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654A -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654A
KR20170010654A KR1020150102580A KR20150102580A KR20170010654A KR 20170010654 A KR20170010654 A KR 20170010654A KR 1020150102580 A KR1020150102580 A KR 1020150102580A KR 20150102580 A KR20150102580 A KR 20150102580A KR 20170010654 A KR20170010654 A KR 20170010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main
wi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580B1 (ko
Inventor
성주용
Original Assignee
성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용 filed Critical 성주용
Priority to KR102015010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5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4Lazy-to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등이 설치되는 프레임의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프레임의 일측이 상,하 개방되도록 하여 공간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장 또는 구조물의 간섭물과 프레임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터와, 모터에 축 결합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축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구동부;상기 구동부 각각의 드럼에 권선된 메인와이어;복수의 연등이 설치되며, 메인와이어의 권선에 의해 승강되는 메인프레임;복수의 연등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둘레부 및 상호간에 탈착되면서 연등이 설치되는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키고 메인와이어의 권선에 의해 승강되는 복수의 신축프레임;상기 메인프레임과 신축프레임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에 신축프레임을 탈착시키거나 신축프레임 간에 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에 설치되며,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 일부를 상,하로 폴딩하여 특정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 상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폴딩부;상기 폴딩부의 단부 또는 폴딩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에 마련되며, 폴딩부의 폴딩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A extending type lotus lamp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등이 설치되는 영역의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천장 크기 및 형태에 대한 설치 제약을 최소화한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교 행사 즉, 석가탄신일 등의 기념일에는 부처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한 일환으로 도로변 혹은 사찰 등의 경내에 크고 작은 다양한 모양의 연등이 설치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종교 행사는 불교신자들의 불심력을 극대화하는 것임은 물론, 각종 악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고 심신의 안정을 꾀함으로써 번뇌로부터 해탈과 평안을 도모하며, 부귀영화 등의 누림을 도모하고 축원자의 축원 성취달성의 기대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통적인 풍속이다.
한편, 상기 연등은 도로변 또는 사찰 등의 경내뿐만 아니라, 법당의 천장에도 설치된다.
상기 법당의 천장에 연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천장에 연등을 일일이 매달아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설치작업은 작업의 편의성이 떨어지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등을 천장에 설치하는 일련의 작업은 위보기(over head) 자세가 마련되어야 함에 따라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나아가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별도의 프레임을 마련하고 상기 프레임에 연등을 설치한 후 구동부를 이용해 상기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연등 리프팅 장치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416795』가 제공되었다.
이와 같은 연등 리프팅 장치가 제공됨에 따라, 프레임을 지면에 배치한 후, 상기 프레임에 연등을 균일한 간격마다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을 천장에 상승시킴으로써 편리하고 용이한 연등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연등 리프팅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프레임의 크기가 고정되어 제공되므로, 법당 천장의 크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법당 천장의 크기에 맞추기 위해, 기 제작된 프레임의 크기를 축소하거나 프레임의 크기를 확대해야할 경우, 절단 및 용접 등의 화기 작업을 이용해야함으로써 매우 번거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크기를 가변시키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둘째, 법당 천장에 설치된 구조물에 프레임이 간섭되어 프레임 설치시 구조물 변경 및 제거 작업 등의 추가 작업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법당 천장에 전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프레임을 천장에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프레임이 전등에 간섭되므로 연등이 설치된 프레임 설치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전등을 천장에서 분리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는 전등 분리 작업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전등이 제거되므로 조명 부재 등의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있게 된다.
셋째, 와이어에 매달린 프레임의 밸런스 유지가 극대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만 와이어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간의 진동에도 프레임이 흔들려 안정감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물론, 선행기술 "연등 수평유지형 승하강 장치" 『등록특허 10-1267471호』에 프레임의 여러 군데를 지지하는 와이어 설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 역시 프레임의 중앙을 매달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생략되어 있어 프레임 밸런스를 극대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와이어의 장력 조절은 와이어 각각에 설치된 턴버클에 의해 각각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41679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6747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등이 설치되는 프레임 신축 작업 및 프레임 밸런스 조절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장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프레임 일부가 폴딩될 수 있도록 한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와, 모터에 축 결합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축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구동부;상기 구동부 각각의 드럼에 권선된 메인와이어;복수의 연등이 설치되며, 메인와이어의 권선에 의해 승강되는 메인프레임;복수의 연등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둘레부 및 상호간에 탈착되면서 연등이 설치되는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키고 메인와이어의 권선에 의해 승강되는 복수의 신축프레임;상기 메인프레임과 신축프레임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에 신축프레임을 탈착시키거나 신축프레임 간에 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에 설치되며,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 일부를 상,하로 폴딩하여 특정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 상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폴딩부;상기 폴딩부의 단부 또는 폴딩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에 마련되며, 폴딩부의 폴딩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로써, 연등이 설치된 메인 프레임;연등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탈착되면서 연등이 설치되는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키는 복수의 신축프레임;모터 및 드럼을 포함하는 구동부;상기 드럼 및 메인 프레임 또는 신축프레임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메인 프레임 또는 신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에 의한 메인프레임 또는 신축프레임 승강시, 천장의 구조물과 메인프레임 또는 신축프레임 사이에는 접철되는 신축링커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메인프레임과 신축프레임, 그리고 신축프레임 간에 탈착될 수 있도록 탈착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천장 크기에 맞게 프레임을 설계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탈착수단을 통해 프레임 간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천장에 프레임을 대응시키기 위해 프레임 절단이나 용접 등의 화기 작업이 소요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둘째, 와이어를 이용하여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되, 승강 브라켓 및 나사봉을 이용해 메인프레임의 중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밸런스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의 일부 구역이 상,하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도록 폴딩부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일부 구역을 상,하 방향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폴딩부를 젖혀 공간을 확보해놓음으로써,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과 프레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천장 구조물을 제거할 필요없이 프레임 설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프레임 폴딩부가 상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승강브라켓을 이용해 서브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탈착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메인프레임이 메인와이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 내지 제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에 설치된 낙하제한 와이어 및 신축링커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는 연등이 설치되는 틀인 프레임을 용이하게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프레임의 중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천장 또는 프레임이 설치되기 위한 구조물의 크기 및 형태, 간섭물에 따른 프레임 설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프레임 밸런스 유지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는 구동부(100)와, 메인와이어(200)와, 메인프레임(300)과, 신축프레임(400)과, 탈착수단(500)과, 폴딩부(600)와, 장력조절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100)는 메인프레임(300) 및 신축프레임(400)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모터(110)와 드럼(120)과 샤프트(130)를 포함한다.
드럼(120)은 메인와이어(200)를 권선하며, 모터(110)의 동력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상기 드럼(120)은 복수로 제공되며, 메인프레임(300) 및 신축프레임(400)의 개수에 대응된다.
그리고, 샤프트(130)는 모터(110)에 축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드럼(120)이 축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복수의 드럼(120)은 샤프트(130)의 길이 방향으로 축 결합되며, 샤프트(130)의 정,역회전에 의해 메인와이어(200)를 감거나 풀어내면서 메인프레임 (300)및 신축프레임(400)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한편 안내롤러(140)가 마련된다.
안내롤러(140)는 드럼(120)에 권선된 메인와이어(200)를 메인프레임(300) 및 각 신축프레임(40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프레임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앵커(150)를 설치한 후, 상기 고정앵커(150)에 안내롤러(140)를 설치한다.
이때, 안내롤러(140)는 메인프레임(300) 및 각 신축프레임(400)의 상방 중앙에 위치된다.
상기 구동부(100)의 설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메인와이어(200)는 모터(11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120)에 풀리거나 드럼에 감기면서 메인프레임(30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인와이어(200)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나사봉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메인프레임(300)은 구동부(100)의 동력에 의해 승강되며, 연등이 설치되는 틀을 구성한다.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사각의 틀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격자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프레임(300)의 각 코너부위에는 서브와이어(310)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재(301)가 마련된다.
상기 서브와이어(310)는 메인프레임(30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메인프레임(300)의 각 코너에 마련된 고정부재(301)와 후술하는 장력조절수단(700) 사이에 연결된다.
즉, 상기 메인와이어(200)는 메인프레임(300)을 승강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이며, 서브와이어(310)는 후술하는 장력조절수단(700)과 함께 메인프레임(300)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신축프레임(400)은 메인프레임(300)의 둘레에 탈착되거나, 신축프레임(400) 상호 간에 탈착되면서 프레임 전체 크기를 신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연등이 설치되기 위한 법당 천장 또는 구조물의 형태 및 크기는 각 법당마다 모두 다를 수 있으므로, 신축프레임(400)은 각기 다른 천장 또는 구조물에 프레임(300,400)의 크기 및 형태가 대응되도록 하여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을 덜 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신축프레임(400) 역시 메인프레임(30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되, 메인프레임(300)과 동일하게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프레임(400)의 너비를 획일화하지 않음으로써, 천장 또는 구조물 크기에 프레임(300,400)을 좀 더 세밀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탈착수단(500)은 메인프레임(300)과 신축프레임(400), 각 신축프레임(400) 상호 간에 탈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각 프레임(300,400)의 둘레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착수단(500)의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300,400)간에 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탈착수단(500)에 대하여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각 프레임(300,400)의 둘레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파이프가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탈착수단(5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300,400)의 둘레부에 복수의 파이프로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는 암파이프(510)와 숫파이프(520)로 구성된다.
암파이프(510)와 숫파이프(520)는 모두 프레임(300,400)의 둘레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암파이프(510)의 내경은 숫파이프(520)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숫파이프(520)가 암파이프(510)의 내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됨으로써, 프레임(300,400) 간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암파이프(510)와 숫파이프(520) 모두 그들의 외주면에는 고정공(H)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H)은 암파이프(510)에 숫파이프(520)가 결합되었을 때, 볼트(B)로 하여금 상호 간에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물론, 암파이프(510)에 숫파이프(520)를 끼움 결합만 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고정공(H)과 볼트(B) 구성은 프레임(300,400)이 천장에 설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프레임(300,400)의 낙하사고 예방을 위해 상호 간에 결합된 프레임(300,400) 간에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공(H)의 위치는 모두 동일하며,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폴딩부(600)는 프레임이 설치된 천장 또는 구조물의 간섭물과 프레임(300,400) 간에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각 프레임(300,400) 상에서 상,하로 회동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프레임(300,400) 상의 회피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구성이다.
폴딩부(600)는 메인프레임(300) 및 신축프레임(400) 모두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에 의해 프레임(300,400)의 일부가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폴딩부(600)는 프레임(300,400)의 일부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천장 또는 구조물에 간섭물, 예컨대 전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부(600)를 젖혀 놓음으로써 전등과 프레임(300,400) 간에 간섭을 피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천장 또는 구조물에 프레임(300,400) 설치시, 프레임(300,400)과 전등 간에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전등을 제거해야하는 등의 불필요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폴딩부(600)는 상방뿐만 아니라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즉, 경첩을 프레임(300,400)의 상부가 아닌 저부에 설치해 놓음으로써, 폴딩부(600)가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300,400)에는 폴딩부(600)의 폴딩을 구속할 수 있는 구속수단(610)이 마련된다.
즉, 평상시에 폴딩부(60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있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구속수단(6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600)의 단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단턱(610)을 형성함으로써 폴딩부(600)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폴딩부(600)가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될 경우에는, 폴딩부(600)의 단부와 프레임(300,400) 저면에 구속수단(610)을 마련해야함은 이해 가능하다.
프레임(300,400)의 저면에 마련된 구속수단(미도시)은 폴딩부(600)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한 구성이면 무방하며, 예컨대 걸쇠와 고리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장력조절수단(700)은 메인프레임(300)의 밸런스 즉, 수평 유지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며, 메인프레임(300)의 중앙에 설치된다
복수의 서브와이어(310)만으로 메인프레임(300)의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도 있으나, 복수의 서브와이어(310) 장력이 균일하지 않고 메인프레임(300)의 중앙을 지지하는 구성이 없다면 메인프레임(300)의 밸러스 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바, 상기 장력조절수단(700)은 서브와이어(310)의 장력을 고르게 유지하고 메인프레임(300)의 중앙을 지지함으로써 메인프레임(300)의 수평 유지력을 극대화하고자 한것이다.
장력조절수단(7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710)과, 승강 브라켓(720)과, 너트(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사봉(710)은 메인프레임(300)의 중앙을 지지하며, 메인와이어(20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나사봉(710)은 메인프레임(300)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되며, 나사봉(710)의 상단부에는 메인와이어(200)와의 결합을 위한 링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봉(7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브라켓(720)은 나사봉(710)을 따라 승강되면서, 서브와이어(310)의 장력을 조절한다.
승강브라켓(720)의 중앙에는 나사봉(710)의 직경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승강브라켓(720)의 각 코너에는 서브와이어(31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7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너트(730)는 나사봉(710) 상에서의 승강브라켓(720) 위치를 구속시키며, 승강브라켓(720)의 상면 및 저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나사봉(710) 상에서 너트(730)가 회전되면서 승강브라켓(720)을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설치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천장 일측에 구동부(100)를 설치한다.
이때, 모터(110)에 축 결합된 샤프트(130)는 천장 또는 구조물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130)에는 샤프트(1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드럼(120)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20)에는 메인와이어(200)가 권선되며, 메인와이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롤러(140)에 안내되어 메인프레임(300) 및 각 신축프레임(400)에 설치된 나사봉(710)에 연결된다.
구동부(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730)를 회전하여 나사봉(710) 상에서 승강브라켓(720)을 상승시킨다.
이때, 승강브라켓(720)이 상승됨에 따라 서브와이어(310)를 당기게 되므로, 느슨해져 있던 모든 서브와이어(310)는 팽팽한 상태가 된다.
즉, 하나의 승강브라켓(720) 상승만으로 메인프레임(300)의 각 코너를 지지하고 있던 복수의 서브와이어(310) 장력이 모두 동시에 균일해질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메인프레임(300)의 중앙에 나사봉(710)이 형성되고, 그 나사봉(710)을 중심으로 서브와이어(310)가 메인프레임(300)의 각 코너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수평은 더욱 안정감 있게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연등을 설치할 법당의 천장 또는 구조물의 형태 및 크기를 고려하여 프레임(300,400) 전체 크기를 결정한다.
이후, 메인프레임(300)의 둘레부에 형성된 암파이프(510) 또는 숫파이프(520)에 신축프레임(400)의 둘레부에 형성된 숫파이프(520) 또는 암파이프(510)를 결합시킨다.
이후, 숫파이프(520)와 암파이프(510)의 결속력 강화를 위해 고정공(H)을 통해 볼트(B)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각 프레임(300,400)간에 결속력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프레임(300)의 둘레부에 설치된 신축프레임(400)의 둘레에도 법당 천장 또는 구조물의 크기를 고려한 신축프레임(400)을 추가로 결합시킨다.
이때, 신축프레임(400) 간에 결합되는 일련의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0,400) 전체의 레이아웃이 결정된다.
이후, 메인프레임(300)에 결합된 신축프레임(400)의 서브와이어(310) 장력도 균일하게 조절한다.
서브와이어(3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일련의 과정은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된 서브와이어(310)의 장력 조절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천장 또는 구조물에 설치된 간섭물을 고려하여, 메인프레임(300) 및 신축프레임(400)에 마련된 폴딩부(600)를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된 폴딩부(600)로 인해, 메인프레임(300) 및 신축프레임(400)의 일부는 개방되어 천장 또는 구조물의 간섭물이 통과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메인프레임(300) 및 신축프레임(400)에 와이어나 전선을 이용해 연등을 매달아 설치한다.
다음으로, 구동부(100)를 작동하여 드럼(120)을 정회전시키면, 메인와이어(200)는 드럼(120)에 권선되면서 각 프레임(300,400)에 설치된 나사봉(710)을 리프팅 시킨다.
이때, 나사봉(710)이 설치된 메인프레임(300) 역시 상승되며, 메인프레임(300) 둘레에 결합된 신축 프레임(400)도 함께 상승된다.
이때, 각 프레임(300,400)의 중앙에 설치된 나사봉(710)을 기준으로 각 프레임(300,400)의 코너에 서브와이어(310)가 지지된 상태이므로 프레임(300,400)은 안정감 있게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천장 또는 구조물에 설치된 전등과 같은 간섭물은 폴딩부(600)의 회전을 통해 개방된 부위를 통과함에 따라, 프레임(300,400)과 구조물 간에 간섭은 발생하지 않게 되며, 각 프레임(300,400)은 원활하게 천장 또는 구조물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법당 천장 또는 법당의 일측에 설치된 구조물에 연등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메인프레임(300)과 신축프레임(400) 간에 탈착수단(500) 및 장력조절수단(700)의 구성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5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탈착수단(500)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530)로 제공된다.
상기 연결바(530)는 각 프레임(300,400)의 단부에 삽입되어 연결시켜주는 연결매개체이다.
연결바(530)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각 프레임(300,400)은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연결바(530)는 각 프레임(300,400)의 단부 내부에 삽입되며, 각 프레임(300,400)을 연결시키는 부위에 따라 일자(一字)형, 티(T)자형, 엘(L)자형, 십자(十字)형 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자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레임(300,400)을 직선 방향으로 연결시킬 때 사용되며, 티자형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300,400)을 각기 다른 방향에서 연결시킬 때 사용된다.
또한, 엘자형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0,4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을 연결시킬 때 사용되며, 십자형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에서 프레임(300,400)을 서로 연결시킬 때 사용된다.
즉, 각 프레임(300,400)의 연결 부위 내부에 연결바(530)의 양단부를 삽입시킨 후, 체결피스(540)를 이용해 프레임(300,400)과 연결바(530)를 고정시킴으로써 프레임(300,400)끼리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각 프레임(300,400) 간에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부재(5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보조부재(550)는 서로 밀착된 프레임(300,400)간에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서, 'U'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부재(55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프레임(300,400)을 감싸도록 한 후, 체결피스(540)가 보조부재(550) 및 각 프레임(300,400)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이웃하는 프레임(300,400)간에 결속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장력조절수단(7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나사봉은 프레임(300,400)의 중앙에 직접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와이어(740)를 통해 프레임(300,400)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장력조절수단(700)은 구동부(100)가 메인와이어(200)를 권선함으로써 나사봉(750)은 상방으로 상승되고, 나사봉(750)이 상승된 상태에서 나사봉(750) 상의 너트(730)를 회전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서브와이어(310)가 팽팽하게 유지되어 프레임(300,400)을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메인프레임(300)과 신축프레임(4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300) 및 신축프레임(400)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300)과 신축프레임(400)이 결합되고, 각 프레임(300,400)의 내부와 외부를 드나들면서 프레임(300,400) 상호 간에 밀착력을 긴밀히 유지시키는 보강와이어(760)가 더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보강와이어(760)는 신축프레임(400) 및 메인프레임(300)의 내부를 드나들면서 각 프레임(300,400)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상호 간에 결합된 프레임(300,400)의 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보강와이어(760)는 별도의 와이어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연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보강와이어(760)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성은 구동부의 고장 및 오동작으로 인해 각 프레임들을 리프팅 하고 있는 메인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풀릴 경우 복수로 결합된 프레임이 급작스럽게 하강되어 법당 안의 사람들에게 인명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는 구동부(100)와, 프레임 브라켓(800)과, 구조물 브라켓(810)과, 리프팅 와이어(820)와, 신축링커(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100)는 모터(110)와 드럼(120)을 포함하며, 법당의 일측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프레임 브라켓(800)은 프레임(3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신축링커(830)의 하단부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다.
프레임 브라켓(800)은 프레임(300)의 상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한 쌍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나, 프레임 브라켓(800)의 개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구조물 브라켓(810)은 천장 또는 프레임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되며, 신축링커(830)의 상단부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구조물 브라켓(810)은 프레임 브라켓(800)의 상방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구조물 브라켓(810)은 회전롤러(811)를 포함한다.
회전롤러(811)는 후술하는 리프팅 와이어(820)가 가이드 되는 구성이며, 한 쌍의 구조물 브라켓(810) 각각에 설치된다.
회전롤러(811)는 구조물 브라켓(810) 서로를 향해 회전되도록 축 결합되며, 구조물 브라켓(810)의 중앙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리프팅 와이어(820)는 구동부(100)의 동력을 프레임 브라켓(8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구동부(100)의 드럼(120)에 권선되어 모터(1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드럼(120)으로부터 풀리거나 드럼(120)에 권선되면서 프레임 브라켓(800)에 설치된 프레임(300)을 승강시킨다.
리프팅 와이어(820)는 두 가닥으로 마련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와이어(820)의 한 가닥은 일측의 구조물 브라켓(810) 회전롤러(811)를 통해 그 밑에 위치한 프레임 브라켓(800)에 고정이 된다.
리프팅 와이어(820)의 다른 한 가닥은 일측의 구조물 브라켓(810) 회전롤러(811)를 통해 타측의 구조물 브라켓(810) 회전롤러(811)를 거쳐 그 밑에 위치한 프레임 브라켓(800)에 고정이 된다.
즉, 리프팅 와이어(820)는 두 가닥으로 나뉘어져 각각, 일측 및 타측의 프레임 브라켓(8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부(100) 모터(110)의 정,역회전에 의해 프레임 브라켓(800)을 끌어올리거나 내려놓으면서 프레임(3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리프팅 와이어(820)가 프레임 브라켓(800)에 고정된 부위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브라켓(800)의 양단부일 수도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브라켓(800)의 중앙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신축링커(830)는 구동부(100) 오동작시 프레임(300)이 지면으로 추락되지 않도록 프레임(300)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프레임(300)의 프레임 브라켓(800)과 구조물 브라켓(810)을 연결시킨다.
신축링커(830)는 복수의 유닛링커로 제공되며, 각 유닛링커들의 단부는 서로 축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신축링커(830)는 접혔다 펴졌다 하면서 리프팅 와이어(820)에 의한 프레임(300)의 승강 작용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구동부(100)의 모터(110)가 동작하여 드럼(120)을 정회전시키면, 드럼(120)에 리프팅 와이어(820)가 권선되면서 프레임 브라켓(800)을 들어올린다.
이때, 리프팅 와이어(820) 두 가닥 모두 회전롤러(811)를 따라 가이드 되므로, 프레임(300)은 원활하게 상승된다.
이때, 신축링커(830)는 유닛링커의 각 단부들이 서로 회전되면서, 수축되므로 프레임(300)의 상승작용은 유연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프레임(30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모터(110)를 동작시켜 드럼(120)을 역회전시킨다.
이때, 드럼(120)에 권선된 리프팅 와이어(820)는 풀리게 되고 프레임(300)은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이때, 수축되었던 신축링커(830)는 프레임(300) 하강을 따라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신축링커(830)의 구성은, 구동부(100) 고장 및 오동작에 의해 리프팅 와이어(820)가 풀려 프레임(300)이 급강하더라도 신축링커(830)가 프레임 브라켓(800)을 잡아주고 있으므로, 프레임(300)이 지면으로 추락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신축링커(8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링커가 일렬로 결합된 싱글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링커가 서로 교차된 듀얼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신축링커(830) 역시, 그의 일단부는 프레임 브라켓(800)에 설치되며, 그의 타단부는 구조물 브라켓(810)에 설치된다.
상기 신축링커(830)는 서로 교차되는 지점마다 축 결합되어, 신축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리프팅 와이어(820)에 의한 프레임(300) 승강을 유연하게 해준다.
이때, 신축링커(830)의 신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링커(83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설치된 프레임 브라켓(800) 및 구조물 브라켓에(810)는 장홈(G)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홈(G)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811)를 중심으로 구조물 브라켓(810)의 양측과 프레임 브라켓(800)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즉, 장홈(G)은 신축링커(830)가 신축되는 과정에서, 신축링커(830)의 양단부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는 신축링커(830)가 더 구성됨으로써, 프레임(300) 승강을 유연하게 가이드 해줄 뿐만 아니라 드럼(120)으로부터 리프팅 와이어(820)가 급격하게 풀리더라도 프레임(300)은 신축링커(83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프레임(300)이 지면으로 낙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장비 파손 및 프레임 추락으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브라켓(800)과 구조물 브라켓(810) 사이에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제한 와이어(90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낙하제한 와이어(900)는 구동부(100)의 고장 또는 오동작에 의한 프레임 낙하 후, 프레임을 원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신축링커(830)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구동부(100)의 고장 또는 오동작에 의한 프레임(300) 낙하시에는, 프레임(300)의 하중에 의해 신축링커(830)가 완전히 펼쳐져 거의 직선형태가 되기 때문에, 구동부(100)를 동작하여 프레임(300)을 원위치로 리프팅 하는 과정에서 신축링커(830)가 원활하게 수축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는바, 상기 낙하제한 와이어(900)는 신축링커(830)가 펼쳐지는 최대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프레임(300)이 급격히 낙하되더라도,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링커(830)가 완전히 펼쳐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구동부(100)를 수리한 후 프레임(300)을 원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신축링커(830)의 동작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듀얼타입의 신축링커(83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장홈(G)의 구성없이 신축링커(830)가 설치된 구성이며, 도 14 및 도 15는 신축링커(830)에 연결마디(831)가 설치된 구성이다.
신축링커(830)에 연결마디(831)가 더 설치됨에 따라, 신축링커(830)의 신축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마디(83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링커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힌지 결합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링커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리프팅 와이어(820)는 메인프레임(300)의 승강을 중앙에서 컨트롤하고, 신축링커(830)는 프레임(300)의 각 코너에 설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0)의 양측에 프레임 브라켓(800)이 설치되고, 프레임 브라켓(800)의 상방에는 구조물 브라켓(810)이 설치된다.
이때, 프레임 브라켓(800)과 구조물 브라켓(810)은 각각,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프레임(300)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신축링커(830)는 프레임 브라켓(800)과 구조물 브라켓(810) 사이에 연결되며, 프레임(300)의 각 코너에 마련된 복수로 제공된다.
이는 프레임(3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프레임(300)의 상방의 천장 또는 구조물의 중앙에는 중앙브라켓(910)이 설치된다.
중앙브라켓(910)은 회전롤러(811)를 포함하며, 리프팅 와이어(820)를 프레임(300)의 중앙으로 가이드 한다.
즉, 구동부(100)에 권선된 리프팅 와이어(820)는 중앙브라켓(910)의 회전롤러(811)를 통해 하방의 프레임(300) 중앙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는 구동부(100)의 동작에 의해 리프팅 와이어(820)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프레임(300)을 승강시키고, 이 과정에서 프레임(300) 각 코너의 신축링커(830)는 신축되면서 프레임(300) 승강을 효율적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신축링커(830)를 포함하는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는 프레임(300)이 승강되는 작용에 있어서 천장 또는 프레임이 설치되는 구조물의 형태에 큰 제약을 받지 않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천장 또는 구조물이 높낮이가 다른 단차진 구성을 갖더라도,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링커(830)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프레임(300) 승강작용에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는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탈착될 수 있도록 하고, 회동부를 설치하여 일측의 간섭물과 프레임 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각 코너가 지지되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연등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천장 또는 구조물의 크기 및 형태에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의 밸런스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법당의 상방에 설치된 연등은 더욱 안정감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구동부 200 : 메인와이어
300 : 메인프레임 301 : 고정부재
310 : 서브와이어 400 : 신축프레임
500 : 탈착수단 510 : 암파이프
520 : 숫파이프 530 : 연결바
540 : 체결피스 550 : 보조부재
600 : 폴딩부 610 : 구속수단
700 : 장력조절수단 710,750 : 나사봉
720 : 승강브라켓 721 : 연결공
730 : 너트 740 : 연결와이어
760 : 보강와이어 800 : 프레임 브라켓
810 : 구조물 브라켓 811 : 회전롤러
820 : 리프팅 와이어 830 : 신축링커
831 : 연결마디 900 : 낙하제한 와이어
910 : 중앙브라켓 G : 장홈
H : 고정공
B : 볼트

Claims (5)

  1. 모터와, 모터에 축 결합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축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 각각의 드럼에 권선된 메인와이어;
    복수의 연등이 설치되며, 메인와이어의 권선에 의해 승강되는 메인프레임;
    복수의 연등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둘레부 및 상호간에 탈착되면서 연등이 설치되는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키고 메인와이어의 권선에 의해 승강되는 복수의 신축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과 신축프레임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에 신축프레임을 탈착시키거나 신축프레임 간에 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에 설치되며,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 일부를 상,하로 폴딩하여 특정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 상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의 단부 또는 폴딩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에 마련되며, 폴딩부의 폴딩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및 신축프레임 각각의 중앙에 설치되며, 메인와이어에 연결된 나사봉;
    상기 나사봉을 따라 승강되며, 각 모서리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승강 브라켓;
    상기 나사봉에 결합되되, 승강브라켓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배치된 너트;
    상기 승강 브라켓의 연결공과 메인프레임의 각 코너를 연결하는 서브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나사봉은 메인프레임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고정되거나, 메인프레임의 중앙에 연결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3. 연등이 설치된 메인 프레임;연등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탈착되면서 연등이 설치되는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키는 복수의 신축프레임;모터 및 드럼을 포함하는 구동부;상기 드럼 및 메인 프레임 또는 신축프레임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메인 프레임 또는 신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에 의한 메인프레임 또는 신축프레임 승강시, 천장의 구조물과 메인프레임 또는 신축프레임 사이에는 접철되는 신축링커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신축프레임에 설치된 프레임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 브라켓의 상방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구조물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드럼에 권선되며, 리프팅 와이어의 타단부는 회전롤러를 통해 프레임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신축링커는 프레임 브라켓과 구조물 브라켓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브라켓과 구조물 브라켓 사이에는 신축 링커가 과도하게 펼쳐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낙하제한 와이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KR1020150102580A 2015-07-20 2015-07-20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KR101768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80A KR101768580B1 (ko) 2015-07-20 2015-07-20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80A KR101768580B1 (ko) 2015-07-20 2015-07-20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654A true KR20170010654A (ko) 2017-02-01
KR101768580B1 KR101768580B1 (ko) 2017-08-17

Family

ID=5810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80A KR101768580B1 (ko) 2015-07-20 2015-07-20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3579B2 (en) * 2019-08-02 2022-09-27 Wideband Labs, LLC Hoisting management system for closed environmental facilit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471B1 (ko) 2011-09-29 2013-05-31 오대권 연등 수평유지형 승하강 장치
KR101416795B1 (ko) 2013-06-13 2014-08-06 박영민 연등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471B1 (ko) 2011-09-29 2013-05-31 오대권 연등 수평유지형 승하강 장치
KR101416795B1 (ko) 2013-06-13 2014-08-06 박영민 연등 리프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3579B2 (en) * 2019-08-02 2022-09-27 Wideband Labs, LLC Hoisting management system for closed environmental fac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580B1 (ko)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1479B (zh) 用于建筑开口的遮阳帘
KR20140002751A (ko) 풍력발전용 터빈 타워의 외측 표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130033628A (ko) 승강형 지주대
WO2020039870A1 (ja) 投光器
KR101768580B1 (ko)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KR101205611B1 (ko) 전주용 안전 네트
KR101033695B1 (ko) 깃발 게양대
JP2009060770A (ja) 電線張替工法
KR101823442B1 (ko) 무대설비용 케이블 가이드장치
JP5466783B1 (ja) 安全帯用支持部材
JP2014161711A (ja) 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及び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の昇降移動方法
JP4863147B2 (ja) 昇降用ネット体、及び該昇降用ネット体の形成方法
JP2000195328A (ja) 投光機及びその伸縮支柱
KR101809144B1 (ko) 전선이 내장된 다단식 지주 타워
JP4749949B2 (ja) テントシートの張設装置及び張設方法
JP4197509B2 (ja) 伸縮支柱
JP2010046451A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移動システム
JP4562450B2 (ja) 照明装置
JP2003077332A (ja) 昇降式架台付き照明柱及びその架台昇降方法並びにウインチ運搬用キャリヤー
KR102551845B1 (ko) 키네틱 구조물의 추락방지장치
JP4054800B2 (ja) クライミング足場
KR102670657B1 (ko)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KR200496479Y1 (ko) 무대의 머리막 커튼 이송장치
CN210035411U (zh) 一种高空灯具伸缩支架
JP2010222927A (ja) 塔状構造物の架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