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779A -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779A
KR20170009779A KR1020160089623A KR20160089623A KR20170009779A KR 20170009779 A KR20170009779 A KR 20170009779A KR 1020160089623 A KR1020160089623 A KR 1020160089623A KR 20160089623 A KR20160089623 A KR 20160089623A KR 20170009779 A KR20170009779 A KR 20170009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roove guide
guide roller
groove
supply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403B1 (ko
Inventor
가즈히토 나카구치
히사토시 도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0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22Devices for preparatory treatment of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각 편사의 텐션을 너무 강하게 하지 않고 공급경로상에서의 편사의 이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각 편사를 집속기에 의하여 합사로 하여 얀캐리어에 공급하는 공급경로에, 대략 V자 모양의 홈(241, 251)을 갖는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를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각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축(242, 252)을, 홈(241, 251)의 각 경사면(243A, 243B, 253A, 253B) 중 일방의 경사면(243A, 253A)으로부터 골짜기까지 합사를 굴려서 각 V홈 가이드 롤러(24, 25) 사이에서 꼬여지도록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다. 또한 각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홈(241, 251)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X, Y)은, 전개하면 당해 V홈 가이드 롤러(24, 25)가 1회전하는 사이에 1주기분의 사인곡선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YARN FEEDING MECHANISM OF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의 급사기구(給絲機構)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수 가닥의 편사(編絲)를 얀캐리어(yarn carrier)에 공급하는 공급경로(供給經路)상에서의 각 편사의 이완(弛緩)을 방지하는 대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콘(cone)으로부터 풀어낸 편사를 얀캐리어에 공급하는 공급경로에, 그 공급경로상에서의 편사의 이완을 방지함과 아울러, 당해 편사에 텐션(tension)을 작용시키기 위한 텐션장치(tension equipment)나 사이드 텐션 장치(side tension裝置)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1 참조).
또한 복수 가닥의 편사를 집속기(集束器)에 의하여 집속(集束)하여 합사(合絲)로 하고, 그 합사를 공급경로를 통하여 얀캐리어에 공급하도록 한 것도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144301호 공보
그런데 합사를 공급경로를 통하여 얀캐리어에 공급하면, 각각의 편사에 작용하는 저항의 차이나, 편성 시에 발생하는 스티치(stitch)의 내주와 외주 차이 등에 의하여 각 편사의 상호의 소비량이 다르게 되어 버린다. 그 경우에, 공급경로상에서의 합사의 텐션을 텐션장치나 사이드 텐션장치에 의하여 강하게 설정하여, 소비량이 적은 편사에 발생하는 이완을 제거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완이 발생하는 편사에 맞추어서 합사의 텐션을 너무 강하게 하면, 이완이 발생하지 않는 편사에 실끊어짐이 쉽게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스티치가 막히는 등 편성에 악영향이 생겨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사의 텐션을 너무 강하게 하지 않고 공급경로상에서의 편사의 이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가닥의 편사를 집속기에 의하여 합사로 하여 얀캐리어에 공급하도록 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를 전제로 한다. 또한 상기 집속기로부터 상기 얀캐리어까지의 공급경로에, V자 모양의 홈을 갖는 V홈 가이드 롤러를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을, 상기 홈의 2개의 경사면 중에서 일방의 경사면으로부터 골짜기까지 상기 합사가 굴러가기 쉽도록 상기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의 홈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은, 전개(展開)하면 상기 V홈 가이드 롤러가 1회전하는 사이에 1주기분의 사인곡선으로 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공급경로에, 상기 합사를 그 수요에 따라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에 적극적으로 이송하는 적극 실이송장치를 설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에, 상기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를 변경하는 경사각도 변경기구를 설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공급경로의 상기 V홈 가이드 롤러보다 얀캐리어측에, V자 모양의 홈을 구비하는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를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을,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굴려진 합사를 그것과는 역의 방향으로 굴리도록 상기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의 경사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더라도 좋다.
이에 대하여 상기 공급경로의 상기 V홈 가이드 롤러보다 얀캐리어측에, 바닥부에 상기 합사와 접촉하는 오목모양의 평탄한 홈을 갖는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를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을,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굴려진 합사를 상기 평탄한 홈에서 접촉하여 꼬이게 하지 않고 그대로 송출하도록 상기 공급경로에 대하여 직교시키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나 형상, 위치 등은,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해당 수치나 형상, 위치 등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또는 일어날 수 있는 오차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서, 대략의 해당 수치, 형상, 위치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이다. 즉 상한과 하한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는 설계사항에 속한다. 예를 들면 ‘V자 모양의 홈’은, ‘대략 V자 모양의 홈’인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을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고, 집속기로부터의 합사를 V홈 가이드 롤러의 홈의 일방의 경사면으로부터 골짜기까지 굴러가기 쉽게 함으로써, 공급경로에서 꼬여진 합사가 서로 얽혀서, 합사의 텐션을 너무 강하게 하지 않고 공급경로상에서의 각 편사의 이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V홈 가이드 롤러의 홈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을, 전개하면 당해 V홈 가이드 롤러가 1회전하는 사이에 1주기분의 사인곡선으로 함으로써, V홈 가이드 롤러가 1회전하는 사이에 홈의 골짜기가 양쪽 경사면의 사이를 지그재그로 이동하여, 홈의 각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변화한다. 이 때에 합사는 일방의 경사면만을 굴러가기 때문에,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에 따라 골짜기가 타방의 경사면측으로 이동하여 일방의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완만한 완경사(緩傾斜)일 때에 당해 일방의 경사면을 굴러가서 꼬여지고, 골짜기가 일방의 경사면측으로 이동하여 일방의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급격한 급경사(急傾斜)가 되었을 때에 일방의 경사면측으로 이동하여 버리지만, 골짜기가 타방의 경사면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일방의 경사면이 완경사가 되면, 당해 일방의 경사면을 굴러가서 꼬여지는 것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V홈 가이드 롤러의 홈의 일방의 경사면 만을 사용하여 합사를 꼬여지기 쉽게 하여, 얀캐리어까지의 공급경로에서의 합사의 꼬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합사를 그 수요에 따라 V홈 가이드 롤러에 적극적으로 이송하는 적극 실이송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이송된 합사도 V홈 가이드 롤러의 홈의 경사면으로부터 골짜기까지 굴려서 공급경로에서 원활하게 꼬이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각도 변경기구에 의하여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의 경사각도를 변경함으로써 V홈 가이드 롤러의 홈의 경사면 중의 어느 쪽의 경사면을 사용할 지의 선택이나 그 꼬임 정도의 세기 등을 각 편사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각 편사의 굵기나 실의 종류 또는 편성조건 등에 따라 합사에 대한 꼬임 정도를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급경로의 V홈 가이드 롤러보다 얀캐리어측의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을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V홈 가이드 롤러의 경사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굴려져서 꼬여진 합사를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의 홈의 일방의 경사면으로부터 골짜기까지 역의 방향으로 굴림으로써 당해 양 가이드 롤러 사이에서 꼬임을 더 늘려서 합사를 더 서로 얽히게 할 수 있어, 공급경로상에서의 각 편사의 이완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을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V홈 가이드 롤러의 경사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로부터 편침까지의 사이의 합사에 대해서도 꼬여지게 할 수 있어, 합사에 꼬임을 한 상태로 편침에 의한 편성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공급경로의 V홈 가이드 롤러보다 얀캐리어측의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을 공급경로에 대하여 직교시켜서,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꼬여진 합사를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의 바닥부의 평탄한 홈에 접촉시켜서 꼬이게 하지 않고 그대로 송출함으로써 당해 양 가이드 롤러 사이에서 꼬임을 더 늘려서 합사를 더 서로 얽히게 할 수 있어, 공급경로상에서의 각 편사의 이완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꼬여진 합사를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의 평탄한 홈에 접촉시켜서 꼬이게 하지 않고 그대로 송출하면, 그 평탄한 홈에 접촉한 이후의 합사의 꼬임이 자연히 풀어져서, 양쪽 가이드 롤러 사이에서의 합사의 꼬임을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로부터 편침까지의 사이에서 해제할 수 있어, 합사의 꼬임을 해제한 상태로 편침에 의한 편성을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공급경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3은, 상류측 가이드 장치를 얀캐리어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4는, 하류측 가이드 장치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5는,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를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6은,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7은, 공급경로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한 합사의 꼬임의 방향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8은,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의 홈의 형상을 전개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9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의 급사기구(給絲機構)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2는 공급경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횡편기(1)는, 2개의 콘(cone)(11A, 11B)으로부터 각각 풀어낸 편사(編絲)(12A, 12B)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편침(編針)에 급사하는 급사기구(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급사기구(2)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캐리지(carriage)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주행레일(走行 rail)에 대하여 슬라이딩(sliding) 하는 얀캐리어(yarn carier)(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얀캐리어(3)는, 기대(基臺)(31)와, 이 기대(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급사암(給絲arm)(32)을 구비하고 있다. 급사암(32)의 하단에는 급사구(給絲口)(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사기구(2)는, 각 콘(11A, 11B)으로부터 풀어낸 2가닥의 편사(12A, 12B)를 합하여 합사(合絲)(12)로 집속(集束)하는 집속기(集束器)(21)와, 이 집속기(21)로부터의 합사(12)를 얀캐리어(3)까지 가이드(guide) 하는 상류측 및 하류측 가이드 장치(22, 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집속기(21)로부터 얀캐리어(3)까지의 공급경로(20)에는, 집속기(21)로부터의 합사(12)를 그 수요에 따라 상류측 가이드 장치(22)에 적극적으로 이송하는 적극 실이송장치(積極 yarn移送裝置)(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극 실이송장치(4)는, 서보모터(servo motor)(40)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주롤러(主roller)(41)와, 서보모터(40)에 대하여 종동기구(從動機構)(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통하여 연결되고 주롤러(41)와 동기(同期)되어 회전하는 종동롤러(從動roller)(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집속기(21)로부터의 합사(12)는, 양쪽 롤러(41, 42)에 끼워져서 적극적으로 이송된다.
또한 적극 실이송장치(4)는 사이드 텐션장치(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사이드 텐션장치(44)는, 합사(12)를 공급경로(20) 밖으로 인출하는 방향(도1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스윙(swing) 가능한 버퍼간(bufffer杆)(45)을 구비하고, 그 가압력에 의하여 합사(12)에 텐션을 부여하고 있다.
도3은 상류측 가이드 장치를 얀캐리어(3)측에서 본 배면도, 도4는 하류측 가이드 장치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가이드 장치(22)는, 공급경로(20)상에 있어서 적극 실이송장치(4)와 얀캐리어(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상류측 가이드 장치(22)는, 급사기구(2)의 하우징(housing)(2a)에 부착된 L형 프레임(L形 frame)(221)과, 대략 V자 모양의 홈(groove)(241)을 구비하고, L형 프레임(221)에 지지된 지지암(支持arm)(222)에 축(242)(회전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V홈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가이드 장치(23)는, 얀캐리어(3)의 급사암(32)에 부착되고 폭방향으로 긴 가이드 지지구(guide 支持具)(231)와, 대략 V자 모양의 홈(251)을 구비하고, 가이드 지지구(231)의 폭방향 일단(一端)(도2에서는 우단(右端))에 축(252)(회전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5)를 구비하고 있다.
도5는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를 축(242, 25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6은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종단 정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도5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는, 홈(241, 251)의 양측에 각각 2개의 경사면(傾斜面)(243A, 243B, 253A, 253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의 축(242)은,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연직방향(도3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경로(20)로부터 공급되는 합사(12)와 직교하는 대략 수평방향(도3에서는 좌우방향)에 대하여 완경사(緩傾斜)(예를 들면 10°정도 경사)를 이루고 있다. 한편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5)의 축(252)은,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방향(도4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경로(20)로부터 공급되는 합사(12)와 직교하는 방향(도4에서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완경사(예를 들면 10°정도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합사(12)는,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각 홈(241, 251)의 각 경사면(243A, 243B, 253A, 253B) 중에서 일방(一方)의 경사면(243A, 253A)으로부터 골짜기까지 굴러가기 쉽게 된다.
도7은 공급경로(20)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에 의한 합사(12)의 꼬임의 방향을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7에 있어서,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의 축(242)의 경사에 의하여 그 홈(241)의 일방의 경사면(243A)으로부터 골짜기까지 합사(12)가 굴러가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얀캐리어(3)까지의 공급경로(20)에서 시계방향(도7에 1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꼬여진 합사(12)가 서로 얽혀서, 합사(12)의 텐션을 너무 강하게 하지 않고 공급경로(20)상에서의 각 편사(12A, 12B)의 이완(弛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5)의 축(252)은,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에 의하여 꼬여진 합사(12)를 역의 방향으로 굴러가도록 공급경로(20)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의 경사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에 의하여 꼬여진 합사(12)는,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5)의 홈(251)의 일방의 경사면(253A)으로부터 골짜기까지 역의 방향으로 굴러가서 공급경로(20)에서 반시계방향(도7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꼬여진다. 그 결과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사이에서 합사(12)에 꼬임을 더 늘려서 합사(12)를 더 서로 얽히게 할 수 있어, 공급경로(20)상에서의 각 편사(12A, 12B)의 이완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5)의 축(252)을 공급경로(20)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의 축(242)의 경사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면,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5)로부터 편침까지의 사이의 합사(12)도 꼬을 수 있어, 합사(12)를 꼰 상태로 편침에 의한 편성을 할 수 있다.
도8은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홈(241, 251)의 형상을 전개한 상태의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8에 있어서,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홈(241, 251)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X, Y)은, 전개하면 당해 각 V홈 가이드 롤러(24, 25)가 1회전하는 사이에 1주기분의 사인곡선으로 되고, 이 사인곡선대로 축(242, 252) 방향의 각 경사면(243A, 243B, 253A, 253B) 사이(W)의 범위 내에서 지그재그로 이동하여, 홈(241, 251)의 각 경사면(243A, 243B, 253A, 253B)의 경사각도가 변화한다. 이 때에 합사(12)는,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홈(241, 251)의 일방의 경사면(243A, 253A)만을 굴러가기 때문에, 홈(241, 251)의 골짜기가 타방(他方)의 경사면(243B, 253B)측으로 이동하여 일방의 경사면(243A, 253A)의 경사각도가 완만한 완경사일 때에 당해 일방의 경사면(243A, 253A)을 굴러가서 꼬여진다. 또한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회전에 따라 골짜기가 일방의 경사면(243A, 253A)측으로 이동하여 일방의 경사면(243A, 253A)의 경사각도가 가파른 급경사(急傾斜)가 되었을 때에 합사(12)가 일방의 경사면(243A, 253A)측으로 이동하여 버리지만, 골짜기가 타방의 경사면(243B, 253B)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일방의 경사면(243A, 253A)이 완경사가 되면, 당해 일방의 경사면(243A, 253A)을 합사(12)가 굴러가서 꼬여지는 것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홈(241, 251)의 일방의 경사면(243A, 253A)만을 사용하여 합사(12)를 꼬여지기 쉽게 하여, 얀캐리어(3)까지의 공급경로(20)에서의 합사(12)의 꼬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류측 가이드 장치(22)에는,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의 축(242)의 공급경로(20)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를 변경하는 경사각도 변경기구(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각도 변경기구(26)는, L형 프레임(221)에 대하여 지지암(222)을 체결하는 나사부재(261)를 구비하고, 이 나사부재(261)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암(222)이 회전함으로써, 공급경로(20)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의 축(242)의 경사각도가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의 홈(241)의 각 경사면(243A, 243B) 중의 어느 쪽의 경사면을 사용할 지의 선택이나 그 꼬임 정도의 세기 등을 각 편사(12A, 12B)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각 편사(12A, 12B)의 굵기나 실의 종류 또는 편성조건 등에 따라 합사(12)에 대한 꼬임 정도를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각 경사면(243A, 243B, 253A, 253B)은, 내마모성(耐磨耗性)을 도모함과 아울러, 합사(12)를 미끄러지기 쉽게 하는 가공처리(예를 들면 도금가공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에 있어서 홈(241, 251)의 각 경사면(243A, 243B, 253A, 253B)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180° 떨어져서 가장 완만한 모양으로 완경사되는 꼭대기측에 가까운 위치에는, 축(242, 25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모양으로 절단되고 단면(斷面)이 대략 L자 모양인 홈(244, 25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각 경사면(243A, 243B, 253A, 253B)에 미끄러지기 쉬운 가공처리가 실시되어 있더라도, 합사(12)가 홈(244, 254)에 결합되기 쉽게 되어, 완만한 모양으로 완경사되는 일방의 경사면(243A, 253A)의 꼭대기측에 가까운 곳으로부터 골짜기까지 합사(12)를 효율적으로 굴려서 꼬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공급경로(20)에 적극 실이송장치(4)를 설치하였지만,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속기(21)와 상류측 가이드 장치(22) 사이의 공급경로(20)에 사이드 텐션장치(44)만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로서, 홈(241, 251)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X, Y)이, 전개하면 당해 V홈 가이드 롤러(24, 25)가 1회전하는 사이에 1주기분의 사인곡선으로 되는 것을 사용하였지만, 대략 V자 모양의 홈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을 그 홈의 회전중심과 직교하는 동일면상에 형성하고 또한 그 면상에 있어서 홈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당해 회전중심을 지나는 직선상에서 서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등거리(等距離) 이간하는 2점이 각각 중심이 되도록 쌍방의 경사면의 꼭대기 측단(側端)을 편심(偏心)시킨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가 적용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것에서는, 홈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은 회전축 방향으로 지그재그가 되지 않고 직선모양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V홈 가이드 롤러의 1회전에 따라 홈의 각 경사면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180° 떨어진 위치에서 교대로 굴러가기 쉬운 완경사면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에 있어서 홈(241, 251)의 각 경사면(243A, 243B, 253A, 253B)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180° 떨어져서 가장 완만한 모양으로 완경사되는 꼭대기측에 가까운 위치에 홈(244, 254)을 각각 형성하였지만, 홈을 대신하여 합사를 결합하기 쉽게 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혹 모양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의 각 경사면(243A, 243B, 253A, 253B)에 합사(12)가 미끄러지기 쉽게 하는 가공처리를 실시하였지만,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의 각 경사면을 미끄러지기 어렵게 가공처리 하더라도 좋고, 그 경우에는 합사가 경사면을 골짜기까지 굴러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가장 완만한 모양으로 완경사되는 경사면의 꼭대기측 가까운 곳에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공급경로(20)에 동일한 구조의 상류측 및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24, 25)를 설치하였지만,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에만, 그 홈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이, 전개하면 당해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가 1회전하는 사이에 1주기분의 사인곡선으로 되는 것을 사용하고 있으면 좋고,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로서는, 그 홈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이 그 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일치하는 통상의 것이 사용되고 있더라도 좋다.
이에 대하여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를 대신하여, 바닥부에 합사와 접촉하는 오목모양의 평탄한 홈을 갖는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를 사용하고, 이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을,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굴려진 합사를 평탄한 홈에서 접촉하여 그대로 송출하도록 공급경로에 대하여 직교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꼬여진 합사가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의 평탄한 홈에 접촉되어 꼬이게 하지 않고 그대로 송출되게 되고,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와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 사이의 합사에 꼬임을 늘려서 더 서로 얽히게 할 수 있어, 공급경로상에서의 각 편사의 이완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이 공급경로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꼬여진 합사를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의 평탄한 홈에 접촉시켜서 꼬이게 하지 않고 그대로 송출하면, 그 평탄한 홈에 접촉한 이후의 합사의 꼬임이 자연히 풀려져서, 양 가이드 롤러 사이에서의 합사의 꼬임을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로부터 편침까지의 사이에서 해제할 수 있어, 합사의 꼬임을 해제한 상태로 편침에 의한 편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가닥의 편사(12A, 12B)를 집속기(21)에 의하여 합사(12)로 하였지만, 3개 이상의 편사를 집속기에 의하여 합사로 한 것이더라도 좋다.
1 : 횡편기
12 : 합사
12A, 12B : 편사
2 : 급사기구
20 : 공급경로
21 : 집속기
24 : 상류측 V홈 가이드 롤러(V홈 가이드 롤러)
241 : 홈
242 : 축(회전축)
243A, 243B : 경사면
25 :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
251 : 홈
252 : 축(회전축)
253A, 253B : 경사면
26 : 경사각도 변경기구
3 : 얀캐리어
4 : 적극 실이송장치
X, Y : 홈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

Claims (6)

  1. 복수 가닥의 편사(編絲)를 집속기(集束器)에 의하여 합사(合絲)로 하여 얀캐리어(yarn carrier)에 공급하도록 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의 급사기구(給絲機構)에 있어서,
    상기 집속기로부터 상기 얀캐리어까지의 공급경로에는, V자 모양의 홈을 갖는 V홈 가이드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이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홈의 2개의 경사면 중 일방(一方)의 경사면으로부터 골짜기까지 상기 합사가 굴러가기 쉽도록 상기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의 홈의 골짜기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선은, 전개하면 상기 V홈 가이드 롤러가 1회전하는 사이에 1주기분의 사인곡선(sine曲線)으로 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경로에는, 상기 합사를 그 수요에 따라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에 적극적으로 이송하는 적극 실이송장치(積極 yarn移送裝置)가 설치되어 있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공급경로에 대한 경사각도를 변경하는 경사각도 변경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경로의 상기 V홈 가이드 롤러보다 얀캐리어측에는, V자 모양의 홈을 갖는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이 하류측 V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굴려진 합사를 그것과는 역의 방향으로 굴리도록 상기 공급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의 경사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경로의 상기 V홈 가이드 롤러보다 얀캐리어측에는, 바닥부에 상기 합사와 접촉하는 오목모양의 평탄한 홈을 갖는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이 하류측 오목홈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V홈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굴려진 합사를 상기 평탄한 홈에서 접촉하여 꼬이게 하지 않고 그대로 송출하도록 상기 공급경로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KR1020160089623A 2015-07-16 2016-07-15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KR101867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1857 2015-07-16
JP2015141857A JP6293096B2 (ja) 2015-07-16 2015-07-16 横編機における給糸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779A true KR20170009779A (ko) 2017-01-25
KR101867403B1 KR101867403B1 (ko) 2018-06-14

Family

ID=5641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623A KR101867403B1 (ko) 2015-07-16 2016-07-15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118360B1 (ko)
JP (1) JP6293096B2 (ko)
KR (1) KR101867403B1 (ko)
CN (1) CN1063509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5941A (zh) * 2018-09-18 2019-05-31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可延长电脑横机测纱器使用寿命的改进结构
CN109440279A (zh) * 2018-10-29 2019-03-08 广东博昊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稳定性防缠绕式的高速数控针织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57A (ja) * 1990-04-27 1992-01-16 Gunze Ltd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の編成装置
JPH09328255A (ja) * 1996-06-10 1997-12-22 Sadaichi Murase 糸巻機
JP2002285445A (ja) * 2001-01-18 2002-10-03 Procter & Gamble Co:The 複合ヤ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44301A (ja) 2008-12-22 2010-07-01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
CN202144544U (zh) * 2011-07-04 2012-02-15 陈仁惠 喂纱导轮的结构改良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400219A1 (es) * 1971-03-08 1975-01-01 I I R S P A Lab Italiano Ricer Perfeccionamientos en un dispositivo de alimentacion posi- tiva de hilos.
GB1592520A (en) * 1977-01-03 1981-07-08 Akzo Nv Process for the compressed air treatment of yarn on a knitting machine the yarns thus treated and a circular knitting machine
JPS54112254A (en) * 1978-02-21 1979-09-03 Mitsubishi Rayon Co Production of knitted fabric
JPH09328244A (ja) * 1996-06-13 1997-12-22 Shinko Electric Ind Co Ltd 帯状体搬送装置
JPH10212071A (ja) * 1997-01-29 1998-08-11 Nitta Ind Corp 糸道ガイド
CN201040793Y (zh) * 2006-12-25 2008-03-26 株式会社福原精机制作所 圆型针织机的喂纱装置
EP2557212A1 (en) * 2011-08-08 2013-02-13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irectly driven auxiliary yarn guide apparatus for flat knitting machines
CN202430435U (zh) * 2011-12-30 2012-09-12 浙江宝娜斯袜业有限公司 一种直接在袜机上完成并纱的装置
JP6128720B1 (ja) * 2016-10-07 2017-05-17 藤井株式会社 中綿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57A (ja) * 1990-04-27 1992-01-16 Gunze Ltd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の編成装置
JPH09328255A (ja) * 1996-06-10 1997-12-22 Sadaichi Murase 糸巻機
JP2002285445A (ja) * 2001-01-18 2002-10-03 Procter & Gamble Co:The 複合ヤ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44301A (ja) 2008-12-22 2010-07-01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
CN202144544U (zh) * 2011-07-04 2012-02-15 陈仁惠 喂纱导轮的结构改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50931B (zh) 2018-10-12
JP2017025421A (ja) 2017-02-02
KR101867403B1 (ko) 2018-06-14
JP6293096B2 (ja) 2018-03-14
EP3118360B1 (en) 2019-03-06
CN106350931A (zh) 2017-01-25
EP3118360A1 (en)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403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기구
US20120149272A1 (en) Non-woven laying machine and a method for laying a non-woven fabric
JP2020125554A (ja) 和紙糸製造装置及び和紙糸製造方法
CN105506793B (zh) 纺纱机中的特殊纱线纺织设备
US5927639A (en) Yarn delivery device
CN216763894U (zh) 一种纱线输送的稳定导纱组件
JP2007297764A (ja) ニップ式仮撚装置
TWI358474B (ko)
CN111020851B (zh) 一种大圆机的纱线张紧装置
CN104891272B (zh) 纺织机的具有上蜡装置的工作站
CN210735834U (zh) 一种再生纱线纺织用纱线张力调节装置
JP5400707B2 (ja) ドライヤーカンバスの継手
CN203834118U (zh) 一种针织横机用送纱装置
CN108529326A (zh) 一种棉纱收线装置
US3956907A (en) Take up
JP4847982B2 (ja) タフティング機、及びタフティング機用の調整軸
CN104947306B (zh) 多轴向经编机
CN202017101U (zh) 经编机
CN220887860U (zh) 一种圆筒编织机分丝机构
CN218436130U (zh) 一种调线机构的喂纱手指
CN216548983U (zh) 针织可变花色圆扁钩编机的收线机构
KR101310874B1 (ko) 털이 빠지지 아니하는 날개사 제조장치
CN113728132B (zh) 复合纸线、复合纸线制造装置和复合纸线制造方法
CN216427689U (zh) 一种拉绒机的钢针辊筒
CN102102247B (zh) 用于生产全钢针布的安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