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161A -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161A
KR20170009161A KR1020150100750A KR20150100750A KR20170009161A KR 20170009161 A KR20170009161 A KR 20170009161A KR 1020150100750 A KR1020150100750 A KR 1020150100750A KR 20150100750 A KR20150100750 A KR 20150100750A KR 20170009161 A KR20170009161 A KR 2017000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oup
wrapping pap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김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진 filed Critical 김명진
Priority to KR102015010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161A/ko
Publication of KR2017000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 포장지에 정제수와 떡국 떡과 분말 스프를 차례대로 넣고 내 포장지를 흔들어 떡과 스프를 혼합시킨 후 지퍼팩으로 밀봉하고, 외 포장지에는 발열체와 물을 차례대로 넣은 후 밀봉된 내 포장지를 외 포장지 속에 넣고 밀봉함으로써, 발열체와 물의 반응에 의해 발산되는 강한 기화 발열에 의해 내 포장지에 담겨있는 정제수를 가열시켜 떡국을 간편하게 조리하므로 미식가들이나 레저활동, 작업 중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즉석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하므로 떡국의 맛과 식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Instant Rice-Cake Sou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at}
본 발명은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 포장지에 정제수, 떡국 떡 및 분말 스프를 차례대로 넣고 흔들어 떡과 스프를 혼합시킨 후 지퍼팩으로 밀봉하고, 외 포장지에는 발열체와 물을 차례대로 넣은 후 밀봉된 내 포장지를 넣고 밀봉함으로써, 외 포장지의 발열체와 물의 반응에 의해 발산되는 강한 기화 발열에 의해 내 포장지에 담겨있는 정제수를 가열시켜 즉석에서 간편하게 떡국을 조리할 수 있어 떡국을 좋아하는 미식가들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국은 영양가가 높고 우리 국민의 기호에 맞으며 위생적이고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식품으로 옛날부터 모든 사람들이 꾸준히 즐겨먹던 음식이다.
그러나 떡국용 떡의 경우에는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 떡을 건조시켜 유통시킴으로 인해 조리시 떡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따뜻한 물에 담갔다 조리하거나 오랜 시간 끓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오늘날 인스턴트 식품의 범람으로 입맛이 급속도로 서구화된 현대인들을 사로잡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당 업계에서는 바쁜 현대인들의 생활 패턴에 맞게 간편하고 다양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떡국을 활발히 연구 및 개발하여 유통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바쁜 현대인들이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떡국을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내용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0492624호에 일회용 포장용기로 포장된 떡을 끓이지 않고서 뜨거운 물만 부어 바로 먹을 수 있는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떡국의 경우 조리시에 뜨거운 물이 사전에 준비되어 있어야 떡국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조리기구가 준비되지 않은 레이저활동 중이나 작업중에 현장에서 즉석으로 떡국을 조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등산과 같은 레저활동이나 작업 중에 떡국을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즉석 떡국의 개발이 절실하여 현대인의 입맛에 맞고, 영양가도 풍부한 즉석 떡국을 제조하고자 예의 노력을 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그동안 조리기구가 구비된 특정장소에서만 조리할 수 있도록 제조된 즉석 떡국을 레저활동이나 작업 중에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즉석에서 섭취할 수 있어 떡국의 맛과 식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즉석에서 떡국을 조리하기 위해 내 포장지에 정제수, 떡 및 분말 스프를 차례대로 넣고 흔들어 떡과 스프를 혼합시킨 후 지퍼팩으로 밀봉하고, 외 포장지에는 발열체와 물을 차례대로 넣은 후 밀봉된 내 포장지를 넣고 밀봉함으로써, 외 포장지의 발열체와 물의 반응에 의해 발산되는 강한 기화 발열에 의해 내 포장지에 담겨있는 정제수를 가열시켜 떡국을 조리함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떡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내 포장지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떡 50~80 중량부와 분말 스프 5~8 중량부를 넣고 내 포장지를 흔들어 떡과 분말 스프를 혼합시킨 후 지퍼팩으로 밀봉하는 단계;
2) 외 포장지에 발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250 중량부를 가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외 포장지에 상기 1)단계의 밀봉된 내 포장지를 넣고 밀봉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외 포장지에 담긴 발열체와 물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화 발열에 의해 내 포장지에 담긴 정제수를 가열하여 떡국을 조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에서 분말 스프는 a)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35~40 중량부, 소고기 다시다 15~20 중량부, 포도당 10~15 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7~10 중량부, 마늘분말 3~5 중량부, 양파분말 3~5 중량부, 비프분말 2~4 중량부, 핵산 1~2 중량부, 후추분말 0.5~1 중량부를 혼합하는 원재료 혼합단계;
b) 지단후레이크 5~7 중량부, 파 분말 5~7 중량부, 구운 김가루 3~5 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상기 1)단계의 혼합된 원재료를 교반하면서 1±0.1 kg/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스프를 혼합하는 스프 혼합단계;를 거쳐 제조되며,
상기 외 포장지에 담긴 발열체와 물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화 발열은 10~15분 동안 진행하고, 최대온도는 100~110℃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떡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떡국을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은 내 포장지에 정제수, 떡국 떡 및 분말 스프를 넣고 내 포장지를 흔들어 떡과 스프를 혼합시킨 후 지퍼팩으로 내 포장지를 밀봉하고, 외 포장지에 발열체와 물을 가한 다음 상기 밀봉된 내 포장지를 넣고 지퍼팩으로 외 포장지를 밀봉함으로써, 상기 외 포장지에 담긴 발열체와 물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화 발열에 의해 내 포장지에 담긴 정제수가 가열되어 떡국을 조리함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떡국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으므로 미식가들이나 레저활동, 작업 중에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내 포장지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떡 50~80 중량부와 분말 스프 5~8 중량부를 넣고 내 포장지를 흔들어 떡과 스프를 혼합시킨 후 지퍼팩으로 밀봉하는 단계;
2) 외 포장지에 발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250 중량부를 가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외 포장지에 상기 1)단계의 밀봉된 내 포장지를 넣고 밀봉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외 포장지에 담긴 발열체와 물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화 발열에 의해 내 포장지에 담긴 정제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1)단계는 내 포장지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떡 50~80 중량부와 분말 스프 5~8 중량부를 넣고 내 포장지를 흔들어 떡과 분말 스프를 혼합시킨 후 지퍼팩으로 밀봉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정제수는 떡을 익히고 분말 스프를 용해시켜 양념을 우려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수의 혼합량이 10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떡을 익히고 양념을 우려낼 수는 있으나 떡국의 국물부족으로 짜질 우려가 있고, 정제수의 혼합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떡국의 국물이 싱거워질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떡은 떡국의 주재료로서 통상적으로 물에 불린 멥쌀을 빻은 가루에 다시 일정량의 소금과 물을 부어 반죽한 다음 쪄서 길쭉하게 뽑아낸 떡을 일정한 크기로 설은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떡의 사용량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스프를 우려낸 양념에 비해 떡의 혼합량 저하로 떡국이 짜질 우려가 있고, 상기 떡의 혼합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스프를 우려낸 양념에 비해 떡국의 혼합량 과다로 떡국이 충분히 익혀지지 않거나 싱거워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떡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떡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분말 스프는 떡국 떡에 스프의 맛을 가미시켜 떡 고유의 맛과 우려낸 스프 고유의 맛이 어우러져 미식가들이나 레저활동 중에 섭취할 때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료로서, 그 혼합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8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 스프의 혼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떡의 사용량에 비해 스프의 혼합량 저하로 조리된 떡국의 맛이 싱거워질 우려가 있고, 상기 스프의 혼합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떡의 사용량에 비해 스프의 혼합량 과다로 조리된 떡국의 맛이 짜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분말 스프의 제조방법은 a)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35~40 중량부, 소고기 다시다 15~20 중량부, 포도당 10~15 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7~10 중량부, 마늘분말 3~5 중량부, 양파분말 3~5 중량부, 비프분말 2~4 중량부, 핵산 1~2 중량부, 후추분말 0,5~1 중량부를 혼합하는 원재료 혼합단계;
b) 지단후레이크 5~7 중량부, 파 분말 5~7 중량부, 구운 김가루 3~5 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상기 a)단계의 혼합된 원재료를 교반하면서 1 kg/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스프를 혼합하는 스프 혼합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35~40 중량부, 소고기 다시다 15~20 중량부, 포도당 10~15 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7~10 중량부, 마늘분말 3~5 중량부, 양파분말 3~5 중량부, 비프분말 2~4 중량부, 핵산 1~2 중량부, 후추분말 0,5~1 중량부를 혼합하는 재료 혼합단계이다.
상기에서 사골분말은 소의 다리뼈를 우려낸 것으로서, 고소한 깊은맛을 내는 역할을 하며, 그 혼합량은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골분말의 혼합량이 10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사골분말의 혼합량 저하로 고소한 깊은맛이 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 사골분말의 혼합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골분말의 혼합량의 과다로 고소한 깊은맛은 낼 수 있으나 혼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에서 소금은 분말 스프의 짠맛을 내는 역할을 하며,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금의 혼합량이 3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분말 스프의 짠맛이 제대로 나지 않아 식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소금의 혼합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말 스프의 짠맛이 너무 강해 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소금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소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기하게는 맛소금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에서 소고기 다시다는 분말 스프의 고유의 맛을 내기 위해 조미료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고기 다시다의 혼합량이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분말 스프로부터 우러나오는 고유의 맛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소고기 다시다의 혼합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말 스프로부터 우러나는 고유의 맛은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혼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에서 포도당은 분말 스프를 보관시에 스프 혼합물의 변질을 예방하기 위해 혼합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도당의 혼합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분말 스프를 보관시에 스프 혼합물의 변질이 빠르게 진행될 우려가 있고, 상기 포도당의 혼합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말 스프를 보관시에 스프 혼합물의 변질은 예방할 수 있으나 사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에서 L-글루탐산나트륨은 분말 스프의 감칠맛을 내는 조미료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7~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글루탐산나트륨의 혼합량이 7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스프의 감칠맛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L-글루탐산나트륨의 혼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스프의 감칠맛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혼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에서 마늘분말은 분말 스프의 비린내와 같은 잡 냄새를 없애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늘분말의 혼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분말 스프의 비린내와 같은 잡 냄새를 완전히 없애지 못할 우려가 있고, 상기 마늘분말의 혼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말 스프의 비린내와 같은 잡 냄새는 없앨 수 있으나 혼합량에 비해 더 이상 효과가 없다.
상기에서 양파분말은 분말 스프의 단맛을 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파분말의 혼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분말 스프의 단맛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양파분말의 혼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말 스프의 단맛이 강해져 분말 스프 고유의 맛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비프분말은 분말 스프의 구수한 맛을 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2~4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프분말의 혼합량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기타 첨가물의 혼합량에 비해 비프분말의 혼합량 저하로 분말 스프 고유의 맛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비프분말의 혼합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타 첨가물의 혼합량에 비해 비프분말의 혼합량 과다로 분말 스프의 고유의 맛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핵산은 떡국을 섭취시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신체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핵산의 혼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역할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핵산의 혼합량이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역할은 향상될 수 있으나 혼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그리고 상기 핵산은 오-이노신산 나트륨(sodium 5-inosinate) 또는 오-구아닐산 나트륨(sodium 5-guanylate)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후추분말은 분말 스프의 변질을 방지하고 잡 냄새를 없애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추분말의 혼합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분말 스프의 잡내 및 변질을 완전히 방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상기 후추분말의 혼합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말 스프의 잡내 및 변질은 완전히 방지할 수 있으나 혼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b)단계는 지단후레이크 5~7 중량부, 파 분말 5~7 중량부, 구운 김가루 3~5 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상기 a)단계의 혼합된 원재료를 교반하면서 1±0.1 kg/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스프를 혼합하는 스프 혼합단계이다.
상기에서 원재료의 혼합량이 0.9 kg/min 미만일 경우에는 혼합되는 원재료는 보다 고르게 혼합될 수 있으나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고, 원재료의 혼합량이 1.1 kg/min를 초과할 경우에는 혼합량 과다로 원재료가 고르게 혼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원재료를 혼합하는 시간 및 교반속도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지단 후레이크는 떡국의 모양이나 빛깔을 돋보이게 하고, 떡국의 맛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5~7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단 후레이크의 혼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떡국의 량에 비해 지단 후레이크의 혼합량 저하로 떡국의 모양이나 빛깔의 아름다움이 떨어져 식욕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지단 후레이크의 혼합량이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떡국의 량에 비해 지단 후레이크의 혼합량 과다로 떡국의 빛깔이 지나치게 지단 색상으로 변질되어 식욕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지단 후레이크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계란의 노른자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에서 파 분말은 비타민A, C가 많고 철분 등의 무기질이 많은 식물로서, 스프 혼합물의 잡 냄새를 없애는 역할을 하며,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5~7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 분말의 혼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스프 혼합물의 좋지 못한 냄새를 완전히 없애는데 어려움이 우려되고, 상기 파 분말의 혼합량이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스프 혼합물의 좋지 못한 냄새는 없앨 수 있으나 혼합량에 비해 더 이상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에서 구운 김가루는 떡국의 빛깔을 내고, 김 고유의 구수한 향으로 떡국의 맛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운 김가루의 혼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구운 김가루의 혼합량 저하로 떡국에 구운 김 고유의 맛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구운 김가루의 혼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구운 김가루의 혼합량 과다로 떡국에 구운 김의 향이 강해 떡국 고유의 맛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조된 떡과 분말 스프는 내 포장지에 표시된 표시선 까지 먼저 정제수를 넣고 이어서 떡과 분말 스프를 넣은 후 내 포장지를 흔들어 떡과 스프를 혼합시켜 내 포장지의 상부 개구부에 구비된 지퍼팩으로 밀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 포장지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포장지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 2)단계는 외 포장지에 발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250 중량부를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발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의 혼합량이 20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발열체의 사용량에 비해 물의 사용량 저하로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기화 발열 시간이 짧아질 우려가 있고, 상기 발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의 혼합량이 2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열체의 사용량에 비해 물의 사용량 과다로 발생하는 기화열이 요구하는 온도만큼 발열되지 않아 떡국을 조리하는데 어려움이 우려된다.
그리고 상기 외 포장지 및 발열체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떡국을 조리하는데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적절한 외 포장지와 발열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단계는 상기 2)단계의 외 포장지에 상기 1)단계의 밀봉된 내 포장지를 넣고 밀봉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밀봉된 내 포장지를 외 포장지에 투입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방법으로 투입하면 된다.
상기 4)단계는 상기 3)단계의 외 포장지에 투입된 발열체와 물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화 발열은 10~15분 동안 지속되고, 최대온도는 100~110℃로서 내 포장지에 투입된 물의 가열로 인해 떡과 스프를 익혀 떡국을 조리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기화 발열의 지속시간이 10분 미만이거나 최대온도가 100℃ 미만일 경우에는 정제수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떡국이 완전히 조리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 기화 발열의 지속시간이 15분을 초과하거나 최대온도가 1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정제수가 충분히 가열되어 떡국은 완전히 조리될 수 있으나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더 이상 효과가 없다.
한편,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즉석 떡국은 외 포장지에 담긴 발열체와 물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화 발열에 의해 내 포장지에 담긴 정제수를 가열시켜 떡국을 조리하므로 미식가들이나 레저활동, 작업 중에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즉석에서 간편하게 떡국을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어 떡국 고유의 맛과 식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에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떡의 제조
멥쌀 3kg을 물로 씻어 5시간 동안 부린 후 물기를 제거하고 정제염 30g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그리고 상기 분쇄된 쌀가루를 찜기에 넣고 스팀 수증기로 익혀 이를 성형기에 투입하여 성형한 떡을 지름 20mm, 두께 2mm로 설어 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떡을 4℃ 냉장실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160g씩 포장하였다.
2. 분말 스프의 제조
a)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35 중량부, 소고기 다시다 20 중량부, 포도당 15 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7 중량부, 마늘분말 5 중량부, 양파분말 3 중량부, 비프분말 4 중량부, 핵산 1 중량부, 후추분말 1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b) 지단후레이크 7 중량부, 파 분말 5 중량부, 구운 김가루 5 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상기 1)단계의 혼합된 원재료를 교반하면서 1 kg/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분말 스프를 제조한 다음 11g씩 포장하였다.
3. 떡국의 제조
1) 내 포장지에 정제수 230㎖와 상기 1의 떡 160g과 상기 2의 분말 스프 11g을 투입하고 포장지를 흔들어 혼합한 후 지퍼팩으로 밀봉하였다.
2) 외 포장지에 발열체 50g과 물 100㎖를 가한 다음 상기 1)의 밀봉된 내 포장지를 넣고 밀봉한 상태로 15분간 방치시켜 떡국을 조리하였다.
(비교예)
1. 떡의 제조
떡의 경우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떡을 사용하였다.
2. 분말 스프의 제조
a)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45 중량부, 포도당 15 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15 중량부, 마늘분말 5 중량부, 양파분말 5 중량부, 비프분말 2 중량부, 핵산 4 중량부, 후추분말 1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b) 지단후레이크 10 중량부, 파 분말 5 중량부, 구운 김가루 5 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상기 1)단계의 혼합된 원재료를 교반하면서 1 kg/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분말 스프를 제조한 다음 11g으로 포장하였다.
3. 떡국의 제조
떡국은 상기 실시예의 떡국의 제조방법에 따라 조리하였다.
상기 실시 예와 비교 예에 따라 조리된 떡국을 공원에서 즉석으로 선별한 남,여 초등학생 각 5명, 남,여 중학생 각 5명, 남, 여 성인 각 5명에게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게 한 다음 100g씩 시식하게 하고, 아래의 방법에 따라 맛과 향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초등
학생
중학생 성인 초등
학생
중학생 성인
떡국의 맛과 향이 매우 좋음 8 9 10 0 0 0
떡국의 맛과 향이 약간 좋음 2 1 0 0 0 1
떡국의 맛과 향이 보통임 0 0 0 5 8 6
떡국의 맛과 향이 약간 나쁨 0 0 0 5 2 3
떡국의 맛과 향이 매우 나쁨 0 0 0 0 0 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 예의 경우 맛과 향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떡 고유의 구수한 맛과 함께 분말 스프의 맛이 혼합되어 별미의 맛을 상승시키는 효과로 인해 전반적으로 떡국의 맛과 향이 매우 좋은 것으로 평가된데 반해 비교 예의 경우에는 분말 스프에 소고기 다시다가 첨가되지 않고, 소금, L-글루탐산나트륨 등이 과량 혼합됨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떡국의 맛과 향이 보통인 것으로 평가되어 비교 예의 떡국은 실시 예의 떡국에 비해 맛과 향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통해 그 맛과 향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화,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4)

  1. 떡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내 포장지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떡 50~80 중량부와 분말 스프 5~8 중량부를 넣고 내 포장지를 흔들어 떡과 분말 스프를 혼합시킨 후 지퍼팩으로 밀봉하는 단계;
    2) 외 포장지에 발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250 중량부를 가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외 포장지에 상기 1)단계의 밀봉된 내 포장지를 넣고 밀봉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외 포장지에 담긴 발열체와 물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화 발열에 의해 내 포장지에 담긴 정제수를 가열하여 떡국을 조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스프는 a) 사골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35~40 중량부, 소고기 다시다 15~20 중량부, 포도당 10~15 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7~10 중량부, 마늘분말 3~5 중량부, 양파분말 3~5 중량부, 비프분말 2~4 중량부, 핵산 1~2 중량부, 후추분말 0.5~1 중량부를 혼합하는 원재료 혼합단계;
    b) 지단후레이크 5~7 중량부, 파 분말 5~7 중량부, 구운 김가루 3~5 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상기 1)단계의 혼합된 원재료를 교반하면서 1±0.1 kg/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스프를 혼합하는 스프 혼합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 포장지에 담긴 발열체와 물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화 발열은 10~15분 동안 진행하고, 최대온도는 10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국.
KR1020150100750A 2015-07-16 2015-07-16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9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750A KR20170009161A (ko) 2015-07-16 2015-07-16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750A KR20170009161A (ko) 2015-07-16 2015-07-16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161A true KR20170009161A (ko) 2017-01-25

Family

ID=5799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750A KR20170009161A (ko) 2015-07-16 2015-07-16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1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894A (ko) * 2018-05-24 2019-12-04 신동섭 물만두를 이용한 컵밥 제조방법
KR102633322B1 (ko) * 2023-09-20 2024-02-05 이재수 한우사골 떡국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한우사골 떡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894A (ko) * 2018-05-24 2019-12-04 신동섭 물만두를 이용한 컵밥 제조방법
KR102633322B1 (ko) * 2023-09-20 2024-02-05 이재수 한우사골 떡국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한우사골 떡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9767C (zh) 一种牛肉干的制备方法
CN104642559A (zh) 一种香辣豆干休闲食品
CN101411447A (zh) 麻辣火锅底料及其加工方法
CN103404605A (zh) 一种五香味豆腐干的调味加工工艺
KR101493480B1 (ko) 김 스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 스낵
CN105767913A (zh) 一种陈皮兔丁及其制作方法
KR101869015B1 (ko) 소스가 첨가된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435147B1 (ko) 조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1307A (ko) 아로니아성분이 추가된 김의 신규 조미가공 방법
KR20170009161A (ko) 즉석 떡국 및 그 제조방법
KR100761519B1 (ko)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1755222B1 (ko) 발효간장분말을 이용한 구이김의 제조방법
KR100900147B1 (ko) 생선 요리용 분말 소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3661B1 (ko) 즉석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CN105795357A (zh) 一种水饺馅的制作方法
CN105053934A (zh) 一种黄焖鸡酱料及其制作方法
KR101503426B1 (ko) 실치 함유 파래김 자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실치 함유 파래김 자반
KR101126945B1 (ko) 즉석 컵 카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2775B1 (ko) 마늘 양념 치킨 제조방법
KR102157292B1 (ko) 황태구이용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황태양념구이
KR102220871B1 (ko) 햄프씨드 가루와 햄프오일이 포함된 김스낵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550869B1 (ko) 황태 고추장 비빔소스 및 그 제조방법
JP5968140B2 (ja) 油揚げ様食品用の衣組成物及び惣菜用材料セット
KR101295637B1 (ko) 천연재료를 주성분으로 한 육류 냄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육제품
KR20170118538A (ko) 즉석 조리용 김자반 비빔밥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