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197A - 심리스 타일형 디스플레이들 - Google Patents

심리스 타일형 디스플레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197A
KR20170012197A KR1020167026727A KR20167026727A KR20170012197A KR 20170012197 A KR20170012197 A KR 20170012197A KR 1020167026727 A KR1020167026727 A KR 1020167026727A KR 20167026727 A KR20167026727 A KR 20167026727A KR 20170012197 A KR20170012197 A KR 2017001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ile
layer
fresnel len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히클
Original Assignee
바르코 엔.브이.
바르코 콘트롤 룸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코 엔.브이., 바르코 콘트롤 룸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르코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1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타일 및 타일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설명되며, 타일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픽처 요소들인 디스플레이 픽셀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인접 타일들을 포함하며, 그것에 의하여 유색 디스플레이들을 위해 각각의 픽셀은 복수의 발광(예를 들어, LED) 또는 광 변조(예를 들어, LCD) 요소들(예를 들어, RGB - 도 1 참조)로 구성되고 타일들 각각은 제1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 및 제1 기판에 고정되는 제2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두께는 제1 기판의 두께 미만이고;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열팽창 계수 미만이고 적어도 2개의 타일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픽셀의 크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접 타일들의 제1 기판들은 타일들 사이의 시임을 가능한 최소로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기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Description

심리스 타일형 디스플레이들{SEAMLESS TILED DISPLAYS}
본 발명은 타일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고, 디스플레이 타일들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디스플레이들을 구동하도록 요구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 또는 컨트롤러들을 포함하는 이것들을 제조하고 동작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프로젝터(P)에 의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는 후면 프로젝션 셋업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하며, 프레넬 렌즈(F)는 프로젝션 스크린(P)의 정면에 배치된다. 특정 시야 각도로부터 관찰자(V)에게 더 규칙적인 밝기는 이러한 방식으로 초래될 수 있다.
프로젝션 스크린(P)은 확산기와 연관되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로 구성된다. 확산기는 예를 들어 프로젝션 스크린의 출력 표면(관찰자에 의해 보여지는 표면)을 샌드 블라스팅함으로써 또는 중합 전에 수지에 작은 입자들(예를 들어 이산화 티탄)을 혼합함으로써 획득된다.
타일형 후면 프로젝션 셋업에서, 스크린(P)을 각각 갖는 수개의 후면 프로젝션 모듈들은 도 2 상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더 큰 프로젝션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체커보드 방식으로 서로 바로 옆에 배치된다.
도 2는 또한 픽처 요소들이 프로젝션 스크린(P) 상에 어떻게 배열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광 밸브(예를 들어 LCOS, LC 또는 DMD로도 공지된 마이크로미러들) 유닛에 의해 묘사되는 이미지의 프로젝션이 수반된다. 3개의 서브픽셀 녹색, 적색 및 청색은 서로 가깝게 놓여 있고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픽처 요소를 그들의 전체에서 생성한다. 픽처 요소들은 서로 간격(A)을 따른다. 파선은 광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는 프로젝션 셋업으로 투사될 수 있는 프로젝션 스크린(P)의 내부 영역을 표시한다. 그것은 인접 프로젝션 스크린들 위로 투사되는 2개의 인접 픽처 요소들 사이의 실현가능 간격이 프로젝션 스크린(P) 상의 픽처 요소들의 간격(A)에 대략 대응하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픽셀 구조체에 의해 충분하므로, 픽처 요소들이 프로젝션 스크린들(P)의 에지들에서 서로 직접 접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후면 프로젝션 모듈들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 이러한 표현으로부터 분명해진다. 종래 기술에서, 인접 프로젝션 스크린들 위로 투사되는 2개의 인접 픽처 요소들 사이의 간격은 2개의 인접 프로젝션 스크린들(P)을 분리하는 거리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2개의 인접 프로젝션 스크린들(P) 사이의 공간은 종종 시임으로 언급된다. 광 밸브가 DMD일 때, 반드시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들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한 경우에, 컬러 성분들 각각은 순차적으로 투사되고 픽셀의 전체 영역을 점유한다. 순차적으로 투사되는 대신에, 컬러 성분들은 상하로 동시에 투사될 수 있으며, 이미지의 각각의 컬러 성분은 DMD에 의해 형성되고, 프로젝터는 3 DMD들을 가져서 컬러 이미지를 형성한다.
2개의 인접 프로젝션 스크린들 사이의 최소 거리는 프로젝션 스크린들(P)의 오정렬, 휨 또는 손상 없이 프로젝션 스크린들(P)의 열 및 습기 팽창을 허용하도록 요구되는 클리어런스에 의존한다.
열 및 습기 팽창 및 서로에 대한 타일들의 상대 이동 및 인터-타일 시임들 상의 그것의 영향의 문제는 또한 본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US 5,400,178 "Screen unit for rear projection picture display syste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ponent to be used for assembling the screen unit"에서, 열팽창의 문제는 거의 동일한 열팽창 계수들을 갖는 재료들을 사용함으로써 처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이 열팽창은 인터-타일 시임들의 폭이 동일한 타일 상의 2개의 인접 픽셀들 사이의 거리 이하이어야 하는 심리스 타일형 디스플레이들에 대해 여전히 너무 크다.
US 5,185,677 "Transmission type projection screen assembly"에서, 텐셔닝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메커니즘은 스크린 타일들이 제조되는 시트들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힘 수용 블록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인접 스크린들의 1 초과의 행을 갖는 타일형 디스플레이에 대해, 텐셔닝 메커니즘은 관찰자로부터 안보일 수 없다. 따라서, US 5,185,677에 제안된 메커니즘은 큰 다수의 행 심리스 타일형 디스플레이들의 조립을 허용하지 않는다.
대기 조건들의 효과는 기본 유닛들로부터 조립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들에 대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로부터의 및 더 큰 스크린들이 예를 들어 접착 본딩에 의해 더 작은 스크린들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획득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들에 대해서도 중요하다.
상기 설명되었던 종래 기술의 기본 유닛들은 종종 스크린 주위에 프레임을 갖고, 그 프레임이 이러한 스크린을 평탄하게 유지하고, 종종 또한 스크린을 기본 유닛의 하우징에 부착하는 역할을 하고 손상으로부터 스크린의 에지들을 보호한다. 이러한 프레임은 이미지가 기본 유닛의 전면 측면의 외부 에지까지 완전히 보호되는 것을 방해하고 기본 유닛들 사이의 시각 조인트 또는 시임을 더 크게 한다. EP-0 650 295 및 EP-0 523 427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성질의 기본 유닛들 및 이러한 성질의 복수의 기본 유닛들의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이미지들이 기본 유닛의 전면 측면의 에지까지 일직선으로 투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해결법은 WO 95/28664에 설명되어 있고 스크린의 외부 에지들의 특수 처리 및 지지 구조체에 상기 스크린의 특수 부착에 있어,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은 방해되는 것 없이 -- 또한 기본 유닛의 전면 에지들인 -- 스크린의 전면 에지들에 도달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특정 온도에서 기본 유닛들의 스크린들 사이의 완벽한 연결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성질의 기본 유닛의 에지들은 수송 동안 깨지기 쉽고 기본 유닛들의 어셈블리에 내재하는 다른 단점들이 계속 존재한다.
다른 해결법은 더 큰 스크린들을 형성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광학 스크린들을 함께 접착 접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성질의 접착 접합된 더 큰 스크린들은 프로젝션 스크린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생성될 수 없지만, 오히려 제작자의 전제들로만 생성될 수 있으며, 그 후에 그들은 매우 견고하고 큰 패키징으로 수송되어야 한다. 지지 구조체에의 부착 동안 스크린들에 대한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는 가급적 주의 깊게 발생하여야 한다. 대기 조건들(자외선 방사선, 반복된 온도 변화들, 습기의 흡수, 산화 ...)의 영향 하에, 글루의 기계적 및 광학적 성질들은 변화될 것이고 시임들은 더 식별가능할 것이다.
접착 본드를 생성하기 위해 접착할 때, 압력은 글루를 층들 사이의 얇은 연속 필름으로 스퀴징하고, 조인트로부터 공기를 밀어 넣고, 표면들을 글루와 밀접하게 하고, 글루의 설정 동안 그들을 이러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하기 때문에 종래의 접착 전략이다
a) 글루 재료 자체는 매우 강하지 않으므로 그것은 글루의 큰 두께를 갖는 좋은 생각이 아니다. 그 대신에, 글루는 매우 얇은 층이어야 하며 글루는 잘 준비된 표면에 매우 잘 고착된다.
b) 이것을 행하기 위해, 표면들은 매우 편탕하고, 완전히 깨끗해야 하고 글루가 건조될 때까지 가능한 한 강하게 함께 클램핑되어야 한다.
글루는 외부로 스퀴징되고(단계 1) 또한 표면들은 압력 하에 함께 유지되어야 한다(단계 2).
단계 1은 생산 동안 지저분할 수 있고 표면들이 세정되는 것을 필요로 하고 단계 2는 생산을 늦추고 따라서 생산 시간을 증가시키고 생산 비용들을 증가시킨다.
인가되는 압력은 예를 들어 글래스로 제조되는 깨지기 쉬운 기판들을 파손시킬 수 있다. 큰 타일형 디스플레이들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든 구성요소들의 두께 및 중량을 감소시킬 시에 관심이 있다.
액체 글루는 비스듬한 / 측방 접착 표면들과 호환되지 않는다. 글루는 불규칙한 두께(디스플레이 타일들 사이의 갭/시임에 영향을 줌)를 가질 것이고 때때로 층들 사이에서(예를 들어 프레넬 렌즈와 그것 위의 기판 사이에서) 흐르고 / 침투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글루는 얼룰들 및 시각적 인공물들을 형성할 수 있다.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들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의 하나의 장점은 우수한 구조적 접착 성질들을 여전히 가지면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열 손상이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 있도록 열 활동(즉 온도 및 활성화 시간의 조합)인 잘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들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는 90초 미만의 활성화 시간과 120℃까지의 온도들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더 높은 활성화 시간은 온도가 더 낮으면 사용될 수 있다. 활성화 시간은 온도가 70℃ 내지 80℃와 같은 전형적인 폴리머 글래스 온도로 감소되면 문제가 덜 된다. 그러한 매우 낮은 온도 시스템들은 덜 바람직하다. 활성화 온도의 적당한 범위가 100 내지 140℃이도록 활성화 시간은 140℃에서 30초 미만이고 활성화 시간은 120℃에서 90초 미만이다.
스크린 패널들은 광학 패널들, 예컨대 프레넬 렌즈, 렌티큘러 또는 2개의 조합이고 완전한 직선 에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은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연결 와이어들의 도움으로 부착 플레이트들에 부착되다. 스크린 패널들을 서로를 향해 드로잉하고 그들을 서로에 대해 위치시키기 위해, 및 이러한 스크린 패널들을 부착 플레이트들에 고정하고 그들을 부착 플레이트들에 대해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은 U 형상이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강성 연결 와이어들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를 향해 드로잉되었던 스크린 패널들 사이의 시임들은 최소이며, 크기는 1/2 밀리미터 미만이다. 연결 와이어들에 의해 패널들을 함께 드로잉하는 것은 스크린들 사이의 시임들이 제조 공차들에도 불구하고 및 변화하는 기후 조건들, 예컨대 온도 및 상대 대기 습기 하에, 항상 있고, 최소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한편 스크린 패널들, 및 다른 한편 프로젝션 스크린의 지지 구조체 사이의 팽창/수축의 임의의 차이들은 스크린 및 지지 구조체를 함께 결합하는 부착 플레이트들이 변형가능하고 및/또는 지지 구조체에 가동 조인을 갖는다는 사실, 및 연결 와이어들이 스크린 패널들 사이의 조인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한된 범위로 변형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흡수된다. 그 결과, 스크린은 시임들이 최소로 유지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특정 제한들 내에서, 지지 구조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EP 1 012 666 B1 "PROJECTION SCREEN FOR IMAGE REPRODUCTION DEVICES WHICH ARE POSITIONED NEXT TO AND/OR ABOVE ONE ANOTHER"에 개시되는 스티칭된 스크린들 내의 스티칭 와이어들은 용이하게 식별가능하다. 또한 설치 노력은 높고, 프로젝터들은 환경 조건들이 변화되고 있고 벽 크기가 실제로 제한되면 재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안 타일형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타일 또는 그러한 디스플레이들을 구동하도록 요구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 또는 컨트롤러들을 포함하는 이것들을 제조하고 동작하는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의 장점은 예를 들어 시임들이 작거나 최소로 유지되도록 타일이 지지 구조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장점은 지지체와 기판 사이의 연결을 위해 이하의 장점들 중 적어도 2개 또는 3개 또는 모두의 제공이다:
a) 조인트들의 시어 강도
b) 조인트들의 시어 크리프
c) 접착된 영역의 크기
d) 접착되는 표면들의 배열, 예를 들어 경사
e) 글루, 예를 들어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의 선택
f) 제조 동안 압력의 감소 따라서 얇고 깨지기 쉬운 기판들의 파손을 감소시키고, 제조 수율을 증가시키고 전체 중량을 감소시킴,
g) 중량의 감소는 또한 기판에 프레임의 연결 시에 로드들을 감소시킴.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을 위한 표면적을 크게 하고 장기 크리프 및 시어에 견디게 하고, 타일들 사이의 작고 정확한 시임들의 제공이 외관을 개선하는 것을 허용하는 설계를 제공하고, 제조 동안에 인가되는 압력들을 감소시키고, 구성요소들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얇고 깨지기 쉬운 기판들을 사용할 때 수율을 증가시키면서, 섀도우 문제를 악화시키지 않는 지지체와 기판 사이의 결합 및 연결 표면들의 기계적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의 장점은 그들이 큰 다수의 행 심리스 타일형 디스플레이들의 조립을 허용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의 장점은 열 및 습기 팽창 및 인터-타일 시임들 상에서 서로에 대한 타일들의 상대 이동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얇고 깨지기 쉬운 기판들의 사용을 허용하고 구성요소들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의 장점은 설치 노력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의 장점은 환경 조건들이 변화되고 있으면 프로젝터들이 더 적은 재조정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인접 타일들을 포함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되며, 각각은 픽처 요소들인 디스플레이 픽셀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관되거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고, 그것에 의하여 유색 디스플레이들을 위해 각각의 픽셀은 복수의 발광(예를 들어 LED) 또는 광 변조(예를 들어 LCD) 요소들(예를 들어 RGB - 도 1 참조)로 구성되고 타일들 각각은 제1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 및 제1 기판에 고정되는 제2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두께는 제1 기판의 두께 미만이고;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열팽창 계수 미만이고 적어도 2개의 타일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픽셀의 크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젝션에 기초한 비디오 벽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들은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들 또는 OLED 디스플레이들과 같은 직시 디스플레이들의 심리스 타일링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들은 통상 수 밀리미터의 상당한 시임을 가져서 관련 비디오 벽에서 크고 눈에 거슬리는 갭들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인접 타일들의 제1 기판들은 타일들 사이의 시임을 가능한 최소로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기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2개의 인접 타일들 사이의 거리가 타일(T) 상의 2개의 인접 픽셀들 사이의 거리 "A"보다 더 작으면, 실현된 타일형 디스플레이는 심리스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타일들의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273°K와 373°K 사이에서 9.5 10-6 1/°K 이하이다. 이것은 시임들의 감소를 온도의 더 큰 간격에 걸쳐 최소로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2 재료의 제1 층은 프레넬 렌즈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재료의 제1 층은 예를 들어 프레넬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인그레이빙함으로써 수정된다. 이것은 타일형 후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시스템들에 특히 적절하다.
제2 재료의 제1 층은 프레넬 렌즈로 몰딩될 수 있다. 그 다음, 획득된 프레넬 렌즈는 제1 기판 상에 고정,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적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레넬 렌즈는 제1 층이 제1 기판 상에 고정,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적층된 후에 몰딩된다.
대안적으로, 제2 재료의 제1 층은 프레넬 렌즈로 몰딩되기 전에 제1 기판 상에 수지로 퇴적되고 제1 기판 상에 임의로 경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프레넬 렌즈를 지지하는 제1 기판은 다른 기능 층을 지지하는 다른 기판과 연관된다. 본 발명의 그러한 양태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타일은 제2 기판 및 제2 기판에 체결되는 제2 층을 갖는다. 제2 기판은 제1 기판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거나 제3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층은 일반적으로 제1 또는 제3 재료들과 상이한 제4 재료로 제조될 것이다.
제2 층은 경화되기 전에 제2 기판 상에 고정, 예를 들어 통상 접착 또는 적층되거나 제2 기판 상에 퇴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프레넬 렌즈는 제1 기판에 직접 인그레이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타일의 제1 및 제2 기판들은 예를 들어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압력 감지 구조 접착 테이프는 압력의 사용이 글래스와 같은 얇고 깨지기 쉬운 기판들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덜 바람직하다. 글래스는 경 재료이고 그것을 더 얇게 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타일들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중량을 감소시키므로 유리할 것이다.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는 접착제의 흐름이 제한되는, 즉 바운드들에 제한되는 것이다.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는 예를 들어 얇은 캐리어 포일 상에 분배되는 온도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 또는 온도 활성화된 글루일 수 있다.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들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의 하나의 장점은 우수한 구조적 접착 성질들을 여전히 가지면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열 손상이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 있도록 열 활동(즉 온도 및 활성화 시간의 조합)이 잘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들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는 90초 미만의 활성화 시간과 120℃까지의 온도들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더 높은 활성화 시간은 온도가 더 낮으면 사용될 수 있다. 활성화 시간은 온도가 70℃ 내지 80℃와 같은 전형적인 폴리머 글래스 온도로 감소되면 문제가 덜 된다. 그러한 매우 낮은 온도 시스템들은 덜 바람직하다. 활성화 온도의 적당한 범위가 100 내지 140℃이도록 활성화 시간은 140℃에서 30초 미만이고 활성화 시간은 120℃에서 90초 미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이하의 장점들 중 하나 이상
a) 표면들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즉 디스플레이 타일의 광 축에 관해 그들을 비스듬하게 함으로써 조인트 표면의 증가된 영역을 가지면서
b) 접합 표면들을 가까이 평행하게 유지함, 및
c) 강한 연결을 제공하면서 예를 들어 이동하거나 흐르지 않는 테이프 형태로 제한적 온도 활성화된 접착제를 사용함, 및
d) 게다가, 에지 상의 섀도우를 낮은 값으로 및 기판의 경사 또는 챔퍼링된 에지에 의해 가능한 한 이상적으로 작게 유지함, 및
e) 양 측면들 상에 프레임의 연결은 디스플레이의 광 축과 평행하게 및/또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때 수직 방향으로 균열 라인 또는 시어 표면이 없도록 디스플레이 타일의 일 측면이 다른 측면 상의 경사와 반대인 경사 또는 챔퍼링된 접합 표면을 가짐,
f) 제조 동안 기판들 상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되어 중량을 감소시키고 수율을 증가시키는 글래스와 같은 더 얇고 깨지기 쉬운 기판들의 사용을 허용하며 따라서 비용들을 감소시키고 또한 기판에 프레임의 연결 시에 로드들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판이 시어 평면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될 수 없도록 지지체에 기판의 연결들이 디스플레이 타일의 광 축과 평행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2개의 직각 방향들로 광 축에 수직인 시어 평면들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타일의 대향 에지들(옆 측면들) 상의 챔퍼의 대향 경사에 대해, 증가된 글루 영역을 갖는다. 지지체의 에지(옆 측면) 상의 챔퍼의 경사는 에지들에서 더 양호한 광학 설계에 기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및 제2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에 의해 지지 프레임에 체결된다. 압력 감지 구조 접착 테이프는 상기 주어진 이유들, 즉 깨지기 쉬운 기판들의 파손의 위험으로 덜 바람직하여 더 두껍고 더 무거운 플레이트들의 사용을 야기한다.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는 접착제의 흐름이 제한되는 것이다.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는 얇은 캐리어 포일 상에 분배되는 온도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 또는 온도 활성화된 글루일 수 있다. 지지 프레임에 제1 및 제2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체결하는 표면은 디스플레이 타일의 광 축에 대한 예각에서 타일 디스플레이의 에지로부터 타일의 중심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결합 표면이다. 광 축은 기판 또는 타일의 주요 표면에 수직인 것으로 가정된다. 타일의 대향 에지들(옆 측면들)은 지지 프레임에 제1 및 제2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체결하는 표면들을 갖는 것에 의해 각각의 결합 표면은 디스플레이 타일의 광 축에 대한 예각에서 타일 디스플레이의 에지로부터 타일의 중심 내부를 향해 연장된다. 기판의 에지들(옆 측면들)이 챔퍼링된다. 디스플레이가 4개의 측면들을 갖고 각각이 에지(옆 측면)이고 내부로 챔퍼링되면, 이때 기판은 피라미드의 잘려진 베이스의 형태이다. 이것은 광 축과 평행한 시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도록 대향 각도들에서 내부로 경사지는 디스플레이 타일의 기판의 에지들(대향 옆 측면들)에서 2개의 대향(정반대) 결합 표면들을 야기한다. 바람직하게는, 타일은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때 수직 방향으로 광 축에 수직인 시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타일이 설치될 때 대향 각도들에서 내부로 경사지는 기판의 상단 및 하단 에지들에서 2개의 챔퍼링된 결합 표면들을 갖는다.
열 활성화된 테이프와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액체 글루와 달리 너무 적거나 너무 많은 글루의 생산 문제 및 그것과 함께 수반되는 조작자 민감이 없기 때문에) 두께가 제어되며 그것은 타일들 사이의 갭의 치수들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고 접착제의 제한은 제조 동안 또는 그 후에 글루의 "침투"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를 들어 타일 당 1.5 m 대각선 및 수 킬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타일들을 위해 안정된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접착에는 더 큰 표면이 제공되며, 각각은 1 내지 3 mm의 두께를 갖는 기판들에 대해 10 이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더 큰 표면을 갖는 지지체에 디스플레이 타일의 챔퍼링된 에지들(옆 측면들)을 따라 바람직하게 수행되는 접착 및 따라서 더 낮은 전단력들의 경험을 제공한다. 설치될 때, 타일의 중량은 거의 배타적으로 측방보다는 오히려, 적어도 2개의 에지들을 따라 수직으로 적용된다. 높은 압력들을 수반하지 않는 접착 방법의 사용은 글래스와 같은 깨지기 쉬운 기판들에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연결들 시에 전체 중량 및 장기 로드를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는 기판을 기계적 체결 요소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접착 테이프와 같은 동일한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는 또한 기판들을 기계적 체결 요소에 체결하고 있음에 따라 2개의 기판들을 함께 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제1 기판은 캐리어의 역할을 하고 액정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타일을 제공하며, 타일은 픽셀 위치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고 2개의 인접 타일들 사이의 거리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픽셀 위치의 크기 미만이도록 적응되고, 제1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 및 제1 기판에 고정되는 제2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두께는 제1 기판의 두께 미만이고;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열팽창 계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2개의 인접 타일들을 갖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각각의 타일은 픽셀 위치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고, 2개의 인접 타일들 각각은 제1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을 갖고, 방법은,
제2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제1 기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두께는 제1 기판의 두께 미만이고;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열팽창 계수 미만이고 적어도 2개의 타일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픽셀 위치의 크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후면 프로젝션 시스템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2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상의 픽셀들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타일의 단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의 챔퍼링의 예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의 챔퍼링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및 체결 메커니즘의 단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및 그것이 체결되는 프레임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에 의한 프레임에 2개의 캐리어 기판들의 체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들의 챔퍼링 및 기판들을 통한 가장 바깥쪽 광선들의 전파의 상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들의 챔퍼링 및 기판들을 위한 가장 바깥쪽 광선들의 전파의 상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시 디스플레이에서 타일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시 타일형 디스플레이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개략적 단면 및 기판 및 기계적 체결 요소들 및 프레임 사이의 클리어런스들이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및 특정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설명되는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이고 비제한적이다. 도면들에서, 요소들의 일부의 크기는 예시적 목적들을 위해 과장되고 축척에 따라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 "포함하는"이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경우, 그것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부정 관사 또는 정관사 예를 들어 "하나의", "상기" 가 단수 명사를 언급할 때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다른 것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한 그러한 명사의 복수를 포함한다.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는"은 그 후에 열거되는 수단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그것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게다가, 용어들 제1, 제2, 제3 등은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유사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반드시 순차 또는 시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사용되는 용어들은 적절한 상황들 하에 교환가능하고 본원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원에 설명되거나 예시된 것과 다른 순서들로 동작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용어들, 상단, 하단, 수평, 수직 등은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다른 의미가 그들에 할당되지 않는 한 수평으로 놓여지는 카펫을 통상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숫자들은 유사한 특징들을 표시하고; 하나보다 많은 도면에 나타나는 참조 숫자는 동일한 요소를 언급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타일(T) 및 예를 들어 후면 프로젝션 타일형 디스플레이 또는 타일형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타일형 디스플레이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형태 및 평탄성을 유지하고, 환경(높은 습기, 온도 변동들 ...)에 상관없이 작거나 무시가능 열팽창만을 갖고 타일형 디스플레이 내의 인접 디스플레이 타일들과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타일(T)의 설계와 관련된다. 그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글래스와 같은 안정된 투명 캐리어 기판(1)이 사용된다. 유리한 특성들은 강성 및 강도, 투명도, 낮은 비용, 전기 절연, 다양한 크기들 및 두께들에서의 가용성이다. 글래스는 이러한 특성들을 나타낼 수 있다. 글래스는 예를 들어 소다 라임 글래스이다. 다른 타입들의 글래스가 가능하다. 캐리어 기판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열팽창 계수는 9.5 10-6 °K-1보다 더 낮은 것이 유리하다. 기판(1)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제1 측면, 제1 주요 표면 또는 입구 면을 갖는다. 입구 면은 프로젝터 또는 백라이트에 의해 투사되는 광이 진입하는 기판(1)의 면 또는 측면이다. 기판(1)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제2 측면, 제2 주요 표면 또는 출구 면을 갖는다. 출구 면은 광이 나가는 기판(1)의 면 또는 측면이다. 기판(1)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라인 또는 표면, 특히 평면이 기판(1)에 수직일 때, 그것은 라인 또는 표면이 기판(1)의 제1 및 제2 측면들에 수직인 것을 의미한다.
프레넬 렌즈(2)는 기판(1) 상에 제공된다. 프레넬 렌즈(2)는 예를 들어 기판(1) 상에 직접 인그레이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레넬 렌즈는 도 3으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판(1)에 고정, 예를 들어 기판 상에 적층 또는 접착되는 얇은 폴리머 층(3)에 실현된다. 프레넬 렌즈는 예를 들어 몰드가 프레스되는 경화가능 수지 층으로 직접적 반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지는 몰드의 적용 전에 기판(1) 상에 퇴적될 수 있다. 수지는 기판(1)과 별개의 중간 캐리어 표면 상에 퇴적되고, 몰드의 적용 후에 박리되고 기판(1) 상에 적층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수지는 연수지 예컨대 실리콘 수지 또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일 수 있거나 그것은 경수지 예컨대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경 재료 또는 연 재료의 선택은 응용예의 함수 및 타일(T)의 치수들의 함수로 결정된다. 표 1(아래 참조)은 연 실리콘 수지 대신에 경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이득들의 개요를 제공한다.
폴리머 층(3)은 "캐리어" 기판(1)보다 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머 층(3)이 0.3 mm 두께이면, 캐리어 기판(1)은 1 mm, 2 mm 또는 그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캐리어 기판 및 그것이 연관되는 폴리머 층(3)의 두께의 비율은 1.8 이상 예를 들어 2.5, 3 또는 5까지인 것이 유리하다. 폴리머 층 및 기판이 일반적으로 상이한 열팽창 계수를 가지면, 두께의 이러한 비유사성은 온도가 변동될 때 시간에 따라 과도한 휨 또는 좌굴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기판(1)은 습기, 산소에의 노출 및 온도 변동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된 재료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고 타일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타일은 인접 디스플레이 타일들과 기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하나의 장점은 타일들의 정렬이 UV 방사선 및/또는 산소에 노출되는 기판의 재료의 온도, 습기 및 노화의 변동 조건들 하에 시간에 따라 위태롭게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캐리어 기판(1) 및 폴리머 층(3)의 측방 치수들에 대한 최고 정밀도는 캐리어 기판(1) 및 폴리머 층(3) 둘 다를 초기에 과치수화함으로써 획득된다. 폴리머 층(3)은 중간 캐리어 층 위에 예를 들어 0.3 mm 이상의 두께로 퍼지고, 몰딩되어 얇은 프레넬 렌즈(2)를 형성하고 박리된다. 이러한 스테이지에서, 프레넬 렌즈(2)의 측방 치수들은 예를 들어 1 mm 초과만큼, 및 일반적으로 20 mm와 동일한 것만큼 과대해진다. 예를 들어, 타일(T)의 치수들이 1550 mm × 872 mm이면, 과대 타일(T) 및 프레넬 렌즈(2)는 적어도 1570 mm × 892 mm일 것이다. 과대 프레넬 렌즈(2)는 과대 캐리어 기판(1) 상에 적층되거나 접착된다. 조립되면, 과대 캐리어 기판(1) 및 프레넬 렌즈(2)는 예를 들어 워터 제트에 의해 그들의 최종 치수들로 절단된다. 발명자는 캐리어 기판 또는 프레넬 렌즈를 저하시키는 것 없이 워터 제트가 최상의 정밀도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절단 기술인 것을 발견했다. 동일한 기술은 프레넬 렌즈가 (과대) 캐리어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때 준용된다. 대안적으로, 프레넬 렌즈 층 및 캐리어 기판은 조립되기 전에 개별적으로 치수들로 절단될 수 있다.
표 2(아래 참조)는 발명자에 의해 테스트되는 다양한 절단 방법들과 연관되는 문제를 요약한다.
방현 구조체(4)는 도 1의 타일형 후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 프로젝터를 향하는 기판(1)의 면 상에 제공 예를 들어 에칭될 수 있다. 대안 실시예들에서, 방현 구조체는 관찰자를 향하는 기판의 면 상에 또는 기판의 양면 상에 에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타일들의 형상 및 치수들은 타일형 디스플레이 내의 그러한 타일들의 정렬의 변화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따라서, 2개의 인접 타일들 사이의 거리는 열 확장에 의해 야기되는 응력을 서로에 가하는 타일들의 위험 없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후면 프로젝션 타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의 인접 타일들 사이의 거리는 후면 프로젝션 타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픽셀의 치수들 예를 들어 1 mm 이하 및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들에 따른 후면 프로젝션 타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인접 타일들 사이의 거리는 매우 낮은 값 또는 심지어 제로로 감소될 수 있으며 즉 인접 타일들은 기계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은 인접 타일들의 캐리어 기판들이 서로 직접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타일형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가 동작되는 최대 온도에서 인접 타일들의 캐리어 기판들이 기계적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동작하는 온도가 최대 온도보다 더 작을 때, 인접 타일들은 접촉하는 것을 정지할 수 있고 2개의 타일 사이의 거리는 증가할 수 있지만 그것은 항상 낮은 값, 예를 들어 다른 방법으로 가능한 것보다 더 작을 것이다. 스캐터링 층 및/또는 콘트라스트 강화 층은 또한 특히 후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판(1)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제2 기판(5)은 요구된 스캐터링 및 콘트라스트 강화 성질들로 제2 층(6)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층(6)은 기판(5)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6)은 방현 구조체에 의해 통상 보완된다. 방현 구조체는 층(6) 상에, 예를 들어 층(6) 상에 중첩되는 부가 필름 층(6b)으로서 통상 실현된다. 층(6) 및 층(6a)은 중간 기판 상에 통상 폴리머화되고 박리된다.
캐리어 기판(5) 및 폴리머 층들(6 및 6b)의 측방 치수들에 대한 최고 정밀도는 캐리어 기판(5) 및 폴리머 층들(6 및 6b) 둘 다를 초기에 과치수화함으로써 획득된다. 폴리머 층들(6 및 6b)은 중간 캐리어 층 위에 예를 들어 0.3 mm 이상의 두께로 순차적으로 퍼지고 폴리화되며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에서, 폴리머 층들의 측방 치수들은 예를 들어 1 mm 초과만큼 및 통상 20 mm와 동일한 것만큼 과대해진다. 예를 들어, 타일(T)의 치수들이 1550 mm × 872 mm이면, 과대 캐리어 기판(5) 및 폴리머 층들(6 및 6b)은 적어도 1570 mm × 892 mm일 것이다.
과대 층들(6 및 6b)은 과대 캐리어 기판(5) 상에 (상하로) 적층 또는 접착되는 것과 같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조립되면, 과대 캐리어 기판(5) 및 층들(6 및 6b)은 예를 들어 워터 제트에 의해 그들의 최종 치수들로 절단된다. 발명자는 캐리어 기판 또는 복합 층(6 및 6b)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워터 제트가 복합 층(6 및 6b)에 대한 원하는 정밀도에 도달하는 것과 같이 매우 중요한 특성들의 조합을 가진 매우 양호한 절단 기술인 것을 발견햇다. 동일한 기술은 프레넬 렌즈가 (과대) 캐리어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때 준용될 수 있다.
기판들(1 및 5)의 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예를 들어 1D 타일링, 즉 도 4a에서와 같이 행으로의 타일링을 위해) 또는 2개의 수직 방향들로(for 2D 타일링, 즉 도 4b에서와 같이 1 초과 타일의 수개의 행들로의 타일링을 위해 또는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타일들이 체커보드 패턴으로 배치될 때) 사다리꼴 또는 6각형일 수 있다.
캐리어 기판(1 및/또는 5)의 프로파일링은 요구된 정확도에 도달하기 위해 그라인딩과 같은 기계가공 기술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에서, 단면은 평면(Π) 상에 수행된다.
도 4b에서, 단면들은 평면들(Π1 및 Π2) 상에 수행되며, 양 평면들은 기판(1)에 수직이다.
더 복잡한 단면들은 예를 들어 도 4a 또는 도 4b, 및/또는 도 5 및/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및/또는 도 8 및/또는 도 9 및/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1)의 2개 또는 4개의(즉 모든) 에지들의 에지들(옆 측면들)의 챔퍼링과 같은 에지들의 챔퍼링에서 기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른 기판들은 도 5, 및/또는 도 7 및/또는 도 8 및/또는 도 9 및/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체결 요소(8)에 대한 매칭 경사 또는 챔퍼뿐만 아니라, 기판(5)에 대해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에지들(옆 측면들) 상에 챔퍼링될 수 있다.
캐리어 기판들의 단면은 이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기판들의 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계적 체결 요소(8)의 표면(7)은 경사에 있어서 기판(1)의 옆 측면들(9)의 일부와 매칭하거나 옆 측면들 중 하나와 매칭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판(1)의 옆 측면(9)은 연결 표면이 디스플레이 타일의 광 축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그러한 방식으로 베벨링되거나 챔퍼링된다. 광 축은 기판(1)의 주요 표면에 수직인 것으로 가정된다. 이것은 에지들(옆 측면들)에 가까운 것을 제외한 경우이지만 그것은 주요 광 축에 대한 결정 요인이 아니다. 도 4a, 도 4b, 도 5, 도 7, 도 8,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예각은 디스플레이 타일의 내부 부분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는 라인과 수직 사이이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예각은 테이프가 수직으로 남아 있는 표면 사이에 정의된다. 이러한 표면은 이러한 도면들에서 위쪽인 출구 광학 반향과 반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다. 동일한 상황은 도 4a, 도 4b, 도 5, 도 7, 도 8 및 도 12에 존재한다.
요소(8)와 동일한 다른 기계적 체결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7b)은 도 5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9)과 반대의 기판의 옆 측면(10)과 매칭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판(1)의 이러한 옆 측면(9)은 연결 표면들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의 에지로부터 내부로 및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연결 표면이 디스플레이 타일의 광 축에 대해 예각을 이루지만 반대 옆 측면들 상의 각도들이 반대인 그러한 방식으로 베벨링되거나 챔퍼링된다. 이것의 효과는 그것이 타일의 모든 에지들 상에, 예를 들어 4개의 에지들 각각 상에 수행되면, 기계적 체결 요소(8)가 시간에 따라 크리핑될 수 있는 시어 평면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계적 체결 요소들에 기판(1)의 체결은 예를 들어 표면(7 및 7b) 상에서 글루에 의해 수행된다. 측면들(9 및 10)은 기판(1)을 챔퍼링함으로써 획득된다. 액체 글루는 덜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되어 있는 이유들로 (액체) 글루 대신에 기판(1)을 기계적 체결 요소(8)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유리한 열 활성화된 접착 필름(13)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제2 기판(5)은 도 5 상에 표현되는 바와 같이 프레넬 층들의 잘려진 상단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사시도는 도 6 상에 주어진다. 기계적 체결 요소들(8)이 기판(1)의 주변을 따라 위치되는 것은 도 6으로부터 보여진다. 프레임 요소들은 (예를 들어 너트들(11) 및 볼트들(12)에 의해) 프레임(F)에 기계적으로 체결된다. 프레임(F)은 타일형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동일한 타일들(T)을 정렬하고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에 타일(T)을 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지 구조체에의 체결은 예를 들어 기계적 체결 요소들(A, B, C 및 D)에 의해 수행된다. 지지 구조체는 타일형 디스플레이의 평면(예를 들어 타일 디스플레이의 타일들에 의해 결정되는 평면)에서 각각의 타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위치 조정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조정 수단은 예를 들어 개별 타일들의 병진을 2개의 수직 방향들로 허용할 수 있다. 타일(T)의 기계적 체결 요소들(A, B, C 및 D)은 타일과 연관되는 위치 조정 수단에 체결된다. 타일들을 타일형 디스플레이로 조립하기 위해, 제1 타일(T1)이 위치된다. 제2 타일(T2)은 T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타일들(T1 및 T2)의 평면 내의 그것의 위치는 T2의 위치 조정 수단에 의해 타일을 정렬하기 위해 조정된다. 제3 타일(T3)은 T1 바로 옆에 배치되고(T2 및 T3은 T1의 반대 측면들 상에 있음) 타일들의 평면 내의 그것의 위치는 T3의 위치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다. 제4 타일(T4)은 T1 위에 배치되고 타일들의 평면 내의 위치는 조정되는 등등이다. 일 예는 2X4 타일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도 13 상에 주어진다.
그것의 가장 간단한 형태에서, 위치 조정 메커니즘은 너트 및 볼트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볼트는 볼트의 직경보다 더 큰 개구부를 통과할 것이다. 타일의 이동들은 개구부 내의 볼트의 최대 편위(excursion)에 제한된다. 타일이 위치되면, 스크류들 및 볼트들은 조여지고, 워셔들 상에 압력을 인가하며, 하나의 워셔는 개구부의 각각의 측면 상에 있다. 워셔들은 타일이 변위됨에 따라 볼트와 함께 이동한다. 지지 구조체 내의 4개의 세트의 너트, 볼트, 워셔 및 대응하는 개구부들이 타일에 연관되어 그것의 위치를 조정한다.
기판(1 및 5)의 신뢰성 조립은 통상 프레넬 요소를 잘라내는 것을 필요로 한다. 2개의 기판들의 체결은 예를 들어 기판(5)의 하단 측면을 프레넬 렌즈 층의 주변 상의 잘려진 프레넬 요소의 상단에 접착함으로써 수행된다. 양 기판(1 및 5)의 측면들을 오버래핑하는 접착 필름(13)과 함께 2개의 캐리어 기판을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도 7에 의해 예시된다. 대안 실시예에서, 층(6)은 도 3b 상에서와 같이 프레넬 렌즈(3)와 제2 캐리어 기판(5) 사이에 위치된다.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의 일 예는 German Utility Model DE202009015262U1 "Latent reaktive, hitzeaktivierbare Klebmasse und damit hergestellte Klebemittel"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접착 필름(13)이다. 열 활성화는 예를 들어 근적외선 가열 또는 열공기(열선총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들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의 하나의 장점은 우수한 구조적 접착 성질들을 여전히 가지면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열 손상이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 있도록 열 활동(즉 온도 및 활성화 시간의 조합)이 잘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들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는 90초 미만의 활성화 시간과 120℃까지의 온도들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더 높은 활성화 시간은 온도가 더 낮으면 사용될 수 있다. 활성화 시간은 온도가 70℃ 내지 80℃와 같은 전형적인 폴리머 글래스 온도로 감소되면 문제가 덜 된다. 그러한 매우 낮은 온도 시스템들은 덜 바람직하다. 활성화 온도의 적당한 범위가 100 내지 140℃이도록 활성화 시간은 140℃에서 30초 미만이고 활성화 시간은 120℃에서 90초 미만이다.
열 활성화된 접착 필름들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들이 글루와 같은 액체가 아니면, 인접 타일들 사이의 시임에 기여하는 접착 필름(13)의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도 7, 도 8 및 도 9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께의 양호한 제어가 필요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어 인접 타일들 사이의 시임을 제어한다.
열 활성화된 접착 필름들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들은 또한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고 층들 사이에 또는 프레넬 렌즈의 그루브들 내에 글루 침투의 상당히 감소된 위험을 야기하거나 위험이 없다. 이것은 글루 침투가 시각적 인공물들을 야기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대안 실시예에서, 양 기판들(1 및 5)은 도 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든 에지들 상에 바람직하게 챔퍼링되고 프레임 요소들(8 및 8b)에 체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양 기판들(1 및 5)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옆 측면들은 연결 표면들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의 에지로부터 내부로 및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연결 표면이 디스플레이 타일의 광 축에 대해 예각을 이루지만 반대 측면들 상의 각도들이 반대인 그러한 방식으로 프레임 요소들(8 및 8b)의 매칭 경사 표면들과 베벨링되거나 챔퍼링된다. 이것의 효과는 그것이 타일의 모든 에지들 상에, 예를 들어 4개의 에지들 각각 상에 수행되면, 기계적 체결 요소가 시간에 따라 크리핑될 수 있는 시어 평면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접착 층(13)의 두께의 양호한 제어는 2개의 인접 타일들 사이의 거리의 더 양호한 제어를 허용한다. 도 7, 도 8, 도 9 및 도 12는 열 활성화된 접착 필름들(13)과 같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들로 2개의 캐리어 기판들(1 및 5) 및 기계적 체결 요소들(8)을 함께 체결하는 대안 기술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서, 기판(1)은 챔퍼링되지만 그것의 두께에 걸쳐 완전히 챔퍼링되지 않는다. 도 9에서, 기판들(1 및 5)은 그들의 두께들에 걸쳐 챔퍼링된다. 그러나, 광학 요소(2, 3)는 임의로 챔퍼링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은 완전히 챔퍼링되고 기판(5)은 에지들 상에 완전히 챔퍼링되지 않는다. 게다가, 제한적 열 활성화된 접착제들의 사용은 제조 동안 압력들을 감소시켜 더 높은 수율들과 더 얇고 깨지기 쉬운 기판들 및 더 낮은 중량의 사용을 야기한다.
상기 설명된 개념은 프로젝션에 기초한 비디오 벽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것은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들 또는 OLED 디스플레이들과 같은 직시 디스플레이들의 심리스 타일링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들은 수 밀리미터의 상당한 시임을 가져서 관련 비디오 벽에 거대한 갭들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것에서, 프레넬 렌즈 요소는 다른 광 안내 및 이미지 확대 기능성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요구된 기능성들의 일부는 또한 디스플레이의 전방에 접착될 수 있다. 광 분배, 콘트라스트 강화 및 심리스 타일링을 위한 글래스 전면 요소의 기능성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 다음, 0,5mm 아래의 매우 낮은 시임인 직시 디스플레이 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것은
Figure pct00001
5,5mm를 나타내는 현재의 해결법과 비교하여 한 종류의 개선일 것이다.
도 10은 단일 캐리어 기판 및 연관된 기능 층이 심리스 타일형 액정(Liquid Crystal)(LC) 디스플레이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베젤에 체결되는 LC 패널은 타일(T)에 연관된다. 베젤은 예를 들어 0.5 cm만큼 클 수 있다. LC 패널로부터의 광은 LC 패널 상에 형성되는 이미지를 확대하는 효과를 갖는 발산 프레넬 렌즈(15)에 수직으로 도달한다. 이미지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T) 상에 형성된다: 캐리어 기판은 방현 층을 갖거나 갖지 않고 확산 층을 지지한다.
LC 패널 상에 형성되는 이미지는 타일(T)을 채우기 위해 확대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형 디스플레이에서 2개의 인접 타일들(T)의 단면 상의 가장 바깥쪽 투사 광선들 및 그들의 연관된 LC 패널을 도시한다.
발산 프레넬 렌즈(15)가 LC 패널(14) 상에 형성되는 이미지를 확대하는 것에 더하여; 프레넬 렌즈(16)는 LC 패널(14)을 조명하는 백라이트를 위해 사용된다. 임의의 종류의 높은 콜리메이트 백라이트는 양호한 포커스 및 증가된 콘트라스트에 유리하다.
확대된 이미지는 캐리어 기판(5)에 의해 지지되는 확산 층(6)에 의해 분배된다. 2개의 인접 캐리어 기판들 사이의 거리는 타일형 디스플레이가 동작되는 온도의 전체 범위에 걸쳐 (도 2 상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타일(T) 상에 돌출되는 2개의 인접 픽셀들 사이의 간격(A) 미만이다.
부가 프레넬 렌즈(17)는 더 양호한 이미지 균일성을 위한 광을 콜리메이트하기 위해 확산 층(6) 및 그것의 캐리어 기판(5)의 전방에 직접 위치될 수 있다. 캐리어 기판 및 기계적 체결 요소들의 단면은 확산 층(6)에 대한 가장 바깥쪽 투사 광선들의 경로 상에 장애물이 없게 된다. 캐리어 기판(5)에 대한 가장 간단한 단면은 도 12 상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이다. LC 패널 상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경계들은 확산 층(6)의 경계들을 따라 돌출된다.
2개의 인접 타일들 사이의 거리가 타일(T) 상의 2개의 인접 픽셀들 사이의 거리(A)보다 더 작으면, 실현된 타일형 디스플레이는 심리스로 간주된다.
최대 동작 온도에서 2개의 인접 캐리어들 사이의 접촉을 허용하기 위해, 캐리어 기판(5)의 가장 바깥쪽 옆 측면들(S1)과 에지들(E1) 및 기계적 체결 요소들(8)의 가장 바깥쪽 표면 요소(S2)와 프레임(F)의 가장 바깥쪽 표면 요소들(S3) 사이에 일부 클리어런스(Δ1 및 Δ2)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기계적 공차들 및 열팽창은 인접 캐리어 기판들 사이에서 시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Δ1 및 Δ2의 값을 결정할 때 고려된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Claims (62)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픽셀 위치들과 연관되는 타일들을 갖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tiled display arrangement)로서,
    적어도 2개의 인접 타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인접 타일들 각각은 제1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에 고정되는 제2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두께는 상기 제1 기판의 두께 미만이고; 상기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열팽창 계수 미만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일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픽셀 위치의 크기 미만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은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그것의 옆 측면들(lateral sides) 상에 제1 경사 글루 표면들(sloping glue surfaces)을 형성하는 챔퍼들(chamfers)을 갖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경사 글루 표면들과 매칭하는 제2 경사 글루 표면들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글루 표면들은 온도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제한적 온도 활성화된 접착제(bounded temperature activated adhesive)와 함께 고정되거나 얇은 캐리어 포일(thin carrier foil) 상에 분배되는 글루(glue)와 함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표면들의 경사 각도는 상기 타일의 광 축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대향 옆 측면들의 경사 표면들의 경사 각도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사이에 상기 광 축과 평행하거나 그것에 직교하는 시어 평면(sheer plane)이 없도록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 타일들의 상기 제1 기판들은 서로 기계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일들의 상기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273°K와 373°K 사이에서 9.5 10-6 1/°K 이하인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상기 제1 층은 프레넬 렌즈를 갖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의 상기 제1 층은 상기 프레넬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인그레이빙(engraving)함으로써 수정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의 제1 층은 프레넬 렌즈로 몰딩되는(molded)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상기 제1 기판에 고정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접착되거나 적층되는(laminated)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를 지지하는 상기 제1 기판은 다른 기능 층을 지지하는 제2 기판과 연관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타일은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제2 층을 갖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과 동일한 재료인 제3 재료로 제조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또는 제3 재료와 상이한 제4 재료로 제조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경화되기 전에 제2 기판 상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2 기판 상에 퇴적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접착되거나 적층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타일의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은 함께 고정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타일의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은 온도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제한적 온도 활성화된 접착제로 함께 고정되거나 얇은 캐리어 포일 상에 분배되는 글루로 함께 접착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기판은 액정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liquid crystal image forming device)를 지지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21. 적어도 2개의 인접 타일들을 갖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타일은 픽셀 위치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관되고, 상기 2개의 인접 타일들 각각은 제1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을 갖고, 상기 방법은:
    제2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상기 제1 기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두께는 상기 제1 기판의 두께 미만이고; 상기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열팽창 계수 미만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일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픽셀 위치의 크기 미만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을 지지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그것의 옆 측면들 상에 제1 경사 글루 표면들을 형성하는 챔퍼들을 갖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경사 글루 표면들과 매칭하는 제2 경사 글루 표면들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글루 표면들은 온도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제한적 온도 활성화된 접착제와 함께 고정되거나 얇은 캐리어 포일 상에 분배되는 글루와 함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표면들의 경사 각도는 상기 타일의 광 축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대향 옆 측면들의 경사 표면들의 경사 각도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사이에 상기 광 축과 평행하거나 그것에 직교하는 시어 평면이 없도록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는 방법.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 타일들의 상기 제1 기판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일들의 상기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273°K와 373°K 사이에서 9.5 10-6 1/°K 이하인 방법.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상기 제1 층 상에 프레넬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의 상기 제1 층은 상기 프레넬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인그레이빙함으로써 수정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상기 제1 층은 프레넬 렌즈로 몰딩되는 방법.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상기 제1 기판에 고정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접착되거나 적층되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상기 제1 층은 프레넬 렌즈로 몰딩되기 전에 상기 제1 기판 상에 수지로서 퇴적되고 상기 제1 기판 상에 경화되는 방법.
  32.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넬 렌즈는 상기 제1 기판에 직접 인그레이빙되는 방법.
  33. 제2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를 지지하는 상기 제1 기판은 다른 기능 층을 지지하는 제2 기판과 연관되는 방법.
  34. 제20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타일은 제2 기판을 가지며, 제2 층을 상기 제2 기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과 동일한 재료인 제3 재료로 제조되는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또는 제3 재료와 상이한 제4 재료로 제조되는 방법.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퇴적된 다음에 경화되는 방법.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접착되거나 적층되는 방법.
  39. 제33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타일의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은 함께 고정되는 방법.
  40. 제33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상기 제2 층이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된 후에 몰딩되는 방법.
  41. 제33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접착되거나 적층되는 방법.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타일의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은 온도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제한적 온도 활성화된 접착제로 함께 고정되거나 얇은 캐리어 포일 상에 분배되는 글루로 함께 접착되는 방법.
  43. 제33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법.
  44. 제33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기판이 액정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5.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타일로서, 상기 타일은 픽셀 위치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관되고, 상기 타일은 2개의 인접한 그러한 타일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픽셀 위치의 크기 미만이도록 적응되고,
    제1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에 고정되는 제2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두께는 상기 제1 기판의 두께 미만이고; 상기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의 열팽창 계수 미만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판은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그것의 옆 측면들 상에 제1 경사 글루 표면들을 형성하는 챔퍼들을 갖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경사 글루 표면들과 매칭하는 제2 경사 글루 표면들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글루 표면들은 온도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제한적 온도 활성화된 접착제와 함께 고정되거나 얇은 캐리어 포일 상에 분배되는 글루와 함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표면들의 경사 각도는 상기 타일의 광 축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타일.
  47. 제46항에 있어서, 대향 옆 측면들의 경사 표면들의 경사 각도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사이에 상기 광 축과 평행하거나 그것에 직교하는 시어 평면이 없도록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는 타일.
  48. 제45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273°K와 373°K 사이에서 9.5 10-6 1/°K 이하인 타일.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상기 제1 층은 프레넬 렌즈를 갖는 타일.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의 상기 제1 층은 상기 프레넬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인그레이빙함으로써 수정되는 타일.
  51. 제49항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상기 제1 층은 프레넬 렌즈로 몰딩되는 타일.
  52. 제49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상기 제1 기판에 고정되는 타일.
  53. 제4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접착되거나 적층되는 타일.
  54. 제47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를 지지하는 상기 제1 기판은 다른 기능 층을 지지하는 제2 기판과 연관되는 타일.
  55. 제47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제2 층을 갖는 타일.
  56.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과 동일한 재료인 제3 재료로 제조되는 타일.
  57. 제54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또는 제3 재료와 상이한 제4 재료로 제조되는 타일.
  58. 제54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경화되기 전에 상기 제2 기판 상에 퇴적되는 타일.
  59. 제54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접착되거나 적층되는 타일.
  60. 제54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의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은 함께 고정되는 타일.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의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은 온도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제한적 온도 활성화된 접착제로 함께 고정되거나 얇은 캐리어 포일 상에 분배되는 글루로 함께 접착되는 타일.
  62. 제45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기판은 액정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타일.
KR1020167026727A 2014-02-28 2015-02-26 심리스 타일형 디스플레이들 KR20170012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03516.6 2014-02-28
GB1403516.6A GB2523742A (en) 2014-02-28 2014-02-28 Seamless tiled displays
PCT/EP2015/053999 WO2015128408A1 (en) 2014-02-28 2015-02-26 Seamless tiled display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197A true KR20170012197A (ko) 2017-02-02

Family

ID=5049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727A KR20170012197A (ko) 2014-02-28 2015-02-26 심리스 타일형 디스플레이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936177B2 (ko)
EP (1) EP3111639B1 (ko)
JP (1) JP6596010B2 (ko)
KR (1) KR20170012197A (ko)
CN (1) CN106462039A (ko)
BE (1) BE1024100B1 (ko)
GB (1) GB2523742A (ko)
WO (1) WO20151284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544A1 (en) * 2019-08-13 2021-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8741B2 (en) * 2013-05-28 2022-01-18 Fusao Ishii Seamless tiled displays
GB2523742A (en) * 2014-02-28 2015-09-09 Barco Nv Seamless tiled displays
TWI671721B (zh) 2014-09-15 2019-09-11 比利時商巴而可公司 顯示磚、用於顯示磚的框架及其製作方法
US10310645B2 (en) * 2016-03-15 2019-06-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window with light steering
CN105676513B (zh) * 2016-04-15 2019-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CA3034619C (en) * 2016-08-26 2024-04-09 Molecular Imprints, Inc. Edge sealant confinement and halo reduction for optical devices
CN109937442A (zh) 2016-10-06 2019-06-25 图像影院国际有限公司 电影院发光屏幕和声音系统
US10186178B2 (en) 2017-05-22 2019-01-22 Sony Corporation Tunable lenticular screen to control luminosity and pixel-based contrast
US10101632B1 (en) 2017-05-22 2018-10-16 Sony Corporation Dual layer eScreen to compensate for ambient lighting
US10574953B2 (en) 2017-05-23 2020-02-25 Sony Corporation Transparent glass of polymer window pane as a projector screen
US10613428B2 (en) 2017-05-30 2020-04-07 Sony Corporation Wallpaper-based lenticular projection screen
US10429727B2 (en) 2017-06-06 2019-10-01 Sony Corporation Microfaceted projection screen
CN107037686A (zh) * 2017-06-09 2017-08-11 海信集团有限公司 拼接屏及背投影单元
WO2018234344A1 (en) 2017-06-20 2018-12-27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ACTIVE DISPLAY ELEMENT WITH REDUCED GRID EFFECT
US10795252B2 (en) 2017-07-21 2020-10-06 Sony Corporation Multichromic filtering layer to enhance screen gain
US10798331B2 (en) 2017-07-21 2020-10-06 Sony Corporation Multichromic reflective layer to enhance screen gain
US10634988B2 (en) 2017-08-01 2020-04-28 Sony Corporation Tile-based lenticular projection screen
EP3685255A1 (en) 2017-09-20 2020-07-29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Light emitting display with tiles and data processing
KR102395116B1 (ko) * 2017-09-29 2022-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942613A (zh) * 2017-11-13 2018-04-20 深圳市光科全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屏及其拼接和封边方法
WO2019160609A1 (en) * 2017-12-25 2019-08-22 Fusao Ishii Seamless tiled displays
CN108335636B (zh) * 2018-03-19 2023-12-08 蒋翔东 光学无框拼接显示装置
TWI646883B (zh) * 2018-03-19 2019-01-01 宏碁股份有限公司 拼接式顯示裝置及筆記型電腦
US11513372B2 (en) 2018-06-12 2022-11-29 Magic Leap, Inc. Edge sealant application for optical devices
CN115625829A (zh) 2018-10-16 2023-01-20 奇跃公司 一种形成具有预定形状的波导部分的方法
TWI683155B (zh) 2018-12-20 2020-01-21 宏碁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9377892A (zh) * 2018-12-26 2019-02-22 深圳市眸合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多屏幕无缝拼接显示的光学系统
CN110727409B (zh) * 2019-09-29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调整方法及装置
CN113161328A (zh) 2020-01-22 2021-07-23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
CN112967612A (zh) * 2020-04-23 2021-06-15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WO2022169154A1 (ko) * 2021-02-02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4265248B (zh) * 2021-12-21 2023-09-26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4550603B (zh) * 2022-02-24 2024-03-01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拼接屏、拼接屏制造方法和显示装置
WO2023195499A1 (ja) * 2022-04-08 2023-10-12 Agc株式会社 タイリングディスプレイ、単位パネル群、タイリング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リングディスプレイのメンテナン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962B1 (ko) * 1988-12-29 1999-03-20 오오가 노리오 표시 장치
JP2890430B2 (ja) * 1989-01-10 1999-05-17 旭硝子株式会社 背面投写型ディスプレイ用スクリーン
JP2989021B2 (ja) 1991-02-09 1999-12-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
JPH04315137A (ja) * 1991-04-15 1992-11-06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DE69218507T2 (de) 1991-06-28 1997-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ehäuse für Projektionsfernsehempfänger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Bildschirms
JP2814807B2 (ja) * 1991-12-27 1998-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大画面映像表示用スクリーン装置と構成方法及びスクリーン接続部材
JPH06317847A (ja) * 1993-05-10 1994-11-15 Fuji Photo Film Co Ltd プロジェクタ
EP0650295B1 (en) 1993-10-21 1999-07-21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5897192A (en) * 1994-04-18 1999-04-27 Seufert; Heinz Rear projection module
BE1011359A5 (nl) 1997-09-09 1999-07-06 Barco Nv Projectiescherm voor naast en/of boven elkaar geplaatste beeldweergave-inrichtingen.
US6005649A (en) * 1998-07-22 1999-12-21 Rainbow Displays, Inc. Tiled, flat-panel microdisplay array having visually imperceptible seams
US6476886B2 (en) * 1999-02-15 2002-11-05 Rainbow Displays, Inc. Method for assembling a tiled, flat-panel microdisplay array
IL130314A0 (en) * 1999-06-06 2000-06-01 Comview Graphics Ltd Large display apparatus of modular construction
KR20010009720A (ko) * 1999-07-13 2001-02-05 박호군 3차원 영상의 다자 시청용 스크린 및 그 제작방법
WO2001064597A1 (fr) * 2000-02-29 2001-09-07 Bunka Shutter Co., Ltd. Ecran de verre pare-balles et dispositif a ecran de verre pare-balles
US6519085B2 (en) * 2001-03-23 2003-02-11 Clarity Visual Systems, Inc. Screen holding mechanism
JP2002350612A (ja) * 2001-05-25 2002-12-04 Dainippon Ink & Chem Inc 遮光性フィルム、遮光性粘着シー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表示パネル
US20070253051A1 (en) * 2003-09-29 2007-11-01 Kunihiko Ishihara Optical Device
CN100367047C (zh) * 2004-11-16 2008-02-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消除拼接显示屏间拼缝的方法及装置
JP4167659B2 (ja) * 2005-01-11 2008-10-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07271645A (ja) * 2005-07-21 2007-10-18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US7885003B2 (en) * 2005-01-11 2011-02-08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diffusing sheet, optical deflecting sheet, and transmission type screen
DE102005027392A1 (de) * 2005-06-13 2006-12-14 Tesa Ag Doppelseitige Haftklebebänder zur Herstellung von LC-Displays mit lichtreflektierenden und absorbierenden Eigenschaften
JP2007093867A (ja) * 2005-09-28 2007-04-12 Central Glass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用光学部品
JP2008286987A (ja) * 2007-05-17 2008-11-27 Toppa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投射型ディスプレイ
US8239382B2 (en) * 2007-07-12 2012-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index of network data for a set of messages
US8258685B2 (en) * 2009-06-26 2012-09-04 Prysm, Inc. Multi-panel display screen having a supporting film layer
DE202009015262U1 (de) 2009-07-30 2010-03-11 Lohmann Gmbh & Co. Kg Latent reaktive, hitzeaktivierbare Klebmasse und damit hergestellte Klebemittel
US8416368B2 (en) * 2009-10-05 2013-04-09 Prysm, Inc. Edge illumination of bezelless display screen
US8284487B1 (en) * 2011-11-29 2012-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rge format tiled projection display screen with flexible surface film
US9469080B2 (en) * 2012-01-06 2016-10-18 Prysm, Inc. Portable display
WO2013172423A1 (ja) * 2012-05-18 2013-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GB2523742A (en) * 2014-02-28 2015-09-09 Barco Nv Seamless tiled displays
US9013790B1 (en) * 2014-06-12 2015-04-21 Google Inc. High contrast rear projection screen for use with a diverging illumination sour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544A1 (en) * 2019-08-13 2021-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538958B2 (en) 2019-08-13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27553A1 (en) 2018-08-09
GB2523742A (en) 2015-09-09
CN106462039A (zh) 2017-02-22
US9936177B2 (en) 2018-04-03
US20160366379A1 (en) 2016-12-15
WO2015128408A1 (en) 2015-09-03
GB201403516D0 (en) 2014-04-16
JP6596010B2 (ja) 2019-10-23
JP2017508185A (ja) 2017-03-23
EP3111639B1 (en) 2019-11-13
EP3111639A1 (en) 2017-01-04
BE1024100A1 (nl) 2017-11-14
BE1024100B1 (nl)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2197A (ko) 심리스 타일형 디스플레이들
US9733427B2 (en) Apparatus for applying compensation to displayed im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2087814B (zh) 一种无边框显示装置及大屏幕显示器
US10429684B2 (en) Display tile with increased display area
JP2017508185A5 (ko)
JP2005524876A (ja) 画像表示装置
WO2017048385A1 (en) Frameless screen for tileable display panel
WO2020170653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201432356A (zh) 影像補償裝置及其製造方法
CN113341613B (zh) 显示装置
JP2007127950A (ja) 背面型プロジェクタ装置
JP5895040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H06294998A (ja) マルチビジョン
JP3489944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TW202021101A (zh) 柔性顯示幕及其製作方法、柔性顯示裝置
TWM588863U (zh) 具有側面斜角之拼接螢幕光學裝置及拼接螢幕
WO2008091229A1 (en) Rear projection screen
JP2006113234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H06123918A (ja) 透過型投影スクリーン
GB2533758A (en) Display tile with increased display area
JPH09325423A (ja) スクリーンユニット及び多面型スクリー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