와 상호작용하는 로킹 부재들의 경우처럼, 실린더 코어와 실린더 하우징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복귀 차단 장치가 실린더 하우징의 내주면과 실린더 코어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복귀 차단 장치의 측면 배치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의 전체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또는, 실린더 코어의 전면 또는 후면 단부면과 실린더 하우징의 상보적 내부면 사이에 복귀 차단 장치를 배치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런 변형예의 경우, 로크 실린더의 전체 길이는 연장되지만, 로크 실린더의 폭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복귀 차단 장치가 키 채널의 삽입 개구의 영역에 직접 배치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의 특히 조밀한 구성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 로크 실린더의 구현예 및 주어진 장착 치수들에 따라, 복귀 차단 장치는, 키 채널의 삽입 개구로부터 실린더 코어의 맞은편 단부에도 선단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런 구성은 특히, 실린더 코어의 종방향 변위가 복귀 차단 장치의 작동을 위해 제공될 때 바람직하다. 로킹 상태에서 릴리스 상태로의 복귀 차단 장치의 전환을 의미하는 차단된 복귀 차단 장치의 작동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실린더 코어의 종방향 변위를 통해, 또는 로킹 부재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작동 부재의 작동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복귀 차단 장치의 극복을 위한 실린더 코어의 종방향 변위 시, 거의 실린더 코어 자체 또는 키가 작동 부재로서 이용된다. 이 경우, 실린더 코어의 키 채널 내에 끼워진 키에 작용하는 누름력 또는 당김력은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실린더 코어의 종방향 변위, 그리고 그에 따라 로킹 상태에서 릴리스 상태로의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부재의 전환을 야기한다. 물론, 복귀 차단 장치가 추가 작동 부재를 구비한 경우, 상기 추가 작동 부재는, 로킹 상태에서 형상 결합을 분리하고 복귀 차단 장치 또는 로킹 부재를 릴리스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로킹 부재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상응하는 작동 부재는 버튼, 링, 특히 환형 캡(cap)으로서, 또는 (실린더 코어를 종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복귀 차단 장치가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 연장부 내에 배치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는 특히 협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예컨대 도 9a) 내지 g) 및 도 10a) 및 10b) 참조]. 그 밖에도, 복귀 차단 장치는, 스티어링 휠 로크의 경우, 파손 시도 시 외부 접근부로부터 훨씬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안전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로크의 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 복귀 차단 장치는 스티어링 휠 로크의 기능 핵심 부품을 위한 로킹 핀(locking pin)용 제어 부재와 실린더 코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귀 차단 장치는, 실린더 코어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 가동 커플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고정 방식"이란, 실린더 코어의 회전이 복귀 차단 장치의 가동 커플링 부재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상기 운동의 전달을 위해, 실린더 코어 상에 상응하는 커플링 부재가 구동 부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다중 치형부,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복귀 차단 장치 내에 기하학적으로 상보적으로 형성된 상대 부재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커플링 부재를 통해, 실린더 코어의 회전 운동이 가동 커플링 부재 상으로 전달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코어가 가동 커플링 부재와 함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복귀 차단 장치는 로킹 부재 쪽으로 로킹 경로도 가지며, 이 로킹 경로는 적어도 로킹 상태에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며, 이때 로킹 부재가 릴리스 상태에 있음으로써 로킹 부재가 더는 로킹 경로 내에 진입하지 않으면, 특히 형상 결합이 분리되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로킹 부재는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로킹 경로는 로킹 상태에서 로킹 부재를 위한 아치형 또는 L자형 안내 홈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로킹 부재는 실린더 하우징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고, 로킹 경로는 실린더 코어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로킹 경로와 로킹 부재 각각의 상보적 구성도 생각해볼 수 있다. 실린더 하우징 상에 로킹 부재가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의 조립과, 마모 시 있을 수 있는 로킹 부재의 교체가 간편해진다.
또한, 로킹 부재가 제어 경사부를 포함하고, 이 제어 경사부는 상대 제어 경사부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그럼으로써 로킹 부재가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로크 실린더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 결과, 릴리스 상태에서 로킹 상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로킹 부재를 전환하기 위해, 특히 로킹 부재의 종방향 변위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복귀 차단 장치의 작동 부재의 누름 동작이, 로킹 부재의 제어 경사부와 상호작용하여 상응하게 로킹 부재를 변위시키는 상대 제어 경사부의 변위를 생성할 수 있다. 제공되는 스프링에 의해, 로킹 부재는 로킹 상태에서 독자적으로 릴리스 상태로 가압될 수 있다. 제어 부재 자체는 복귀 차단 장치의 고정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대 제어 경사부는 복귀 차단 장치의 고정 부분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가동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실린더 코어 내에 제공되는 로킹 부재들은 이른바 로킹 부재 수용부들 내에 배치되고 이와 동시에 로킹 상태에서 실린더 코어와 실린더 하우징 간의 형상 결합을 실현하기 위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들로서는 특히 안정되고 그에 따라 로크 실린더의 파손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판형 부재들이 이용될 수 있다. 판형 로킹 부재들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로킹 부재들은 키의 키 비트를 위한 관통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판형 로킹 부재들은 실린더 코어 내에서 이리저리 변위될 수 있게 된다. 로킹 상태에서, 로킹 부재들은 실린더 코어로부터 외부면 측으로 인출되어, 로크 실린더 하우징 내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릴리스 상태에서, 모든 로킹 부재들은 실린더 코어 내로 인입되며, 그럼으로써 실린더 코어와 실린더 하우징 간의 형상 결합은 분리되며, 그리고 매칭 키의 삽입을 통해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실린더 코어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의 안전성, 특히 파손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로 하나 이상의 안전 부재가 키 채널의 영역에서 실린더 코어 내에 또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링 형태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로킹 부재처럼 키의 키 비트를 위한 관통 개구를 포함하며, 이 관통 개구는 다소 기하학적으로 키 비트의 외부 윤곽에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적합한 방식으로, 안전 부재는 경화 강재로 구성되며, 그럼으로써 키 채널의 천공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상적인 방식으로, 안전 부재는 관통 개구에 대해 회전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안전 부재는 천공 시도 시 상기 관통 개구를 실린더 코어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안전 부재는 캡의 형태로도 키 채널을 위한 삽입 개구의 전방에, 또는 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부재는 실린더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배치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예컨대 도 9a) 내지 g) 및 도 10a) 및 10b) 참조]. 그에 따라, 로킹 부재 자체는 실린더 하우징으로 향하는 이동을 수행하지 않으며, 오히려 실린더 하우징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게, 더 정확하게 말하면 특히 반경 방향 외주부 상에 배치된다. 또한, 로킹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캠(cam)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는, 최적으로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경로를 따라서 활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활주 경사로(starting slope)의 형태를 보유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으로, 상기 로킹 부재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변위형 커플링 부재로 기계적으로 복귀 차단 장치의 이미 언급한 로킹 경로와 상호작용한다. 적합한 방식으로, 종방향 변위형 커플링 부재는 실린더 코어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커플링 부재는 실린더 코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된다. 그 밖에도, 적합하게는, 종방향 변위형 커플링 부재는 스프링을 통해 스프링 하중을 받으면서 실린더 코어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추가로, 커플링 부재 상에는, 위치 센서를 위한 제어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위치 센서를 통해, 실린더 코어의 회전 위치 또는 이와 결부되는 커플링 부재의 회전은 측정 기술로 검출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커플링 부재 상에 스티어링 휠 로크의 제어 부재를 위한 종방향 가이드가 제공되고, 제어 부재는, 특히 스티어링 칼럼의 형태인 기능 핵심 부품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킹 핀과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 부재도 회전 고정 방식으로, 그러나 가동 커플링 부재 쪽으로(그리고 그에 따라 실린더 코어 쪽으로) (축방향으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어 부재는 구동 부재를 통해 점화 스타터 스위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실린더 코어의 회전 운동을 점화 스타터 스위치 상으로 기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런 구현예의 경우, 제어 부재는 비록 자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그러나 축방향으로는 변위되지 않게 스티어링 휠 로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오히려, 적합하게는, 단지 실린더 코어만이 커플링 부재로 실린더 코어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 쪽으로 (그리고 스티어링 휠 로크의 내부에서도) 변위된다. 커플링 부재와 제어 부재 간의 언급한 종방향 가이드를 통해, 비록 실린더 코어의 회전 운동이 전달되기는 하지만, 그러나 축방향의 종방향 변위는 전달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제어 부재는 회전축으로 향하는 축방향으로 위치 고정 방식으로 스티어링 휠 로크 내에 배치된다. 적합한 방식으로, 제어 부재는 기능 핵심 부품을 위한 로킹 핀과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로킹 핀 자체는 스프링 하중을 받으면서 스프링을 통해 잠금 고정 위치(locking position)의 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기능 핵심 부품 쪽으로 가압된다.
실린더 하우징 쪽으로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 변위를 보조하고 간소화하기 위해, 실린더 하우징과 실린더 코어 사이에 변위 부재가 특히 레버 부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예컨대 도 10a) 및 10b) 참조]. 상기 레버 부재는 적합한 방식으로 고정 회전점을 보유하고, 회전축을 통해서는 실린더 코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변위 부재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레버 부재의 형태에 상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 부재는 2개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점은 상기 두 섹션 사이에 제공된다. 이 경우, 제1 섹션은 로크 실린더를 위한 키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키가 키 채널 내로 삽입되면 제2 섹션은 실린더 하우징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키를 삽입하는 것을 통해, 자동으로 변위 부재가 작동되는데, 그 이유는 키 비트가 변위 부재의 제1 섹션과 접촉하고 그에 따라 변위 부재가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이와 동시에, 제2 섹션은 실린더 하우징 상에서 가압되며, 그럼으로써 실린더 하우징 쪽으로 실린더 코어의 종방향 변위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변위 부재는 키 채널 내로 키를 삽입하는 것을 통해 실린더 하우징 쪽으로의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을 보조한다. 변위 부재의 레버형 형성을 통해, 최적의 힘 전달이 수행되며, 그럼으로써 커플링 부재를 이용한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 변위는 특히 간단하게 진행된다.
커플링 부재를 이용한 실린더 코어의 추가의 종방향 변위는 커플링 부재의 로킹 경로를 따르는 로킹 부재의 활주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예컨대 도 9a) 내지 9g) 및 도 10a) 및 10b) 참조]. 이를 목적으로, 로킹 부재는 이상적인 방식으로 활주 경사로를 포함한 캠으로서 형성되어, 커플링 부재 상의 로킹 경로와 상호작용한다. 커플링 부재 상에서의 로킹 경로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직각인) 단차부(ste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단차부의 안쪽에서는, 의도하는 형상 결합로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로킹 부재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위치한다. 이런 점은, 실린더 코어가 매칭 키를 통해 그의 오프 위치에서 시동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 로킹 부재가 추가 회전에 의해 로킹 경로 내의 단차부 안쪽에 포착되어 로킹 상태에서[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코어의 주행 위치(II)에서] 복귀 차단 장치의 의도하는 형상 결합을 달성할 때까지, 로킹 부재는 로킹 경로를 따라서 종방향 변위형 커플링 부재를 가압한다. 실린더 코어는, 상기 로킹 상태로부터, 단지 키의 작동을 통해서만, 로킹 부재와 로킹 경로의 단차부 간의 형상 결합을 분리하고 그에 따라 실린더 코어를 다시 오프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키의 누름이 커플링 부재를 이용한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의 추가 종방향 변위를 실현하는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귀 차단 장치를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코어의 주행 위치(II)로부터]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목표되는 압력이 키 상에 가해져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에서 형상 결합은 극복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로킹 핀이 키 채널로부터 키의 인출이 수행될 때까지 자유 위치에 머물러 있는 방식으로, 키, 특히 키 비트, 및 스티어링 휠 로크의 로킹 핀과 상호작용하는 키 인출 차단 장치(key withdrawal block)가 제공될 수도 있다. 키 인출 차단 장치를 통해, 마찬가지로 로크 실린더의 (기능) 안전성은 분명하게 증가된다. 그에 따라, 실린더 코어가 오프 위치로 회전될 때조차도, 스티어링 휠 로크의 로킹 핀이 변함없이 자유 위치에 배치되는 점이 보장된다. 단지 키 채널로부터 키의 완전한 인출을 통해서만, 로킹 핀은 그의 잠금 고정 위치로 전환된다. 그 다음 비로소, 차량의 기능 핵심 부품이 스티어링 휠 로크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의 경우, 실린더 코어의 회전, 특히 단순 회전을 통한 적어도 시동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의 로크 실린더의 회전이 방지되며, 바람직하게는 주행 위치 또는 ACC 위치로부터 실린더 코어의 복귀가 복귀 차단 장치를 통해 방지되도록, 이미 제공된 부품들이 본 발명의 핵심인 복귀 차단 장치를 달성하기 위해 수정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예컨대 도 11 내지 도 14 참조). 이를 목적으로, 예컨대 로킹 핀을 위한 제어 부재는 동시에 복귀 차단 장치의 핵심 부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키 인출 차단 장치가 복귀 차단 장치의 부분으로서 이용되고, 여기서 순수 수동형인 키 인출 차단 장치 또는 부분적으로 자동 구동되는 키 인출 차단 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결함이 있을 경우 실린더 하우징으로부터 실린더 코어를 탈거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용되는 실린더 코어를 위한 래치(latch)가 복귀 차단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작동 부재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로킹 부재와 통합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킹 부재는 그의 자유 단부 상에 특히 L자형인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단차부는, 경우에 따라서 (스티어링 휠 로크의 로킹 핀을 위한) 제어 부재 상의 로킹 경로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로크 실린더의 회전축 쪽으로 지향된다. 이 경우, 제어 부재의 상기 로킹 경로는 원호형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런 돌출부도 마찬가지로 L자형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L자형 단차부는 제어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가리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 부재의 상기 원호형 돌출부는 로킹 부재의 자유 단부와 함께 실린더 코어를 위한 기계식 복귀 차단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부재는 실린더 코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고 실린더 코어의 회전을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부재는 실린더 코어의 각각의 축방향 운동을 추종하며, 그럼으로써 두 부품은 서로 상대 운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예컨대 도 11a ~ f 참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코어도 비록 회전 가능하기는 하지만, 그러나 축방향으로는 변위되지 않게 로크 실린더의 실린더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작동 부재와 로킹 부재로 구성되는 공통 부품은 적합한 방식으로 단지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만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파지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을 통해 하중을 받는다. 그 다음, 작동 부재의 버튼을 누름을 통해 시동 위치 또는 주행 위치에서 다시 오프 위치로 실린더 코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귀 차단 장치의 형상 결합이 풀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 언급한 래치는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실린더 코어의 고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예컨대 도 12a ~ e 참조). 이 경우, 로크 실린더는, 적어도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실린더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변위 부재는 실린더 코어와 제어 부재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어 부재는 실린더 코어의 키 채널 내로 키를 삽입할 때 축방향으로 실린더 코어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부재는 축방향으로 실린더 코어 쪽으로 변위될 수 있고 이 실린더 코어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 코어를 위한 래치는 실린더 코어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고 이와 동시에 특히 실린더 하우징의 로킹 경로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 하우징 상에서 로킹 경로는 원호형이면서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단차부는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에서 실린더 코어를 위한 래치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래치와 실린더 하우징 간의 상기 형상 결합은, 실린더 코어의 방향으로 키의 회전 운동을 통해, 실린더 코어가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래치는 로킹 경로의 단차부 안쪽에서 허용됨으로써 풀릴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릴리스 상태에서, 실린더 코어는 다시 적어도 시동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역회전된다. 이를 위해, 로크 실린더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지지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어 부재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며, 제어 부재는 마찬가지로 실린더 코어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키 인출 차단 장치는 복귀 차단 장치의 부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목적으로, 작동 부재는, 결과적으로 로킹 상태에서 릴리스 상태로 복귀 차단 장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키 인출 차단 장치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는 마찬가지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로드형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런 로드형 부재는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스프링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작동 부재를 스티어링 휠 로크 안쪽으로 당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코어 상에는 키를 위한 삽입 개구의 높이에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캠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캠은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에서 작동 부재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실린더 코어의 삽입 개구의 방향 쪽으로 지향되는 작동 부재의 전단부는 L자형 단차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단차부는 반경 방향으로 실린더 코어의 회전축 쪽을 가리킨다. 상기 L자형 단차부의 안쪽에서, 실린더 코어 상의 캠은, 실린더 코어 상에서 견인 시 릴리스 상태로의 복귀 차단 장치의 작동을 실현하기 위해,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예컨대 도 13a ~ g 참조). 또한, 바람직하게는, 키 인출 차단 장치는 스티어링 휠 로크의 로킹 핀을 위한 제어 부재 상의 로킹 경로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이 경우, 키 인출 차단 장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여 자동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 장치는 특히 리프팅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 회전될 수 있는 기계식 로킹 레버 상에 작용한다. 이 경우, 키 인출 차단 장치의 로킹 레버의 자유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스티어링 휠 로크의 로킹 핀을 위한 제어 부재 상의 로킹 경로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에서 형상 결합을 형성한다. 또한, 키 인출 차단 장치는, 예컨대 차량에서 변속단이 체결되지 않았거나, 또는 자동 변속기의 경우 실렉터 레버가 P 위치에 있지 않을 때에도, 결과적으로 실린더 코어로부터 키의 비인가 인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부재와의 형상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으로, 실린더 코어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지만, 그러나 회전 고정 방식으로 스티어링 휠 로크의 로킹 핀을 위한 제어 부재와 연결되며, 실린더 코어의 견인 운동 시 추가 스프링을 통해 방해를 받는 축방향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추가 스프링은, 실린더 코어가 다시 실린더 하우징 내로 당겨지게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복귀 차단 장치는 실린더 코어 상의 회전 고정식 로킹 부재와 함께 실린더 하우징 상의 돌출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예컨대 도 14a ~ j 참조). 이 경우, 실린더 코어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실린더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린더 코어 상의 종방향 변위형 캠은, 축방향으로 실린더 코어 쪽으로 변위 가능하게 로킹 부재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로킹 부재와 상호작용한다. 실린더 코어 내의 상기 종방향 변위형 캠은 실린더 코어 내의 키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키를 삽입하는 것을 통해 축방향으로 실린더 코어에서 그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로킹 부재도 축방향으로 실린더 코어 쪽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킹 부재는, 다시금, 실린더 하우징 쪽으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커플링 부재 상에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방향 가이드가 실린더 하우징과 커플링 부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로킹 부재를 자동으로 종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도 로킹 부재와 제어 부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실린더 하우징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한편으로 제어 부재의 원호형 돌출부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린더 코어를 위한 래치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부재 상의 원호형 돌출부는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계속하여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실린더 하우징 안쪽으로 작동 부재를 가압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작동 부재는 실린더 코어를 위한 래치를 허용하며(이는 이전 형상 결합을 의미함), 그럼으로써 그 다음 실린더 코어는 축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 쪽으로, 특히 실린더 하우징 안쪽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런 실린더 코어의 종방향 변위는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에서 제공된다. 복귀 차단 장치는 실린더 하우징 상의 돌출부 및 로킹 부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으로, 로킹 부재의 자유 단부 상에는 L자형 단차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단차부는 실린더 하우징 상의 돌출부와 함께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를 위한 형상 결합을 형성한다. 키를 누름을 통해, 실린더 코어는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 안쪽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형상 결합은 복귀 차단 장치의 로킹 상태에서 분리된다. 이 경우, 로킹 부재가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이와 동시에 실린더 하우징의 돌출부로부터 자유로워지며, 그럼으로써 그 다음 실린더 코어는 다시 적어도 그의 주행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되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킹 부재는 특히 L자형 단차부를 구비한 자유 단부를 포함하며, 단차부 상에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이상적인 방식으로 실린더 하우징의 돌출부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활주 경사로를 구비한 구동 부재가 배치된다. 또한, 커플링 부재를 실린더 하우징 상의 그 그의 인출된 위치에서 파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스티어링 휠 로크의 로킹 핀을 위한 제어 부재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추가 돌출부가 제어 부재 상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제어 부재는, 결과적으로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제어 부재를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실린더 하우징의 받침부 안쪽에서 파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스티어링 휠 칼럼 또는 기어 시프트 레버와 같은 차량의 기능 핵심 부품의 차단을 위한 스티어링 휠 로크에도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transponder)가 특히 전기 코일의 형태로 키 채널의 삽입 개구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적어도 데이터 교환 및/또는 에너지 전달이 키의 전자 부품 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기계식 키에 추가로, 적어도 차량으로의 전자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키도 이용된다. 이로써 차량에 대한 액티브 또는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접근도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키는 차량 내에서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의 비활성화를 위해서도 적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마찬가지로 상응하는 전자 유닛이 키 내에 제공되어 있어야만 한다. 키 자체는, 전자 유닛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장치(예: 배터리, 축전지)의 형태인 에너지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아쉽게도 에너지 저장 장치의 고장 또는 방전 역시 발생할 수 있다. 키의 전자 유닛이 전원 고장 시에도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 로크 내의 트랜스폰더는 필요한 에너지를 키의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 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의 경우, 적어도 실린더 코어의 회전이 복귀 차단 장치를 통해 로킹 핀 또는 점화 스타터 스위치의 구동을 위한 제어 부재 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20항에 따르는, 차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점화 스타터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 또는 로크 실린더의 작동을 위한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의 경우, 로크 실린더의 작동을 위한 하기 단계들이 제공된다.
a) 실린더 코어의 스위치-온 회전은 매칭 키를 통해 오프 위치로부터 적어도 ACC 위치 또는 주행 위치를 경유하여 시동 위치로 수행된다.
b) 오프 위치로의, 특히 그 앞쪽에 위치하는 ACC 위치로의 키를 통한 실린더 코어의 단순 역회전은 복귀 차단 장치에 의해 차단된다.
c) 특히 복귀 차단 장치의 작동 부재의 작동을 통한 복귀 차단 장치의 수동 작동은 오프 위치로의, 특히 그 앞쪽에 위치하는 ACC 위치로의 키를 통한 실린더 코어의 허용된 역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복귀 차단 장치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린더 코어는 사전에 적어도 주행 위치로 회전되어 있어야만 한다. 이런 주행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ACC 위치 또는 오프 위치로의 실린더 코어의 복귀 회전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조치들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 하기 기재내용 및 도면들에서 제시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로부터 개시된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해서도 적용되며, 그리고 그 반대로도 적용된다. 도면들에는 본 발명이 상이한 실시예들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특허청구범위 및 기재내용에서 언급한 특징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그 자체로서, 또는 서로 임의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핵심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a는 실린더 코어의 오프 위치에서 키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도시한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1b는 실린더 코어의 오프 위치에서 키가 삽입된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도시한, 도 1a의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1c는 복귀 차단 장치를 위한 환형 작동 부재와 함께 로크 실린더의 주행 위치에서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도시한, 도 1a 및 도 1b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2a ~ 2d는, 복귀 차단 장치와의 상호작용으로 실린더 코어의 여러 회전 위치를 각각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도시한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3은 키가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는 외부면 측에 배치되는 복귀 차단 장치용 가이드 경로 및 복귀 차단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와 함께 실린더 코어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복귀 차단 장치의 작동 원리의 설명을 위해 도 3의 영역(Z)을 도시한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7의 실린더 코어를 절단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위한 실린더 코어를 도시한 3차원도이다.
도 8은 키가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를 절단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9a ~ 9g는 실린더 코어의 상이한 회전 위치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포함한 스티어링 휠 로크의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도 9의 실시예에서 실린더 코어 및 가동 커플링 부재의 영역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a ~ 11f는 실린더 코어의 상이한 회전 위치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의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다양한 단면도들이다.
도 12a ~ 12g는 실린더 코어의 상이한 회전 위치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의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다양한 단면도들이다.
도 13a ~ 13g는 실린더 코어의 상이한 회전 위치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의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다양한 단면도들이다.
도 14a ~ 14j는 실린더 코어의 상이한 회전 위치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의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다양한 단면도들이다.
하기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그 동일한 기술적 특징들을 위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이용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10)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로크 실린더(10)의 실린더 하우징(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실린더 코어(12)의 사전 정의된 개별 회전 위치들(0 내지 III)을 잘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목적으로, 실린더 코어(12) 내에 키 채널(12.1)이 제공되고, 이 키 채널 내로 키(14)의 키 비트(14.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크 실린더(10)의 전면측에서 실린더 코어(12) 내에 키(14)를 위한 삽입 개구(12.2)가 제공된다. 매칭 키(14)를 이용하여, 실린더 코어(12)가 3개 이상의 안정된 회전 위치, 즉, 오프 위치(O), ACC 위치(I) 및 주행 위치(II)로 회전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추가 회전 위치, 즉, 시동 위치(III)가 하나 더 존재하지만, 이 시동 위치는 실린더 코어(12)의 불안정한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이 회전 위치에서는 실린더 코어를 다시 주행 위치(II)로 이동시키려면 실린더 코어(12) 상에 역회전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잘 알 수 있듯이, 통상적으로 실린더 코어(12)는 오프 위치(O)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후행하는 회전 위치들(I, II 및 III)로 회전된다. 주행 위치(II)로부터 ACC 위치(I)로, 또는 더 나아가 오프 위치(O)로의 실린더 코어(12)의 복귀는 제공되는 복귀 차단 장치(15)에 의해 차단된다. 그럼에도 ACC 위치(I) 또는 오프 위치(O)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작동 부재(19)를 통한 복귀 차단 장치(15)의 작동이 수행되어야 하고, 그럼으로써 복귀 차단 장치(15)가 자신의 로킹 상태(A)에서 릴리스 상태(B)로 전환되며, 이 위치에서는 실린더 코어(12)가 다시 단순 역회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실린더 코어(12)가 동시에 복귀 차단 장치(15)의 작동 부재(19)로서도 이용된다. 이 경우, 실린더 코어(12)는 주행 위치(II)에서, 복귀 차단 장치(15)를 극복하기 위해, 압입될 수 있다.
도 1b에는, 앞서 언급한 작동 부재(19)가 버튼(19.1)으로서 제공된다. 본 예시에서, 실린더 코어(12)가 매칭 키(14)에 의해 그 주행 위치(II)에서 ACC 위치(I)로, 또는 심지어 오프 위치(O)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복귀 차단 장치(15)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작동 버튼(19.1)을 누를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는, 명료한 설명을 위해, 키(14)가 키 채널(12.1)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런데 도 1b에서는 실린더 코어(12)가 여전히 오프 위치(O)에 있고, 그럼으로써 키(14)는 실린더 코어(12) 내에 삽입되어 있기는 하지만, 아직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로크(70)에서 대부분의 전기 부하 장치는 스위치-오프되어 있다.
도 1c에서는, 복귀 차단 장치(15)를 위한 상이하게 형성된 작동 부재(19)가 이용된다.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작동 부재(19)는 링(19.2)으로서 형성된다. 이 링(19.2)도 마찬가지로, 복귀 차단 장치(15)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압입되어야 한다. 도 1c에서, 실린더 코어(12)는 주행 위치(II)에 있으므로, ACC 위치(I)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단순 역회전은 오직 복귀 차단 장치(15)의 작동(눌림을 의미함)을 통해서만 가능해진다.
도 2a 내지 도 2d에는,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 실린더 코어(12)의 개별 회전 위치들(O 내지 III)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동시에 복귀 차단 장치(15)의 작동 원리가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도 2a 내지 도 2d의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코어(12)의 단부면에 배치되는 복귀 차단 장치(15)가 사용된다. 이 경우, 복귀 차단 장치(15)는 전방 측[삽입 개구(12.2)의 영역을 의미함] 또는 후방 측에서 실린더 코어(12)의 단부면들과 실린더 하우징(11)의 대향하는 단부면들 사이에 배치된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복귀 차단 장치(15)는 핀 유형의 로킹 부재(16)를 가지며, 이 로킹 부재는 로킹 상태(A)에서 그루브 형태의 로킹 경로(17)와 상호작용한다. 이를 목적으로, 로킹 경로(17)는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 하우징(11)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킹 부재(16)는 실린더 코어(1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실린더 코어와 함께 회전한다. 더 명료한 설명을 위해, 도 2a 내지 도 2d에서는 키(14)의 도시를 의도적으로 생략했지만, 키가 없으면 실린더 코어(12)는 통상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 회전할 수 없다.
도 2a에서, 실린더 코어(12)는 주행 위치(II)에 있다. 파선으로 표시된 복귀 차단 장치(15)에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핀 형태의 로킹 부재(16)가 로킹 경로(17) 내에 형상 결합 방식(20)으로 맞물린다. 그럼으로써, 복귀 차단 장치(15)는 그의 로킹 상태(A)에 위치하며, 그에 따라 ACC 위치(I) 또는 오프 위치(O)로 실린더 코어(12)를 전환할 수 있으려면 복귀 차단 장치(15)의 작동이 필요하게 된다.
도 2b에 따라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핀 형태의 로킹 부재(16)는 실린더 코어(12)와 함께 회전하는 동시에, 그에 상응하게 원호형 로킹 경로(17) 상에서, 또는 그 내에서 함께 움직인다. 도 2b에서, 실린더 코어(12)는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상태(A)이기도 한 시동 위치(III)에 있다.
도 2c 및 도 2d에서는, 각각 복귀 차단 장치(15)가 그의 릴리스 상태(B)에 위치하며, 이런 릴리스 상태에서는 로킹 경로(17)와 핀 형태의 로킹 부재(16) 간의 형상 결합(20)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2c에서, 실린더 코어(12)는, 두 회전 위치(II 및 III)로부터 복귀 차단 장치(15)의 작동을 통해서만 도달될 수 있는 ACC 위치(I)에 있다. 도 2d에서 실린더 코어(12)는 오프 위치(O)에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원호 형태의 로킹 경로(17)를 회전 위치(I)에까지 돌출되도록 연장함으로써, 복귀 차단 장치(15)가 로킹 상태(A)에서 여전히 ACC 위치(I)에 존재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결과적으로, 회전 위치들(III, II 또는 I)로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오프 위치(O)로 실린더 코어(12)를 역회전시킬 수 있기 위해, 복귀 차단 장치(15)가 먼저 ACC 위치(I)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도 3에는, 로크 실린더(10)의 개략적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타원형 영역(Z) 내에,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경로(17)와 로킹 부재(16)의 상호작용이 표시되어 있다. 복귀 차단 장치(15)는 자체적으로, 누름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환형 작동 부재(19.2)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키(14)를 회전시키는 데 이용되는 키 헤드(14.2) 및 이에 인접하는 키 비트(14.1)를 가진 키(14)도 도시되어 있다. 통상, 키 헤드(14.2)에는 열쇠 고리용 구멍도 제공된다. 또한, 도 3에서는, 바람직하게 키 헤드(14.2)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14.3)을 추가로 구비한 기계식 키(14)가 이용된다. 상기 전기 부품(14.3)은 전자 키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전자 키는 예컨대 중앙 잠금장치 또는 이모빌라이저 또는 엔진 관리 장치와 같은 차량측 보안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로크 실린더(10)는 키(14)용 트랜스폰더(25)를 포함한다. 이 트랜스폰더(25)를 통해, 전자 부품(14.3)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전기 에너지가 로크 실린더(10)에서 키(14)로 전달될 수 있다. 로크 실린더(10)에는 개략적이긴 하지만 시동 반복 차단부(27) 및 키 인출 차단 장치(26)도 제공되어 있다. 키 인출 차단 장치(26) 및 시동 반복 차단부(27)의 기능은 앞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다. 로크 실린더(10)에서 특히 단부면에는, 점화 스타터 스위치(50)가 배치되며, 이 경우 실린더 코어(12)의 회전 운동은 로크 실린더(10)로부터 커플링 부재(52)를 통해 점화 스타터 스위치(5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커플링 부재(52)는 실린더 코어(12)의 단부면 끝에 플랜지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플랜지는 점화 스타터 스위치(50)의 대응 플랜지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한다(도 8에서도 볼 수 있음).
도 4에는, 실린더 코어(12)만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L자형 로킹 경로(17)가 외부면(12.1)에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로킹 상태(A)에서 L자형 로킹 경로(17) 내에서의 로킹 부재(16)의 가능한 위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로, 실린더 코어(12)의 외주면(12.3) 상에서 로킹 부재(16)의 릴리스 상태(B) 도 도시되어 있으며, 이 릴리스 상태에서는 로킹 부재(16)가 L자형 로킹 경로(17) 내에 형상 결합 방식(20)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L자형 로킹 경로(17)로부터 로킹 부재(16)를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L자형 로킹 경로(17)의 내부에 경사면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사면의 일측은 로킹 경로(17) 내에서 가장 안쪽의 리세스로부터 실린더 코어(12)의 외주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경사부는 예컨대 L자형 로킹 경로(17)의 짧은 수평 섹션 내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때 경사면은 삽입 개구(12.2)의 방향으로 외부면(12.1)에서 종결된다(도 4의 우측의 개략적 단면도 참조). 이렇게, 키(14)를 통해 실린더 코어(12)가 눌리면, 예컨대 실린더 코어(12)는 주행 위치(II)에서 ACC 위치(I)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동작에 의해, 실린더 코어(12)는 종방향으로 변위되는데, 이는 키 채널(12.1)의 방향으로 변위됨을 의미한다. 상기 종방향 변위에 의해, 로킹 부재(16)는, 실린더 코어(12)의 외주면(12.1)에 도달할 때까지, L자형 로킹 경로(17) 내의 경사면 위를 따라 (도 4의 우측에 명시된 것처럼) 활주한다. 이 경우, 로킹 부재(16)와 로킹 경로(17) 간의 형상 결합(20)이 분리됨으로써, ACC 위치(I) 또는 오프 위치(O) 쪽으로의 추가 복귀가 가능해진다.
도 5a 및 도 5b에는, 스프링(18)에 의해 복귀 차단 장치(15)의 고정 부분(15.1) 내에 배치되어 있는 핀 형태의 로킹 부재(16)를 구비한 복귀 차단 장치(15)의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서, 복귀 차단 장치(15)는 로킹 상태(A)에 있음으로써, 형상 결합(20)이 작용하고 있다. 이때, 핀 형태의 로킹 부재(16)의 첨단부가 로킹 경로(17)의 그루브 내에 맞물려 있다. 이 형상 결합(20)은 복귀 차단 장치(15)의 가동 부분(15.2)의 변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분(15.2)은 예컨대 작동 부재(19)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로킹 상태(A)로부터 릴리스 상태(B)로의 복귀 차단 장치(15)의 전환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작동 부재를 가압하기만 하면 된다. 이는 도 5a에 수평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19)의 누름은 가동 부분(15.2)의 변위를 야기하며, 이때 로킹 부재(16)가 로킹 경로(17)의 그루브 밖으로 이동한다. 이를 목적으로, 후방 단부[로킹 부재(16)의 첨단부의 맞은편 단부]에는 제어 경사부가 배치되고, 이 제어 경사부는 복귀 차단 장치(15)의 가동 부분(15.2) 상의 또 다른 상대 제어 경사부와 상호작용한다. 전술한 작동 부재(19) 누름 동작을 통해, 가동 부분(15.2)이 좌측으로 변위되고(도 5a를 도 5b와 비교), 그럼으로써 로킹 핀(16)이 복귀 차단 장치(15)의 가동 부분(15.2) 상의 상대 제어 경사부를 따라 활주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18)이 로킹 경로(17)의 그루브 밖으로 로킹 부재(16)를 밀어낸다. 이때, 로킹 경로(17)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실린더 코어(12) 내에서 외주면(12.3)에 배치될 수 있다. 복귀 차단 장치(15)의 가동 부분(15.2)이 다시 우측으로 변위되는 즉시, 상기 가동 부분(15.2)은 다시 실린더 코어(12)의 방향으로 로킹 부재(16)를 가압하고, 그럼으로써 형상 결합(20)이 다시 달성될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실린더 코어(12)만이 3차원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단부측에서 키 채널(12.1)이 센터링되어 실린더 코어(12) 내에 제공되고, 상기 키 채널을 관통하여 개별 로킹 부재들(13)이 매칭 키(14)에 의해 실린더 코어(12) 내에서 그의 릴리스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도 6 참조). 로킹 부재들(13)이 로크 실린더(10) 내부에서 원하는 운동을 가하도록 하기 위해, 로킹 부재들은 개별적으로 상응하는 스프링들(12.7)로 가압된다. 로킹 부재들(13)은 판형으로 키 비트(14.1)를 위한 어느정도 중심부의 관통 개구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판형 로킹 부재들(13)의 조립은 로킹 부재 수용부(12.8)를 통해 수행된다. 스프링들(12.7)을 위해 추가로, 조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구멍들(12.9)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는, 키 채널(12.1) 내에서 키 비트(14.1)를 위한 관통 개구를 포함하여 회전 대칭형으로 형성된 디스크형 안전 부재(12)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전 부재(22)는, 특히 천공 시도 시 추가적인 파손 방지를 유도하기 위해, 경화 재료를 포함한다. 안전 부재(22)를 위해, 실린더 코어(12) 내에 수납 포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실린더 코어(12) 내에는 개략적으로만 L자형 로킹 경로(17)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로킹 경로(17)는 실린더 코어(12)의 외부면(12.3)에 제공된다. 또한, 실린더 코어(12)의 후방 단부[삽입 개구(12.2)의 반대편 단부]는 점화 스타터 스위치(50)를 위한 커플링 부재(52)를 갖는다. 이 경우, 커플링 부재(52)는 상응하는 홈을 가진 플랜지로서 형성된다.
도 6에는, 도 7의 실린더 코어(12)를 절단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횡단면도에서, 판형 로킹 부재(13)는 그의 릴리스 상태에 위치해 있다. 이 경우, 로킹 부재는 완전히 실린더 코어(12) 내부에 배치된다. 로킹 상태에서 판형 로킹 부재는, 실린더 하우징(11)의 내주면(11.1) 내에 제공된 실린더 하우징(11)의 리세스(11.2) 안쪽으로 돌출되며, 그럼으로써 실린더 코어(12)와 실린더 하우징(11) 사이의 형상 결합이 식별 가능해진다. 로킹 부재(13)가 키(14)의 인출 시 자발적으로 로킹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스프링(12.7)이 제공된다.
도 8에는, 실린더 코어(12)의 키 채널(12.1) 내로 키(14)가 삽입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70)를 절단한 종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스티어링 휠 로크(70)는 차량의 기능 핵심 부품을 위한 로킹 핀(71)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 8의 사례에서는, 차량의 기능 핵심 부품을 차단하기 위해 로킹 핀(71)이 인출되어 있다. 로킹 핀(71)은 그 자체로 실린더 코어(12)의 회전에 의해 상응하는 전달 부재를 통해 이리저리 변위된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 코어(12)의 회전이 단부면에 배치된 점화 스타터 스위치(50)에서도 작용하며, 이 점화 스타터 스위치도 마찬가지로 삽입 개구(12.2)의 대향 단부에 배치된다. 도 8에는, 하나의 회전점을 갖는 양측 틸팅 레버로서 형성된 키 인출 차단 장치(26)도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틸팅 레버는 거의 키 비트(14.1)를 스캔하고, 키 비트(14.1)가 키 채널(12.1) 밖으로 완전히 인출되면 비로소 로킹 핀(71)의 릴리스를 야기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10) 내에서, 또는 스티어링 휠 로크(70) 내에서 기계식 복귀 차단 장치(15)의 3개의 가능한 위치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복귀 차단 장치(15)는 바람직하게 실린더 코어(12)와 실린더 하우징(11) 사이에 배치된다. 삽입 개구(12.2)의 근처에 도시된 복귀 차단 장치(15)는 실린더 코어(12)의 단부면에 제공된다. 키 비트(14.1)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추가 복귀 차단 장치(15)는 외부면에서 실린더 코어(12)와 실린더 하우징(11)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도시된 커플링 부재(52)의 영역에 복귀 차단 장치(15)의 선택적 배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g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10)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매칭 키(14)를 이용한 상이한 회전들을 통해 취해지는 실린더 코어(12)의 개별 위치들(O 내지 III)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도면들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단 하나의 실시예만이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하기에 언급되는 특징들은 도 9의 모든 도면에 관련된다.
도 9a에는, 키(14)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스티어링 휠 로크(7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가동 커플링 부재(15.3)를 포함한 복귀 차단 장치(15)가 이용되고, 관련 로킹 부재(16)가 외주연의 영역에서 로크 실린더(10)의 실린더 하우징(11)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로킹 부재(16)는 활주 경사로의 형태인 구동 부재(16.2)를 포함한 캠(16.1)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로킹 부재(16)는, 복귀 차단 장치(15)를 형성하기 위해, 가동 커플링 부재(15.3)의 제어 경로(17)와 상호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 코어(12)는, 특히 커플링 부재(52)를 통해 가동 커플링 부재(15.3)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다중 치형부 또는 다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된다. 실린더 코어(12)는 본 실시예에서 가동 커플링 부재(15.3)에 대해 어떠한 상대 운동도 수행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복귀 차단 장치(15)는 실린더 코어(12)의 축방향 연장부 내에 배치되며, 복귀 차단 장치(15)에 제어 부재(72)는 축방향으로 연결되지만, 이 제어 부재는 종방향 가이드를 통해 가동 커플링 부재(15.3)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 부재(72)는 스티어링 휠 칼럼의 형태인 기능 핵심 부품을 위한 로킹 핀(71) 상에 기계적으로 작용한다. 도 9a에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로킹 핀(71)은 그의 잠금 고정 상태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로킹 핀은 기능 핵심 부품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차단한다. 이를 목적으로, 스티어링 휠 로크(70) 상에는 고정 수단(75)이 위치하며, 그에 따라 스티어링 휠 로크(70)는 스티어링 칼럼 상에 파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형 수용부(75.1)가 스티어링 휠 로크(70) 상에 제공되고, 이 수용부 안쪽으로 잠금 고정 상태에 있는 로킹 핀(71)도 돌출된다. 로킹 핀(71) 자체는, 로킹 핀(71)을 잠금 고정 상태로 가압하는 스프링(73)에 의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다. 축방향으로 실린더 코어(12) 및 복귀 차단 장치(15) 그리고 제어 부재(72)에 점화 스타터 스위치(50)가 연결되며, 이 점화 스타터 스위치는 제어 부재(7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어 부재(72) 상의 종동부(72.1)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제어 부재(72) 상의 상기 종동부(72.1)는 축방향 단부에, 점화 스타터 스위치(50)에 그에 상응하게 상보적으로 형성된 상대 종동부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제어 부재(72)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중 치형부, 다각형 등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9b에는, 키(14)가 키 채널(12.1) 내로 어떻게 삽입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 동작에 의해, 변위 부재(23)(이에 대해서는 도 10a 및 10b 참조)를 이용한 실린더 코어(12)의 종방향 변위가 생성된다. 그 결과, 실린더 하우징(11)과 가동 커플링 부재(15.3) 사이에, 앞서 도 9a에서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던 이격 간격(d)이 발생한다. 가동 커플링 부재(15.3)를 이용한 실린더 코어(12)의 이러한 축방향 길이 변위를 통해, 로킹 부재(16)가 그의 단차형 리세스(17.1)로부터 가동 커플링 부재(15.3)의 로킹 경로(17) 내에 도달한다. 로킹 경로(17)는 가동 커플링 부재(15.3)의 단부면에 제공된다. 도 9b에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이격 간격(d)은, 특히 활주 경사로의 형태인 구동 부재(16.2)가 이제 로킹 경로(17)의 모서리형 에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동 커플링 부재(15.3)로부터 로킹 부재(16)가 멀어지도록 한다. 오프 위치(O)로부터 ACC 위치(I)의 방향으로 키(14)를 회전시키면, 실린더 하우징(11)과 가동 커플링 부재(15.3) 간의 이격 간격(d)이 계속 확장되며, 이는 도 9c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9c에서, 이제 키(14)는 그의 오프 위치(O)로부터 ACC 위치(I)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제 로킹 부재(16)의 수평 섹션이 로킹 경로(17)의 수평 섹션을 따라 활주할 수 있게 된다. 도 9a, 9b 및 9c에서, 로킹 핀(71)은 여전히 잠금 고정 상태에 있으며, 그럼으로써 로킹 핀은 기능 핵심 부품을 차단할 수 있다. 시동 위치(III)의 방향으로 키(14)가 추가 회전하면 이제 로킹 핀(71)의 인입이 구현되고, 그럼으로써 잠금 고정 상태에서의 기능 핵심 부품과 로킹 핀(71) 간의 형상 결합은 분리된다. 도 9d에서는, 이제 로킹 핀(71)이 더 이상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수용부(75.1)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점을 잘 알 수 있다. 여기서, 로킹 핀은, 가동 커플링 부재(15.3)를 통해 제어 부재(72) 상으로 전달되었던 실린더 코어(12)의 추가 회전에 의해 이동되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 운동은 제어 부재(72)를 통해서도 점화 스타터 스위치(50) 상으로 전달된다. 도 9d에는, 실린더 코어(12)가 그의 시동 위치(III)에 도시되어 있다.
도 9e에서는, 스프링 하중을 받는 시동 위치(III)로부터 주행 위치(II)의 방향으로 실린더 코어(12)의 역회전이 수행된다. 그에 따라, 도 9e에서, 실린더 코어(12)는 주행 위치(II)에 위치한다. 이때, 로킹 핀(71)은 계속 인입되어 있다. 여기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이제 로킹 경로(17) 내의 단차부(17.1)가 로킹 부재(16)의 캠(16.1)과 함께 형상 결합(20)을 형성한다. 이로써, 복귀 차단 장치(15)는 그의 로킹 상태(A)에 배치된다. 복귀 차단 장치(15)는, 상응하는 형상 결합(20)이 풀릴 때에만, 상기 로킹 상태(A)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복귀 차단 장치(15)의 의도적인 작동 및 그에 따른 형상 결합(20)의 해제를 야기하기 위해, 실린더 코어(12)의 방향으로 키(14)를 밀어야 한다(이는 축방향 압입을 의미함).
도 9f에는, 도 9e에 비해 회전을 수반하지 않은, 키(14)의 압입 운동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 결과, 로킹 경로(17) 상의 상응하는 단차부(17.1)에 의해, 로킹 부재(16)와 제어 경로(15.5) 간의 형상 결합(20)이 허용되도록 하기 위해, 실린더 하우징(11)과 가동 커플링 부재(15.3) 간의 이격 간격(d)이 확장되었다. 여기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로킹 부재(16)의 캠(16.1)은 더 이상 가동 커플링 부재(15.3)의 로킹 경로(17)의 단차부(17.1) 안쪽에 배치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오프 위치(O)의 방향으로 키(14)의 추가 회전이 야기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9f에서 실린더 코어(12)는 여전히 [형상 결합(20) 없이] 주행 위치(II)에 위치한다.
그 다음, 도 9g에는, 주행 위치(II)로부터 오프 위치(O)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키(14)의 역회전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로킹 부재(16)는 먼저 가동 커플링 부재(15.3)의 로킹 경로(17)를 따라 활주하다가, 다시 로킹 경로(17)의 단차형 리세스 내로 인입될 수 있을 때까지 활주하며, 이는 점화 스타터 스위치(50)의 반대편 방향으로 실린더 코어(12)의 축방향 길이 변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d 내지 도 9g에서, 로킹 핀(71)은 계속 릴리스 상태에 위치하며, 그럼으로써 로킹 핀(71)과 기능 핵심 부품 간에 형상 결합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로킹 핀(71)도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고정 수단(75)의 수용부(75.1)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실린더 코어(12)의 회전 위치를 측정 기술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플링 부재(15.3)의 제어 경로(15.5)와 상호작용하는 위치 센서(74)가 제공되며, 이는 도 9a 내지 도 9c에서 잘 알 수 있다. 가동 커플링 부재(15.3)의 종방향 변위에 의해 그리고 회전에 의해, 실린더 코어(12)의 회전 위치도 위치 센서(74)를 통해 신뢰성 있게 검출된다.
다음, 도 10a 및 10b에는, 축방향으로 복귀 차단 장치(15)가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 코어(12)의 영역에서 도 9의 도면들의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70)를 절단한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 코어(12) 내에서 회전점(23.3)의 둘레에 배치되는 변위 부재(23)의 작동 원리가 명백해진다. 회전점(23.3)은 동시에, 실린더 코어(12) 상에서 변위 부재(23)를 위한 고정축이기도 하다. 또한, 변위 부재(23)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으로 구성되며, 그럼에도 변위 부재는 레버 형태로 형성된다. 변위 부재(23)는 제1 섹션(23.1)과 제2 섹션(23.2)을 가지며, 이들 섹션 사이에 대략적으로 회전점(23.3)이 배치된다. 지렛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제1 섹션(23.1)이 제2 섹션(23.2)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먼저 도 10a에는, 아직 키(14)가 실린더 코어(12)의 키 채널(12.1)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다. 그에 따라, 변위 부재(23)는 정지 상태에 있다. 이런 정지 상태에서는 실린더 코어(12)도 축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11)을 향해 변위되지 않는다.
키 채널(12.1) 내로의 키(14) 삽입을 통해,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변위 부재(23)의 회전 운동이 수행된다. 이때, 키(14)의 키 비트(14.1)의 키 첨단부가 변위 부재(23)의 제2 섹션(23.2)을 밀어내며, 그럼으로써 회전점(23.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수행되고, 제1 섹션(23.1)은 실린더 하우징(11)의 돌출부(11.3)에 지지된다. 이런 회전 운동을 통해, 실린더 하우징(11) 쪽으로 이격 간격(d)을 수반하는 실린더 코어(12)의 축방향 변위가 야기된다. 이와 동시에, 가동 커플링 부재(15.3)도 실린더 코어(12)와 함께, 이미 도 9의 도면들에서 상세하게 기재한 것처럼,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그에 따라 도 9b에서 실린더 코어(12)의 위치는 도 10b에서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적용된다.
도 11a 내지 도 11f에는, 적어도 실린더 하우징(11)뿐만 아니라, 복귀 차단 장치(15)를 구비한 실린더 코어(12)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10)를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12, 도 13 및 도 14에도 적용된다. 또한, 도 11의 도면들에서의 실시예의 경우, 작동 부재(19)는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실린더 하우징(11) 내에 배치되고 스프링(18)에 의해 하중을 받으며, 이 스프링은 키(14)의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작동 부재(19)를 가압한다. 작동 부재(19)는 동시에 제어 부재(72)와 상호작용하는 로킹 부재(16)로서도 이용된다. 이를 위해, 제어 부재(72) 상에는, 특히 반경 방향 외측을 가리키는 L자형 단차부를 구비한 원호형 돌출부(72.3)가 제공된다. 도 11의 실시예의 경우, 복귀 차단 장치(15)는 제어 부재(72)의 원호형 돌출부(72.3)와 함께 로킹 부재(16)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경우, 특히 키 인출 차단 장치(26)의 로킹 레버(26.1)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리프팅 자석 형태의 구동 장치(26.3)를 구비한 자동 키 인출 차단 장치(26)가 제공된다. 로킹 레버(26.1)는 고정 회전점(26.2)을 가지며, 이 회전점을 중심으로 로킹 레버(26.1)가 구동 장치(26.3)에 의해 회전된다.
도 11a에서, 키(14)는 실린더 코어(12) 내에서 오프 위치(O)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복귀 차단 장치(15)는 릴리스 상태(B)에 놓인다. 실린더 코어(12)는 그 자체로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 축 상에서 회전만 가능하고 축방향 변위는 불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어 부재(72)는 실린더 코어(12)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단단히 연결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제어 부재는 실린더 코어(12)와 함께 회전되며, 이는 실린더 코어(12)와 제어 부재(72) 간의 회전 고정식 연결을 의미한다.
(우측에 그에 상응하는 절개 부분 확대도를 포함하는) 도 11b에서는, 이제 실린더 코어(12)가 ACC 위치(I) 및 주행 위치(II)의 영역 내 어딘가에 위치하며, 복귀 차단 장치(15)는 여전히 릴리스 상태(B)에 놓여 있다. 도 11b의 두 도면에 따라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제어 부재(72)의 원형 돌출부(72.3)는 바로 로킹 부재(16)의 자유 단부(16.3)에 접촉한다(확대도로서 도 11b의 우측 도면 참조). 이제 키(14)의 시계 방향으로 실린더 코어(12)의 추가 회전에 의해, 제어 부재(72)의 원형 돌출부(72.3)가 특히 로킹 부재(16)의 활주 경사로의 형태인 구동 부재(16.2)를 따라 활주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로킹 부재(16)는 스프링(18)에 대항하여 실린더 하우징(11) 안쪽으로 당겨진다. 원호형 돌출부(72.3)는 자체에 쐐기형 로킹 경로(17)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단차부(17.1)를 갖는다.
도 11c에서, 실린더 코어(12)는 이제 시동 위치(III)로 회전되고, 제어 부재(72)의 원호형 돌출부(72.3)를 통해 로킹 부재(16)에 대한 접촉이 다시 해제되었다. 그럼에도, 실린더 코어(12)는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상태(A)에서 형상 결합(20)에 의해 고정된다(도 11d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 부재(19)는 통합된 로킹 부재(16)와 함께 스프링(18)에 의해 도 11a의 원래 위치로, 더욱 정확하게는 실린더 하우징(11)으로부터 키(14)의 방향으로 다시 이동된다. 이제 (우측에 그에 상응하는 절개 부분의 확대도를 포함하는) 도 11d에 따라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비록 실린더 코어(12)는 시동 위치(III)로부터 주행 위치(II)로 전환되기는 하지만, 그러나 여기서는 이제 형상 결합(20)이 바로 식별될 수 있고 ACC 위치(I) 또는 오프 위치(O)로 복귀 차단 장치(15)에 의한 추가 회전을 방지한다. 이 경우, 이제 로킹 부재(16)의 자유 단부(16.3)는, 실린더 코어(12)와 함께 회전되는 제어 부재(72)의 (시계 반대 방향의) 회전 경로 내로 돌출된다. 이런 형상 결합은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 부재(19)의 버튼(19.1)을 누르는 것만으로 풀릴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작동 부재(19)는 통합된 로킹 부재(16)와 함께 실린더 하우징(11) 안쪽으로 더 깊게 압입되어 이동되며, 그럼으로써 로킹 부재(16)의 자유 단부(16.3) 상의 단차부가 제어 부재(72)의 원호형 돌출부(72.3)를 노출시키고, 이는 도 11b에 따라서 알 수 있는데, 이는 여기서 작동 부재(19)의 종방향 변위가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의 버튼(19.1) 누름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주행 위치(II)로부터 실린더 코어(12)의 역회전을 간소화하기 위해, 추가로 원호형 돌출부(72.3)의 경우 로킹 부재(16)의 자유 단부(16.3)를 위한 활주 경사로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부재(72)의 원호형 돌출부(72.3)가 로킹 부재(16)의 자유 단부(16.3)와 중첩되는 즉시, 형상 결합(20)이 분리됨으로써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상태(A)에서 벗어나서 릴리스 상태(B)에 도달하게 된다. 도 11f에서, 실린더 코어(12)는 실린더 코어가 이미 벗어난 주행 위치(II)와 ACC 위치(I) 또는 오프 위치(O) 사이에 위치된다. 그 다음, 상기 위치로부터, 실린더 코어(12)는 복귀 차단 장치(15)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작동 없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며, 이 경우, 제어 부재(72)와의 기계적 상호작용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즉시, 스프링(18)이 로킹 부재(16)가 통합된 작동 부재(19)를 자동으로 그 초기 위치로 다시 가압한다.
그 다음, 도 12a 내지 12g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10)를 가진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실린더 하우징(11)의 로킹 경로(17)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래치(28)가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부재(16)로서 작용하며, 그럼으로써 전체 복귀 차단 장치(15)가 형성된다. 더 나은 명확성을 위해, 스티어링 휠 로크(70)는, 관련 부품들을 더 잘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있다. 도 12a에서는, 여전히 키(14)가 실린더 코어(12) 내로 삽입되어 있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실린더 코어는 오프 위치(O)에 위치하고 복귀 차단 장치 역시 릴리스 상태(B)를 취한다. 실린더 코어(12)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그러나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로킹 핀(71)을 위한 제어 부재(72)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실린더 코어(12)와 제어 부재(72) 사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변위 부재를 통해서는, 실린더 코어(12)가 회전할수 있게 되는 정지 위치에 이르기까지 키(14)가 키 채널(12.1) 내로 삽입될 때, 제어 부재는 축방향으로 실린더 코어(12) 쪽으로 변위된다. 도 12b에는, 삽입된 키(14)가 오프 위치(O)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미 언급한 것처럼, 제어 부재(72)는 축방향으로 실린더 코어(12)로부터 이격되었으며, 이는 이격 간격(d)으로 명시되어 있다. 도 12c의 도면들에서는 ACC 위치(I)와 주행 위치(II) 사이에서 실린더 코어(12)의 동일한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다만 관점이 상이할 뿐이다. 통상 실린더 하우징(11)으로부터 실린더 코어(12)의 교체 가능성을 위해 제공되는 래치(28)는, 이 경우 실린더 하우징(11) 상의 제어 경로(17)로부터 그 래치가 반경 방향으로 실린더 코어(12) 쪽으로 가압됨으로써 기계적 하중을 받는다. 이를 위해, 실린더 하우징(11) 상에는 반경 방향으로 가늘어지며 단차부(17.1)를 갖는 로킹 경로(17)로서 원호형 돌출부가 제공된다(도 12c의 우측 도면 참조). 복귀 차단 장치(15)는 래치(28)의 형태인 로킹 부재(16)와, 로킹 경로(17)를 구비한 실린더 코어(12)로 형성된다.
도 12d 및 도 12f에서, 복귀 차단 장치(15)는 로킹 상태(A)에 위치되며, 그럼으로써 형상 결합(20)이 형성된다. 좌측 및 우측의 도 12d 및 12f에는 주행 위치(II)에서 실린더 코어(12)의 동일한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다만 그 관점이 상이할 뿐이다. 이 경우, 래치(28)는 단차부(17.1)로 형성된 로킹 경로(17)의 리세스 내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 다음, 도 12e에서 실린더 코어(12)는, 마찬가지로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상태(A)이기도 한 시동 위치(III)에 놓여 있다. 실린더 코어(12)의 이런 위치에서, 실린더 코어(12)는 주행 위치(II)까지만 회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형상 결합(20)이 실린더 코어(12)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이제 형상 결합(20)이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상태(A)에 의해 극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크 실린더가 키(14)에 의해 실린더 하우징(11) 내로 압입되어야 하며, 그럼으로써 전체 실린더 코어(12)는 제어 부재(72)의 방향으로 축방향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축방향 운동을 통해, 동시에 로킹 부재(16)를 형성하는 래치(28)도 로킹 경로(17) 밖으로 배출되며, 그럼으로써 복귀 차단 장치(15)의 형상 결합(20)이 풀리면서 복귀 차단 장치가 릴리스 상태(B)에 위치되며, 그럼으로써 ACC 위치(I) 또는 오프 위치(O)로의 실린더 코어(12)의 역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런 상황은 도 12g의 도면들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 다음, 도 13a 내지 13f에는,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공된 자동 키 인출 차단 장치(26)가 동시에 실린더 코어(12)의 복귀 차단 장치(15)로서 이용된다. 이를 목적으로, 키 인출 차단 장치(26)는, 특히 로킹 레버(26.1)와 상호 작용하고 고정 회전점(26.2)을 갖는 리프팅 자석의 형태인 구동 장치(26.3)를 포함한다. 로킹 레버(26.1)의 개방 단부에 의해, 차단 및 그에 따른 제어 부재(72)의 회전이 야기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제어 부재가 상응하는 단차부들(17.1)를 구비하여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로킹 경로(17)를 이용하고, 이 로킹 경로는 로킹 레버(26.1)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자동 키 인출 차단 장치(26)는 동시에 실린더 하우징(11) 상에서 종방향으로 지지되는 로드의 형태인 수동 작동 부재(19)를 통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동 부재(19)는 실린더 하우징(11)으로부터 인출되어야 하고, 이는 동시에 그의 회전점(26.2)을 중심으로 한 로킹 레버(26.1)의 회전 운동을 야기하며, 그럼으로써 로킹 레버(26.1)와 제어 부재(72) 상의 로킹 경로(17) 간의 형상 결합(20)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작동 부재(19) 상에서의 견인 운동은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상태(A)에서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실린더 코어(12) 상의 캠(12.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도 13c 참조).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코어(12)가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 지지되며, 이와 동시에 커플링 부재(51)에 의해 제어 부재(72)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여전히 실린더 코어(12)가 실린더 하우징(11) 내로 압입되게 하는 추가 스프링(53)이 제공된다(도 13a 참조). 도 13b에서, 실린더 코어(12)는 삽입된 키(14)의 회전에 의해 시동 위치(IIIa)에 위치되며, 복귀 차단 장치(15)는 로킹 상태(A)에서 제어 부재(72)의 로킹 경로(17)와 로킹 레버(26.1) 사이의 형상 결합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도 13b에는, 제어 부재(72) 및 실린더 코어(12)가 그 기술적 상세내용과 함께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실린더 코어(12) 상의 삽입 개구(12.2)의 전방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캠(12.10)과 똑같이 제어 부재(72) 상의 제어 경로(17)가 매우 잘 식별된다.
도 13c에서, 실린더 코어(12)는 그의 주행 위치(II)에 위치되고, 반경 방향 캠(12.10)은 L자형 단차부 아래에서 작동 부재(19)에 의해 이동되며, 그에 따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작용한다. 키(14)가 실린더 코어(12)로부터 인출되는 점을 의미하는 키(14) 상에서의 견인 운동은, 작동 부재(19)도 마찬가지로 실린더 하우징(11)으로부터 거의 인출되게 한다. 그 결과, 복귀 차단 장치(15)의 형상 결합(20)은 분리되고, 이는 도 13d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실린더 코어(12)의 축방향 이격 간격 발생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작동 부재(19) 상에서의 견인 운동은 키 인출 차단 장치(26)의 리프팅 자석(26.3)의 태핏의 인출을 야기한다. 그 결과, 로킹 레버(26.1)의 자유 단부가 리프팅 자석의 방향으로 경동하고 그에 따라 제어 부재(72)의 로킹 경로(17)를 허용하며, 그럼으로써 제어 부재(72)는 실린더 코어(12)와 함께 다시 자유롭게 회전된다. 도 13e에서, 실린더 코어(12)는 대략 ACC 위치(I)에 위치되며, 실린더 코어(12)의 반경 방향 캠(12.10)과 작동 부재(19)의 L자형 단차부 간의 형상 결합은 분리된다. 이 경우, 키(14) 상에서의 견인 운동은 스티어링 휠 로크(70) 내에서 어떠한 추가의 기계적 변화도 야기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도 13e에서는, 자동 키 인출 차단 장치(26)가 제어 부재(72)의 로킹 경로(17)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며, 그럼으로써 도 13f에서 유출되는 사항으로 키 인출 차단 장치(26)가 자동으로 작동될 때에만 오프 위치(O)로의 키(14)의 역회전이 가능한 점이 잘 식별된다. 이 경우, 다시 로킹 레버(26.1)는 그의 자유 단부로 회전점(26.2)을 중심으로 리프팅 자석(26.3)의 방향으로 경동한다. 그 결과, 로킹 레버(26.1)와 제어 부재(72)의 로킹 경로(17) 간의 형상 결합은 분리되며, 그럼으로써 이제 키를 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키(14)는 실린더 코어(12)와 함께 오프 위치(O)로 이동된다. 키 인출 차단 장치(26)를 통해, 예컨대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이 작동될 때에만, 또는 기어 시프트 레버가 P 위치에 체결되어 있을 때에만 키(14)가 뽑힐 수 있는 점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3g는 실질적으로 도 13a에 상응한다.
도 13d에서 키(14)의 인출은 커플링 부재(52)와 실린더 코어(12) 사이의 추가 스프링(53)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수행된다.
그 다음, 도 14a 내지 14j에는, 상응하는 실린더 코어(12)를 위한 상응하는 복귀 차단 장치(15)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실린더 코어(12)는 축방향으로 회전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축방향 변위도 가능하게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 이격 간격(d)만큼 이격되어 지지된다(도 14a 참조). 도 14a에서, 실린더 코어(12)는 키(14) 없이 그의 오프 위치(O)에 도시되어 있다. 복귀 차단 장치(15)는 릴리스 상태(B)에 위치된다. 또한, 제어 부재(72)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실린더 코어(12) 쪽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런 회전 위치는 도 14b에서도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4b에는, 키 채널(12.1) 내로 키(14)의 삽입을 통해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실린더 코어(12)의 캠(12.10)도 도시되어 있다. 태핏 형태로 도 14b 및 도 14cb에 도시된 캠(12.10)의 상기 종방향 변위는 곧바로 로킹 부재(16) 상으로 전달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로킹 부재는 마찬가지로 키(14)의 삽입을 통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로킹 부재(16)는, 특히 L자형 단차부를 구비한 그의 자유 단부(16.3)로, 실린더 하우징(11) 상에서 선형으로 안내되는 커플링 부재(52)를 삽입된 키(14)의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운동 방향들은 도 14cb에 상응하는 화살표들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커플링 부재(52)의 변위 이동은, 마찬가지로, 맨 먼저 단지 키의 삽입을 통해서만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제어 부재(72) 상으로도 전달된다. 축방향 변위의 상응하는 이격 간격(d)은 도 14c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ca에서뿐만 아니라 도 14cb에서도, 키(14)는 단지 그 자체로 여전히 오프 위치(O)에 있는 실린더 코어(12) 내로만 삽입된다. 또한, 실린더 하우징(11) 상에는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작동 부재(19)도 제공되며, 이 작동 부재는 스프링(18)을 통해 사전 하중을 받고 반경 방향으로는 실린더 코어(12)의 테두리 상에 압축된다. 이런 작동 부재(19)는 한편으로 제어 부재(72)의 원호형 돌출부(72.3)와 상호작용하고(도 14e 참조), 다른 한편으로는 마찬가지로 제공된 실린더 코어(12)의 래치(28)와 상호작용한다. 이 경우, 작동 부재(19)는, 실린더 코어(12)의 축방향 변위가 이격 간격(d)만큼 우선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자신들 사이에 회전 고정식 연결이 제공되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게 제어 부재(72)도 함께 회전시키는, 실린더 코어(12)의 주행 위치(II)에서 비로소, 작동 부재(19)는 실린더 코어(12)의 종방향 변위를 허용한다. 도 14cc에서는, 작동 부재(19)의 도시된 위치에서 실린더 코어(12)의 축방향 변위가 불가능한 점이 명백한데, 그 이유는 차단 래치(28)의 하부 단차부가 작동 부재(19)의 원호형 수용부 쪽으로 가압되기 때문이다. 도 14ca 내지 14cc에서, 실린더 코어(12)는 항시 그의 오프 위치(O)에 위치되며, 개별 도면들은 단지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상이한 관점들만을 도시할 뿐이다.
도 14d에서는, 변함없이 작동 부재(19)가 래치(28)와의 형상 결합을 통해 실린더 코어(12)의 축방향 변위를 차단한다. 이런 형상 결합은, 작동 부재(19)가 제어 부재(72)의 원호형 돌출부(72.3)를 통해 스프링(18)에 대항하여 반경 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11) 내로 가압되는 동작만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주행 위치(II)에서만 수행된다. 도 14e에서는 이제 복귀 차단 장치(15)가 로킹 상태(A)에 도시되어 있으며, 로킹 부재(16)는 그의 캠(16.1)으로 실린더 하우징(11) 상의 단차부와 함께 형상 결합(20)를 형성한다. 이런 형상 결합은, 실린더 코어(12)가 키(14)에 의해 이격 간격(d)만큼 실린더 하우징(11) 내로 압입되는 동작만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캠(16.1)은 실린더 하우징(11)의 단차부 또는 돌출부(11.3)를 지나쳐 이동되며, 이는 도 14fa에서 식별된다. 그러나 이런 점은, 앞서 작동 부재(19)가 제어 부재(72)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실린더 하우징(11) 내로 압축됨으로써 래치(28)와 작동 부재(19) 간의 형상 결합이 허용될 때에만 가능하다. 이런 상황은 도 14fa에 도시되어 있고 또 다른 관점에서는 도 14fb에 도시되어 있다. 실린더 코어(12) 및 작동 부재(19)의 운동 방향들은 상응하는 화살표들을 통해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fa로부터는, 형상 결합(20)이 복귀 차단 장치(15)의 릴리스 상태(B)에서 분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도 14i에서 한 번 더 명확하게 식별된다. 도 14h에는, 로킹 부재(16)와 실린더 하우징(11)의 단차부 또는 돌출부(11.3) 간의 형상 결합이 한 번 더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ga 및 14gb에는,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상태(A)와 함께 실린더 코어(12)의 주행 위치(II)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로킹 부재(16)의 자유 단부(16.3)의 L자형 단차부 상에 활주 경사로의 형태인 구동 부재(16.2)가 제공되어 있는 점도 잘 식별된다. 실린더 코어(12)와 커플링 부재(52)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가 축방향 변위 중에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 파지되도록 하기 위해, 추가로 돌출부(72.4)가 제어 부재(72)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돌출부는 상응하는 주행 위치(II)에서 커플링 부재(52)를 이 커플링 부재의 인출된 위치에서 파지한다(도 14gb 참조).
도 14j에는, 한 번 더 주행 위치(II)에서 실린더 코어(12)의 회전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로킹 상태(A)는 실린더 코어(12)의 누름을 통해 극복되며, 그럼으로써 복귀 차단 장치(15)는 릴리스 상태(B)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하우징 상의 단차부(도 14j에서 우측 아래 참조)는 제어 부재(72)가 너무 많이 축방향으로 변위되지 않게 한다.
그 자체로 자명한 사실로서,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들은 최종적인 제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 오히려 명세서 도입부에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의 개별 기술 특징들의 조합들도 생각해볼 수 있다.
10: 로크 실린더
11: 실린더 하우징
11.1: 외부면
11.2: 특히 13을 위한 리세스
11.3: 특히 23을 위한 돌출부
11.4: 캡
12: 실린더 코어
12.1: 14를 위한 키 채널
12.2: 14를 위한 삽입 개구
12.3: 외주면
12.4: 단부면
12.5: 종방향 변위
12.6: 캡
12.7: 13을 위한 스프링
12.8: 로킹 부재 수용부
12.9: 12.7을 위한 스프링 구멍
12.10: 특히 15, 19를 위한 캠
13: 12를 위한 로킹 부재
14: 키
14.1: 키 비트
14.2: 키 헤드
14.3: 전자 부품
15: 복귀 차단 장치
15.1: 15의 고정 부분
15.2: 15의 가동 부분
15.3: 가동 커플링 부재
15.4: 72를 위한 종방향 가이드
15.5: 74를 위한 제어 경로
16: 로킹 부재
16.1: 캠
16.2: 구동 부재, 특히 활주 경사로
16.3: 특히 L자형 단차부를 갖는 자유 단부
17: 로킹 경로
17.1: 단차부
18: 특히 15, 16 또는 19를 위한 스프링
19: 16을 위한 작동 부재
19.1: 버튼
19.2: 링
20: 16의 형상 결합
21: 16의 제어 영역
22: 특히 경화된 안전 부재
23: 변위 부재
23.1: 제1 섹션
23.2: 제2 섹션
23.3: 회전점
25: 14를 위한 트랜스폰더
26: 키 인출 차단 장치
26.1: 로킹 레버
26.2: 26.1의 회전점
26.3: 구동 장치, 특히 리프팅 자석
27: 시동 반복 차단부
28: 특히 실린더 코어(12)를 위한 래치
50: 점화 스타터 스위치
52: 특히 15 또는 72를 위한 커플링 부재
53: 스프링, 특히 압축 스프링
70: 스티어링 휠 로크
71: 기능 핵심 부품을 위한 로킹 핀
72: 71을 위한 제어 부재
72.1: 50을 위한 구동 부재
72.3: 특히 L자형 단차부를 갖는 원호형 돌출부
72.4: 특히 52를 위한 돌출부
73: 71을 위한 스프링
74: 위치 센서
75: 70을 위한 작동 수단
75.1: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수용부
복귀 차단 장치의 상태들
A: 15의 로킹 상태
B: 15의 릴리스 상태
실린더 코어의 위치들
O: 오프 위치
I: ACC 위치
II: 주행 위치
III: 시동 위치

Claims (21)

  1. 차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점화 스타터 스위치(50) 또는 스티어링 휠 로크(70)를 위한 로크 실린더(10)로서,
    로크 실린더는, 실린더 하우징(11) 내에 적어도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실린더 코어(12)를 가지며,
    실린더 코어(12) 내에, 로킹 상태에서는 실린더 하우징(11) 내 실린더 코어(12)의 회전을 방지하고 릴리스 상태에서는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로킹 부재(13)가 제공되며,
    실린더 코어(12)를 관통하여 키 채널(12.1)이 연장되고, 이 키 채널 내로 키(14)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 키 채널을 이용하여 로킹 부재(13)가 로킹 상태와 릴리스 상태 간에 이동할 수 있으며,
    실린더 코어(12)를 통해 2개 이상의 회전 위치(0, III), 즉, 오프 위치(O) 및 시동 위치(III)가 취해질 수 있으며, 오프 위치(O)에서는 키(14)가 키 채널(12.1) 내에서 삽입 빛 매출 수 있고, 시동 위치(III)에서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부하 장치, 특히 스타터가 스위치-온될 수 있는, 로크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코어(12)의 회전, 특히 단순 회전에 의해 적어도 시동 위치(III)에서 오프 위치(O)로 실린더 코어(12)가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히 기계식 복귀 차단 장치(1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2. 제1항에 있어서, 복귀 차단 장치(15)는 실린더 코어(12)의 회전, 특히 단독 회전을 통한, 주행 위치(II)에서 오프 위치(O)로의, 특히 ACC 위치(I)로의 실린더 코어(12)의 복귀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린더 코어(12)는 3개 이상의 안정적인 회전 위치(O, I, II), 즉, 오프 위치(O), ACC 위치(I) 및 주행 위치(II)를 가지며, 이런 위치에서 실린더 코어(12)는 고정 부재를 통해, 특히 강제 결합 및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 코어(12)는, 특히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추가 회전력에 대항해서만 도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불안정한 회전 위치(III), 즉, 시동 위치(III)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차단 장치(15)는, 시동 위치(III)에서 오프 위치(O)로의 실린더 코어(12)의 단순 회전 시 특히 형상 결합 방식(20)으로 실린더 코어(12)를 차단하고,
    특히 상기 복귀 차단 장치(15)는 상기 주행 위치(II)에서 상기 오프 위치(O)로, 특히 상기 ACC 위치(I)로 상기 실린더 코어(12)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차단 장치(15)는, 로킹 상태(A)에서는 주행 위치(II)로부터 오프 위치(O)로의 실린더 코어(12)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차단하고, 릴리스 상태(B)에서는 오프 위치(O)로의 실린더 코어(12)의 회전을 허용하는 가변 로킹 부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차단 장치(15)가 실린더 하우징(11)과 실린더 코어(12) 사이에, 특히 실린더 하우징(11)의 내주면(11.1)과 실린더 코어(12)의 외주면(12.3)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복귀 차단 장치(15)가 실린더 코어(12)의 축방향 연장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부재(16)는, 실린더 코어(12)의 종방향 변위(12.5)를 통해 또는 로킹 부재(16)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작동 부재(19)의 작동을 통해, 로킹 상태(A)로부터 릴리스 상태(B)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19)는 버튼(19.1), 링(19.2) 또는 키(14)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부재(16)는, 실린더 코어(12)의 키 채널(12.1) 내에 삽입된 키(14)에 작용하는 누름력 또는 당김력에 의해 로킹 상태(A)로부터 릴리스 상태(B)로 전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 실린더 코어(12)의 종방향 변위(12.5)가 야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차단 장치(15)는, 적어도 로킹 상태(A)에서 형상 결합 방식(20)으로 상호작용하는 로킹 부재(16)와 로킹 경로(17)를 가지며, 특히 상기 형상 결합(20)은 로킹 부재(16)가 릴리스 상태(B)에 있을 때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16)는 실린더 하우징(11)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고, 로킹 경로(17)는 실린더 코어(12)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부재(16)는, 특히 바람직하게 구동 부재(16.2)를 구비한 캠(16.1)의 형태로, 특히 활주 경사로의 형태로, 실린더 하우징(11)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종방향 변위형인 커플링 부재(15.3)에 의해 복귀 차단 장치(15)의 로킹 경로(17)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커플링 부재(15.3)는 특히 스프링(18)을 통해 실린더 코어(12) 쪽으로 가압될 수 있고 이 실린더 코어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 하우징(11)과 실린더 코어(12) 사이에 변위 부재(23)가 특히 레버 부재의 형태로 제공되고, 이 레버 부재는 실린더 하우징(11) 쪽으로의 실린더 코어(12)의 축방향 변위를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14), 특히 키 비트(14.1), 및 스티어링 휠 로크(70)의 로킹 핀(71)과 상호작용하는 키 인출 차단 장치(26)가 제공되며, 상기 상호작용은 키 채널(12.1)로부터 키(14)가 인출될 때까지는 로킹 핀(71)이 자유 위치에 보유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 코어(12)가 1회 이상 주행 위치(II)에서 바로 시동 위치(III)로 전환되지 못하게 하는 시동 반복 차단부(2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실린더(10).
  17. 차량의 기능 핵심 부품의 차단을 위한 스티어링 휠 로크(70)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로크 실린더(10), 또는 점화 스타터 스위치(50)가 제공되며, 상기 점화 스타터 스위치(50)는 커플링 부재(52)를 통해 로크 실린더(10)와 기계적으로 작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70).
  18. 제1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25)가, 특히 코일의 형태로, 키 채널(12.1)의 삽입 개구(12.2)의 영역에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적어도 데이터 교환 및/또는 에너지 전달이 키(14)의 전자 부품(14.3)에 전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70).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코어(12)의 회전은, 특히 종방향 변위형 커플링 부재(15.3)의 형태인 복귀 차단 장치(15)를 통해, 로킹 핀(71) 또는 점화 스타터 스위치(50)의 구동을 위한 제어 부재(72)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70).
  20. 차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점화 스타터 스위치(50)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로크(70) 또는 로크 실린더(10)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로크 실린더는 실린더 하우징(11) 내에 적어도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실린더 코어(12)를 가지며,
    실린더 코어(12) 내에는, 로킹 상태에서는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의 실린더 코어(12)의 회전을 방지하고 릴리스 상태에서는 실린더 하우징(11) 내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로킹 부재(13)가 제공되며,
    실린더 코어(12)를 관통하여 키 채널(12.1)이 연장되고, 이 키 채널 내로 키(14)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 키 채널을 이용하여 로킹 부재(13)가 로킹 상태와 릴리스 상태 간에 이동할 수 있으며,
    실린더 코어(12)를 통해 2개 이상의 회전 위치(0, III), 즉, 오프 위치(O) 및 시동 위치(III)가 취해질 수 있으며, 오프 위치(O)에서 키(14)가 키 채널(12.1) 내에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고, 시동 위치(III)에서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부하 장치, 특히 스타터가 스위치-온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로크 또는 로크 실린더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로크 실린더(10)의 작동을 위해,
    a) 매칭 키(14)에 의해 오프 위치(O)로부터 적어도 ACC 위치(I) 또는 주행 위치(II)를 경유하여 시동 위치(III)로 실린더 코어(12)의 스위치-온 회전이 수행되는 단계,
    b) 복귀 차단 장치(15)에 의해, 실린더 코어(12)가 키(14)에 의해 오프 위치(O)로, 특히 그 이전에 위치하는 ACC 위치(I)로 간단히 역회전되는 것이 차단되는 단계, 및
    c) 특히 상기 복귀 차단 장치(15)의 작동 부재(19)의 작동을 통해, 상기 복귀 차단 장치(15)를 수동 작동시켜, 실린더 코어(12)가 키(14)에 의해 오프 위치(O)로, 특히 그 이전에 위치하는 ACC 위치(I)로 역회전할 수 있게 하는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 또는 로크 실린더의 작동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실린더(1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로크(70)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로크(70) 또는 로크 실린더(10)의 작동 방법.
KR1020167036700A 2014-05-30 2015-06-01 복귀 차단 장치를 구비한 로크 실린더 KR201700124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07639 2014-05-30
DE102014107639.7 2014-05-30
DE102015106568 2015-04-28
DE102015106568.1 2015-04-28
PCT/EP2015/062183 WO2015181400A1 (de) 2014-05-30 2015-06-01 Schliesszylinder mit rückstellsper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452A true KR20170012452A (ko) 2017-02-02

Family

ID=5338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700A KR20170012452A (ko) 2014-05-30 2015-06-01 복귀 차단 장치를 구비한 로크 실린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14375B2 (ko)
EP (1) EP3148850A1 (ko)
KR (1) KR20170012452A (ko)
CN (1) CN106458156B (ko)
DE (1) DE102015108664A1 (ko)
WO (1) WO2015181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452A (ko) 2014-05-30 2017-02-02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복귀 차단 장치를 구비한 로크 실린더
EP3069939B1 (en) * 2015-03-20 2017-07-05 U-Shin France Ignition lock for a motor of an automotive vehicle
DE102017120391A1 (de) * 2017-09-05 2019-03-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ehäuse für einen Anlassschalter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7120690A1 (de) * 2017-09-07 2019-03-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CN107768082B (zh) * 2017-10-31 2024-02-09 河南鑫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变压器用视频监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707A (en) * 1990-11-30 1994-03-0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teering wheel lock device
JP2562690Y2 (ja) * 1991-02-28 1998-02-16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ケ−ブル接続構造
JP3585550B2 (ja) * 1994-02-03 2004-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キースイッチ装置
DE69623527T2 (de) * 1995-04-11 2003-05-22 Tokai Rika Co Startsteuerung für Fahrzeuge
JP3527394B2 (ja) * 1997-09-29 2004-05-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FR2788477B1 (fr) * 1999-01-15 2001-02-16 Valeo Securite Habitacle Antivol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US6500092B2 (en) * 2000-05-31 2002-12-3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hift apparatus for vehicles
JP2002308049A (ja) * 2001-04-11 2002-10-23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EP1378406B1 (en) * 2002-05-29 2006-09-06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Apparatus for restricting activation of engine starting system
DE20321590U1 (de) 2003-09-26 2008-04-24 Meflex Telecontrol Gmbh & Co. Kg Fernbetätigung für eine Kraftfahrzeug-Anhängerkupplung
JP4358060B2 (ja) * 2004-07-30 2009-11-0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検査装置
DE102005038437A1 (de) * 2005-08-12 2007-02-1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Zündvorrichtung für einen Motor,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9021998A1 (de) 2009-05-19 2010-11-2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Sperrgliedes
KR101094910B1 (ko) * 2009-10-30 2011-12-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FR2965230B1 (fr) * 2010-09-28 2020-02-28 U-Shin France Sas Antivol de direc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US9555770B2 (en) * 2013-04-01 2017-01-31 Alpha Corporation Steering lock device
KR20170012452A (ko) 2014-05-30 2017-02-02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복귀 차단 장치를 구비한 로크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4375B2 (en) 2019-09-17
CN106458156B (zh) 2019-11-12
WO2015181400A1 (de) 2015-12-03
CN106458156A (zh) 2017-02-22
US20170190315A1 (en) 2017-07-06
DE102015108664A1 (de) 2015-12-03
EP3148850A1 (de)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2452A (ko) 복귀 차단 장치를 구비한 로크 실린더
KR100802797B1 (ko) 푸시 릴리이즈 기능을 갖춘 스티어링컬럼 록장치
JP4616499B2 (ja) 改良されたラッチボルト係止手段を備えた自動車盗難防止システム
US6786069B2 (en) Steering lock apparatus
US10434983B2 (en) Anti-theft for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US4945740A (en) Vehicle steering lock device
KR20040010346A (ko) 자동차 로킹 장치
CN203888748U (zh) 车辆用的锁定装置
JP5520683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の操作規制機構
US4031728A (en) Steering column and ignition lock for motor vehicle
KR100851139B1 (ko) 스티어링컬럼록장치의 키인터록장치
KR20140093207A (ko) 스티어링 칼럼용 도난 방지 장치 및 관련 스티어링 칼럼
KR101353876B1 (ko) 록킹 장치
CN105280425A (zh) 一种汽车点火开关
JP6007129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5147756B2 (ja) 操作装置施錠システム
DE102010061192A9 (de) Mechanisch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Motorrad
JP5342271B2 (ja) 施錠装置
US20170158166A1 (en) Locking device
KR100418628B1 (ko) 자동차 시동키 박스의 키 탈거 알림 장치
KR100416222B1 (ko) 키 인터록 케이블 시스템
KR100383076B1 (ko) 프리 휠링식 잠금 장치
JP2005014842A (ja) プッシュスタートスイッチ
KR100310455B1 (ko) 자동차의 핸들 잠금 장치
JP5007195B2 (ja) イグニッション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